KR20070057228A - 충돌-활성화 헤드레스트용 구동수단 - Google Patents

충돌-활성화 헤드레스트용 구동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228A
KR20070057228A KR1020077007355A KR20077007355A KR20070057228A KR 20070057228 A KR20070057228 A KR 20070057228A KR 1020077007355 A KR1020077007355 A KR 1020077007355A KR 20077007355 A KR20077007355 A KR 20077007355A KR 20070057228 A KR20070057228 A KR 20070057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means
seat
headrest
drive
indirect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2923B1 (ko
Inventor
실비오 하르트라우프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57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72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 B60N2/42781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mechanical trigg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포넌트(component)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actuating means)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돌-활성화 헤드레스트용 구동수단{Actuating means for a crash-active head restraint}
본 발명은 컴포넌트(component)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actuating means)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수단은 보우든 케이블(bowden cables)처럼 이미 충분하게 알려져 있으며, 특히 후방 충돌이 발생했을 때 헤드레스트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이런 종류의 시스템은 예를 들어, 독일특허공개공보 DE 100 41 528 Al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구동수단이 장력(tension)에 의해 로드(load)되는 문제점이 있다. 비록 이런 종류의 구동수단은, 특히 충돌 사고 직후, 이 시점에서는 큰 구동 작용이 요구되지만 비교적 작은 구동 작용을 가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이 없는 구동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컴포넌트(component)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변화될 수 있게 하는 구동수단에 의해서 성취되는데, 상기 구동수단은 드라이브 유닛(drive unit)에서 컴포넌트(component)까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힘을 전달하고, 그 과정에서, 압박에 의해서 로드(load)되는 수단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그것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전문가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이 특히 예컨대, 후방 충돌에 의한 힘이 적용된 직후에, 우수한 구동 작용을 하여, 그 결과로, 예를 들면,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될 수 있다는 것에 매우 놀라워 했고 예상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탑승자의 부상이 예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은 간단하고 생산 비용이 저렴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은 압박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후방 충돌의 경우에, 골반저부(pelvic floor)의 부상을 크게 예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수단은 드라이브 유닛(drive unit)에서 컴포넌트(component)까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힘을 전달하고, 그 전달 과정에서, 그것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변화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수단은 압박에 의해서 로드(load)된다. 이러한 수단은 전문가에게 친숙한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수단은 구동수단의 가로축 및 세로축에 대하여 연장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힘이 전달되는 동안에 상기 수단의 서로에 대한 위치가 변화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배열된다. 이런 연장은 전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변위를 전달하거나 그것으로부터 발생 된 힘을 컴포넌트(component), 즉 헤드레스트까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보우든 케이블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구동수단 자체가 보우든 케이블의 일부분이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한 수단은 힘이 작용 되는 동안에 펴지고 서로간에 일정한 각도로 배열된 림(limb)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은 임의의 컴포넌트(component)의 변위를 위해서 및/또는 변위에 관하여 힘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구동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자동차의 시트의 일부분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자동차의 등받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시트도 관련되고, 특히 자동차 시트, 구동수단과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시트 관한 것이며,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구동수단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전문가는 탑승자의 부상이, 특히 후방 충돌에서, 본 발명에 따라 고안된 시트로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다는 점, 특히 충돌이 발생한 직후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 방향으로 위치가 빠르게 변화하므로, 부상, 특히 경추 부분의 부상이 예방된다는 것에 놀라워 했고 예상하지 못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는 단순하고 생산 비용이 저렴하다.
구동수단은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화시킨다. 게다가, 위치의 변화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발생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헤드레스트의 위치 변화는 후방 충돌인 경우에 발생 된다.
구동수단은 자동차 탑승자에 의해서 활성화된다. 이러한 활성화는, 후방 충돌 발생시 탑승자가 자동차 시트를 밀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런 과정에서 발생된 모멘텀(momentum)과 그로부터 생성된 힘은, 구동수단의 단면을 압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 결과로 인한 구동수단의 길이의 변화는 헤드레스트나 헤드레스트의 일부분을 움직이는데 사용된다.
구동수단은 보우든 케이블과 상호작용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해 힘을 구동수단에서 헤드레스트까지 통과시키는 보우든 케이블의 일부분이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아래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런 설명들은 단지 예시일 뿐이고 본 발명의 포괄적인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의 컷아웃(cutout)을 보여주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모식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시트의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컴포넌트 (component)
2 : 수단 (means)
3 : 연장 (extension)
4 : 위치 (position)
5 : 시트 (seat)
6 : 등받이 (back rest)
7 : 드라이브 유닛 (drive unit)
8 : 구동수단 (actuating means)
9 : 보우든 케이블 (bowden cable)
10 : 컴포넌트의 위치, 특히 헤드레스트의 위치
11 : 가로축 (transverse axis)
12 : 단면 (cross section)
13 : 헤드레스트 (head restraint)
14 : 차량 탑승자 (vehicle occupant)
15 : 정면부 (front part)
16 : 프레임 (frame)
17 : 헤드레스트의 마운트 (mount of the head restrai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8)을 도시한 것으로, 원래의 형태, 예를 들어 충돌 전의 형태는, 도 1의 상단에 도시되고, 구동수단의 구동된 형태, 예를 들어 충돌 후와 충돌 중의 상태는, 도 1의 하단에 도시하였다. 이 경우에는, 구동수단(8)은 서로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배열된 4 개의 구동수단(2)을 포함한다. 화살표 7로 표시한 바와 같이 힘이 가해지면, 구동수단(8)의 림(limb)들(2)은 펴지며 따라서, 그의 단면(12)이 수축되어, 양쪽 화살표(3)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가로축( 11)에 대해서 연장된다. 이런 연장은 보우든 케이블로 전달되고, 이어서 헤드레스트와 같은 컴포넌트의 위치를 변화시키는데, 이것은 도 2 및 도 3에 관련해서 자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전문가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이 보우든 케이블의 일부분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게다가, 전문가는 구동이 가역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런 경우는, 힘(3)이 더 이상 가해지지 않으면 구동수단이 원래 형태로 되돌아갈 것이다.
도 2는 모형 형태(14)의 탑승자가 있는 구현예의 시트(5)를 도시한다. 도 2의 상단 도면은 사고 전의 상태를 보여주고, 도 2의 하단 도면은 사고 이후 또는 사고 중인 상태를 보여주는데, 여기서 상기 사고는 도시한 시트가 놓여져 있는 자동차에 대하여 후방에서 자동차가 추돌한 경우이다. 상기 시트는 구동수단(8)이 놓여져 있는 등받이(6)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레스트(13)는 그 시트의 상부에 배치되고, 헤드레스트는 탑승자를 향해 있고 탑승자 방향으로 그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 정면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자동차의 정상적인 운행 중에는 (도 2의 상단 도면), 구동 수단은 비교적 두꺼운 단면을 가지며 헤드레스트의 정면부(15)는 탑승자의 머리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후방 추돌의 경우에는 (도 2의 하단 도면), 탑승자가 자동차 시트 쪽으로 밀리게 되고 특히 등받이로 밀리면, 결과적으로, 구동수단(8)을 압박하고, 이는 차례대로, 이미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 것처럼, 구동수단(8)의 연장(3)을 초래한다. 이러한 연장은 보우든 케이블에 의해서 헤드레스트까지 전달되어, 헤드레스트(13)의 정면부(15)의 위치(10)를 변화시킨다. 전문가는 헤드레스트의 정면부(15)가 탑승자 방향으로 이동된다는 것을 인식 할 것이다. 전문가 또한 헤드 레스트의 정면부뿐만 아니라 헤드레스트 전체가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헤드레스트의 정면부의 위치 변화는 구동수단으로부터 생성된 힘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발생되거나, 적당한 경우 보우든 케이블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구동수단은 단지, 예로 들면, 활성화되는 에어백의 점화기나 스프링의 형태로 저장된 에너지에 의해서 정면부의 이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도 3은 등받이 6의 상세도이다. 구동수단(8)은 등받이(6)에 있는 프레임(16)의 림(limb)들 사이에 배치된다. 게다가 구동수단(8)은 순서대로 헤드레스트의 마운트(17)(미도시)를 통해서 가이드 되어 있는 보우든 케이블 (9)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헤드레스트에서, 후방 충돌이 발생할 경우에 헤드레스트에 있는 정면부(15)의 위치 변화를 일으키기 위한 것이다.

Claims (11)

  1. 컴포넌트(1, 13)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8)으로서, 상기 구동수단은 힘을 드라이브 유닛(7, 14)에서 컴포넌트(1)까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전달하고, 그 과정에서 컴포넌트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변화하는 수단(2)을 포함하는 구동수단(8)에 있어서, 상기 수단(2)이 압박에 의해서 로드(loa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수단(8).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의 가로축(11) 또는 세로축에 대한 연장(3)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힘이 전달되는 동안에 상기 수단(2)의 서로에 대한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수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2)은 힘이 작용 되는 동안에 원래의 위치(4)로부터 펴지는 림(limb)들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수단.
  4.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보우든 케이블(9)이고/이거나 보우든 케이블(9)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수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시트(5)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수단.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시트(5)의 등받이(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수단.
  7. 전술한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구동수단과 헤드레스트(13)를 구비한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에 있어서, 헤드레스트의 위치(10)는 상기 구동 수단(8)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13)의 위치(10)가 후방 충돌시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9. 제 8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이 차량 탑승자(14)에 의해서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승자가 구동수단의 단면(12)을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11. 제 7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8)이 보우든 케이블(9)과 상호작용하거나 보우든 케이블(9)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KR1020077007355A 2004-10-06 2005-10-06 충돌시 작동하는 헤드레스트용 작동수단 KR1012029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48910.6 2004-10-06
DE102004048910A DE102004048910B4 (de) 2004-10-06 2004-10-06 Aktuierungsmittel für eine crash-aktive Kopfstütze
PCT/EP2005/055053 WO2006037801A1 (de) 2004-10-06 2005-10-06 Aktuierungsmittel für eine crash-aktive kopfstütz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228A true KR20070057228A (ko) 2007-06-04
KR101202923B1 KR101202923B1 (ko) 2012-11-19

Family

ID=3545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355A KR101202923B1 (ko) 2004-10-06 2005-10-06 충돌시 작동하는 헤드레스트용 작동수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992932B2 (ko)
EP (1) EP1799505B1 (ko)
JP (1) JP4918041B2 (ko)
KR (1) KR101202923B1 (ko)
CN (1) CN100564102C (ko)
AT (1) ATE435774T1 (ko)
BR (1) BRPI0516535B1 (ko)
DE (2) DE102004048910B4 (ko)
WO (1) WO20060378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6474B3 (de) 2004-03-31 2005-08-11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45461B3 (de) * 2005-09-22 2007-01-25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mit einer crash-aktiven Kopfstütze, die eine Überlastsicherung aufweist
DE102006019176B4 (de) * 2006-04-21 2010-07-22 Johnson Controls Gmbh Rückenlehne mit Kopfstütze, damit ausgestatteter Fahrzeugsitz und Montageverfahren
DE102006032639B3 (de) * 2006-07-13 2007-10-11 Johnson Controls Gmbh Aktuierungsmittel für die Kopfstütze eines Fahrzeugsitzes
DE102006036623B3 (de) * 2006-08-03 2007-10-04 Johnson Controls Gmbh Aktuierungsmittel, insbesondere für Kopfstütze eines Fahrzeugsitzes
JP4730247B2 (ja) * 2006-08-08 2011-07-2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20100320816A1 (en) * 2006-12-08 2010-12-2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seat with lumbar support
DE102007018577A1 (de) * 2006-12-28 2008-07-03 Johnson Controls Gmbh Aktuator für eine crashaktive Kopfstütze
DE102007006835A1 (de) * 2007-02-07 2008-08-14 Johnson Controls Gmbh Aktuierungsmittel für eine crash-aktive Kopfstütze
JP5082490B2 (ja) * 2007-02-20 2012-11-2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ES2394050T3 (es) 2007-06-14 2013-01-16 Johnson Controls Gmbh Dispositivo de acoplamiento-desacoplamiento para un medio de transmisión, especialmente de un asiento de vehículo con reposacabezas activo contra choques, y asiento de vehículo
DE102007041613B4 (de) 2007-06-14 2009-02-26 Johnson Controls Gmbh Koppelungseinrichtung für ein Übertragungsmittel, insbesondere eines Fahrzeugsitzes mit crashaktiver Kopfstütze, Fahrzeugsitz und Verfahren
DE102008006412B4 (de) 2007-08-22 2017-04-06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FR2927581B1 (fr) * 2008-02-14 2010-10-08 Faurecia Sieges Automobile Dispositif d'absorption d'energie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et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tel siege.
US8727437B2 (en) * 2008-06-27 2014-05-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ctuator for crash activated head restraint
US8205941B2 (en) 2008-07-30 2012-06-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ctive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WO2010132548A2 (en) 2009-05-13 2010-11-1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Rotating head rests
US8366189B2 (en) 2009-12-16 2013-02-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oupling/uncoupling device for a transmission means in particular on a vehicle seat with a crash-active headrest and vehicle seat
US8167348B2 (en) * 2010-03-22 2012-05-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ble activated latch pawl for floor console armrest
DE102010044946A1 (de) * 2010-09-10 2012-03-15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 mit einer horizontal verstellbaren Tragstruktur
WO2014056618A1 (de) 2012-10-11 2014-04-17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102013010705B4 (de) * 2013-03-26 2017-09-14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Kopfstütze, die in x-richtung in eine sicherheitsstellung und eine komfortstellung überführbar ist
DE102013014479B4 (de) * 2013-09-02 2017-02-23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US10569683B2 (en) * 2018-06-19 2020-0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drest support assembly
WO2022243749A1 (en) 2021-05-21 2022-11-24 Grammer Ag Foldable headrest spring compensator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412967U1 (de) * 1984-08-02 Gesellschaft für Steuerungstechnik GmbH & Co, 6332 Ehringshausen Geber mit Rückstellvorrichtung
US3628197A (en) * 1970-10-01 1971-12-21 Ruth Lee Leventhal Collapsible and disposable bedpan
US5168629A (en) * 1990-08-28 1992-12-08 Frank Willard Scissor assembly
US5823619A (en) * 1996-03-04 1998-10-20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Vehicle seat
DE29614978U1 (de) * 1996-08-28 1997-01-02 Trw Repa Gmbh Fahrzeugsitz mit einer an der Rückenlehne verstellbaren Kopfstütze
GB2316863B (en) * 1996-09-06 2000-07-26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seat
DE19707998B4 (de) * 1997-02-27 2007-04-05 Inova Gmbh Technische Entwicklungen Kraftfahrzeugsitz
DE19738200C2 (de) * 1996-10-16 2002-01-03 Grammer Ag Fahrzeugsitz mit Kopfstütze
DE29811127U1 (de) * 1998-06-22 1998-08-27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Sitz- und Kopfstützenanordnung für ein Fahrzeug
JP3775059B2 (ja) 1998-06-26 2006-05-1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
DE29907245U1 (de) * 1999-04-23 1999-08-26 Trw Repa Gmbh Aufblasbare Kopfstütze
DE19947621B4 (de) * 1999-10-04 2011-08-18 Lear Corp., Mich. Sitz für ein Fortbewegungsmittel
DE10004766B4 (de) * 2000-02-03 2004-10-28 Keiper Gmbh & Co. Kg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US6824212B2 (en) * 2000-08-24 2004-11-30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DE10041528B4 (de) * 2000-08-24 2010-09-16 Lear Corporation Gmbh & Co. Kg Fahrzeugsitz
US6719368B1 (en) * 2001-02-28 2004-04-13 Magna Seating Systems Inc. Vehicle seat assembly having a cradle seat back
US6767064B2 (en) * 2002-02-27 2004-07-27 Lear Corporation Translatable head restraint for automotive seat backrest
DE10232017C1 (de) * 2002-07-16 2003-09-25 Faurecia Autositze Gmbh & Co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mit einer aktiven Kopfstütze
DE20217258U1 (de) * 2002-11-08 2004-03-18 Lear Corporation, Southfield Kopfstützenverstellvorrichtung
US7097242B2 (en) * 2003-02-06 2006-08-29 Lear Corporation Anti-backdriving active head restraint
US6749256B1 (en) * 2003-09-08 2004-06-15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having a movable head restraint
DE102004016474B3 (de) * 2004-03-31 2005-08-11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4118256B2 (ja) * 2004-06-22 2008-07-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4102779B2 (ja) * 2004-06-22 2008-06-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4339768B2 (ja) * 2004-09-17 2009-10-07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02006019176B4 (de) * 2006-04-21 2010-07-22 Johnson Controls Gmbh Rückenlehne mit Kopfstütze, damit ausgestatteter Fahrzeugsitz und Montageverfahren
US7850235B2 (en) * 2007-10-17 2010-12-14 Lear Corporation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with actuating system for a vehicle seat
US8727437B2 (en) * 2008-06-27 2014-05-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ctuator for crash activated head restra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62631A1 (en) 2007-11-15
KR101202923B1 (ko) 2012-11-19
DE102004048910A1 (de) 2006-04-20
DE502005007669D1 (de) 2009-08-20
JP2008515705A (ja) 2008-05-15
EP1799505A1 (de) 2007-06-27
US7992932B2 (en) 2011-08-09
WO2006037801A1 (de) 2006-04-13
CN100564102C (zh) 2009-12-02
CN101035694A (zh) 2007-09-12
BRPI0516535A (pt) 2008-09-09
EP1799505B1 (de) 2009-07-08
DE102004048910B4 (de) 2009-09-17
ATE435774T1 (de) 2009-07-15
JP4918041B2 (ja) 2012-04-18
BRPI0516535B1 (pt)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7228A (ko) 충돌-활성화 헤드레스트용 구동수단
US8393667B2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6283508B1 (en) Dynamic knee protection device
JP2019500276A (ja) 自動車のための車両座席アレンジメント及び車両座席アレンジメントを作動させるための方法
CN110719860A (zh) 用于车辆的约束装置
KR100416647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완충장치
US7887116B2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by pivoting seats upward in case of a crash
JP6438996B2 (ja) 乗員保護装置
US20050062330A1 (en) Method for moving a headrest in the event of a rear-end collision and arrangement of a headrest on a vehicle seat
KR101199715B1 (ko) 자동차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DE10234844B4 (de)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JP6860394B2 (ja) 乗員保護装置
KR20150063697A (ko)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장치
KR100991659B1 (ko) 자동차용 시트
JP5287781B2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KR100522869B1 (ko) 자동차의 풋 레스트
JP4272090B2 (ja) 乗員保護装置
JP2013151255A (ja) 車両の後部構造
JP2019107981A (ja) 車両用シート
JP4430966B2 (ja) 乗員保護装置
KR100456542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 장치
KR100353072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 장치
KR200336141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100535094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후방이동 방지 장치
CN112977326A (zh) 一种有效降低车辆乘员碰撞伤害的限力终止式卷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