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011A - 관조인트 및 관조인트의 수형 부재 - Google Patents

관조인트 및 관조인트의 수형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011A
KR20070057011A KR1020060118792A KR20060118792A KR20070057011A KR 20070057011 A KR20070057011 A KR 20070057011A KR 1020060118792 A KR1020060118792 A KR 1020060118792A KR 20060118792 A KR20060118792 A KR 20060118792A KR 20070057011 A KR20070057011 A KR 20070057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member
male
outer cylindrical
female
ma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2686B1 (ko
Inventor
요시토 가미무라
Original Assignee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7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25J15/065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provided with separating means for releasing the gripped object after suction
    • B25J15/0658Pneumatic type, e.g. air blast or over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66Means or methods for maintaining or repairing manipu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과제)
물품 진공 흡착 이송 장치에 있어서의 진공 흡착 패드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관조인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수형 부재 (14) 는 내측 통형상 부재 (16) 와, 외측 통형상 부재 (18) 와, 외측 및 내측 통형상 부재의 사이에 설정되고 압축 코일 스프링 (19) 을 갖는다. 암형 부재 (12) 는 수형 부재 수용부 (20) 를 갖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통상 암형 본체 (22) 와, 암형 본체의 반경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고, 수형 부재 수용부 (20) 에 수납된 수형 부재에 걸어 맞춰지는 내측 위치와, 그 내측 위치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서 그 수형 부재로부터 벗어나는 외측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시정자 (24) 와, 그 시정자의 위치를 제어하는 시정자 조작 부재 (26) 를 갖는다. 외측 통형상 부재 (18) 는 그 외주면에 그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홈 (34) 을 가지며, 시정자 (24) 가 그 홈 (34) 에 걸어 맞춰진다.

Description

관조인트 및 관조인트의 수형 부재{PIPE JOINT AND MALE MEMBER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상반 부분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암형 부재 및 수형 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동일한 측면도이며, 암형 부재 및 수형 부재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동일한 측면도이며, 암형 부재 (12) 에 연결된 수형 부재 (14) 가 수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관조인트 12 : 암형 부재
14 : 수형 부재 16 : 내측 통형상 부재
18 : 외측 통형상 부재 19 : 압축 코일 스프링 (스프링 부재)
20 : 수형 부재 수용부 22 : 암형 본체
24 : 시정자 26 : 시정자 조작 부재
28 : 코일 스프링 34 : 가늘고 긴 홈
34-1 : 제 1 단부 34-2 : 제 2 단부
38 : 수형 부재 수용부 단면 39 : 소직경 구멍부
40 : 내측 부재 수용부 42 : 내측 부재 수용부 단면
44 : 소직경 구멍부 46 : 스톱 링
48 : 대직경부 50 : 소직경부
52 : 환상 단차부 56 : 암나사
58 : 수나사 C : 도관
P : 진공 흡착 패드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44529호
본 발명은 관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IC 칩 등의 물품을 진공 흡착하여 이송하기 위한 물품 이송 장치에 있어서의 진공 흡착 패드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데에 적합한 관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는, 제조한 IC 칩을 진공 흡착 패드로 흡착하여 검사 장치에 이송하고, 그 검사 장치를 통해 우량품, 불량품을 나누는 작업이 실시된다. 이 경우, 진공 흡착 패드는 이송하는 IC 칩의 크기에 따라 교환하여 흡착을 적정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 진공 흡착 패드는 용이하게 교환 가능하게 할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진공 패드를 용이하게 교환 가능하게 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진공 흡착 패드에 의해 물품을 흡착하여 이송하는 이송 장치에 있어서, 진공 흡착 패드의 교환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관조인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암형 (雌型) 부재 (이하에 기술하는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참조 번호 12 로 나타낸다) 및 그 암형 부재 (12) 에 끼워 맞춰져 연결되는 수형 (雄型) 부재 (14) 로 이루어지는 관조인트 (10) 에 있어서,
그 수형 부재 (14) 는
내측 통형상 부재 (16) 와,
그 내측 통형상 부재 (16) 에 동심상으로 되고, 그 내측 통형상 부재의 축선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외측 통형상 부재 (18) 로서, 내측 통형상 부재 (16) 를 그 외측 통형상 부재의 암형 부재 (12) 에 접하는 선단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 상태로 하는 그 내측 통형상 부재 (16) 에 대한 제 1 위치와, 그 내측 통형상 부재 (16) 를 외측 통형상 부재 (18) 에 대해서, 그 제 1 위치보다 후방으로 들어가게 한 상태로 하는 그 내측 통형상 부재 (16) 에 대한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외측 통형상 부재 (18) 와,
그 외측 및 내측 통형상 부재의 사이에 설정되어 그 외측 통형상 부재를 그 제 1 위치가 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 (19) 를 가지며,
그 암형 부재 (12) 는
그 선단으로부터 후단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그 수형 부재 (14) 를 수용하는 수형 부재 수용부 (20) 를 갖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통상 암형 본체 (22) 로서, 그 수형 부재 수용부 (20) 는 그 수형 부재 (14) 를 그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그 제 1 위치가 된 상태에서 수납함과 함께, 그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그 축선 방향에서 움직여 그 제 2 위치를 향하여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암형 본체 (22) 와,
그 암형 본체 (22) 의 반경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고, 그 수형 부재 수용부 (20) 에 수납된 수형 부재 (14) 에 걸어 맞춰지는 내측 위치와, 그 내측 위치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서 그 수형 부재 (14) 로부터 벗어나는 외측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시정자 (施錠子) (24) 와,
그 시정자를 그 내측 위치에 유지하는 시정 위치와, 그 시정자가 그 외측 위치로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시정자 조작 부재 (26) 를 가지며,
그 외측 통형상 부재 (18) 는 그 외주면에 그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홈 (34) 을 가지며,
그 시정자 (24) 는 그 내측 위치에 있어서, 그 수형 부재 수용부 (20) 내에 수납되어 그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그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가 되어 있는 그 수형 부재의 그 홈 (34) 에 걸어 맞춰져 그 외측 통형상 부재 (18) 의 그 축선 주위에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함과 함께, 그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그 스프링 부 재 (19) 에 대항하여 그 제 2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를 제공한다.
이 관조인트를 상기 기술한 진공 흡착 이송 장치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암형 부재를 진공원에 연통된 도관에 연결함과 함께, 수형 이음 부재에 흡착 패드를 장착하고, 그 수형 이음 부재를 암형 부재에 대해서 착탈함으로써, 당해 흡착 패드의 교환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다양한 사이즈의 흡착 패드를 장착한 수형 부재를 복수 준비해 두면, 필요하게 되는 사이즈의 흡착 패드를 구비한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대해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수형 부재 및 암형 부재에 대한 도관 및 흡착 패드의 장착을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진공 흡착 이송 장치에 있어서, 그 흡착 패드를 흡착해야 할 IC 칩 등의 물품에 접근시킨 경우, 그 흡착 패드가 그 물품에 대해서 지나쳐 버렸다고 해도, 상기 외측 통형상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를 향하여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물품을 손상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홈 (34) 은, 수형 부재 수용부 (20) 내에 수납된 수형 부재 (14) 의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그 제 1 위치에 있을 때, 시정 부재 (24) 가 축선 방향에서 근접하는 제 1 단부 (34-1) 와,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그 제 2 위치에 있을 때, 시정 부재 (24) 가 축선 방향에서 근접하는 제 2 단부 (34-2) 를 갖는 가늘고 긴 홈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형 부재 수용부 내에 수납되어, 외측 통형상 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수형 부재의 수형 부재 수용부 내에서의 축선 방향 위치가 특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암형 본체 (22) 의 그 관통 구멍이, 암형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대직경의 수형 부재 수용부 (20), 및 수형 부재 수용부의 후단을 획정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형 부재 수용부 단면 (38) 으로부터 당해 암형 본체의 후단까지 관통하는 소직경 구멍부 (39) 를 가지며,
수형 부재 수용부 (20) 내에 수납된 수형 부재의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그 제 1 위치에 있을 때, 내측 통형상 부재 (16) 가 수형 부재 수용부 단면 (38) 에 맞닿도록 할 수 있다.
또,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그 선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내측 통형상 부재 (16) 를 수용하는 내측 부재 수용부 (40), 및 내측 부재 수용부의 후단을 획정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부재 수용부 단면 (42) 으로부터 당해 외측 통형상 부재의 후단까지 관통하는 소직경 구멍부 (44) 를 가지며,
내측 부재 수용부 (40) 의 내주면에 스톱 링 (46) 이 설정됨과 함께, 내측 통형상 부재 (16) 에는 그 외주면에 내측 부재 수용부 (40) 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걸어 맞춰지는 대직경부 (48) 와, 그 대직경부로부터 당해 내측 통형상 부재의 선단까지 연장되는 소직경부 (50) 와,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 사이에 형성된 환상 단차부 (52) 가 형성되고, 그 스프링 부재 (19) 에 의해 외측 통형상 부재 (18) 에 대해서 떨어진 방향에서 탄성 지지되어 있는 내측 통형상 부재 (16) 가, 그 환상 단차부 (52) 가 스톱 링 (46) 에 걸림으로써, 외측 통형상 부재 (18) 에 대해서 걸리고, 그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그 제 1 위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 (19) 는, 구체적으로는 내측 통형상 부재 수용부 단면 (40) 과 내측 통형상 부재 (16) 의 사이에서 그 내측 통형상 부재 (16) 에 동축상으로 설정된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또, 외측 통형상 부재 (18) 의 소직경 구멍부 (44) 의 내주면에 암나사 (56) 를 형성하여 진공 흡착 패드를 그 외측 통형상 부재 (18) 에 장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암형 부재 및 그 암형 부재에 끼워 맞춰져 연결되는 수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조인트에 있어서의 수형 부재로서,
내측 통형상 부재 (16) 와,
그 내측 통형상 부재 (16) 에 동심상으로 되고, 그 내측 통형상 부재의 축선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외측 통형상 부재 (18) 로서, 그 내측 통형상 부재 (16) 에 대해서 그 내측 통형상 부재를 그 외측 통형상 부재 (18) 의 암형 부재 (12) 에 접하는 선단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 상태로 하는 제 1 위치와, 그 내측 통형상 부재 (16) 를 외측 통형상 부재 (18) 에 대해서 후방으로 들어가게 한 상태로 하는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외측 통형상 부재 (18) 와,
그 외측 및 내측 통형상 부재의 사이에 설정되어 그 외측 통형상 부재를 그 제 1 위치가 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 (19) 를 가지며,
그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그 외주면에 그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시정자 걸어맞춤홈 (34)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에 있어서의 수형 부재를 제공한다.
그 수형 부재는, 사용에 있어서는, 암형 본체의 수형 부재 수용부 내에 그 수형 부재의 외측 통형상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가 된 상태에서 수납됨과 함께, 암형 부재의 시정자를 그 외측 통형상 부재의 홈에 걸어 맞춰지도록 한다. 외측 통형상 부재는 내측 통형상 부재에 대해서 상기 제 2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에 관해 상기 기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진공 흡착 이송 장치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그 선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내측 통형상 부재를 수용하는 내측 부재 수용부 (40), 및 그 내측 부재 수용부의 후단을 획정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부재 수용부 단면 (42) 으로부터 당해 외측 통형상 부재의 후단까지 관통하는 소직경 구멍부 (44) 를 가지며,
그 내측 부재 수용부 (40) 의 내주면에 스톱 링 (46) 이 설정됨과 함께, 그 내측 통형상 부재 (16) 에는 그 외주면에 그 내측 부재 수용부 (40) 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걸어 맞춰지는 대직경부 (48) 와, 그 대직경부로부터 당해 내측 통형상 부재의 선단까지 연장되는 소직경부 (50) 와, 그 대직경부 및 그 소직경부 사이에 형성된 환상 단차부 (52) 가 형성되고, 그 스프링 부재 (19) 에 의해 그 외측 통형 상 부재 (18) 에 대해서 떨어진 방향에서 탄성 지지되어 있는 그 내측 통형상 부재 (16) 가, 그 환상 단차부 (52) 가 그 스톱 링 (46) 에 걸림으로써, 그 외측 통형상 부재 (18) 에 대해서 걸리고, 그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그 제 1 위치가 되도록 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그 스프링 부재 (19) 를, 그 내측 부재 수용부 단면과 내측 통형상 부재의 사이에서 내측 통형상 부재에 동축상으로 설정된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또, 외측 통형상 부재 (18) 의 소직경 구멍부 (44) 의 내주면에는, 진공 흡착 패드 장착용 암나사 (56) 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 (10) 의 암형 부재 (12) 및 수형 부재 (14) 를 분리한 상태, 도 2 는 수형 부재 (14) 를 암형 부재 (12) 에 연결한 상태, 도 3 은 암형 부재 (12) 에 연결된 수형 부재 (14) 가 수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관조인트 (10) 는 (도시하지 않은) 진공 흡착 물품 이송 장치에 있어서, 진공 흡착 물품 이송 장치의 진공원에 연통된 도관 (C) 을 암형 부재 (12) 에 연결하고, 진공 흡착 패드 (P) 를 수형 부재 (14) 에 연결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수형 부재 (14) 는 내측 통형상 부재 (16) 와, 그 내측 통형상 부재에 동심상으로 되고, 그 축선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외측 통형상 부재 (18) 를 갖고 있다.
외측 통형상 부재 (18) 는 그 내측 통형상 부재에 대해서, 그 내측 통형상 부재 (16) 를,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통형상 부재 (18) 의 암형 부재 (12) 에 접하는 선단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 상태로 하는 제 1 위치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통형상 부재 (16) 를 후방으로 들어가게 한 상태로 하는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외측 및 내측 통형상 부재의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 (19) 이 동축상으로 설정되어 있고, 외측 통형상 부재 (18) 를 내측 통형상 부재 (16) 에 대해서 도 1 에 나타내는 제 1 위치가 되도록 탄성 지지하고 있다.
암형 부재 (12) 는 그 선단으로부터 후단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수형 부재 (14) 를 수용하는 수형 부재 수용부 (20) 를 갖는 관통 구멍 (21) 을 구비하는 통형상의 암형 본체 (22) 를 갖는다. 수형 부재 수용부 (20) 는 수형 부재 (14) 를,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내측 통형상 부재 (16) 에 대해서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제 1 위치가 된 상태에서 수납함과 함께, 그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축선 방향에서 움직여 내측 통형상 부재 (16) 에 대해서 도 3 에 나타내는 제 2 위치를 향하여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암형 본체 (22) 는 그 암형 본체의 반경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시정자 (24)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시정자는 수형 부재 수용부 (20) 에 수납된 수형 부재 (14) 에 걸어 맞춰지는 내측 위치와, 그 내측 위치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서 그 수형 부재로부터 벗어나는 외측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암형 본체의 내주면에는 시일 링 (23) 이 설정되어 있고, 수형 부재 (14) 가 암형 본체 (22) 의 수형 부재 수용부 (20) 에 수납되고,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압축 코일 스프링 (19) 에 의해 도 2 에 나타내는 상기 제 1 위치가 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외측 통형상 부재 (18) 의 외주면과 밀봉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외측 통형상 부재 (18) 는 도면에서 보아 좌측으로의 힘이 가해짐으로써, 그 시일 링 (23) 에 대해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제 2 위치 (도 3) 를 향하여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암형 본체 (22) 에는 추가로, 그 외주면 상에, 축선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통형상의 시정자 조작 부재 (26)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시정자 조작 부재 (26) 는 시정자 (24) 를 상기 내측 위치에 유지하는 시정 위치와, 그 시정자가 그 외측 위치로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정자 조작 부재 (26) 는 암형 본체 (22) 와의 사이에 형성된 코일 스프링 (28) 에 의해, 도시하는 시정 위치에 탄성 지지되어 있고, 그 코일 스프링 (28) 의 탄성 지지력에 대항하여 (도면에서 보아) 좌측으로 변위되어 상기 개방 위치로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수형 부재 (14) 의 외측 통상 부재 (18) 는 그 외주면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홈 (34) 을 복수 갖고 있다. 시정자 (24) 는 상기 내측 위치에 있어서, 수형 부재 수용부 (20) 내에 수납된 수형 부재 (14) 의 홈 (34) 에 걸 어 맞춰지고, 외측 통형상 부재 (18) 의 축선 주위에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함과 함께,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압축 코일 스프링 (19) 에 대항하여 도 3 에 나타내는 제 2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홈 (34) 은, 구체적으로는, 수형 부재 수용부 (20) 내에 수납된 수형 부재 (14) 의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제 1 위치 (도 2) 에 있을 때, 시정 부재 (24) 가 축선 방향에서 근접하는 제 1 단부 (34-1) 와,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제 2 위치 (도 3) 에 있을 때, 시정 부재 (24) 가 축선 방향에서 근접하는 제 2 단부 (34-2) 를 갖는 가늘고 긴 홈으로 되어 있다.
암형 본체 (22) 의 관통 구멍은, 구체적으로는, 암형 본체 (22) 의 선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대직경의 수형 부재 수용부 (20), 및 그 수형 부재 수용부 (20) 의 후단을 획정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형 부재 수용부 단면 (38) 으로부터 당해 암형 본체 (22) 의 후단까지 관통하는 소직경 구멍부 (39) 를 갖고 있고, 수형 부재 수용부 (20) 내에 수납된 수형 부재 (14) 의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제 1 위치 (도 2) 에 있을 때, 내측 통형상 부재 (16) 가 수형 부재 수용부 단면 (38) 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 외측 통형상 부재 (18) 는, 구체적으로는, 그 선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연장되고, 내측 통형상 부재 (16) 를 수용하는 내측 부재 수용부 (40), 및 그 내측 수용부 (40) 의 후단을 획정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부재 수용부 단면 (42) 으로부터 당해 외측 통형상 부재의 후단까지 관통하는 소직경 구멍부 (44) 를 가지며, 그 내측 부재 수용부 (40) 의 내주면에는 스톱 링 (46) 이 설정되어 있 다. 이것에 대해, 내측 통형상 부재 (16) 에는, 그 외주면에 내측 부재 수용부 (40) 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걸어 맞춰지는 대직경부 (48) 와, 그 대직경부로부터 당해 내측 부재의 선단까지 연장되는 소직경부 (50) 와, 대직경부 (48) 및 그 소직경부 (50) 사이에 형성된 환상 단차부 (52) 가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 (19) 에 의해 외측 통형상 부재 (18) 에 대해서 떨어진 방향에서 탄성 지지되어 있는 내측 통형상 부재 (16) 가, 그 환상 단차부 (52) 가 그 스톱 링 (46) 에 걸림으로써, 그 외측 통형상 부재 (18) 에 대해서 걸려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상기한 제 1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도시하는 예에서는, 진공 흡착 패드 (P) 가 수형 부재 (14) 에 장착되게 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외측 통형상 부재 (18) 의 소직경 구멍부 (44) 내에 암나사 (56) 가 형성되고, 진공 흡착 패드 (P) 의 수나사를 그 암나사에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장착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진공원에 연통된 도관 (C) 은 암형 부재에 형성된 수나사 (58) 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암형 부재에 연결되게 되어 있다.
수형 부재 (14) 에 있어서의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내측 통형상 부재 (16) 에 대해서 이상과 같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물품 진공 흡착 장치가 진공 흡착 패드 (P) 를 흡착해야 할 물품에 접근한 경우, 그 패드 (P) 가 물품에 접하는 위치보다 더욱 진행되었다고 해도, 그 패드 (P) 가 연결되어 있는 외측 통형상 부재 (18) 가 도 2 의 위치로부터 도 3 의 위치로 변위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물품에 대한 충격을 주지 않고 흡착 패드 (P) 를 물품에 대해서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 해진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를 물품 진공 흡착 장치에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기술했지만,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양태에서의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 및 그 관조인트의 수형 부재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며, 진공 흡착 물품 이송 장치에 있어서의 진공 흡착 패드의 교환용으로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즉, 예를 들어 암형 부재를 진공원에 연통된 도관에 연결하고, 진공 흡착 패드를 수형 부재의 외측 통형상 부재에 장착하도록 하면, 그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끼워맞춤·끼워맞춤 해제하는 것만으로, 당해 진공 흡착 패드의 교환을 실시할 수 있다. 수형 부재의 암형 부재에 대한 끼워맞춤·끼워맞춤 해제는 시정자 조작 부재를 시정 위치 또는 개방 위치로 하는 것만으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0)

  1. 암형 부재 및 그 암형 부재에 끼워 맞춰져 연결되는 수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조인트에 있어서,
    그 수형 부재는
    내측 통형상 부재와,
    그 내측 통형상 부재에 동심상으로 되고, 그 내측 통형상 부재의 축선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외측 통형상 부재로서, 그 내측 통형상 부재에 대해서, 내측 통형상 부재를 그 외측 통형상 부재의 암형 부재에 접하는 선단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 상태로 하는 제 1 위치와, 그 내측 통형상 부재를 외측 통형상 부재에 대해서 후방으로 들어가게 한 상태로 하는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외측 통형상 부재와,
    그 외측 및 내측 통형상 부재의 사이에 설정되어 그 외측 통형상 부재를 그 제 1 위치가 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를 가지며,
    그 암형 부재는
    그 선단으로부터 후단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그 수형 부재를 수용하는 수형 부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통상 암형 본체로서, 그 수형 부재 수용부는 그 수형 부재를 그 외측 통형상 부재가 그 제 1 위치가 된 상태에서 수납함과 함께, 그 외측 통형상 부재가 그 축선 방향에서 움직여 그 제 2 위치를 향하여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암형 본체와,
    그 암형 본체의 반경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고, 그 수형 부재 수용부에 수납된 수형 부재에 걸어 맞춰지는 내측 위치와, 그 내측 위치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서 그 수형 부재로부터 벗어나는 외측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시정자와,
    그 시정자를 그 내측 위치에 유지하는 시정 위치와, 그 시정자가 그 외측 위치로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시정자 조작 부재를 가지며,
    그 외측 통형상 부재는 그 외주면에 그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홈을 가지며,
    그 시정자는 그 내측 위치에 있어서, 그 수형 부재 수용부 내에 수납된 그 수형 부재의 그 홈에 걸어 맞춰지고, 그 외측 통형상 부재의 그 축선 주위에서의 회전 운동을 저지함과 함께, 그 외측 통형상 부재가 그 스프링 부재에 대항하여 그 제 2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그 홈이, 그 수형 부재 수용부 내에 수납된 그 수형 부재의 그 외측 통형상 부재가 그 제 1 위치에 있을 때, 그 시정 부재가 그 축선 방향에서 근접하는 제 1 단부와, 그 외측 통형상 부재가 그 제 2 위치에 있을 때, 그 시정 부재가 그 축선 방향에서 근접하는 제 2 단부를 갖는 가늘고 긴 홈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관조인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그 암형 본체의 그 관통 구멍이, 그 암형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대직경의 수형 부재 수용부, 및 그 수형 부재 수용부의 후단을 획정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형 부재 수용부 단면으로부터 당해 암형 본체의 후단까지 관통하는 소직경 구멍부를 가지며,
    그 수형 부재 수용부 내에 수납된 그 수형 부재의 그 외측 통형상 부재가 그 제 1 위치에 있을 때, 그 내측 통형상 부재가 그 수형 부재 수용부 단면에 맞닿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그 외측 통형상 부재가, 그 선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내측 통형상 부재를 수용하는 내측 부재 수용부, 및 그 내측 부재 수용부의 후단을 획정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부재 수용부 단면으로부터 당해 외측 통형상 부재의 후단까지 관통하는 소직경 구멍부를 가지며,
    그 내측 부재 수용부의 내주면에 스톱 링이 설정됨과 함께, 그 내측 통형상 부재에는 그 외주면에 그 내측 부재 수용부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걸어 맞춰지는 대직경부와, 그 대직경부로부터 당해 내측 통형상 부재의 선단까지 연장되는 소직경부와, 그 대직경부 및 그 소직경부 사이에 형성된 환상 단차부가 형성되고, 그 스 프링 부재에 의해 그 외측 통형상 부재에 대해서 떨어진 방향에서 탄성 지지되어 있는 그 내측 통형상 부재가, 그 환상 단차부가 그 스톱 링에 걸림으로써, 그 외측 통형상 부재에 대해서 걸리고, 그 외측 통형상 부재가 그 제 1 위치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그 스프링 부재가, 그 내측 부재 수용부 단면과 내측 통형상 부재의 사이에서 내측 통형상 부재에 동축상으로 설정된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
  6. 제 4 항에 있어서,
    그 외측 통형상 부재의 그 소직경 구멍부의 내주면에 진공 흡착 패드 장착용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
  7. 암형 부재 및 그 암형 부재에 끼워 맞춰져 연결되는 수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조인트에 있어서의 수형 부재로서,
    내측 통형상 부재와,
    그 내측 통형상 부재에 동심상으로 되고, 그 내측 통형상 부재의 축선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외측 통형상 부재로서, 그 내측 통형상 부재에 대해서 그 내측 통형상 부재를 그 외측 통형상 부재의 암형 부재에 접하는 선단으로부터 부분 적으로 돌출된 상태로 하는 제 1 위치와, 그 내측 통형상 부재를 외측 통형상 부재에 대해서 후방으로 들어가게 한 상태로 하는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된 외측 통형상 부재와,
    그 외측 및 내측 통형상 부재의 사이에 설정되어 그 외측 통형상 부재를 그 제 1 위치가 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를 가지며,
    그 외측 통형상 부재는, 그 외주면에 그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시정자 걸어맞춤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에 있어서의 수형 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그 외측 통형상 부재가, 그 선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내측 통형상 부재를 수용하는 내측 부재 수용부, 및 그 내측 부재 수용부의 후단을 획정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부재 수용부 단면으로부터 당해 외측 통형상 부재의 후단까지 관통하는 소직경 구멍부를 가지며,
    그 내측 부재 수용부의 내주면에 스톱 링이 설정됨과 함께, 그 내측 통형상 부재에는 그 외주면에 그 내측 부재 수용부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걸어 맞춰지는 대직경부와, 그 대직경부로부터 당해 내측 통형상 부재의 선단까지 연장되는 소직경부와, 그 대직경부 및 그 소직경부 사이에 형성된 환상 단차부가 형성되고, 그 스프링 부재에 의해 그 외측 통형상 부재에 대해서 떨어진 방향에서 탄성 지지되어 있는 그 내측 통형상 부재가, 그 환상 단차부가 그 스톱 링에 걸림으로써, 그 외측 통형상 부재에 대해서 걸리고, 그 외측 통형상 부재가 그 제 1 위치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에 있어서의 수형 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그 스프링 부재가, 그 내측 부재 수용부 단면과 내측 통형상 부재의 사이에서 내측 통형상 부재에 동축상으로 설정된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에 있어서의 수형 부재.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그 외측 통형상 부재의 그 소직경 구멍부의 내주면에 진공 흡착 패드 장착용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에 있어서의 수형 부재.
KR1020060118792A 2005-11-30 2006-11-29 관조인트 및 관조인트의 수형 부재 KR100822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47077A JP4551317B2 (ja) 2005-11-30 2005-11-30 管継手及び管継手の雄型部材
JPJP-P-2005-00347077 2005-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011A true KR20070057011A (ko) 2007-06-04
KR100822686B1 KR100822686B1 (ko) 2008-04-17

Family

ID=3823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792A KR100822686B1 (ko) 2005-11-30 2006-11-29 관조인트 및 관조인트의 수형 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551317B2 (ko)
KR (1) KR1008226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798A (ko) * 2016-03-11 2018-10-04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벨트식 연삭 공구
KR20210138915A (ko) * 2020-05-13 2021-11-22 한원동 진공흡착부의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75B1 (ko) * 2009-09-01 2009-12-21 한국뉴매틱(주) 진공컵 어셈블리
JP6300857B2 (ja) * 2016-04-07 2018-03-28 日東工器株式会社 真空装置及び真空装置用器具
CN106737749B (zh) * 2017-01-12 2019-02-15 山东大洋志合机床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收拾餐桌的自动机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9721Y2 (ko) * 1978-06-20 1982-06-29
US4792162A (en) * 1986-12-23 1988-12-20 Swagelok Quick Connect Co. Protective device for quick connect coupling
JPH01206199A (ja) * 1988-02-12 1989-08-18 Nitta Mua Co:Kk 管継手
JPH08121434A (ja) * 1994-10-21 1996-05-14 Toshiba Corp 多段伸縮機構および多段伸縮機構を備えた作業装置
JPH1029182A (ja) * 1996-07-12 1998-02-03 Ckd Corp 緩衝器及び吸着装置
JPH1044078A (ja) * 1996-07-30 1998-02-17 Myotoku Kk 真空吸着パッド
JPH11344529A (ja) 1998-05-29 1999-12-14 Advantest Corp 部品吸着装置、部品ハンドリング装置および部品試験装置
JP2005024085A (ja) * 2003-07-04 2005-01-27 Nitto Kohki Co Ltd 管継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798A (ko) * 2016-03-11 2018-10-04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벨트식 연삭 공구
KR20210138915A (ko) * 2020-05-13 2021-11-22 한원동 진공흡착부의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54916A (ja) 2007-06-21
KR100822686B1 (ko) 2008-04-17
JP4551317B2 (ja)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3091B2 (en) Quick coupler
KR100822686B1 (ko) 관조인트 및 관조인트의 수형 부재
JP4297511B1 (ja) クランプ装置
JP2009214204A (ja) ロボットハンド
KR101597824B1 (ko) 클램프헤드
US6827329B2 (en) Pipe coupling
JP2000240875A (ja) 管継手
JP2008019888A (ja) 流体移送用カップリング装置
JP5801608B2 (ja) クランプ装置
US20050025600A1 (en) Clamping device
US6234450B1 (en) Connectors and valves
WO2005102616A1 (ja) ロッドの保持装置
EP3942209A1 (en) Quick connect fluid connector, swivel, and combination thereof
JP5901938B2 (ja) ロボットハンドおよびロボットハンドシステム
JP2004011685A (ja) 流体圧シリンダおよびクランプ装置
MX2009003534A (es) Elemento de tapon y dispositivo de montaje y desmontaje para el mismo.
JP2018075695A (ja) グリッパー
JP4856871B2 (ja) 検圧プラグ用工具セット
JP4095978B2 (ja) 吸着保持装置
JP4392968B2 (ja) 洩れ検査用シール装置
US20220371137A1 (en) Clamping apparatus
JPH0319017B2 (ko)
JP3158738U (ja) 空圧機器ホルダー
JPS5912472Y2 (ja) 管継手
JPH03202291A (ja) ロボットハ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