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6094A - 음향기기용 매트 - Google Patents

음향기기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6094A
KR20070056094A KR1020077005979A KR20077005979A KR20070056094A KR 20070056094 A KR20070056094 A KR 20070056094A KR 1020077005979 A KR1020077005979 A KR 1020077005979A KR 20077005979 A KR20077005979 A KR 20077005979A KR 20070056094 A KR20070056094 A KR 20070056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acoustic
granular
mesh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4781B1 (ko
Inventor
카즈오 우에지마
Original Assignee
카즈오 우에지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6865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64724B1/ja
Application filed by 카즈오 우에지마 filed Critical 카즈오 우에지마
Publication of KR20070056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3737Planar, e.g. in sheet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with solid or semi-solid material, e.g. pasty masses, as damping mediu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0Transducer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H04R9/00 - H04R2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저가인 실리카겔의 여러개의 입상체(2a)를 단층 모양으로 배치하여 음향기기용 매트(1a)를 형성하고, 이 매트(1a)를 음향기기 밑에 깔았을 때, 각 입상체(2a)의 상단부가 음향기기의 저면에 점접촉 모양으로 접촉하고, 각 입상체(2a)의 하단부가 그 밑의 바닥면에 점접촉 모양으로 접촉함으로써, 매트(1a)와 음향기기의 접촉면적을 매우 작게하여 진동의 반사를 적게 하는 동시에, 매트(1a)에 직접 전달한 상단부측의 진동 및 하단부측에서 반사하여 간접적으로 이 매트(1a)에 전달한 진동을 매우 신속하게 대기중으로 방산한다.
실리카겔, 매트, 입상체, 음향기기

Description

음향기기용 매트{MAT FOR ACOUSTIC APPARATUS}
본 발명은, 스피커, 앰프 등의 음향기기 밑에 까는 것으로 음향특성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음향기기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위 오디오 시스템의 분야에 있어서는, CD플레이어, MD플레이어 등의 디지탈 음향기기의 출현에 의해, CD, MD등에 녹음된 하이 스피드로 다이나믹 레인지가 넓은 음악 등을 재생하여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경우, 그것들의 음악 등을, 가능한 한, 섬세하게, 풍부한 음악표현으로 재현하고자 하면, 예를 들면 오디오 시스템의 앰프, 스피커 등의 음향기기의 케이싱이나 회로부품 등의 진동의 영향이 문제가 된다.
이 문제는, 본격적인 오디오 시스템을 사용한 오디오 감상의 경우 뿐만아니라, 간단한 미니 컴포넌트나 라디오 카세트에 의한 오디오 감상 등의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CD, MD등의 녹음 현장에서의 녹음이나 전자악기의 연주 출력시에도, 음향기기의 진동의 영향이 문제가 된다.
그리고, 음악의 재생, 녹음 등에 있어서의 음향기기의 진동의 영향을 조금이라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는, 고무나 납의 방진용 인슐레이터를 사용하여 진동을 흡수(소음)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138988호(단락번호 [0008], [0019], 도 1, 도 3)
상기의 고무나 납의 방진용 인슐레이터를 사용한 진동의 흡수에서는, 흡음 특성이, 특히, 하이 스피드로 다이나믹 레인지가 넓은 음악 등에 충분히 따르지 않아, 재생이나 녹음 등에 있어서, 앰프, 스피커 등의 음향기기에 발생하는 진동의 충분한 흡수 저감 효과는 얻을 수 없다.
한편, 음향기기의 분야에 있어서는, 알루미늄(이하, 간단히 알루미늄이라고 한다)은, 음파나 진동의 전달 속도(음속)가 빠르고, 음파나 진동을 신속하게 대기중으로 방산할 수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의 고무나 납의 방진용 인슐레이터대신에 알루미늄의 인슐레이터 등을 사용하여, 음향기기의 진동을 흡수(흡음)하므로, 대기중으로 신속하게 방산하고, 하이 스피드로 다이나믹 레인지가 넓은 음악 등에 대해서도 진동이 충분한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알루미늄의 인슐레이터 등은, 주조나 깎는 등의 금속 가공으로 형성된 두꺼운 판 모양체 등으로, 저가로 또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없는 것은 물론, 무겁고, 사용시에, 부피가 늘어나 불편하며, 또한, 음향기기 밑에 깔았을 때, 그 평탄한 윗면 전체가 음향기기의 저면 등에 접촉하고, 밑면 전체도 음향기기의 받침대(17)이나 바닥등에 접촉하여, 음향기기등과의 접촉 면적이 크고, 다음에 설명한 바와 같이, 실제로는, 음향기기의 진동의 방산이 신속하게 행해지지 않는다.
즉, 도 44의 진동 방산의 설명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음향기기를 진동원 A, 그 밑의 알루미늄의 인슐레이터를 진동 처리재 B로 하면, 화살표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원 A에서 발생한 진동은, 진동 처리재 B에 전해져서 그 둘레면에서 대기중(공간) C로 방산되지만, 처리재 B의 진동 입구면(진동원 A에 접하는 상측의 면)Ba, 그 반대측의 바닥 D등에 접한 진동 출구면(하측의 면)Bb에서의 진동의 반사가 많으며, 또한, 진동원 A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알루미늄의 처리재 B는 몇센치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그 결과, 진동원 A에서 진동 처리재 B의 진동 입구면으로 전해진 진동, 그 반대측의 진동 출구면에서 진동 처리재 B에 반사되어 되돌아간 진동이 진동 처리재 B로부터 대기중으로 방산 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여, 실제로는, 진동원 A에서 발생한 진동의 방산이 신속하게 행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알루미늄의 인슐레이터등을 사용해도, 진동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다.
따라서, 저가로 형성이 용이하고, 경량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 구성에 의해, 재생시나 녹음시 등에 발생하는 앰프나 스피커 등의 음향기기의 진동을 신속하고 충분히 저감하며, 특히, 하이 스피드로 다이나믹 레인지가 넓은 음악 등에 대한 음향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요구에 응하여, 저렴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경량으로 얇고, 문제가 되지 않는 구성에 의해, 재생시나 녹음시 등의 앰프나 스피커 등의 음향기기의 진동을, 종래의 고무나 납의 방진용 인슐레이터나, 알루미늄의 인슐레이터등을 사용했을 경우보다 지극히 신속하게, 또한 충분히 방산하여 저감하는 음향특성 개선효과가 높은 신규 음향기기용 매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용 매트의 수단을 일괄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리카겔의 여러개의 입상체를 단층 모양으로 배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
또한 본 발명은, 전기의 각 입상체가, 인접하는 입상체끼리의 둘레부를 접착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2).
또한 본 발명은, 전기의 각 입상체가, 유연한 메쉬 시트형의 메쉬 지지체와, 상기 메쉬 지지체에 붙여지는 유연한 박막형상의 점착 지지체에 의하여, 상기 메쉬 지지체의 각 메쉬에 1입자씩 위치하여 상기 점착 지지체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끼워져, 단층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청구항3), 그 메쉬 지지체가 메쉬 테이프로 이루어지고, 점착 지지체가 점착 붕대로 이루어지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4).
또한, 본 발명은, 유연한 파일 직물의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각 입상체가, 상기 파일 직물의 메쉬 형상 지조직의 각 메쉬에 1입자씩 위치하여 파일에 의해 상기 케이스체 내에 걸려, 단층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청구항5), 그 케이스체가 파일 타올로 이루어지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6).
다음에, 본 발명은, 유연성이 있는 박막형상의 지지 기재의 양면 각각, 실리카겔의 여러개의 입상체를 단층 모양으로 접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7), 그 때, 지지 기재가 양면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청구항 8), 그 양면 테이프가 메쉬 형상인 것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9).
다음에, 본 발명은, 전기의 각 입상체의 실리카겔이 탄소의 피복체로 코팅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청구항10).
또한 본 발명은, 전기의 각 입상체가 거의 입경1mm∼10mm의 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청구항11).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각 입상체의 실리카겔이 B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청구항12).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은, 「점착」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우선,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그 음향기기용 매트가, 금속 가공 등의 정밀하고 고가인 가공 등을 실시하지 않고, 저렴한 실리카겔의 입상체를 단층 모양으로 배치함으로써, 저가로 또한 용이하게 형성되어 가벼우며, 또한, 실리카겔이 알루미늄보다 단단하기 때문에, 거의 실리카겔의 입경으로 정해지는 매우 얇은 두께라도 스피커 등의 무거운 음향기기 밑에 깔 수 있고, 부피가 늘어나지 않아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입상체의 단층 구조의 음향기기용 매트를 앰프, 스피커 등의 음향기기 밑에 깔면, 각 입상체의 상단부가 음향기기의 저면등에 점접촉 모양으로 접촉하고, 각 입상체의 하단부도 그 밑의 바닥면등에 점접촉 모양으로 접촉하여, 이 매트와 음향기기의 접촉 면적이 지극히 작아, 음향기기의 케이싱등에서 발생한 진동이 이 매트에 전해질 때, 진동의 입구측(각 입상체의 상단부)에서의 진동의 반사 및 그 반대측인 진동의 출구측(각 입상체의 하단부)에서의 진동의 반사가 적고, 진동의 반사에 의한 음질 저하등이, 알루미늄의 인슐레이터등을 사용했을 경우보다 현저하게 감소한다.
또한, 이 매트는, 얇고, 또한 복수의 입상체의 층상태의 집합체로 표면적이 넓은 데다가, 실리카겔의 주성분인 이산화규소의 음파 등의 진동의 전달 속도가, 알루미늄과 같은 정도로 빠르기 때문에, 음향기기로부터 이 매트에 직접 전달된 상단부측의 진동 및 하단부측에서 반사하여 간접적으로 이 매트에 전해진 진동은, 각 입상체의 표면으로부터 지극히 신속하게 대기중으로 방산한다.
따라서, 금속 가공과 같은 정밀하고 고가인 가공 등을 행하지 않고, 실리카겔의 입상체를 사용하여 저가로 또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데다가, 경량으로 두께가 얇고, 사용시에 문제가 되지 않는 구성에 의해, 앰프나 스피커 등의 음향기기의 진동을, 알루미늄의 인슐레이터등을 사용했을 경우보다 지극히 신속하게, 또한 충분히 방산하여 저감 할 수 있고, 하이 스피드로 다이나믹 레인지가 넓은 음악 등을 지극히 세심하고 풍부한 음악 표현으로 재현할 수 있는 음향특성 개선효과가 높은 신규 음향기기용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실리카겔의 각 입상체의 둘레부를 접착하는 것으로 각 입상체의 단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유연한 메쉬 시트형의 메쉬 지지체와 유연한 박막형상의 점착 지지체가 실리카겔의 각 입상체를 끼우도록 붙여지고, 이 때, 메쉬 지지체의 각 메쉬에 의해, 각 입상체가 1입자씩 접촉하지 않도록 규칙적으로 배치되며, 또한, 각 입상체의 크기가 어느 정도 획일화되어 재생음의 하모니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고, 각 입상체의 상호접촉에 의한 특성열화를 최대한 방지하는 동시에, 각 입상체의 크기의 불균일에 의한 재생음의 하모니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고, 각 입상체의 단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양쪽 지지체의 붙이는 부재는 얇고,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형성된 매트는 얇고 유연성에 풍부하다.
또한 각 입상체 위, 하단부가 메쉬 지지체의 메쉬 및 점착 지지체로부터 노출하고, 양쪽 지지체의 진동 방산으로의 영향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착 지지체의 점착성을 이용하여, 양쪽 지지체를 서로 붙여 형성하므로, 예를 들면 접착제로 각 입상체끼리를 접착하여 형성할 경우의 고화 시간 등의 제약을 받지 않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형성(제조)할 수 있어, 실용적이다.
따라서, 실리카겔의 단층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하여 음향특성개선효과가 지극히 높은 신규 음향기기용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메쉬 지지체를 메쉬 테이프에 의해 형성하고, 점착 지지체를 점착 붕대에 의해 형성하므로, 시판품을 사용한 매우 실용적인 구성으로 청구항 3의 음향기기용 매트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실리카겔의 각 입상체가, 유연한 파일 직물의 케이스체의 메쉬 형상 지조직의 각 메쉬에 1입자씩 위치하여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고, 또한, 파일에 의해 넷 형의 봉투로 싸인 상태로 케이스체 내에 걸려, 단층 모양으로 배치되므로, 접착제나 점착제로 접착하는 경우보다, 각 입상체는 자유도가 높고, 가동성에 풍부하며, 진동 방산 표면적도 넓어, 음파진동을 신속하게 공중으로 방출할 수 있고, 특히 고주파수 성분의 재현성이 향상된다.
또한 각 입상체의 접착 등이 불필요하여, 각 입상체의 접착 성능 등에 관계없이, 각 입상체의 단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그리고,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체를 파일 타올에 의해 형성하므로, 시판품을 사용한 매우 실용적인 구성으로 청구항 5의 음향기기용 매트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그 음향기기용 매트가 지지 기재를 끼운 실리카겔의 입상체의 2층 구조로 형성되고, 이 경우, 청구항 1∼ 6의 단층 구조의 경우보다는 한층 두꺼워지지만, 지지 기재의 상하의 양면에 각 입상체를 단층 모양으로 접착하면 되므로, 매우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알루미늄의 인슐레이터 등보다 충분히 얇아, 단층 구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음향기기용 매트를 앰프, 스피커 등의 음향기기 밑에 깔면, 지지 기재의 윗면측의 각 입상체의 상단부가 음향기기의 저면에 점접촉 모양으로 접촉하고, 지지 기재의 밑면측의 각 입상체의 하단부가 바닥면 등에 점접촉 모양으로 접촉하여, 매트와 음향기기 등과의 접촉 면적이 매우 작아지고, 이 매트의 입구측 (지지 기재의 윗면측의 각 입상체의 상단부)에서의 진동의 반사 및 출구측(지지 기재의 밑면측의 각 입상체의 하단부)에서의 진동의 반사가 현저하게 적어진다.
또한 지지 기재는, 얇고, 진동에 대한 영향이 지극히 적으며, 또한,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매트에 유연성을 갖고 상기의 입구측, 출구측의 반사를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저렴한 실리카겔의 입상체를 사용하여, 저가로 또한 매우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가볍고 얇아 문제가 되지 않는 구성에 의해, 상기의 단층 구조의 경우와 같이 앰프나 스피커 등의 음향기기의 진동을, 매우 신속하게, 또한 충분히 방산하여 저감할 수 있으며, 음향특성 개선효과가 높은 신규 음향기기용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양면 테이프를 지지 기재에 사용함으로써, 이 2층 구조의 음향기기용 매트를, 더욱 저가로 또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그 양면 테이프가 메쉬 형상이므로, 이 테이프의 영향을 최대한 적게 하여 음향특성 개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각 입상체의 실리카겔에 코팅된 탄소의 진동 전달 속도가 실리카겔이나 알루미늄보다 지극히 빠르기 때문에, 음향기기의 진동을 각 구상체의 표면으로부터 더욱 신속하게 대기중으로 방산 할 수 있고, 특히, 진동의 전달 속도가 빠른 알루미늄 등의 금속 케이싱의 음향기기가 발생하는 진동의 저감에 효과가 있다.
다음에, 실용상, 각 입상체는, 거의 입경 1mm∼10mm의 구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청구항11), 시청 실험 등으로부터, 각 입상체의 실리카겔은, B형인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12).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매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매트의 일부를 확대한 절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매트의 사용예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제거한 하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진동 방산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매트의 이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매트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매트의 이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매트의 일부절단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매트의 입상체 걸림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매트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매트의 사용예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일부를 제거한 하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매트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매트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매트의 일부를 확대한 절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매트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특성측정 시스템의 일례의 구성 설명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피커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측정 결과의 특성도이다.
도 28은 측정 결과의 특성도이다.
도 29는 측정 결과의 특성도이다.
도 30은 측정 결과의 특성도이다.
도 31은 측정 결과의 특성도이다.
도 32는 측정 결과의 특성도이다.
도 33은 측정 결과의 특성도이다.
도 34는 측정 결과의 특성도이다.
도 35는 측정 결과의 특성도이다.
도 36은 측정 결과의 특성도이다.
도 37은 측정 결과의 특성도이다.
도 38은 측정 결과의 특성도이다.
도 39는 측정 결과의 특성도이다.
도 40은 측정 결과의 특성도이다.
도 41은 측정 결과의 특성도이다.
도 42는 측정 결과의 특성도이다.
도 43은 측정 결과의 평가의 설명도이다.
도 44는 종래예의 진동 방산의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a, 1aa, 1ab, 1b, 1ba, 1c, 1ca, 1bα, 1bβ, 1cα, 1cβ :음향기기용 매트
2a, 2b, 2c : 입상체 3 : 접착 매체
4, 4x, 4y : 스피커 7, 21 : 양면 테이프
10 : MD플레이어 11 : 앰프
18 : 메쉬 지지체 18a , 20c : 메쉬
19 : 점착 지지체 20 : 케이스체
p : 파일 g : 메쉬 형상 지조직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1∼도 4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의 실시예>
우선, 실리카겔의 입상체의 단층 구조로 형성한 제1의 실시예(청구항 1, 2대응)에 대해서, 도 1∼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평면도, 도 2는 정면도, 도 3은 일부의 절단면도, 도 4는 사용예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스피커의 저면측에서 본 일부를 제거한 하면도, 도 6은 진동 방산의 설명도이며, 도 1,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1a)는, 실리카겔의 여러개의 입상체(2a)가 단층 모양으로 배치되어 실리카겔 입자의 단층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 입상체(2a)는, 여러가지 입경의 입상의 실리카겔이어도 되지만, 실용상, 분말의 실리카겔의 성형가공 등에 의해 용이하게 얻어지는, 거의 입경 1mm∼10mm의 구형상의 것(구상 실리카겔)이 바람직하다(청구항 11대응).
또한 실리카겔에는, 크게 나누어, 흡습특성 등이 다른 A형과 B형이 있으며, 입상체(2a)는 A형, B형 중 어느 실리카겔이어도 되지만, 시청 실험 등에서, 입상체(2a)에 B형의 실리카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제습제, 탈취제 등으로서 범용되고 있는 B형의 저렴한 입상(구상)실리카겔이 입상체(2a)로서 적합하다(청구항 12대응).
이것은, A형의 것은, 흡수한 수분이 떨어지지 않는 좁은 공간 구조인 데 반해, B형의 것은, 수분을 흡수해도 가열함으로써 증발하여 다시 공간이 재생되어, 넓은 공간 구조로서 함유 공간량이 많으며, 그 만큼, B형 쪽이 방산하는 진동의 전 송 거리가 짧아져, 진동이 신속하게 대기중으로 방산되는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입상체(2a)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착제 혹은 점착제의 접착 매체(3)에 의해, 인접하는 입상체(2a)끼리의 둘레부를 접착하여 단층 구조로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음향기기용 매트(1a)는, 예를 들면 제습제, 탈취제등으로서 범용 되고 있는 저렴한 입상(구상)실리카겔의 입상체(2a)를 사용하고, 인접하는 입상체(2a)끼리를 접착 매체(3)를 통해 접착함으로써, 금속 가공 등의 정밀하고 고가인 가공 등을 실시하지 않고, 저가로 또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고무나 납의 방진용 인슐레이터나 알루미늄의 인슐레이터등에 비해서 매우 가볍고, 그 두께도, 입상체(2a)의 입경의 두께로 결정되는 상기의 각 인슐레이터등에 비해 매우 얇게 된다.
또한, 실리카겔은 인체에 무해해서, 잘못해서 삼키는 경우가 있어도 안전하기 때문에, 이 음향기기용 매트(1a)는, 안전성이 높고, 환경적인 면에 있어서도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음향기기용 매트(1a)는, 임의의 크기라도 좋으며, 개개의 음향기기의 저면이나 그 다리 저면의 크기에 따른 치수로 형성해도 되지만, 범용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5cm∼10cm의 크기의 정방형상으로 형성되어, 필요매수를 배치하여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음향기기가 소위 오디오 시스템의 스피커인 경우, 도 4, 도 5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피커(4)의 예를 들면 목제상자 모양의 케이싱(4a) 저면의 네 귀퉁이 각각의 아래에, 음향기기용 매트(1a)가 깔린다. 또한, 도 4의 도 4b는 스피커(4)의 본체 유닛(스피커 유닛), 5는 바닥(6)에 올려놓여진 스피커 스탠드 등의 스피커 지지 기재이며, 이 위에 음향기기용 매트(1a)가 깔리게 되며, 그 위에 스피커(4)가 위치한다.
이 때, 실리카겔은 알루미늄보다 단단하고, 음향기기용 매트(1a)를 스피커(4)와 같은 중량의 음향기기 밑에 깔아도,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음향기기용 매트(1a)대신에 알루미늄판을 스피커(4) 밑에 깐다고 하면, 그 중량에 견딜 수 있도록, 알루미늄판은, 상당한 두께가 필요하여, 음향기기용 매트(1a)와 같이 얇게 형성할 수는 없다.
그리고, 음향기기용 매트(1a)를 스피커(4) 밑에 깔았을 경우, 단층 모양으로 배치된 실리카겔의 각 구상체(2a)는, 스피커 케이싱(4a)의 저면의 네 귀퉁이에 있어서, 상단부가 스피커 케이싱(4a)의 저면에 점접촉 모양으로 접촉하고, 하단부가 그 밑의 받침대(5)의 윗면에 점접촉 모양으로 접촉하며, 예를 들면 CD, MD의 음악등을 스피커(4)로 재생 출력함으로써 발생한 스피커 케이싱(4a)의 진동은, 스피커 케이싱(4a)의 네 귀퉁이에 있어서, 점접촉 상태의 각 구상체(2a)의 상단부로부터 음향 기기용 매트(1a)에 전달되고, 받침대(5)로부터의 반사의 진동(간접진동)은 점접촉상태의 각 구상체(2a)의 하단부로부터 음향기기용 매트(1a)에 전달된다.
그런데, 초음파, 음파 등의 진동이 음향기기용 매트(1a)나 알루미늄판 등의 음파를 빠르게 방산시키는 진동 처리재(도 20의 진동 처리재 B상 등)에 닿으면, 그 진동 입구면, 내부, 입구면의 반대측의 진동 출구면에 있어서, 진동의 반사 혹은 감쇠가 일어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 처리재에 의한 음향특성의 개선 효과는, 주로, 다음의 (1)∼ (4)의 음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적은 만큼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1)진동 처리재의 진동 입구면에서의 진동의 반사량(이 양이 많은 만큼, 음질이 저하한다.)
(2)진동 처리재의 진동 전달 거리, 바꾸어 말하면, 진동 처리재의 두께(이 두께가 두꺼운 만큼, 진동의 방산에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음질이 저하한다.)
(3)진동 처리재를 구성하는 재료의 원자량(원자량이 큰 재료는, 진동 처리재를 진동이 통과하여 방산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다.)
(4)진동 처리재의 진동 출구면에서의 진동의 반사량(이 양이 많은 만큼, 진동의 방산에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음질이 저하한다.)
그리고, 진동 처리재인 음향기기용 매트(1a)는, 스피커(4), 바닥(6)과의 접촉 면적이 작고, 진동의 입구면(각 입상체(2a)의 상단부)에서의 진동의 반사 및 그 반대측인 진동의 출구면(각 입상체(2a)의 하단부)에서의 진동의 반사가 지극히 적다.
다음에, 음향기기용 매트(1a)는, 얇고, 또한 복수의 입상체(2a)의 층상태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알루미늄의 판 모양체보다 표면적이 크고, 진동이 각 입상체(2a)의 표면에서 신속히 방산하며, 그 위에 매트(1a)를 구성하는 실리카 겔의 주성분인 이산화규소(SiO2)는, 규소(Si)가 원자 번호 13으로 알루미늄(Al)보다 약간 무겁지만, 산소(0)가 원자 번호 8로 알루미늄(Al)보다 가볍기 때문에, 진동이나 음파의 전달에 관하여, 음속(수정으로 5720m/s)이, 알루미늄(Al)의 음속(6260m/s)보다 약간 느리지만, 목재등의 음속(목재 모미노키의 섬유방향에서 4700m/s)보다도 상당히 빠르다.
그 때문에 음향기기용 매트(1a)는, 전기의 (1)∼ (4)의 요인의 어디에 대해서도, 알루미늄보다 뛰어나고, 알루미늄과 같은 정도로 빠른 이산화규소의 전달 속도로 스피커(4)등의 음향기기의 진동을 각 입상체(2a)의 표면에서 대기중으로 신속하게 방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음향기기용 매트(1a)는, 금속 가공과 같은 정밀하고 고가인 가공 등을 행하지 않고, 저렴한 실리카겔의 입상체(2a)를 사용하여 저가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데다가, 경량으로 두께가 얇고, 사용하는 데 있어서 문제가 되지 않는 구성에 의해, 스피커(4)등의 음향기기의 진동을, 알루미늄의 인슐레이터등을 사용했을 경우보다 지극히 신속하게, 또한 충분히 방산해서 저감 할 수 있으며, 하이 스피드로 다이나믹 레인지가 넓은 음악 등을 지극히 세심하고 풍부한 음악표현으로 재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음향기기용 매트(1a)는, 스피커(4)뿐만아니라, 앰프, CD플레이어, MD플레이어 등의 여러가지의 음향기기 밑에 깔아서 효과가 있으며, 그 결과, 본격적인 오디오 시스템을 사용한 오디오 감상의 음향특성이 개선되는 것은 물론, 간단한 미니 컴포넌트나 라디오 카세트 등에 의한 오디오 감상의 음향특성, 녹음 현장에서의 녹음 특성이나 전자악기의 연주 출력 특성 등을 개선할 수도 있다.
그 때, 시청의 결과를 기초로, 1장 또는 복수 매의 음향기기용 매트(1a)를, 음향기기의 저면의 전체 또는 일부 밑에 깔아 사용하면 되고, 음향기기에 소위 다리가 있을 때는, 전부 또는 일부의 다리의 저면에 매트(1a)를 깔면 된다.
<제2의 실시예>
다음에, 상기의 단층 구조의 다른 예인 제2의 실시예(청구항3, 4대응)에 대해서, 도 7∼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음향기기용 매트(1aa)의 평면도, 도 8은 그 이면도, 도 9는 그 정면도이며, 그것들의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향기기용 매트(1aa)는, 유연한 메쉬 시트형의 메쉬 지지체(18)와, 이 메쉬 지지체(18)에 붙여지는, 한층 유연한 박막형상의 점착 지지체(19)를, 각 입상체(2a)를 끼워서 서로 붙여서 형성된다.
그리고, 메쉬 지지체(18)는, 이 실시예의 경우, 예를 들면 건축재의 구멍 메움·균열 등의 보수용 메쉬 테이프로서도 시판되어 있는 유리섬유의 메쉬 테이프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형성하여, 각 입상체(2a)의 입경이 2mm전후이면, 각 메쉬(18a)는 2mm X 2mm정도의 크기로, 메쉬(18a)사이의 세로, 가로의 격자폭은 0.5m m전후이며, 이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또한, 도 7∼도 9의 음향기기용 매트(1aa)의 메쉬 지지체(18)는 6×6(세로×가로)개의 메쉬(18a)를 가지지만, 음향기기용 매트(1aa)를 범용성이 높은 5cm X 5cm정도의 크기로 할 경우, 각 입상체(2a)의 입경이 2mm전후이면, 메쉬 지지체(18) 는 15×17개 정도의 메쉬(18a)를 가진다.
다음에, 점착 지지체(19)는, 메쉬 지지체(18)보다 약간(1회전) 대면적의 박막형상(박엽지 모양)이며, 이 실시예의 경우, 박막형상의 부직포 또는 한랭사의 한 면에 점착제를 도포한 형상의 시판의 점착 붕대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형성되며, 신축성이 있고, 메쉬 지지체(18)보다 지극히 얇고, 또한, 유연하며, 각 메쉬(18a)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 각각에 송곳의 찌른 구멍과 같은 작은 구멍을 뚫은 상태로 메쉬 지지체(18)에 붙여지게 된다.
다음에, 각 입상체(2a)는, 각메쉬(18a)의 크기에 맞추어 입경을 비교적 가지런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메쉬 지지체(18)의 각 메쉬(18a)의 크기가 2mm X 2mm이면 2mm전후의 입경이며, 예를 들면 메쉬 지지체(18)의 각 메쉬(18a)에 1입자씩 매립하도록 눌려 위치한다.
이 때, 각 입상체(2a)는 각 메쉬(18a)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서로 접촉하지 않아, 용이하게 단층 모양으로 배치되며, 또한, 상단부가 노출된다. 또한, 메쉬(18a)보다 입경이 큰 입상체(2a)라도, 메쉬 지지체(18)의 신축성에 의해 그 메쉬(18a)가 넓어져서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상기의 누름에 의해, 각 입상체(2a)가 점착 지지체(19)의 각 작은 구멍을 넓게 벌려서, 각 입상체(2a)의 하단부가 점착 지지체(19)로부터 돌출하여 노출되고, 이 상태에서 각 입상체(2a)가 점착 지지체(19)에 접착되어서 양쪽 지지체(18, 19)에 끼워진다.
그리고, 각 입상체(2a)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지지체(18, 19)의 붙이는 부재 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단층 모양으로 배치되고, 이 음향기기용 매트(1aa)를 스피커 케이싱(4a) 밑에 깔았을 경우, 예를 들면 스피커 케이싱(4a)의 진동이, 점접촉 상태의 각 구상체(2a)의 상단부에서 음향기기용 매트(1aa)로 전달되어, 각 입상체(2a)의 표면에서 신속하게 방산하고, 상기 제1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매우 신속하게, 또한 충분히 방산하여 저감할 수 있으며, 하이 스피드로 다이나믹 레인지가 넓은 음악 등을 지극히 섬서하고 풍부한 음악표현으로 재현할 수 있다.
그 때, 점착 붕대의 점착 지지체(19)가 지극히 얇기 때문에, 음향기기용 매트(1aa)전체적으로, 각 입상체(2a)의 점착 부분의 두께 d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입상체(2a)끼리를 접착하는 경우보다 얇아지고, 지지체(18, 19)의 붙이는 부재의 영향은, 상기 제1의 실시예의 경우보다 적으며, 진동저감효과가 더 향상된다.
또한 메쉬 지지체(18)의 각 메쉬(18a)에 의해, 각 입상체(2a)가 거의 1입자씩 접촉하지 않도록 규칙적으로 배치되며 또한 각 입상체(2a)의 크기가 어느 정도획일화되므로, 여러개의 입상체(2a)가 접합하여 점착 부분의 두께 d가 수평방향으로 2d, 3d등으로 커진 집합형상의 입상체가 불규칙하게 형성되지 않으며, 음향기기용 매트(1aa) 전체의 진동 방산 시간이, 입경이 가지런한 각 입상체(2a)의 단체의 진동 방산 시간으로 균일화되어, 각 입상체(2a)의 상호접촉에 의한 특성 열화를 최대한 방지하는 동시에, 각 입상체(2a)의 크기의 불균일에 의한 재생음의 하모니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진동저감효과가 더욱 더 향상된다.
또한, 각 입상체(2a)를 점착 지지체(19)에 점착시켜서 지지체(18, 19)로 끼우는 구조의 음향기기용 매트(1aa)는, 메쉬 지지체(18)의 메쉬 테이프에 의해 각 메쉬(18a)가 찌부러지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점착 지지체(19)를 형성하는 점착 붕대의 유연성(탄력성)을 구비하여, 이 유연성이 접착제로 접착할 경우와 같이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진동저감효과가 더 향상한다.
또한, 음향기기용 매트(1aa)를 스피커 케이싱 밑에 깔 경우, 메쉬 지지체(18, 19)의 어느 것을 상측(표면측)으로 해도 된다.
다음에, 이 음향기기용 매트(1aa)는, 각 입상체(2a)를 점착 지지체(19)에 점착시켜서 단층 모양으로 배치하여 형성하므로, 예를 들면 각 입상체(2a)끼리를 접착하여 단층 모양으로 배치하여 형성할 경우와 같은 접착제의 고화시간 등의 제약이 없는, 즉, 그 고화 시간 내로 제작 시간이 제한되지 않고, 고화할때 까지 평면대에 놓아 둘 필요도 없다. 그 때문에 형성(제조)의 자유도가 큰 이점이 있다.
그리고, 메쉬 지지체(18)을 시판의 메쉬 테이프에 의해 형성하고, 점착 지지체(19)를 시판의 점착 붕대로 형성했기 때문에, 시판품을 사용한 매우 실용적이고 저렴한 구성에 의해 음향기기용 매트(1aa)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점착 지지체(19)를 사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2장의 메쉬 지지체(18)로 각 입상체(2a)를 상하로부터 끼우도록 해서 지지하면, 각 입상체(2a)가 메쉬와의 접점으로 지지되어, 점착 지지체(19)를 사용하여 각 입상체(2a)의 거의 전체 둘레를 점착 지지하는 경우보다는 안정도는 낮아지지만, 마찬가지로 음향기기용 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제3의 실시예>
다음에, 상기의 단층 구조의 또 다른 예인 제3의 실시예(청구항5, 6대응)에 대해서, 도 10∼도 1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음향기기용 매트(1ab)의 평면도, 도 11은 그 이면도, 도 12는 그 절단 정면도, 도 13은 입상체의 거는 상태 설명도이며, 그것들의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음향기기용 매트(1ab)는 유연한 파일 직물의 케이스체(20)를 구비한다.
이 케이스체(20)는, 이 실시예의 경우, 소위 보디 타올, 목욕타올 등으로서도 시판되어 있는 유연한 파일 타올을 예를 들면 5cm X 5cm정도로 절단하여 형성한 수용부(20a)와, 소위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용부(20a)의 4변의 가장자리를 끼우도록 덮은 종이 베이스의 점착테이프, 즉, 종이테이프(20b)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기의 파일 타올은, 파일지 조직(그라운드)인 메쉬 형상 지조직 g 에 파일 p의 경사를 짜 넣어서 형성되며, 케이스체(20)의 메쉬 형상 지조직 g는 예를 들면 16×15개의 메쉬(20c)를 가진다.
그리고, 각 메쉬(20c)에 각 입상체(2a)가 1입자씩 매립하도록 배치되어 위치하며, 이 때, 각 입상체(2a)가 메쉬 형상 지조직 g측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게다가, 입상체(2a)끼리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각 입상체(2a)는, 각 메쉬(20c)보다 약간 입경이 큰, 같은 크기의 것으로 가지런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각 메쉬(20c)가 2mm X 3mm정도이면, 각 입상체(2a)는 모두 입경이 2mm보다 약간 크다.
또한 각 메쉬(20c)에 매립하도록 배치된 각 입상체(2a)는, 각 파일 p에 의해 몇개 실의 넷 형의 봉지로 싸인 상태로 케이스체(20)안에 걸려, 단층 모양으로 배치된다.
또한, 각 입상체(2a)를 케이스체(20)내에 확실하게 걸기 위해, 상기의 넷 형의 봉지는,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파일 p의 실이 십자 모양으로 크로스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음향기기용 매트(1ab)는, 메쉬 형상 지조직 g측에는, 각 메쉬(20c)를 통해 각 입상체(2a)의 단부가 노출하고, 파일 p측에는, 각 파일 p의 봉투를 통해 각 입상체(2a)의 단부가 노출하며, 이 경우, 각 파일 p가 몇 개의 가는 실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기기용 매트(1ab)를 스피커 케이싱(4a)등 밑에 깔아 사용하면, 스피커 케이싱(4a)등의 중량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실질적으로는, 각 입상체(2a)가 상단부 및 하단부 모두 노출하여 단층 모양으로 배치된 상태가 되어, 상기 제1, 제2의 실시예의 음향기기 매트(1a, 1aa)와 같이 예를 들면 스피커 케이싱(4a)의 진동이, 점접촉 상태의 각 구상체(2a)의 상단부로부터 음향기기용 매트(1aa)에 전달되어, 각 입상체(2a)의 표면으로부터 조속히 방산하고, 상기 제1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매우 신속하게, 또한 충분히 방산하여 저감할 수 있어, 하이 스피드로 다이나믹 레인지가 넓은 음악 등을 지극히 섬세하고 풍부한 음악표현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입상체(2a)가, 유연한 파일직물의 케이스체(20)의 메쉬 형상 지조직 g의 각 메쉬(20c)에 1입자씩 위치하여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고, 파일 p 에 의해 넷 형의 봉지에 싸인 상태로 케이스체(20)안에 걸려 단층 모양으로 배치되므로, 접착제나 점착제로 접착하는 경우 보다, 각 입상체(2a)는 자유도가 높고, 가동성에 풍부하며, 진동 방산 표면적도 넓어져, 음파진동을 신속하게 공중으로 방출 할 수 있으며, 특히 고주파수 성분의 재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향기기용 매트(1ab)를 스피커 케이싱 밑에 깔 경우, 각 입상체(2a)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각 파일 p를 상측(표면측), 메쉬 형상 지조직 g을 하측(이면측)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그 반대로 해서 사용해도 좋다.
다음에, 이 음향기기용 매트(1ab)는, 각 입상체(2a)의 접착 등이 불필요하며, 각 입상체(2a)의 접착 성능에 관계없이, 각 입상체(2a)의 단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각 입상체(2a)대신에, 후술의 탄소의 피복체로 코팅된 실리카겔의 각 입상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접착했을 경우에 문제가 되는 피복체의 벗겨짐이 없어 매우 유효하다.
그리고, 케이스체(20)를 파일 타올에 의해 형성하므로, 시판품을 사용한 매우 실용적이고 저렴한 구성에 의해 음향기기용 매트(1ab)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종이테이프(20b)을 사용하는 대신에, 파일 타올을 뒤집어 꿰매어 「풀림」을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제4의 실시예>
다음에, 실리카겔의 입상체의 2층 구조로 형성한 제4의 실시예(청구항7, 8대응)에 대해서, 도 14∼도 1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도 1에 대응하는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 도 16은 도 4에 대응하는 사용예의 정면도, 도 17은 도 6의 스피커(4b)의 저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4,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 트(1b)는, 유연성이 있는 박막형상의 지지 기재로서의 양면 테이프(7)의 양면(윗면(7a), 밑면(7b)) 각각, 양면(7a, 7b)의 점착제에 의해, 제1의 실시예의 각 입상체(2a)와 같은 복수의 입상체(2b)를 단층 모양으로 접착하고, 양면 테이프(7)를 통한 실리카겔의 2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5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7)의 윗면(7a), 밑면(7b)의 2층의 입상체(2b)에 의해, 등가적으로 제1의 실시예의 단층의 입상체(2a)가 형성되는 점에서, 이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1b)는, 거의 제1의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1a)의 두께를 2배로 한 구성이 되지만, 양면 테이프(7)의 양면(7a, 7b)에 각 입상체(2b)를 접착하여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입상체(2a)끼리를 접착 매체(3)에 의해 접착하여 형성하는 제1의 실시예의 경우 등에 비하여, 더욱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각 입상체(2b)는, 제1의 실시예의 각 입상체(2a)와 같이 여러가지의 입경의 입상의 실리카겔이어도 되지만, 실용적으로는, 분말의 실리카겔의 성형가공 등에 의해 용이하게 얻어지는, 거의 입경 1mm∼10mm의 구형상의 것(구상 실리카겔)이 바람직하며, 또한 A형, B형 어느 쪽의 실리카겔이어도 되지만, B형의 실리카겔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제습제, 탈취제 등으로서 범용 되고 있는 B형의 저렴한 입상(구상)실리카겔이 입상체(2b)로서 적합하다.
따라서, 음향기기용 매트(1b)도, 예를 들면 제습제, 탈취제등으로서 범용되고 있는 저렴한 입상(구상)실리카겔의 입상체(2b)를 양면 테이프(7)의 양면(7a, 7b)에 접착함으로써, 금속 가공등의 정밀하고 고가인 가공 등을 행하지 않고, 저가 로 또한 매우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데다가, 고무나 납의 방진용 인슐레이터나 알루미늄의 인슐레이터 등에 비해서 매우 가볍고, 그 두께도, 알루미늄의 인슐레이터등에 비해서 매우 얇으며, 안전성도 높다.
다음에, 이 음향기기용 매트(1b)는, 제1의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1a)등과 같이 임의의 크기로 좋으며, 개개의 음향기기의 저면이나 그 다리 저면의 크기에 따른 치수로 형성해도 되지만, 범용성을 가지게 할 경우, 예를 들면 5cm∼10cm의 크기의 정방형상으로 형성하여 필요 매수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음향기기용 매트(1b)는 음향기기용 매트(1a)등과 마찬가지로 사용되며, 음향기기가 스피커(4)의 경우, 도 16,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피커(4)의 예를 들면 목제상자 모양의 케이싱(4a)의 저면의 네 귀퉁이 각각의 아래에, 음향기기용 매트(1b)가 깔린다. 또한, 도 16, 도 17에 있어서, 도 4, 도 5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실리카겔은 알루미늄보다 단단하여, 음향기기용 매트(1b)를 스피커(4)와 같은 중량이 있는 음향기기 밑에 깔아도, 파손되는 경우는 없다.
그리고, 양면 테이프(7)의 윗면(7a)에 단층 모양에 접착된 각 구상체(2b)는, 상단부가 스피커 케이싱(4b)의 저면에 점접촉 모양으로 접촉하고, 양면 테이프(7)의 밑면(7b)에 접착된 각 입상체(2b)는, 하단부가 그 밑의 받침대(5)의 윗면에 점접촉 모양으로 접촉한다.
그 때문에 음향기기용 매트(1b)는, 제1의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1a)와 동일한 진동 처리재를 형성한다.
이 때, 양면 테이프(7)는 유연성이 있는 시판의 합성 수지 필름의 양면점착테이프로서, 음향기기용 매트(1b)에 유연성을 갖게 할 수 있고, 각 입상체(2b)에 의해 점접촉 모양으로 눌려도, 가압부와 비가압부에서 표면이 요철로 변형하여, 뚫릴 염려가 없으며, 또한 이 변형이 생기는 것에 의해 진동의 전달 방향으로 직각인 평탄면이 유지되지 않아, 스피커 케이싱(4b)의 진동이 직접 전달되는 진동 입구면 및 그 밑의 반사의 간접진동이 전달되는 진동 출구면이 위치에 따라 갖가지로 기울어져, 그것들의 면에서의 진동의 반사가 더욱 감소하고, 반사에 의한 음질 열화가 매우 적어진다.
또한, 양면 테이프(7)는, 그 구조소재의 원자량이 크고, 음속은 느리지만, 두께가 수십미크론 오더로 매우 얇기 때문에, 진동의 전달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양면 테이프(7)대신에 음속이 빠른 알루미늄을 사용하려고 해도, 각 입상체(2b)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유연성이 없는 알루미늄 박이 용이하게 뚫어지기 때문에, 실제로는, 알루미늄 박이 아닌, 수mm이상의 두께의 알루미늄판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러한 두터운 알루미늄판을 사용하면, 그 평탄한 진동 입구면 및 진동 출구면에서의 반사가 증대하여, 반사에 의한 음질 열화가 커진다.
그리고, 예를 들면 CD, MD의 음악 등을 스피커(4)로 재생 출력함으로써 발생한 스피커 케이싱(4b)의 진동은, 윗면(7a)에 접착된 상측의 각 구상체(2b)의 상단부로부터, 직접 음향기기용 매트(1b)에 전달되고, 밑면(7b)에 접착된 하측의 각 입상체(2b)의 하단부의 반사로부터, 간접적으로 음향기기용 매트(1b)로 전달되어, 상 기 도 6의 진동 방산의 설명도와 동일한 진동의 방산이 생긴다.
이 때, 음향기기용 매트(1b)의 진동 입구면 및 그 반대측의 진동 출구면의 진동의 반사는 적고, 또한, 여러개의 입상체(2b)의 집합체의 2층 구조이기 때문에 음향기기용 매트(1b)의 표면적은 넓고 또한, 실리카겔의 주성분인 이산화규소의 음파 등의 진동의 전달 속도가 알루미늄과 같은 정도로 빠르기 때문에, 스피커(4)로부터 음향기기용 매트(1b)에 전달된 진동은 신속하게 대기중으로 방산한다.
따라서, 이 음향기기용 매트(1b)는, 금속 가공과 같은 정밀하고 고가인 가공 등을 행하지 않고, 저렴한 실리카겔의 입상체(2b) 및 양면 테이프(7)를 사용하여 저가로 또한 매우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경량으로 두께가 얇고, 사용시에 있어 문제가 되지 않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1∼제3의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1a, 1aa, 1ab)와 같이 스피커(4)등의 음향기기의 진동을, 알루미늄의 인슐레이터 등을 사용했을 경우보다 지극히 신속하게, 또한 충분히 방산하여 저감할 수 있으며, 하이 스피드로 다이나믹 레인지가 넓은 음악 등을 극히 세심하고 풍부한 음악표현으로 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음향기기용 매트(1b)도, 앰프, CD플레이어, MD플레이어 등의, 스피커(4)이외의 여러가지의 음향기기 밑에 깔아서 효과가 있는 것은 물론이며, 오디오 감상의 음향특성, 녹음 현장에서의 녹음 특성이나 전자악기의 연주 출력 특성 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양면 테이프(7)는, 유연성이 있는 여러가지의 양면 테이프이면 되지만, 진동의 반사를 더욱 양호하게 하기 위해, 소위 망목(網目)이 들어간 것이 바람 직하며, 유연성이 있는 박막형상의 지지 기재는, 시판의 양면 테이프가 아니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양면 테이프(7)등의 유연성이 있는 지지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운반이 용이하고, 예를 들면 포터블 타입의 CD플레이어나 MD플레이어에 부착하여, 그것들의 수납 봉투에 플레이어와 함께 이 음향기기용 매트(1b)를 수납해서 운반할 때, 이 매트(1b)가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수납하기 쉽고,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양면 테이프(7)가 아닌, 한면 테이프를 사용해서, 그 점착면(일면)에 입상체(2b)를 단층 모양으로 접착하여 단층 구조의 음향기기용 매트를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 한 면 테이프의 밑면전체가, 예를 들면 도 9의 받침대(5)의 윗면에 접하여, 각 입상체(2b)의 하단부에서의 진동의 반사가 많고, 음향기기용 매트(1a,1b)와 같이, 스피커(4)로부터 음향기기용 매트(1b)에 전달된 진동(직접 진동) 및 간접 진동의 양쪽을 극히 신속하게 대기중으로 방산할 수 있다.
<제5의 실시예>
다음에, 실리카겔의 입상체의 2층 구조로 형성한 다른 예인 제5의 실시예(청구항 9대응)에 대해서, 도 18,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평면도, 도 19는 그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1ba)가, 상기 제4의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1b)와 다른 점은, 박막형상의 지지 기재를, 매트(1b)의 양면 테이프(7)대신에, 메쉬 형상의 양면 테이프(메쉬 테이프)(21)에 의해 형성한 점이다.
이 양면 테이프(21)는, 예를 들면 매우 얇은, 코가 성긴 부직포 등의 양면에 점착제를 도포한 테이프이며, 구체적으로는, 벽지를 붙일 때의 퍼티 매립용 메쉬 테이프 등으로서도 시판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소위 망목 형상으로 구멍이 뚫린 양면 테이프(메쉬 테이프)(21)를 사용함으로써, 그 표면적 및 두께(음향기기용 매트(1ba) 전체의 평균 두께)를 최대한 작게 하고, 진동을 놓치는 속도를 느리게 하는 요인인 양면 테이프(21)의 영향을 최대한 적게 하여, 매트 전체의 진동 방산 속도를 높여서 소리의 고역 성분의 재현을 보다 스무스하게 하고, 음향특성 개선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음향기기용 매트(1b)보다 특성이 뛰어난 음향기기용 매트(1ba)를 제공할 수 있다.
<제6의 실시예>
다음에, 실리카겔의 입상체가 탄소의 피복체로 코팅된 제6의 실시예(청구항10에 대응)에 대해서, 도 20∼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도 14와 같은 평면도, 도 21은 도 20의 정면도, 도 22는 도 20의 일부를 확대한 절단면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0, 도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1c)는, 유연성이 있는 박막형상의 지지 기재로서의 양면 테이프(7)의 윗면(7a), 밑면(7b) 각각, 양면(7a, 7b)의 점착제에 의해, 상기 제4의 실시예의 각 입상체(2b)대신에, 다음에 설명하는 탄소 코팅의 여러개의 입상체(2c)를 단층 모양으로 접착하여, 탄소 코팅 실리카겔의 2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입상체(2c)는, 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입상 체(2b)의 실리카겔과 같은 입상 실리카겔(8)에 탄소의 얇은 피복체(9)를 코팅하여 형성한 것이며, 피복체(9)의 두께는, 진동의 전달 거리를 최대한 짧게 하는 관점에서는, 최대한 얇은 쪽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는, 청각상의 특성이나 제조 원가에 따라 결정된다.
이 입상체(2c)의 2층 구조의 음향기기용 매트(1c)는, 탄소(C)의 음속이, 10000m/s이며, 알루미늄의 음속(6260m/s), 이산화규소의 음속(수정으로 했을 때 5720m/s)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매트내의 진동 전송속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주로 음속이 빠른 알루미늄의 금속성 케이싱(섀시를 포함한다)을 구비한 앰프나 CD플레이어 등의 음향기기 밑에 이 탄소 코팅의 음향기기용 매트(1c)를 까는 것에 의해, 음향기기의 진동이, 각 입상체(2c)의 피복체(9)에 의해, 한층 신속하게 전송되어서 대기중으로 방산되어, 음향특성 등의 현저한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점은, 시청 실험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저면이 개방된 알루미늄 섀시 밑에 음향기기용 매트(1c)를 깔 경우에는, 알루미늄 섀시의 밑면 절곡 테두리의 네 귀퉁이에 직접 깔거나, 또는 그 네 귀퉁이의 다리의 저면에 깔면 된다.
그리고, 제1∼제3의 실시예의 단층 구조의 음향기기용 매트(1a, 1aa, 1ab)의 각 입상체(2a)대신에, 입상체(2c)와 같은 탄소의 피복체를 코팅한 입상체를 설치하여, 단층 구조의 탄소 코팅의 음향기기용 매트를 형성하고, 이 매트를 사용해도, 음향기기용 매트(1c)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특히, 제3의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1ab)의 각 입상체(2a)대신에, 입상체(2c)와 같은 탄소의 피복체를 코팅한 입상체를 사용하면, 이들의 입상체를 파일 섬유의 케이스체(20)에 수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각 입상체의 탄소피복의 접착이나 점착에 의한 벗겨짐이 없어, 매우 용이하게, 특성이 좋은 단층 구조의 음향기기용 매트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스피커와 같은 목제 케이싱, 플라스틱에 대표되는 합성 수지제 케이싱의 음향기기 밑에 음향기기용 매트(1c)등의 탄소 코팅의 음향기기용 매트를 깔아도 같은 음향특성 개선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나무의 음속은 상기의 4700m/s, 플라스틱의 음속은 1950m/s로, 실리카겔의 상기의 음속 5720m/s보다 느리기 때문에, 이것들의 음향기기의 경우, 탄소 코팅의 효과는 금속 케이싱의 음향기기 만큼 크지 않고, 오히려, 진동의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음향기기용 매트(1c)를 깔았을 때에는, 피복체(9)와 실리카겔(8)의 층간에 발생하는 반사면(상기의 출구면에 상당)에서의 진동 반사의 폐해가 나타난다고 예상된다.
그리고, 음향기기용 매트(1b, 1c)를 깔아서 시청 실험한 바, 청감상, 스피커 등의 목제 케이싱, 플라스틱제 케이싱의 음향기기 밑에 까는 매트로서는, 탄소 코팅이 실시되지 않는 음향기기용 매트(1b)쪽이 음향기기용 매트(1c)보다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7의 실시예>
다음에, 실리카겔의 입상체가 탄소의 피복체로 코팅된 다른 예인 제7의 실시예(청구항 10에 대응)에 대해서, 도 23,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도 20과 마찬가지의 평면도, 도 24는 도 23의 정면도이며, 이 본 실 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1ca)는, 유연성이 있는 박막형상의 지지 기재를, 상기 제6의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1c)의 양면 테이프(7)대신에, 제5의 실시예의 메쉬 형상의 양면 테이프(21)에 의해 형성한 점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1ca)는, 제6의 실시예의 음향기기용 매트(1c)에 비해서 양면 테이프(21)의 영향을 최대한 적게 하고, 매트(1ca)전체의 진동 방산 속도를 높여서 소리의 고역 성분의 재현을 보다 스무스하게 하여, 음향특성 개선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음향기기용 매트(1c)보다 특성이 뛰어난 음향기기용 매트(1ca)를 제공할 수 있다.
<측정 결과>
다음에, 음향기기용 매트(1b, 1c)를 사용했을 경우의 측정 결과에 대해서, 도 25∼도 30을 참조해서 설명하고, 또한, 2층 구조의 음향기기용 매트(1ba, 1ca)를 사용했을 경우 및 단층 구조의 음향기기용 매트(1aa, 1ca)를 사용했을 경우의 측정 결과에 대해서, 도 31∼도 4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음향기기용 매트(1aa)에 대해서는, 앰프 등의 밑에 깔기 위해서, 각 입상체(2a)를 탄소 코팅의 입상체로 했다.
(1)음향기기용 매트(1b, 1c)를 사용했을 경우의 측정 결과.
우선, 측정 시스템에 대해서, 도 25, 도 2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5는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이 측정 장치는, MD플레이어(10)에 의해 재생한 샘플음을, 앰프(11)를 통해 스피커(4x)로부터 출력하는 측정 대상의 오디오 장치와, 그 스피커 출력의 재생음을, 마이크로폰(12)을 통해 파형해석 장 치(13)에 입력하여, 이 장치(13)에 의해 재생음의 파형을 관측하는 측정 장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MD플레이어(10)는, 5cm X 8cm의 탄소 코팅된 흑색의 음향기기용 매트(1c)를 2장 나란히 형성한 10cm X 8cm의 흑색의 음향기기용 매트(이하, B매트라고 한다)(1cα)를 저면 전체 밑에 깔아서 설치대(14)위에 설치한다.
또한 앰프(11)는, 그 저부 네귀퉁이의 다리 각각의 아래에 음향기기용 매트(1c)로 이루어지는 5cm X 5cm의 B매트(1cβ)를 깔아서 설치대(14)위에 설치된다.
또한, 스피커(4x)는 로저스(Rogers)회사의 형 번호 PM510의 35센치 2웨이 스피커이며, 저면의 네 귀퉁이 각각의 아래에 탄소 코팅되지 않은 음향기기용 매트(1b)로 이루어지는 5cm X 5cm의 백색의 음향기기용 매트(이하, W매트라고 한다)(1bα)를 깐 상태로 스피커 스탠드(15)위에 올려놓여져 있다.
다음에, 마이크로폰(12)은 마이크 스탠드(16)에 올려 놓여져 스피커(4x) 앞쪽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다.
도 26은 도 25의 스피커(4x)대신에 측정에 사용되는 스피커(4y)를 나타내고, 이 스피커(4y)는 로저스(Rogers)회사의 형 번호 LS3·5A의 12센치 2웨이 스피커이며, 저면의 네 귀퉁이 각각에 1.5cm X 1.5cm의 W매트(1bβ)를 깔고, 스피커 스탠드(15)의 인공대리석의 받침대(17)위에 설치된다.
그러나, W매트(1bα, 1bβ)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한 두께 수십미크론 정도의 시판의 투명 양면 테이프의 양면에, 시판의 제습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B형의 입상 실리카겔을 접착하여 형성되고, B매트(1c α, 1cβ)는, W매트(1bα, 1bβ)의 입상 실리카겔에 시판의 방향소취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미립탄을 코팅하여 형성되고 있다.
다음에, 측정 및 그 결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5의 스피커(4x)의 음향 시스템에 대하여, 음향기기용 매트(1bα, 1ca, 1cβ)을 깐 매트가 있는 상태, 그것들의 매트(1bα, 1ca, 1cβ)를 깔지 않은 매트가 없는 상태 각각에서, 5000Hz, 250ms의 톤 버스트를 되풀이하여 녹음한 MD를 MD플레이어(10)에 의해 재생하고, 앰프(11)를 통해 스피커(4x)로부터 출력된 재생음을 마이크로폰(12)을 통해 파형해석 장치(13)에 입력하여, 이 장치(13)의 컴퓨터의 파형해석의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스피커(4x)의 출력음 파형을 측정한 바, 도 27, 도 28의 결과를 얻었다.
또한 도 25의 스피커(4x)를 도 26의 스피커(4y)대신에, 동일한 측정을 한 바, 도 29, 도 30의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도 27∼도 30의 가로축은 시간(s), 세로축은 상대 레벨이며, 이것들의 측정 도면으로부터, 도 27, 도 29의 매트가 있는 상태에서는, 도 28, 도 30의 매트가 없는 상태에 비해서 버스트 끝단의 불필요 진동의 잔음이 짧아, 녹음된 버스트음 재생의 충실성이 향상되어 음향특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층 구조의 음향기기용 매트(1ba,1ca), 단층 구조의 음향기기용 매트(1aa,1ca)를 사용했을 경우의 측정 결과.
우선, 측정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면 대형 스피커의 시스템을, 35센치 2웨이의 스피커(4x)를 사용한 도 25의 구성의 시스템으로 하고, 소형 스피커의 시스템 을, 12센치 2웨이의 스피커(4y)를 사용한 도 26의 시스템 대신에, 스피커(4x)로 로저스(Rogers)회사의 형 번호 LS5/9A의 20센치 2웨이의 스피커(이하, 20센치 스피커라고 한다)를 사용한 도 25의 구성의 시스템으로 했다.
그리고, (i)음향기기용 매트를 전혀 깔지 않은 상기의 매트가 없는 상태, (ii) MD플레이어(10), 앰프(11)에 음향기기용 매트(1ca)의 망목 B매트를 깔고, 스피커(4x)에 음향기기용 매트(1ba)의 스크린 W매트를 깐 매트가 있는 상태(이하, 2층 매트가 있는 상태라고 한다), (iii)MD플레이어(10), 앰프(11)에 음향기기용 매트(1aa)의 각 입상체(2a)를 탄소 코팅의 입상체 대신에 단층 구조의 B매트를 깔고, 스피커(4x)에 음향기기용 매트(1ab)의 단층 구조의 W매트를 깐 매트가 있는 상태(이하, 단층 매트가 있는 상태라고 한다)에 대해서 측정했다.
또한 측정은, 50Hz, 200Hz, 1000Hz, 5000Hz의 톤 버스트를,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MD플레이어(10)에 의해 재생하고, 앰프(11)를 통해 스피커(4x)로부터 출력된 재생음을 마이크로폰(12)을 통해 파형해석 장치(13)에 입력하여 행했다.
그리고, 예를 들면 1000Hz의 톤 버스트에 대해서 도 31∼도 37의 결과를 얻고, 5000Hz의 톤 버스트에 대해서 도 38∼도 42의 결과를 얻었다. 도 31, 도 32, 도 33은 매트가 없는 상태, 2층 매트가 있는 상태, 단층 매트가 있는 상태 각각의 20센치 스피커의 1000Hz의 측정 결과이며, 도 34, 도 35, 도 36은 각 상태 각각의 35센치 스피커의 1000Hz의 측정 결과이며, 도 37, 도 38, 도 39는 각 상태 각각의 20센치 스피커의 5000Hz의 측정 결과이며, 도 40, 도 41, 도 42는 각 상태 각각의 35센치 스피커의 5000Hz의 측정 결과이다.
또한, 이들의 측정은, 전기의 음향기기용 매트(1b, 1c)를 사용했을 경우의 측정과는, 다른 계절에 행한 것으로, 측정 환경이 다르고, 측정 결과에도 그 차이가 포함된다.
이들의 측정 결과에 대하여, 도 43의 파형도에 도시하는, 상승 Va, 증폭값 Vb, 잔향값 Vc의 3항목으로 평가하여 판정한 바, 매트가 없는 것보다 2층의 음향기기용 매트(1ba,1ca)를 사용한 쪽이 바람직하며, 단층의 음향기기용 매트(1aa, 1ab)를 사용하는 쪽이 더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승 Va가 다른 부분보다 과도하게 큰 특성이 되면 특유한「울림(소리의 성질)」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평가는 낮다. 또한 증폭값 Vb가 큰 만큼 큰 소리까지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평가는 높다. 또한, 잔향값 Vc가 작고, 그 소실까지의 시간이 짧은 만큼, 보다 작은 소리까지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평가는 높다.
그러나, 여러개의 음향기기의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같은 재질, 두꺼운 금속성 용기(케이싱)가 직렬로 유선접속된 부분, 예를 들면 시스템의 직렬로 유선접속된 개별금속제 케이싱의 전원부, 조작부에 대해서는, 탄소 코팅된 입자의 동 타입(단층 또는 2층)의 매트를 사용하면, 공진이 생겨서 음의 「혼탁함」이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개소에는 탄소 코팅된 입자가 다른 타입의 매트(단층의 매트와 2층의 매트)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탄소 코팅 입자는 전기적 도체이기 때문에, 특히, 탄소 코팅 입자의 음향기기용 매트(1ab)를 사용할 때에는, 최대한, 매트(1ab)로부터 입상체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앰프 등의 전기·전자회로의 쇼트를 방지하므로, 중요하다.
그외, 특히 스피커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잔향이 스피커의 배후 등의 상태도 잔향특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스피커의 배후를 포함하는 주위 전체적에는 최대한 올록볼록한 물건을 놓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피커의 하부에 실리카겔 입자의 이 종류의 매트를 깔 때, 스피커의 중량이 무거운 거대한 것일 경우, 스피커의 저면을 구성하는 목재에 변형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러한 경우에는, 매트와 스피커의 저면 사이에, 변형되어도 상관없는 작은 조각의 널빤지를 완충시킴으로써, 스피커의 변형을 방지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술한 것에 대해서 여러가지의 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상기의 단층 구조의 음향기기용 매트(1a)에 있어서, 접착 매체(3)에 유연성이 있는 점착성 수지재 등을 사용하여 각 입상체(2a) 사이에 간격을 설치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음향기기용 매트(1a∼1ca)의 각 입상체(2a∼2c)는, 입경이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리카겔 제품으로서 허용되는 정도의 불균일이 있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며, 또한, 그 형상에 같은 정도의 불균일이 있어도 되며, 또한, 각 음향기기용 매트(1a∼1ca)의 각 입상체(2a∼2c)사이의 간격은, 매트 전체의 진동 방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많은 입자를 사용하여, 될 수 있는 한 간격을 적게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인접하는 입자가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본 발명은, 상기 단층 구성의 음향기기용 매트(1aa, 1ab)의 메쉬 지지체(18), 점착 지지체(19), 케이스체(20)가, 유연한 여러가지 재질의 메쉬 시트, 점착 박체, 파일 섬유체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층구조의 음향기기용 매트(1b, 1ba, 1c, 1ca)에 있어서, 양면 테이프(7), 메쉬 테이프(21)등의 지지 기재는, 얇고, 접착력이 강한 여러 가지의 양면 테이프, 메쉬 테이프 등으로 형성해도 되고, 본 발명은, 상기 지지 기재의 소재가 어떤 것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입상체(2a∼2c)는, 지지 기재가 휘어도 당초의 단층 구조 또는 2층 구조를 잃지 않는 최소의 입경인 것이 바람직하며, 실용상, 상기한 거의 1mm∼10mm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각 입상체(2a∼2c)가 상기의 범위외의 여러가지의 입경이어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각 음향기기용 매트(1a∼1c)는 여러가지의 음향기기 밑에 깔면 되고, 그 때, 크기나 부설하는 위치가 어떤 식이라도 좋으며, 본 발명은, 그 각 음향기기용 매트의 크기나 부설하는 위치가 어떤 것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실리카겔의 여러개의 입상체를 단층 모양으로 배치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용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각 입상체가, 인접하는 입상체끼리의 둘레부를 접착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용 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각 입상체가, 유연한 메쉬 시트형의 메쉬 지지체와, 상기 메쉬 지지체에 붙여지는 유연한 박막형상의 점착 지지체에 의하여, 상기 메쉬 지지체의 각 메쉬에 1입자씩 위치하여 상기 점착 지지체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끼워져, 단층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용 매트.
  4. 제 3항에 있어서,
    메쉬 지지체가 메쉬 테이프로 이루어지고, 점착 지지체가 점착 붕대로 이루 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용 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유연한 파일 직물의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각 입상체가, 상기 파일 직물의 메쉬 형상 지조직의 각 메쉬에 1입자씩 위치하여 파일에 의해 상기 케이스체 내에 걸려, 단층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용 매트.
  6. 제 5항에 있어서,
    케이스체가 파일 타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용 매트.
  7. 유연성이 있는 박막형상의 지지 기재의 양면 각각, 실리카겔의 여러개의 입상체를 단층 모양으로 접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용 매트.
  8. 제 7항에 있어서,
    지지 기재가 양면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용 매트.
  9. 제 7항에 있어서,
    양면 테이프가 메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용 매트.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입상체의 실리카겔이 탄소의 피복체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용 매트.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입상체가 거의 입경 1mm∼10mm의 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용 매트.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입상체의 실리카겔이 B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용 매트.
KR1020077005979A 2004-09-15 2005-04-05 음향기기용 매트 KR100884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68656A JP3664724B1 (ja) 2004-03-08 2004-09-15 音響機器用マット
JPJP-P-2004-00268656 2004-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094A true KR20070056094A (ko) 2007-05-31
KR100884781B1 KR100884781B1 (ko) 2009-02-23

Family

ID=3605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979A KR100884781B1 (ko) 2004-09-15 2005-04-05 음향기기용 매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70693B2 (ko)
EP (1) EP1791388B1 (ko)
KR (1) KR100884781B1 (ko)
CN (1) CN1989782B (ko)
WO (1) WO20060305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00956C (en) * 2002-10-01 2011-09-13 Paul C. Downey Noise and vibration mitigating mat
JP2009063122A (ja) * 2007-09-07 2009-03-26 Nitto Denko Corp 制振シート
US8573358B2 (en) * 2008-05-22 2013-11-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sound absorbing structure comprising mesh layer
US8172036B2 (en) * 2010-09-10 2012-05-08 The Boe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oustic metamaterial
US8474572B2 (en) * 2011-08-25 2013-07-02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to attenuate vibration and acoustic noise
US8752667B2 (en) * 2011-10-06 2014-06-17 Hrl Laboratories, Llc High bandwidth antiresonant membrane
US8544597B1 (en) * 2012-05-31 2013-10-01 Aerojet Rocketdyne Of De, Inc. Tuned damper member
US9695788B2 (en) * 2012-12-18 2017-07-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ructure to reduce noise and vibration in an engine system
TWM458224U (zh) * 2012-12-21 2013-08-01 Microbase Technology Corp 旋動式霧化裝置
CN104469571A (zh) * 2014-12-03 2015-03-25 成都市思码特科技有限公司 用于多媒体音箱的隔音减震支撑垫
US10187712B2 (en) * 2015-05-13 2019-01-22 Michael P. Latvis, Jr. Energy dissipation devices
CN108200488B (zh) * 2016-12-08 2022-06-03 林球有限公司 用于音响器材的防振装置及具有防振装置的音响器材架
US10783867B2 (en) * 2018-11-08 2020-09-22 Apple Inc. Acoustic filler including acoustically active beads and expandable filler
CN111636576A (zh) * 2020-06-09 2020-09-08 刘纯科 一种民用消音装饰墙纸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4275A (en) * 1957-06-04 1959-11-24 Robert L Mitchell Typewriter pad
US3026224A (en) * 1959-05-01 1962-03-20 Fabreeka Products Co Vibration absorbing pad
US3330377A (en) * 1965-10-04 1967-07-11 Stanley F Reed Sound absorbing material comprising interbonded tubular elements
US3472305A (en) * 1968-04-30 1969-10-14 Mary S Lefes Soundproof and heatproof slat for venetian blinds
JPS5440209A (en) * 1977-09-07 1979-03-29 Nippon Dia Clevite Co Method of producing porous body of aluminum and alloys thereof
DE2852828C2 (de) * 1978-12-07 1981-02-26 Teroson Gmbh, 6900 Heidelber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örperschalldämpfenden Beschichtung
JPS5852528B2 (ja) * 1979-04-10 1983-11-24 葛城産業株式会社 金属の多孔質焼結板状体およびその製造法
US4272572A (en) * 1979-10-11 1981-06-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Vibration isolation structure
DE3013861C2 (de) * 1980-04-10 1983-04-07 Messerschmitt-Bölkow-Blohm GmbH, 8000 München Dämpfungsbelag
EP0078649A1 (en) * 1981-10-27 1983-05-11 Avon Industrial Polymers Limited Isolation pads
US4493471A (en) * 1983-02-14 1985-01-15 Mcinnis Donald E Sound speaker stand for attenuating vibrations
DE3429671A1 (de) * 1984-08-11 1986-02-20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erogelen
US4776573A (en) * 1984-12-14 1988-10-11 Woco Franz-Josef Wolf & Co. Spring element
US4923034A (en) * 1987-11-26 1990-05-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Vibration-controlling member
JPH0254700A (ja) * 1988-08-19 1990-02-23 Toshiba Ceramics Co Ltd 音響機器の設置具
DE68927806T2 (de) * 1988-10-31 1997-09-18 Mitsubishi Electric Corp Poröse Struktur
CA1282207C (en) * 1988-12-08 1991-04-02 Ghislain L'heureux Method of acoustically insulating a toilet bowl
DE3901897A1 (de) * 1989-01-23 1990-07-26 Wolf Woco & Co Franz J Gummifederelement
US5044030A (en) * 1990-06-06 1991-09-03 Fabrico Manufacturing Corporation Multiple layer fluid-containing cushion
USH1317H (en) * 1990-10-03 1994-06-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Ring damper for structureborne noise suppression in piping systems
US5298693A (en) * 1992-06-11 1994-03-29 Heijn Roland A Speaker support stand
US5290973A (en) * 1992-08-24 1994-03-01 Kwoh Frederick Y S Acoustic damping device
JPH06202668A (ja) * 1992-12-28 1994-07-22 Yamaha Corp 吸音板
JP2866860B2 (ja) * 1993-06-07 1999-03-08 ゼオン化成株式会社 防音材
US6007890A (en) * 1993-11-19 1999-12-28 The Dow Chemical Company Acoustic insulating panels or elements
JPH07212880A (ja) * 1994-01-18 1995-08-11 Akinori Takemoto 振動の調整・均質化方式による音響機器・音響記録 媒体支持台
DE4409309A1 (de) * 1994-03-18 1995-09-21 Basf Ag Formkörper, enthaltend Silica-Aerogel-Partikel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H08163468A (ja) * 1994-12-06 1996-06-21 Fujikura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DE19533564A1 (de) * 1995-09-11 1997-03-13 Hoechst Ag Faserhaltiges Aerogel-Verbundmaterial
US6887563B2 (en) * 1995-09-11 2005-05-03 Cabot Corporation Composite aerogel material that contains fibres
US5706249A (en) * 1996-04-01 1998-01-06 Cushman; William B. Panel spacer with acoustic and vibration damping
CA2252025C (en) * 1996-04-10 2002-01-15 Kiran Malhotra Advanced sound reduction tape
US5855353A (en) * 1996-05-31 1999-01-05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Vibration damping system
DE19702238A1 (de) * 1997-01-24 1998-08-06 Hoechst Ag Verwendung von Aerogelen zur Körper- und/oder Trittschalldämmung
US6053275A (en) * 1998-07-21 2000-04-25 Caterpillar Inc. Acoustical absorber array
JP3241333B2 (ja) 1998-10-29 2001-12-25 神港プラス工業株式会社 音響機器用の防振体
JP3887814B2 (ja) * 2000-03-17 2007-02-28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シリコーンゲル組成物
JP3285339B2 (ja) * 2000-03-30 2002-05-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防音装置
US6783835B2 (en) * 2001-01-29 2004-08-3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Elastomeric damping sheets
JP2003025310A (ja) * 2001-07-18 2003-01-29 Dantani Plywood Co Ltd 機能性パーティクル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051381A1 (en) * 2001-12-04 2005-03-10 Koji Imai Underbody sound damping structure for motor vehicles
JP4240923B2 (ja) * 2001-12-14 2009-03-18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ダンパーおよびメカシャーシの防振構造
DE10345043A1 (de) * 2003-09-27 2005-04-21 Rhein Chemie Rheinau Gmbh Mikrogel-enthaltende Zusammensetzung
US7263028B2 (en) * 2003-10-09 2007-08-28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omposite acoustic attenuation materials
US7770691B2 (en) * 2004-08-18 2010-08-10 Schabel Polymer Technology, Llc Lightweight pelletized materials
US20060037815A1 (en) * 2004-08-18 2006-02-23 Schabel Norman G Jr Particulate insulation materials
DE112006000871T5 (de) * 2005-04-13 2008-06-12 Mitsubishi Plastics, Inc. Doppelseitige Klebefolie und Laminatplatte
US20070154698A1 (en) * 2005-12-30 2007-07-05 Aspen Aerogels, Inc. Highly flexible aerogel insulated textile-like blankets
US8051950B2 (en) * 2006-08-03 2011-11-08 Glacier Bay, Inc. System for reducing acoustic energy
USD584911S1 (en) * 2008-04-10 2009-01-20 Kohler Co. Cush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27816A1 (en) 2007-10-04
WO2006030555A1 (ja) 2006-03-23
CN1989782B (zh) 2011-12-07
US7770693B2 (en) 2010-08-10
KR100884781B1 (ko) 2009-02-23
EP1791388B1 (en) 2012-07-18
EP1791388A1 (en) 2007-05-30
CN1989782A (zh) 2007-06-27
EP1791388A4 (en)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781B1 (ko) 음향기기용 매트
US8727071B2 (en) Sound barrier for audible acoustic frequency management
WO2007084860A2 (en) Apparatus for absorbing acoustical engery and use thereof
KR19990044029A (ko) 포터블 콤팩 디스크 플레이어
CN1195463A (zh) 板式扩音器
CN2425468Y (zh) 一种平板音箱
JPH11512250A (ja) パッケージ
US7103190B2 (en) Acoustic device
TW564655B (en) Flat panel sound radiator with enhanced audio performance
JP3225856B2 (ja) 電気弦楽器及び電子弦楽器
JPS6130900A (ja) 受音装置
JP3664724B1 (ja) 音響機器用マット
WO1998018291A1 (fr) Vibrateur acoustique piezo-electrique et haut-parleur utilisant ledit vibrateur acoustique piezo-electrique correspondant
JPH07261767A (ja) 音響調整材
JP2784294B2 (ja) 吸音材および吸音材の製造方法
CN1894998A (zh) 弯曲波扬声器
JPS62209996A (ja) スピ−カ−ボツクス
JP3181931B2 (ja) 吸音材
JPH056184A (ja) 吸音材
JPH05158483A (ja) 吸音材
CN211089864U (zh) 一种用于音箱底座的防震层
CN208174956U (zh) 一种平板式音响
JPH047999A (ja) 薄形スピーカ装置
Yegnanarayana et al. Studies in a reverberation room with a highly absorbing sample
JPS64327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