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162A -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1162A
KR20070051162A KR1020050108670A KR20050108670A KR20070051162A KR 20070051162 A KR20070051162 A KR 20070051162A KR 1020050108670 A KR1020050108670 A KR 1020050108670A KR 20050108670 A KR20050108670 A KR 20050108670A KR 20070051162 A KR20070051162 A KR 20070051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inge body
display device
stan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6420B1 (ko
Inventor
이문희
박종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8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420B1/ko
Priority to US11/493,002 priority patent/US7591443B2/en
Priority to CNA2006101086664A priority patent/CN1967730A/zh
Priority to EP06254307.9A priority patent/EP1785660B1/en
Publication of KR20070051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결합되고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되는 커버 힌지부; 일측이 상기 커버 힌지부 내측에 고정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의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힌지축 수용부가 형성되고,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되는 힌지 몸체; 상기 힌지 몸체의 일측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 몸체를 지지하는 힌지 몸체 지지부; 및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부가 포함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개별적으로 분리되는 구성요소에 의하여 포장시 부피가 작아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는 힌지부가 커버 힌지, 힌지축 조립체 및 힌지 몸체로만 형성되므로, 구성 부품이 적게 들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스탠드, 플라스틱, 힌지

Description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Stand for an 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스탠드의 커버 힌지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의 우측 커버 힌지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의 힌지축 조립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의 키브라켓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의 힌지 몸체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의 힌지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의 힌지 몸체 지지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의 힌지 몸체 지지부 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의 베이스부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의 베이스부의 저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스플레이 기기 2: 배면
20: 커버 힌지부 22: 키브라켓
24: 힌지축 26: 마찰 스프링
30: 힌지 몸체 40: 힌지 몸체 지지부
42, 44: 걸림 돌기 46: 걸림홈
50: 베이스부 52: 돌출부
54: 안착홈 56: 걸림돌기
220: 우측 커버 힌지 230: 배면 고정부
240: 좌측 커버 힌지 250: 배면 고정부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시 분리하여 장입될 수 있음으로써 장입 수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스탠드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소정의 수평면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스탠드는 일반적으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고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부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결합되는 지지부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스탠드에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부에 힌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힌지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브라켓을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고정시키고 또다른 금속 브라켓을 지지부에 고정한 후, 힌지축을 이루는 샤프트를 상기 두 브라켓 사이에 결합시키고 이를 스크류로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브라켓이 결합되어 형성된 힌지부는 조립이 스크류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의 흔들림에 의해 스크류가 느슨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금속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힌지부는 조립 구조가 복잡하고 힌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부품의 수량이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상기 힌지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외관 부품을 별도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고 비용이 많이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힌지부를 갖춘 지지부 및 베이스부는 포장시 서로 분리된 상태로 포장되는데, 이 때, 상기 힌지부를 갖춘 지지부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포장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포장시 포장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부가 적은 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부의 부품 자체가 힌지부의 외관을 이룸으로써 외관 부품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 부품 수가 줄어들 수 있는 힌지 구조 및 상기 힌지 구조를 이용한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에 설치되는 스탠드가 다수개의 부품으로 분리되어 포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결합되고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되는 커버 힌지부; 일측이 상기 커버 힌지부 내측에 고정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의 타 측이 회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힌지축 수용부가 형성되고,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되는 힌지 몸체; 상기 힌지 몸체의 일측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 몸체를 지지하는 힌지 몸체 지지부; 및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는 적은 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조립시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외부의 진동에 강하고, 힌지부 자체가 외관을 형성하므로 별도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품이 사용되지 않아 스탠드를 생산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므로, 포장시 장입 부피가 작아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용 스탠드(1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용 스탠드(10)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고정되는 커버 힌지부(20)와, 상기 커버 힌지부(2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몸체(30)와, 상기 힌지 몸체(30)를 지지하는 힌지 몸체 지지부(40)와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하측단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기기(1)를 바닥면에 안착시키는 베이스부(5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커버 힌지부(20)가 상기 힌지 몸체(3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화면이 상하로 틸팅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탠드(10)의 커버 힌지부(20), 힌지 몸체(30), 힌지 몸체 지지부(40) 및 베이스부(5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탠드의 구성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10)는 상기 살펴본 스탠드의 구성요소 중 힌지 몸체(30)와 힌지 몸체 지지부(40), 및 힌지 몸체 지지부(40)와 베이스부(50)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분리된 스탠드(10)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본체를 제외하고 스탠드가 분리된 형상만을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10)의 커버 힌지부(20)는 힌지 몸체(3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힌지 몸체(30)와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에 반하여, 힌지 몸체(30)는 힌지 몸체 지지부(40)와 분리가능하게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힌지 몸체(30)는, 커버 힌지부(20)의 회동 중심을 이루는 힌지축을 둘러싸는 힌지축 커버부(32)와 상기 힌지축 커버부(32)의 하측에 마련되 어 힌지축을 지지하는 힌지축 지지부(36)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힌지축 지지부(36)는 힌지 몸체 지지부(40)에 탈착가능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힌지축 지지부(36)는 직사각형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49)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힌지축 지지부(36)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측에는 걸림홈(362)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축 지지부(36)의 외주면에는 도 2에서 볼 때 전면의 양 모서리부에 두개의 사각형상의 걸림홈(362)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배면의 양모서리부에도 동일하게 사각형상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힌지 몸체 지지부(40)는 중공의 직사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40)는 내측부가 상기 힌지축 지지부(36)의 외주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힌지축 지지부(36)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40)에는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축 지지부(36)가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상측 개구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힌지축 지지부(36)의 걸림홈(362)과 대응되는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내측에 걸림 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힌지축 지지부(36)가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상측으로부터 끼워져 결합된 경우 힌지축 지지부(36)의 걸림홈(362)이 힌지 몸체 지지부(40) 내측의 걸림 돌기(42)에 결합되어, 힌지축 지지부(36)가 힌지 몸체 지지부(4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축 지지부(36)가 힌지 몸체 지지부(40)에 끼워질 때, 상기 힌지축 지지부(36)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축 지지부(36)의 중앙에는 가이드 홈(3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364)에 삽입되는 가이드 리브(4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하측 모서리에는 상기 힌지축 지지부(36)에 형성된 걸림홈(362)의 형상과 동일한 걸림홈(4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하측단부에는 가이드 돌기(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48)는 회동 몸체 지지부(40)의 하측단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단편으로 형성되며, 도 2를 참조하면 걸림홈(46)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회동 몸체 지지부(40)의 걸림홈(46) 및 가이드 돌기(48)는 상기 회동 몸체 지지부(40)를 베이스부(50)에 결합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보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부(50)에는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하측단이 삽입되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안착홈(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54)의 내측에는 힌지 몸체 지지부(40)에 형성된 걸림 돌기(4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 돌기(도 11의 56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54)의 하측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48)가 결합되는 가이드홀(도 11의 58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40)는 상기 베이스부(50)의 안착홈(54)에 끼워짐으로써 베이스부(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하측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48)는 안착홈(54) 내의 가이드홀에 끼워지고, 힌지 몸체 지지부 하측의 걸림홈은 안착홈(54)내의 걸림 돌기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40)는 베이스부(5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힌지 몸체(30), 힌지 몸체 지지부(40) 및 베이스부(50)는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성형되어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힌지 몸체 및 힌지 몸체 지지부의 결합 및 힌지 몸체 지지부 및 베이스부의 결합에 사용된 걸림홈 및 걸림 돌기는 상호간에 위치가 바뀌어도 상관없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걸림홈 및 걸림돌기의 위치 및 개수는 제작되는 힌지 몸체, 힌지 몸체 지지부 및 베이스부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힌지 몸체, 힌지 몸체 지지부 및 베이스부를 상호 조립하는 것은 힌지 몸체를 힌지 몸체 지지부의 상측에 끼워 서로 결합하고, 상기 힌지 몸체가 결합된 힌지 몸체 지지부의 하측단을 베이스부의 안착홈에 결합함으로써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힌지 몸체, 힌지 몸체 지지부 및 베이스부가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포장하는 경우 힌지 몸체, 힌지 몸체 지지부 및 베 이스부를 분리하여 포장함으로써 포장시 스탠드가 차지하는 부피가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커버 힌지부(20)와 힌지 몸체(30)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세히,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10)의 힌지부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고정되는 커버 힌지부(20), 상기 커버 힌지부(20) 내측에 결합되는 힌지축 조립체(21) 및 상기 힌지축 조립체(21)가 고정되는 힌지 몸체(30)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커버 힌지부(20)는 상기 힌지 몸체(30)의 양측에서 상기 힌지 몸체(30)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커버 힌지(220)(240)로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도 3에서 볼 경우 힌지 몸체의 우측에 위치한 커버 힌지를 우측 커버 힌지(220)로 칭하고, 힌지 몸체의 좌측에 위치한 커버 힌지를 좌측 커버 힌지(240)로 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는 우측 커버 힌지(22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우측 커버 힌지(220)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고정되는 배면 고정부(230)와 상기 배면 고정부(230)를 둘러싸고 힌지부의 커버를 이루는 커버면(221)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상기 배면 고정부(230)는 우측 커버 힌지(220)의 내측부에 마 련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구조물로 형성된다.
상기 배면 고정부(230)의 내측면(231)에는 하기하는 키브라켓(22)이 수용되는 키브라켓 삽입홀(236)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 고정부(230)의 전면에는 중공의 원형 기둥으로 형성되고, 전방으로 개구된 하나 이상의 결합홀(232)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홀이 배면 고정부에 2개가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은 결합홀(232)의 수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상기 결합홀(232)에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돌출된 돌기부(미도시)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돌기부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직접 형성된 돌출부 또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백커버 내측으로부터 결합되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으로 돌출된 별개의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우측 커버 힌지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결합홀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배면 고정부(230)의 내측은 빈 공간으로 마련된다. 이는 우측 커버 힌지를 플라스틱으로 성형할 때 필요한 재료를 줄이기 위함이다.
이 때, 우측 커버 힌지(220)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홀(232)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결합홀(232)의 주위에는 지지리브(234)가 수직 및 수평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결합홀(232)의 주위에 형성된 지지리브(234)는 결합홀(232) 뿐 아 니라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를 형성하는 구성요소인 커버 힌지(220)(240), 힌지 몸체(30) 및 베이스부(50)의 곳곳에 형성되는데, 이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 지지리브가 형성되는 위치는 해당되는 위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우측 커버 힌지(220)의 배면 고정부(230)의 내측면 하부에는 "T"자 형상의 키브라켓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키브라켓 삽입홈(236)에는 하기하는 힌지축 조립체(21)의 키브라켓(22)이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키브라켓 삽입홈(236)에 끼워지는 키브라켓(22)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키브라켓 삽입홈(236)의 주변에는 키브라켓 지지리브(23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면 고정부(230)의 외측부에는 상기 우측 커버 힌지(220)의 외측 표면을 이루는 커버면(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면(221)은 상기 배면 고정부(230)가 배면에 고정될 때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으로 드러나 보이는 면으로서, 스탠드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히, 상기 커버면(221)은 우측 커버 힌지(220)의 내측부에 위치한 'ㄱ'자 형상의 중앙 커버면(222)과 상기 중앙 커버면(222)의 외측 테두리부로부터 수직으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측면 커버면(223), 및 상기 측커버면에 수직하게 외측으로 연장된 외부 커버면(2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 커버면(222)의 내측에는 중앙 커버면(222)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지지리브(2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 커버면(222)의 외측면에는 수직한 홈이 나란하게 배열된 그루브(2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중앙 커버면(222)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측면 커버면(223)은 배면 고정부(230)와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져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측면 커버면(223)의 외측에 형성되되는 외부 커버면(224)은 그 전면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10)의 힌지부에서는 이와 같은 커버면(221)이 힌지축을 둘러싸는 배면 고정부(23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커버면(221)이 배면 고정부(230)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스탠드에 사용된 힌지부가 메탈 소재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별도의 커버가 필요하였던 것과 달리, 간단하게 힌지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좌측 커버 힌지(240)는 우측 커버 힌지(220)와 서로 대칭인 구조로 이루어지며, 힌지축이 수용되는 내측면의 형상만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좌측 커버 힌지(240)의 구조 중 우측 커버 힌지와 동일한 구조에 대하여는 우측 커버 힌지의 구조의 설명으로 갈음하도록 하고, 우측 커버 힌지와 다른 구조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좌측 커버 힌지(240)의 내측면에는 도 4의 우측 커버 힌지(220) 내측면에 형성된 'T'자형 키브라켓 삽입홈(236)이 형성되지 아니하고, 도 3의 힌지 몸체(30)에 형성된 원형의 고정 힌지축(33)이 수용되는 원형홈(도 8의 246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에서 실질적으로 회동되는 힌지축(24)이 우측 커버 힌지(220)에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왜냐하면 힌지축(24)이 상기 커버 힌지 중 일측에만 형성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힌지부에 결합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가 회동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의 수를 줄이기 위하여 커버 힌지의 일측에만 힌지축 조립체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힌지축 조립체는 양측 커버 힌지에 모두 설치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며, 이와 같이 힌지축 조립체가 양측 커버 힌지에 모두 설치될 경우 우측 및 좌측 커버 힌지는 좌우 대칭인 구조를 갖게 될 것이다.
상기 힌지 몸체(30) 및 우측 커버 힌지(220)에 결합되는 힌지축 조립체(21)에 대하여 도면을 달리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도 3에 도시된 힌지축 조립체(21)가 분해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축 조립체(21)는 T자 형상의 키브라켓(22)과 상기 키브라켓(22)의 일측면에 형성된 홀(23)에 삽입되는 힌지축(24) 및 상기 힌지축(24)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마찰 스프링(26)으로 형성된다.
상기 키브라켓(22)은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메탈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브라켓(22)의 중앙에는 힌지축이 관통하는 홀(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23)에 힌지축(24)이 회동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키브 라켓(22)은 힌지축(24)이 회동될 때 함께 회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키브라켓(22)의 단면은 대략 사다리꼴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상기 키브라켓(22)의 측면 중 우측 커버 힌지(220)의 삽입홀(236)에 삽입되는 측면(228)은 반대편 측면(227)보다 작은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키브라켓의 단면(도 5의 Ⅲ-Ⅲ´)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키브라켓(22)의 반대편 측면(227)은 우측 커버 힌지의 키브라켓 삽입홀(236)의 개구보다 조금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메탈 소재의 키브라켓(22)이 플라스틱 소재의 우측 커버 힌지(220)에 견고하게 강제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축(24)은 상기 키브라켓(22)에 끼워질 때 반 이상이 키브라켓(2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된 나머지 힌지축(24)은 마찰 스프링(26)의 홀(27)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힌지축(24)에 키브라켓(22)과 마찰 스프링(26)이 끼워진 상태로 힌지축 조립체(21)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 조립체(21)의 키브라켓(22)은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측 커버 힌지(220)의 내측면에 형성된 키브라켓 삽입홀(236)에 강제로 끼워져 고정되고, 마찰 스프링(26)은 하기 하는 힌지 몸체(30)의 마찰 스프링 삽입홀(28)에 끼워져 고정된다.
도 7에는 상기 힌지축 조립체(21)가 고정되는 힌지 몸체(30)의 사시도가 도 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힌지 몸체(30)는 우측 커버 힌지(220)와 좌측 커버 힌지(240)가 결합되는 힌지축 커버부(32)와 상기 힌지축 커버부(32)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 커버부(32)를 힌지 몸체 지지부(40)에 고정시키는 힌지축 지지부(36)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 커버부(32)의 중앙에는 마찰 스프링(26)이 끼움 결합되는 힌지축 수용홈(28)과 고정 힌지축(33)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 수용홈(28)은,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축 커버부(32)의 우측 측면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 수용홈(28)의 일측에는 마찰 스프링의 'ㄱ'자 형 돌출부(262)가 끼워지는 'ㄱ'자형 돌출부 홈(29)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마찰 스프링(26)이 힌지 몸체(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고정 힌지축(33)은 좌측 커버 힌지(240)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도 8의 246참조)에 끼워짐으로써 좌측 커버 힌지(24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돌기부이다.
이 때, 상기 고정 힌지축(33)은 상기 홈에 강하게 결합되지 아니하며, 약간 헐겁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는 상기 고정 힌지축(33)이 좌측 커버 힌지(240)와 강하게 결합되면, 우측 커버 힌지(220)에 결합된 힌지축(24)이 회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힌지축(33)의 외주부에는 상기 고정 힌지 축(33)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리브(34)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 몸체(30)의 힌지축 커버부(32)의 상부는 반구형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 커버부(32)의 하부는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에 가까운 전면(321)이 반대편 배면(322)보다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힌지 몸체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커버 힌지의 회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힌지축 커버부(32)의 배면의 외측 표면(322)에는 그루브(35)가 수직으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커버 힌지(220)(240)의 중앙면에 형성된 그루브와 유사하게 힌지축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힌지축 커버부(32)의 하측에 형성된 힌지축 지지부(36)는 배면측이 전면측보다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하측 단면이 수평하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8은 커버 힌지, 힌지축 조립체 및 힌지 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의 Ⅰ-Ⅰ´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 몸체(30)의 하측에 형성된 힌지축 지지부(36)는 중앙에 가이드 홈(364)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빈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이와 같은 힌지축 지지부(36)의 내부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힌지축 지지부의 내부에 지지리브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는 상기 힌지 몸체(30)를 지지하는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단면도로 서, 도 2의 Ⅱ-Ⅱ′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 몸체 지지부(40)는 내부가 빈 직사각형 형상의 기둥으로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상측 내부에는 걸림 돌기(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하측 외부에는 걸림홈(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42)는 소정의 폭을 갖는 돌출부로서 상측에 경사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부(43)는 힌지 몸체(30)가 상측 개구(49)로 삽입될 때 걸림돌기(42)와 힌지 몸체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는 하기하는 베이스부(50)에 형성된 걸림돌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상기 걸림홈(46)은 상기 힌지 몸체(30) 외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만큼 들어간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46)의 상측부는 경사면(47)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47)은 베이스부(5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의 경사부가 안착되는 위치이다.
한편,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내측 상부에는 힌지 몸체(30)의 가이드 홈(364)이 끼워지도록 가이드 리브(45)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리브(45)는 힌지 몸체(30)가 힌지 몸체 지지부(40)에 끼워질 때 가이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강성을 강하게 하는 뼈대와 같은 역할을 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의 내부 강성을 강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지지리브가 힌지 몸체 지지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걸림홈(46)이 형성된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하측부가 힌지 몸체 상측부에 비하여 작은 내부 폭을 갖도록 힌지 몸체 지지부의 중간 하측부에는 상측부보다 내측으로 꺾인 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40) 중 층진 부분의 하측이 베이스부(50)의 안착홈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힌지 몸체 지지부(40)는 베이스부(50)에 더욱 견고하게 안착된다.
도 11에는 베이스부(50)의 상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는 베이스부(50)의 하측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베이스부(50)의 중앙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52)의 넓이는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내측부에 형성된 빈 공간의 넓이와 동일하다.
상기 돌출부(52)의 주위에는 베이스부(50)의 상부면 보다 깊이 파인 안착홈(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54)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 돌기(56)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56) 하측에는 가이드 홀(58)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56)는 힌지 몸체(30)의 상측부에 형성된 걸림 돌기(42)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베이스부(50)에는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하측부 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돌출부(52)는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하측 개구로 삽입되어 들어간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 몸체 지지부(40)의 하측부에 형성된 걸림홈(46)이 상기 베이스부(50)의 걸림돌기(56)에 걸리게 된다. 이를 통해 힌지 몸체 지지부(40)가 베이스부(5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베이스부(50)의 상부면 하측에는 베이스부(50)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리브(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리브(53)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를 지지하는 베이스부(50)의 강성을 강화시킴으로써 보다 튼튼한 스탠드를 구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지지 리브(53)는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지지리브의 형상 및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외주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와 바닥면 사이의 마찰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고무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마찰 부재(57)가 하나 이상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형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탠드는 커버 힌지와 힌지 몸체를 조립하거나, 힌지 몸체와 힌지 몸체 지지부를 조립하거나, 힌지 몸체 지지부와 베이스부 를 조립할 때 별도의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조립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를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스탠드의 구성 요소 중 커버 힌지와 힌지 몸체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힌지 몸체 지지부와 베이스부는 상기 힌지 몸체에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로 조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손쉽게 별개로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개별적으로 분리되는 구성요소에 의하여 포장시 부피가 작아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는 힌지부가 커버 힌지, 힌지축 조립체 및 힌지 몸체로만 형성되므로, 구성 부품이 적게 들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는 배면 외측으로 드러나는 커버 힌지 자체가 힌지축에 결합되므로 별도로 힌지부를 감싸는 커버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종래의 스탠드에 비하여 구성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19)

  1.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결합되는 커버 힌지부;
    일측이 상기 커버 힌지부 내측에 고정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의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힌지축 수용부가 형성되는 힌지 몸체;
    상기 힌지 몸체의 일측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 몸체를 지지하는 힌지 몸체 지지부;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부가 포함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일측을 상기 커버 힌지부 내측에 회동 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키브라켓이 포함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타측과 힌지 몸체 사이에 마찰 스프링이 게재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힌지부는 좌우 한쌍의 커버 힌지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은 상기 커버 힌지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결합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몸체 및 힌지 몸체 지지부의 탈착가능한 결합은 상기 힌지 몸체 및 힌지 몸체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홈과 다른 하나에 형성된 결합 돌기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몸체와 힌지 몸체 지지부 사이의 결합은 상기 힌지 몸체의 일측이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의 상측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지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 및 베이스부의 탈착가능한 결합은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 및 베이스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홈과 다른 하나에 형성된 결합 돌기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와 베이스부의 결합은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의 하측이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에 형성된 안착홈에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지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힌지, 힌지 몸체, 힌지 몸체 지지부 및 베이스부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10.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결합되는 커버 힌지부;
    일측이 상기 커버 힌지부 내측에 고정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의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힌지축 수용부가 형성되는 힌지 몸체;
    상기 힌지 몸체의 일측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힌지 몸체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힌지 몸체 지지부가 포함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몸체 및 힌지 몸체 지지부의 탈착가능한 결합은 상기 힌지 몸체 및 힌지 몸체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홈과 다른 하나에 형성된 결합 돌기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몸체와 힌지 몸체 지지부 사이의 결합은 상기 힌지 몸체의 일측이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의 상측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지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몸체의 하측부에는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의 내측부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에 끼워지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14.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결합되고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되는 커버 힌지부;
    일측이 상기 커버 힌지부 내측에 고정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의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힌지축 수용부가 일측에 마련되고,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되는 힌지 몸체;
    상기 힌지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 몸체를 지지하는 힌지 몸체 지지부; 및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 몸체 지지부에 결합되고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부가 포함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힌지부의 외측 표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형성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몸체의 외측 표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형성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수용부의 외주부에는 지지리브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힌지부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 힌지부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리브가 형성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리브가 바둑판 형상으로 배열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KR1020050108670A 2005-11-14 2005-11-14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KR100776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670A KR100776420B1 (ko) 2005-11-14 2005-11-14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US11/493,002 US7591443B2 (en) 2005-11-14 2006-07-26 Stand of a display device
CNA2006101086664A CN1967730A (zh) 2005-11-14 2006-07-28 显示装置的支架
EP06254307.9A EP1785660B1 (en) 2005-11-14 2006-08-16 Stand for a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670A KR100776420B1 (ko) 2005-11-14 2005-11-14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162A true KR20070051162A (ko) 2007-05-17
KR100776420B1 KR100776420B1 (ko) 2007-11-16

Family

ID=37763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670A KR100776420B1 (ko) 2005-11-14 2005-11-14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91443B2 (ko)
EP (1) EP1785660B1 (ko)
KR (1) KR100776420B1 (ko)
CN (1) CN196773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822B1 (ko) * 2005-12-30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기기용 힌지 조립체
KR101125436B1 (ko) * 2007-12-28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 및플라스틱 힌지장치
CN105526474A (zh) * 2016-02-02 2016-04-27 福建新大陆电脑股份有限公司 条码识读设备专用底座
CN110345357A (zh) * 2019-08-02 2019-10-18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轨道交通站台顶箱多媒体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49735A3 (en) * 2003-01-09 2010-10-27 Sharp Kabushiki Kaisha Thin design display apparatus
CN101286371B (zh) * 2007-04-13 2010-09-29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高度调节装置及采用该高度调节装置的显示装置
CN101364449B (zh) * 2007-08-10 2010-09-29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具有一体成型支撑结构的平面显示器
US20090108166A1 (en) * 2007-10-31 2009-04-30 Eagle Fan Anchoring Apparatus For Connecting Device Holder
CN101660650B (zh) * 2008-08-26 2012-03-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支撑机构及采用该支撑机构的电子装置
JP2010068389A (ja) 2008-09-12 2010-03-25 Funai Electric Co Ltd 支持スタンド
JP5251771B2 (ja) * 2009-07-23 2013-07-31 船井電機株式会社 スタンド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リアキャビネット
US9046216B2 (en) * 2011-09-23 2015-06-02 Syncmold Enterprise Corp. Monitor stand
USD745854S1 (en) * 2013-03-25 201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receiver
USD735153S1 (en) * 2013-03-25 2015-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receiver
US9272829B2 (en) * 2013-09-09 2016-03-01 Lennox Industries Inc. Stacking bracket
US9151535B2 (en) * 2013-09-09 2015-10-06 Lennox Industries Inc. Stacking bracket
CN204254178U (zh) * 2014-11-28 2015-04-08 高创(苏州)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支撑座及显示装置
EP3407597B1 (en) * 2016-12-23 2022-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tand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2270693B1 (ko) 2016-12-23 202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18731A (ko) * 2019-04-08 2020-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527155U1 (de) * 1985-09-23 1986-07-1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Neigungsvorrichtung für Sichtgeräte
US4881707A (en) * 1989-02-23 1989-11-21 Clamp Swing Pricing Co. Sign holder device
TW327460U (en) * 1996-11-16 1998-02-21 Adi Corp Liquid crystal display capable of leaning forward and backward
KR20000016094U (ko) * 1999-01-25 2000-08-16 구자홍 케이스 결합장치
KR100386180B1 (ko) * 2000-10-05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랫 패널형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US6874744B2 (en) * 2002-02-25 2005-04-05 Wacom Co., Ltd. Stand for supporting a display in multiple orientations and a display used in combination with said stand
KR100520060B1 (ko) * 2002-05-28 2005-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TW543017B (en) * 2002-09-20 2003-07-21 Benq Corp Monitor with changeable stand
KR100482007B1 (ko) * 2002-09-28 2005-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TWI224467B (en) * 2003-03-26 2004-11-21 Benq Corp Stand
TW570260U (en) * 2003-05-16 2004-01-01 Tatung Co Tilt-angle rotating shaft structure of display
TWM244714U (en) * 2003-09-05 2004-09-21 Hon Hai Prec Ind Co Ltd Adjusting apparatus for monitor
KR100568181B1 (ko) * 2003-10-17 200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050103797A1 (en) * 2003-11-13 2005-05-19 Monoflo International, Inc. Plastic container including plastic hinge assembly
KR20050117212A (ko) * 2004-06-10 2005-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스탠드 착탈장치
JP4224712B2 (ja) * 2004-09-24 2009-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器及びその組立方法
US7274557B2 (en) * 2004-12-16 2007-09-2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Apparatus for mounting a display system to a front side of a surface
KR100682670B1 (ko) * 2005-11-02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 구조 및 상기 힌지 구조를 사용한 스탠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822B1 (ko) * 2005-12-30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기기용 힌지 조립체
KR101125436B1 (ko) * 2007-12-28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 및플라스틱 힌지장치
CN105526474A (zh) * 2016-02-02 2016-04-27 福建新大陆电脑股份有限公司 条码识读设备专用底座
CN110345357A (zh) * 2019-08-02 2019-10-18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轨道交通站台顶箱多媒体系统
CN110345357B (zh) * 2019-08-02 2024-04-02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轨道交通站台顶箱多媒体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91443B2 (en) 2009-09-22
CN1967730A (zh) 2007-05-23
US20070108359A1 (en) 2007-05-17
KR100776420B1 (ko) 2007-11-16
EP1785660A2 (en) 2007-05-16
EP1785660B1 (en) 2013-10-02
EP1785660A3 (en)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420B1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KR100682670B1 (ko) 힌지 구조 및 상기 힌지 구조를 사용한 스탠드
US11186940B2 (en) Washing machine
US8573552B2 (en) Cup holder assembly having a pair of lids and a single release button
US5895022A (en) Monitor support adjusting apparatus
US7058176B2 (en) Cover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9045247A (ja) 把手
KR100727148B1 (ko) 영상 표시기기의 틸트 제어 장치
JP3797944B2 (ja) カプセル玩具
JP5467613B2 (ja) ミラー本体の支持構造
KR101539328B1 (ko) 다인용 공용 책상의 구획 설비
KR20045443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탠드
JP7205892B2 (ja) 収納ケース
KR20080067780A (ko) 스탠드조립체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WO2019031476A1 (ja) 容器
KR101030496B1 (ko) 냉장고 도어 포켓
KR100714512B1 (ko)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폴더형이동통신 단말기
JP4963407B2 (ja) パウダー容器
JP3096246U (ja) Dvdプレーヤー装置
KR100334431B1 (ko) 조립식 스위밍 풀
KR100630221B1 (ko) 반자동 회전구조를 가지는 배터리팩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JP2005296221A (ja) コンパクト容器
JP5536820B2 (ja) 弾球遊技機
KR200357279Y1 (ko) 냉장고 도어구조
KR19990022213U (ko) 라이터진열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