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436B1 - 디스플레이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 및플라스틱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 및플라스틱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436B1
KR101125436B1 KR1020070140920A KR20070140920A KR101125436B1 KR 101125436 B1 KR101125436 B1 KR 101125436B1 KR 1020070140920 A KR1020070140920 A KR 1020070140920A KR 20070140920 A KR20070140920 A KR 20070140920A KR 101125436 B1 KR101125436 B1 KR 101125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inge shaft
receiving portion
shaft receiving
bac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2723A (ko
Inventor
김정렬
함영운
김철홍
이문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0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436B1/ko
Publication of KR20090072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플라스틱을 재질로 함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경쾌하고 안정적으로 발생되는 마찰력이 제공되고, 디스플레이 기기의 요동이 방지되고, 힌지장치가 값싸게 제작 가능하고, 조립 과정도 편리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치되는 백커버; 힌지축을 가지는 힌지몸체; 상기 힌지축이 수용되도록, 상기 백커버에 형성되는 힌지축 수용부; 상기 힌지몸체가 상기 힌지축 수용부로 가압되도록, 상기 백커버에 체결되어 상기 백커버와 함께 운동되는 힌지커버; 및 상기 힌지축 수용부와 상기 힌지축 간의 접촉부의 어느 일 부분에서 마찰력이 집중하여 발생되도록 하는 마찰력 집중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가 개시된다.
힌지,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 및 플라스틱 힌지장치{Display device, hinge for a display device, and plastic hing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지를 재질로 하는 플라스틱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기로 예시되는 거의 모든 기계장치에는 힌지가 사용되고 있다. 그 힌지는, 기계장치가 외력에 의해서 서로 회동할 수 있는 관절구조를 제공하고, 그 외력이 없어졌을 때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하여 관절구조가 멈추어져 있도록 한다.
상기 힌지는 디스플레이 기기에도 마찬가지로 이용되는데, 대표적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지주부와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사이에 힌지를 적용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주된 사용처로 예시하여 본 발명의 힌지장치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틸팅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힌지장치가 대표적으로 예시되고, 상기 힌지장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회동에 대한 마찰력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더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힌지장치는 근래 들어서는 비용적인 면을 고려하여 플라스틱을 그 재질로 하는 일이 많다. 그러나 이로 인하여 종래 금속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되는 장점을 얻을 수는 있으나, 사출로 제작되는 힌지장치는 사출의 과정 중에 변형이 잦고 변형이 일어나기 쉬워서, 힌지장치의 동작 중에 적절한 마찰력이 생기지 않는 경우가 잦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힌지장치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좌우로 요동하는 와블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플라스틱을 이용하는 힌지장치의 마찰력은, 힌지장치를 체결하는 나사의 체결력에 의해서 좌우되는 구조로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장치의 접촉면의 형상에 따라서 그 동작 중에 발생되는 마찰력이 현저하게 차이가 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사용되는 힌지장치의 구조 및 형상을 개선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회동 중에 적정의 마찰력이 안정적으로 발생되고, 디스플레이 기기의 요동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안정적인 동작이 유지되도록 하고, 값싸게 제조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플라스틱을 주된 재질로 함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마찰력이 발생되고, 그 마찰력이 증진될 수 있고, 움직임이 경쾌하게 일어나는 플라스틱 힌지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 장치에는,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치되는 백커버; 힌지축을 가지는 힌지몸체; 상기 힌지축이 수용되도록, 상기 백커버에 형성되는 힌지축 수용부; 상기 힌지몸체가 상기 힌지축 수용부로 가압되도록, 상기 백커버에 체결되어 상기 백커버와 함께 운동되는 힌지커버; 및 상기 힌지축 수용부와 상기 힌지축 간의 접촉부의 어느 일 부분에서 마찰력이 집중하여 발생되도록 하는 마찰력 집중부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전방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백커버; 상기 백커버에 형성되는 힌지축 수용부; 상기 힌지축 수용부의 안에 수용되는 힌지축을 제공되는 힌지몸체; 상기 힌지몸체를 상기 백커버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힌지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고, 상기 백커버에 체결되는 힌지커버; 상기 힌지축이 접하는 상기 힌지축 수용부의 접촉면 또는 상기 힌지커버의 접촉면에 개입되는 연질의 마찰부재; 상기 힌지몸체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의 하방을 지지하는 베이스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힌지장치에는, 단면의 적어도 일 부분이 원호형상으로 제공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축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힌지몸체; 상기 힌지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힌지축 수용부; 상기 힌지몸체를 상기 힌지축 수용부 측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몸체의 후방에서 상기 힌지축 수용부에 체결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힌지커버; 및 상기 힌지몸체가 상기 힌지축 수용부와 접하는 접촉부와, 상기 힌지몸체가 상기 힌지커버와 접하는 접촉부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에 개입되는 연질의 마찰부재가 포함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그 재질의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경쾌하고 동작되고, 안정적으로 마찰력이 제공되고, 디스플레이 기기의 요동, 특히 와블이 방지되고, 제조비가 싸게 되고, 제조 과정 편리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되고 기기의 배면을 보호하는 백커버(1)와, 백커버의 배면에 설치되는 마찰부재(2)와, 상기 백커버(1)에 고정되는 힌지몸체(3)와, 상기 힌지몸체(3)를 후방에서 덮어서 상기 힌지몸체(3)를 압박하는 힌지커버(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백커버(1)와 상기 힌지커버(4)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힌지몸체(3)와의 접촉면에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체결부재(7)가 더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몸체(3)에 체결되어 그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지주부(5)와, 상기 지주부(5)가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6)가 더 포함된다.
상기되는 구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힌지장치에서 금속성의 부재는 나사로 예시되는 체결부재(7) 뿐이고, 그 외의 물품은 전부가 플라스틱으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백커버(1), 상기 백커버(1)에 놓이는 연질의 마찰부재(2)-이것도 플라스틱을 재질로 할 수 있다-, 및 힌지커버(4)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함께 회동되도록 한다. 이에 반하여 상기 힌지몸체(3)는 베이스(6)와 함께 정지위치에 놓여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힌지몸체(3)와 상기 마찰부재(2)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 상기 힌지몸체(3)와 상기 힌지커버(4)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서 힌지의 회전동작 시에 마찰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 및 그 구성 간의 상호 작용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백커버(1)에는 자체적으로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가 제공된다. 상기 돌출부(11)에는 힌지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가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돌출부(11)는 사각형으로 구성되고, 네 귀퉁이 부분에는 체결홀(19)이 형성되는 체결부(13)가 제공되고, 상기 체결부재(7)가 삽입되어 힌지커버(4)가 돌출부(11)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11)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힌지축 수용부(12)가 반원형상으로 제공되고, 그 안으로는, 힌지몸체(3)의 힌지축(31)이 수용된다. 상기 힌지축 수용부(12)의 좌우단부에는 벽(18)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31)의 안착동작이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힌지장치의 체결작업이 수행될 때에는, 상기 힌지축(31)이 상기 벽(18)에 의해서 좌우단부가 가이드 되는 상태에서 안착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힌지축 수용부(12)에는 상기 벽(18)의 직근 내측에 제공되어, 상기 힌지축(31)이 안착되는 가이드부(14)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4)에는 슬릿(16)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부(14)와 일정거리 이격되는 마찰부(15)가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이드부(14) 및 상기 마찰부(15)는 그 양자가 서로 동일하게 백커버(1)와 함께 사출되는 부분이지만, 상기 슬릿(16)에 의해서 서로가 이격되어 있다. 그로 인하여 상기 마찰부(15)는 가이드부(14)와는 별도로 힌지장치의 작용시에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 작용은 뒷 부분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기 마찰부(15)의 대략 중앙부에는 삽입홈(17)이 형성되고, 그 삽입홈(17) 의 안으로는 마찰부재(2)가 안착된다. 상기 마찰부재(2)는 직접 상기 힌지축(31)과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마찰력이 발생되는 구성을 이루게 된다.
상기 힌지몸체(3)에는 원통형상으로 제공되는 힌지축(31)과, 상기 힌지축(31)의 형상을 보강하기 위하여 힌지축(31)의 후방에 형성되는 보강부(32)와, 상기 힌지축(31) 및 보강부(32)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32)에 의해서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는 힌지축(31)의 형상이 원형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힌지몸체(3)의 후방에는 힌지커버(4)가 마련된다. 상기 힌지커버(4)는 상기 보강부(32) 및 힌지축(31)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힌지축(31)과 마찰부재(2)와의 접촉면에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서 힌지축이 힌지축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를 보이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힌지축(31)은 상기 벽(18)에 의해서 좌우방향으로의 안착위치가 정확하게 가이드된다. 그리고 전후방향으로는 상기 가이드부(14)에 의해서 그 안착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힌지커버(4)가 상기 백커버(1)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 힌지축(31)이 가압되면, 상기 마찰부재(2)는 적절하게 변형되면서 힌지축(31)에 강하여 압착된다. 그러면, 상기 마찰부재(2)와 상기 힌지축(31) 간의 마찰력에 의해서 힌지장치의 회전동작에 대한 마찰력이 강하게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31)에서는 상기 마찰부(15)와 대응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일정길이(t1)만큼 더 도출되어, 마찰력의 발생량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마찰부재(2)와 상기 힌지축(31)의 접촉부에 의해서 집중적으로 마찰력이 발생되는 것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와블현상-디스플레이 기기가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플라스틱 간의 강한 마찰력을 얻기 위해서는 좌우로 원통형상으로 길게 마찰면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좌우양방향으로 길게 마찰면이 제공되면, 사출부재의 제조상의 공차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좌우측 중의 어느 일측은 좀 더 밀착되고, 다른 일측은 덜 밀착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러한 때에는, 어느 일측에 대하여 다른 일측이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되고, 그와 같은 흔들림은 결국 디스플레이 기기의 와블현상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본 실시예에서는 마찰부재(2)와 힌지축(31)이 강하게 접촉되고 다른 부분은 가이드 작용을 수행하도록 하여, 결국 힌지축(31)의 중앙부로 마찰력이 집중되도록 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찰부재가 힌지장치의 마찰력 집중부로 동작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힌지장치를 각 구성요소가 사출로 제작되는 중에 그 형상이 정확하게 제공되지 않더라도, 힌지장치는 와블현상이 없이 안정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렇다 할지라도, 마찰부재(2)는 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하여 외력을 가할 때 어느 정도 탄성변형 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힌지축(31)과 가이드부(14)는 서로 접촉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외력이 제거되면 곧 마찰부재(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므로, 사용자는 느끼는 와블현상은 없다.
또한, 상기 마찰부재(2)는 플라스틱의 열 변형-플라스틱이 열을 받으면 일정하게 부드럽게 늘어나는 현상-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기기가 오토다운-자중에 의해서 하측으로 처지는 현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마찰부(15)는 전체적으로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고 있기 때문에, 고온환경에 놓이게 되면 약간 정도 늘어나게 된다. 하물며, 상기 힌지축(31)의 압박에 의해서 인장력을 받고 있으므로, 그 신장력은 더욱 클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찰부(15)가 어느 정도 늘어난다고 할지라도 이는 상기 마찰부재(2)에 대한 힌지축(31)의 압박력이 어느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작용할 뿐이고, 마찰력을 그다지 저감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고온환경에서 플라스틱 힌지장치가 사용될 때에도 그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4)와 상기 마찰부(15)의 사이는 슬릿(16)에 의해서 일정 길이로 이격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백커버(1)의 사출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부(14)와 상기 마찰부(15)가 서로 이격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마찰부(15)는 띠와 같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이드부(14)와 함께 변형될 필요없이 마찰부(15) 자체만으로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마찰부재(2)에 대한 지지작용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는데, 이는 마찰부재(2)가 힌지축(31)에 의해서 밀릴 때, 적절한 변형에 의해서 이를 받혀주는 작용이 완벽하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가 전체적으로 체결된 상태를 기준으로 마찰력의 발생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마찰부(15)는 상기 마찰부재(2)에 의해서 어느 정도 후방으로 밀리면서 힌지축(31)과의 사이에 일정길이(t2) 만큼의 간격이 발생된다.
그렇다 할지라도, 도 4에 제시되는 마찰부 및 힌지축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마찰부(15)의 곡률반경(R2)은 상기 힌지축(31)의 곡률반경(R1)에 비하여 더 작다. 그러므로, 마찰부재(2)가 안착되는 마찰부(15)의 중앙부분이 밀리더라도, 마찰부(15)의 바깥쪽 부분은 상기 힌지축(31)으로 접근하여 마찰력이 원활하게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를 백커버의 전방에서 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에는, 힌지장치의 일 구성으로서 백커버(1)에 일체로 형성되는 마찰부(15)가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상기 마찰부(15)의 측방에는 가이드부(14)가 슬릿(16)이 개입된 상태로 제공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7)는 백커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어 힌지커버(4)를 당기는 작용을 수행한다.
상기되는 구성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힌지장치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고 양자가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한 부재가 제공된 상태에서, 적어도 어느 일 접촉부에는 고무로 예시되는 마찰부재가 개입되어서, 그 마찰력의 발생이 안정적이고, 적정한 마찰력 발생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작용이 수행되는 것 을 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에 따르면, 고온환경에 놓이더라도 일정 수준의 마찰력이 안정적으로 발생되도록 하여, 힌지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더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따르면,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는 힌지가 사용되더라도 와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사용자가 보다 더 경쾌하게 디스플레이 기기를 움직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외에도 본 발명의 사상은 하기되는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마찰부재(2)가 제거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마찰부(15)가 좀 더 힌지축으로 접근하거나, 상기 힌지축(31)의 부분 중에서 상기 마찰부(15)와 대응되는 부분이 좀 더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마찰부(15) 및 상기 힌지축(31)의 중앙부분이 좀 더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마찰부(15)의 형성위치로 마찰력이 집중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 기기의 와블이 발생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찰부와 상기 힌지축과의 접촉부에 마찰부재가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으나, 그와 같은 구조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상기 힌지커버와 상기 힌지몸체의 접촉부에 마찰부재가 개입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마찰부재가 지지되는 부분이 어느 정도의 변형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백커버 측에 형성되는 마찰부에 마찰부재가 놓이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플라스틱을 재질로 함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경쾌하고 안정적으로 발생되는 마찰력이 제공되고, 디스플레이 기기의 요동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힌지장치가 값싸게 제작이 가능하고, 그 조립 과정도 편리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서 힌지축이 힌지축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를 보이는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Ⅰ-Ⅰ'의 단면도.
도 4는 마찰부 및 힌지축의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를 백커버의 전방에서 바라본 정면 사시도.

Claims (12)

  1.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치되는 백커버;
    힌지축을 가지는 힌지몸체;
    상기 힌지축이 수용되도록, 상기 백커버에 형성되는 힌지축 수용부;
    상기 힌지몸체가 상기 힌지축 수용부로 가압되도록, 상기 백커버에 체결되어 상기 백커버와 함께 운동되는 힌지커버; 및
    상기 힌지축 수용부와 상기 힌지축 간의 접촉부의 어느 일 부분에서 마찰력이 집중하여 발생되도록 하는 마찰력 집중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수용부에는,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마찰부;
    상기 마찰부의 좌우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의 안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마찰부와 상기 가이드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이 포함되고,
    상기 마찰력 집중부는 상기 마찰부인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 수용부가 접촉되는 영역의 어느 일 위치에는 마찰부재가 개입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수용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연질의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
  6. 전방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백커버;
    상기 백커버에 형성되는 힌지축 수용부;
    상기 힌지축 수용부의 안에 수용되는 힌지축을 제공되는 힌지몸체;
    상기 힌지몸체를 상기 백커버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힌지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고, 상기 백커버에 체결되는 힌지커버;
    상기 힌지축이 접하는 상기 힌지축 수용부의 접촉면 또는 상기 힌지커버의 접촉면에 개입되는 연질의 마찰부재;
    상기 힌지몸체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의 하방을 지지하는 베이스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수용부는 상기 백커버에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수용부는 상기 백커버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수용부의 접촉면 또는 상기 힌지 커버의 접촉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0. 단면의 적어도 일 부분이 원호형상으로 제공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축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힌지몸체;
    상기 힌지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힌지축 수용부;
    상기 힌지몸체를 상기 힌지축 수용부 측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몸체의 후방에서 상기 힌지축 수용부에 체결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힌지커버; 및
    상기 힌지몸체가 상기 힌지축 수용부와 접하는 접촉부와, 상기 힌지몸체가 상기 힌지커버와 접하는 접촉부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에 개입되는 연질의 마찰부재가 포함되는 플라스틱 힌지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수용부에는, 상기 마찰부재가 제공되는 영역은 그 외의 다른 영역과 좌우방향으로 구분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절개되는 슬릿이 형성되는 플라스틱 힌지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수용부의 접촉부 또는 상기 힌지 커버의 접촉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힌지장치.
KR1020070140920A 2007-12-28 2007-12-28 디스플레이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 및플라스틱 힌지장치 KR101125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920A KR101125436B1 (ko) 2007-12-28 2007-12-28 디스플레이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 및플라스틱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920A KR101125436B1 (ko) 2007-12-28 2007-12-28 디스플레이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 및플라스틱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723A KR20090072723A (ko) 2009-07-02
KR101125436B1 true KR101125436B1 (ko) 2012-03-27

Family

ID=4132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920A KR101125436B1 (ko) 2007-12-28 2007-12-28 디스플레이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 및플라스틱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4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89362B2 (ja) 2020-02-18 2022-12-1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ミネラル含有水組成物
CN115443254A (zh) 2020-02-18 2022-12-06 三得利控股株式会社 矿物质浓缩液组合物
EP4108099A4 (en) 2020-02-18 2024-04-03 Suntory Holdings Ltd METHOD FOR EXTRACTING MINERALS FROM ACTIVATED CARBON IN PLANT RAW MATERIA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280A (ko) * 2004-03-08 2005-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용 스탠드 구조
KR100682670B1 (ko) 2005-11-02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 구조 및 상기 힌지 구조를 사용한 스탠드
KR20070051162A (ko) * 2005-11-14 2007-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KR20070107216A (ko) * 2006-05-02 2007-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힌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엘씨디 모니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280A (ko) * 2004-03-08 2005-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용 스탠드 구조
KR100682670B1 (ko) 2005-11-02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 구조 및 상기 힌지 구조를 사용한 스탠드
KR20070051162A (ko) * 2005-11-14 2007-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KR20070107216A (ko) * 2006-05-02 2007-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힌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엘씨디 모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723A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7505B1 (ko)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KR101125436B1 (ko) 디스플레이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힌지장치, 및플라스틱 힌지장치
US20100270138A1 (en) Push button switch for electric device
US20060290686A1 (en) Input pen
US20140110546A1 (en) Mounting frame and supports to mount a component of a computing system
US20070133157A1 (en) Automatic stabilizing device for a display
JP2002291554A (ja) 機器用調整脚
JP2007244440A (ja) 電気かみそり
JP3853998B2 (ja) 操作装置
KR102351769B1 (ko) 플레이트 고정 장치
CN110770493B (zh) 托件
JP2008244562A (ja) 電源コードの固定構造
US8305740B2 (en) Electronic device
US20010048588A1 (en) Printed circuit board retaining device for monitors
JP5322324B2 (ja) チルトフット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投写型表示装置
JP4479529B2 (ja) 押圧操作装置
KR200193675Y1 (ko) 컴퓨터 본체의 구조
JP3825602B2 (ja) ケースの取付け構造及び取付け方法
JP4000483B2 (ja) 押し釦装置
JP2004039324A (ja) キー釦
KR970071199A (ko)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도어를 갖는 컴퓨터
KR200231013Y1 (ko) 평판영상표시기기의받침장치
KR100638269B1 (ko) 냉장고용 핸들조립체
KR101294753B1 (ko) 배터리 수납 구조체
JP2023144707A (ja) 電子機器における表示器のチル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