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731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731A
KR20200118731A KR1020190041074A KR20190041074A KR20200118731A KR 20200118731 A KR20200118731 A KR 20200118731A KR 1020190041074 A KR1020190041074 A KR 1020190041074A KR 20190041074 A KR20190041074 A KR 20190041074A KR 20200118731 A KR20200118731 A KR 20200118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ing portion
display device
fasten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1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8731A/ko
Priority to US17/602,225 priority patent/US11809226B2/en
Priority to PCT/KR2019/009393 priority patent/WO2020209446A1/ko
Publication of KR20200118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바닥부에 제1 결합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모듈의 지지 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얇은 두께와 넓은 면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와 쉽게 조립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지지 부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우수한 조립성 및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바닥부에 제1 결합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에 후방이 개방되며 상기 제1 결합부가 위치하는 오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되어 상기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기 제2 결합부 또는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하여 상기 제2 결합부를 상기 제1 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커버의 바닥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가 전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는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부로 돌출된 돌출 부분과, 상기 제1 결합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돌출 부분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 부분 및 상기 수용 부분의 후방에서 하부로 연장된 걸림 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를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에서 메인 바닥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바닥면을 포함하는 함몰 부분; 및 상기 함몰 부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바닥면, 그리고 상기 제2 바닥면의 양측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레일부를 구비하는 결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제1 바닥면과 상기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2 레일부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2 레일부 위에 각기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를 후방에서 연결하며 상기 제1 바닥면과 상기 제2 바닥면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3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닥면과 상기 제1 또는 제2 레일부 사이의 거리가 전방으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 레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안착부는 두께가 전방으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닥면에 각기 제1 체결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제2 바닥면을 향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2 체결공을 구비하는 체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분의 하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공 및 상기 제2 체결공을 통하여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분에 상기 체결 부재에 대응하여 돌출된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의 상부 선단에 상기 제2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내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커버의 메인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닥면과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된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커버의 내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부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고정 부재에 양측이 고정되는 회로 어셈블리와, 상기 회로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메인 바닥면 사이에서 상기 커버의 내면과 상기 회로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외면을 구성하는 외면부와, 상기 외면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내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면부에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결합에 관여하는 슬라이딩 결합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면부에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한 상기 체결 고정에 관여하는 체결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는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 부재의 부분이 상기 외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체결부가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기둥과, 상기 지지 기둥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을 구성하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가 일체의 구조를 가져,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 부재가 디스플레이부의 무게를 직접 받쳐줘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흔들림 등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예를 들어, 흔들림 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전후로 흔들리는 등의 미세 유동이 발생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쓰러지는 현상)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를 디스플레이부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고정 또는 가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조립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 부재에 의하여 슬라이딩 결합에 의한 고정 또는 가고정을 좀더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체결 부재에 의한 체결 고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와 지지 부재를 간단한 구조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 부재가 일체의 구조 또는 하나의 몸체를 가지는 하나의 부품으로 구비되어, 조립 편의성, 재료비 절감, 깔끔한 디자인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지지 부재의 하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2 결합부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커버 및 회로부의 일부를 커버의 내면 쪽에서 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회로부의 일부를 제1 결합부에 고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지지 부재의 슬라이딩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절단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 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지지 부재의 하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바닥부(BS)에 제1 결합부(도 4의 참조부호 110, 이하 동일)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0)와, 제1 결합부(1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결합부(도 4의 참조부호 210, 이하 동일)가 상부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10)의 바닥부(BS)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20)를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디스플레이 모듈(12)과, 디스플레이 모듈(12)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2)에 결합되는 커버(14)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로, 디스플레이부(10)는 수평 방향(가로 방향, 도면의 x축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하 방향(세로 방향, 도면의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대략적인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부(10)가 수평 방향으로 장변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는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10)의 수평 방향의 폭과 상하 방향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디스플레이부(10)가 수평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장변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0)의 화면과 수직하는 두께 방향을 전후 방향(도면의 z축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0)의 커버(14)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2)로 향하는 방향, 즉, 화상이 표시되는 면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전방(도면의 양의 z축 방향)이라 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0)의 디스플레이 모듈(12)로부터 커버(14)로 방향, 즉,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면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후방(도면의 음의 z축 방향)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다양한 구조 또는 방식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2)이 액정 표시 장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질 수도 있고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은 후면 및/또는 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 베젤(bezel), 모듈 커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2)의 구동을 위한 회로부(도 6의 참조부호 16, 이하 동일)가 구비될 수 있다. 회로부(16)는 다양한 부재, 물품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회로부(16)가 전원 공급 부재, 구동 부재, 튜너 부재, 회로 어셈블리(도 6의 참조부호 16a, 이하 동일), 케이블(도 6의 참조부호 16b, 이하 동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부재는 디스플레이 모듈(1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동 부재는 디스플레이 모듈(12)에 표시되는 화상을 조절할 수 있다. 튜너 부재는 방송 정보 또는 외부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구동 부재에 제공할 수 있다. 회로 어셈블리(16a)는 다양한 역할을 하는 회로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리모컨에 의한 신호를 인식하는 적외선 수신부일 수 있다. 케이블(16b)은 회로 어셈블리(16a)에 연결되어 신호 등을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회로 어셈블리(16a)에 연결된 케이블(16b)은 회로부(16)의 다른 부재 등에 연결될 수 있다. 회로 어셈블리(16a) 및 케이블(16b)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로부(16)는 디스플레이 모듈(12)의 후방과 커버(14)의 전방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회로부(16)는 다양한 위치에 위치하거나 다양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회로부(16)는 디스플레이 모듈(12)의 후방 또는 커버(14)의 전방 또는 커버(14)의 바닥부(BS) 위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14)는 디스플레이 모듈(12)의 후방 및 이에 위치한 회로부(16)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2) 및 회로부(16)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디스플레이부(10)의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커버(14)는 디스플레이 모듈(12) 및/또는 회로부(16)를 덮어서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재질, 크기, 두께 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커버(14)는 디스플레이 모듈(12)의 후방에서 일체의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커버(14)가, 회로부(16) 이외의 부분을 덮는 커버와, 회로부(16)를 덮는 커버를 별개로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커버(14)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커버(14)는 금속, 고분자 물질(예를 들어, 수지), 강화 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4)는 디스플레이 모듈(12)에 끼워져서 고정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2)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의 바닥부(BS)(좀더 정확하게는, 커버(14)의 바닥부(BS))에 지지 부재(2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결합부(110)가 구비된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 부재(20)는 디스플레이부(10)의 바닥부(BS)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20)의 상부에 디스플레이부(10)의 커버(14)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결합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20)의 상부가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0)의 바닥부(BS)의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 부재(20)가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부(10)의 바닥부(BS)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이 전방으로 쓰러지는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20)에서 디스플레이부(10)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2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부재(20)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0)의 후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20)의 제2 결합부(210)는 체결 부재(도 4의 참조부호 310, 이하 동일)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0)(좀더 구체적으로, 커버(14))의 제1 결합부(110)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10) 및 체결 부재(31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와 지지 부재(20)의 슬라이딩 결합 및 체결 부재(310)를 이용한 체결 고정을 함께 사용하면 디스플레이부(10)와 지지 부재(20)의 조립성을 향상하면서도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다.
지지 부재(20)는, 제2 체결부(210)가 상부에 위치하며 수평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볼 때 디스플레이부(10)의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기둥(22)과, 지지 기둥(22)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을 구성하는 받침대(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기둥(22)과 받침대(24)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20)가 일체의 구조를 가져, 지지 부재(20)와 디스플레이부(10)의 결합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조립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0)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20)가 하나의 몸체(single body)로 구비되어 지지 부재(20)를 디스플레이부(10)에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일체의 구조 또는 하나의 몸체는 단일의 구조체로 구성된 것뿐만 아니라, 복수의 부분을 서로 분리되어 제조한 후에 결합하여 이동, 보관 시에 하나의 구조체로 이동, 보관되는 등 하나의 구조체로 기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20)가, 외면을 구성하는 외면부(도 4의 참조부호 202, 이하 동일)와, 외면부(도 4의 참조부호 204, 이하 동일)의 내부에 고정되며 제2 결합부(210)의 체결 부분(도 4의 참조부호 212, 이하 동일)을 포함하는 내면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면부(202)는 원하는 지지 기둥(22)의 외측 형상 및 받침대(24)의 외측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지지 부재(20)의 원하는 외측 형상을 외면부(202)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 및 제조 공정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고, 제2 결합부(210)의 체결 부분(212)은 체결에 적합한 구조, 우수한 강도 등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된 외면부(202), 그리고 내면부(204)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도록 결합되어 일체의 구조 또는 하나의 몸체를 구성할 수 있다.
외면부(202)와 내면부(204)는 필요한 특성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서로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외면부(202)와 내면부(204)는 접착, 끼움 결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면부(202)는 수지를 포함하여 우수한 외관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내면부(204)는 금속으로 구비되어 체결 시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외면부(202)는, 수지로 구성된 수지 플레이트와, 수지 플레이트 내면에 밀착되는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우수한 외관 및 우수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면부(202)의 금속 플레이트와 내면부(204)를 체결 부재 등으로 체결 고정할 수 있다. 그러면, 간단한 구조로 외면부(202)와 내면부(204)를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면부(202) 및 내면부(204)의 물질, 고정 구조 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지지 기둥(22)에서 전방을 향하는 전면이 디스플레이부(10)의 하부에서 디스플레이부(10)와 동일 평면 또는 디스플레이부(10)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기둥(22)은 상부보다 하부에서 더 큰 면적을 가져 디스플레이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 기둥(22)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면서 지지 기둥(22)의 후면이 후방을 향하여 더 많이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에 고정되는 지지 기둥(22)의 상부에서는 디스플레이부(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구비하지 않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기둥(22)의 하부는 후방을 향하여 돌출(일 예로, 받침대(24)의 다른 부분보다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충분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지지 기둥(22)의 하부는 받침대(24)와 함께 지지 부재(20)의 바닥면을 구성하는바, 지지 기둥(20)의 하부의 면적이 충분하게 확보되면 지지 부재(20) 및 이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부(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기둥(22)의 전면 및 후면을 연결하는 양측면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향하면서 지지 기둥(22)의 폭 또는 면적이 커지도록 대칭 구조로 경사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지지 기둥(22)의 외관 및 지지 부재(22)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지지 기둥(22)의 양측면은 바닥면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수평 방향에서의 지지 기둥(22)의 폭이 균일할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받침대(24)는 지지 부재(20)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을 구성할 수 있다. 받침대(24)는 바닥면 상에서 일정한 면적을 확보하여 지지 부재(20)에 균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대(24)가 지지 기둥(22)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연장되어 좌우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형상을 가지면서 양단부 사이에서 휘어지거나 굽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후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지거나 굽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받침대(24)는 후방으로 볼록한 활 또는 선형 초승달(linear crescent)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20)의 하부면은, 도 3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엔벨로프(envelope, NVLP)를 형성할 수 있다. 엔벨로프(NVLP)는 지지 부재(20)의 하부면의 외측을 감싸는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엔벨로프(NVLP)의 면적이 커지면 지지 부재(20)의 안정성이 커질 수 있다. 상술한 지지 기둥(22) 및 받침대(24)의 형상에 의하면 엔벨로프(NVLP)의 면적을 증가시켜 지지 부재(20)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지지 기둥(22)의 구조, 받침대(24)의 구조, 지지 기둥(22)과 받침대(24)의 결합 구조 등으로는 알려진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의 제1 결합부(110), 지지 부재(20)의 제2 결합부(210), 그리고 체결 부재(310)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0)의 제1 결합부(110)와, 이를 이용한 회로부(16)의 고정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2 결합부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커버(14) 및 회로부(16)의 일부를 커버(14)의 내면 쪽에서 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간략한 도시를 위하여 도 6에서는 체결 부재(31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회로부(16)의 일부를 제1 결합부(110)에 고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0)(좀더 구체적으로, 커버(14))의 바닥부(BS)에 후방이 개방되며 제1 결합부(110)가 위치하는 오목부(CP)가 구비된다.
이때, 제1 결합부(110)는, 커버(14)의 바닥부(BS)에서 메인 바닥면(MBS)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바닥면(112a)을 포함하는 함몰 부분(112)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 부분(112)은 제1 바닥면(112a)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제1 바닥면(112a)과 메인 바닥면(MBS)을 연결하는 측면(112b)를 포함한다. 이때, 측면(112b)은 제1 바닥면(112a)의 전방 가장자리와 이에 연결되는 양측 가장자리에만 대응하여 형성되고 후방 가장자리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함몰 부분(112)의 제1 바닥면(112a)과 측면(112b)에 의하여 커버(14)의 바닥부(BS)의 중앙 부분에 후방으로 개방되는 오목부(CP)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 결합부(110)는 함몰 부분(112)의 내부에 위치하는 결합 부분(114)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분(114)은 상하 방향에서 제1 바닥면(112a)과 이격하면서 함몰 부분(112)의 측면(112b)(특히, 제1 바닥면(112a)의 전방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전방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바닥면(112a)과 결합 부분(114) 사이에 제2 결합부(210)의 돌출부(PP)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일정한 간격 또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결합 부분(114)은 제2 결합부(210)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제1 바닥면(112a)과 간격을 두고 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바닥면(114a), 그리고 제2 바닥면(114a)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후 절곡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레일부(114b, 114c)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바닥면(114)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후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분(114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 부분(114d)에는 스토퍼 부재(320)의 적어도 일부(즉, 수용 부분(324) 및 걸림 턱(3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결합부(110)에서 제1 바닥면(112a) 및 제2 바닥면(114a)에 체결 부재(310)가 삽입 체결될 제1 체결공(FH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제2 결합부(210)에 형성된 제2 체결공(FH2) 및 체결 부재(310)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커버(14)의 내면, 좀더 상세하게는, 제1 결합부(110)의 전방 측면(좀더 구체적으로, 함몰 부분(112)의 전방 측면)에 회로부(16)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116)가 위치할 수 있다. 고정 부재(116)는 함몰 부분(112)의 전방 측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메인 바닥면(MBS)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회로부(16)의 적어도 일부(일 예로, 회로 어셈블리(16a) 및 케이블(16b)의 적어도 일부)가 메인 바닥면(MBS)과 고정 부재(116) 사이의 간격에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부재(116)는 함몰 부분(112)의 전방 측면에서 양측에 각기 위치하는 제1 고정 부재(116a) 및 제2 고정 부재(11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로 어셈블리(16a)가 제1 고정 부재(116a)와 제2 고정 부재(116b)에 각기 고정되고, 회로 어셈블리(16a)에 연결되는 케이블(16b)이 제1 또는 제2 고정 부재(116a, 116b)와 메인 바닥면(MBS)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회로 어셈블리(16a)의 양측에 각기 제1 및 제2 고정 부재(116a, 116b)의 선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160a)가 구비된다. 여기서, 케이블(116a)은 제1 또는 제2 고정 부재(116a)와 메인 바닥면(MBS) 사이에서 함몰 부분(112)의 측면(112b)(좀더 정확하게는, 전방 측면)과 결합부(16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 부재(116a, 116b)와 회로 어셈블리(16a)의 결합부(160a)로는 회로 어셈블리(16a)를 제1 및 제2 고정 부재(116a, 116b) 쪽으로 밀어서 넣는 것에 의하여 고정되는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고정 부재(116a, 116b) 및 결합부(160a)는 끼움 결합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및 제2 고정 부재(116a, 116b) 및 결합부(160a) 중 하나에 걸림 후크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걸림부(걸림 턱 또는 걸림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후크과 걸림부는 서로 계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고정 부재(116a, 116b) 및 결합부(160a) 중 하나에 형성된 걸림 후크가 다른 하나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회로 어셈블리(16a)가 끼워지는 부분에 바닥부(BS)의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바닥부(BS)에 오목부 등이 형성되거나, 바닥부(BS)에 오목부, 개구부 등이 형성되지 않고 회로 어셈블리(16a) 등이 위치할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구조, 형상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고정 부재(116)를 이용한 회로부(16)의 고정 구조는 도 7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로 어셈블리(16a)에 연결된 케이블(16b)을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바닥면(MBS)과 고정 부재(116) 사이로 밀어 넣어 삽입하고,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어셈블리(16a)의 결합부(160a)를 고정 부재(116)에 끼움 결합하여 케이블(16b)을 고정 부재(116)와 메인 바닥면(MBS) 사이에서 함몰 부분(112)의 측면(112a)(일 예로, 전방 측면)과 결합부(160a) 사이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고정 부재(116)를 이용하여 회로부(16)를 고정하며, 함몰 부분(112)의 외측에서 고정 부재(116)와 메인 바닥면(MBS) 사이에 회로부(16)의 적어도 일부(특히, 케이블(16b))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회로부(16)가 원하는 위치에서 이탈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또는 케이블(16b)이 함몰 부분(112)의 제1 바닥면(112a)의 위쪽에서 내측 브라켓(118)에 의하여 끼여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문제를 단순한 구조 및 공정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고 작업 불량 등에 의한 문제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어셈블리(16a)가 리모컨에 의한 신호를 인식하는 적외선 수신부일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원하지 않게 케이블(16b)의 끼임 현상 등이 발생하면 리모컨 인식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프 등의 부자재를 사용하면,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할 수 있고 테이프 등의 부자재에 의한 작업 불량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과 함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지지 부재(20)의 제2 결합부(210) 및 체결 부재(310),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부(10)와 지지 부재(20)의 슬라이딩 결합 및 체결 고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10)와 지지 부재(20)의 슬라이딩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절단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 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20)의 상부에 위치한 제2 결합부(210)가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PP)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면, 지지 부재(20)의 제2 결합부(210) 또는 돌출부(PP)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제1 결합부(110) 또는 오목부(CP)에 삽입하여 제2 결합부(210)를 제1 결합부(110)에 슬라이딩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오목부(CP)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돌출부(PP)가 결합되어 지지 부재(20)의 상부(좀더 구체적으로, 지지 기둥(22)의 상부)가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0)의 바닥부(BS)의 하부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10)는, 양측에서 함몰 부분(112)와 제1 레일부(114b) 및 제2 레일부(114c)의 사이로 삽입되어 제1 레일부(114b) 및 제2 레일부(114c)에 각기 안착되는 제1 안착부(214b) 및 제2 안착부(21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및 제2 결합부(110, 210)의 양측에서의 슬라이딩 결합에 의하여 고정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제1 안착부(214b)는, 상부로 돌출되어 제1 레일부(114b)의 단부와 함몰 부분(112)의 측면(112b)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연장 부분과, 제1 연장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1 레일부(114b) 위에 안착되는 제1 안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안착부(214c)는, 상부로 돌출되어 제2 레일부(114c)의 단부와 함몰 부분(112)의 측면(112b)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연장 부분과, 제2 연장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2 레일부(114c) 위에 안착되는 제2 안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레일부(114b, 114c), 그리고 제1 및 제2 안착부(214b, 214c)는 전후 방향(도면의 z축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닥면(112a)과 제1 또는 제2 레일부(114b, 114c) 사이의 거리가 전방으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제1 또는 제2 레일부(114b, 114c)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도록 상하 방향에서의 제1 또는 제2 안착부(214b, 214c)는 두께가 전방으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또는 제2 안착부(214b, 214c)가 삽입되는 부분인 입구에서는 제1 바닥면(112a)과 제1 또는 제2 레일부(114b, 114c) 사이의 거리가 제1 또는 제2 안착부(214b, 214c)의 선단 부분의 두께보다 커서 제1 또는 제2 레일부(114b, 114c) 위에 제1 또는 제2 안착부(214b, 214c)의 선단 부분을 쉽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미는 힘에 의하여 제1 또는 제2 안착부(214b, 214c)가 제1 또는 제2 레일부(114b, 114c)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또는 제2 안착부(214b, 214c)가 제1 또는 제2 레일부(114b, 114b)와 제1 바닥면(112a) 사이를 채우도록 자연스럽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결합부(210)와 제2 결합부(220)를 통한 슬라이딩 결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결합부(210)는 제1 안착부(214b)와 제2 안착부(214c)를 후방에서 연결하며 제1 바닥면(112a)과 제2 바닥면(114a)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3 안착부(21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안착부(214a)는, 상부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측에서 외면을 형성하는 제3 연장 부분과, 제3 연장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1 바닥면(112a)과 제2 바닥면(114a) 사이로 삽입되어 제1 바닥면(112a)과 제2 바닥면(114a) 사이를 메우는 제3 안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안착부(214a)는 오목부(CP) 또는 제1 결합부(110)의 개방된 후방을 메우면서 외면을 형성하는 마감 부재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안착부(214b), 제2 안착부(214c) 및 제3 안착부(214a)는 외면부(202)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외면부(202)에 의하여 지지 부재(20)의 내부 구조(예를 들어, 체결 부분(212)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210)에서 전방에 인접한 부분에 스토퍼 부재(320)가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 부재(320)는, 제2 결합부(210)에서 전방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부로 돌출된 돌출 부분(322)과, 제1 결합부(110)에서 돌출 부분(32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 부분(322)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 부분(324) 및 수용 부분(324)의 후방에서 하부로 연장된 걸림 턱(32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 부분(324)은 연장 부분(114d)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걸림 턱(326)은 연장 부분(114d)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부분에서 수용 부분(324)의 후방을 일부 막도록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 부분(322)은 체결 부분(212)이 형성된 내면부(204)와 별개 구조를 가지는 외면부(202)의 전방 부분에 위치하여 후방에서 전방으로 미는 힘에 의하여 쉽게 걸림 턱(326)을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부터 제2 결합부(210)를 제1 결합부(110)에 삽입하여 밀어 넣으면서 슬라이딩 결합 될 때 후방에서 미는 힘에 의하여 돌출 부분(322)이 걸림 턱(326)을 통과하여 수용 부분(324)에 안착되면 걸림 턱(326)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돌출 부분(322)이 걸림 턱(326)을 통과할 때 일정한 소리(예를 들어, 딸깍 소리)가 나면서 돌출 부분(322)이 수용 부분(324)에 안착된 것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0)와 지지 부재(20)의 가고정을 쉽게 인식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일 예로, 돌출 부분(322) 및 이에 대응하는 수용 부분(324)이 제2 및 제1 결합부(210, 110)의 전방에 인접한 부분에서 양측에 하나씩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스토퍼 부재(320)가 전방에 인접한 부분에서 양측에 위치하여 스토퍼 부재(320)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스토퍼 부재(320)에 의한 고정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토퍼 부재(320)의 개수, 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결합부(210)는 제2 바닥면(114a)을 향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2 체결공(FH2)을 구비하는 체결 부분(21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분(212)은 제1 안착부(214b), 제2 안착부(214c) 및 제3 안착부(214a)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 시에 체결 부분(212)은 제2 바닥면(114a)과 제1 및 제2 레일부(114b, 114c)에 의하여 둘러싸인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체결 부분(212)은 제2 체결공(FH2) 또는 체결 부재(310)에 각기 대응하여 상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부를 가질 수 있고, 볼록부의 상부 선단에 제2 체결공(FH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체결 부재(310)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볼록부가 구비되고 볼록부의 상부 선단에 각기 제2 체결공(FH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볼록부 사이(예를 들어, 중앙 부분)에 일종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면 사용자가 체결 부재(310)가 체결되어야 할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부재(310)가 체결되는 제2 바닥면(114a)과 체결 부분(212)의 부분을 밀착시키면서도 제2 바닥면(114a)과 체결 부분(212)의 간섭 또는 비틀림에 의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예로, 함몰 부분(112)의 전방 측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 구조(112c)가 구비되어, 체결 부분(212)의 복수의 볼록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함몰 부분(112)과 체결 부분(212)의 고정 구조를 좀더 안정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 구조(112c), 복수의 볼록부 등이 구비되지 않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체결 부재(310)가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210)에 체결되어 이들을 체결 구조에 의하여 고정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체결 부재(310)는 제2 결합부(210)의 하부로부터 제2 결합부(210) 및 제1 결합부(110)를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어 제2 결합부(210) 및 제1 결합부(110)에 체결될 수 있다. 그러면, 제2 결합부(210)를 구비한 지지 부재(20)와 제1 결합부(110)를 구비한 디스플레이부(10)를 체결 부재(310)를 이용한 체결 구조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어 좀더 견고하게 지지 부재(20)와 디스플레이부(10)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부재(310)가 지지 기둥(22)의 내부 공간에서 디스플레이부(10)의 내부 공간(좀더 구체적으로, 내측 브라켓(118)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되므로 외부에서 체결 부재(310)가 인식되지 않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체결 부재(310)는 나사, 스크류 등 다양한 구조,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체결 부재(310)는 함몰 부분(112)의 제1 바닥면(112a)를 관통하여 제1 바닥면(112a)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는데, 함몰 부분(112) 위에는 체결 부재(310)를 덮어서 고정하는 내측 브라켓(118)이 더 위치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10) 및 제1 결합부(110)를 관통한 체결 부재(310)는 내측 브라켓(118)에 형성된 너트, 나사산 등의 구조에 의하여 내측 브라켓(118)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 부재(310)가 제1 및 제2 체결공(FH1, FH2)에 의해서만 고정될 수도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부분(212)은 내면부(204)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슬라이딩 결합에 관여하는 제1 및 제2 안착부(214b, 214c) 및/또는 제3 안착부(214a)(슬라이딩 결합 부분)와 체결 고정에 관여하는 체결 부분(212)을 별개의 구조체에 형성하여 서로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안착부(214b, 214c) 및/또는 제3 안착부(214a)와 체결 부분(212)이 동일한 외면부(202) 또는 내면부(204)에 위치하거나, 지지 부재(202)가 외면부(202) 및 내면부(204)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그 외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0)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 부재(2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0)가 지지되는바, 지지 부재(20)가 디스플레이부(10)의 무게를 직접 받쳐줘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흔들림 등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예를 들어, 흔들림 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전후로 흔들리는 등의 미세 유동이 발생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쓰러지는 현상)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20)를 디스플레이부(10)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고정 또는 가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조립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 부재(320)에 의하여 슬라이딩 결합에 의한 고정 또는 가고정을 좀더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체결 부재(310)에 의한 체결 고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0)와 지지 부재(20)를 간단한 구조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 부재(20)가 일체의 구조 또는 하나의 몸체를 가지는 하나의 부품(one piece)으로 구비되어, 조립 편의성, 재료비 절감, 깔끔한 디자인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디스플레이부
20: 지지 부재
110: 제1 결합부
210: 제2 결합부
310: 체결 부재
320: 스토퍼 부재

Claims (20)

  1. 바닥부에 제1 결합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에 후방이 개방되며 상기 제1 결합부가 위치하는 오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되어 상기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기 제2 결합부 또는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하여 상기 제2 결합부를 상기 제1 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커버의 바닥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가 전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는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부로 돌출된 돌출 부분과, 상기 제1 결합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돌출 부분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 부분 및 상기 수용 부분의 후방에서 하부로 연장된 걸림 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를 체결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에서 메인 바닥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바닥면을 포함하는 함몰 부분; 및
    상기 함몰 부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바닥면, 그리고 상기 제2 바닥면의 양측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레일부를 구비하는 결합 부분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제1 바닥면과 상기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2 레일부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2 레일부 위에 각기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를 후방에서 연결하며 상기 제1 바닥면과 상기 제2 바닥면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3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면과 상기 제1 또는 제2 레일부 사이의 거리가 전방으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 레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안착부는 두께가 전방으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닥면에 각기 제1 체결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제2 바닥면을 향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2 체결공을 구비하는 체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분의 하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공 및 상기 제2 체결공을 통하여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분에 상기 체결 부재에 대응하여 돌출된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의 상부 선단에 상기 제2 체결공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내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커버의 메인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닥면과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된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커버의 내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고정 부재에 양측이 고정되는 회로 어셈블리와, 상기 회로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메인 바닥면 사이에서 상기 커버의 내면과 상기 회로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외면을 구성하는 외면부와, 상기 외면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내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면부에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결합에 관여하는 슬라이딩 결합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내면부에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한 상기 체결 고정에 관여하는 체결 부분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는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 부재의 부분이 상기 외면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체결부가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기둥과, 상기 지지 기둥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을 구성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일체의 구조를 가져,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조립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90041074A 2019-04-08 2019-04-0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118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074A KR20200118731A (ko) 2019-04-08 2019-04-0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7/602,225 US11809226B2 (en) 2019-04-08 2019-07-29 Display device
PCT/KR2019/009393 WO2020209446A1 (ko) 2019-04-08 2019-07-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074A KR20200118731A (ko) 2019-04-08 2019-04-0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731A true KR20200118731A (ko) 2020-10-16

Family

ID=7275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074A KR20200118731A (ko) 2019-04-08 2019-04-0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09226B2 (ko)
KR (1) KR20200118731A (ko)
WO (1) WO2020209446A1 (ko)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619B1 (ko) * 1999-05-01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구조
US6229584B1 (en) * 1999-11-15 2001-05-08 Compal Electronics, Inc.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having a monitor stand with a replaceable housing part
KR100395092B1 (ko) * 2001-07-27 2003-08-21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랜 어댑터
KR100443981B1 (ko) * 2001-12-04 2004-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US6695270B1 (en) * 2002-08-15 2004-02-24 Ole Falk Smed Flat panel display system
KR100534115B1 (ko) * 2003-08-01 200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34120B1 (ko) * 2003-08-21 200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100630973B1 (ko) * 2004-10-25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633073B1 (ko) * 2005-03-08 2006-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3111702U (ja) * 2005-04-20 2005-07-28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DE102005021393A1 (de) * 2005-05-04 2006-11-09 Robert Bosch Gmbh Halte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Anzeigeeinheit, Anzeigeeinheit und Anzeigevorrichtung
KR100730717B1 (ko) * 2005-05-10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착탈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US7656652B2 (en) * 2005-11-09 2010-02-02 George Moser Portable computer with reconfigurable display
KR100776420B1 (ko) * 2005-11-14 200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WO2007104157A1 (en) * 2006-03-14 2007-09-20 Jerry Moscovitch Power and video unit for a multi-screen display system
TW200817765A (en) * 2006-10-11 2008-04-16 Innolux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019582B2 (ja) * 2007-01-31 2012-09-05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US7733645B2 (en) * 2007-02-05 2010-06-08 Amtran Technology Co., Ltd Thin display structure
WO2009125486A1 (ja) * 2008-04-10 2009-10-15 富士通株式会社 支持構造および電子機器
TWI375505B (en) * 2008-10-24 2012-10-21 Wistron Corp Frame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5251771B2 (ja) * 2009-07-23 2013-07-31 船井電機株式会社 スタンド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リアキャビネット
EP2545477A4 (en) * 2010-03-09 2016-04-27 Dayton Technologies Ltd PERFORMANCE DISPLAY DEVICE
US20140313665A1 (en) * 2011-12-05 2014-10-23 Michael Delpier A Computing System Including A First And Second Housing And Polar Magnets
EP2607773B1 (en) * 2011-12-22 2017-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9740237B2 (en) * 2012-03-30 2017-08-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ssembly for removable display and input devices
US10154227B2 (en) * 2014-06-06 2018-12-11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CN206875054U (zh) * 2017-04-13 2018-01-1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安装电视的底座及电视安装结构
US10955873B1 (en) * 2019-11-06 2021-03-23 Lenovo (Singapore) Pte.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9446A1 (ko) 2020-10-15
US11809226B2 (en) 2023-11-07
US20220171428A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9682B2 (en) Display device
EP1998564A2 (en) Cabinet
JP5227470B2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20110211719A1 (en) Display device
US8151520B2 (en) Vehicle sash door and protector and center channel for the same
US10129995B2 (en) Case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500698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1873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7326520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8388160B2 (en) Backlight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8334936B2 (en) Television, pedestal, and electronic device
US11347278B2 (en) Display device
JP6363174B2 (ja) 映像表示装置
CN220135153U (zh) 用于底座的装饰组件、显示装置底座及电视机
CN212302172U (zh) 支撑框架、背光模组、显示屏和电子设备
JP2017011485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1841572B1 (ko) 박형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30452A (ko)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5841581B2 (ja) 表示装置
JPH06188576A (ja) 電子機器の取付機構
KR20220014379A (ko) 백라이트 장치용 커버버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KR20140110470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153414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