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09446A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09446A1
WO2020209446A1 PCT/KR2019/009393 KR2019009393W WO2020209446A1 WO 2020209446 A1 WO2020209446 A1 WO 2020209446A1 KR 2019009393 W KR2019009393 W KR 2019009393W WO 2020209446 A1 WO2020209446 A1 WO 202020944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ing portion
display device
fasten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939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602,225 priority Critical patent/US11809226B2/en
Publication of WO202020944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094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having an improved support structure of a display module.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PDP plasma display panel
  • ELD electro luminescent display
  • VFD vacuum fluorescent display
  • organic Display devices such a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have been studied and used.
  • Such a display device may be used in various forms.
  • a display unit including a display module having a thin thickness and a large area may be used in a form including a support member to stably support a display unit on a bottom surface.
  • a support member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with the display unit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display unit is requir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excellent assembly properties and a stable support structure.
  • a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including a first coupling unit at a bottom; And a support memb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a second coupling portion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to support the bottom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from a lower portion.
  • a concave portion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to be opened rearward and in which the first coupling unit is located.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composed of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of the support member, and insert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r the protruding portion from the rearward to the front side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or the concave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t can be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and a cover coupl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 the first coupl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over.
  •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may be positioned entirely below the bottom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to support the display portion.
  • a stopper member dispos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further be included.
  • the stopper member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formed to receive the protruding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and a rea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It may include a locking jaw extending downward from the.
  • It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fastening and fix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by extending upwardly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 the bottom portion of the display unit may be fastened and fixed.
  • a recessed portion including a first bottom surface positioned above the main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display unit; And a second bottom surface located inside the recessed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first and second rail portions extending downward after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It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provided.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rail portion and the second rail portion,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respectively seated on the first rail portion and the second rail portion Can include.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eat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from the rear, and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 the first or second rail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or second rail portion gradually decreases while facing forward.
  • the first or second seating portion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so that the thickness gradually decreases while facing forward.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having a shape protruding upward toward the second bottom surface and having a second fastening hole.
  • the fasten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member inserte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 a convex portion protruding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at an upper tip of the convex portion.
  •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and a cover coupl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toward the front and positioned at a distance from the main bottom surface of the cover. It may further include a circuit portion at least partially fixed between the main bottom surface and the fixing member.
  • the fix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fixing member and a second fixing member protruding for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 the circuit unit includes a circuit assembly having both sides fix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connected to the circuit assembly and between the first or second fixing member and the main bottom surface. It may include a cable positioned between the circuit assembly.
  • 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n outer surface portion constituting an outer surface, and an inner surface portion fix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 It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fastening and fix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 a sliding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o engage in the sliding coupling.
  • a fastening portion involved in the fastening and fixing by the fastening member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 a stopper member dispos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further be included.
  • a portion of the stopper member formed 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portion.
  • 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support pillar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central portion, and a suppor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illar to form a bottom surface.
  • the display device can be assembled by coupl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display unit.
  • the support member located under the display unit directly supports the weight of the display unit, thereby improving structural stabilit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that may occur due to shaking or the like (for example, a phenomenon in which a fine flow such as a display device shakes back and forth due to shaking or a phenomenon in which the display device falls).
  • the assembly convenience may be improved by sliding the support member to the display unit and fixing or temporarily fixing it. Further,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fix or temporarily fix by sliding coupling by the stopper member, and it is possible to firmly fix the display unit and the support member in a simple structure by fastening and fixing by the fastening member.
  •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as an integral structure or as one component having one bod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ssembly convenience, material cost reduction, and neat design.
  •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surface of a support member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FIG.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FIG. 5 is a partial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shown in FIG. 4.
  • FIG.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ver and a part of a circuit part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as viewed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 FIG. 7 is a combined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fixing a part of the circuit part shown in FIG. 6 to a first coupling part.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liding coupling between a display unit and a support member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1.
  • FIG. 9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8.
  • FIG.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B-B of FIG. 8.
  •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1.
  •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ower surface of a support member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0 including a first coupling unit (reference numeral 110 in Fig. 4, hereinafter the same) on a bottom unit BS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210 in FIG. 4, hereinafter the same)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to support the bottom portion BS of the display portion 10 from the bottom. Including member 20.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 the display unit 1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12 and a cover 14 coupled to the display module 12 from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12.
  • the display unit 10 may have an approximate square shape having a constant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of the drawing) and a constant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drawing). have.
  • the display unit 10 has a long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hort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width of the display unit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substantially the same, or the display unit 10 ) May have a short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long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thicknes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0 may be referred to as a front-rear direction (z-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 the direction from the cover 14 of the display unit 10 to the display module 12, that is, the direction toward the surface where the image is displayed may be referred to as the front (positive z-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the display unit A direction from the display module 12 of (10) to the cover 14, that is, a direction toward a surface where an image is not displayed may be referred to as a rear (negative z-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 the display module 12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may be a variety of devices that display images in various structures or methods.
  • the display module 12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panel,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a vacuum fluorescent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r the like.
  • the display module 12 may or may not have a flexible characteristic.
  • the display module 12 may further include a frame, a bezel, a module cover, etc. fixed to the rear and/or side surfaces.
  • a circuit unit (reference numeral 16 in FIG. 6, hereinafter the same) for driving the display module 12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12.
  • the circuit unit 16 may include various members, articles, and the like.
  • the circuit unit 16 includes a power supply member, a driving member, a tuner member, a circuit assembly (reference numeral 16a in FIG. 6, hereinafter the same), and a cable. (Reference numeral 16b of FIG. 6, the same hereinafter) may be included.
  • the power supply member may supply power to the display module 12.
  • the driving member may adjust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2.
  • the tuner member may receive broadcast information or external input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driving member.
  • the circuit assembly 16a may include circuit members that play various roles, and may be, for example, an infrared receiver that recognizes a signal by a remote control.
  • the cable 16b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it assembly 16a to transmit a signal or the like.
  • the cable 16b connected to the circuit assembly 16a may be connected to other members of the circuit unit 16 or the like.
  • the circuit assembly 16a and the cable 16b may perform various roles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 the circuit unit 16 may be located between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12 and the front of the cover 14.
  • the circuit unit 16 may be located at various positions or fixed at various positions.
  • the circuit unit 16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12 or at the front of the cover 14 or at the bottom of the cover 14. It can be fixed on the part (BS).
  • the cover 14 prevents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12 and the circuit unit 16 located therei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stably protecting the display module 12 and the circuit unit 16 and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unit 10. You can improve.
  • the cover 14 may have various structures, materials, sizes, thicknesses, etc. that can cover and protect the display module 12 and/or the circuit unit 16.
  • the cover 14 may form an integral structure behind the display module 12.
  • the cover 14 may separately include a cover covering portions other than the circuit portion 16 and a cover covering the circuit portion 16.
  • the cover 14 may have various structures.
  • the cover 14 may include a metal, a polymer material (eg, resin), reinforcing fibers, or the like. The cover 14 may be fitted and fixed to the display module 12, or may be bonded and fixed to the display module 12.
  • a first coupling portion 110 for coupling with the support member 20 is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BS of the display portion 10 (more precisely, the bottom portion BS of the cover 14).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 the support member 20 may support the bottom portion BS of the display unit 10 from below. More specifically, a second coupling portion 210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cover 14 of the display unit 10 may be provided on the support member 20.
  •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member 20 is positioned below the bottom part BS of the display unit 10 as a whole, so that the support member 20 stably supports the bottom part BS of the display unit 10. can do. Accordingly, problems such as the display unit 10 falling forwar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 member 20 may be located behind the display unit 10.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of the support member 20 is formed of the display portion 10 (more specifically, the cover 14) by a fastening member (reference numeral 310 in FIG. 4, hereinafter the same). It may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10.
  • the specific structures of the second coupling part 210 and the fastening member 3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 the support member 20 has the second fastening part 210 positioned at the top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of the drawing) from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10 when view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of the drawing). It may include a supporting pillar 22 and a pedestal 24 that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illar 22 to constitute a bottom surface.
  • the support member 20 including the support column 22 and the pedestal 24 has an integral structure, so that the display device 100 is combined with the support member 20 and the display unit 10. Can be assembled. That is, the support member 20 coupled to the display unit 10 is provided as a single body, and assembly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performed by coupling the support member 20 to the display unit 10. Can be completed.
  • an integral structure or one body is not only composed of a single structure, but also functions as a single structure, such as mov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parts by combining them after being manufactured separately May include doing.
  • the support member 2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202 in FIG. 4, the same hereinafter) and the outer surface portion (the same as 204 in FIG. 4)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And it may include an inner surface portion 204 including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reference numeral 212 in FIG. 4, the same hereinafter). And the outer surface portion 20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ortions that may have a desired outer shape of the support column 22 and the outer shape of the pedestal 24.
  • the desired outer shape of the support member 20 can be implemented by a simpl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by the outer surface portion 202, and the fastening portion 212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has a structure suitable for fastening, excellent It can be manufactured to have strength and the like.
  • the outer surface portion 202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204 composed of such a plurality of parts may be combined to have an integral structure to constitute an integral structure or one body.
  • the outer surface portion 202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204 may include different materials in consideration of required characteristics, or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 the outer surface portion 202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204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various methods such as adhesion and fitting.
  • the outer surface portion 202 may include resin to have an excellent appearance
  • the inner surface portion 204 is made of metal, so that stability during fastening may be improved.
  • the outer surface portion 202 may have an excellent appearance and excellent strength, including a resin plate made of a resin and a metal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sin plate.
  • the metal plate of the outer surface part 202 and the inner surface part 204 may be fastened and fixed with a fastening member or the like. Then, the outer surface portion 202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204 can be fixed with a simple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terials and fixing structures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202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204 may be variously modified.
  • the front side facing the front from the support column 22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10 on the same plane as the display unit 10 or at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10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not damaged. have.
  • the support pillar 22 may stably support the display unit 10 by having a larger area at the lower portion than at the upper portion.
  • the support pillar 22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22 protrudes more toward the rear while fac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Accordingly, a portion protruding forward of the display unit 10 is not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illar 22 fixed to the display unit 10, thereby preventing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100 from being damaged.
  •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illar 22 may protrude toward the rear (for example, protrude toward the rear than other portions of the pedestal 24) to have a sufficient area.
  •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illar 22 together with the support 24 constitu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 and if the area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illar 20 is sufficiently secured, the support member 20 and the The display unit 10 can be stably fixed.
  • both side surfaces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upport pillar 22 may be inclin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so that the width or area of the support pillar 22 increases from top to bottom. Accordingly, the appearance of the support pillar 22 and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upport member 22 can be improv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both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pillar 22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width of the support pillar 2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uniform.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 the pedestal 24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0 to form a bottom surface.
  • the pedestal 24 may provide a balance to the support member 20 by securing a certain area on the floor surface.
  • the pedestal 24 may have a shape that extends to both sides with the support pillar 22 at the center and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being bent or curved between both ends.
  • It may have a shape that is convexly bent or bent rearward.
  • the pedestal 24 may have a shape of a bow convex backward or a linear crescent.
  •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 may form an envelope (NVLP)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3.
  • the envelope NVLP may have a convex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 and when the area of the envelope NVLP increases, the stability of the support member 20 may increas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illar 22 and the pedestal 24 described above, the stability of the support member 20 may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envelope (NVLP).
  • FIGS. 4 to 10 specific structures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of the display unit 10,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of the support member 20, and the fastening member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illustrated in FIGS. 4 to 10.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 FIG.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1
  • FIG. 5 is a partial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shown in FIG. 4.
  • FIG.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14 and a part of the circuit unit 16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1 as view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4.
  • the illustration of the fastening member 310 is omitted in FIG. 6.
  • 7 is a combined state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fixing a part of the circuit unit 16 shown in FIG. 6 to the first coupling unit 110.
  • the rear is opened to the bottom portion BS of the display unit 10 (more specifically, the cover 14), and a concave in which the first coupling unit 110 is located.
  • a part (CP) is provided.
  •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includes a recessed portion 112 including a first bottom surface 112a positioned above the main bottom surface MBS in the bottom portion BS of the cover 14 can do.
  • the recessed portion 112 includes a side surface 112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and connecting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and the main bottom surface MBS.
  • the side surface 112b is formed to correspond only to the front edg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and both edges connected thereto, and is not formed at the rear edge. Accordingly, the concave portion CP that is opened rearward is locat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BS of the cover 14 by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and the side surface 112b of the depression portion 112.
  •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114 positioned inside the recessed portion 112.
  • the engaging portion 114 extends from the side surface 112b of the recessed portion 112 (particularly, the front side connected to the front edg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whil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formed. Accordingly, a predetermined gap or spa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and the coupling portion 114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protrusion PP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can be inserted.
  • the coupling portion 114 is a portion that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is slidably coupled, and a second bottom surface 114a positioned below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with an interval. ), and first and second rail portions 114b and 114c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dges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14a and then bent to the outside.
  • the second bottom surface 114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114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dg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14 and then bent to extend forward.
  •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pper member 320 may be formed in the extension portion 114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 a first fastening hole FH1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310 is inserted and fastened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114a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0.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ogether with the second fastening hole FH2 and the fastening member 310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art 210.
  • a fixing for fixi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unit 16 to the front side (more specifically, the front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112) of the first coupling unit 110 Member 116 may be located.
  • the fixing member 116 may protrude from the front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112 toward the front and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in bottom surface MBS.
  •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it unit 16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it assembly 16a and the cable 16b) may be positioned at a distance between the main bottom surface MBS and the fixing member 116 to be fixed. .
  • the fixing member 116 may include a first fixing member 116a and a second fixing member 116b that are respectively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112.
  • the circuit assembly 16a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116a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16b, respectively, and the cable 16b connected to the circuit assembly 16a is the first or second fixing member 116a. , 116b) and the main floor (MBS).
  • coupling portions 160a that are fitted to the fron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116a and 116b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ircuit assembly 16a, respectively.
  • the cable 116a is between the first or second fixing member 116a and the main bottom surface MBS, the side surface 112b (more precisely, the front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112 and the coupling portion 160a It can be located between.
  •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116a and 116b and the coupling portion 160a of the circuit assembly 16a are fixed by pushing the circuit assembly 16a towar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116a and 116b.
  • Various structures can be used.
  •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116a and 116b and the coupling portion 160a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fitting.
  • a locking hook may be formed 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116a and 116b and the coupling portion 160a, and a locking portion (a locking jaw or a lock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other.
  • the locking hook and the locking portion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to provide a fixed structure. Accordingly, a hook formed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116a and 116b and the coupling portion 160a may be caught and fixed by a hook formed on the other.
  • the drawing illustrates that an opening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BS in a portion where the circuit assembly 16a is inser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a concave portion or the like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BS, or a concave portion, an opening portion, etc. may not b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BS, and the circuit assembly 16a may be positioned.
  • Other various structures, shapes, etc. can be applied.
  • the fixing structure of the circuit unit 16 using the fixing member 116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S. 7A to 7C. That is, the cable 16b connected to the circuit assembly 16a as shown in FIG. 7(a) is pushed between the main bottom surface (MBS) and the fixing member 116 as shown in FIG. 7(b). Insert and insert, as shown in (c) of Figure 7 by inserting the coupling portion 160a of the circuit assembly 16a to the fixing member 116 to connect the cable 16b to the fixing member 116 and the main bottom surface. Between the (MBS), it may be fixed between the side surface 112a (for example, the front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112 and the coupling portion 160a.
  • the circuit unit 16 is fixed using the fixing member 116, and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unit 16 (in particular, between the fixing member 116 and the main bottom surface MBS) on the outside of the recessed part 112
  • the cable (16b)) can be fixed.
  • a problem that may occur when the circuit unit 16 is separated from a desired position or a problem that may be caused by the cable 16b being caught by the inner bracket 118 above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of the recessed part 112 Etc. can be prevented.
  • the above-described problems can be prevented by a simple structure and process, and problems due to poor work can also be prevented.
  • circuit assembly 16a is an infrared receiver that recognizes a signal from a remote control, as described above, if the cable 16b is undesirably pinched, problems such as poor recognition of the remote control may occur. In order to prevent this, if subsidiary materials such as tape are used, the manufacturing process may be complicated and cost may increase, and there may be problems such as poor work due to subsidiary materials such as tape.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sliding coupling between the display unit 10 and the support member 20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1, and FIG. 9 is cut along the line AA of FIG. It is a cut perspective view.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B-B of FIG. 8.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positioned above the support member 20 may constitute a protrusion PP protruding upward. The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or the protruding portion PP of the support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or the concave portion CP from the rear to the front to inser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It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At this time, the protrusion PP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cave portion CP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0 (more specific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illar 22) is the bottom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0 (BS It may be positioned below the display unit 10 to support the display unit 10.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is inserted between the recessed portion 112 and the first rail portion 114b and the second rail portion 114c from both sides, and the first rail portion 114b and the second rail portion 114c ) May include a first seating portion 214b and a second seating portion 214c,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fixing stability may be improved by sliding coupling at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10 and 210.
  • the first seating portion 214b protrudes upward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rail portion 114b and the side surface 112b of the recessed portion 112, and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It may include a first seating portion extending inward and seated on the first rail portion 114b.
  • the second seating portion 214c has a second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upward and positioned between the end of the second rail portion 114c and the side surface 112b of the recessed portion 112,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It may include a second seating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and seated on the second rail portion 114c.
  • first and second rail portions 114b and 114c, and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214b and 214c may have a shape that extends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z-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 the first or second rail portion gradually de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and the first or second rail portions 114b and 114c is directed forward.
  • (114b, 114c)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 the first or second seating portions 214b and 214c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so that the thickness gradually decreases while being directed forward.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and the first or second rail portions 114b and 114c is the first or second It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seating portions 214b and 214c,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first or second seating portions 214b and 214c can be easily inserted on the first or second rail portions 114b and 114c.
  • the first or second seating portions 214b and 214c mov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or second rail portions 114b and 114c by the force pushing from the rear to the front.
  • the second seating portions 214b and 214c may be naturally positioned to fill between the first or second rail portions 114b and 114b and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Accordingly, sliding coupling through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can be easily achieved.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connects the first seating portion 214b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214c from the rear, and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114a.
  • 3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portion (214a).
  • the third seating portion 214a includes a third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upward to form an outer surface from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a first bottom surface 112a and a second bottom surface 112a extending inward from the third extension portion.
  • a third seating portion may be insert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114a and fill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114a. Accordingly, the third seating portion 214a may function as a closing member forming an outer surface while filling the open rear of the concave portion CP or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 the first seating portion 214b, the second seating portion 214c, and the third seating portion 214a may be formed as part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202. Accordingly,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20 (for example, the fastening portion 212)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outer surface portion 202,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100.
  • the stopper member 320 may be position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front 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 the stopper member 320 protrud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322 protruding upward from a portion adjacent to the front from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protruding portion 322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It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324 formed to receive the portion 322 and a locking jaw 326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ar of the receiving portion 324.
  • the receiving portion 324 may be formed in a portion extending forward from the extended portion 114d, and the locking jaw 326 is a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32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xtended portion 114d.
  • the protruding portion 322 is locat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202 having a structure separate from the inner surface portion 204 on which the fastening portion 212 is formed, and easily holds the locking jaw 326 by the force pushing from the rear to the front. Can pass.
  • the protruding portion 322 passes through the locking jaw 326 by the force that is pushed from the rear whe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is inserted and pushed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from the rear.
  • it may be fixed so as not to move backward by the locking jaw 326.
  • a certain sound for example, a clicking sound
  •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protruding portion 322 is seated on the receiving portion 324. I can.
  • the temporary fixing of the display unit 10 and the support member 20 can be easily recognized, thereby improving assembly properties.
  • the protruding portion 322 and the receiving portion 324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positioned one on both sides of a portion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second and first coupling portions 210 and 110. Then, since the stopper members 320 are located on both sides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front, the number of stopper members 320 may be reduced, and stability of fixing by the stopper members 320 may be improv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stopper members 320 may be variously modified.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212 having a shape protruding upward toward the second bottom surface 114a and having a second fastening hole FH2.
  • the fastening portion 212 may be located at a portion surrounded by the first seating portion 214b, the second seating portion 214c, and the third seating portion 214a. Upon coupling, the fastening portion 212 is positioned at a portion surrounded by the second bottom surface 114a and the first and second rail portions 114b and 114c.
  • the fastening part 212 may have a second fastening hole FH2 or a convex protruding upwardly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astening member 310, and a second fastening hole FH2 at the upper end of the convex part Can be formed.
  •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may b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310, and second fastening holes FH2 may be formed respectively at an upper tip of the convex portion.
  • a kind of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eg, a central portion).
  •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310 is to be fastened, and thus assembleability can be improved.
  • the second bottom surface 114a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310 is fastened and the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212 are in close contact, the problem due to interference or twisting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14a and the fastening portion 212 can be minimized. I can.
  • a structure 112c protruding from the front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112 toward the rear may be provided, and may be inserted between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of the fastening portion 212. Then, the fixing structure of the recessed portion 112 and the fastening portion 212 may be further stabiliz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not having a protruding structure 112c or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 the fastening member 310 is fastened to the first coupler 110 and the second coupler 210 to fix them by a fastening structure. More specifically, the fastening member 310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 and It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10. Then, the support member 20 provided with the second coupling part 210 and the display part 10 provided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110 can be fixed by a fastening structure using the fastening member 310. It is possible to firmly fix the support member 20 and the display unit 10.
  • the fastening member 310 extends from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column 22 to the inner space of the display unit 10 (more specifically,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bracket 118), the fastening member 310 is recognized from the outside. As a result,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improved.
  • the fastening member 31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shapes, such as screws and screws.
  • the fastening member 310 may pass through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of the recessed portion 112 and extend to the top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and cover the fastening member 310 on the recessed portion 112
  • An inner bracket 118 to be fixed may be further positioned.
  • the fastening member 310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art 210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0 may be fixed to the inner bracket 118 by a structure such as a nut or thread formed on the inner bracket 118.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astening member 310 may be fixed only by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FH1 and FH2, and various other structures may be applied.
  • This fastening portion 212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portion 204.
  •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214b and 214c and/or the third seating portion 214a (sliding coupl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212 involved in fastening and fixing are connected to separate structures.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214b and 214c and/or the third seating portion 214a and the fastening portion 212 are located on the same outer surface portion 202 or the inner surface portion 204, or the support member 202 ) May not have the outer surface portion 202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204 separately.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 the display unit 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20 located under the display unit 10, and the support member 20 directly supports the weight of the display unit 10 Stability can be improved. Accordingly, a problem that may occur due to shaking or the like (for example, a micro flow such as shaking the display device 100 back and forth due to shaking or the like, or a phenomenon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00 collapses) can be prevented.
  • assembly convenience may be improved by sliding the support member 20 to the display unit 10 and fixing or temporarily fixing it.
  • the stopper member 320 can be fixed or temporarily fixed by sliding connection more stably, and the display unit 10 and the support member 20 are simply structured by fastening and fixing by the fastening member 310 It can be fixed firmly.
  • the support member 20 is provided as an integral structure or as one piece having one bod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ssembly convenience, material cost reduction, and neat 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바닥부에 제1 결합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모듈의 지지 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얇은 두께와 넓은 면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와 쉽게 조립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지지 부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우수한 조립성 및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바닥부에 제1 결합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에 후방이 개방되며 상기 제1 결합부가 위치하는 오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되어 상기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기 제2 결합부 또는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하여 상기 제2 결합부를 상기 제1 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커버의 바닥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가 전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는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부로 돌출된 돌출 부분과, 상기 제1 결합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돌출 부분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 부분 및 상기 수용 부분의 후방에서 하부로 연장된 걸림 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를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에서 메인 바닥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바닥면을 포함하는 함몰 부분; 및 상기 함몰 부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바닥면, 그리고 상기 제2 바닥면의 양측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레일부를 구비하는 결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제1 바닥면과 상기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2 레일부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2 레일부 위에 각기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를 후방에서 연결하며 상기 제1 바닥면과 상기 제2 바닥면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3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닥면과 상기 제1 또는 제2 레일부 사이의 거리가 전방으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 레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안착부는 두께가 전방으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닥면에 각기 제1 체결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제2 바닥면을 향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2 체결공을 구비하는 체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분의 하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공 및 상기 제2 체결공을 통하여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분에 상기 체결 부재에 대응하여 돌출된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의 상부 선단에 상기 제2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내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커버의 메인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닥면과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된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커버의 내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부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고정 부재에 양측이 고정되는 회로 어셈블리와, 상기 회로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메인 바닥면 사이에서 상기 커버의 내면과 상기 회로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외면을 구성하는 외면부와, 상기 외면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내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면부에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결합에 관여하는 슬라이딩 결합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면부에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한 상기 체결 고정에 관여하는 체결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는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 부재의 부분이 상기 외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체결부가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기둥과, 상기 지지 기둥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을 구성하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가 일체의 구조를 가져,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 부재가 디스플레이부의 무게를 직접 받쳐줘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흔들림 등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예를 들어, 흔들림 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전후로 흔들리는 등의 미세 유동이 발생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쓰러지는 현상)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를 디스플레이부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고정 또는 가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조립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 부재에 의하여 슬라이딩 결합에 의한 고정 또는 가고정을 좀더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체결 부재에 의한 체결 고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와 지지 부재를 간단한 구조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 부재가 일체의 구조 또는 하나의 몸체를 가지는 하나의 부품으로 구비되어, 조립 편의성, 재료비 절감, 깔끔한 디자인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지지 부재의 하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2 결합부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커버 및 회로부의 일부를 커버의 내면 쪽에서 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회로부의 일부를 제1 결합부에 고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지지 부재의 슬라이딩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절단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 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지지 부재의 하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바닥부(BS)에 제1 결합부(도 4의 참조부호 110, 이하 동일)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0)와, 제1 결합부(1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결합부(도 4의 참조부호 210, 이하 동일)가 상부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10)의 바닥부(BS)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20)를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디스플레이 모듈(12)과, 디스플레이 모듈(12)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2)에 결합되는 커버(14)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로, 디스플레이부(10)는 수평 방향(가로 방향, 도면의 x축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하 방향(세로 방향, 도면의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대략적인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부(10)가 수평 방향으로 장변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는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10)의 수평 방향의 폭과 상하 방향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디스플레이부(10)가 수평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장변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0)의 화면과 수직하는 두께 방향을 전후 방향(도면의 z축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0)의 커버(14)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2)로 향하는 방향, 즉, 화상이 표시되는 면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전방(도면의 양의 z축 방향)이라 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0)의 디스플레이 모듈(12)로부터 커버(14)로 방향, 즉,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면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후방(도면의 음의 z축 방향)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다양한 구조 또는 방식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2)이 액정 표시 장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질 수도 있고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은 후면 및/또는 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 베젤(bezel), 모듈 커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2)의 구동을 위한 회로부(도 6의 참조부호 16, 이하 동일)가 구비될 수 있다. 회로부(16)는 다양한 부재, 물품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회로부(16)가 전원 공급 부재, 구동 부재, 튜너 부재, 회로 어셈블리(도 6의 참조부호 16a, 이하 동일), 케이블(도 6의 참조부호 16b, 이하 동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부재는 디스플레이 모듈(1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동 부재는 디스플레이 모듈(12)에 표시되는 화상을 조절할 수 있다. 튜너 부재는 방송 정보 또는 외부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구동 부재에 제공할 수 있다. 회로 어셈블리(16a)는 다양한 역할을 하는 회로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리모컨에 의한 신호를 인식하는 적외선 수신부일 수 있다. 케이블(16b)은 회로 어셈블리(16a)에 연결되어 신호 등을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회로 어셈블리(16a)에 연결된 케이블(16b)은 회로부(16)의 다른 부재 등에 연결될 수 있다. 회로 어셈블리(16a) 및 케이블(16b)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로부(16)는 디스플레이 모듈(12)의 후방과 커버(14)의 전방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회로부(16)는 다양한 위치에 위치하거나 다양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회로부(16)는 디스플레이 모듈(12)의 후방 또는 커버(14)의 전방 또는 커버(14)의 바닥부(BS) 위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14)는 디스플레이 모듈(12)의 후방 및 이에 위치한 회로부(16)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2) 및 회로부(16)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디스플레이부(10)의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커버(14)는 디스플레이 모듈(12) 및/또는 회로부(16)를 덮어서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재질, 크기, 두께 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커버(14)는 디스플레이 모듈(12)의 후방에서 일체의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커버(14)가, 회로부(16) 이외의 부분을 덮는 커버와, 회로부(16)를 덮는 커버를 별개로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커버(14)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커버(14)는 금속, 고분자 물질(예를 들어, 수지), 강화 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4)는 디스플레이 모듈(12)에 끼워져서 고정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2)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의 바닥부(BS)(좀더 정확하게는, 커버(14)의 바닥부(BS))에 지지 부재(2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결합부(110)가 구비된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 부재(20)는 디스플레이부(10)의 바닥부(BS)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20)의 상부에 디스플레이부(10)의 커버(14)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결합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20)의 상부가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0)의 바닥부(BS)의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 부재(20)가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부(10)의 바닥부(BS)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이 전방으로 쓰러지는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20)에서 디스플레이부(10)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2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부재(20)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0)의 후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20)의 제2 결합부(210)는 체결 부재(도 4의 참조부호 310, 이하 동일)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0)(좀더 구체적으로, 커버(14))의 제1 결합부(110)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10) 및 체결 부재(31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와 지지 부재(20)의 슬라이딩 결합 및 체결 부재(310)를 이용한 체결 고정을 함께 사용하면 디스플레이부(10)와 지지 부재(20)의 조립성을 향상하면서도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다.
지지 부재(20)는, 제2 체결부(210)가 상부에 위치하며 수평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볼 때 디스플레이부(10)의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기둥(22)과, 지지 기둥(22)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을 구성하는 받침대(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기둥(22)과 받침대(24)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20)가 일체의 구조를 가져, 지지 부재(20)와 디스플레이부(10)의 결합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조립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0)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20)가 하나의 몸체(single body)로 구비되어 지지 부재(20)를 디스플레이부(10)에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일체의 구조 또는 하나의 몸체는 단일의 구조체로 구성된 것뿐만 아니라, 복수의 부분을 서로 분리되어 제조한 후에 결합하여 이동, 보관 시에 하나의 구조체로 이동, 보관되는 등 하나의 구조체로 기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20)가, 외면을 구성하는 외면부(도 4의 참조부호 202, 이하 동일)와, 외면부(도 4의 참조부호 204, 이하 동일)의 내부에 고정되며 제2 결합부(210)의 체결 부분(도 4의 참조부호 212, 이하 동일)을 포함하는 내면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면부(202)는 원하는 지지 기둥(22)의 외측 형상 및 받침대(24)의 외측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지지 부재(20)의 원하는 외측 형상을 외면부(202)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 및 제조 공정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고, 제2 결합부(210)의 체결 부분(212)은 체결에 적합한 구조, 우수한 강도 등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된 외면부(202), 그리고 내면부(204)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도록 결합되어 일체의 구조 또는 하나의 몸체를 구성할 수 있다.
외면부(202)와 내면부(204)는 필요한 특성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서로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외면부(202)와 내면부(204)는 접착, 끼움 결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면부(202)는 수지를 포함하여 우수한 외관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내면부(204)는 금속으로 구비되어 체결 시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외면부(202)는, 수지로 구성된 수지 플레이트와, 수지 플레이트 내면에 밀착되는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우수한 외관 및 우수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면부(202)의 금속 플레이트와 내면부(204)를 체결 부재 등으로 체결 고정할 수 있다. 그러면, 간단한 구조로 외면부(202)와 내면부(204)를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면부(202) 및 내면부(204)의 물질, 고정 구조 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지지 기둥(22)에서 전방을 향하는 전면이 디스플레이부(10)의 하부에서 디스플레이부(10)와 동일 평면 또는 디스플레이부(10)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기둥(22)은 상부보다 하부에서 더 큰 면적을 가져 디스플레이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 기둥(22)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면서 지지 기둥(22)의 후면이 후방을 향하여 더 많이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에 고정되는 지지 기둥(22)의 상부에서는 디스플레이부(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구비하지 않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기둥(22)의 하부는 후방을 향하여 돌출(일 예로, 받침대(24)의 다른 부분보다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충분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지지 기둥(22)의 하부는 받침대(24)와 함께 지지 부재(20)의 바닥면을 구성하는바, 지지 기둥(20)의 하부의 면적이 충분하게 확보되면 지지 부재(20) 및 이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부(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기둥(22)의 전면 및 후면을 연결하는 양측면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향하면서 지지 기둥(22)의 폭 또는 면적이 커지도록 대칭 구조로 경사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지지 기둥(22)의 외관 및 지지 부재(22)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지지 기둥(22)의 양측면은 바닥면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수평 방향에서의 지지 기둥(22)의 폭이 균일할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받침대(24)는 지지 부재(20)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을 구성할 수 있다. 받침대(24)는 바닥면 상에서 일정한 면적을 확보하여 지지 부재(20)에 균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대(24)가 지지 기둥(22)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연장되어 좌우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형상을 가지면서 양단부 사이에서 휘어지거나 굽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후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지거나 굽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받침대(24)는 후방으로 볼록한 활 또는 선형 초승달(linear crescent)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20)의 하부면은, 도 3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엔벨로프(envelope, NVLP)를 형성할 수 있다. 엔벨로프(NVLP)는 지지 부재(20)의 하부면의 외측을 감싸는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엔벨로프(NVLP)의 면적이 커지면 지지 부재(20)의 안정성이 커질 수 있다. 상술한 지지 기둥(22) 및 받침대(24)의 형상에 의하면 엔벨로프(NVLP)의 면적을 증가시켜 지지 부재(20)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지지 기둥(22)의 구조, 받침대(24)의 구조, 지지 기둥(22)과 받침대(24)의 결합 구조 등으로는 알려진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의 제1 결합부(110), 지지 부재(20)의 제2 결합부(210), 그리고 체결 부재(310)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0)의 제1 결합부(110)와, 이를 이용한 회로부(16)의 고정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2 결합부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커버(14) 및 회로부(16)의 일부를 커버(14)의 내면 쪽에서 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간략한 도시를 위하여 도 6에서는 체결 부재(31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회로부(16)의 일부를 제1 결합부(110)에 고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0)(좀더 구체적으로, 커버(14))의 바닥부(BS)에 후방이 개방되며 제1 결합부(110)가 위치하는 오목부(CP)가 구비된다.
이때, 제1 결합부(110)는, 커버(14)의 바닥부(BS)에서 메인 바닥면(MBS)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바닥면(112a)을 포함하는 함몰 부분(112)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 부분(112)은 제1 바닥면(112a)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제1 바닥면(112a)과 메인 바닥면(MBS)을 연결하는 측면(112b)를 포함한다. 이때, 측면(112b)은 제1 바닥면(112a)의 전방 가장자리와 이에 연결되는 양측 가장자리에만 대응하여 형성되고 후방 가장자리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함몰 부분(112)의 제1 바닥면(112a)과 측면(112b)에 의하여 커버(14)의 바닥부(BS)의 중앙 부분에 후방으로 개방되는 오목부(CP)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 결합부(110)는 함몰 부분(112)의 내부에 위치하는 결합 부분(114)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분(114)은 상하 방향에서 제1 바닥면(112a)과 이격하면서 함몰 부분(112)의 측면(112b)(특히, 제1 바닥면(112a)의 전방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전방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바닥면(112a)과 결합 부분(114) 사이에 제2 결합부(210)의 돌출부(PP)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일정한 간격 또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결합 부분(114)은 제2 결합부(210)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제1 바닥면(112a)과 간격을 두고 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바닥면(114a), 그리고 제2 바닥면(114a)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후 절곡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레일부(114b, 114c)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바닥면(114)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후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분(114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 부분(114d)에는 스토퍼 부재(320)의 적어도 일부(즉, 수용 부분(324) 및 걸림 턱(3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결합부(110)에서 제1 바닥면(112a) 및 제2 바닥면(114a)에 체결 부재(310)가 삽입 체결될 제1 체결공(FH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제2 결합부(210)에 형성된 제2 체결공(FH2) 및 체결 부재(310)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커버(14)의 내면, 좀더 상세하게는, 제1 결합부(110)의 전방 측면(좀더 구체적으로, 함몰 부분(112)의 전방 측면)에 회로부(16)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116)가 위치할 수 있다. 고정 부재(116)는 함몰 부분(112)의 전방 측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메인 바닥면(MBS)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회로부(16)의 적어도 일부(일 예로, 회로 어셈블리(16a) 및 케이블(16b)의 적어도 일부)가 메인 바닥면(MBS)과 고정 부재(116) 사이의 간격에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부재(116)는 함몰 부분(112)의 전방 측면에서 양측에 각기 위치하는 제1 고정 부재(116a) 및 제2 고정 부재(11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로 어셈블리(16a)가 제1 고정 부재(116a)와 제2 고정 부재(116b)에 각기 고정되고, 회로 어셈블리(16a)에 연결되는 케이블(16b)이 제1 또는 제2 고정 부재(116a, 116b)와 메인 바닥면(MBS)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회로 어셈블리(16a)의 양측에 각기 제1 및 제2 고정 부재(116a, 116b)의 선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160a)가 구비된다. 여기서, 케이블(116a)은 제1 또는 제2 고정 부재(116a)와 메인 바닥면(MBS) 사이에서 함몰 부분(112)의 측면(112b)(좀더 정확하게는, 전방 측면)과 결합부(16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 부재(116a, 116b)와 회로 어셈블리(16a)의 결합부(160a)로는 회로 어셈블리(16a)를 제1 및 제2 고정 부재(116a, 116b) 쪽으로 밀어서 넣는 것에 의하여 고정되는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고정 부재(116a, 116b) 및 결합부(160a)는 끼움 결합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및 제2 고정 부재(116a, 116b) 및 결합부(160a) 중 하나에 걸림 후크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걸림부(걸림 턱 또는 걸림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후크과 걸림부는 서로 계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고정 부재(116a, 116b) 및 결합부(160a) 중 하나에 형성된 걸림 후크가 다른 하나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회로 어셈블리(16a)가 끼워지는 부분에 바닥부(BS)의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바닥부(BS)에 오목부 등이 형성되거나, 바닥부(BS)에 오목부, 개구부 등이 형성되지 않고 회로 어셈블리(16a) 등이 위치할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구조, 형상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고정 부재(116)를 이용한 회로부(16)의 고정 구조는 도 7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로 어셈블리(16a)에 연결된 케이블(16b)을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바닥면(MBS)과 고정 부재(116) 사이로 밀어 넣어 삽입하고,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어셈블리(16a)의 결합부(160a)를 고정 부재(116)에 끼움 결합하여 케이블(16b)을 고정 부재(116)와 메인 바닥면(MBS) 사이에서 함몰 부분(112)의 측면(112a)(일 예로, 전방 측면)과 결합부(160a) 사이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고정 부재(116)를 이용하여 회로부(16)를 고정하며, 함몰 부분(112)의 외측에서 고정 부재(116)와 메인 바닥면(MBS) 사이에 회로부(16)의 적어도 일부(특히, 케이블(16b))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회로부(16)가 원하는 위치에서 이탈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또는 케이블(16b)이 함몰 부분(112)의 제1 바닥면(112a)의 위쪽에서 내측 브라켓(118)에 의하여 끼여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문제를 단순한 구조 및 공정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고 작업 불량 등에 의한 문제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어셈블리(16a)가 리모컨에 의한 신호를 인식하는 적외선 수신부일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원하지 않게 케이블(16b)의 끼임 현상 등이 발생하면 리모컨 인식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프 등의 부자재를 사용하면,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할 수 있고 테이프 등의 부자재에 의한 작업 불량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과 함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지지 부재(20)의 제2 결합부(210) 및 체결 부재(310),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부(10)와 지지 부재(20)의 슬라이딩 결합 및 체결 고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10)와 지지 부재(20)의 슬라이딩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절단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 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20)의 상부에 위치한 제2 결합부(210)가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PP)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면, 지지 부재(20)의 제2 결합부(210) 또는 돌출부(PP)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제1 결합부(110) 또는 오목부(CP)에 삽입하여 제2 결합부(210)를 제1 결합부(110)에 슬라이딩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오목부(CP)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돌출부(PP)가 결합되어 지지 부재(20)의 상부(좀더 구체적으로, 지지 기둥(22)의 상부)가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0)의 바닥부(BS)의 하부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10)는, 양측에서 함몰 부분(112)와 제1 레일부(114b) 및 제2 레일부(114c)의 사이로 삽입되어 제1 레일부(114b) 및 제2 레일부(114c)에 각기 안착되는 제1 안착부(214b) 및 제2 안착부(21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및 제2 결합부(110, 210)의 양측에서의 슬라이딩 결합에 의하여 고정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제1 안착부(214b)는, 상부로 돌출되어 제1 레일부(114b)의 단부와 함몰 부분(112)의 측면(112b)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연장 부분과, 제1 연장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1 레일부(114b) 위에 안착되는 제1 안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안착부(214c)는, 상부로 돌출되어 제2 레일부(114c)의 단부와 함몰 부분(112)의 측면(112b)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연장 부분과, 제2 연장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2 레일부(114c) 위에 안착되는 제2 안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레일부(114b, 114c), 그리고 제1 및 제2 안착부(214b, 214c)는 전후 방향(도면의 z축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닥면(112a)과 제1 또는 제2 레일부(114b, 114c) 사이의 거리가 전방으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제1 또는 제2 레일부(114b, 114c)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도록 상하 방향에서의 제1 또는 제2 안착부(214b, 214c)는 두께가 전방으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또는 제2 안착부(214b, 214c)가 삽입되는 부분인 입구에서는 제1 바닥면(112a)과 제1 또는 제2 레일부(114b, 114c) 사이의 거리가 제1 또는 제2 안착부(214b, 214c)의 선단 부분의 두께보다 커서 제1 또는 제2 레일부(114b, 114c) 위에 제1 또는 제2 안착부(214b, 214c)의 선단 부분을 쉽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미는 힘에 의하여 제1 또는 제2 안착부(214b, 214c)가 제1 또는 제2 레일부(114b, 114c)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또는 제2 안착부(214b, 214c)가 제1 또는 제2 레일부(114b, 114b)와 제1 바닥면(112a) 사이를 채우도록 자연스럽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결합부(210)와 제2 결합부(220)를 통한 슬라이딩 결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결합부(210)는 제1 안착부(214b)와 제2 안착부(214c)를 후방에서 연결하며 제1 바닥면(112a)과 제2 바닥면(114a)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3 안착부(21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안착부(214a)는, 상부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측에서 외면을 형성하는 제3 연장 부분과, 제3 연장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1 바닥면(112a)과 제2 바닥면(114a) 사이로 삽입되어 제1 바닥면(112a)과 제2 바닥면(114a) 사이를 메우는 제3 안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안착부(214a)는 오목부(CP) 또는 제1 결합부(110)의 개방된 후방을 메우면서 외면을 형성하는 마감 부재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안착부(214b), 제2 안착부(214c) 및 제3 안착부(214a)는 외면부(202)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외면부(202)에 의하여 지지 부재(20)의 내부 구조(예를 들어, 체결 부분(212)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210)에서 전방에 인접한 부분에 스토퍼 부재(320)가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 부재(320)는, 제2 결합부(210)에서 전방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부로 돌출된 돌출 부분(322)과, 제1 결합부(110)에서 돌출 부분(32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 부분(322)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 부분(324) 및 수용 부분(324)의 후방에서 하부로 연장된 걸림 턱(32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 부분(324)은 연장 부분(114d)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걸림 턱(326)은 연장 부분(114d)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부분에서 수용 부분(324)의 후방을 일부 막도록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 부분(322)은 체결 부분(212)이 형성된 내면부(204)와 별개 구조를 가지는 외면부(202)의 전방 부분에 위치하여 후방에서 전방으로 미는 힘에 의하여 쉽게 걸림 턱(326)을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부터 제2 결합부(210)를 제1 결합부(110)에 삽입하여 밀어 넣으면서 슬라이딩 결합 될 때 후방에서 미는 힘에 의하여 돌출 부분(322)이 걸림 턱(326)을 통과하여 수용 부분(324)에 안착되면 걸림 턱(326)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돌출 부분(322)이 걸림 턱(326)을 통과할 때 일정한 소리(예를 들어, 딸깍 소리)가 나면서 돌출 부분(322)이 수용 부분(324)에 안착된 것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0)와 지지 부재(20)의 가고정을 쉽게 인식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일 예로, 돌출 부분(322) 및 이에 대응하는 수용 부분(324)이 제2 및 제1 결합부(210, 110)의 전방에 인접한 부분에서 양측에 하나씩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스토퍼 부재(320)가 전방에 인접한 부분에서 양측에 위치하여 스토퍼 부재(320)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스토퍼 부재(320)에 의한 고정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토퍼 부재(320)의 개수, 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결합부(210)는 제2 바닥면(114a)을 향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2 체결공(FH2)을 구비하는 체결 부분(21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분(212)은 제1 안착부(214b), 제2 안착부(214c) 및 제3 안착부(214a)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 시에 체결 부분(212)은 제2 바닥면(114a)과 제1 및 제2 레일부(114b, 114c)에 의하여 둘러싸인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체결 부분(212)은 제2 체결공(FH2) 또는 체결 부재(310)에 각기 대응하여 상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부를 가질 수 있고, 볼록부의 상부 선단에 제2 체결공(FH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체결 부재(310)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볼록부가 구비되고 볼록부의 상부 선단에 각기 제2 체결공(FH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볼록부 사이(예를 들어, 중앙 부분)에 일종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면 사용자가 체결 부재(310)가 체결되어야 할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부재(310)가 체결되는 제2 바닥면(114a)과 체결 부분(212)의 부분을 밀착시키면서도 제2 바닥면(114a)과 체결 부분(212)의 간섭 또는 비틀림에 의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예로, 함몰 부분(112)의 전방 측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 구조(112c)가 구비되어, 체결 부분(212)의 복수의 볼록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함몰 부분(112)과 체결 부분(212)의 고정 구조를 좀더 안정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 구조(112c), 복수의 볼록부 등이 구비되지 않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체결 부재(310)가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210)에 체결되어 이들을 체결 구조에 의하여 고정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체결 부재(310)는 제2 결합부(210)의 하부로부터 제2 결합부(210) 및 제1 결합부(110)를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어 제2 결합부(210) 및 제1 결합부(110)에 체결될 수 있다. 그러면, 제2 결합부(210)를 구비한 지지 부재(20)와 제1 결합부(110)를 구비한 디스플레이부(10)를 체결 부재(310)를 이용한 체결 구조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어 좀더 견고하게 지지 부재(20)와 디스플레이부(10)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부재(310)가 지지 기둥(22)의 내부 공간에서 디스플레이부(10)의 내부 공간(좀더 구체적으로, 내측 브라켓(118)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되므로 외부에서 체결 부재(310)가 인식되지 않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체결 부재(310)는 나사, 스크류 등 다양한 구조,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체결 부재(310)는 함몰 부분(112)의 제1 바닥면(112a)를 관통하여 제1 바닥면(112a)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는데, 함몰 부분(112) 위에는 체결 부재(310)를 덮어서 고정하는 내측 브라켓(118)이 더 위치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10) 및 제1 결합부(110)를 관통한 체결 부재(310)는 내측 브라켓(118)에 형성된 너트, 나사산 등의 구조에 의하여 내측 브라켓(118)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 부재(310)가 제1 및 제2 체결공(FH1, FH2)에 의해서만 고정될 수도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부분(212)은 내면부(204)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슬라이딩 결합에 관여하는 제1 및 제2 안착부(214b, 214c) 및/또는 제3 안착부(214a)(슬라이딩 결합 부분)와 체결 고정에 관여하는 체결 부분(212)을 별개의 구조체에 형성하여 서로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안착부(214b, 214c) 및/또는 제3 안착부(214a)와 체결 부분(212)이 동일한 외면부(202) 또는 내면부(204)에 위치하거나, 지지 부재(202)가 외면부(202) 및 내면부(204)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그 외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0)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 부재(2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0)가 지지되는바, 지지 부재(20)가 디스플레이부(10)의 무게를 직접 받쳐줘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흔들림 등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예를 들어, 흔들림 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전후로 흔들리는 등의 미세 유동이 발생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쓰러지는 현상)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20)를 디스플레이부(10)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고정 또는 가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조립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 부재(320)에 의하여 슬라이딩 결합에 의한 고정 또는 가고정을 좀더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체결 부재(310)에 의한 체결 고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0)와 지지 부재(20)를 간단한 구조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 부재(20)가 일체의 구조 또는 하나의 몸체를 가지는 하나의 부품(one piece)으로 구비되어, 조립 편의성, 재료비 절감, 깔끔한 디자인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바닥부에 제1 결합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에 후방이 개방되며 상기 제1 결합부가 위치하는 오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되어 상기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기 제2 결합부 또는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하여 상기 제2 결합부를 상기 제1 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커버의 바닥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가 전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는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부로 돌출된 돌출 부분과, 상기 제1 결합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돌출 부분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 부분 및 상기 수용 부분의 후방에서 하부로 연장된 걸림 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를 체결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바닥부에서 메인 바닥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바닥면을 포함하는 함몰 부분; 및
    상기 함몰 부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바닥면, 그리고 상기 제2 바닥면의 양측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레일부를 구비하는 결합 부분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제1 바닥면과 상기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2 레일부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2 레일부 위에 각기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를 후방에서 연결하며 상기 제1 바닥면과 상기 제2 바닥면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3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면과 상기 제1 또는 제2 레일부 사이의 거리가 전방으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 레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안착부는 두께가 전방으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닥면에 각기 제1 체결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제2 바닥면을 향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2 체결공을 구비하는 체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분의 하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공 및 상기 제2 체결공을 통하여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분에 상기 체결 부재에 대응하여 돌출된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의 상부 선단에 상기 제2 체결공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내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커버의 메인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닥면과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된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커버의 내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고정 부재에 양측이 고정되는 회로 어셈블리와, 상기 회로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메인 바닥면 사이에서 상기 커버의 내면과 상기 회로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외면을 구성하는 외면부와, 상기 외면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내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면부에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결합에 관여하는 슬라이딩 결합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내면부에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한 상기 체결 고정에 관여하는 체결 부분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는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 부재의 부분이 상기 외면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체결부가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기둥과, 상기 지지 기둥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을 구성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일체의 구조를 가져,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조립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CT/KR2019/009393 2019-04-08 2019-07-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020944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02,225 US11809226B2 (en) 2019-04-08 2019-07-2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074 2019-04-08
KR1020190041074A KR20200118731A (ko) 2019-04-08 2019-04-0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9446A1 true WO2020209446A1 (ko) 2020-10-15

Family

ID=7275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9393 WO2020209446A1 (ko) 2019-04-08 2019-07-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09226B2 (ko)
KR (1) KR20200118731A (ko)
WO (1) WO202020944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619B1 (ko) * 1999-05-01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구조
KR20060097965A (ko) * 2005-03-08 2006-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0973B1 (ko) * 2004-10-25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20130044099A1 (en) * 2010-03-09 2013-02-21 Dayton Technologies Limited Performance display device
CN206875054U (zh) * 2017-04-13 2018-01-1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安装电视的底座及电视安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9584B1 (en) * 1999-11-15 2001-05-08 Compal Electronics, Inc.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having a monitor stand with a replaceable housing part
KR100395092B1 (ko) * 2001-07-27 2003-08-21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랜 어댑터
KR100443981B1 (ko) * 2001-12-04 2004-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US6695270B1 (en) * 2002-08-15 2004-02-24 Ole Falk Smed Flat panel display system
KR100534115B1 (ko) * 2003-08-01 200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34120B1 (ko) * 2003-08-21 200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JP3111702U (ja) * 2005-04-20 2005-07-28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DE102005021393A1 (de) * 2005-05-04 2006-11-09 Robert Bosch Gmbh Halte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Anzeigeeinheit, Anzeigeeinheit und Anzeigevorrichtung
KR100730717B1 (ko) * 2005-05-10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착탈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WO2007055750A2 (en) * 2005-11-09 2007-05-18 George Moser Portable computer with reconfigurable display
KR100776420B1 (ko) * 2005-11-14 200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CA2645757A1 (en) * 2006-03-14 2007-09-20 Jerry Moscovitch Power and video unit for a multi-screen display system
TW200817765A (en) * 2006-10-11 2008-04-16 Innolux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019582B2 (ja) * 2007-01-31 2012-09-05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US7733645B2 (en) * 2007-02-05 2010-06-08 Amtran Technology Co., Ltd Thin display structure
KR101180762B1 (ko) * 2008-04-10 2012-09-0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지지 구조 및 표시 장치
TWI375505B (en) * 2008-10-24 2012-10-21 Wistron Corp Frame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5251771B2 (ja) * 2009-07-23 2013-07-31 船井電機株式会社 スタンド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リアキャビネット
US20140313665A1 (en) * 2011-12-05 2014-10-23 Michael Delpier A Computing System Including A First And Second Housing And Polar Magnets
EP2607773B1 (en) * 2011-12-22 2017-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9740237B2 (en) * 2012-03-30 2017-08-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ssembly for removable display and input devices
JP6235137B2 (ja) * 2014-06-06 2017-11-2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10955873B1 (en) * 2019-11-06 2021-03-23 Lenovo (Singapore) Pte. Ltd.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619B1 (ko) * 1999-05-01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의 스탠드 장착구조
KR100630973B1 (ko) * 2004-10-25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060097965A (ko) * 2005-03-08 2006-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044099A1 (en) * 2010-03-09 2013-02-21 Dayton Technologies Limited Performance display device
CN206875054U (zh) * 2017-04-13 2018-01-1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安装电视的底座及电视安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731A (ko) 2020-10-16
US20220171428A1 (en) 2022-06-02
US11809226B2 (en)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37032A1 (en) Display device
EP2279448A2 (en) Display device and bottom chassis thereof
WO2015026035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204271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0209446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17069387A1 (ko) 탈부착 가능한 디바이스 케이스
WO2019093639A1 (ko)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1055997A2 (en) Display apparatus
WO2019132411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37493A1 (en) Display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thereof
WO2019059488A1 (en) DISPLAY DEVICE
WO2017183904A1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
WO2024029637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213790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18070748A1 (en) Display apparatus
WO2015102314A1 (ko) 결합 장치
WO2023277366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0246666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104945A1 (en) Display apparatus
WO2022119051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5455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05063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219185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246554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94016A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240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240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