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19051A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19051A1
WO2022119051A1 PCT/KR2021/002223 KR2021002223W WO2022119051A1 WO 2022119051 A1 WO2022119051 A1 WO 2022119051A1 KR 2021002223 W KR2021002223 W KR 2021002223W WO 2022119051 A1 WO2022119051 A1 WO 20221190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using
adjusting member
height adjusting
rear cover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222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민근
노준기
박모아
박용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21190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19051A1/ko
Priority to US18/196,60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28440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5Locking means for translational movement
    • F16M2200/028Locking means for translational movement by positive interaction, e.g. male-femal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어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이 제1높이를 갖는 제1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스탠드; 및 상기 하우징을 제2높이를 갖는 제2위치에서 지지 가능하도록 상기 스탠드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컴퓨터용 모니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관상 하우징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바닥면과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사운드 바와 같은 주변기기가 설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운드 바와 같은 주변기기가 없을 때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바닥면에 근접하게 위치시키고, 주변기기가 있을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이 가려지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측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우징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사용자가 쉽게 디스플레이 패널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어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이 제1높이를 갖는 제1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스탠드 및 상기 하우징을 제2높이를 갖는 제2위치에서 지지 가능하도록 상기 스탠드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리어커버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위치에서 지지될 때,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상단은 상기 지지돌기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지지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위치에서 지지될 때 상기 리어커버를 향하는 제1측과,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제2측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측은 상기 베이스를 향하고 상기 제2측은 상기 리어커버를 향할 수 있다.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탠드에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돌기와 접촉되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스탠드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돌기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리어커버를 향해 돌출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는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결합홀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리어커버와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가 수용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수용벽과, 상기 수용벽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벽은 상기 리어커버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스탠드를 향해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위치에서 지지될 때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1측에 마련되는 제1고정홈과,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위치에서 지지될 때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측에 마련되는 제2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접촉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회전 샤프트가 형성되는 회전부와,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위치에서 지지될 때 상기 접촉리브와 접촉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회전부에 마련되는 돌출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위치에서 지지될 때 상기 높이조절부재와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서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양 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리어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바텀섀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텀섀시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위치에서 지지될 때 상기 접촉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스탠드 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제1높이를 갖는 제1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스탠드 및 상기 하우징을 제2높이를 갖는 제2위치에서 지지 가능하도록 상기 스탠드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과 스탠드 사이에 수용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어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높이조절부재가 수용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리어커버와 접촉되는 수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커버와, 상기 리어커버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제1높이를 갖는 제1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리어커버를 지지하는 스탠드 및 상기 하우징을 제2높이를 갖는 제2위치에서 지지 가능하도록 상기 스탠드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로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위치에서 지지될 때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제1측에 마련되는 제1고정홈과,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제2측에 마련되는 제2고정홈을 포함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홈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위치에서 지지될 때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스탠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위치에서 지지될 때 상기 제1측은 상기 리어커버를 향하고, 상기 제2측은 상기 스탠드를 향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측은 상기 스탠드를 향하고 상기 제2측은 상기 리어커버를 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스탠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하우징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탠드와 하우징이 제1위치에서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탠드와 높이조절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1위치에서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탠드와 하우징이 제2위치에서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2위치에서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과 스탠드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1위치에 지지될 때 스탠드와 높이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1위치에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2위치에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3위치에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이 도시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이를 기준으로, 후방, 좌우측 및 상하측을 정의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개구(1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13)는 하우징(10)의 전면(前面)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후방에서 외부 프레임(11)과 결합되는 바텀 섀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1)과 디스플레이 패널(20)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외부 프레임(11)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1)은 전면(前面) 및 후면(後面)이 개방된 박스(box)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부 프레임(11)의 개방된 전면은 개구(13)로 정의될 수 있다. 즉, 개구(13)는 외부 프레임(11)의 전면(前面)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리어커버(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커버(12)는 외부 프레임(11)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커버(12)는 외부 프레임(11)과 함께 디스플레이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외부 프레임(11)의 개방된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액정패널, LED패널 또는 유리 LE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우징(10)과 결합되는 스탠드(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30)는 리어커버(12)의 후방에서 하우징(10)과 결합되어 하우징(10)을 지지할 수 있다. 스탠드(30)는 하우징(10)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30)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수용하는 하우징(10)이 바닥에 세워질 수 있도록 하우징(1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스탠드(30)는 하우징(10)이 바닥에 배치될 때, 하우징(10)이 전도되지 않도록 하우징(10)을 지지할 수 있다.
리어커버(12)는 스탠드(30)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리세스(12a)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12a)는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3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스탠드(30)는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스탠드는 2개로 도시되었으나 스탠드(30)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복수의 광학시트와, 빛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슬림화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탠드와 하우징이 제1위치에서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탠드와 높이조절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1위치에서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스탠드(30)는 하우징(10)을 지지하도록 하단부에 마련되는 받침대(31)와, 받침대(3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넥(32)과, 넥(32)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장착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50)는 리어커버(12)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장착부(50)는 리어커버(12)에 슬라이딩되어 장착될 수 있다. 받침대(31)의 하측에는 받침돌기(31a)가 마련될 수 있다. 받침돌기(31a)는 지면과 접촉하여 스탠드(30)를 지지시킬 수 있다.
스탠드(30)는 장착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50)는 높이조절부재(100)가 스탠드(30)에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50)는 베이스(51)와, 지지돌기(52)와, 결합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51)는 하우징(10)의 후방에서 리어커버(12)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51)는 넥(32)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51)는 지지돌기(52)가 형성되는 함몰부(51a)와, 리어커버(12)와 접촉하는 후방 지지부(51b)와, 하우징(10)이 제1위치(P1)에서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10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51c)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51a)는 후방 지지부(51b)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함몰부(51a)는 높이조절부재(100)가 안착부(51c)에 안착될 때 안정적으로 베이스(51)와 리어커버(12) 내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재(100)가 하우징(10)을 제2위치(P2)에서 지지할 때 안정적으로 베이스(51)와 리어커버(12) 내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함몰부(51a)는 상면(51f)을 포함할 수 이 있다.
스탠드(30)는 함몰부(51a)를 형성하는 좌측면 및 우측면에서 함몰부(51a) 내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리브(51g)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리브(51g)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리브(51g)는 높이조절부재(100)가 하우징(10)을 제2위치(P2)에서 지지할 때, 높이조절부재(100)가 함몰부(51a)에 끼움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이 제2위치(P2)에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100)는 쉽게 빠지지 않을 수 있고, 역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안착부(51c)는 하우징(10)이 제1위치(P1)에서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100)가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51c)는 후술하는 수용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30)는 안착돌기(51d, 51e)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돌기(51d, 51e)는 높이조절부재(100)에 마련되는 안착홈(122, 123a)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안착돌기(51d, 51e)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안착돌기(51d, 51e)는 제1안착돌기(51d)와 제2안착돌기(51e)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안착돌기(51d)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안착돌기(51d)는 높이조절부재(100)의 제1안착홈(122)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안착돌기(51d)는 하우징(10)이 제1위치(P1)에서 지지될 때, 제2고정홈(1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안착돌기(51e)는 안착부(51c)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안착돌기(51e)는 높이조절부재(100)의 제2안착홈(123a)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30)는 지지돌기(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52)는 베이스(51)로부터 리어커버(1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즉, 지지돌기(52)는 베이스(51)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돌기(52)는 하우징(10)이 제1위치(P1)에서 지지될 때, 하우징(10)을 지지하도록 함몰부(51a)로부터 리어커버(1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지지돌기(52)는 하우징(10)이 제1위치(P1)에서 지지될 때, 안정적으로 하우징을(1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돌기(52)는 하우징 지지면(52a)과 내측돌기 수용부(52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지지면(52a)은 지지돌기(5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지지면(52a)은 리어커버(12)의 접촉면(12c)과 접촉하여 하우징(10)이 제1위치(P1)에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은 제1위치(P1)에서 지지돌기(52)에 마련되는 하우징 지지면(52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내측돌기 수용부(52b)는 높이조절부재(100)에 마련되는 내측돌기(101)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내측돌기 수용부(52b)는 지지돌기(52)에서 내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30)는 하우징(10)과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53)는 리어커버(12)에 마련되는 리세스(12a) 및 강도보강부재(1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53)는 가이드 플랜지(53)로 지칭 될 수 있다.
가이드 플랜지(53)는 제1플랜지부(53a), 제2플랜지부(53b), 제3플랜지부(53c), 슬라이딩부(5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랜지부(53a)는 베이스(51)로부터 리어커버(1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플랜지부(53b)는 제1플랜지부(53a)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플랜지부(53c)는 제2플랜지부(53b)의 단부로부터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3플랜지부(53c)는 제2플랜지의 전방측 단부에서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53d)는 제1플랜지부(53a), 제2플랜지부(53b) 및 제3플랜지부(53c)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53d)를 통해 스탠드(30)는 리어커버(12)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53d)는 강도보강부재(14)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플랜지부(53b)는 수용벽(53b)이 될 수 있다. 수용벽(53b)은 베이스(51)로부터 리어커버(1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즉, 수용벽(53b)은 베이스(51)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수용벽(53b)은 높이조절부재(100)가 수용되는 안착부(51c)를 형성할 수 있다. 수용벽(53b)이 안착부(51c)를 형성하므로, 높이조절부재(100)가 리어커버(12) 및 스탠드(30)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수용벽(53b)은 리어커버(12)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조절부재(100)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관상 장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10)이 제1위치(P1)에서 지지될 때에도 높이조절부재(100)를 별도로 보관할 필요 없이 안착부(51c)에 수용시킬 수 있다. 결국 높이조절부재(100)의 분실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결합부(53)는 단턱(53e)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30)가 하우징(10)에 결합된 경우, 단턱(53e)은 강도보강부재(14)와 접촉할 수 있다.
결합부(53)는 결합홀(53f)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홀(53f)은 수용벽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53f)은 높이조절부재(100)가 스탠드(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결합홀(53f)은 높이조절부재(100)의 회전샤프트(102a)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조절부재(100)가 회전하여, 하우징(10)을 제2위치(P2)에서 지지할 수 있다.
스탠드(30)는 접촉리브(5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리브(54)는 베이스(51)로부터 리어커버(12)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접촉리브(54)는 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접촉리브(54)는 하우징(10)이 제2위치(P2)에서 높이조절부재(100)에 의해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100)에 마련되는 돌출리브(102b)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부재(100)가 역회전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높이조절부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100)는 스탠드(30)에 장착되어 하우징(1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100)는 하우징(10)이 지지돌기(52)에 의해 제1위치(P1)에서 지지될 때, 전방을 바라보는 제1측(110)과, 후방을 바라보는 제2측(1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측(110)은 장착부 수용면(12e)을 마주볼 수 있고, 제2측(120)은 베이스(51)의 함몰부(51a)를 마주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100)가 하우징(10)을 제2위치(P2)에서 지지할 때는 제1측(110)이 후방을 바라보고, 제2측(120)이 전방을 바라 볼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재(100)는 제1측(110) 및 제2측(120) 사이에 마련되는 양측면(1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높이조절부재(100)는 좌측면(130) 및 우측면(130)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100)는 내측돌기(101)와, 회전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돌기(101)는 높이조절부재(100)의 상측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내측돌기(101)는 회전부(102)에서 높이조절부재(10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내측돌기(101)는 전술한 내측돌기 수용부(52b)에 수용될 수 있다.
회전부(102)는 높이조절부재(1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102)는 높이조절부재(100)가 회전하여 제2위치(P2)에서 하우징(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102)에는 회전샤프트(102a), 돌출리브(102b), 접촉리브 수용홈(102c)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샤프트(102a)는 결합홀(53f)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부(10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회전샤프트(102a)는 회전부(102)에서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회전샤프트(102a)는 높이조절부재(10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회전샤프트(102a)는 결합홀(53f)과 결합하므로 높이조절부재(100)가 회전하여 하우징(10)을 제2위치(P2)에서 지지할 수 있다.
회전샤프트(102a)는 결합홀(53f)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 회전샤프트(102a)는 좌측면(130) 및 우측면(130)에 각 한 개씩만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좌측면(130) 및 우측면(130)에 각 두개 이상씩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샤프트(102a)는 결합돌기(102a)라고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돌기(102a)가 복수로 마련되므로 좌측면(130) 및 우측면(130)에서는 상측에 마련되는 결합돌기(102a)와 하측에 마련되는 결합돌기(102a)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측에 마련된 결합돌기(102a)가 결합홀(53f)과 결합되어 높이조절부재(100)가 회전하여 하우징(10)을 제2높이를 갖는 제2위치(P2)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재(10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측에 마련된 결합돌기(102a)와 결합홀(53f)을 분리시키고, 하측에 마련된 결합돌기(102a)와 결합홀(53f)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조절부재(100)가 제2높이 보다 아래 측에서 하우징(10)을 지지할 수 있다. 하측에 마련된 결합돌기(102a)가 결합홀(53f)과 결합된 경우, 하우징(10)은 제3높이를 갖는 제3위치(P3)에서 지지될 수 있다. 즉, 제3위치(P3)는 제1위치(P1)와 제2위치(P2) 사이의 높이가 될 수 있다. 제3높이는 제1높이 보다는 높고, 제2높이 보다는 낮을 수 있다.
돌출리브(102b)는 회전부(102)의 외주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이 제1위치(P1)에서 지지될 때, 돌출리브(102b)는 전방을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돌출리브(102b)는 제1측(110)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이 제2위치(P2)에서 지지될 때는 제1측(110)이 후방을 향하므로 돌출리브(102b)도 후방을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접촉리브 수용홈(102c)은 회전부(102)의 외주에서 함몰될 수 있다. 접촉리브 수용홈(102c)은 하우징(10)이 제1위치(P1)에서 지지될 때 접촉리브(54)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촉리브 수용홈(102c)은 제2측(120)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100)는 고정홈(111, 121)과, 파지부(112)와, 안착돌기(51d, 51e)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안착홈(122, 123a)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홈(111, 121)은 리어커버(12)의 고정돌기(12f)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홈(111, 121)은 제1고정홈(111)과 제2고정홈(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홈(111)은 제1측(110)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홈(111)은 하우징(10)이 제1위치(P1)에서 지지될 때, 고정돌기(12f)와 결합하여 스탠드(30)가 리어커버(12)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고정홈(121)은 제2측(120)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홈(121)은 하우징(10)이 제2위치(P2)에서 지지될 때, 고정돌기(12f)와 결합하여 스탠드(30)가 리어커버(12)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10)이 제1위치(P1)에서 지지돌기(52)에 의해 지지될 때, 제1고정홈(111)과 고정돌기(12f)는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돌기(12f)가 베이스(51) 측으로 돌출되고, 제1고정홈(111)이 이에 대응하여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리어커버(12)에 결합된 스탠드(30)는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도 아래측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파지부(112)는 사용자가 높이조절부재(100)는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파지부(112)는 제1측(110)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112)는 제1측(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하우징(10)이 제1위치(P1)에서 지지될 때의 구성을 설명한다. 높이조절부재(100)는 하우징(10)과 스탠드(30)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이조절부재(100)는 리어커버(12)와 베이스(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100)는 리세스(12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30)에 마련되는 지지돌기(52)는 제1위치(P1)에서 하우징(1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돌기(52)의 하우징 지지면(52a)은 리어커버(12)의 접촉면(12c)과 접촉하여 제1위치(P1)에서 하우징(1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이 제1위치(P1)에 있을 때 높이조절부재(100)의 상단이 지지돌기(52) 보다 낮게 위치되어 지지돌기(52)가 하우징(10)을 지지할 수 있다.
접촉면(12c)은 리세스(12a)의 상면이 될 수 있다. 즉, 높이조절부재(100)가 회전되기 전에는 지지돌기(52)가 리어커버(1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바텀섀시(40)는 보강리브(41)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12c)의 상측에는 리어커버(1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41)가 마련될 수 있다. 보강리브(41)는 베이스(51)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강리브(41)는 접촉면(12c)을 형성하는 리어커버(12)와 접촉하여 리어커버(12)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보강리브(41)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크기 확대 및 하우징(10) 내부의 하중이 증가되더라도 리어커버(12)가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돌기(52)가 하중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스탠드(30)는 접촉리브(5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리브(54)는 베이스(51)로부터 리어커버(12)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접촉리브(54)는 접촉리브 수용홈(102c)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제1안착돌기(51d)는 제2측(120)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안착돌기(51d)는 제1안착홈(122)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따른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탠드와 하우징이 제2위치에서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2위치에서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높이조절부재(100)는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102)는 결합부(53)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즉, 회전샤프트(102a)와 결합홀(53f)을 통해 높이조절부재(100)가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높이조절부재(100)는 하우징(10)을 제2위치(P2)에서 지지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100)의 지지면(123)은 리어커버(12)의 접촉면(12c)과 접촉하여 하우징(1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면(123)은 하우징(10)이 제2위치(P2)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100)가 하우징(10)을 제2위치(P2)에서 지지할 때, 제1측(110)은 후방을 바라보고, 제2측(120)은 전방을 바라 볼 수 있다. 즉, 제1측(110)은 베이스(51)의 함몰부(51a)를 마주할 수 있고, 제2측(120)은 장착부 수용면(12e)을 마주볼 수 있다.
고정리브(51g)는 높이조절부재(100)의 양측면(130)과 접촉될 수 있다. 즉, 고정리브(51g)는 높이조절부재(100)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조절부재(100)는 역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높이조절부재(100)가 하우징(10)을 제2위치(P2)에서 지지할 때,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하우징(10)을 지지할 수 있다. 결국, 높이조절부재(100)는 함몰부(51a)에서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힘을 주어 높이조절부재(100)를 고정리브(51g)와의 결합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하우징(10)이 제1위치(P1)에서 지지되는 위치로 높이조절부재(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접촉리브(54)는 돌출리브(102b)와 접촉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100)가 하우징(10)을 제2위치(P2)에서 지지할 때 돌출리브(102b)는 접촉리브(54)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조절부재(100)의 역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우징(10)이 제1위치(P1)에서 지지되는 위치로 돌아가기 위해서 돌출리브(102b)는 상측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하지만, 제2위치(P2)에서 돌출리브(102b)의 상측에는 접촉리브(54)가 배치됨으로 돌출리브(102b)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즉, 높이조절부재(100)는 역회전 할 수 없고 제2위치(P2)에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힘을 주어 높이조절부재(100)를 하우징(10)이 제1위치(P1)에서 지지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하우징(10)이 제2위치(P2)에서 높이조절부재(100)에 의해 지지될 때, 제2고정홈(121)과 고정돌기(12f)는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돌기(12f)가 베이스(51) 측으로 돌출되고, 제2고정홈(121)이 이에 대응하여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리어커버(12)에 결합된 스탠드(30)는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도 아래측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100)는 접촉돌기(12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돌기(123b)는 하우징(10)이 제2위치(P2)에서 지지될 때, 상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즉, 접촉돌기(123b)는 높이조절부재(10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접촉돌기(123b)는 지지면(123)의 일단으로부터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접촉돌기(123b)는 함몰부 상면(51f)과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촉돌기(123b)는 함몰부 상면(51f)과 끼워맞춤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조절부재(100)는 역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높이조절부재(100)가 하우징(10)을 제2위치(P2)에서 지지할 때,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하우징(10)을 지지할 수 있다. 결국, 높이조절부재(100)는 함몰부(51a)에서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과 스탠드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탠드(30)는 리어커버(12)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강도보강부재(14)는 전술한 슬라이딩부(53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강도보강부재(14)는 제1플랜지부(53a), 제2플랜지, 제3플랜지부(53c)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강도보강부재(14)는 단턱(53e)과 접촉할 수 있다. 강도보강부재(14)는 리어커버(12)를 포함하는 하우징(10)과 스탠드(3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30)는 하우징(10)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강도보강부재(14)는 바텀섀시(40)와 리어커버(12)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강도보강부재(14)는 리어커버(12)와 스탠드(3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강도보강부재(14)는 바텀섀시(40), 리어커버(12), 스탠드(30)가 결합되게 할 수 있다. 강도보강부재(14)는 상기한 구성들을 결합시키고,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강도보강부재(14)는 리어커버(12)와 바텀섀시(40)를 관통할 수 있다. 리어커버(12)와 바텀섀시(40)에는 강도보강부재(14)에 대응되는 관통홀(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강도보강부재(14)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리어커버(12)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2f)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12f)는 스탠드(30)가 하우징(10)에 결합되었을 때 베이스(5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돌기(12f)는 하우징(10)이 제1위치(P1)에서 지지될 때 제1고정홈(111)과 결합되어 스탠드(30)가 하우징(10)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돌기(12f)는 하우징(10)이 제2위치(P2)에서 지지될 때 제2고정홈(121)과 결합되어 스탠드(30)가 하우징(10)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리어커버(12)는 스탠드(30)의 장착부(50)가 장착되는 리세스(12a)와,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후방을 커버하는 커버부(12b)와, 리세스(12a)의 상면으로서 제1위치(P1)에서 지지돌기(52)에 의해 지지되고 제2위치(P2)에서 높이조절부재(100)의 지지면(123)에 의해 지지되는 접촉면(12c)과, 리세스(12a)의 양측면(12d)과, 장착부 수용면(12e)을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12a)는 장착부(50)를 수용하도록 커버부(12b)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1위치에 지지될 때 스탠드와 높이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높이조절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00)는 스탠드(30)에 장착되어 하우징(1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00)는 하우징(10)이 지지돌기(52)에 의해 제1위치(P1)에서 지지될 때, 전방을 바라보는 제1측(210)과, 후방을 바라보는 제2측(2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측(210)은 장착부 수용면(12e)을 마주볼 수 있고, 제2측(220)은 베이스(51)의 함몰부(51a)를 마주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재(200)는 제1측(210) 및 제2측(220) 사이에 마련되는 양측면(2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높이조절부재(200)는 좌측면(230) 및 우측면(230)을 포함할 수 있다.
양측면(230)에는 결합돌기(201, 202, 203)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돌기(201, 202, 203)는 결합홀(53f)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돌기(201, 202, 203)와 결합홀(53f)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돌기(201, 202, 203)는 양측면(23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결합돌기(201, 202, 203)는 높이조절부재(200)의 좌측면(230) 및 우측면(230)에서 돌출될 수 있다.
결합돌기(201, 202, 203)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돌기(201, 202, 203)는 제1결합돌기(201), 제2결합돌기(202), 제3결합돌기(2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돌기(201)는 복수의 결합돌기(201, 202, 203) 중 가장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돌기(201)는 제2결합돌기(202)와 제3결합돌기(203)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결합돌기(202)는 제1결합돌기(201)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결합돌기(202)는 상하방향으로 제1결합돌기(201)와 제3결합돌기(203)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3결합돌기(203)는 제1결합돌기(201)와 제2결합돌기(202)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3결합돌기(203)는 가장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결합돌기(201, 202, 203)와 결합홀(53f)을 분리시킬 수 있고, 복수의 결합돌기(201, 202, 203) 중 하나의 결합돌기와 결합홀(53f)을 결합시켜 하우징(10)이 지지되는 위치를 사용자의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00)는 지지면(24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면(240)은 제1위치(P1), 제2위치(P2), 제3위치(P3)에 상관없이 하우징(1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면(240)은 높이조절부재(200)의 상면이 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00)는 파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212)는 사용자가 높이조절부재(200)는 장착부(50)로부터 분리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파지부(212)는 제1측(210)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212)는 제1측(2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파지부(212)의 개수 및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높이조절부재(200)는 고정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홈(211)은 리어커버(12)의 고정돌기(12f)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홈(211)은 제1측(210)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돌기(12f)가 베이스(51) 측으로 돌출되고, 고정홈(211)이 이에 대응하여 함몰될 수 있다. 고정홈(211)은 제1위치(P1), 제2위치(P2), 제3위치(P3)에 상관없이 고정돌기(12f)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홈(211)과 고정돌기(12f)가 결합되므로 스탠드(30)가 리어커버(12)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리어커버(12)에 결합된 스탠드(30)는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도 아래측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1위치에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2위치에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3위치에 지지될 때 높이조절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에서 하우징(10)은 제1위치(P1)에서 높이조절부재(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돌기(201)와 결합홀(53f)이 결합될 수 있다. 지지면(240)은 리어커버(12)의 접촉면(12c)과 접촉하여 높이조절부재(200)가 하우징(1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2에서 하우징(10)은 제2위치(P2)에서 높이조절부재(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제2결합돌기(202)와 결합홀(53f)이 결합될 수 있다. 지지면(240)은 리어커버(12)의 접촉면(12c)과 접촉하여 높이조절부재(200)가 하우징(1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3에서 하우징(10)은 제3위치(P3)에서 높이조절부재(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제3결합돌기(203)와 결합홀(53f)이 결합될 수 있다. 지지면(240)은 리어커버(12)의 접촉면(12c)과 접촉하여 높이조절부재(200)가 하우징(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조절부재(200)를 사용하여 하우징(10)을 제1위치(P1), 제2위치(P2) 또는 제3위치(P3)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00)를 사용하여 하우징(10) 및 디스플레이 패널(20)의 높이를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어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이 제1높이를 갖는 제1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스탠드; 및
    상기 하우징을 제2높이를 갖는 제2위치에서 지지 가능하도록 상기 스탠드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리어커버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위치에서 지지될 때,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상단은 상기 지지돌기 보다 낮게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지지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위치에서 지지될 때 상기 리어커버를 향하는 제1측과,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제2측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측은 상기 베이스를 향하고 상기 제2측은 상기 리어커버를 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탠드에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돌기와 접촉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스탠드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돌기에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리어커버를 향해 돌출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는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결합홀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리어커버와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가 수용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수용벽과, 상기 수용벽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벽은 상기 리어커버와 접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스탠드를 향해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위치에서 지지될 때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1측에 마련되는 제1고정홈과,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위치에서 지지될 때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측에 마련되는 제2고정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접촉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회전 샤프트가 형성되는 회전부와,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위치에서 지지될 때 상기 접촉리브와 접촉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회전부에 마련되는 돌출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서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위치에서 지지될 때 상기 높이조절부재와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서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양 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4항에서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5항에서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리어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바텀섀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텀섀시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위치에서 지지될 때 상기 접촉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스탠드 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1/002223 2020-12-04 2021-02-23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119051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196,600 US20230284407A1 (en) 2020-12-04 2023-05-12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157A KR20220078900A (ko) 2020-12-04 2020-12-04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168157 2020-12-0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196,600 Continuation US20230284407A1 (en) 2020-12-04 2023-05-12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9051A1 true WO2022119051A1 (ko) 2022-06-09

Family

ID=8185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2223 WO2022119051A1 (ko) 2020-12-04 2021-02-23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84407A1 (ko)
KR (1) KR20220078900A (ko)
WO (1) WO202211905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938B1 (ko) * 2005-08-31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060125099A (ko) * 2005-06-01 2006-12-06 현대아이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KR20110032516A (ko) * 2009-09-23 2011-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1812332B1 (ko) * 2010-11-29 201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6170A (ko) * 2016-09-30 2018-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099A (ko) * 2005-06-01 2006-12-06 현대아이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KR100630938B1 (ko) * 2005-08-31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110032516A (ko) * 2009-09-23 2011-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1812332B1 (ko) * 2010-11-29 201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6170A (ko) * 2016-09-30 2018-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900A (ko) 2022-06-13
US20230284407A1 (en)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41201A1 (en) Display apparatus
AU2018325154B2 (en) Display apparatus
WO2020040383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assembling method thereof
WO2020091110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4126330A1 (en) Display apparatus
WO2015102472A1 (en) Display apparatus
WO202113744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upplementary structure
WO2013100611A1 (en) Display apparatus
WO2020149455A1 (ko)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119051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056508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010737A1 (ko) 자동장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WO2021137324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049728A1 (en) Wall moun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1126191A1 (ko) 디스플레이 기기
WO2021085839A1 (en) Doo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WO2020009269A1 (ko) 디스플레이장치
WO2024080387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9253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05063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65671A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와 그 설치 방법
WO2020096184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24920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82776A1 (en) Display apparatus
WO2024043437A1 (ko) 디스플레이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007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007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