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5099A -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5099A
KR20060125099A KR1020050046922A KR20050046922A KR20060125099A KR 20060125099 A KR20060125099 A KR 20060125099A KR 1020050046922 A KR1020050046922 A KR 1020050046922A KR 20050046922 A KR20050046922 A KR 20050046922A KR 20060125099 A KR20060125099 A KR 20060125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stand
display device
spring
body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하
Original Assignee
현대아이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아이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아이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6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5099A/ko
Publication of KR20060125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5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상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고 정면스탠드 및 배면스탠드가 체결되는 리프트바디브래킷, 상기 리프트바디브래킷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스프링커버, 상기 스프링커버 하부의 홈에 끼워진 스프링가이드에 의해 상하로 신축되고 상기 리프트바디브래킷의 후크홈에 삽입되는 걸림후크를 구비한 리프트스프링, 정면리프트 및 배면리프트가 체결되고 상기 스프링커버의 내부에 삽입되는 리프트프레임, 및 상기 리프트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체결하는 힌지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어셈블리는 틸트(Tilt)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어셈블리는 피봇(Pivot)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 모니터, 스탠드, 리프트, 틸트, 피봇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Stand Lift Structure for Display Apparatu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LCD 모니터 스탠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탠드 리프트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힌지어셈블리(10)의 정면도(a), 좌측면도(b), 및 배면도(c)이다.
도 4는, 도 2의 리프트프레임(30)의 정면도(a), 저면도(b)이다.
도 5는, 도 2의 스프링커버(40)의 사시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6은, 도 2의 리프트바디브래킷(60)의 배면도(a) 및 저면도(b)이다.
도 7은, 상기 힌지어셈블리(10), 리프트프레임(30), 스프링커버(40), 및 리프트바디브래킷(60)을 조립한 후 아래로 최대한 내린 상태에서 리프트핀(85)을 끼운 스탠드 리프트 구조의 측면도(a) 및 배면도(b)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탠드 리프트 구조를 각각 15인치(a), 17인치(b), 19인치(c)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90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20 °로 기울인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로 올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힌지어셈블리 30 : 리프트프레임
40 : 스프링커버 50 : 리프트스프링
60 : 리프트바디브래킷 70 : 정면스탠드
80 : 배면스탠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씨디 모니터(LCD Monitor) 등에 대하여 상하로 높이 조정이 가능하고 정면에 대해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회전이 가능하며 힌지(Hinge)로써 상하로 기울임이 가능한 스탠드 리프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는, 작업자의 특성에 맞추어 보다 편안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모니터 스탠드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과 변위가 가능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 일예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를 상하로 승강시키거나, 모니터를 힌지로 회동시키거나, 모니터 자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탠드 구조는 일반적으로 한가지의 변위 구조만을 구비하고 있거나 변위 조정이 어렵고 번거로우며, 변위 조정이 두가지 이상인 경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변위 및 회전 범위가 상당히 제한되는 문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엘씨디 모니터 등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고, 정면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및 힌지로써 상하로의 기울임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스탠드 리프트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에 의하면, 바닥면상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고 정면스탠드 및 배면스탠드가 체결되는 리프트바디브래킷(Lift Body Bracket), 상기 리프트바디브래킷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스프링커버(Spring Cover), 상기 스프링커버 하부의 홈에 끼워진 스프링가이드(Spring Guide)에 의해 상하로 신축되고 상기 리프트바디브래킷의 후크홈에 삽입되는 걸림후크를 구비한 리프트스프링, 정면리프트 및 배면리프트가 체결되고 상기 스프링커버의 내부에 삽입되는 리프트프레임(Lift Frame), 및 상기 리프트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체결하는 힌지어셈블리(Hinge Assembly)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프레임 하부의 스토퍼구멍에는 그라운드스프링(Ground Spring)과 함께 리프트스토퍼가 체결되고, 상기 리프트바디브래킷의 배면에는 상기 리프트스토퍼에 의해 상기 리프트프레임의 승강범위를 규정하는 사각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프레임, 리프트바디브래킷 및 배면스탠드에는, 각각, 상기 리프트프레임을 최대로 내렸을 때 리프트핀을 끼울 수 있는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어셈블리는, 상기 힌지어셈블리의 배면에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체로 결합되는 힌지커버와, 상기 힌지커버의 구멍을 통해 상기 힌지어셈블리의 배면에 걸림 후크(Hook)로 부착되는 힌지 캡(Hinge Cap)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힌지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장치 결합판에 결합되는 피봇축의 하부에 있는 피봇돌기가 끼워지는 가이드슬릿(Guide Slit)이 형성되어서,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피봇(Pivot)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어셈블리는, 틸트축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결합판 쪽으로 돌출하는 돌기와, 상기 결합판에 상기 틸트축에 대하여 일정한 각의 가이드슬릿을 포함하여서,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틸트(Tilt)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탠드 리프트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힌지어셈블리(10)의 정면도(a), 좌측면도(b), 및 배면도(c)이며, 도 4는, 도 2의 리프트프레임(30)의 정면도(a), 저면도(b)이고, 도 5는, 도 2의 스프링커버(40)의 사시도(a) 및 평면도(b)이며, 도 6은, 도 2의 리프트바디브래킷(60)의 배면도 (a) 및 저면도(b)이고, 도 7은, 상기 힌지어셈블리(10), 리프트프레임(30), 스프링커버(40), 및 리프트바디브래킷(60)을 조립한 후 아래로 최대한 내린 상태에서 리프트핀(85)을 끼운 스탠드 리프트 구조의 측면도(a) 및 배면도(b)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탠드 리프트 구조를 15인치(a), 17인치(b), 19인치(c)에 적용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고,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90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20 °로 기울인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로 올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에 의하면, 바닥면상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Stand Lift)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고 정면스탠드(70) 및 배면스탠드(80)가 체결되는 리프트바디브래킷(60), 상기 리프트바디브래킷(6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스프링커버(40), 상기 스프링커버(40) 하부의 홈(41)에 끼워진 스프링가이드(51)에 의해 상하로 신축되고 상기 리프트바디브래킷(60)의 후크홈(67)에 삽입되는 걸림후크(55)를 구비한 리프트스프링(50), 정면리프트(35) 및 배면리프트(36)가 체결되고 상기 스프링커버(40)의 내부에 삽입되는 리프트프레임(30), 및 상기 리프트프레임(30)의 상부에 체결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체결하는 힌지어셈블리(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프레임(30) 하부의 스토퍼구멍(32)에는 그라운드스프링(Ground Spring, 53)과 함께 리프트스토퍼(52)가 체결되고, 상기 리프트바디브래킷 (60)의 배면에는 상기 리프트스토퍼(52)에 의해 상기 리프트프레임(30)의 승강범위를 규정하는 사각홀(6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프레임(30), 리프트바디브래킷(60) 및 배면스탠드(80)는, 각각, 상기 리프트프레임(30)을 최대로 내렸을 때 리프트핀(85)을 끼울 수 있는 핀구멍(31, 61, 8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커버(40) 하부에는, 상기 리프트스프링(50)에 삽입된 스프링가이드(51)의 축을 억지끼움으로 끼울 수 있는 홈(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프트바디브래킷(60)에도, 상기 리프트스프링(50)의 걸림후크(55)를 걸 수 있는 후크홈(6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커버(40)를 상하로 승강시키면, 스프링커버(40)에 끼워진 스프링가이드(51)가 상기 리프트스프링(50)을 신축시키게 된다.
상기 리프트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커버(40)는 상기 리프트스프링(50)과 함께 상하로 움직일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승강조정이 더 부드럽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커버(40)는 배면리프트(80)와 함께 리프트스프링(5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리프트프레임(3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나사구멍 및 배면리프트(36) 내면의 보스를 통해 정면리프트(35) 및 배면리프트(36)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커버(40) 내에서 슬라이딩(Sliding)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끼워진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프레임(30)의 배면판은, 상기 스프링커버(40)의 내부 뒤쪽의 리프트슬릿(Lift Slit, 42)을 따라 슬라이딩(Sliding)하 고, 스프링커버(40)의 하부는 리프트프레임(30)의 하강 범위를 제한하는 걸림부(43)로 막혀 있다.
상기 리프트프레임(30)을 최대로 내리면 상기 리프트스프링(50)이 풀리면서 상기 스프링가이드(51)가 아래로 내려오는데,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높이에서 상기 배면스탠드(80) 및 리프트바디브래킷(60)의 구멍(61, 81)을 통하여 핀구멍(31)에 리프트핀(Lift Pin, 85)을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리프트핀(85)에는 사용자가 스탠드 구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간단한 설명서를 걸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트프레임(30)을 올리면 상기 리프트스프링(50)이 감기게 된다. 상기 리프트프레임(30)의 스토퍼구멍(32)에는, 상기 리프트바디브래킷(60) 배면의 사각홀(66)을 통하여 그라운드스프링(15)과 함께 리프트스토퍼(52)가 체결되어 있어서, 상기 리프트프레임(30) 및 스프링커버(40)가 리프트바디브래킷(60)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고 상하 승강범위를 규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바디브래킷(60)에도 정면스탠드(70) 및 배면스탠드(80)가 체결되며, 정면스탠드(70) 및 배면스탠드(80)에는 체결구멍(82) 등 다수의 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스프링(50)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탠드 리프트 구조의 무게를 고려하여 적당한 탄성계수를 가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승강의 범위는 중간 높이에서 상하로 ±30mm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어셈블리(10)는, 상기 힌지어셈블리(10)의 배면에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체로 결합되는 힌지커버(20)와, 상기 힌지커버(20)의 구멍(22)을 통해 상기 힌지어셈블리(10)의 배면에 걸림 후크(Hook)로 부착되는 힌지 캡(Hinge Cap, 25)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힌지어셈블리(10)는, 디스플레이 장치 결합판(19)에 결합되는 피봇축(11)의 하부에 있는 피봇돌기(13)가 끼워지는 가이드슬릿(Guide Slit, 12)이 형성되어서,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피봇(Pivot)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힌지어셈블리(10)는, 틸트축(15)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결합판(19) 쪽으로 돌출하는 돌기(17)와, 상기 결합판(19)에 상기 틸트축(15)에 대하여 일정한 각의 가이드슬릿(16)을 포함하여서,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틸트(Tilt)시킬 수가 있다.
상기 힌지어셈블리(10)는 상기 리프트프레임(30)의 상부 측면에 있는 구멍을 통하여 체결공(18)과 나사로 체결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어셈블리(10)의 하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울임을 조정할 수 있는 힌지구조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힌지구조의 하부에는 힌지가 장착되는 틸트축(15)이 있고 그 옆에 기울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돌기(17)가 끼워지는 호형의 가이드슬릿(16)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하로 기울이는 각도범위를 규정할 수 있다. 이 기울임 각도는 위로 +20° 내지 아래로 -3°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어셈블리(10)의 디스플레이 장치 결합판 쪽에도, 힌지구조에 고정된 돌기(13)가 끼워지는 호형의 가이드슬릿(12)이 형성되어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피봇 각도범위를 규정할 수 있다. 이 피봇 각도는 0° 내지 9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는, 상기 힌지어셈블리(10), 리프트프레임(30), 스프링커버(40), 및 리프트바디브래킷(60)을 조립한 후 아래로 최대한 내린 상태에서 리프트핀(85)을 끼운 스탠드 리프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정면리프트(35) 및 배면리프트(36), 정면스탠드(70) 및 배면스탠드(80)가 생략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바디브래킷(60)의 하부에는, 베이스부에 결합시킬 수 있는 체결수단으로서, 베이스지지부(64)와 함께 베이스체결부(65)에 나사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탠드 리프트 구조를 15인치(a), 17인치(b), 19인치(c)에 적용하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구조가 달라짐에 따라, 그와의 결합 구조가 달라지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15인치 및 17인치에서는 기울어진 상태로 체결되고, 19인치에서는 사각형을 이루는 가로선이 바닥과 평행하게 체결된다. 또한 호형의 가이드슬릿 및 돌기의 위치도 각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바디브래킷(60), 정면스탠드(70), 배면스탠드(80)의 하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도록 각각 케이블 구멍(63, 73, 83)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스탠드 리프트 구조는, LCD 모니터, LCD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향후 디스플레이 장치가 경량화되면 적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더 많아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탠드 리프트 구조는 베이스부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착탈이 비교적 용이하여 운송시 적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에 의하면, 리프트부재, 힌지 부재, 피봇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고, 정면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로의 기울임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다양한 동작이 가능한 스탠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상하 승강조정을 훨씬 부드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바닥면상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Stand Lift)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고 정면스탠드(70) 및 배면스탠드(80)가 체결되는 리프트바디브래킷(Lift Body Bracket, 60),
    상기 리프트바디브래킷(6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스프링커버(40),
    상기 스프링커버(40) 하부의 홈(41)에 끼워진 스프링가이드(Spring Guide, 51)에 의해 상하로 신축되고 상기 리프트바디브래킷(60)의 후크홈(67)에 삽입되는 걸림후크(55)를 구비한 리프트스프링(50),
    정면리프트(35) 및 배면리프트(36)가 체결되고 상기 스프링커버(40)의 내부에 삽입되는 리프트프레임(Lift Frame, 30), 및
    상기 리프트프레임(30)의 상부에 체결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체결하는 힌지어셈블리(Hinge Assembly, 10)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프레임(30) 하부의 스토퍼구멍(32)에는 그라운드스프링(Ground Spring, 53)과 함께 리프트스토퍼(52)가 체결되고, 상기 리프트바디브래킷(60)의 배면에는 상기 리프트스토퍼(52)에 의해 상기 리프트프레임(30)의 승강범위를 규정하는 사각홀(6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프레임(30), 리프트바디브래킷(60) 및 배면스탠드(80)에는, 각각, 상기 리프트프레임(30)을 최대로 내렸을 때 리프트핀(85)을 끼울 수 있는 핀구멍(31, 61, 8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어셈블리(10)는, 상기 힌지어셈블리(10)의 배면에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체로 결합되는 힌지커버(20)와, 상기 힌지커버(20)의 구멍(22)을 통해 상기 힌지어셈블리(10)의 배면에 걸림 후크(Hook)로 부착되는 힌지 캡(Hinge Cap, 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어셈블리(10)는, 디스플레이 장치 결합판(19)에 결합되는 피봇축(11)의 하부에 있는 피봇돌기(13)가 끼워지는 가이드슬릿(Guide Slit, 12)이 형성되어서,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피봇(Pivot)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어셈블리(10)는, 틸트축(15)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결합판(19) 쪽으로 돌출하는 돌기(17)와, 상기 결합판(19)에 상기 틸트축(15)에 대하여 일정한 각의 가이드슬릿(16)을 포함하여서,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틸트(Tilt)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KR1020050046922A 2005-06-01 2005-06-01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KR20060125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922A KR20060125099A (ko) 2005-06-01 2005-06-01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922A KR20060125099A (ko) 2005-06-01 2005-06-01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099A true KR20060125099A (ko) 2006-12-06

Family

ID=3772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922A KR20060125099A (ko) 2005-06-01 2005-06-01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50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404Y1 (ko) * 2008-09-18 2010-07-07 전홍진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
WO2022010013A1 (ko) * 2020-07-10 2022-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114296A1 (ko) * 2020-11-27 2022-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119051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404Y1 (ko) * 2008-09-18 2010-07-07 전홍진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
WO2022010013A1 (ko) * 2020-07-10 2022-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114296A1 (ko) * 2020-11-27 2022-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119051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8195U (ja) モニター支持装置
EP3529529B1 (en) Display support system
US9316346B2 (en) Support system
CA2749096C (en) Display mount with adjustable position tilt axis
KR100710313B1 (ko) 영상표시장치
EP2100446B1 (en) Wall-avoiding self-balancing mount for tilt positioning of a flat panel electronic display
EP1382897B1 (en) A monitor support
EP1832801A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s
US4611777A (en) Computer terminal stand
US20130306820A1 (en) Support Apparatus for Display Devices and Other Objects
US20070278364A1 (en) Monitor stand
KR100793754B1 (ko) 영상표시장치
US20050011045A1 (en) Height-adjustable hing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KR20060125099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KR20040013886A (ko) Lcd 모니터의 받침대 구조
US7639481B2 (en) Hinge device of plane display
CN110088520B (zh) 倾斜机构
KR101667758B1 (ko) 교육용 책상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US9737136B1 (en) Overhead support for viewing media
US20080314392A1 (en) Limb Supporting Device
KR100628118B1 (ko) 평판형 모니터
JP7110752B2 (ja) ディスプレイ用スタンド及び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システム
KR200483450Y1 (ko) 낚시대 받침대용 고정장치
CN220623486U (zh) 一种便携式投影仪
KR20100003376U (ko)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