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404Y1 -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404Y1
KR200449404Y1 KR2020080012619U KR20080012619U KR200449404Y1 KR 200449404 Y1 KR200449404 Y1 KR 200449404Y1 KR 2020080012619 U KR2020080012619 U KR 2020080012619U KR 20080012619 U KR20080012619 U KR 20080012619U KR 200449404 Y1 KR200449404 Y1 KR 200449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upport
spring
displa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376U (ko
Inventor
김창근
김태규
Original Assignee
전홍진
김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홍진, 김창근 filed Critical 전홍진
Priority to KR2020080012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40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3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3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4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1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받침부(10)에 대해서 회전판부(32)가 힌지식으로 회전하기 위한 바닥 스위블 장치(30)와,
지지대(62)에 대해서 슬라이딩부(72)가 상하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브라켓(20)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팅장치(60)와,
리프팅장치(60)를 힌지식으로 전후 이동시키기 위하여 리프팅 장치(60)의 하부가 힌지식으로 체결되는 리프팅 틸팅장치(50)와,
디스플레이 브라켓(20)만을 힌지식으로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리프팅장치(60)의 상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브라켓 틸팅장치(90)와,
디스플레이 브라켓(20)만을 힌지식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브라켓(20)과 디스플레이 브라켓 틸팅장치의 피봇팅 브라켓(94) 간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브라켓 피봇팅 장치(80)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힌지장치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DISPLAY STAND APPARATUS}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리프트 장치의 하부에서 스위블 장치가 구비되고, 리프트 장치 자체가 틸팅되며, 디스플레이 브라켓 자체도 피봇팅 및 틸팅되는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는 디스플레이 브라켓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트 장치, 디스플레이 브라켓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틸팅 장치, 디스플레이 브라켓을 회전시키는 피봇팅 장치를 장착하여 소비자에게 편의를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의 포장시에도 부피를 줄여 줄려고 한다.
현재의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는 이러한 복합적인 기능을 조합하여 사용 편의성을 추구할려고 한다. 한편, 리프트 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리프트 장치를 스위블 시키면서 틸팅하는 구조가 없어, 이러한 용도를 원하는 수요자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리프트 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리프트 장치를 스위블시키면서 틸팅시키며, 디스플레이 브라켓를 피봇팅 및 틸팅시키는 복합 힌지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의 일예로서,
받침부에 대해서 회전판부가 힌지식으로 회전하기 위한 바닥 스위블 장치와,
지지대에 대해서 슬라이딩부가 상하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브라켓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팅장치와,
리프팅장치를 힌지식으로 전후 이동시키기 위하여 리프팅 장치의 하부가 힌지식으로 체결되는 리프팅 틸팅장치와,
디스플레이 브라켓만을 힌지식으로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리프팅장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브라켓 틸팅장치와,
디스플레이 브라켓만을 힌지식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브라켓과 디스플레이 브라켓 틸팅장치의 피봇팅 브라켓 간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브라켓 피봇팅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 스위블 장치는 받침부의 하부로부터 샤프트가 고정되고, 회전판부 와 받침부 사이에 힌지스프링이, 회전판부 상에 힌지스프링이 체결부로 고정되며, 상기 회전판부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측면 브라켓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리프팅 틸팅장치는 상기 측면 브라켓에 샤프트가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상에 지지대의 하부가 고정되고, 이로써 측면 브라켓과 샤프트 헤드 사이에 힌지스프링, 지지대의 일측과 측면 브라켓 사이에 힌지스프링, 및 지지대의 타측과 샤프트의 단부 사이에 힌지스프링이 장착되어, 지지대가 틸팅하게 되며;
상기 리프팅장치의 상기 가이드부에는 태엽스프링 장착부가 장착되어 태엽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태엽스프링 장착부의 하부에는 장방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슬라이딩부와 지지대 사이로 태엽스프링의 단부가 상승하여 지지대의 상면에서 절곡되어 고정되며, 지지대에는 세로 방향으로 긴 슬롯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부의 장방형의 구멍 하부에 스톱퍼가 장착되어 상기 슬롯의 상하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부 상하 운동을 제한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스톱퍼 하부에는 작은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 틸팅장치는 슬라이딩부의 상단에 브라켓을 구비시키고, 브라켓에는 피봇팅 브라켓가 구비되고, 브라켓의 측면에 샤프트를 삽입하여, 샤프트 헤드와 브라켓의 측면 사이에 힌지스프링, 브라켓의 측면과 피봇팅 브라켓 사이에 힌지스프링, 및 피봇팅 브라켓 내측으로 힌지스프링이 체결부로 고정되어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 피봇팅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 상부로부터 샤프트가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브라켓과 피봇팅 브라켓 사이에 힌지스프링이, 피 봇팅 브라켓 하부에 힌지스프링이 체결부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부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한쌍의 리브 사이에는 샤프트가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 상에는 상부에 후크가 돌출되고 상기 후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부쪽으로 돌기가 돌출된 후크부가 장착되며, 상기 후크부는 샤프트상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해 후크부가 항상 직립하도록 부세되며, 직립된 후크부는 후크가 지지대 면에 부딪쳐서 더 이상 회전은 되지 않고, 돌기는 지지대의 슬롯 하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노출되어 사용자의 버튼 역할을 하게 되며, 슬라이딩부가 하강하면 슬라이딩부의 구멍에 후크부의 후크가 체결되어 슬라이딩부는 상승을 하지 못하게 되고, 돌기를 누르면 후크부가 구멍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슬라이딩부가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는 각 장치의 힌지장치나 리프팅 장치는 모두 일반적인 힌지장치와 리프팅 장치이지만, 바닥 스위블 장치(30), 리프팅 틸팅장치(50), 리프팅장치(60), 디스플레이 브라켓 틸팅장치(90), 디스플레이 브라켓 피봇팅 장치(80)가 함께 조합되어 단일의 구성을 이루어, 디스플레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포장시 편의성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바닥 스위블 장치(30)는 받침부(10)에 대해서 회전판부(32)가 회전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예로써, 받침부(10)의 하부로부터 샤프트(12)가 고정되고, 회전판부(32)와 받침부(10)사이에 힌지스프링(34(2))이, 회전판부(32) 상에 힌지스프링(34(1))이 체결부(36)로 고정된다. 상기 회전판부(32)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측면 브라켓(38)이 각각 구비된다.
리프팅 틸팅장치(50)는 리프팅장치(60)를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일예로써, 상기 측면 브라켓(38)에 샤프트(52)가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52)상에 지지대(62)의 하부가 끼워지고, 이로써 측면 브라켓(38)과 샤프트(52) 헤드 사이에 힌지스프링(54(1)), 지지대(62)의 일측과 측면 브라켓(38) 사이에 힌지스프링(54(2)), 및 지지대(62)의 타측과 샤프트(52)의 단부 사이에 힌지스프링(54(3))이 장착되어, 지지대(62)가 틸팅하게 된다.
리프팅장치(60)는 지지대(62)에 대해서 슬라이딩부(72)가 상하 이동하여 각종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브라켓(20)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일예로써, 지지대(62)의 측면부가 오목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에 소음 줄임을 위하여 플라스틱제(64)가 삽입되고, 슬라이딩부(72)의 측면부에 가이드부(74)가 구비되고, 정면에는 태엽스프링 장착부(76)가 장착되어 태엽스프링(78)이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72)의 태엽스프링 장착부(76)의 하부에는 장방형의 구멍(79)이 형성되어 슬라이딩부(72)와 지지대(62) 사이로 태엽스프링(78)의 단부가 상승하여 지지대(62)의 상면에서 절곡되어 고정된다. 이로써, 슬라이딩부(72)를 손으로 내리면, 디스플레이 브라켓(20)등의 자중으로 내린 만큼 제자리에 있게 되고, 올리면, 태엽스프링에 의해 올린 만큼 제자리에 있게 된다. 지지대(62)에는 세로 방향으로 긴 슬롯(66)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부(72)의 장방형의 구멍(79) 하부에 스톱퍼(67)가 장착되어 상기 슬롯(66)의 상하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부(72) 상하 운동을 제한한다. 상기 슬라이딩부(72)의 스톱퍼(67) 하부에는 작은 구멍(179)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62)의 하부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리브(121)가 구비되고, 상기 한쌍의 리브(121) 사이에는 샤프트(122)가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122) 상에는 상부에 후크(127)가 돌출되고 상기 후크(127)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부쪽으로 돌기(129)가 돌출된 후크부(125)가 장착되며, 상기 후크부(125)는 샤프트(122)상에 장착된 스프링(131)에 의해 후크부(125)가 항상 직립하도록 부세되며, 직립된 후크부(125)는 후크(127)가 지지대(62) 면에 부딪쳐서 더 이상 회전은 되지 않고, 돌기(129)는 지지대(62)의 슬롯(66) 하부에 형성된 구멍(68)을 통해서 노출되어 사용자의 버튼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슬라이딩부(72)가 하강하면 슬라이딩부(72)의 구멍(179)에 후크부(125)의 후크(127)가 체결되어 슬라이딩부(72)는 상승을 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돌기(129)를 누르면 후크부(125)가 구멍(179)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슬라이딩부(72)가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후크부(125)를 구비한 이유는 슬라이딩부(72)가 상승한 상태에서 지지대(62)를 틸팅시키면 디스플레이의 무게로 인하여 스탠드가 넘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부(72)를 완전히 하강시켜 고정한 후 틸팅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리프팅 장치도 많은 공지 기술이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특정 리프팅 장치에 제한되지 않게 된다.
디스플레이 브라켓 틸팅장치(90)는 디스플레이 브라켓(20)만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슬라이딩부(72)의 상단에 틸팅 브라켓(91)을 구비시키고, 틸팅 브라켓(91)의 양 측면에 각각 샤프트(93)를 삽입하고, 상기 샤프트(93)상에 디스플레이 브라켓(20)만을 회전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브라켓 피봇팅 장치(80)의 피봇팅 브라켓(94)이 장착된다. 이로서 샤프트(93) 헤드와 브라켓(91)의 측면 사이에 힌지스프링(92(1)), 브라켓(91)의 측면과 피봇팅 브라켓(94) 사이에 힌지스프링(92(2)), 및 피봇팅 브라켓(94) 내측으로 힌지스프링(92(3))이 체결부로 고정되어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20) 상부로부터 샤프트(82)가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브라켓(20)과 피봇팅 브라켓(94) 사이에 힌지스프링(84(1))이, 피봇팅 브라켓(94) 하부에 힌지스프링(84(2))이 체결부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바닥 스위블 장치(30)는 받침부(10)에 대해서 리프팅 장치(60)를 힌지식으로 회전시키고, 리프팅 틸팅장치(50)는 리프팅장치(60)를 힌지식으로 전후 이동시키고, 리프팅장치(60)는 디스플레이 브라켓(20)을 태엽스프링(78)을 이용하여 상하 이동시키고, 디스플레이 브라켓 틸팅장치(90)는 디스플레이 브라켓(20)만을 힌지식으로 상하 이동시키고, 디스플레이 브라켓 피봇팅 장치(80)는 디스플레이 브라켓(20)만을 힌지식으로 회전시킨다.
각 장치의 힌지장치나 리프팅 장치는 모두 일반적인 힌지장치와 리프팅 장치이지만, 바닥 스위블 장치(30), 리프팅 틸팅장치(50), 리프팅장치(60), 디스플레이 브라켓 틸팅장치(90), 디스플레이 브라켓 피봇팅 장치(80)가 함께 조합되어 단일의 구성을 이루어, 디스플레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본 고안이 최초이며, 이를 위하여 종래에 비하여 구성상의 변경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의 측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의 슬라이딩부가 업된 상태의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의 슬라이딩부가 업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부 12 : 샤프트 20 : 디스플레이 브라켓 30 : 바닥 스위블 장치 32 : 회전판부 34 : 힌지스프링 36 : 체결부 38 : 측면 브라켓
50 : 리프팅 틸팅장치 52 : 샤프트 54 : 힌지스프링 60 : 리프팅장치
62 : 지지대 64 : 플라스틱제 66 : 슬롯 67 : 스톱퍼 68 : 구멍
72 : 슬라이딩부 74 : 가이드부 76 : 태엽스프링 장착부
78 : 태엽스프링 79 : 구멍 80 : 디스플레이 브라켓 피봇팅 장치
90 : 디스플레이 브라켓 틸팅장치 91 : 틸팅 브라켓 92 : 힌지스프링
93 : 샤프트 94 : 피봇팅 브라켓 121 : 리브 122 : 샤프트
125 : 후크부 127 : 후크 129 : 돌기 131 : 스프링

Claims (3)

  1. 삭제
  2. 받침부(10)에 대해서 회전판부(32)가 힌지식으로 회전하기 위한 바닥 스위블 장치(30)와,
    지지대(62)에 대해서 슬라이딩부(72)가 상하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브라켓(20)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팅장치(60)와,
    리프팅장치(60)를 힌지식으로 전후 이동시키기 위하여 리프팅 장치(60)의 하부가 힌지식으로 체결되는 리프팅 틸팅장치(50)와,
    디스플레이 브라켓(20)만을 힌지식으로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리프팅장치(60)의 상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브라켓 틸팅장치(90)와,
    디스플레이 브라켓(20)만을 힌지식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브라켓(20)과 디스플레이 브라켓 틸팅장치의 피봇팅 브라켓(94) 간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브라켓 피봇팅 장치(80)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 스위블 장치(30)는 받침부(10)의 하부로부터 샤프트(12)가 고정되고, 회전판부(32)와 받침부(10)사이에 힌지스프링(34(2))이, 회전판부(32) 상에 힌지스프링(34(1))이 체결부(36)로 고정되며, 상기 회전판부(32)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측면 브라켓(38)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리프팅 틸팅장치(50)는 상기 측면 브라켓(38)에 샤프트(52)가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52)상에 지지대(62)의 하부가 고정되고, 이로써 측면 브라켓(38)과 샤프트(52) 헤드 사이에 힌지스프링(54(1)), 지지대(62)의 일측과 측면 브라켓(38) 사이에 힌지스프링(54(2)), 및 지지대(62)의 타측과 샤프트(52)의 단부 사이에 힌지스프링(54(3))이 장착되어, 지지대(62)가 틸팅하게 되며;
    상기 리프팅장치(60)의 상기 슬라이딩부(72)에는 태엽스프링 장착부(76)가 장착되어 태엽스프링(78)이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72)의 태엽스프링 장착부(76)의 하부에는 장방형의 구멍(79)이 형성되어 슬라이딩부(72)와 지지대(62) 사이로 태엽스프링(78)의 단부가 상승하여 지지대(62)의 상면에서 절곡되어 고정되며, 지지대(62)에는 세로 방향으로 긴 슬롯(66)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부(72)의 장방형의 구멍(79) 하부에 스톱퍼(67)가 장착되어 상기 슬롯(66)의 상하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부(72) 상하 운동을 제한하며, 상기 슬라이딩부(72)의 스톱퍼(67) 하부에는 작은 구멍(179)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 틸팅장치(90)는 슬라이딩부(72)의 상단에 브라켓(91)을 구비시키고, 브라켓(91)에는 피봇팅 브라켓(94)가 구비되고, 브라켓(91)의 측면에 샤프트(93)를 삽입하여, 샤프트(93) 헤드와 브라켓(91)의 측면 사이에 힌지스프링(92(1)), 브라켓(91)의 측면과 피봇팅 브라켓(94) 사이에 힌지스프링(92(2)), 및 피봇팅 브라켓(94) 내측으로 힌지스프링(92(3))이 체결부로 고정되어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 피봇팅 장치(80)는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20) 상부로부터 샤프트(82)가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브라켓(20)과 피봇팅 브라켓(94) 사이에 힌지스프링(84(1))이, 피봇팅 브라켓(94) 하부에 힌지스프링(84(2))이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62)의 하부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리브(121)가 구비되고, 상기 한쌍의 리브(121) 사이에는 샤프트(122)가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122) 상에는 상부에 후크(127)가 돌출되고 상기 후크(127)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부쪽으로 돌기(129)가 돌출된 후크부(125)가 장착되며, 상기 후크부(125)는 샤프트(122)상에 장착된 스프링(131)에 의해 후크부(125)가 항상 직립하도록 부세되며, 직립된 후크부(125)는 후크(127)가 지지대(62) 면에 부딪쳐서 더 이상 회전은 되지 않고, 돌기(129)는 지지대(62)의 슬롯(66) 하부에 형성된 구멍(68)을 통해서 노출되어 사용자의 버튼 역할을 하게 되며, 슬라이딩부(72)가 하강하면 슬라이딩부(72)의 구멍(179)에 후크부(125)의 후크(127)가 체결되어 슬라이딩부(72)는 상승을 하지 못하게 되고, 돌기(129)를 누르면 후크부(125)가 구멍(179)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슬라이딩부(72)가 상승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
KR2020080012619U 2008-09-18 2008-09-18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 KR2004494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619U KR200449404Y1 (ko) 2008-09-18 2008-09-18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619U KR200449404Y1 (ko) 2008-09-18 2008-09-18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376U KR20100003376U (ko) 2010-03-26
KR200449404Y1 true KR200449404Y1 (ko) 2010-07-07

Family

ID=44198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619U KR200449404Y1 (ko) 2008-09-18 2008-09-18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40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2077A (zh) * 2016-09-23 2017-01-11 成都捷科菲友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显示设备的双向稳定型安装机构
KR101974829B1 (ko) 2018-11-29 2019-08-28 주식회사 합동전자 디스플레이용 스탠드베이스 기울기 검사장치
CN117146153B (zh) * 2023-10-30 2023-12-26 南通顺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升降水平仪支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961A (ko) * 2005-03-08 2006-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20060125099A (ko) * 2005-06-01 2006-12-06 현대아이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KR20070084650A (ko) * 2006-02-21 2007-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탠드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119323A (ko) * 2006-06-15 2007-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 스탠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961A (ko) * 2005-03-08 2006-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20060125099A (ko) * 2005-06-01 2006-12-06 현대아이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KR20070084650A (ko) * 2006-02-21 2007-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탠드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119323A (ko) * 2006-06-15 2007-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376U (ko) 201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9717B2 (ja) 電子機器の支持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357839B1 (en)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for hanging table
US20090121600A1 (en) Refrigerating Appliance With Height-Adjustable Storage Device
US7128235B2 (en) Bathroom caddy for disposable wet wipes
KR200449404Y1 (ko)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
US10722052B2 (en) Articulating vanity mirror assembly
TWI407787B (zh) Receptible locking frame and locking mechanism
KR101045945B1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대
CN102313435A (zh) 冰箱及其搁架组件
WO2019041647A1 (zh) 一种移动脚架
KR100813717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 장치
EP3106063A1 (en) Hanging table comprising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CN111493678A (zh) 一种控制面板可翻转的嵌入式家用电器
KR101848739B1 (ko) 완강기 지지대
KR200455787Y1 (ko) 노트북 거치대 겸용 독서대
CN211862488U (zh) 一种轴连接支撑脚架和衣帽架
JPH081758Y2 (ja) 物干装置
KR20060125099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리프트 구조
KR20100045038A (ko) 개선된 선반 구조
KR200409773Y1 (ko) 360도 방향으로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용 경사타석기
KR200375707Y1 (ko) 바퀴 고정장치가 장착된 책상
KR200424196Y1 (ko) 출입문 열림상태 유지구
JP2022510739A (ja) 調整可能なキャリアブラケット
JPH0120918B2 (ko)
JP4064839B2 (ja) 物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