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961A - 모니터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961A
KR20060097961A KR1020050018977A KR20050018977A KR20060097961A KR 20060097961 A KR20060097961 A KR 20060097961A KR 1020050018977 A KR1020050018977 A KR 1020050018977A KR 20050018977 A KR20050018977 A KR 20050018977A KR 20060097961 A KR20060097961 A KR 20060097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link
hinge
bas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4997B1 (ko
Inventor
정준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8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997B1/ko
Priority to US11/354,946 priority patent/US8035957B2/en
Priority to PCT/KR2006/000769 priority patent/WO2006095987A1/en
Priority to CNB200610056792XA priority patent/CN100563410C/zh
Publication of KR20060097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16M11/10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the horizontal axis being the roll axis, e.g. for creating a landscape-portrait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3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folding, e.g. pivoting or scissors tong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6Arms
    • F16M2200/065Arms with a special structure, e.g. reinforced or adapted for space red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10S248/922Ang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10S248/922Angular
    • Y10S248/923Ti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이 형성되는 모니터본체와, 상기 모니터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모니터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베이스에 대해 틸팅가능하게 베이스힌지에 의해 결합된 하부링크와; 일측이 상기 모니터본체에 대해 틸팅가능하게 모니터힌지에 의해 결합된 상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가 상기 하부링크에 평행하게 접히도록 일측이 상기 하부링크에 대해 틸팅가능하게 제1중간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상부링크에 대해 틸팅가능하게 제2중간힌지에 의해 결합된 중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모니터본체의 다양한 각도변화와 포장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장치{MONITOR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피벗팅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스위블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모니터본체가 상부링크에 대해 틸팅되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상부링크가 하부링크에 대해 틸팅되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하부링크가 베이스에 대해 팅팅되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베이스, 하부링크, 상부링크 및 모니터본체가 상호 평형하게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모니터본체가 상부링크에 대해 피벗팅되는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본체의 하부링크가 베이스에 대해 스위블되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니터본체 20 : 베이스
30 : 베이스힌지 31 : 베이스브래킷
41 : 베이스보조링크지지부 43 : 제1보조링크결합부
50 : 하부링크 51 : 베이스축지지부
60 : 제1중간힌지 61 : 제1힌지축
65 : 제2중간힌지 66 : 제2힌지축
70 : 중간링크 80 : 상부링크
81 : 제2힌지축지지부 87 : 모니터축지지대
90 : 모니터힌지 91 : 모니터브래킷
110 : 제1보조링크 115 : 제1스프링부재
120 : 제2보조링크 125 : 제2스프링부재
130 : 피벗팅유닛 131 : 피벗팅브래킷
141 : 본체브래킷 143 : 피벗팅축
147 : 피벗팅각도제한부 150 : 스위블유닛
151 : 스위블부재 155 : 스위블지지대
본 발명은, 모니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본체의 회 전구조를 개선한 모니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장치는 화상이 형성되는 모니터본체와, 상기 모니터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모니터본체를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또는 모니터본체의 높이를 조절하게 링크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모니터장치가 한국특허출원번호 10-2002-5920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모니터장치는 베이스에 마련된 베이스힌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링크와, 모니터본체에 마련된 모니터힌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링크와, 상부링크와 하부링크 사이에 마련되어 상부링크가 하부링크에 대해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하는 링크힌지와, 베이스에 대한 하부링크의 회동을 상부링크의 회동으로 전달하는 제1보조링크를 포함한다. 이에, 종래의 모니터장치는 모니터본체가 좌우 축선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틸팅가능하며, 틸팅시 모니터본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의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하기위해 보다 다양한 모니터본체의 각도변화와, 포장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니터본체의 다양한 각도변화와 포장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모니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모니터본체의 높이조절시 모니터본체의 응시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모니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이 형성되는 모니터본체와, 상기 모니터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모니터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베이스에 대해 틸팅가능하게 베이스힌지에 의해 결합된 하부링크와; 일측이 상기 모니터본체에 대해 틸팅가능하게 모니터힌지에 의해 결합된 상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가 상기 하부링크에 평행하게 접히도록 일측이 상기 하부링크에 대해 틸팅가능하게 제1중간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상부링크에 대해 틸팅가능하게 제2중간힌지에 의해 결합된 중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중간힌지는 각각 상기 하부링크 및 상기 상부링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링크는 상기 제1힌지축 및 상기 제2힌지축과 각각 상대회전하지 않게 결합되는 제1축결합부 및 제2축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힌지는 상기 모니터본체에 대해 결합된 모니터브래킷과, 상기 모니터브래킷 및 상기 상부링크 중 적어도 하나와 회동가능하게 상기 모니터브래킷과 상기 상부링크에 결합된 모니터힌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힌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결합된 베이스브래킷과, 상기 베이스브래킷 및 상기 하부링크 중 적어도 하나와 회동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브래킷과 상기 하부링크에 결합된 베이스힌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본체와 상기 베이스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힌지축 및 상기 모니터힌지축에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도록 중공형상의 베이 스축관통부 및 모니터축관통부가 마련되며, 상기 중간링크에는 상기 모니터축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링크의 측면으로 연장된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2힌지축의 축선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함몰된 제2힌지축관통부와,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2힌지축관통부로부터 상기 제1힌지축의 축선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하부링크의 측면 연장되도록 상기 제2힌지축관통부와 연통되게 함몰된 제1힌지축관통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본체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하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스위블가능하도록 마련된 스위블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블유닛은, 상기 베이스힌지와 결합된 스위블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스위블부재가 스위블가능하도록 상기 스위블부재의 중앙영역과 상기 베이스를 체결하여 지지하는 스위블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본체가 상기 상부링크에 대해 전후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팅가능하도록 마련된 피벗팅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벗팅유닛은, 상기 모니터힌지에 대해 결합된 피벗팅브래킷과; 일측이 상기 피벗팅브래킷에 대해 피벗팅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모니터본체에 대해 결합된 모니터브래킷과; 상기 모니터브래킷이 상기 피벗팅브래킷에 대해 피벗팅가능하도록 상기 피벗팅브래킷 및 상기 모니터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돌출되어 결합된 피벗팅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본체와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피벗팅축에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도록 중공형상의 피벗팅축관통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하부링크의 틸팅을 상기 하부링크에 대한 상기 중간링크의 틸팅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1중간힌지와 상기 베이스힌지를 연결하는 제1보조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링크에 대한 상기 상부링크의 틸팅을 상기 상부링크에 대한 상기 모니터본체의 틸팅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2중간힌지와 상기 모니터힌지를 연결하는 제2보조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링크는 상기 하부링크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상기 베이스힌지 및 상기 제1중간힌지에 결합되며, 상기 제2보조링크는 상기 상부링크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상기 제2중간힌지 및 상기 모니터힌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링크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하부링크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전방 및 후방 중 어느 하나의 틸팅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양측이 상기 한 쌍의 제1보조링크에 각각 결합된 제1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보조링크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링크가 상기 하부링크에 대해 전방 및 후방 중 어느 하나의 틸팅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양측이 상기 한 쌍의 제2보조링크에 각각 결합된 제2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는 화상이 형성되는 모니터본체(10)와, 모니터본체(10)를 지지하는 베이스(20)와, 일측이 베이스(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하부링크(50)와, 베이스(20)와 하부링크(50) 사이에 마련되어 하부링크(50)가 베이스(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하는 베이스힌지 (30)와, 일측이 모니터본체(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상부링크(80)와, 모니터본체(10)와 상부링크(80) 사이에 마련되어 상부링크(80)가 모니터본체(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하는 모니터힌지(90)와, 일측이 하부링크(50)와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타측이 상부링크(80)와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중간링크(70)와, 하부링크(50)와 중간링크(70) 사이에 마련되어 중간링크(70)가 하부링크(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하는 제1중간힌지(60)와, 중간링크(70)와 상부링크(80) 사이에 마련되어 상부링크(80)가 중간링크(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하는 제2중간힌지(6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는 베이스(20)에 대한 하부링크(50)의 회동을 중간링크(70)의 회동으로 전달하는 제1보조링크(1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중간링크(70)에 대한 상부링크(80)의 회동을 상부링크(80)에 대한 모니터본체(10)의 회동으로 전달하는 제2보조링크(12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는 모니터본체(10)가 베이스(20)에 대해 상하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스위블가능하도록 마련된 스위블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는 모니터본체(10)가 상부링크(80)에 대해 전후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팅가능하도록 마련된 피벗팅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본체(10)는 화상부의 면적이 더 넓어져도 그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나 PDP(plasma display panel)와 같은 박판형 디스플레이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본체(10)는 그 전면에 화상이 마련되며, 그 배면에는 모니터본체(10)가 피벗팅가능하도록 후술할 피벗팅유닛(130)의 본체브래킷(141)이 스크루에 의해 체결된다.
베이스(20)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모니터본체(10)를 지지하도록 테이블과 같은 수평면에 안착되며, 그 상측에는 모니터본체(10)가 스위블가능하도록 스위블유닛(150)이 마련된다.
베이스힌지(60)는 하부링크(50)가 베이스(20)에 대해 좌우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틸팅하도록 베이스(20)에 대해 하부링크(50)를 지지한다. 베이스힌지(30)는 베이스(20)에 대해 결합된 베이스브래킷(31)과, 베이스브래킷(31) 및 하부링크(50) 중 적어도 하나와 회동가능하게 베이스브래킷(31)과 하부링크(50)에 결합된 베이스힌지축(37)을 포함한다. 베이스힌지(30)는 베이스브래킷(31)에 대해 일체로 결합되어 제1보조링크(1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된 베이스보조링크지지부(41)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힌지(30)는 베이스보조링크지지부(41)의 일측에 마련된 베이스힌지축(37)을 수용하여 스크루에 의해 체결된 베이스축체결부(33) 및 베이스축체결부(33)를 커버하는 베이스축체결커버(35)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힌지축(37)은 하부링크(50)의 양측과 회동가능하게 결합가능하도록 베이스브래킷(31)의 일측 및 베이스보조링크지지부(41)의 일측에 각각 마련된다. 한 쌍의 베이스힌지축(37) 중 적어도 하나에는 모니터본체(10)와 베이스(20)를 연결하는 케이블(15)이 관통하도록 관통 형성된 베이스축관통부(38)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예로 베이스축관통부(38)는 베이스브래킷(31)의 일측에 마련된 베이스힌지축(37)에 마련된다. 베이스축관통부(38)를 통과한 케이블(15)은 베이스브래킷(31)의 내측을 통해 베이스(20)로 연장된다.
베이스보조링크지지부(41)에는 한 쌍의 제1보조링크(110)의 양측에 마련된 제1지지체결부(111) 중 일측을 수용하여 제1보조링크결합핀(4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쌍의 제1보조링크결합부(43)가 마련된다.
제1보조링크결합핀(45)은 제1보조링크(110)가 베이스힌지축(37)의 회동축선에 대해 편심되게 위치하도록 제1보조링크결합부(43)와 결합된다.
하부링크(50)는 사각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하측이 베이스힌지(30)에 대해 틸팅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이 제1중간힌지(60)에 대해 틸팅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링크(50)는 하부 양측에 마련되어 베이스힌지축(37)을 수용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축지지부(51)와, 상부 양측에 마련되어 후술할 제1중간힌지(60)의 제1힌지축(61)을 수용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힌지축지지부(55)를 포함한다.
한 쌍의 베이스축지지부(51) 중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힌지축(37)을 용이하게 수용하도록 일측이 절취될 수 있으며, 그 절취된 영역에는 베이스축지지대(53)가 스크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힌지축지지부(55) 중 적어도 하나는 제1힌지축(61)을 용이하게 수용하도록 일측이 절취될 수 있으며, 그 절취된 영역에는 제1힌지축지지대(57)가 스크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힌지축지지부(55)의 양측에는 제1중간힌지(60)와의 회동시 회동마찰력을 제공하도록 복수의 와셔(59)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중간힌지(60)는 하부링크(5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힌지축(61)과, 중간링크(70)에 대해 일체로 결합되며 제1보조링크(1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보조링크지지부(63)를 포함한다.
제1힌지축(61)은 하부링크(50)의 양측과 회동가능하게 결합가능하도록 중간링크(70)의 일측 및 제1보조링크지지부(63)의 일측에 각각 마련된다. 한 쌍의 제1힌지축(61) 중 적어도 하나에는 모니터본체(10)와 베이스(20)를 연결하는 케이블(15)이 관통하도록 후술할 제1힌지축관통부(77)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예로 제1힌지축관통부(77)는 중간링크(70)의 일측에 마련된 제1힌지축(61)에 마련된다. 제1힌지축관통부(77)를 통과한 케이블(15)은 하부링크(50)의 일측으로 연장된다.
제1보조링크지지부(63)에는 한 쌍의 제1보조링크(110)의 양측에 마련된 제1지지체결부(111) 중 상측을 수용하여 제1보조링크결합핀(4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쌍의 제1보조링크결합부(43)가 마련된다. 제1보조링크결합핀(45)은 제1보조링크(110)가 제1힌지축(61)의 회동축선에 대해 편심되게 위치하도록 제1보조링크결합부(43)와 결합된다. 제1보조링크지지부(63)의 일측에 마련된 제1힌지축(61)은 후술할 중간링크(70)의 제1힌지축결합부(73)에 비원형 형상으로 삽입되어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중간힌지(65)는 상부링크(80)가 하부링크(50)에 평행하게 접히도록 제1중간힌지(60)와 이격되어 마련된다. 제2중간힌지(65)는 상부링크(8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힌지축(66)과, 중간링크(70)에 대해 일체로 결합되며 제2보조링크(12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보조링크지지부(67)를 포함한다.
제2힌지축(66)의 회동축선은 제1힌지축(61)의 회동축선과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제2힌지축(66)은 상부링크(80)의 양측과 회동가능하게 결합가능하도록 중간링크(70)의 일측 및 제2보조링크지지부(67)의 일측에 각각 마련된다. 한 쌍의 제1힌지축(61) 중 적어도 하나에는 모니터본체(10)와 베이스(20)를 연결하는 케이블(15)이 관통하도록 후술할 제2힌지축관통부(78)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예로 제2힌지축관통부(78)는 중간링크(70)의 일측에 마련된 제2힌지축(66)에 마련된다. 제2힌지축관통부(78)는 중간링크(70)의 내측에서 제1힌지축관통부(77)와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제2힌지축관통부(78)로 삽입된 케이블(15)은 제1힌지축관통부(77)를 통해 중간링크(70)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된다.
제2보조링크지지부(67)에는 한 쌍의 제2보조링크(120)의 양측에 마련된 제2지지체결부(121) 중 하측을 수용하여 제2보조링크결합핀(69)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쌍의 제2보조링크결합부(68)가 마련된다. 제2보조링크결합핀(69)은 제2보조링크(120)가 제2힌지축(66)의 회동축선에 대해 편심되게 위치하도록 제2보조링크결합부(68)와 결합된다. 제2보조링크지지부(67)의 일측에 마련된 제2힌지축(66)은 후술할 중간링크(70)의 제2힌지축결합부(75)에 비원형 형상으로 삽입되어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중간링크(70)는 블록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에는 제1힌지축(61) 및 제2힌지축(66)이 마련되고, 타측에는 제1보조링크지지부(63) 및 제2보조링크지지부(67)의 일측에 마련된 제1힌지축(61) 및 제2힌지축(66)과 각각 상대회전하지 않게 결합되는 제1힌지축결합부(73) 및 제2힌지축결합부(75)가 마련된다. 중간링크(70)에는 후술할 모니터축관통부(98)를 통과하여 상부링크(80)의 측면으로 연장된 케이블(15)이 제2힌지축(66)의 축선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함몰된 제2힌지축관통부(78)와, 케이블(15)이 제2힌지축관통부(78)로부터 제1힌지축(61)의 축선방향으로 통과하여 하부링크(50)의 측면 연장되도록 제2힌지축관통부(78)와 연통되게 함몰된 제1힌지축관통부(77)가 마련된다. 이에, 모니터본체(10)와 연결된 케이블(15)은 후술할 모니터힌지(90)의 모니터축관통부(98)를 통해 상부링크(80)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중간링크(70)의 제2힌지축관통부(78) 및 제1힌지축관통부(77)를 통해 하부링크(50)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베이스힌지(30)의 베이스축관통부(38)를 통해 베이스(20)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링크(80) 및 하부링크(50)에 커버(미도시)를 부착시킨다면, 케이블(15)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링크(80)는 사각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하측이 제2중간힌지(65)에 대해 틸팅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이 모니터힌지(90)에 대해 틸팅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링크(80)는 하부 양측에 마련되어 제2힌지축(66)을 수용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힌지축지지부(81)와, 상부 양측에 마련되어 후술할 모니터힌지(90)의 모니터힌지축(97)을 수용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모니터축지지부(85)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2힌지축지지부(81) 중 적어도 하나는 제2힌지축(66)을 용이하게 수용하도록 일측이 절취될 수 있으며, 그 절취된 영역에는 제2힌지축지지대(83)가 스크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힌지축지지부(81)의 양측에는 제2중간힌지(65)와의 회동시 회동마찰력을 제공하도록 복수의 와셔(59)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모니터축지지부(85) 중 적어도 하나는 모니터힌지축(97)을 용이하게 수용하도록 일측이 절취될 수 있으며, 그 절취된 영역에는 모니터축지지대(87)가 스크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모니터힌지(90)는 모니터본체(10)가 상부링크(80)에 대해 좌우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틸팅하도록 상부링크(80)에 대해 모니터본체(10)를 지지한다. 모니터힌지(90)는 모니터본체(10)에 대해 결합된 베이스브래킷(31)과, 모니터브래킷(91) 및 상부링크(80) 중 적어도 하나와 회동가능하게 모니터브래킷(91)과 상부링크(80)에 결합된 모니터힌지축(97)을 포함한다. 모니터힌지(90)는 모니터브래킷(91)에 대해 결합되어 제2보조링크(12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모니터보조링크지지부(99)와, 모니터보조링크지지부(99)와 모니터브래킷(91) 사이에 마련되어 모니터브래킷(91)을 전방 틸팅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된 틸팅코일스프링(1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브래킷(91)에는 모니터보조링크지지부(99)의 일측에 결합된 틸팅축(103)을 수용하도록 마련된 모니터축결합부(93)와, 틸팅축(103)의 외주면에 압착되도록 모니터축결합부(93)에 삽입되는 마찰스프링부재(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브래킷(91)에는 후술할 피벗팅유닛(130)의 피벗팅브래킷(131)과 스크루에 의해 체결되는 피벗팅브래킷체결부(95)가 마련된다.
모니터힌지축(97)은 상부링크(80)의 양측과 회동가능하게 결합가능하도록 모니터브래킷(91)의 일측 및 모니터보조링크지지부(99)의 일측에 각각 마련된다. 한 쌍의 모니터힌지축(97) 중 적어도 하나에는 모니터본체(10)와 베이스(20)를 연결하는 케이블(15)이 관통하도록 관통 형성된 모니터축관통부(98)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예로 모니터축관통부(98)는 모니터브래킷(91)의 일측에 마련된 모니터힌지축(97)에 마련된다. 모니터축관통부(98)를 통과한 케이블(15)은 상부링크(80)의 측면으로 연장된다.
제1보조링크(110)는 베이스(20)에 대한 하부링크(50)의 틸팅을 하부링크(50)에 대한 상부링크(80)의 틸팅으로 전달하도록 제1중간힌지(60)와 베이스힌지(30)를 연결한다. 제1보조링크(110)는 하부링크(50)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베이스힌지(30) 및 제1중간힌지(60)에 결합된다. 제1보조링크(110)는 한 쌍의 긴 막대형상으로 마련되며, 하부링크(50)의 측면에 하부링크(50)와 평형하게 마련되어 하부링크(50)와 일체로 베이스(20)에 대해 회동하게 된다. 제1보조링크(110)의 양측에는 제1보조링크결합핀(45)에 의해 제1보조링크결합부(43)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제1지지체결부(111)가 마련된다. 한 쌍의 제1보조링크(110)사이에는 하부링크(50)가 베이스(20)에 대해 전방 틸팅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양측이 한 쌍의 제1보조링크(110)에 각각 결합된 제1스프링부재(115)가 마련된다. 그러나, 제1스프링부재(115)는 하부링크(50)가 베이스(20)에 대해 후방 틸팅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양측이 한 쌍의 제1보조링크(110)에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
제1스프링부재(115)는 한 쌍의 제1보조링크(110)에 마련된 제1스프링체결부(113)에 결합되어 제1보조링크(110)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당기도록 코일스프링형상으로 마련된다.
제2보조링크(120)는 하부링크(50)에 대한 상부링크(80)의 틸팅을 상부링크(80)에 대한 모니터본체(10)의 틸팅으로 전달하도록 제2중간힌지(65)와 모니터힌지(90)를 연결한다. 제2보조링크(120)는 상부링크(80)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모니터힌지(90) 및 제2중간힌지(65)에 결합된다. 제2보조링크(120)는 한 쌍의 긴 막대형상으로 마련되며, 상부링크(80)의 측면에 상부링크(80)와 평형하게 마련되어 상부링크(80)와 일체로 하부링크(50)에 대해 회동하게 된다. 제2보조링크(120)의 양측에는 제2보조링크결합핀(69)에 의해 제2보조링크결합부(68)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제2지지체결부(121)가 마련된다. 한 쌍의 제2보조링크(120)사이에는 모니터본체(10)가 상부링크(80)에 대해 전방 틸팅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양측이 한 쌍의 제2보조링크(120)에 각각 결합된 제2스프링부재(125)가 마련된다. 그러나, 제2스프링부재(125)는 모니터본체(10)가 상부링크(80)에 대해 후방 틸팅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양측이 한 쌍의 제2보조링크(120)에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
제2스프링부재(125)는 한 쌍의 제2보조링크(120)에 마련된 제2스프링체결부(123)에 결합되어 제2보조링크(120)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당기도록 코일스프링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모니터본체(10)가 틸팅하는 과정을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본체(10)의 모니터브래킷(91)은 모니터힌지(90)의 틸팅축(103)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틸팅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틸팅축(103)은 모니터브래킷(91)의 모니터축결합부(93) 및 마찰스프링부재(101)에 압입되므로 모니터브래킷(91)이 틸팅축(103)에 대해 회동하려면 사용자가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여야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링크(80)는 제2중간힌지(65)의 제2힌지축(66)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틸팅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부링크(80)와 제2중간 힌지(65) 사이에는 회동마찰력을 제공하도록 와셔(59)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부링크(80)가 제2힌지축(66)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제2보조링크(120)도 상부링크(80)와 같이 회동하게 되며, 제2보조링크(120)의 회동에 의해 모니터보조링크지지부(99)가 회동하게 되며, 모니터보조링크지지부(99)는 모니터브래킷(91)에 압입된 틸팅축(103)에 의해 모니터브래킷(91)을 회동시키게 되므로 상부링크(80)에 대해 모니터본체(10)를 회동시킬수 있다. 이에, 상부링크(80)가 제2중간힌지(65)를 중심으로 틸팅할 때 제2보조링크(120)에 의해 모니터본체(10)를 상부링크(80)에 대해 틸팅시킴으로써, 모니터본체(10)의 응시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모니터본체(10)의 높이도 조절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링크(50)는 베이스힌지(30)의 베이스힌지축(37)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틸팅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하부링크(50)와 제1중간힌지(60) 사이에는 회동마찰력을 제공하도록 와셔(59)가 마련된다. 그리고, 하부링크(50)가 베이스힌지축(37)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하부링크(50)와 일체로 제1보조링크(110)도 회동하게 되며, 제1보조링크(110)의 회동에 의해 제1중간힌지(60)의 제1힌지축(61)을 회동시키게 된다. 제1힌지축(61)의 회동에 의해 중간링크(70)가 회동되며, 중간링크(70)의 회동에 의해 제2힌지축(66)이 된다. 제2힌지축(66)의 회동에 의해 제2보조링크지지부(67)가 회동함으로써 제2보조링크(120)를 회동시키게 되며, 제2보조링크(120)의 회동에 의해 상부링크(80)도 일체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제1보조링크(1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링크(80)를 하부링크(50)의 틸팅에 반대방향으로 틸팅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링크(80)의 회동 에 의해 전술한 도 8의 설명과 같이 모니터본체(1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하부링크(50)가 베이스힌지(30)를 중심으로 틸팅할 때 제1보조링크(110) 및 제2보조링크(120)에 의해 모니터본체(10)를 상부링크(80)에 대해 틸팅시킴으로써, 모니터본체(10)의 응시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모니터본체(10)의 높이도 더욱 큰 폭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는 서로 다른 회동축선을 갖는 제1중간힌지(60) 및 제2중간힌지(65)에 의해 상부링크(80) 및 하부링크(50)를 상호 평행하게 접을 수 있으며, 모니터힌지(90) 및 베이스힌지(30)와 제1보조링크(110) 및 제2보조링크(120)에 의해 베이스(20)와 하부링크(50) 및 상부링크(80)와 모니터본체(10)를 각각 평행하게 접을 수 있으며, 모니터힌지(90) 및 베이스힌지(30)와 제1보조링크(110) 및 제2보조링크(120)에 의해 베이스(20)와 하부링크(50)와 상부링크(80) 및 모니터본체(10)를 모두 평행하게 접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는 베이스(20)와 하부링크(50)와 상부링크(80) 및 모니터본체(10)를 모두 평행하게 접을 수 있으므로 포장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어 보관 및 운반하는데 따른 물류비용을 최대한 절감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피벗팅유닛(13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팅유닛(130)은 모니터본체(10)와 모니터힌지(90) 사이에 마련되어 모니터본체(10)가 모니터브래킷(91)에 대해 전후방향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피벗팅가능하게 모니터본체(10)를 지지한다. 피벗팅유닛(130)은 모니터힌지(90)에 대해 결합된 피벗팅브래킷(131)과, 일측이 피 벗팅브래킷(131)에 대해 피벗팅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모니터본체(10)에 대해 결합된 모니터브래킷(91)과, 모니터브래킷(91)이 피벗팅브래킷(131)에 대해 피벗팅가능하도록 피벗팅브래킷(131) 및 모니터브래킷(91)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돌출되어 결합된 피벗팅축(143)을 포함한다. 피벗팅유닛(130)은 피벗팅브래킷(131)에 대한 본체브래킷(141)의 회동각동각도를 제한하는 피벗팅각제한부(147)를 더 포함한다.
본체브래킷(141)은 일측이 모니터본체(10)의 배면에 스크루에 의해 결합되며, 타측에 피벗팅축(143)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피벗팅브래킷(131)은 피벗팅축(143)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피벗팅축수용부(133)와, 모니터브래킷(91)의 피벗팅브래킷체결부(95)와 스크루에 의해 결합되도록 마련된 모니터브래킷체결부(135)를 포함한다.
피벗팅축(143)은 원통형상으로 중앙영역이 관통되어 모니터본체(10)와 연결된 케이블(15)이 통과하도록 피벗팅축관통부(145)를 포함한다. 피벗팅축(143)의 단부에는 피벗팅축수용부(133)에 삽입된 후 피벗팅축수용부(133)의 배면가장자리를 가압하도록 절곡된 절곡부(144)가 마련된다. 이에, 절곡부(144)에 의해 본체브래킷(141)과 피벗팅브래킷(131) 사이를 밀착시켜 회동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본체브래킷(141)과 피벗팅브래킷(131) 사이에는 와셔(146)가 마련될 수 있다.
피벗팅각제한부(147)는 본체브래킷(141) 및 피벗팅브래킷(131)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돌출된 돌기부(148)와, 본체브래킷(141) 및 피벗팅브래킷(131)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돌기부(148)를 180도 내지 360도 정도 회동가능하게 안내 하는 돌기가이드부(14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피벗팅유닛(130)의 작동과정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모니터본체(10)를 피벗팅축(143)을 중심으로 피벗팅시키면 돌기부(148)가 돌기가이드부(149)를 따라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돌기가이드부(83)의 양단부의 각도범위가 대략 180정도인 경우에는 모니터본체(10)는 모니터브래킷(91)에 대해 180도 정도까지 피벗팅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는 피벗팅유닛(130)을 마련하여 모니터본체(10)를 사용이 편리하게 피벗팅 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스위블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블유닛(150)은 베이스(20)와 베이스힌지(30) 사이에 마련되어 모니터본체(10)가 베이스(20)에 대해 상하방향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스위블가능하게 한다. 스위블유닛(150)은 베이스힌지(30)와 결합된 스위블부재(151)와, 베이스(20)에 대해 스위블부재(151)가 스위블가능하도록 스위블부재(151)의 중앙영역과 베이스(20)를 체결하여 지지하는 스위블지지대(155)를 포함한다.
스위블부재(151)는 베이스브래킷(31)과 스크루에 의해 체결되어 베이스브래킷(31)을 지지하는 베이스브래킷체결부(152)와, 스위블부재(151)의 회동 중심이 되도록 중앙영역에 체결스크루(157)에 의해 스위블지지대(155)와 체결되는 스위블지지대체결부(153)를 포함한다.
스위블지지대(155)는 스위블부재(151)를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베이스(20)에 함몰 형성되며, 스위블부재(151)와 체결스크루(15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스위블부재체결부(156)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스위블유닛(150)의 작동과정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모니터본체(10)를 스위블 회동축선인 체결스크루(157)를 중심으로 스위블시키면, 모니터본체(10)가 베이스(20)에 대해 소정 각도 스위블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스위블의 소정각도는 180 내지 360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는 스위블유닛(150)을 마련하여 모니터본체(10)를 사용이 편리하게 스위블 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니터본체의 다양한 각도변화와 포장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모니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본체의 높이조절시 모니터본체의 응시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모니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화상이 형성되는 모니터본체와, 상기 모니터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모니터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베이스에 대해 틸팅가능하게 베이스힌지에 의해 결합된 하부링크와;
    일측이 상기 모니터본체에 대해 틸팅가능하게 모니터힌지에 의해 결합된 상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가 상기 하부링크에 평행하게 접히도록 일측이 상기 하부링크에 대해 틸팅가능하게 제1중간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상부링크에 대해 틸팅가능하게 제2중간힌지에 의해 결합된 중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중간힌지는 각각 상기 하부링크 및 상기 상부링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링크는 상기 제1힌지축 및 상기 제2힌지축과 각각 상대회전하지 않 게 결합되는 제1축결합부 및 제2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모니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힌지는 상기 모니터본체에 대해 결합된 모니터브래킷과, 상기 모니터브래킷 및 상기 상부링크 중 적어도 하나와 회동가능하게 상기 모니터브래킷과 상기 상부링크에 결합된 모니터힌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힌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결합된 베이스브래킷과, 상기 베이스브래킷 및 상기 하부링크 중 적어도 하나와 회동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브래킷과 상기 하부링크에 결합된 베이스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본체와 상기 베이스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힌지축 및 상기 모니터힌지축에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도록 중공형상의 베이스축관통부 및 모니터축관통부가 마련되며,
    상기 중간링크에는 상기 모니터축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링크의 측면으로 연장된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2힌지축의 축선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함몰된 제2힌지축관통부와,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2힌지축관통부로부터 상기 제1힌지축의 축선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하부링크의 측면 연장되도록 상기 제2힌지축관통부와 연통되게 함몰된 제1힌지축관통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본체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하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스위블가능하도록 마련된 스위블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유닛은,
    상기 베이스힌지와 결합된 스위블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스위블부재가 스위블가능하도록 상기 스위블부재의 중앙영역과 상기 베이스를 체결하여 지지하는 스위블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본체가 상기 상부링크에 대해 전후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팅가능하도록 마련된 피벗팅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팅유닛은,
    상기 모니터힌지에 대해 결합된 피벗팅브래킷과;
    일측이 상기 피벗팅브래킷에 대해 피벗팅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모니터본체에 대해 결합된 모니터브래킷과;
    상기 모니터브래킷이 상기 피벗팅브래킷에 대해 피벗팅가능하도록 상기 피벗팅브래킷 및 상기 모니터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돌출되어 결합된 피벗팅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본체와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피벗팅축에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도록 중공형상의 피벗팅축관통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하부링크의 틸팅을 상기 하부링크에 대한 상기 중간링크의 틸팅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1중간힌지와 상기 베이스힌지를 연결하는 제1보조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링크에 대한 상기 상부링크의 틸팅을 상기 상부링크에 대한 상기 모니터본체의 틸팅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2중간힌지와 상기 모니터힌지를 연결하는 제2보조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링크는 상기 하부링크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상기 베이스힌지 및 상기 제1중간힌지에 결합되며,
    상기 제2보조링크는 상기 상부링크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상기 제2중간힌지 및 상기 모니터힌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링크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하부링크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전방 및 후방 중 어느 하나의 틸팅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양측이 상기 한 쌍의 제1보조링크에 각각 결합된 제1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링크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링크가 상기 하부링크에 대해 전방 및 후방 중 어느 하나의 틸팅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양측이 상기 한 쌍의 제2보조링크에 각각 결합된 제2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KR1020050018977A 2005-03-08 2005-03-08 모니터장치 KR100684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977A KR100684997B1 (ko) 2005-03-08 2005-03-08 모니터장치
US11/354,946 US8035957B2 (en) 2005-03-08 2006-02-16 Monitor apparatus having links to move a monitor main body with respect to a base
PCT/KR2006/000769 WO2006095987A1 (en) 2005-03-08 2006-03-06 Monitor apparatus having links to move a monitor main body with respect to a base
CNB200610056792XA CN100563410C (zh) 2005-03-08 2006-03-08 具有相对于基座移动显示器主体的连结物的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977A KR100684997B1 (ko) 2005-03-08 2005-03-08 모니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961A true KR20060097961A (ko) 2006-09-18
KR100684997B1 KR100684997B1 (ko) 2007-02-20

Family

ID=3695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977A KR100684997B1 (ko) 2005-03-08 2005-03-08 모니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35957B2 (ko)
KR (1) KR100684997B1 (ko)
CN (1) CN100563410C (ko)
WO (1) WO200609598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395Y1 (ko) * 2008-02-29 2010-04-09 곽수만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에 장착되는 인장스프링조절장치
KR200448533Y1 (ko) * 2008-05-20 2010-04-21 삼현산업 주식회사 링크식 힌지장치
KR200449404Y1 (ko) * 2008-09-18 2010-07-07 전홍진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
KR101387505B1 (ko) * 2007-08-31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56614B1 (ko) * 2015-04-09 2016-09-09 장근대 모니터 거치장치
WO2022114296A1 (ko) * 2020-11-27 2022-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5452B2 (en) * 2003-05-21 2009-01-13 Premier Image Technology Corporation Swivel structure for information product
JP2008078471A (ja) * 2006-09-22 2008-04-03 Fujitsu Ltd ケーブル配線構造、電子機器、その製造方法及びケーブル
WO2008092457A1 (en) * 2007-02-02 2008-08-07 Bang & Olufsen A/S Support for multimedia units
KR101372268B1 (ko) * 2007-02-13 201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US20100096515A1 (en) * 2007-10-12 2010-04-22 Joel Hazzard Convertible Display Stand System and Method
ITPI20080042A1 (it) * 2008-05-15 2009-11-16 Domenico Morello Supporto per televisore a schermo piatto
CN101672416B (zh) * 2008-09-10 2012-10-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支撑装置
US20100116961A1 (en) * 2008-11-07 2010-05-13 Jerry Moscovitch Foldable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Computer Monitors
CN202257383U (zh) * 2011-10-10 2012-05-30 深圳市保绿源硅橡胶科技有限公司 一种平板电脑支撑装置
TWM456065U (zh) * 2012-10-26 2013-06-21 Tpv Inventa Technology Co Ltd 電子裝置及其連動機構
TWM458627U (zh) * 2012-11-26 2013-08-01 Flytech Technology Co Ltd 端點服務裝置及其可調式連接座
US20140367137A1 (en) * 2013-06-18 2014-12-18 Master Group Asia Ltd. Arm assembly for holding an electronic device
CN103714746A (zh) * 2013-12-13 2014-04-09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装置
TWM476215U (en) * 2013-12-20 2014-04-11 Syncmold Entpr Corp Linkage supporting device
US10159158B2 (en) 2016-04-14 2018-1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US10345851B2 (en) 2016-04-14 2019-07-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US9936593B2 (en) 2016-04-14 2018-04-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US10172248B1 (en) 2016-04-14 2019-01-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US10996710B2 (en) 2016-04-14 2021-05-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US10999944B2 (en) 2016-04-26 2021-05-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ructural device cover
US9946309B2 (en) * 2016-06-10 2018-04-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ring
US10221898B2 (en) 2016-07-01 2019-03-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clutch
US10754391B2 (en) * 2016-08-08 2020-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xial cam hinge
KR102234786B1 (ko) * 2016-09-01 2021-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240711B2 (en) * 2016-09-19 2019-03-26 Inducomp Corporation Security support stand for mounted tablet type computer
US11336931B2 (en) * 2016-11-21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US11499668B2 (en) * 2018-05-08 2022-11-15 Gregory James Cooper Monitor mount with constant torque hinges
CN111435441A (zh) 2019-01-11 2020-07-21 丽宝大数据股份有限公司 压力转向式电子镜面装置
CN209804247U (zh) * 2019-01-25 2019-12-17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转动装置及包含其的交互式信息终端
NL1043666B1 (en) * 2020-05-25 2021-12-13 Vlaar Innovations B V Accessory support device
WO2022102798A1 (ko) * 2020-11-10 2022-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22166346A (ja) 2021-04-21 2022-11-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の支持装置、及び電子機器
JP7472874B2 (ja) * 2021-08-30 2024-04-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機器のスタンド
JP7484849B2 (ja) * 2021-08-30 2024-05-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機器のスタンド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4329A (en) * 1987-05-29 1989-05-30 Michael Delapp Monitor support for a terminal
KR100444980B1 (ko) 1998-08-31 200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율로전송된데이터의데이터율결정방법및장치
JP2000321990A (ja) * 1999-05-06 2000-11-24 Nec Yonezawa Ltd 回動機構付き表示装置
JP3511506B2 (ja) * 2000-11-08 2004-03-29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の支持装置
US7289315B2 (en) * 2001-11-08 2007-10-30 Apple Inc. Computer controlled display device
JP2003223238A (ja) 2002-01-28 2003-08-08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コンピュータ装置、モニタユニットおよび対面ユニットの支持構造物
EP1344972A3 (en) 2002-03-12 2004-12-08 Sun Microsystems, Inc. Systems for supporting displays
US6798117B2 (en) * 2002-07-10 2004-09-28 Piezomotor Uppsala Ab Fine control of electromechanical motors
KR100512718B1 (ko) * 2002-07-16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100482007B1 (ko) * 2002-09-28 2005-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100770981B1 (ko) * 2002-10-30 2007-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스탠드
KR20040063548A (ko) * 2003-01-08 2004-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 모니터용 절첩식 받침대 구조
US6900981B2 (en) * 2003-04-23 2005-05-31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with synchronizing hinge
KR20040096097A (ko) * 2003-05-07 2004-11-16 여단열 스탠드형 액정표시장치
KR200326987Y1 (ko) 2003-06-05 2003-09-19 김시연 Lcd모니터 지지대
KR100659716B1 (ko) * 2004-08-27 2006-12-21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듀얼 모니터 힌지장치
USD521996S1 (en) * 2005-06-02 2006-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ni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505B1 (ko) * 2007-08-31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48395Y1 (ko) * 2008-02-29 2010-04-09 곽수만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에 장착되는 인장스프링조절장치
KR200448533Y1 (ko) * 2008-05-20 2010-04-21 삼현산업 주식회사 링크식 힌지장치
KR200449404Y1 (ko) * 2008-09-18 2010-07-07 전홍진 디스플레이 스탠드 장치
KR101656614B1 (ko) * 2015-04-09 2016-09-09 장근대 모니터 거치장치
WO2022114296A1 (ko) * 2020-11-27 2022-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35957B2 (en) 2011-10-11
US20060201098A1 (en) 2006-09-14
KR100684997B1 (ko) 2007-02-20
CN100563410C (zh) 2009-11-25
CN1832674A (zh) 2006-09-13
WO2006095987A1 (en)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997B1 (ko) 모니터장치
KR100596583B1 (ko) 모니터장치
KR100534119B1 (ko) 모니터장치
KR100684998B1 (ko) 모니터장치
KR100512718B1 (ko) 모니터장치
KR101239979B1 (ko) 디스플레이장치
EP1959185B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520060B1 (ko) 모니터장치
KR100482007B1 (ko) 모니터장치
US7578490B2 (en) Stand of display device
US6427288B1 (en) Tilting hinge
US7770856B2 (en) Thin computer monitor support apparatus
KR100770983B1 (ko) 모니터장치
EP1821027B1 (en) Stand for display device
US7685831B2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of refrigerator
KR20050106249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643386B1 (ko) 모니터장치
KR100577234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탠드
JP2005128471A (ja) 液晶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