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533Y1 - 링크식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링크식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533Y1
KR200448533Y1 KR2020080006512U KR20080006512U KR200448533Y1 KR 200448533 Y1 KR200448533 Y1 KR 200448533Y1 KR 2020080006512 U KR2020080006512 U KR 2020080006512U KR 20080006512 U KR20080006512 U KR 20080006512U KR 200448533 Y1 KR200448533 Y1 KR 200448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ably connected
rotating
link
spr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896U (ko
Inventor
김효성
Original Assignee
삼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6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533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8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8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5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9Other details of the casing, e.g. wall structure, passage for a connector, a cable, a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링크식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링크부(44)는 하단이 고정부(40)의 상단에 구비된 제1회전부(45)의 핀(49)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제2회전부(60)의 핀(5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링크(47, 48)가 구비되고, 제3링크부(94)는 상단이 제3회전부(90)의 핀(95)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제4회전부(120)의 핀(97)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링크(92, 93)가 구비되며, 제2회전부와 제3회전부에는 연결판과 직각으로 샤프트가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와 스프링 카바가 만나는 지점의 양측에 힌지 스프링이 장착되며, 상기 힌지 스프링이 제위치에 있도록 외측에 각각 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4회전부(120)에는 모니터에 부착되는 모니터 스탠드를 수평 방향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스위블 장치(150)가 구비되며, 모니터로부터 나오는 케이블(202)을 처리하기 위해서, 중앙에 골이 형성된 캡(200)을 각각의 회전부에 장착한다.
링크,힌지,모니터

Description

링크식 힌지장치{ LINK TYPE HINGE APPARATUS }
본 고안은 링크식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주로 모니터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 사용되는 링크식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링크식 힌지장치는 모니터의 폭넓은 전후 상하운동을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링크식 힌지장치는 링크 회전부에 태엽 스프링을 장착하여 디스플레이가 전후 상하로 이동시키는데, 예를들어 디스플레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태엽스프링은 후방으로 작용하도록 부세되는데, 디스플레이의 무게가 가벼우면 디스플레이가 태엽스프링의 부세에 의해서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또한, 디스플레이가 너무 무거우면 밑으로 처지게 된다. 이와같이 태엽스프링의 탄성력과 디스플레이의 무게와의 상관 관계가 잘 맞지 않으면 태엽스프링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이 강하면 작동하기가 뻑뻑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링크가 일렬로 되어 있어 유격 발생으로 흔들림 현상이 있었다. 더욱이, 디스플레이의 스위블 운동이나 틸팅 운동이 제한되어 불편하였고, 케이블 선의 처리가 미흡하여 외관이 좋지 않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각각의 링크부에 힌지장치를 추가하여 태엽스프링과 디스플레이 간에 부적절한 관계가 발생되더라도 힌지장치로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태엽스프링의 교체가 필요없게 하고, 관절 운동이 부드럽게 되게 하며, 링크를 병렬로 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며, 디스플레이의 스위블 및 틸팅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케이블 선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한 링크식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링크식 힌지장치의 일예로서,
테이블 등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하단이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구비된 제1회전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제2회전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와, 일단이 상기 제2회전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3회전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 및 상단이 상기 제3회전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제4회전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부로 구성된 링크식 힌지장치에 있어서,
제1링크부는 하단이 고정부의 상단에 구비된 제1회전부의 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제2회전부의 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링크가 구비되고,
제3링크부는 상단이 제3회전부의 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제4회전부의 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링크가 구비된다.
상기 제2회전부와 제3회전부에는 연결판과 직각으로 샤프트가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와 스프링 카바가 만나는 지점의 양측에 힌지 스프링이 장착되며, 상기 힌지 스프링이 제위치에 있도록 외측에 각각 고정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4회전부에는 모니터에 부착되는 모니터 스탠드를 수평 방향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스위블 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스위블 장치는 제4회전부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와 모니터 스탠드로부터 연장된 결합부가 샤프트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장부와 결합부 사이에는 힌지스프링이 장착되어 힌지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결합부에는 보스가 양측에 구비되고, 모니터 스탠드의 양측의 구멍에 삽입되는데, 일측에는 스프링이 개재되고, 타측에는 힌지 스프링이 개재되어 모니터 스탠드는 보스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모니터로부터 나오는 케이블을 처리하기 위해서, 중앙에 골이 형성된 캡을 각각의 회전부에 장착하여, 캡의 골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케이블이 정리된다.
본 고안에 따른 링크식 힌지장치는 종래의 태엽 스프링 이외에 힌지장치를 제2회전부 및 제3회전부에 추가하여, 태엽 스프링의 탄성력과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무게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태엽 스프링을 교체하지 않고서도 힌지장치에 의해 간단하게 회전부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작동이 편안 하게 하고, 각각의 제1 및 제3 링크부에 링크를 한 쌍씩 구비하여 회전부에서 회전시 유격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모니터가 제4회전부에서 수평 및 수직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스위블 및 틸팅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 편의를 도모하고, 케이블 선이 잘 정리되도록 캡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링크식 힌지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 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링크식 힌지장치는 테이블 등에 고정되는 고정부(40)와, 하단이 상기 고정부(40)의 상단에 구비된 제1회전부(45)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제2회전부(6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44)와, 일단이 상기 제2회전부(6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3회전부(9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64), 및 상단이 상기 제3회전부(9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제4회전부(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부(94)로 구성된다. 상기 제4회전부(120)에는 모니터(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되는 모니터 스탠드(170)를 수평 및 수 직 방향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스위블 장치(150)가 구비된다.
제1링크부(44)는 하단이 고정부(40)의 상단에 구비된 제1회전부(45)의 핀(49)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제2회전부(60)의 핀(5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링크(47, 48)가 구비된다.
제3링크부(94)는 상단이 제3회전부(90)의 핀(95)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제4회전부(120)의 핀(97)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링크(92, 93)가 구비된다.
제2링크부(64)는 연결판(65)으로써 제2회전부(60)와 제3회전부(90)를 연결한다.
제2회전부(60)는 연결판(65)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태엽 스프링(62)이 장착되며, 태엽 스프링(62)의 외측 단부(63)는 제1링크부(44)에 형성된 수용부(55)의 턱에 걸림되며, 태엽 스프링(62)은 스프링 카바(66)에 의해서 카바된다. 상기 연결판(65)과 직각으로 샤프트(70)가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70)와 스프링 카바(66)가 만나는 지점의 양측에 힌지 스프링(72, 73)이 장착된다. 상기 힌지 스프링(72, 73)이 제위치에 있도록 외측에 각각 고정부(75, 76)가 구비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스프핑(72, 73)은 각종 와셔 종류이다. 이들 힌지 스프링(72, 73)은 너트(79)의 체결 강도 조정에 의해 힌지 스프링(72, 73)의 강성이 조정된다. 예를들어, 태엽스프링(62)의 탄성력이 강할 때에는 너트(79)를 풀어 힌지 스프링(72, 73)의 탄성력을 저하시키고, 반대로 태엽스프링(62)의 탄성력이 약할 때에는 너트(79)를 조여서 힌지 스프링(72, 73)의 탄성력을 높인다. 이렇 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모니터 사용 용도에 맞게 또는 태엽 스프링의 탄성력에 따라 너트(79)를 조정함으로써 탄성력을 쉽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3회전부(90)는 연결판(65)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또는 일측에만 태엽 스프링(82)이 장착되며, 태엽 스프링(82)의 외측 단부(83)는 제3링크부(94)에 형성된 수용부(99)의 턱에 걸림되며, 태엽 스프링(82)은 스프링 카바(96)에 의해서 카바된다. 상기 연결판(65)과 직각으로 샤프트(100)가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100)와 스프링 카바(96)가 만나는 지점의 양측에 힌지 스프링(102, 103)이 장착된다. 상기 힌지 스프링(102, 103)이 제위치에 있도록 외측에 각각 고정부(104, 105)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 스프핑(102, 103)은 제2회전부(60)에서와 같이 너트(109)의 체결 강도 조정에 의해 힌지 스프링(102, 103)의 강성이 조정된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위블 장치(150)는 제4회전부(120)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52)와 모니터 스탠드(170)로 부터 연장된 결합부(154)가 샤프트(160)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장부(152)와 결합부(154) 사이에는 힌지스프링(164)이 장착되어 힌지 역할을 하게 된다. 모니터 스탠드(170)를 회전시키면, 결합부(154)가 연장부(152)에 대해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154)에는 보스(180)가 양측에 구비되고, 모니터 스탠드(170)의 양측의 구멍(174, 176)에 삽입되는데, 일측에는 스프링(206)이 개재되고, 타측에는 힌지 스프링(184)이 개재된다. 이로써 모니터 스탠드(170)는 보스(180)를 중심으로상하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링크식 힌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4(가)를 참조하면, 제1링크부(44)와 제3링크부(94)가 수직인 상태에서, 도 4(나)처럼 제3링크부(94)를 수평으로 하기 위해서, 제3회전부(90)를 중심으로 제3링크부(9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제3링크부(94)의 수평 유지는 태엽스프링(82)과 힌지스프링(102, 103)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태엽스프링(82)은 상방으로 부세하는 힘이 작용하는데, 모니터의 중량이 많이 나가고 태엽스프링(82)의 탄성력이 약하면 모니터가 밑으로 처지게 된다. 이 때 힌지스프링(102, 103) 제어용 너트(109)를 조여서 제3회전부(90)의 탄성력을 높여서 모니터가 제위치에 있게 한다.
이 상태에서, 도 4(다)와 같이, 제1링크부(44)도 수평으로 하기 위해서는 제1회전부(45)를 중심으로 제1링크부(44)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제1링크부(44)의 수평 유지는 태엽스프링(62)과 힌지스프링(72, 73)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태엽스프링(62)은 오른쪽으로 부세하는 힘이 작용하는데, 모니터의 중량이 작고 태엽스프링(82)의 탄성력이 강하면 모니터가 상승하면서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이 때 힌지스프링(102, 103) 제어용 너트(79)를 풀어서 제1회전부(45)의 탄성력을 저하시켜 모니터가 제위치에 있게 한다.
이 상태에서, 도 4(라)와 같이, 제3링크부(94)를 다시 수직인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제3회전부(90)를 중심으로 제3링크부(94)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제4회전부(120)에서 모니터 스탠드(170)는 수평을 유지한 채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모니터로부터 나오는 케이블(202)을 처리하기 위해서, 중앙에 골이 형성된 캡(200)을 각각의 회전부에 장착하여, 캡(200)의 골에 케이블(202)을 삽입하여, 케이블이 잘 정리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링크식 힌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링크식 힌지장치의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링크식 힌지장치로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링크식 힌지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링크식 힌지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링크식 힌지장치로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모니터 스탠드 결합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고정부 44 : 제1링크부
45 : 제1회전부 47, 48 : 제1링크
49, 50, 95, 97 : 핀 55, 99 : 수용부
60 : 제2회전부 62, 82 : 태엽 스프링
63, 83 : 단부 64 : 제2링크부
65 : 연결판 66, 96 : 스프링 카바
70, 100 : 샤프트 72, 73, 102, 103 : 힌지 스프링
75, 76, 104, 105 : 고정부 90 : 제3회전부
92, 93 : 제2링크 94 : 제3링크부
120 : 제4회전부 150 : 스위블 장치
152 : 연장부 154 : 결합부
160 : 샤프트 164 : 힌지스프링
170 : 모니터 스탠드

Claims (4)

  1. 삭제
  2. 테이블 등에 고정되는 고정부(40)와, 하단이 상기 고정부(40)의 상단에 구비된 제1회전부(45)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제2회전부(6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44)와, 일단이 상기 제2회전부(6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3회전부(9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64), 및 상단이 상기 제3회전부(9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제4회전부(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부(94)로 구성된 링크식 힌지장치에 있어서,
    제1링크부(44)는 하단이 고정부(40)의 상단에 구비된 제1회전부(45)의 핀(49)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제2회전부(60)의 핀(5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링크(47, 48)가 구비되고,
    제3링크부(94)는 상단이 제3회전부(90)의 핀(95)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제4회전부(120)의 핀(97)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링크(92, 93)가 구비되며,
    상기 제2회전부와 제3회전부에는 연결판과 직각으로 샤프트가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와 스프링 카바가 만나는 지점의 양측에 힌지 스프링이 장착되며, 상기 힌지 스프링이 제위치에 있도록 외측에 각각 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스프링은 너트에 의해 탄성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힌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회전부(120)에는 모니터에 부착되는 모니터 스탠드를 수평 방향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스위블 장치(150)가 구비되며, 상기 스위블 장치(150)는 제4회전부(120)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52)와 모니터 스탠드(170)로 부터 연장된 결합부(154)가 샤프트(160)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장부(152)와 결합부(154) 사이에는 힌지스프링(164)이 장착되어 힌지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결합부(154)에는 보스(180)가 양측에 구비되고, 모니터 스탠드(170)의 양측의 구멍(174, 176)에 삽입되는데, 일측에는 스프링(206)이 개재되고, 타측에는 힌지 스프링(184)이 개재되어 모니터 스탠드(170)는 보스(180)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힌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모니터로부터 나오는 케이블(202)을 처리하기 위해서, 중앙에 골이 형성된 캡(200)을 각각의 회전부에 장착하여, 캡(200)의 골에 케이블(202)을 삽입하여, 케이블이 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힌지장치.
KR2020080006512U 2008-05-20 2008-05-20 링크식 힌지장치 KR200448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512U KR200448533Y1 (ko) 2008-05-20 2008-05-20 링크식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512U KR200448533Y1 (ko) 2008-05-20 2008-05-20 링크식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896U KR20090011896U (ko) 2009-11-25
KR200448533Y1 true KR200448533Y1 (ko) 2010-04-21

Family

ID=4423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512U KR200448533Y1 (ko) 2008-05-20 2008-05-20 링크식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5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055B1 (ko) * 2012-12-21 2014-08-26 이건식 침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717348B1 (ko) * 2015-04-09 2017-03-16 장근대 모니터 거치장치
KR101656614B1 (ko) * 2015-04-09 2016-09-09 장근대 모니터 거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039Y1 (ko) 2000-07-07 2000-12-15 신희대 모니터용 받침대
KR200326987Y1 (ko) * 2003-06-05 2003-09-19 김시연 Lcd모니터 지지대
KR20060097961A (ko) * 2005-03-08 2006-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039Y1 (ko) 2000-07-07 2000-12-15 신희대 모니터용 받침대
KR200326987Y1 (ko) * 2003-06-05 2003-09-19 김시연 Lcd모니터 지지대
KR20060097961A (ko) * 2005-03-08 2006-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896U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7623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US7364127B2 (en) Support arm for a monitor
EP1713396B1 (en) Diagnostic ultrasound system with articulating flat panel display
JP2005216323A (ja) 装置
KR200448533Y1 (ko) 링크식 힌지장치
JP2008507668A (ja) 2軸スイベル・ジョイント
US6273841B1 (en) Twisting exercise apparatus
JP2007520305A (ja) 把持可能な連接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を有する診断超音波システム
CN212251923U (zh) 带有副手柄的拍摄设备支架
US20040068185A1 (en) Ultrasonic diagnostic imaging system with articulating display handle
US543328A (en) Charles e
KR101720519B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US8593797B2 (en) Display device
JP4147541B2 (ja) 運動補助具
KR100289438B1 (ko) 평판표시기기의 경사 및 회전과 높낮이 조절장치
JP5642466B2 (ja) 背凭れ追従機構
JP2007108528A (ja) 電気機器取付具
US10054260B2 (en) Rotation-adjustable hanging device
US20050101455A1 (en) Exerciser capable of doing multidirection actions
US20090318271A1 (en) Training Device for Building Up the Musculature of the Locomotor System
KR20110051455A (ko) 링크동작구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링크
CN214595382U (zh) 一种防抖勺
KR200258454Y1 (ko) 연습용 젓가락 지지부재
KR201401310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27266Y1 (ko) 팔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