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1064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064A
KR20140131064A KR1020130049908A KR20130049908A KR20140131064A KR 20140131064 A KR20140131064 A KR 20140131064A KR 1020130049908 A KR1020130049908 A KR 1020130049908A KR 20130049908 A KR20130049908 A KR 20130049908A KR 20140131064 A KR20140131064 A KR 20140131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et
display
display device
stan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9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1064A/ko
Publication of KR20140131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세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세트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바닥 지지부와, 후단이 상기 바닥 지지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바닥 지지부에 대해 상대 회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가 상기 연결부에 대해 상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가 상기 스탠드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세트와, 이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세트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을 커버하는 백 커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탠드는 일반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가 바닥면 위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세트의 단순한 지지 역할 이외의, 디스플레이 세트가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세트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가능한 큰 면적을 갖는 것이 유리하나,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스탠드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하면서도, 디스플레이 세트의 안정적인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도1은 종래 미려한 디자인을 강조하는 스탠드(20)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세트(10)와, 그 하부에 구비되는 스탠드(20)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10)와 상기 스탠드(20)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swivel)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 가능한 결합을 위해, 디스플레이 세트(10)의 배면 중앙에는 회전 결합부(3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결합부(30)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10)의 상기 스탠드(20)에 대한 상대 회전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10)와 상기 스탠드(20) 각각의 중앙 부분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게 되면, 디스플레이 세트(10)와 스탠드(20)가 한 부분에서만 결합되므로, 이 부분에 힘이 집중되어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결합 부분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 구조가 추가하는 경우 제조 원가가 상승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회전 결합부(30)에 구비되는 힌지 하나에 의해 디스플레이 세트(10)의 중량 및 하중이 전달되므로, 디스플레이 세트에 일정한 하중을 준 후 이를 제거하여도 디스플레이 세트가 계속하여 흔들리는 현상, 소위 와블(wobble)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적은 힘에도 디스플레이 세트(10)가 지나치게 잘 회전하는 경우, 또는 이와는 반대로 힘을 가해도 디스플레이 세트(10)가 잘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의 회전을 저해하는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탠드와 디스플레이 세트가 2부분에서 결합되어 힘의 분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세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세트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바닥 지지부와, 후단이 상기 바닥 지지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바닥 지지부에 대해 상대 회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가 상기 연결부에 대해 상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가 상기 스탠드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다.
한 쌍의 상기 연결부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연결부 사이의 거리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거나 좁아지며, 상기 바닥 지지부와, 한 쌍의 상기 연결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가 4절 링크 운동을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가 상기 스탠드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지지부는 바닥면과 접촉하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의 후단에서 상방 및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여 띠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파트의 상단과 한 쌍의 상기 연결부의 후단이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파트의 연장방향과 상기 제1 힌지축의 연장방향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의 전방 및 하방에서 좌우로 연장되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후방부 사이의 거리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는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파트 또는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파트 또는 상기 연결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 가능한 오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파트와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오목부를 관통하는 상기 제1 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힌지축은 적어도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힌지축의 조여지는 정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의 최저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저판부와,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를 연결하는 측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와 상기 저판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의 배면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세트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 고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의 배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판상의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후방 돌출부와, 상기 연결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2 힌지축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후방 돌출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탠드의 부피를 작게 유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체적으로 미려한 외관을 갖게 되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세트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최소 힘의 크기, 즉 디스플레이 세트의 회전을 저해하는 마찰력의 크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프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일부를 AA 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프레이 장치를 후방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세트(2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200)를 지지하는 스탠드(10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200)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결합되는 백 커버를 포함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장 부품을 백커버가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200)의 전면은 글래스 부재의 프런트 패널에 의하여 보호된다.
상기 스탠드(1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200)의 백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200)를 지지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200)를 지지하는 스탠드(100)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탠드(100) 부분을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4는 도3을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100)는, 바닥면과 접촉하며 바닥면 상에 놓여지는 바닥 지지부(110)와, 상기 바닥 지지부(110)와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200)를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와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200) 사이를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세트 고정부(13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200)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 고정부(13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들 각각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바닥 지지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파트(111)와, 상기 제1 파트(111)의 양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파트(112)를 포함한다.
제1 파트(111)는 소정 폭을 갖고 길게 연장되는 띠 형상을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부(1111)와, 상기 전방부(1111)의 좌우 양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후방부(1112)를 포함한다. 후방부(1112)는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따라서, 한 쌍의 후방부(1112) 사이의 거리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더 넓어 진다. 상기 전방부(1111)와 후방부(1112)는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부(1111)와 후방부(1112)가 만나는 지점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파트(112)는 상기 제1 파트(111)의 후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방부(1112)의 후단으로부터 상방 및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1 파트(111)와 상기 제2 파트(112)는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파트(111)와 상기 제2 파트(112)가 접하는 지점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파트(111)와 상기 제2 파트(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바닥 지지부(110)는 띠 형상의 직선 및 곡선을 이루며 연장되어, 시각적으로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즉, 다수회 절곡되는 하나의 연속된 선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파트(112)의 상단은 횡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부러지며, 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돌출부(1121, 도3 참조)가 된다. 상기 돌출부(1121)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후술하는 제1 힌지축(141)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12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단은 상기 바닥 지지부(110)의 제2 파트(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120)는 한 쌍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을 향할수록 한 쌍의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다. 도2 내지 도6을 참조하면, 전방을 향할수록 한 쌍의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할수록 한 쌍의 연결부(120) 사이의 거리가 커 질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20)의 후단에는 오목부(121)가 구비된다. 상기 오목부(121)는 전술한 상기 바닥 지지부(110)의 제2 파트(112)의 돌출부(1121)가 삽입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121)가 삽입 가능하도록 횡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한편, 상기 연결부(120)에는 상기 오목부(121)가 형성된 부분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1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120)의 후단 근방에서 오목부(121)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122)과, 바닥 지지부(110)의 제2 파트(112)의 관통공(미도시)에는 제1 힌지축(141)이 삽입된다.
상기 제1 힌지축(141)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힌지축(141)은 볼트일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축(141)은 상기 관통공(122)의 하부에서 제1 너트(143)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20)는 제1 힌지축(141)을 중심으로, 상기 바닥 지지부(110)의 제2 파트(112)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22)이 형성되는 연결부(120)의 후단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관통공(122)의 직경은 상기 제1 힌지축(141)의 헤드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관통공(122)의 상하 높이는 상기 제1 힌지축(141)의 상하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질 경우, 제1 힌지축(141)이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게되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다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힌지축(141)은 상기 바닥 지지부(110)의 제1 파트(111)에 교차하는 방향,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는 곧 상기 제1 힌지축(141)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놓여지는 바닥면과 교차하는 방향,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바닥 지지부(110)의 제1 파트(111)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올려지는 바닥면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1 힌지축(141)은 바닥면에 교차하는 방향,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연결부(120)의 전단에는 후술하는 제2 힌지축(142)이 삽입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 고정부(130)는 디스플레이 세트(200)에 부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 고정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200)의 배면에 부착 가능한 대략 판상의 배면 부착부(131)와, 상기 배면 부착부(13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 돌출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 돌출부(132)는 상기 배면 부착부(131)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한쌍이 후방을 향해 서로 평행하게 돌출, 연장된다.
상기 후방 돌출부(132)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13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33)에는 제2 힌지축(142)이 삽입된다. 상기 제2 힌지축(142)는 디스플레이 세트 고정부(130)의 후방 돌출부(132)에 형성되는 관통공(133)과, 연결부(120)의 전단에 구비되는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공들의 하부에서 제2 너트(144)와 체결된다. 상기 제2 힌지축(142)은 상기 제1 힌지축(141)과 마찬가지로,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방향 회전(SWIVEL) 과정을 설명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세트(200)의 전면이 전방을 향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세트(20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을 가하면, 한 쌍의 연결부(120)가 제1 힌지축(14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한 쌍의 연결부(120) 각각은 서로 다른 회전 각도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20)가 상기 제2 힌지축(142)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세트(200)의 배면에 대해 상대회전 하는 각도 역시, 한 쌍의 연결부(130)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200)는 상기 스탠드(1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 회전(swivel)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작 원리는 4절 링크의 운동 원리와 동일하다. 바닥 지지부(110)가 하나의 고정된 링크이고, 한 쌍의 연결부(120)와 디스플레이 세트(100)가 움직이는 3개의 링크에 해당되므로, 전체로서 4개의 링크로 구성되는 4절 링크의 운동과 동일한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 원리에 의할 경우, 도1에 도시된 종래 구조와 비교해, 2개의 부분에서 힘을 받게 되므로 내구성이 좋아지며, 디스플레이 세트(200)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해도 일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세트(200)가 흔들리는 현상, 소위 와블(wobble)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세트(200)가 회전 가능하면서도, 회전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세트(200)의 무게 중심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작게 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취할 수 있게 된다.
회전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세트(200)의 무게 중심이 전방쪽으로 지나치게 많이 이동하거나, 후방쪽으로 지나치게 많이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쓰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세트(200)를 회전시키기 위해 힘을 가해도, 디스플레이 세트(200)가 잘 회전하지 않거나, 이와는 반대로 디스플레이 세트(100)가 작은 힘에도 지나치게 잘 회전하는 경우, 힌지축(141, 142)을 조이는 정도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세트(100)가 적당한 힘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세트(200)를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 힘의 크기를 힌지축(141, 142)을 조이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어느 하나의 제1 힌지축(141)과 2개의 제2 힌지축(142)은 비교적 느슨하게 조여 놓고, 나머지 하나의 제1 힌지축(141)을 조이는 정도를 조절하여,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세트(200)의 회전에 필요한 최소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스탠드(30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놓여지는 바닥면과 접촉하며, 바닥면 위에 놓여지는 바닥 지지부(310)와, 후단이 상기 바닥 지지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10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스탠드(300)는 디스플레이 세트(200)의 배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세트 고정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320)와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 고정부(33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바닥 지지부(31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파트(311)와, 상기 제1 파트(311)의 양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파트(3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트(311)는 전방부(3111)와 후방부(3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파트(311)의 구성은, 도2 내지 도7에 도시된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 2파트(312)는 상기 제1 파트(311)의 후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방부(3112)의 후단으로부터 상방 및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1 파트(311)와 상기 제2 파트(312)는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파트(311)와 상기 제2 파트(312)가 접하는 지점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파트(311)와 상기 제2 파트(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바닥 지지부(110)는 띠 형상의 직선 및 곡선을 이루며 연장되어, 시각적으로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즉, 다수회 절곡되는 하나의 연속된 선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파트(312)의 상단은 횡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부러지며, 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돌출부(3121)가 된다.
상기 돌출부(3121)는 횡방향으로 대략 상기 제1 파트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판부(3121a)와, 상기 상판부(3121a)의 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상판부(3121a)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저판부(3121c)와, 상기 상판부(3121a)의 일단과 상기 저판부(3121c)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측판부(3121b)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상기 돌출부(3121)에는 제1 힌지축(141)이 삽입 가능한 관통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32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단은 상기 바닥 지지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320)의 후단에는 상기 돌출부(3121)가 삽입 가능한 오목부(3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320)의 후단 근방에서 오목부(321)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322)과, 바닥 지지부(310)의 제2 파트(312)의 관통공(미도시)에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제1 힌지축(141)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축(141)이 제1 너트(143)와 체결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외 상기 연결부(32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 부착부(330)의 나머지 구성은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1 힌지축(141)과 제1 너트(142)가 강하게 조여질때, 상기 돌출부(3121)의 상판부(3121a)와 한판부(3121c)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도8에서는 상하 방향) 탄성 변형 될수 있으므로, 상대 회전을 저해하기 위한 돌출부(3121)와 오목부(322)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도, 장치의 파손의 위험은 줄일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 세트(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최소 힘의 조절을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300)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 원리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바닥 지지부(110, 310)와 연결부(120, 320)의 회전 가능한 결합을 위해, 바닥 지지부(110, 310) 쪽에 돌출부(1121, 3121)가 구비되고, 연결부(120, 320)쪽에 오목부(121, 321)가 구비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바닥 지지부 쪽에 오목부가 구비되고, 연결부에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탠드 110: 바닥 지지부
111: 제1 파트 1111: 전방부
1112: 후방부 112: 제2 파트
120: 연결부 1121: 돌출부
121: 오목부 122: 관통공
130: 디스플레이 세트 고정부 131: 배면 부착부
132: 후방 돌출부 133: 관통공
141: 제1 힌지축 142: 제2 힌지축
143: 제1 너트 144: 제2 너트
200: 디스플레이 세트 210: 백커버
300: 스탠드 310: 바닥 지지부
311: 제1 파트 3111: 전방부
3112: 후방부 312: 제2 파트
3121: 돌출부 3121a: 상판부
3121b: 측판부 3121c: 저판부
320: 연결부 330: 디스플레이 세트 고정부
331: 배면 부착부 332: 후방 돌출부
333: 관통공

Claims (8)

  1.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세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세트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바닥 지지부와,
    후단이 상기 바닥 지지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바닥 지지부에 대해 상대 회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가 상기 연결부에 대해 상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가 상기 스탠드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연결부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기 연결부 사이의 거리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거나 좁아지며,
    상기 바닥 지지부와, 한 쌍의 상기 연결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가 4절 링크 운동을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가 상기 스탠드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지지부는
    바닥면과 접촉하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의 후단에서 상방 및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여 띠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파트의 상단과 한 쌍의 상기 연결부의 후단이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파트의 연장방향과 상기 제1 힌지축의 연장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의 전방 및 하방에서 좌우로 연장되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후방부 사이의 거리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는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 또는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파트 또는 상기 연결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 가능한 오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파트와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오목부를 관통하는 상기 제1 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힌지축은 적어도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힌지축의 조여지는 정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의 최저치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저판부와,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를 연결하는 측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와 상기 저판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의 배면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세트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 고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세트의 배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판상의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후방 돌출부와,
    상기 연결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2 힌지축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후방 돌출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049908A 2013-05-03 2013-05-03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31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908A KR20140131064A (ko) 2013-05-03 2013-05-03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908A KR20140131064A (ko) 2013-05-03 2013-05-03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064A true KR20140131064A (ko) 2014-11-12

Family

ID=5245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908A KR20140131064A (ko) 2013-05-03 2013-05-03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10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1761A (zh) * 2020-06-09 2021-12-10 英业达科技有限公司 用于支撑车载电脑的固定支架
US11822379B2 (en) 2019-11-27 2023-11-21 Dotheal Co., Ltd. Monitor mounting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2379B2 (en) 2019-11-27 2023-11-21 Dotheal Co., Ltd. Monitor mounting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11822381B2 (en) 2019-11-27 2023-11-21 Dotheal Co., Ltd. Method of adjusting location and tilting of monitor
US11822380B2 (en) 2019-11-27 2023-11-21 Dotheal Co., Ltd. Information display system including monitor mount
CN113771761A (zh) * 2020-06-09 2021-12-10 英业达科技有限公司 用于支撑车载电脑的固定支架
US11414026B2 (en) * 2020-06-09 2022-08-16 Inventec (Pudong) Technology Corp. Fixing frame for supporting in-vehicle compu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983B1 (ko) 모니터장치
US6517040B1 (en) Support unit for a display device
KR101563871B1 (ko)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거치대
JP2006526163A (ja) 調節可能な傾斜台
TW201250148A (en) Supporting device
JP6814952B2 (ja) 表示装置およびスタンドセット
KR20120000675A (ko)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KR201401310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249878A (ja) パネル支持装置
KR20050026461A (ko) 개선된 안테나용 틸트 브래킷
US20100193658A1 (en) Motorized mount
JP2007108528A (ja) 電気機器取付具
JP5519134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US20110012001A1 (en) Angle adjusting device for display
JP2008009144A (ja) ディスプレイ支持機構
JP5431209B2 (ja) 薄型表示装置
CN210027746U (zh) 一种平衡车转向用检测装置、操控装置及平衡车
KR101390715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577234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탠드
CN113531351B (zh) 荧幕架及显示装置
JP2018152690A (ja) テレビ及び傾斜角度調整スタンド
JP6971143B2 (ja) ロータリエンコーダ
CN213629583U (zh) 一种摄像头固定支架
KR20140000629U (ko) 모니터 스탠드
CN211976385U (zh) 荧幕架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