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519B1 -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519B1
KR101720519B1 KR1020150116532A KR20150116532A KR101720519B1 KR 101720519 B1 KR101720519 B1 KR 101720519B1 KR 1020150116532 A KR1020150116532 A KR 1020150116532A KR 20150116532 A KR20150116532 A KR 20150116532A KR 101720519 B1 KR101720519 B1 KR 101720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mera
cradle
user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270A (ko
Inventor
정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포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포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포브
Priority to JP2015169535A priority Critical patent/JP6182575B2/ja
Priority to US14/863,456 priority patent/US9971232B2/en
Priority to CN201620147535.6U priority patent/CN205716348U/zh
Priority to PCT/KR2016/001958 priority patent/WO2016137288A1/ko
Publication of KR20160105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270A/ko
Priority to JP2017000032A priority patent/JP644074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519B1/ko
Priority to US15/946,736 priority patent/US1048874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Landscapes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활동하는 동안 사용자의 양손이 사용되는 상황의 영상을 촬영할 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로,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벤딩된 형상을 한 걸이대; 상기 단말기를 장착하는 장착대; 및 상기 걸이대와 상기 장착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Bracket for terminal with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에 사용되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의 것으로,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PC, 블랙박스, 디지털 카메라, 필름 카메라, 캠코더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로는, 설치 위치가 어느 한 장소로 고정된 장소 장착형 거치대(place mounted bracket)와,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핸디형 거치대(hand type bracket)(일명, "셀카봉"이라 함) 등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기존의 장소 장착형 거치대의 경우, 어느 한 장소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되므로 이에 단말기가 거치되더라도 사용자가 이동하거나 활동하는 상황의 영상은 촬영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핸디형 거치대의 경우,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므로 요리나 운동 등 양손의 사용을 요하는 활동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활동하는 동안 사용자의 양손이 사용되는 상황의 영상을 촬영할 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로,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벤딩된 형상을 한 걸이대; 상기 단말기를 장착하는 장착대; 및 상기 걸이대와 상기 장착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대는, 사용자의 목의 뒷부분을 감싸도록 만곡된 형상을 한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양 단에 각각 연장되어 사용자의 어깨와 가슴을 감싸도록 만곡된 형상을 한 제1 및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 상기 중심부, 그리고 상기 제2 단부는 순차적으로 이어지고 제1 및 제2 면을 가지는 하나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부의 상기 제1 면이 사용자의 목을 향해 놓일 경우,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제1 면이 사용자의 일 측의 어깨와 가슴을 향해 놓이도록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중심부에 대해 비틀린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단부의 상기 제1 면이 사용자의 타 측의 어깨와 가슴을 향해 놓이도록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중심부에 대해 비틀린 형상을 가지고, 상기 걸이대 중 사용자의 목에 놓이는 면과 사용자의 어깨 및 가슴에 놓이는 면이 상기 제1 면으로 동일하고, 상기 걸이대는 상기 비틀린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부는 사용자의 목의 뒷부분에 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단부는 사용자의 어깨와 가슴에 지지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걸이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하나 이상의 제1 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밴드 홀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쿠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장착대의 일단과 상기 제1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대; 상기 장착대의 타단과 상기 제2 단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대; 상기 제1 연결대와 상기 제1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2 연결대와 상기 제2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대, 상기 연결부, 그리고 상기 장착대는 서로 연결되어 폐곡선 형태의 고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대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대의 간격이 상기 제1 및 제2 단부에서 상기 장착대를 향해 점점 작아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연결대는 그 폭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하나 이상의 제2 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대는, 상기 연결부의 중심에 구비되며 상기 단말기가 장착되는 길다란 형상의 장착 몸체; 및 상기 장착 몸체에 관통되며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그 길이 방향으로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위치 조절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몸체는 길다란 육면체 형상을 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위치 조절공은, 상기 장착 몸체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위치 조절공; 및 상기 장착 몸체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위치 조절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는, 상기 장착대에 상기 단말기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착탈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 유닛은, 상기 위치 조절공에 삽입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볼트 또는 상기 너트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탈 유닛은, 상기 볼트 또는 상기 너트에 구비되는 구형 수용부; 상기 구형 수용부에 수용되는 볼 부재와 상기 볼 부재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 나사를 포함하는 볼 커넥터; 및 상기 구형 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볼 부재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락하는 잠금 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고정 나사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착탈 유닛은, 상기 고정 나사에 체결되고 안내홈이 형성되며 제1 걸림턱을 가지는 고정 파지 부재; 및 상기 안내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됨과 함께 탄성체에 의해 상기 고정 파지 부재에 탄성 결합되거나 나사결합되고 제2 걸림턱을 가지는 이동 파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및 제2 걸림턱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으로 파지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는, 상기 볼트 또는 상기 너트에 구비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요입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 체결공; 및 상기 나사 체결공에 체결되며 상기 거치대의 무게 중심을 잡은 후 파지시 그 무게 중심을 유지시키는 스테빌라이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대와 상기 장착대의 일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연결대; 상기 제2 연결대와 상기 장착대의 타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4 연결대; 상기 제1 연결대와 상기 제3 연결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회동부; 및 상기 제2 연결대와 상기 제4 연결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 회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는, 상기 연결부 또는 걸이대에 삽입되는 띠 형상의 이차 전지; 및 상기 장착대에 구비되며 상기 이차 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는, 상기 걸이대 또는 연결부에 삽입되며 외부 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 및 상기 걸이대 또는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신 모듈과 외부 이어폰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이어폰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는, 상기 걸이대 또는 연결부에 삽입되며 외부 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 및 상기 걸이대 또는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대와 상기 연결부는 금속 플레이트와 금속 플레이트를 감싸는 유연성 폴리머 또는 가죽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상기 장착대는, 상기 연결부의 중심에 구비되는 길다란 원통 형상의 원통바; 및 상기 원통바와 상기 단말기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원통바를 수용하는 영문 알파벳 "U"자 형상의 연결 브라켓; 상기 연결 브라켓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의 양단부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조이거나 그 반대로 푸는 양단 조임 볼트;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와 체결되는 단말기 체결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걸이대와, 장착대와, 그리고 연결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운동이나 요리 등과 같은 활동을 하는 동안 사용자의 양손이 사용되는 상황인 운동하는 상황이나 요리하는 상황 등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가 바닥에 놓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스테빌라이저가 볼트의 머리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중 장착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장착대를 XII-XII 선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가 바닥에 놓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대(110)와, 장착대(120)와, 그리고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걸이대(11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벤딩(bending)된 형상을 가지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걸이대(110)를 통해 본 발명의 단말기용 거치대(100)를 목에 걸 수 있어, 사용자의 양 손이 자유로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이대(110)는, 도 1,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111)와, 그리고 제1 및 제2 단부(112)(113)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111)는 사용자의 목의 뒷부분을 감싸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및 제2 단부(112)(113)는 중심부(111)의 양 단에 각각 연장되어 사용자의 어깨와 가슴을 감싸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중심부(111)를 통해 본 발명의 단말기용 거치대(100)를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고, 이와 함께 제1 및 제2 단부(112)(113)를 통해 본 발명의 단말기용 거치대(100)를 사용자의 어깨와 가슴에 지지할 수 있다. 특히, 해당 신체 부분을 감싸거나 밀착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지므로 신체와의 접촉을 최대로 할 수 있어, 즉 신체와 한 몸이 되는 효과를 줄 수 있어, 사용자가 요리 등을 할 경우 사용자에게 안정적이고 편안한 활동을 보장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112), 중심부(111), 그리고 제2 단부(113)는 순차적으로 이어지고 제1 및 제2 면(110a)(110b)을 가지는 하나의 판형 부재(plate mem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중심부(111)의 제1 면(110a)이 사용자의 목을 향해 놓일 경우, 제1 단부(112)의 제1 면(110a)이 사용자의 일 측의 어깨와 가슴을 향해 놓이도록 제1 단부(112)는 중심부(111)에 대해 비틀린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단부(113)의 제1 면(110a)이 사용자의 타 측의 어깨와 가슴을 향해 놓이도록 제2 단부(113)는 중심부(111)에 대해 비틀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걸이대(110)가 판형 부재로 만들어지면서도 이러한 비틀림 형상을 통해 옷깃과 같이 부드럽게 목에 둘러대어 가슴으로 내릴 수 있게 되어, 신체에 대해 보다 안정적이고 편하게 착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111)는 사용자의 목의 뒷부분에 걸리고, 제1 및 제2 단부(112)(113)는 사용자의 어깨와 가슴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걸이대(11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하나 이상의 제1 밴드 홀(first band hole)(110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밴드 홀(110c)은 비틀림 강도나 휨 강도를 보강하여 사용이나 보관 중에 걸이대(110)가 비틀리거나 휘어지는 현상을 막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밴드 홀(110c)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쿠션 부재(cushion member)(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걸이대(110)가 신체에 접하면서 신체에 가해지는 힘을 이 쿠션 부재를 통해 분산시킬 수 있어, 걸이대(110)를 보다 부드럽고 편하게 신체에 착용할 수 있다.
장착대(120)는, 단말기(10)가 장착되는 구성요소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몸체(121) 및 하나 이상의 위치 조절공(122)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몸체(121)는 단말기(10)가 장착되는 곳으로 연결부(130)의 중심에 길다란 형상을 가지면 구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위치 조절공(122)은 장착 몸체(121)에 관통되며 장착 몸체(12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위치 조절공(122)을 통해 장착 몸체(121)의 길이 방향으로 단말기(1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몸체(121)는 길다란 육면체 형상을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위치 조절공(122)은, 장착 몸체(121)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위치 조절공(122a)과, 장착 몸체(121)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위치 조절공(122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를 장착하기 위해 제1 및 제2 위치 조절공(122a)(122b)을 선택할 수 있어 단말기(10)의 위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부(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대(110)와 장착대(12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30)는 제1 연결대(131), 제2 연결대(132), 제1 회동부(133), 그리고 제2 회동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대(131)는 장착대(120)의 일단과 제1 단부(112)를 연결하고, 제2 연결대(132)는 장착대(120)의 타단과 제2 단부(113)를 연결한다. 제1 회동부(133)는 제1 연결대(131)와 제1 단부(11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제2 회동부(134)는 제2 연결대(132)와 제2 단부(113)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연결대(131)(132)를 통해 단말기(10)가 장착되는 장착대(120)가 걸이대(110)로부터 설정거리 이격될 수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와 사용자의 신체가 간섭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고, 제1 및 제2 회동부(133)(134)를 통해 단말기(10)의 위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거치대(100)를 바닥에 세워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연결부(130)는 상술한 걸이대(110) 및 상술한 장착대(120)와 함께 연결되어 폐곡선 형태의 고리 형상(loop shape)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리 형상을 통해 외부 충격이나 격한 운동시에도 신체에 이탈될 우려를 막을 수 있다.
나아가, 제1 및 제2 연결대(131)(132) 또한 판형 부재(plate mem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연결대(131)(132)의 간격이 제1 및 제2 단부(112)(113)에서 장착대(120)를 향해 점점 작아지도록 제1 및 제2 연결대(131)(132)는 그 폭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회동부(133)(134)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연결대(131)(132)를 제1 및 제2 단부(112)(113)로 각각 접었을 때 제1 및 제2 연결대(131)(132)가 납작하게 누운 형상으로 놓이게 되므로 충분한 각도로 접힐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결대(131)(132)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하나 이상의 제2 밴드 홀(second band hole)(13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밴드 홀(130a)은 비틀림 강도나 휨 강도를 보강하여 사용이나 보강 중에 제1 및 제2 연결대(131)(132)가 비틀리거나 휘어지는 현상을 막는 역할을 한다.
또한, 걸이대(110)와 연결부(130)는 금속 플레이트(metal plate)의 뼈대와 금속 플레이트를 감싸는 유연성 폴리머(polymer) 또는 가죽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연성 폴리머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대(120)에 단말기(10)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착탈 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착탈 유닛(14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조절공(122)에 삽입되는 볼트(141)와, 그리고 볼트(141)에 체결되는 너트(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는 볼트(141) 또는 너트(142)에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도 1 및 도 5에는 단말기(10)가 너트(142) 상에 구비된 것을 보이고 있다.
나아가, 착탈 유닛(14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 수용부(143), 볼 커넥터(144), 그리고 잠금 나사(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형 수용부(143)는 너트(142)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볼트(141)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볼 커넥터(144)는 구형 수용부(143)에 수용되는 볼 부재(144a)와 볼 부재(144a)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 나사(144b)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나사(145)는 구형 수용부(143)에 구비되며 그 조임에 따라 볼 부재(144a)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락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는 고정 나사(144b)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나사(145)를 풀거나 조이는 방식으로 구형 수용부(143)에 수용된 볼 커넥터(144)의 볼 부재(144a)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락할 수 있어, 단말기(10)의 위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착탈 유닛(1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파지 부재(146)와 이동 파지 부재(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파지 부재(146)는 고정 나사(144b)에 체결되고 안내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제1 걸림턱(146a)을 가질 수 있고, 이동 파지 부재(147)는 안내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됨과 함께 탄성체(미도시)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146)에 탄성 결합되고 제2 걸림턱(147a)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는 제1 및 제2 걸림턱(146a)(147a)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체의 복원력으로 파지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파지 부재(147)은 고정 파지 부재(146)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부품들(210, 220, 230, 240, 그리고 250)이 더 부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전자 부품들(210, 220, 230, 240, 그리고 250) 위주로 설명한다.
전자 부품들 중 이차 전지(210)는 띠 형상을 가지며 연결부(130) 또는 걸이대(110)에 삽입될 수 있고, 충전 단자(220)는 장착대(120)에 구비되며 이차 전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단자(220)와 이차 전지(210)를 통해 단말기(10)를 충전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자 부품들 중 통신 모듈(230)은 외부 기기(미도시)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걸이대(110) 또는 연결부(130)에 삽입될 수 있고, 이어폰 단자(240)는 걸이대(110) 또는 연결부(130)에 구비되며 통신 모듈(230)과 외부 이어폰(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230)로는 블루투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요리나 운동 등의 활동 중에 통신 모듈(230)로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음성 정보나 음악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자 부품들 중 리모컨(250)은 걸이대(110) 또는 연결부(130)에 구비되며 통신 모듈(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연결대(331), 제4 연결대(332), 제3 회동부(333), 그리고 제4 회동부(3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3 연결대(331), 제4 연결대(332), 제3 회동부(333), 그리고 제4 회동부(334) 위주로 설명한다.
제3 연결대(331)는 제1 연결대(131)와 장착대(120)의 일단 사이를 연결하고, 제4 연결대(332)는 제2 연결대(132)와 장착대(120)의 타단 사이를 연결한다. 제3 회동부(333)는 제1 연결대(131)와 제3 연결대(331)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제4 회동부(334)는 제2 연결대(132)와 제4 연결대(33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다 더 부가되는 제3 연결대(331), 제4 연결대(332), 제3 회동부(333), 그리고 제4 회동부(334)를 통해 단말기(10)의 위치에 대한 자유도를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스테빌라이저가 볼트의 머리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4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저(stabilizer)(430)가 설치되는 구성이 더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스테빌라이저(430)가 설치되는 구성 위주로 설명한다.
스테빌라이저(430)가 설치되는 구성은, 헤드(410), 나사 체결공(420), 그리고 스테빌라이저(430)를 포함한다. 헤드(410)는 볼트(141) 또는 너트(142)의 머리를 이루는 부분이고, 나사 체결공(420)은 헤드(410)에 요입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스테빌라이저(430)는, 체결 볼트부(431), 핸들(432), 그리고 체결 볼트부(431)와 핸들(432) 사이에 구비되는 볼 베어링(433)을 포함하여 피 장착물의 무게 중심을 유지시켜 주는 공지된 기술로, 체결 볼트부(431)를 나사 체결공(420)에 체결한 후, 사용자가 거치대(400)의 무게 중심을 잡고 나서 손으로 핸들(432)을 파지할 경우, 볼 베어링(433)을 통해 거치대(400)의 무게 중심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5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중 장착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장착대를 XII-XII 선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5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대(52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장착대(520) 위주로 설명한다.
장착대(52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바(521)와 연결 유닛(522)을 포함할 수 있다. 원통바(521)는 길다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연결부(130)의 중심에 구비되고, 연결 유닛(522)은 원통바(521)와 단말기(10)를 연결한다.
예를 들어, 연결 유닛(522)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바(521)를 수용하는 영문 알파벳 "U"자 형상의 연결 브라켓(522a)과, 연결 브라켓(522a)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연결 브라켓(522a)의 양단부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조이거나 그 반대로 푸는 양단 조임 볼트(522b)와, 그리고 연결 브라켓(522a)의 중심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단말기(10)와 체결되는 단말기 체결 볼트(522c)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연결 브라켓(522a)을 원통바(521)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좌우 이동시켜 단말기(10)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되면, 양단 조임 볼트(522b)를 조여 단말기(10)를 그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대(110)의 중심부(111)와 걸이대(110)의 제2 단부(113)(또는 제1 단부) 사이에 절개부(미도시)를 두어 제2 단부(113)(또는 제1 단부)가 제2 회동부(134)(또는 제1 회동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중심부(111)와 분리될 경우, 본 발명의 거치대(100)를 사용자의 목의 측부에서 목을 향해 이동시켜 제2 단부(113)(또는 제1 단부)가 있던 자리를 통해 사용자의 목이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100)(200)(300)(400)(5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걸이대(110)와, 장착대(120)(520)와, 그리고 연결부(130)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운동이나 요리 등과 같은 활동을 하는 동안 사용자의 양손이 사용되는 상황인 운동하는 상황이나 요리하는 상황 등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110: 걸이대 110a: 제1 면
110b: 제2 면 110c: 제1 밴드 홀
111: 중심부 112: 제1 단부
113: 제2 단부 120, 520: 장착대
121: 장착 몸체 122: 하나 이상의 위치 조절공
122a: 제1 위치조절공 122b: 제2 위치 조절공
130: 연결부 130a: 제2 밴드 홀
131: 제1 연결대 132: 제2 연결대
133: 제1 회동부 134: 제2 회동부
140: 착탈 유닛 141: 볼트
142: 너트 143: 구형 수용부
144: 볼 커넥터 144a: 볼 부재
144b: 고정 나사 145: 잠금 나사
146: 고정 파지 부재 146a: 제1 걸림턱
147: 이동 파지 부재 147a: 제2 걸림턱
210: 이차 전지 220: 충전 단자
230: 통신 모듈 240: 이어폰 단자
250: 리모컨 331: 제3 연결대
332: 제4 연결대 333: 제3 회동부
334: 제4 회동부 410: 헤드
420: 나사 체결공 430: 스테빌라이저
521: 원통바 522: 연결 유닛
522a: 연결 브라켓 522b: 양단 연결 볼트

Claims (23)

  1.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로,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벤딩된 형상을 한 걸이대;
    상기 단말기를 장착하는 장착대; 및
    상기 걸이대와 상기 장착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대는,
    사용자의 목의 뒷부분을 감싸도록 만곡된 형상을 한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양 단에 각각 연장되어 사용자의 어깨와 가슴을 감싸도록 만곡된 형상을 한 제1 및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 상기 중심부, 그리고 상기 제2 단부는 순차적으로 이어지고 제1 및 제2 면을 가지는 하나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부의 상기 제1 면이 사용자의 목을 향해 놓일 경우,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제1 면이 사용자의 일 측의 어깨와 가슴을 향해 놓이도록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중심부에 대해 비틀린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단부의 상기 제1 면이 사용자의 타 측의 어깨와 가슴을 향해 놓이도록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중심부에 대해 비틀린 형상을 가지고,
    상기 걸이대 중 사용자의 목에 놓이는 면과 사용자의 어깨 및 가슴에 놓이는 면이 상기 제1 면으로 동일하고,
    상기 걸이대는 상기 비틀린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부는 사용자의 목의 뒷부분에 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단부는 사용자의 어깨와 가슴에 지지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걸이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하나 이상의 제1 밴드 홀이 형성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6. 제5항에서,
    상기 제1 밴드 홀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쿠션 부재가 구비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7.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장착대의 일단과 상기 제1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대;
    상기 장착대의 타단과 상기 제2 단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대;
    상기 제1 연결대와 상기 제1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2 연결대와 상기 제2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회동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8. 제7항에서,
    상기 걸이대, 상기 연결부, 그리고 상기 장착대는 서로 연결되어 폐곡선 형태의 고리 형상을 이루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9. 제7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대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대의 간격이 상기 제1 및 제2 단부에서 상기 장착대를 향해 점점 작아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연결대는 그 폭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10. 제7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하나 이상의 제2 밴드 홀이 형성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11. 제1항에서,
    상기 장착대는,
    상기 연결부의 중심에 구비되며 상기 단말기가 장착되는 길다란 형상의 장착 몸체; 및
    상기 장착 몸체에 관통되며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그 길이 방향으로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위치 조절공
    을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12. 제11항에서,
    상기 장착 몸체는 길다란 육면체 형상을 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위치 조절공은,
    상기 장착 몸체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위치 조절공; 및
    상기 장착 몸체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 위치 조절공
    을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13. 제11항에서,
    상기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는,
    상기 장착대에 상기 단말기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착탈 유닛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14. 제13항에서,
    상기 착탈 유닛은,
    상기 위치 조절공에 삽입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볼트 또는 상기 너트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15. 제14항에서,
    상기 착탈 유닛은,
    상기 볼트 또는 상기 너트에 구비되는 구형 수용부;
    상기 구형 수용부에 수용되는 볼 부재와 상기 볼 부재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 나사를 포함하는 볼 커넥터; 및
    상기 구형 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볼 부재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락하는 잠금 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고정 나사에 나사 체결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16. 제15항에서,
    상기 착탈 유닛은,
    상기 고정 나사에 체결되고 안내홈이 형성되며 제1 걸림턱을 가지는 고정 파지 부재; 및
    상기 안내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됨과 함께 탄성체에 의해 상기 고정 파지 부재에 탄성 결합되거나 나사결합에 되고 제2 걸림턱을 가지는 이동 파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및 제2 걸림턱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으로 파지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17. 제14항에서,
    상기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는,
    상기 볼트 또는 상기 너트에 구비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요입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 체결공; 및
    상기 나사 체결공에 체결되며 상기 거치대의 무게 중심을 잡은 후 파지시 그 무게 중심을 유지시키는 스테빌라이저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18. 제7항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대와 상기 장착대의 일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연결대;
    상기 제2 연결대와 상기 장착대의 타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4 연결대;
    상기 제1 연결대와 상기 제3 연결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회동부; 및
    상기 제2 연결대와 상기 제4 연결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 회동부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19. 제1항에서,
    상기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는,
    상기 연결부 또는 걸이대에 삽입되는 띠 형상의 이차 전지; 및
    상기 장착대에 구비되며 상기 이차 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단자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20. 제1항에서,
    상기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는,
    상기 걸이대 또는 연결부에 삽입되며 외부 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 및
    상기 걸이대 또는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신 모듈과 외부 이어폰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이어폰 단자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21. 제1항에서,
    상기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는,
    상기 걸이대 또는 연결부에 삽입되며 외부 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 및
    상기 걸이대 또는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
    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22. 제1항에서,
    상기 걸이대와 상기 연결부는 금속 플레이트와 금속 플레이트를 감싸는 유연성 폴리머 또는 가죽을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23. 제1항에서,
    상기 장착대는,
    상기 연결부의 중심에 구비되는 길다란 원통 형상의 원통바; 및
    상기 원통바와 상기 단말기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원통바를 수용하는 영문 알파벳 "U"자 형상의 연결 브라켓;
    상기 연결 브라켓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의 양단부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조이거나 그 반대로 푸는 양단 조임 볼트;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와 체결되는 단말기 체결 볼트
    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KR1020150116532A 2015-02-27 2015-08-19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KR101720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69535A JP6182575B2 (ja) 2015-02-27 2015-08-28 カメラを具備した端末機用据置台
US14/863,456 US9971232B2 (en) 2015-02-27 2015-09-24 Bracket for terminal with camera module
CN201620147535.6U CN205716348U (zh) 2015-02-27 2016-02-26 配备摄像头终端的专用支架
PCT/KR2016/001958 WO2016137288A1 (ko) 2015-02-27 2016-02-26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JP2017000032A JP6440748B2 (ja) 2015-02-27 2017-01-04 カメラを具備した端末機用据置台
US15/946,736 US10488740B2 (en) 2015-02-27 2018-04-06 Bracket for terminal with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319 2015-02-27
KR20150001319 2015-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270A KR20160105270A (ko) 2016-09-06
KR101720519B1 true KR101720519B1 (ko) 2017-04-03

Family

ID=5694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532A KR101720519B1 (ko) 2015-02-27 2015-08-19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40748B2 (ko)
KR (1) KR101720519B1 (ko)
CN (1) CN20571634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933A (ko) * 2018-04-25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기기의 무게 중심을 조정하는 움직임 보정 장치
KR102555325B1 (ko) * 2021-07-21 2023-07-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측정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골격계 측정장치
CN116389674B (zh) * 2023-03-28 2024-04-26 射阳港海会议服务有限公司 一种远程会议视频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6930A (ja) 2010-11-22 2011-03-31 Shintaro Sugawara ビデオカメラまたはスマートフォン等ビデオ撮影機能付き携帯機器を肩や平面へ固定する道具及びシステム
US20150196101A1 (en) 2014-01-14 2015-07-1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mart necklace with stereo vision and onboard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3633A (ko) * 1972-08-30 1974-04-24
JPH03231731A (ja) * 1990-02-07 1991-10-15 Canon Inc カメラのワイヤレスリモコン装置
US5829652A (en) * 1997-02-19 1998-11-03 Denzer; Joanne Body-conformable apparatus
JP2000206609A (ja) * 1999-01-19 2000-07-28 Konica Corp カメラ振れ止め具、カメラ及び撮影装置用ストラップ
JP3070844U (ja) * 2000-02-08 2000-08-15 惣吉 佐久間 携帯電話のハンズフリ―用首掛具
JP2004271867A (ja) * 2003-03-07 2004-09-30 Fujicolor Imaging Service Co Ltd カメラ用三脚
JP2004341189A (ja) * 2003-05-15 2004-12-02 Kenkoo:Kk 自由雲台
KR100680846B1 (ko) * 2005-07-15 2007-02-09 최후림 하드/소프트 전환타입의 목걸이형 동영상 및 통신단말기거치장치
US20070164987A1 (en) * 2006-01-17 2007-07-19 Christopher Graham Apparatus for hands-free support of a device in front of a user's body
JP2008122436A (ja) * 2006-11-08 2008-05-29 Takashi Suzuki カメラ固定装置
JP2010026271A (ja) * 2008-07-22 2010-02-04 Hideo Matsuda カメラスタビライザーおよび撮影補助装置
KR100983310B1 (ko) * 2008-08-12 2010-09-20 김국원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JP2011221357A (ja) * 2010-04-12 2011-11-04 Olympus Imaging Corp 携帯機器のための姿勢支持装置
JP3185803U (ja) * 2013-06-21 2013-09-05 ティ・アール・エイ株式会社 スマートフォン用撮影補助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6930A (ja) 2010-11-22 2011-03-31 Shintaro Sugawara ビデオカメラまたはスマートフォン等ビデオ撮影機能付き携帯機器を肩や平面へ固定する道具及びシステム
US20150196101A1 (en) 2014-01-14 2015-07-1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mart necklace with stereo vision and onboard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90924A (ja) 2017-05-25
KR20160105270A (ko) 2016-09-06
JP6440748B2 (ja) 2018-12-19
CN205716348U (zh)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2575B2 (ja) カメラを具備した端末機用据置台
KR101720519B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CN106534701B (zh) 手持云台
US20120048901A1 (en) Swivel connector system for a mobile device
US9402121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140339382A1 (en) Mobile camera point of view mount
US6639985B1 (en) Phone with ear hanger assembly capable of being hung on a user's ear without help from a hand for certain period of time
KR101254468B1 (ko) 카메라 모듈 장착용 헤드셋
US20210141295A1 (en) Handheld gimbal
US6983870B2 (en) Suspended article hold down system
KR200448533Y1 (ko) 링크식 힌지장치
US20150028169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upport of optics
KR20160129502A (ko) 스트랩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US20220060209A1 (en) Mobile device holder
JPH03198806A (ja) カメラ
KR200463901Y1 (ko) 휴대 단말기 손목 거치 장치
CN113091641A (zh) 手持激光扫描仪辅助装备
KR101766475B1 (ko) 착탈식 모바일 단말기 거치장치 및 그 사용방법
JP6405714B2 (ja) 携帯型情報コード読取装置
US3325604A (en) Holding device for a telephone handset
CN210075322U (zh) 一种通用手机兔笼
JP2020096662A (ja) 携帯用電子機器用保持具及び携帯用電子機器用保持具付ベスト
JP2018505448A (ja) ビデオカメラ支持デバイス
US1250716A (en) Holder for telephone-receivers.
US20240048884A1 (en) Body mounted harness to support the weight of microphone booms and sound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