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170A -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170A
KR20180036170A KR1020160126427A KR20160126427A KR20180036170A KR 20180036170 A KR20180036170 A KR 20180036170A KR 1020160126427 A KR1020160126427 A KR 1020160126427A KR 20160126427 A KR20160126427 A KR 20160126427A KR 20180036170 A KR20180036170 A KR 20180036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wivel plate
plate
support plate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552B1 (ko
Inventor
윤상호
임종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6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552B1/ko
Priority to US15/720,089 priority patent/US10253921B2/en
Publication of KR20180036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1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05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integral with the apparatus or articles to be suppor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7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출력부의 스위블 구조를 구현함에 있어서 지지부의 두께를 최소화 하고, 높이 조절 구현 구조에 있어서 넥부의 좌우 두께를 최소화 하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수평 회전하는 스위블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스위블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된 윤활 패드,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 윤활 패드 및 지지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수평 회전시 상기 스크류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STAND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출력부의 각도, 높이, 회전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 가능한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손에 들고 사용 가능한 핸드 헬드(Hand-Held) 방식과 주로 특정 위치에 두고 사용하는 거치 방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력부를 벽면에 거는 벽걸이 형태 또는 출력부가 스탠드와 결합하여 바닥 등에 놓여지는 스탠드 형이 있다.
스탠드 형의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출력부의 위치 또는 바라보는 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출력부가 스탠드의 상하 방향으로 틸트 거동하는 틸트 거동, 바닥 수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스위블 거동 및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조절 거동이 가능한 구조를 지원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틸트 거동, 스위블 거동 및 높낮이 조절 거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는 불가피하게 큰 부피를 차지하며 무게를 증가시키고 부품의 추가로 인한 비용도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거동들을 구현하면서 부피 및 무게 증가를 최소화 하고 생산 비용 또한 최소화 하는 간단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출력부의 스위블 구조에 있어서 지지부의 두께가 두꺼워 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출력부의 높이 조절 구현 구조에 있어서 넥부의 좌우 두께가 두꺼워 지는 것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수평 회전하는 스위블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스위블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된 윤활 패드,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 윤활 패드 및 지지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수평 회전시 상기 스크류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는,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의 이탈을 억제하는 스크류 헤드 및 상기 스크류 헤드 및 가이드 홀 사이에 구비되어 수직 방향에 대해 압축 가능한 조절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제1 각도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지지넥부 및 일측에 출력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넥부의 중공부에 슬라이드 거동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전면 및 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좌우 외측면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지지넥부의 좌우 내측면과 접하는 윤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윤활 레일은 상기 프레임의 전면 좌우측 일부와 배면 좌우측 일부를 감싸 구비되고, 상기 지지넥부의 중공부 전후폭과 상기 높이 조절부의 전후폭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윤활 레일은 상기 프레임에 후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윤활 레일의 외면에 도포된 윤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윤활 레일은 외측면에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넥부의 내측 후면에 구비된 판 스프링 및 상기 높이 조절부 내측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판 스프링과 접하는 스프링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넥부의 상단에 결합하여 상기 높이 조절부가 상방 일단으로 슬라이드 된 경우 상기 높이 조절부와 접하는 상단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높이 조절부에 수직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회전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넥부는 후방으로 제2 각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수평 회전하는 스위블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스위블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된 윤활 패드,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 윤활 패드 및 지지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스크류,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수평 회전시 상기 스크류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홀,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지지넥부, 상기 지지넥부의 중공부에 슬라이드 거동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높이 조절부에 수직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회전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결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부에 착탈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부에 돌출 구비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중공부를 형성하는 지지넥부, 상기 지지넥부의 중공부에 슬라이드 거동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높이 조절부에 수직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회전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결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부에 착탈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전면 및 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좌우 외측면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지지넥부의 좌우 내측면과 접하는 윤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탠드의 스위블 구조를 구현하면서도 지지부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탠드의 높이 조절 구조를 구현하면서도 넥부의 좌우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출력부의 스위블, 높이 조절, 틸트 거동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지지부의 일부가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크류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결합 상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손에 들고 사용 가능한 핸드 헬드(Hand-Held) 방식과 주로 특정 위치에 두고 사용하는 거치 방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력부를 벽면에 거는 벽걸이 형태 또는 출력부가 스탠드와 결합하여 바닥 등에 놓여지는 스탠드 형이 있다.
스탠드 형의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출력부의 위치 또는 바라보는 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출력부가 스탠드의 상하 방향으로 틸트 거동하는 틸트 거동, 바닥 수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스위블 거동 및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조절 거동이 가능한 구조를 지원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틸트 거동, 스위블 거동 및 높낮이 조절 거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는 불가피하게 큰 부피를 차지하며 무게를 증가시키고 부품의 추가로 인한 비용도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거동들을 구현하면서 부피 및 무게 증가를 최소화 하고 생산 비용 또한 최소화 하는 간단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크게 이미지 정보를 직접적으로 출력하는 구성인 출력부(300)와 출력부(300)를 기구적으로 고정시키는 스탠드(200)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300)는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 디스플레이 패널, 백라이트 유닛, 프레임(231), 리어 케이스의 기본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은 생략될 수도 있다.
스탠드(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부(300)를 고정시켜 바닥에 거치시키고 나아가 출력부(300)의 틸트, 회전 및 높이 조절의 물리적 거동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200)의 사시도이다.
스탠드(200)는 크게 출력부(300, 도 1 참조)와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결합부(250), 바닥면으로부터 출력부(300, 도 1 참조)의 높이를 형성시키는 넥부(220), 그리고 출력부(300, 도 1 참조)를 포함하는 상기 구성들이 바닥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무게 중심을 아래쪽으로 형성시키는 지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블 구조 상세-
전술한 바와 같이 넥부(220)는 지지부(210)에 대해 회전 거동을 함으로써 출력부(300, 도 1 참조)의 스위블 거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스위블 거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200)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지지부(210)는 출력부(300, 도 1 참조)가 스위블 거동을 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구조를 구현한다. 지지 플레이트(211)는 바닥에 고정되고, 스위블 플레이트(212)는 지지 플레이트(211)에 상대적 회전 거동을 함으로써 출력부(300, 도 1 참조)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스위블 플레이트(212)는 지지 플레이트(211)의 상단에 구비되어 지지 플레이트(211)에 대해 수평 회전할 수 있다.
스위블 플레이트(212) 및 지지 플레이트(211)는 스탠드(200)의 뼈대를 구성한다. 스탠드(200)의 강성 확보를 위해 스위블 플레이트(212) 및 지지 플레이트(211)는 특정 값 이상의 강성을 만족하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스위블 플레이트(212) 및 지지 플레이트(211)는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블 플레이트(212)는 지지 플레이트(211)에 적층되어 구비된다. 다만 스위블 플레이트(212)와 지지 플레이트(211)는 소재의 특성으로 인해 회전시 서로 큰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구조가 필요하다.
윤활 패드(213)는 지지 플레이트(211) 및 스위블 플레이트(212) 사이에 구비되어 스위블 플레이트(212)가 지지 플레이트(211)에 대해 회전 거동할 때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 하여 출력부(300)가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윤활 패드(213)는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소재를 구성하면서도 내마모성을 갖고 성형이 유리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폴리아세탈(Polyoxymethylene; POM) 재질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윤활 패드(213)와 스위블 플레이트(212)는 사이에 윤활제가 도포되어 스위블 거동 시 마찰력을 더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1)는 윤활 패드(213)의 안착을 가이드하는 안착 가이드부(215)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1)와 윤활 패드(213)는 후술하는 스크류(240)에 의해 상호 체결될 필요가 있고, 안착 가이드부(215)는 이를 안정적으로 결합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위블 플레이트(212), 윤활 패드(213) 및 지지 플레이트(2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류(24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240)는 스위블 플레이트(212), 윤활 패드(213) 및 지지 플레이트(211)가 상하 방향으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윤활 패드(213)와 지지 플레이트(211)를 수평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지지부(210)의 일부가 결합한 사시도이다.
스위블 플레이트(212)에는 스위블 플레이트(212)의 수평 회전시 스크류(240)가 지나가는 회전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홀(21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홀(214)은 스위블 플레이트(212)의 지지 플레이트(211)에 대한 회전 중심에서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원형 또는 원형의 일부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스위블 플레이트(212)가 회전시 스크류(240)는 가이드 홀(214)을 따라 지나게 되고, 이는 스위블 플레이트(212)가 정해진 회전 거동을 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크류 헤드(2411)는 가이드 홀(214)의 단차 하부(2141)에 안착되어 거동할 수 있다. 단차 하부(2141)는 스크류(240)의 헤드가 스위블 플레이트(212) 상면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 홀(214)은 스위블 플레이트(212)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제1 각도 범위에서 형성되어 출력부(300) 및 넥부(220)가 제1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억제시킬 수 있다.
제1 각도 범위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스크류 헤드(2411)는 스위블 플레이트(212)가 회전시 가이드 홀(214)의 단차 하부(2141)를 이동하다 가이드 홀(214)의 양측에 생성된 단차 상부(2142)에 걸리면 스위블 플레이트(212)의 회전이 억제된다.
도 5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분해도이다.
종래의 경우 지지 플레이트(211, 도 3 참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부재(401)가 구비되고, 제2 부재(402)와 제3 부재(403)가 제1 부재(401)의 양 면에 각각 구비되어 제2 부재(402)와 제3 부재(403)가 서로 고정되어 제1 부재(401)에 끼워지고, 끼워진 제2 부재(402)와 제3 부재(403)가 제1 부재(401)의 원형의 개구 경계를 가이드 부재 삼아 회전하는 방식이었다.
이 경우 제2 부재(402)와 제3 부재(403)의 구조로 인해 두께의 증가, 구성의 증가 및 무게의 증가가 불가피 하였다.
또한 제2 부재(402)와 제1 부재(401)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 개스킷(404)뿐만 아니라 제3 부재(403)와 제1 부재(401) 사이에도 하부 개스킷(405)이 필요하여 구성의 불가피한 증가가 있었다.
본 발명의 경우 두 개의 부재와 스크류(240) 결합 만으로 스위블 거동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구성의 단순화, 무게의 감소 및 나아가 비용 감소가 가능하다는 상승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크류(240)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스크류(240)는 나사(241) 및 조절 와셔(242)의 구비 상태로 사용된다.
도 4에서 본 바와 같이 스크류(240)는 지지 플레이트(211)와 윤활 패드(213)를 서로 체결시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 플레이트(211)의 스크류(240) 결합 홀은 스크류(240)와 대응되는 나사선(2412)을 형성하여 고정될 수 있다.
반면, 스위블 플레이트(212)의 경우 스크류(240)와 나사선(2412) 결합을 하지 않고 가이드 홀(214)의 폭은 나사선(24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헐겁게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스크류(240)의 상단에 나사선(2412)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스크류 헤드(2411)는 가이드 홀(214)의 폭 보다 크게 구비되어 스위블 플레이트(212)가 상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조절 와셔(242)는 스크류 헤드(2411) 및 가이드 홀(214) 사이에 구비되어 스크류 헤드(2411) 및 스위블 플레이트(212) 간에 직접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마찰력을 감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조절 와셔(242)는 수직 방향으로 압축 가능한 가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조절 와셔(242)는 볼록한 형상의 상판(2421)과 하판(2422)이 서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상판(2421)과 하판(2422)의 형상 및 재질로 인해 수직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
조절 와셔(242)는 압축 정도에 따라 수직 폭을 달리할 수 있으므로, 스크류(240)를 느슨하게 한 경우 스위블 플레이트(212)가 지지 플레이트(211)에 대해 비교적 적은 힘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스크류(240)를 꽉 조인 경우 스위블 플레이트(212)가 지지 플레이트(211)에 대해 큰 힘을 가해야만 회전할 수 있도록 마찰력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조절 와셔(242)를 구비한 스크류(240)는 상기 양 상태를 모든 경우에서도 스위블 플레이트(212) 및 지지 플레이트(211)간의 상하 방향에 대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211)의 양면에는 지지부(210) 상부 하우징(216) 및 지지부(210) 하부 하우징(217)이 결합하여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210) 스위블 하우징(218)은 스위블 플레이트(212)와 결합하여 지지부(210)의 외관을 형성하고, 지지부(210) 상부 하우징(216) 및 지지부(210) 하부 하우징(217)에 대해 상대적인 거동을 할 수 있다.
스위블 플레이트(212)는 상면에 넥 결합부(219)를 구비할 수 있다. 넥 결합부(219)는 넥부(220)의 하단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서로 고정 체결될 수 있다.
- 높이 조절 구조 상세 -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넥부(220)는 지지부(210), 특히 스위블 플레이트(212)에 고정 결합하여 출력부(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넥부(221)는 체결 케이스(223)를 통해 지지부(210)와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체결 케이스(223)의 일측은 스위블 플레이트(212)의 넥 결합부(219)와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넥부(221)와 고정된다. 상기 고정은 나사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지넥부(221)는 높이 조절부(230)가 수직 거동하기 위한 중공부(2211)를 형성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230)는 일측에 출력부(300, 도 1 참조)를 고정시키고, 지지넥부(221)의 중공부(2211)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거동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230)는 프레임(231) 및 윤활 레일(2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31)은 높이 조절부(230)의 전체 뼈대를 구성하고, 윤활 레일(232)은 높이 조절부(230)가 지지넥부(221)의 중공부(2211)에서 슬라이드 되는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231)은 높이 조절부(230)의 전면 및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윤활 레일(232)은 프레임(231)의 좌우 외측면에 양 쪽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스프링 가이드(237)는 프레임(231)에 결합하여 지지넥부(221)에 구비된 판 스프링(222)이 펼쳐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결합 상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사시도이다.
윤활 레일(232)은 높이 조절부(230)의 좌우 측면을 형성하여 지지넥부(221)의 좌우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윤활 레일(232)은 높이 조절부(230)와 지지넥부(221) 간의 상대적 슬라이드 거동 시 발생할 수 있는 마찰력을 감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윤활 레일(232)은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소재를 구성하면서도 내마모성을 갖고 성형이 유리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폴리아세탈(Polyoxymethylene; POM) 재질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넥부(220)의 단면을 참조하면 윤활 레일(232)이 결합된 높이 조절부(230)의 좌우 폭은 지지넥부(221)의 중공부(2211) 좌우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접할 수 있다.
윤활 레일(232)은 높이 조절부(230)의 좌우 측면뿐만 아니라 전후면의 일부 영역까지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넥부(221)의 중공부(2211) 전후 폭과 높이 조절부(230)의 전후 폭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접할 수 있다.
상기 수치 특성으로 인해 높이 조절부(230)는 지지넥부(221) 내에서 상하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 즉 전후좌우 방향에 대해 유격을 최소화 하여 유동하지 않도록 하고, 의도하는 충분한 마찰력을 얻을 수도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부 전면 하우징(239)은 프레임(231)의 전면에 결합하여 넥부(2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높이 조절부 전면 하우징(239)의 양 측 돌출부(2391) 및 윤활 레일(232)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홈은 지지넥부(221)의 전면 돌기가 안착하여 슬라이드 거동에 있어서 유격을 방지하고 슬라이드 거동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도울 수 있다.
윤활 레일(232)은 프레임(231)에 후크(233) 결합할 수 있다. 윤활 레일(232)이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로 구비되는 경우 금형 형상에 따라 간단하게 후크(233)를 형성할 수 있다. 후크(233)는 프레임(231)의 후크홀(234)과 체결된다.
후크(233) 구조를 통해 프레임(231)과 윤활 레일(232) 간의 별다른 추가 부품 없이 서로 결합할 수 있으며 전체 부피의 증가도 가져오지 않는 장점이 있다.
윤활 레일(232)과 프레임(231) 간의 결합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윤활 레일(232)은 보스(235)를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231)은 보스(235)에 대응되는 위치 및 형상을 갖는 보스가이드(236)를 구비할 수 있다.
윤활 레일(232)의 프레임(231)에 접하는 외면에 윤활부가 도포되어 높이 조절부(230)와 지지넥부(221) 사이의 마찰력을 감쇠하고 부드럽게 슬라이드 거동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윤활 레일(232)은 외측면에 높이 조절부(230)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차홈(2321)을 구비할 수 있다. 단차홈(2321)은 복수 세로줄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한 두 부재의 접촉 상태에서의 거동은 면 접촉 보다는 선 접촉이 마찰력의 측면에서 유리하며, 접촉된 면적이 작은 것이 큰 것보다 유리하다.
단차홈(2321)은 윤활 레일(232)과 지지넥부(221)가 접하는 접촉 면적을 최소화 하여 선 접촉의 경향을 띨 수 있도록 역할하고, 또 도포된 윤활부가 외측으로 삐져 나오지 않고 단차홈(2321)으로 들어갈 수 있는 공간 또한 마련한다.
스프링 가이드(237)는 높이 조절부(23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지지넥부(221) 내부에 구비된 판 스프링(222)이 펴지거나 다시 말리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 가이드(237)는 하면이 판 스프링(222)의 권취면 상단에 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스프링 가이드(237)의 하면은 권취면과 대응되는 굴곡부(2371)를 형성할 수 있다.
판 스프링(222)은 말린 상태로 복원하려는 탄성의 성질을 갖고 있어 높이 조절부(230)를 위쪽 방향으로 미는 일정 힘을 제공한다.
이는 출력부(300)의 무게가 더해진 높이 조절부(230)의 하중으로 인해 사용자가 출력부(300)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많은 힘이 들지 않도록 힘을 보완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판 스프링(222)의 복원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판 스프링(222) 소재, 두께, 폭 등이 있을 수 있다. 결합되는 출력부(300) 및 높이 조절부(230)의 무게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가장 적은 힘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높이 조절부(230)가 의도하지 않게 거동하지 않도록 상기 요소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단 고정부(224)는 지지넥부(221)의 상단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230)가 상방 일단으로 슬라이드 된 경우 상단 고정부(224)와 맞닿아 높이 조절부(230)가 넥부(2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 틸트 거동 구조 상세 -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부(300)는 틸트 거동할 수 있다. 출력부(300)는 디스플레이 결합부(250)와 고정 결합한다.
디스플레이 결합부(250)는 돌출 구비된 체결부(251)를 통해 출력부(300)와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으며, 체결부(251)와 착탈되는 출력부(300)의 체결홀은 필요에 따라 슬라이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결합부(250)는 제1 힌지부(261)와 연결되고, 제1 힌지부(261)와 힌지 결합하는 제2 힌지부(262)는 높이 조절부(230)와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제1 힌지부(261)와 제2 힌지부(262)는 수직 방향으로 틸팅되는 틸팅부(260)를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결합부(250)가 높이 조절부(230)에 대해 틸팅 가능하도록 한다.
제2 힌지부(262)와 높이 조절부(230)는 넥부 전면 하우징(225)의 개방홀(2251)을 통해 안쪽에서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세 가지 거동을 통해 출력부(300)는 스위블, 높이 조절 및 틸트 거동의 세 가지 복합 거동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넥부(220)는 지지부(210)의 지지면에 대해 후방으로 제2 각도 기울어질 수 있다. 넥부(22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무게 중심의 보상으로 인해 지지부(210)의 전체 면적을 작게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200: 스탠드
210: 지지부 211: 지지 플레이트
212: 스위블 플레이트 213: 윤활 패드
214: 가이드 홀 2141: 단차 하부
2142: 단차 상부 215: 안착 가이드부
216: 지지부 상부 하우징 217: 지지부 하부 하우징
218: 지지부 스위블 하우징 219: 넥 결합부
220: 넥부 221: 지지넥부
2211: 중공부 222: 판 스프링
223: 체결 케이스 224: 상단 고정부
225: 넥부 전면 하우징 2251: 개방홀
230: 높이 조절부 231: 프레임
232: 윤활 레일 2321: 단차홈
233: 후크 234: 후크홀
235: 보스 236: 보스가이드
237: 스프링 가이드 2371: 굴곡부
239: 높이 조절부 전면 하우징 240: 스크류
241: 나사 2411: 스크류 헤드
2412: 나사선 242: 조절 와셔
2421: 상판 2422: 하판
250: 디스플레이 결합부 260: 틸팅부
261: 제1 힌지부 262: 제2 힌지부
300: 출력부 401: 제1 부재
402: 제2 부재 403: 제3 부재
404: 상부 개스킷 405: 하부 개스킷

Claims (15)

  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수평 회전하는 스위블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스위블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된 윤활 패드;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 윤활 패드 및 지지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수평 회전시 상기 스크류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의 이탈을 억제하는 스크류 헤드; 및
    상기 스크류 헤드 및 가이드 홀 사이에 구비되어 수직 방향에 대해 압축 가능한 조절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제1 각도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지지넥부; 및
    일측에 출력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넥부의 중공부에 슬라이드 거동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전면 및 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좌우 외측면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지지넥부의 좌우 내측면과 접하는 윤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레일은 상기 프레임의 전면 좌우측 일부와 배면 좌우측 일부를 감싸 구비되고, 상기 지지넥부의 중공부 전후폭과 상기 높이 조절부의 전후폭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레일은 상기 프레임에 후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레일의 외면에 도포된 윤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레일은 외측면에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넥부의 내측 후면에 구비된 판 스프링; 및
    상기 높이 조절부 내측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판 스프링과 접하는 스프링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넥부의 상단에 결합하여 상기 높이 조절부가 상방 일단으로 슬라이드 된 경우 상기 높이 조절부와 접하는 상단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11.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에 수직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회전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넥부는 후방으로 제2 각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13.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수평 회전하는 스위블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스위블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된 윤활 패드;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 윤활 패드 및 지지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스크류;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수평 회전시 상기 스크류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홀;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지지넥부;
    상기 지지넥부의 중공부에 슬라이드 거동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높이 조절부에 수직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회전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결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부에 착탈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부에 돌출 구비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중공부를 형성하는 지지넥부;
    상기 지지넥부의 중공부에 슬라이드 거동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높이 조절부에 수직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회전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결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부에 착탈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전면 및 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좌우 외측면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지지넥부의 좌우 내측면과 접하는 윤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26427A 2016-09-30 2016-09-30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5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427A KR102565552B1 (ko) 2016-09-30 2016-09-30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5/720,089 US10253921B2 (en) 2016-09-30 2017-09-29 Stand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427A KR102565552B1 (ko) 2016-09-30 2016-09-30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170A true KR20180036170A (ko) 2018-04-09
KR102565552B1 KR102565552B1 (ko) 2023-08-10

Family

ID=61757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427A KR102565552B1 (ko) 2016-09-30 2016-09-30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53921B2 (ko)
KR (1) KR1025655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564A (ko) * 2019-01-03 2020-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12283540A (zh) * 2020-10-22 2021-01-29 中筑国咨湖北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智能型造价咨询装置
WO2022119051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8442B2 (en) 2018-04-13 2022-12-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displaying virtual elements on a multipositional display
US10627854B2 (en) * 2018-04-13 2020-04-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 multipositional display
US10890288B2 (en) 2018-04-13 2021-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 multipositional display
CN108758298A (zh) * 2018-06-11 2018-11-06 苏州晨霞美合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放置稳固的可调式办公计算机显示器安装架
JP1640846S (ko) * 2018-10-16 2019-09-09
CN109282115A (zh) * 2018-11-05 2019-01-29 施振铭 一种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D907039S1 (en) * 2018-12-14 2021-01-05 Lg Electronics Inc. Computer monitor
US11493953B2 (en) 2019-07-01 2022-11-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osition display with an unfixed center of rotation
KR102425868B1 (ko) * 2020-10-12 2022-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2185263A (zh) * 2020-10-29 2021-01-05 深圳市科伦特电子有限公司 显示屏用维护机构与维护工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9904A1 (en) * 2004-06-21 2005-12-22 Chih-Chiang Lin Display swivel
KR20060115172A (ko) * 2005-05-04 2006-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KR20110076303A (ko) * 2009-12-29 201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25069A (zh) * 2008-07-11 2010-01-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升降机构
US9271572B2 (en) * 2009-10-09 2016-03-01 Paul J. Fenelon Lift system
TWM514534U (zh) * 2015-08-06 2015-12-21 Syncmold Entpr Corp 可旋轉式支撐裝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9904A1 (en) * 2004-06-21 2005-12-22 Chih-Chiang Lin Display swivel
KR20060115172A (ko) * 2005-05-04 2006-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KR20110076303A (ko) * 2009-12-29 201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564A (ko) * 2019-01-03 2020-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12283540A (zh) * 2020-10-22 2021-01-29 中筑国咨湖北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智能型造价咨询装置
WO2022119051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53921B2 (en) 2019-04-09
KR102565552B1 (ko) 2023-08-10
US20180094766A1 (en)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6170A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10313B1 (ko) 영상표시장치
US6905099B2 (en) Monitor
US6822857B2 (en) Monitor improved in a tilting structure
US8047487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djustable supporting unit
CA2099165C (en) Auditorium seating system
US20070029458A1 (en) Display moveable in two dimensions
US20070136988A1 (en) Hinge
JP2024053064A (ja) 椅子
JP7037564B2 (ja) チルト機構体
US20100149438A1 (en) Monitor apparatus
US8695939B2 (en) Stan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KR100327397B1 (ko) 영상표시기기의 받침대 어셈블리
KR100825931B1 (ko) 힌지유닛이 독립 구비된 tv 모니터 스탠드장치
JP2008178016A (ja) インターホン機器の取付台
JP4791601B1 (ja) ヒンジ部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826198B1 (ko) 영상표시장치
JP6773348B1 (ja) 角度調整機構、卓上機器及び角度調整機構の組み立て方法
US20050078229A1 (en) Liquid crystal television receiver
KR1025901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53482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100138010A (ko) 디스플레이 기기
JP6609424B2 (ja) 冷蔵庫
JP3136366U (ja) テレビ取付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収納棚
JP3558329B2 (ja) 収納家具における前傾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