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452A -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452A
KR20230130452A KR1020220027668A KR20220027668A KR20230130452A KR 20230130452 A KR20230130452 A KR 20230130452A KR 1020220027668 A KR1020220027668 A KR 1020220027668A KR 20220027668 A KR20220027668 A KR 20220027668A KR 20230130452 A KR20230130452 A KR 20230130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ounting
bracket
guide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찬혁
민지혜
백도윤
부옹
윤상기
이욱진
최요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7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452A/ko
Priority to PCT/KR2023/000216 priority patent/WO2023167403A1/ko
Publication of KR20230130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월마운트 장치는, 전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에 장착시키는 월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방으로 연장 가능하게 마련되는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는 장착 브라켓, 상기 벽에 마련되며 상기 장착 브라켓이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월 브라켓 및 상기 월 브라켓에 결합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벽에 장착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방으로 연장된 상기 장착 가이드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WALL MOUN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에 장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 또는 저장된 영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 모니터나 텔레비전이 이에 포함되며, 가정이나 사업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이 시청자와 마주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대략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 바닥에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탠드가 지지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 벽에 걸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벽에 고정되는 월마운트 장치가 지지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월마운트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에 장착시킬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과 벽 사이의 간격이 좁아 설치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에 장착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에 장착시킨 후에도 디스플레이 모듈의 수평이 틀어지는 등의 이유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착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데, 종래의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 내지 월마운트 장치를 벽에서 완전히 분리한 후 다시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에 장착시킬 때 장착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에 장착시킨 후 장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는, 전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에 장착시키는 월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방으로 연장 가능하게 마련되는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는 장착 브라켓, 상기 벽에 마련되며 상기 장착 브라켓이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월 브라켓 및 상기 월 브라켓에 결합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벽에 장착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방으로 연장된 상기 장착 가이드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장착 가이드가 삽입되며 가이드될 수 있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될 때 상기 장착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홈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장착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방향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경사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장착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장착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홈으로 진입하는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장착 가이드가 가이드되는 방향 측 일단이 막히도록 형성되는 블록(block)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록부는 상기 장착 브라켓이 상기 월 브라켓에 장착된 때 상기 장착 가이드의 위치와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월 브라켓에 삽입되어 장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장착 가이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관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는 상기 장착 가이드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관통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월 브라켓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복수의 삽입부 사이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월 브라켓은 상기 월 브라켓에 장착된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장착 브라켓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월마운트 장치로서, 상기 케이스의 상방으로 연장 가능하게 마련되는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장착 브라켓과, 상기 벽에 결합되며 상기 장착 브라켓이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월 브라켓과, 상기 월 브라켓에 결합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벽에 장착될 때 상기 케이스의 상방에서 상기 장착 가이드의 상기 케이스의 상방으로 연장된 적어도 일부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월마운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장착 가이드가 삽입되며 가이드될 수 있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홈에 의해 가이드될 때 상기 장착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홈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 바디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장착 가이드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브라켓 바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방을 향하여 이동하며 상기 월 브라켓을 가압할 때 상기 브라켓 바디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는, 전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에 장착시키는 월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마련되는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는 장착 브라켓, 상기 벽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장착 브라켓이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월 브라켓 및 상기 월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부재로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장착 가이드를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장착 브라켓을 상기 월 브라켓의 상기 제1 방향에 위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월마운트 장치는 장착 브라켓 및 월 브라켓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이 벽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월마운트 장치는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는 장착 브라켓 및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이 벽에 장착되는 장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월마운트 장치는 이동 가능한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착 위치가 조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벽의 장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의 장착 브라켓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의 월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 브라켓에 의해 월 브라켓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X-X'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 가이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착 위치를 조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서브 월 브라켓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부재와 월 브라켓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가이드부재가 월 브라켓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Y-Y'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착 위치가 가이드부재에 의해 가이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장착 브라켓이 월 브라켓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월 브라켓 및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월 브라켓을 벽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월 브라켓을 벽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방향",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해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종인 TV를 예로 설명하지만 본 개시의 구성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TV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구성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종으로 컴퓨터의 출력장치인 모니터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개시에서는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례로 설명하나, 본 개시의 구성은 곡면 디스플레이 모듈이나, 평면 상태와 곡면 상태가 가변 가능한 가변형(bendable 또는 Flexible) 디스플레이 모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 크기에 상관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벽의 장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월마운트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월마운트 장치(100)에 의해 벽(2)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다양한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을 포함하여 전면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에는 복수의 픽셀(pixel)이 형성되며, 화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화면은 복수의 픽셀로부터 출사된 광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픽셀이 방출하는 광이 모자이크(mosaic)와 같이 조합됨으로써 하나의 화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픽셀 각각은 다양한 밝기 및 다양한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픽셀 각각은 서브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서브 픽셀들은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적색 서브 픽셀, 녹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로부터 각각 출사되는 광의 조합에 의해 복수의 픽셀 각각은 다양한 밝기와 다양한 색상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거나,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종류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이 있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다양한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마이크로 LED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20)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이 LCD 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은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나란하게 결합되는 컬러 필터 기판 및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의 사이에 주입되어 전압이나 온도의 변화에 따라 광학적 성질이 가변하는 액정(Liquid Crysta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30)의 내측에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을 향하여 빛을 방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은 OLED 패널 내지 마이크로 LED 패널과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일측에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20)로 전송하는 케이블(미도시)과,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직접 회로(Display Driver Intergrated Circuit, DDI)(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수용하는 케이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외형을 형성하며, 케이스(30)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 등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영상을 표시하거나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30)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 내지 측면을 지지하는 탑 섀시,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미도시) 및 바텀 섀시의 후방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3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백라이트 유닛이 마련되는 경우, 바텀 섀시는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30)는 탑 섀시와 바텀 섀시의 사이에 배치되는 미들 몰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미들 몰드는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존의 탑 섀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커버하는 베젤(bezel) 부분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지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베젤의 폭을 최소화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관에 대해 디스플레이 패널 외측에 형성되는 구성을 최소화하는 베젤리스(bezel-less)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탑 섀시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을 지지하지 않고 측면만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디스플레이 모듈은 탑 섀시를 포함하지 않고, 바텀 섀시 또는 리어 커버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상술한 베젤리스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케이스(30)는 베젤 부분이 매우 좁거나 없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의 대부분은 디스플레이 패널(20)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은 LCD 패널일 수도 있으나, OLED 패널과 같이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에는 백라이트 유닛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케이스(30)는 미들 몰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케이스(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베젤부(미도시)를 포함하는 탑 섀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가로 변의 길이와 세로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장변(長邊)과, 단변(短邊)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장변과 단변의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다양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장변과 단변의 비율은 16:9, 4:3과 같은 일반적인 경우와 달리, 임의의 비율로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상기 내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벽(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월마운트 장치(100)에 의해 벽(2)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월마운트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벽(2)에 장착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20)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이 시청자를 향하고, 이와 반대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이 벽(2)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케이스(30)의 후면인 리어 커버(31)가 벽(2)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장착 가능한 벽(2)은 일반적으로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장착되는 평평한 면을 포함하는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벽(2)에 장착됨에 따라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벽(2)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장착되는 방식 내지 구성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장착 가능한 벽(2)은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벽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벽(2)은 건물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벽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은 건물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벽(2)은 건물의 일부분으로서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벽(2)은 건물과는 구분되는 별도의 구조물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일 수 있다.
월마운트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벽(2)에 장착시키는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장착 브라켓(200) 및 벽(2)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월 브라켓(30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브라켓(200)은 월 브라켓(300)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장착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장착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표현으로, 장착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케이스(30)의 후면, 즉 리어 커버(31)에 결합될 수 있다.
월 브라켓(300)은 벽(2)에 마련될 수 있으며,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 가능하도록 장착 브라켓(20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월 브라켓(300)은 장착 브라켓(200)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장착되는 벽(2)의 일면 상 특정 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장착 브라켓(200)의 케이스(30)의 후면, 즉 리어 커버(31)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월 브라켓(300)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장착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부와 인접하도록 벽(2)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장착 브라켓(200) 및 월 브라켓(300)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장착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내지 벽(2)의 일면 상에서 각각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200) 및 월 브라켓(300)은 각각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라켓(200)이 복수로 마련될 경우, 월 브라켓(300) 또한 이에 대응되는 개수를 갖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장착 브라켓(200) 및 월 브라켓(300)의 개수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브라켓(200) 및 월 브라켓(300)은 단수로 마련되거나, 도 2에 도시된 장착 브라켓(200) 내지 월 브라켓(300)의 개수인 각 2개를 초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장착 브라켓(200) 및 월 브라켓(300)의 개수는 반드시 서로 대응되게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장착 브라켓(200)이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라고 하여도 월 브라켓(300)이 단수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복수의 장착 브라켓(200)이 모두 단수의 월 브라켓(300)에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반대로, 장착 브라켓(200)이 단수로 마련되는 경우라도 하여도 월 브라켓(300)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200)이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장착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즉 리어 커버(31)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장착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월 브라켓(300)이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월 브라켓(300)은 벽(2)의 일면에서 벽(2)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월 브라켓(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200) 및 월 브라켓(300)을 포함하는 월마운트 장치(1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은 후술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의 장착 브라켓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월마운트 장치(100)의 장착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마련된 월 브라켓(300)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장착 브라켓(200)은 케이스(30)의 후면, 즉 리어 커버(31)에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300)은 후술하는 월 브라켓(300)의 장착부(340, 도 5 참조)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브라켓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바디(210)는 후술하는 월 브라켓(300)의 장착부(340)에 삽입되어 월 브라켓(300)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 바디(2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되도록 디스플레이 결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케이스(30)에는 장착 브라켓 결합부(32a, 32b)가 마련되어 브라켓 바디(210)의 디스플레이 결합부(211)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결합부(211)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과 마주하여 장착 브라켓(300)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200)의 디스플레이 결합부(211)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돌기(21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장착 브라켓 결합부(32a, 32b)는 이에 대응하여 케이스(30)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 홈(32a)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돌기(211a) 및 삽입 홈(32a)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삽입돌기(211a)가 삽입 홈(32a)에 삽입됨에 따라 장착 브라켓(200)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200)의 디스플레이 결합부(211)은 디스플레이 결합부(211)를 관통하는 체결홀(211b)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장착 브라켓 결합부(32a, 32b)는 이에 대응하여 케이스(30)의 후면을 관통하는 체결홀(32b)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결합부(211)의 체결홀(211b) 및 케이스(30)의 체결홀(32b)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결합부(211)의 체결홀(211b) 및 케이스(30)의 체결홀(32b)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스크류(S1)에 의해 장착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체결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장착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스크류(S1)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장착 브라켓(200)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결합 방식은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월마운트 장치(100)에 있어서 장착 브라켓(200)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 중 일례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케이스(3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삽입돌기가 장착 브라켓(200)의 디스플레이 결합부(211)에 형성되는 삽입 홈(미도시)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장착 브라켓(200)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장착 브라켓(20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삽입돌기(211a)가 삽입 홈(32b)에 삽입되는 구조를 포함하지 않거나, 스크류(S1)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를 포함하지 않으며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삽입돌기(211a) 및 삽입 홈(32b)의 개수 내지는 스크류(S1) 및 체결홀(32b, 211b)의 개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른 개수에 제한되지 않고 단수 또는 3개 이상 등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장착 브라켓(20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반드시 전후 방향으로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장착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상면, 하면, 좌우측면을 포함)에 접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측방향(상하, 좌우측 방향을 포함)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장착 브라켓(200)은 브라켓 바디(210)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에 배치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를 전방에서 바라본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장착 브라켓(200)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결합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상 품질이 보다 향상될 것임이 일반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 브라켓(20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포함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 바디(210)는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되었을 때 월 브라켓(300)에 의해 전방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방 지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바디(210)가 디스플레이 결합부(211)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결합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결합부(211) 등 브라켓 바디(210)의 일부는 월 브라켓(300)에 의해 전방이 지지되지 못할 수 있는데(도 6 참조), 이 경우 전방 지지부(212)는 브라켓 바디(210)의 전방이 월 브라켓(300)에 의해 지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 지지부(212)는 후술하는 월 브라켓(300)의 장착부형성부(312, 도 5 참조)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결합부(211) 및 전방 지지부(212)는 서로 단차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결합부(211)가 월 브라켓(300)에 접촉되며 지지되는 전방 지지부(212)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보다 밀착됨에 따라 장착 브라켓(200)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방 지지부(212)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부분의 디스플레이 결합부(211)의 측면은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결합부(211)의 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장착 브라켓(200)의 중심선을 향해 가까워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 브라켓(200)이 후술하는 월 브라켓(300)의 장착부(340, 도 5 참조)에 장착될 때, 마찬가지로 대응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 월 브라켓(300)의 장착 개구(341, 도 5 참조)에 의해 장착 위치가 가이드되며 장착부(340)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브라켓 바디(210)는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결합부(211) 및 전방 지지부(212)는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장착 브라켓(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으로 연장 가능하게 마련되는 장착 가이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는 브라켓 바디(2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가능하게 마련되며, 나아가 장착 가이드(220)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단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연장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는 브라켓 바디(210)로부터 적어도 일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장착 가이드(220)는 바(bar)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장착 가이드(22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으로 연장 가능하게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장착 가이드(220)를 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에 위치하는 브라켓 바디(210)를 포함하는 장착 브라켓(2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장착 브라켓(200)은 반드시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장착 브라켓(200)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케이스(30)와 일체로 마련되는 경우에도 월 브라켓(300)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상기와 같은 장착 브라켓(2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는 케이스(30)와 일체로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장착 브라켓(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장착 브라켓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될 경우 종국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벽(2)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장착 가이드(220)는 케이스(30)와 일체로 형성된 장착 브라켓에 대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으로 연장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의 월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 브라켓에 의해 월 브라켓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X-X'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 가이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착 위치를 조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월마운트 장치(100)는 벽(2)에 마련되며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월 브라켓(3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된 장착 브라켓(200)이 벽(2)에 마련된 월 브라켓(300)에 장착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벽(2)에 장착되며 지지될 수 있다.
월 브라켓(300)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장착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벽(2) 간의 거리를 줄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보다 안정적으로 벽(2)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공간 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월 브라켓(300)은 월 브라켓(300)을 관통하는 스크류(S2)에 의해 벽(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월 브라켓(300)은 스크류(S2)에 의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월 체결홀(311)을 포함하여 벽(2)에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S2)는 벽(2)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월 체결홀(311)을 관통하여 월 브라켓(300)을 벽(2)에 체결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 브라켓(300)은 복수의 월 체결홀(311) 및 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스크류(S2)에 의해 벽(2)에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월 체결홀(311) 및 스크류(S2)는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월 체결홀(311)은 스크류(S2)의 몸체가 가지는 직경에 비해 적어도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월 브라켓(300)을 벽(2)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월 브라켓(300)의 위치가 틀어지는 경우, 월 브라켓(30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수평이 틀어져 외관상 품질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월 체결홀(311)은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어 월 브라켓(300)이 벽(2)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월 체결홀(311)이 장공의 형태를 갖도록 마련되는 경우에도 월 체결홀(311)은 적어도 일방향에 따른 폭이 스크류(S2)의 헤드(head)의 직경보다 작도록 마련되어 월 브라켓(300)이 스크류(S2)의 헤드에 의해 구속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월 체결홀(311)은 반경이 일정한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서는 월 브라켓(300)이 스크류 체결방식에 의해 벽(2)에 체결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월 브라켓(300)이 벽(2)에 결합되는 방식의 일례에 불과하다. 월 브라켓(300)이 벽(2)에 마련되는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월 브라켓(300)은 다양한 방식으로 벽(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월 브라켓(300)은 벽(2)에 마련되는 별도의 구조물 등에 의해 후크(hook) 결합되거나, 접착제 등에 의해 벽(2)에 접합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벽(2)에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벽(2)이 어떠한 종류의 구조물인가에 따라, 월 브라켓(300)은 벽(2)에 일체로 마련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월 브라켓(300)이 스크류(S2)에 의해 벽(2)에 결합되는 것을 전제로 서술한다.
월 브라켓(300)은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장착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부(340)는 장착 브라켓(200)이 삽입 가능하며, 장착 브라켓(2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공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장착 브라켓(200)은 장착부(340)에 삽입되며 월 브라켓(300)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장착 브라켓(200)은 월 브라켓(300)에 삽입되는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에 의해 장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월 브라켓(300)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판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되,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340)를 형성하도록 돌출된 형상을 갖는 장착부형성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부형성부(312)는 벽(2)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내측에 장착부(340)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장착부형성부(312)는 디스플레이 모듈(10) 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장착부형성부(312)의 후방에는 장착부(340)가 형성되어 장착 브라켓(200)이 삽입될 수 있다.
장착부형성부(3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되었을 때 브라켓 바디(210)의 전방 지지부(212)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 브라켓(200)의 브라켓 바디(2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됨과 동시에 월 브라켓(3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200)은 월 브라켓(300)에 상하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 브라켓(200)은 월 브라켓(300)에 대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며 장착부(340)에 삽입되어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장착 브라켓(200)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며 월 브라켓(300)에 장착될 수 있고, 종국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하방으로 이동하며 벽(2)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340)는 장착 브라켓(200)이 상하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상방이 개방되어 있는 홈(groove)의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상하 방향으로 장착됨에 따라, 사용자는 장착 브라켓(200)을 월 브라켓(300)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되는 방향과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장착 브라켓(200)이 받는 중력의 방향이 나란하므로, 별도의 고정장치가 추가로 제공되지 않아도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월마운트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벽(2)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예, 도 9 내지 도 11의 서브 월 브라켓(400) 등)을 더 포함하여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월 브라켓(300)은 장착부(340)의 내측에 마련되어 장착 브라켓(2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바텀지지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지지부(342)는 장착부(340)의 하부에 마련되어,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부(340)에 상하 방향으로 삽입될 때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되는 위치의 하단을 안내할 수 있다.
장착부(340)는 내측에 장착 브라켓(200)이 수용되며 장착되도록 마련되는데, 장착 브라켓(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장착부(340)는 장착 브라켓(200)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되는 부분을 개방하도록 마련되는 장착 개구(341)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개구(341)는 월 브라켓(30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 개구(341)는 장착부(34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으며, 장착 브라켓(200)의 디스플레이 결합부(211)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 개구(341)는 장착부형성부(31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된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될 때 디스플레이 결합부(211)가 월 브라켓(300), 특히 장착부형성부(312)에 의해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장착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장착부(340)에 삽입되어 월 브라켓(300)에 장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지지부(212)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부분의 디스플레이 결합부(211)의 측면은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결합부(211)의 측면은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부(34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장착 브라켓(200)의 중심선을 향해 가까워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부(340)에 삽입되는 방향이 상하 방향인 경우, 디스플레이 결합부(211)의 측면은 장착 브라켓(200)의 위에서 아래로 향할수록 장착 브라켓(200)의 중심선을 향해 가까워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장착 개구(341)는 적어도 전방 지지부(212)의 경사진 측면과 접촉되는 일부가 전방 지지부(212)의 측면의 경사에 대응되는 경사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 개구(341)는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부(34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장착 개구(341)의 중심선을 향해 가까워지는 형상을 갖도록 경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부(340)에 삽입되는 방향이 상하 방향인 경우, 장착 개구(341)의 좌우 측 부분은 월 브라켓(300)의 위에서 아래로 향할수록 장착 개구(341)의 중심선을 향해 가까워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부(340)에 장착될 때, 장착 개구(341) 및 디스플레이 결합부(211)가 가지는 경사면에 의해 장착 브라켓(200)은 그 장착 위치가 가이드되며 장착부(340)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장착 개구(341) 및 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결합부(211)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개구(341) 내지 디스플레이 결합부(211)의 측면은 전술한 바와 달리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월 브라켓(300)은 월 브라켓(300)에 장착된 장착 브라켓(200)의 일면을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350)는 적어도 일부가 장착부(34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부(340)에 장착될 때 장착 브라켓(200)의 적어도 일면에 간섭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350)는 브라켓 바디(210)의 적어도 일면에 간섭되어 장착 브라켓(200)을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350)는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부(340)에 장착될 때 장착 브라켓(200)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접촉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351)는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부(340)에 장착될 때 장착 브라켓(200)에 간섭될 수 있도록, 장착 브라켓(200)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부(340)로 장착될 때 접촉부(351)의 돌출된 형상과 장착 브라켓(200)이 접촉되며 간섭될 수 있고, 장착 브라켓(200)은 접촉부(351)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접촉부(351)는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부(340)에 장착되는 방향 측에 위치한 가압부재(35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부(340)에 하방으로 이동하며 삽입되는 경우, 접촉부(351)는 가압부재(35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부(340)에 진입하기 시작할 때는 접촉부(351)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장착되다가,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부(340)에 일정 이상 장착된 후부터 접촉부(351)에 의해 간섭되며 가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압부재(350)는 장착 브라켓(200)의 적어도 일면을 가압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달리 가압부재(350)는 특히 돌출되는 부분을 가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장착 브라켓(200)의 적어도 일면에 접하는 형상을 가지더라도, 예를 들어, 가압부재(350)가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장착부(340)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200)을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340)에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될 때, 가압부재(350)는 장착 브라켓(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압부재(350)는 장착 브라켓(200)의 후면을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350)는 장착부(340)에 삽입된 브라켓 바디(210)의 후면을 전방으로 가압함에 따라, 브라켓 바디(210)의 전방 지지부(212)를 장착부형성부(312)에 더욱 밀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350)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35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압부재(350)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월 브라켓(300)은 가압부재(350)가 장착 브라켓(200)에 접촉되어 간섭될 때 가압부재(35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 홀(34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350)에 의해 장착 브라켓(200)이 가압될 경우 가압부재(350) 또한 장착 브라켓(200)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 때 가압부재(350)의 적어도 일부가 장착 브라켓(200)의 반대 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탄성 변형으로 인해 가압부재(350)가 가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가압부재(350)의 단부는 가압부재 홀(345)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도 7의 경우처럼 브라켓 바디(210)가 장착부(340)에 삽입된 정도가 클 경우 가압부재(350)의 단부가 가압부재 홀(345)에 삽입되는 정도가 커질 수 있고, 도 8의 경우처럼 브라켓 바디(210)가 장착부(340)에 삽입된 정도가 작을 경우 가압부재(350)의 단부가 가압부재 홀(345)에 삽입되는 정도가 작아질 수 있다.
가압부재(350)가 장착부(340)의 내측에서 장착부(340)에 장착된 장착 브라켓(200)의 적어도 일면을 가압함에 따라, 장착 브라켓(200)의 결합력이 보강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가압부재(350)는 월 브라켓(300)에 대한 장착 브라켓(200)의 장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착 브라켓(200)은 보다 안정적으로 월 브라켓(300)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월 브라켓(300)은 가압부재(35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장착부(340)는 후술하는 가이드부재(500)의 삽입부(5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재 삽입부(3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장착부(340)는 후술하는 가이드부재(500)의 후크부(5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후크 홈(344)이 마련될 수 있다(도 12 참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장착 브라켓(200)은 월 브라켓(3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라켓(200)이 하방으로 이동하며 월 브라켓(300)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 장착 브라켓(200)은 상방으로 이동하며 월 브라켓(3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장착 브라켓(200)에 의해 벽(2)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하방으로 이동하며 벽(2)에 장착 가능한 경우, 반대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상방으로 이동하며 벽(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장착 브라켓(200) 및 월 브라켓(300)은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되는 방식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브라켓(200)은 전술한 바와 달리 상하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월 브라켓(300)에 삽입되며 장착될 수 있다. 그 일례로, 월 브라켓(300)의 장착부(340)는 장착 브라켓(200)이 좌우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거나, 후방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혹은,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삽입되는 방식이 아니라, 장착 브라켓(200)을 이동시킴에 따라 월 브라켓(300)의 적어도 일구성이 장착 브라켓(20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월 브라켓(300)은 전방 브라켓(310) 및 전방 브라켓(3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브라켓(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브라켓(310) 및 후방 브라켓(320)은 그 사이에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장착부(340)를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어, 월 브라켓(300)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전방 브라켓(310) 및 후방 브라켓(320)은 브라켓 결합부(330)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 결합부(330)는, 전방 브라켓(310) 또는 후방 브라켓(320) 중 적어도 일부에 홀(hole)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를 홀에 삽입되도록 벤딩(bending)되며 전방 브라켓(310) 및 후방 브라켓(320)을 결합시키는 구조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 결합부(330)는 전방 브라켓(310)에 홀이 형성하고, 전방 브라켓(310)의 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후방 브라켓(320)의 일부를 전방 브라켓(320) 측으로 벤딩되도록 프레스(press)하여 후방 브라켓(320)의 벤딩된 부분이 전방 브라켓(310)의 홀에 삽입되며 결합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 브라켓(320)의 벤딩된 부분은 전방 브라켓(310)의 홀의 내주 부분에 접촉되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후방 브라켓(320) 또한 프레스 과정에서 벤딩된 부분의 내측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전방 브라켓(310) 및 후방 브라켓(320)의 결합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접착제 등에 의한 접합이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한 체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전방 브라켓(310) 및 후방 브라켓(320)의 사이에는 전술한 장착부(34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 브라켓(310)은 벽(2)의 반대 측, 즉 후방 브라켓(320)의 반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장착부형성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형성부(312)는 후방 브라켓(3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장착부형성부(312)와 후방 브라켓(320)의 사이에는 장착 브라켓(200)이 삽입되어 수용 가능하게 마련되는 수용공간인 장착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형성부(312)는 적어도 그 상부가 후방 브라켓(3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의 장착부(34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장착부형성부(312)는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부(340)에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형성부(312)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전방 브라켓(310)의 적어도 일부를 벤딩하는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월 체결홀(311)은 전방 브라켓(31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크류(S2)에 의해 벽(2)에 직접 체결되어 지지되는 구성은 전방 브라켓(310)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월 체결홀(311)은 후방 브라켓(320)에 형성되거나, 전방 브라켓(310) 및 후방 브라켓(32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텀지지부(342)는 후방 브라켓(3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텀지지부(342)는 후방 브라켓(310)의 일부를 전방으로 프레스하여 벤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바텀지지부(342)는 전방부가 전방 브라켓(310)에 접촉될 수 있도록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바텀지지부(342)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텀지지부(342)는 후방 브라켓(310)과 별도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전술한 가압부재(350)는 후방 브라켓(320)에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재(350)는 후방 브라켓(320)에 결합되어, 장착부(340)에 장착된 장착 브라켓(200)을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가압부재(350)는 후방 브라켓(3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350)는 후방 브라켓(320)을 제조할 때 후방 브라켓(32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의 형상을 함께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는, 가압부재(350)는 전방 브라켓(320)에 결합되어 장착 브라켓(200)을 후방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가압부재(350)가 후방 브라켓(320) 측에 배치되는 경우, 전술한 가압부재 홀(345)은 후방 브라켓(320)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반대로 가압부재(350)가 전방 브라켓(310) 측에 배치되는 경우 가압부재 홀(345)은 전방 브라켓(3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월 브라켓(300)이 전방 브라켓(310) 및 후방 브라켓(320)을 각각 제조한 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됨에 따라, 장착부(340)를 포함하는 월 브라켓(300)을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가공 시간 내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월 브라켓(300)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월마운트 장치(1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월마운트 장치(100)는 벽(2)에 마련되는 월 브라켓(300),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마련되는 장착 브라켓(200) 등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장착되는 위치에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월 브라켓(300)을 벽(2)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월 브라켓(300)의 위치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장착 브라켓(200)을 월 브라켓(300)에 장착시킬 때 또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라켓(200) 내지 월 브라켓(300)이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더욱 그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상의 오차가 발생할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수평이 틀어지는 등의 문제로 인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외관상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된 경우 장착 가이드(220)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는 브라켓 바디(2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 브라켓(200)은 장착 가이드(220)가 브라켓 바디(210)를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장착 브라켓(200)은 장착 가이드(22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관통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는 관통부(213)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으로 연장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장착 가이드(220)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으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경우 장착 가이드(220)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외관상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가 관통부(213)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에 따라, 장착 가이드(220)는 도 7의 위치보다 아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착 가이드(220)의 상단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단보다 아래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즉, 장착 가이드(2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도 8 참조).
나아가, 관통부(213)는 브라켓 바디(210)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을 모두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부(213)는 브라켓 바디(2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즉 관통부(213)는 브라켓 바디(210)의 상면과 하면 사이를 연결하며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가이드(220)가 관통부(213)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장착 가이드(220)의 하단이 관통부(213)의 하부를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 가이드(2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방을 향하여 이동하며 월 브라켓(300)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관통부(213)의 하부를 관통한 장착 가이드(220)는 바텀지지부(342)를 가압할 수 있으며, 도 8과 같이 브라켓 바디(210)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브라켓 바디(2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브라켓 바디(210)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벽(2)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관통부(213)는 장착 가이드(22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경우, 관통부(213) 또한 이에 나란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 가이드(220)는 장착 가이드(22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관통부(213)를 관통할 수 있다. 나아가, 장착 가이드(220)는 동 방향으로 관통부(213)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관통부(213)는 장착 가이드(2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관통부(213)의 내면은 장착 가이드(220)의 외면에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와 관통부(213)는 서로 결합되면서, 장착 가이드(220)가 관통부(213)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 가이드(220)는 장착 가이드(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나사산(2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관통부(213)는 나사산(221)과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홈(213a)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221)과 나사홈(213a)에 의해 장착 가이드(220)는 관통부(213)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장착 가이드(22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며 장착 가이드(220)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의 적어도 일단에는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체결공구(미도시)의 단부를 치합시켜 장착 가이드(220)의 이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조작홈(222)은 장착 가이드(220)의 상단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장착 가이드(220) 및 관통부(213)는 나사산(221)과 나사홈(213a)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여 장착 가이드(220)가 관통부(213)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서로 결합되게 마련될 수 있다.
관통부(213)는 장착 가이드(220)의 전체를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부(213)는 장착 가이드(220)의 전체가 관통부(2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 가이드(220)의 길이보다 길거나 적어도 같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월 브라켓(300)으로부터 장착 브라켓(20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장착 가이드(22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장착 가이드(220)는 높이 조절부재 또는 위치 조절부재 등의 명칭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장착 가이드(2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장착 가이드(2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가이드부재(500)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서브 월 브라켓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월마운트 장치(100)는 서브 월 브라켓(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월 브라켓(400)은 월 브라켓(300)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장착 브라켓(200)을 포함하는 장착 구조에 더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서브 월 브라켓(400)은 벽(2)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월 브라켓(4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즉 리어 커버(31)와 마주하는 벽(2)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리어 커버(31)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서브 월 브라켓(4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서브 장착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장착부재(33)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마련되어, 서브 월 브라켓(4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서브 월 브라켓(4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서브 장착부재(33)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장착부재(33)는 장착 브라켓(2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서브 월 브라켓(400)은 월 브라켓(3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서브 월 브라켓(400) 및 서브 장착부재(33)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월 브라켓(400) 및 서브 장착부재(33)는 각각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월 브라켓(400)이 복수로 마련될 경우, 서브 장착부재(33) 또한 이에 대응되는 개수를 갖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서브 월 브라켓(400) 및 서브 장착부재(33)의 개수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월 브라켓(400) 및 서브 장착부재(33)는 단수로 마련되거나, 도 2에 도시된 장착 브라켓(200) 내지 월 브라켓(300)의 개수인 각 2개를 초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서브 월 브라켓(400) 및 서브 장착부재(33)의 개수는 반드시 서로 대응되게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브 장착부재(33)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라고 하여도 서브 월 브라켓(400)은 단수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복수의 서브 장착부재(33)가 모두 단수의 서브 월 브라켓(400)에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반대로, 서브 장착부재(33)가 단수로 마련되는 경우라도 하여도 서브 월 브라켓(400)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서브 장착부재(33)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서브 장착부재(33)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즉 리어 커버(31)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서브 장착부재(33)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브 월 브라켓(400)이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서브 월 브라켓(400)은 벽(2)의 일면에서 벽(2)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서브 월 브라켓(4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월 브라켓(400)은 벽(2)에 지지되기 위한 월 지지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월 지지부(410)는 벽(2)에 접촉될 수 있으며, 월 지지부(410)의 적어도 일부는 벽(2)에 체결될 수 있다.
서브 월 브라켓(4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접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지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지지부(420)는 전체적으로 케이스(30)의 후면, 즉 리어 커버(3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지지부(420)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지지부(420)는 월 지지부(410)에 비해 디스플레이 모듈(10) 측, 즉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서브 월 브라켓(400)은 자성을 가지는 마그넷(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서브 장착부재(33)는 철과 같은 금속 소재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브 월 브라켓(400)과 서브 장착부재(33)는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마그넷(430)은 디스플레이 지지부(420)에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넷(430)은 디스플레이 지지부(42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마그넷(430) 및 서브 장착부재(33) 간에 자력이 작용할 수 있다면 마그넷(430)은 디스플레이 지지부(420)의 내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장착부재(33)는 볼트(bolt)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장착부재(33)는 서브 월 브라켓(400)에 결합되기 위한 목적을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별도로 포함되는 구성일 수도 있으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케이스(3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구성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서브 장착부재(33)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조립 과정에서 체결을 위한 볼트로써 기능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서브 월 브라켓(400)에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장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기능할 수도 있다.
서브 장착부재(33)가 볼트의 형상을 포함할 경우, 사용자는 서브 장착부재(33)가 케이스(30)에 체결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장착부재(33)는 그 체결 정도가 느슨해짐에 따라 케이스(30)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장착부재(33)가 서브 월 브라켓(400)을 가압하게 되며, 서브 월 브라켓(400) 또한 반작용으로 서브 장착부재(33)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때 서브 장착부재(33)가 마련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부분(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부)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서브 장착부재(33)가 마그넷(430)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서브 월 브라켓(420)에 결합되므로, 서브 장착부재(33)는 서브 월 브라켓(4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서브 장착부재(33)는 마그넷(430)에 결합된 상태에서 마그넷(43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 가이드(220)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를 조정할 때 서브 장착부재(33) 및 서브 월 브라켓(400) 간의 위치는 서브 장착부재(33) 및 마그넷(430) 간의 결합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서브 장착부재(33)는 서브 월 브라켓(400)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장착부재(33)는 마그넷(43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금속 소재의 구조물(미도시)과 같은 구성일 수도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부재와 월 브라켓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가이드부재가 월 브라켓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Y-Y'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착 위치가 가이드부재에 의해 가이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장착 브라켓이 월 브라켓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구성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월마운트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장착될 때 장착 가이드(100)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지지되도록 장착되기 위해 장착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마련되며, 벽(2)에 마련된 월 브라켓(300)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벽(2) 사이의 간격이 좁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벽(2)에 장착시킬 때 육안으로 장착 브라켓(200) 내지 월 브라켓(300)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이드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장착될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으로 연장된 장착 가이드(220)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가이드부재(500)는 케이스(30)의 상방에서 장착 가이드(220)의 케이스(30)의 상방으로 연장된 적어도 일부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으로 연장 가능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방에서 장착 가이드(220)를 볼 수 있다. 또한 장착 가이드(2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에서 장착 가이드(220)를 가이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부재(500)에 의해 가이드되는 모습을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방에서 볼 수 있다. 즉, 장착 가이드(220) 및 가이드부재(500)에 의해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되는 위치를 사용자가 시각을 통하여 직, 간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에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가이드(220)를 가이드하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이드부재(5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의 장착부(340)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월 브라켓(30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가이드부재(500)가 반드시 장착부(340)에 결합되어야 한다는 뜻은 아니며, 가이드부재(500)는 장착부(340)가 아닌 월 브라켓(300)의 다른 위치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가이드부재(500)는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부(34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장착부(340)와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500)는 적어도 일부가 월 브라켓(30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월 브라켓(300)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가이드부재(500)는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즉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단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월 브라켓(300)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으로 연장된 장착 가이드(22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의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월 브라켓(30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에 대해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500)는 좌우 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월 브라켓(300)에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된 후에 사용자는 가이드부재(500)를 월 브라켓(3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에 삽입되는 삽입부(530)를 포함할 수 있고, 삽입부(530)는 월 브라켓(300)에 형성된 가이드부재 삽입부(343)에 삽입됨에 따라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 삽입부(343)는 삽입부(5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groov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부(530)는 후술하는 가이드 바디(510)로부터 가이드부재(500)가 월 브라켓(3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를 예로 들면,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에 하방으로 이동하며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삽입부(3430는 가이드 바디(5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에 후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후크부(531)를 포함할 수 있다. 월 브라켓(300)은 후크부(5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후크 홈(3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크부(531)가 후크 홈(344)에 걸림 결합됨에 따라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00)는 후크부(531)와 가이드 바디(510)를 연결하는 후크연결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연결부(532)는 가이드 바디(510)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후크부(531)는 후크연결부(532)의 연장되는 방향 측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
후크부(531) 및 후크연결부(532)는 삽입부(53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후크부(531) 및 후크연결부(532)는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부재 삽입부(343)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크부(531) 및 후크연결부(532)는 삽입부(530)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삽입부(530)는 후크부(531) 및 후크연결부(532)의 후방에 형성되는 공동(cavity)(534)을 포함할 수 있다. 공동(534)은 후방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도 14 참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삽입부(530)에 공동(534)이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는 후크연결부(532)를 공동(534) 측으로 가압하여 후크부(531)를 후크 홈(344)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재(500) 및 월 브라켓(300) 간의 후크 결합이 해제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 때 후크연결부(532)는 공동(534)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크연결부(532)에는 사용자가 후크연결부(532)를 가압하기 용이하도록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후크가압부(532a)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후크부(5310 및 후크연결부(532)는 삽입부(530)와는 구별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에 삽입되는 구성을 포함하면서, 이와는 구별되며 월 브라켓(300)에 후크 결합되는 구성을 별개로 포함할 수도 있다.
가이드부재 삽입부(343)는 장착부(34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가이드부재 삽입부(343)는 장착부(340)와 구별되지 않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 삽입부(343)는 장착부형성부(312)와 후방 브라켓(52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장착부(340) 및 가이드부재 삽입부(343)는 구획된 공간에 마련될 수도 있다(도 18 참조).
삽입부(53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후크부(531) 및 후크연결부(532) 또한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삽입부(530)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후크부(531) 및 후크연결부(532) 또한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200)은 월 브라켓(300)에 장착되었을 때, 복수의 삽입부(5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장착 브라켓(200)은 복수의 삽입부(530) 사이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삽입부(530)는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삽입부(530)는 단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후크부(531) 및 후크연결부(532)는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후크부(531) 및 후크연결부(532)는 각각 단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12 내지 도 17에는 후크부(531) 및 후크연결부(532)의 개수는 삽입부(530)의 개수와 대응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이드부재(500)는 삽입부(530)의 상부 측에 마련되어 월 브라켓(300)에 의해 가이드부재(500)가 지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월 브라켓 지지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월 브라켓 지지부(533)는 삽입부(530)가 월 브라켓(300)에 삽입되었을 때, 삽입부(530)의 월 브라켓(300)에 삽입된 부분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월 브라켓(300)의 상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월 브라켓 지지부(533)는 장착부형성부(312)의 상단에 접하여, 가이드부재(500)를 월 브라켓(3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이드부재(500)에는 월 브라켓 지지부(533)가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장착 가이드(220)를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에 삽입되는 방식만으로 월 브라켓(300)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의 내측에 삽입되지 않고 후크 결합되는 방식만으로 월 브라켓(300)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가이드부재(500)는 반드시 월 브라켓(300)에 대해 분리 가능한 구성인 것은 아닐 수 있다.
가이드부재(500)는 장착 가이드(220)가 삽입되며 가이드될 수 있는 가이드홈(5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될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으로 연장된 장착 가이드(220)는 가이드홈(520)에 삽입되며 가이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벽(2)에 결합된 월 브라켓(300)에 장착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될 때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재(500)는 장착 가이드(200)를 월 브라켓(30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홈(52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가이드홈(520)은 월 브라켓(30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장착 가이드(220)는 가이드홈(520)을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후 방향과 나란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장착 브라켓(200)은 월 브라켓(300) 측으로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부재(500)에 의해 가이드되며 이동하게 되는 방향은 월 브라켓(30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이 아닐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부재(500)에 의해 가이드되는 방향은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이드홈(520)은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홈(520)을 따라 가이드되는 방향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520)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경사부(522)는 가이드홈(52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할수록 경사부(522)의 좌우 방향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가이드홈(520)이 경사부(522)를 포함하지 않고, 일정한 폭을 가지며 일방향으로만 연장되도록 형성될 경우, 장착 가이드(220)를 가이드홈(520)에 진입하기 시작할 때 장착 가이드(220)의 위치를 정렬하는 것에 다소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단순히 가이드홈(520)의 폭을 크게 마련할 경우, 가이드홈(520)에 의해 장착 가이드(220)가 제대로 가이드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홈(520)에 경사부(522)가 형성될 경우,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장착 가이드(220)를 가이드홈(520)에 삽입시킬 수 있으며, 장착 브라켓(200)이 보다 정확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도록 장착 가이드(220)를 가이드할 수 있다.
경사부(522)는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홈(520)으로 진입하는 가이드홈(520)의 일단인 진입부(521)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진입부(521)는 일반적으로 가이드홈(520)의 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부(522)는 진입부(521)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경사부(522)의 일단은 가이드홈(520)의 일단과 일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이드홈(520)은 진입부(521)로부터 일정한 폭을 갖도록 연장되는 부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경사부(522)는 이러한 연장된 부분의 진입부(521)와 반대되는 측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진입부(521)는 장착 가이드(22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너비의 폭을 가지면서, 장착 가이드(220)는 경사부(522)에 의해 가이드되어 장착 브라켓(200)은 보다 정확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가이드홈(520)은 경사부(522)의 일단으로부터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홈(520)을 따라 가이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연장부(52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520)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연장부(523)는 경사부(522)의 일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520)은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되는 방향 측 일단이 막히도록 형성되는 블록(block)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홈(520)에 삽입되어 가이드홈(520)을 따라 이동할 때, 블록부(524)는 장착 가이드(220)의 이동을 멈추게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블록부(524)는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된 때 장착 가이드(200)의 위치와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장착 가이드(220)이 블록부(524)에 의해 이동이 가로막힌 후, 장착 브라켓(200)은 하방으로 이동하여 월 브라켓(300)의 장착부(340)에 바로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블록부(524)는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홈(520)에 의해 가이드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520)은 가이드부재(50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홈(5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5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바디(5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520)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홈(520)에 의해 가이드될 때 장착 가이드(220)의 적어도 일부는 가이드홈(520)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홈(520)에 대한 특징은 상기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홈(520)은 경사부(522)에 해당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가이드홈(520)은 경사부(522)를 포함하되 연장부(523)에 해당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가이드홈(520)은 블록부(524)에 해당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혹은, 가이드홈(520)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형상을 갖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부가 막혀있는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부재(500)는 가이드홈(520)이 마련되는 가이드 바디(5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바디(5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바디(510)는 월 브라켓(300)에 결합될 때 가이드 바디(510)의 적어도 일부가 월 브라켓(30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가이드 바디(510)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에 배치되는 가이드 바디(510)의 적어도 일부에는 가이드홈(52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바디(510)는 월 브라켓(300)에 장착될 때 월 브라켓(300)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홈(520)에 의해 가이드될 때 장착 브라켓(200)의 적어도 일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바디(510)는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될 때 브라켓 바디(210)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상방지지부(511) 및 브라켓 바디(21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후방지지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520)은 상방지지부(5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방지지부(511)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방지지부(511)는 월 브라켓(300)의 상방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모듈(10) 측을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홈(520)에 의해 가이드될 때, 상방지지부(511)는 브라켓 바디(210)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상방지지부(511)는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홈(520)에 의해 가이드될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케이스(30)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후방지지부(512)는 상방지지부(511)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가이드 바디(510)는 상방지지부(511) 및 후방지지부(512)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방지지부(512)는 월 브라켓(300)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지지부(512)는 월 브라켓(300)의 상단에 접하여 월 브라켓(3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접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이드홈(520)이 형성될 수 있는 가이드 바디(510)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가이드부재(500)에 의해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500)는 벽(2)에 결합된 월 브라켓(3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된 장착 브라켓(200)은 월 브라켓(300)을 향하여 접근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으로 연장된 장착 가이드(220)가 월 브라켓(300)에 결합된 가이드부재(500)의 가이드홈(220)에 삽입되며 가이드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부재(500)에 의해 가이드됨에 따라, 장착 브라켓(200)은 월 브라켓(300)에 장착되도록 정해진 위치와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가이드(220)는 가이드홈(520)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가이드될 수 있으며, 장착 브라켓(200)은 월 브라켓(30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도록 이동하여 장착부(34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장착 가이드(220)는 블록부(524)가 위치하는 곳까지 이동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이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라켓(200)은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을 완료한 후, 월 브라켓(300)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홈(520)에 의해 장착 브라켓(200)은 장착부(34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정렬된 이후, 장착 브라켓(200)은 하방으로 이동하여 장착부(340)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홈(520)에 의해 가이드될 때 장착 가이드(220)의 적어도 일부는 가이드홈(520)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장착 브라켓(200)을 월 브라켓(300)에 장착시키는 과정에서 보다 용이하게 장착 브라켓(2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7과 같이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에 장착 완료된 후, 사용자는 가이드부재(500)를 월 브라켓(3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후크가압부(532a)를 가압하여, 후크 홈(344)로부터 후크부(531)를 이탈시킴에 따라 가이드부재(500) 및 월 브라켓(300) 간의 후크 결합을 해제시키고, 가이드부재(500)를 월 브라켓(3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500)가 월 브라켓(30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부재(500)는 월 브라켓(3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사용자는 장착 브라켓(200)을 월 브라켓(300)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으며, 종국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벽(2)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달리, 장착 가이드(2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장착 가이드(2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이 아닌 다른 방향에서 가이드홈(52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표현하면, 장착 가이드(220)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재(500)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장착 가이드(220)를 제1 방향(D1)과 상이한 제2 방향(D2)으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홈(520)은 제2 방향(D2)과 나란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부재(500)에 의해 제2 방향(D2)으로 가이드됨에 따라, 장착 브라켓(200)은 월 브라켓(300)의 제1 방향(D1)에 위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500)는 장착 가이드(220)를 제2 방향(D2)으로 가이드하여,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의 장착부(340)의 제1 방향(D1)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장착 브라켓(200)은 제1 방향(D1)과 나란한 방향으로 월 브라켓(300)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500)는 장착 가이드(220)를 제2 방향(D2)으로 가이드하여 장착 브라켓(200)이 월 브라켓(300)의 제1 방향(D1)에 위치되도록 정렬시키고, 이후 장착 브라켓(200)이 제1 방향(D1)과 나란한 방향,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월 브라켓(300)에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제1 방향(D1) 측에서 장착 가이드(220)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52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제1 방향(D1)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D1)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방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방향(D2)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은 장착 브라켓(200), 월 브라켓(300) 및 가이드부재(500)의 형상이나 배치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향(D1) 내지 제2 방향(D2)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하, 좌우 방향 내지 전후 방향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월 브라켓 및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월마운트 장치(1000)는 벽(2)에 마련되는 월 브라켓(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월 브라켓(1300)은 체결부재(미도시)가 관통하는 월 체결홀(1311)을 포함하여 벽(2)에 체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월 체결홀(1311)은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달리 장공의 형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월 브라켓(1300)은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월 브라켓(1300)은 장착 브라켓(200)이 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장착부(134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340)는 홈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장착 브라켓(200)이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340)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월 브라켓(1300)은 장착부(1340)에 상하 방향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월 브라켓(1300)은 장착부(1340)의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장착 개구(13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 브라켓(2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장착부(1340)에 삽입될 수 있다.
월 브라켓(1300)은 장착부(1340) 내측에 마련되며 장착 브라켓(200)의 하단을 지지하는 바텀지지부(134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가이드(220)는 관통부(213)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장착 가이드(220)가 바텀지지부(1342)를 가압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월 브라켓(1300)은 가이드부재(1500)의 삽입부(1530)가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재 삽입부(13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월 브라켓(1300)은 가이드부재(1500)의 후크부(1531)가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후크 홈(13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월 브라켓(300)과 달리 도 18에 도시된 월 브라켓(1300)에서 삽입부(1343)는 장착부(1340)와는 구획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월마운트 장치(1000)는 장착 가이드(220)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재(15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500)는 월 브라켓(13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1500)는 월 브라켓(1300)에 상하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500)는 월 브라켓(1300)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삽입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5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삽입부(1530)는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달리, 가이드 바디(1510), 특히 상방지지부(1511)의 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500)는 월 브라켓(1300)의 후크 홈(1344)에 후크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후크부(1531) 및 후크부(1531)에 연결되는 후크연결부(1532)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1531) 및 후크연결부(1532)는 삽입부(153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이드부재(1500)는 후크부(1531) 및 후크연결부(1532)의 후방에 마련되는 공동(15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후크연결부(1532)를 공동(1534) 측으로 가압하여 후크부(1531) 및 후크 홈(1344) 간의 후크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고, 가이드부재(1500)를 월 브라켓(13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 때, 공동(1534)는 삽입부(153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공동(534)과는 달리 도 18에 도시된 공동(1534)는 삽입부(1530)의 내측에 형성되며 삽입부(1530)의 내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일 수 있다.
가이드부재(1500)는 장착 가이드(220)가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홈(15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1520)은 진입부(1521), 경사부(1522), 연장부(1523) 및 블록부(1524)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520)에 대한 특징은 도 1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가이드부재(1500)는 가이드홈(1520)이 형성되는 가이드 바디(15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바디(1510)는 장착 가이드(220)가 가이드홈(1520)에 의해 가이드될 때 브라켓 바디(210)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상방지지부(1511) 및 브라켓 바디(2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후방지지부(1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방지지부(1511)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1520)은 상방지지부(151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후방지지부(1512)는 월 브라켓(1311)의 상단에 접하도록 마련되어 가이드부재(1500)가 월 브라켓(1300)에 상하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18에서 설명한 월마운트 장치(100, 1000)는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불과하다. 도 1 내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는 도 1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월 브라켓(300)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 월 브라켓과, 도 18에서 설명한 가이드부재(1500)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는 도 18에서 설명한 월 브라켓(1300)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 월 브라켓과, 도 1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가이드부재(500)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월 브라켓을 벽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100)를 설치하기에 앞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벽(2)에 시트(sh1)를 부착할 수 있다. 시트(sh1)는 월 브라켓(300)이 벽(2)에 결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시트(sh1)는 월 브라켓(300)이 부착되도록 지정된 위치에 대한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트(sh1)에는 월 브라켓(300)의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도면(dr)이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안내도면(dr)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 브라켓(30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나아가 월 브라켓(3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안내도면(dr)은 사용자가 월 브라켓(300)의 부착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9에는 단일의 시트(sh1) 상에 안내도면(dr)이 도시된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시트(sh1)는 안내도면(dr)의 개수 등에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시트(sh1)는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벽(2)에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의 실시예에 따라 월 브라켓(300)을 벽(2)에 결합시키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적으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장착될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장착 위치에 맞게 시트(sh1)를 벽(2)에 부착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벽(2)에 시트(sh1)를 부착한 후, 안내도면(dr)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 월 브라켓(300)을 위치시킨 후 벽(2)에 월 브라켓(3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벽(2)에 월 브라켓(300)을 결합시킬 때 사용자는 스크류(S2, 도 5 참조)에 의한 체결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월 브라켓(300)이 벽(2)에 결합된 후, 사용자는 시트(sh1)를 벽(2)으로부터 분리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설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시트(sh1)는 종이 등 얇으면서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sh1)가 종이 소재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는 시트(sh1)를 찢어냄으로써 벽(2)으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시트(sh1)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월 브라켓(300)을 벽(2) 상의 지정된 위치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9에서 설명한 월 브라켓(300)을 벽(2)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일례에 불과하며, 월 브라켓(300)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벽(2)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9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도 1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 따른 월 브라켓(300)을 벽(2)에 결합시키는 방법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서브 월 브라켓(400)의 경우에도 월 브라켓(300)과 마찬가지로 시트(sh1)를 이용하여 벽(2)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월 브라켓(1300)의 경우에도 시트(sh1)를 이용하여 벽(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월 브라켓을 벽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월 브라켓(1300)은 지그(J)를 이용하여 벽(2) 상의 지정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지그(J)는 월 브라켓(13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그(J)는 월 브라켓(1300)의 월 체결홀(1311) 중 적어도 일부와 스크류(미도시)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관통되는 홀(H)을 포함할 수 있다.
홀(H)은 월 브라켓(1300)이 벽(2) 상의 지정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지그(J) 상에서 지정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 브라켓(1300)이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지그(J)의 홀(H)은 복수의 월 브라켓(1300) 간의 거리를 유지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지그(J)는 월 브라켓(1300)을 지그(J)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지그(J)는 바(bar)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그(J)를 이용하여 월 브라켓(1300)의 수평을 쉽게 유지하며 벽(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0의 실시예에 따라 월 브라켓(1300)을 벽(2)에 결합시키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적으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벽(2)에 장착될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시트(sh2)를 벽(2)에 부착할 수 있다. 시트(sh2)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단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시트(sh2)는 월 브라켓(1300) 장착 위치의 측방에 위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지그(J)의 홀(H)과 월 브라켓(1300)의 월 체결홀(1311)의 적어도 일부를 체결하여, 지그(J)에 월 브라켓(13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지그(J)를 이용하여 월 브라켓(1300)을 벽(2)의 지정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시트(sh2)를 이용하여 월 브라켓(1300)를 지정된 위치에 보다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월 브라켓(1300)이 벽(2)에 위치된 후, 사용자는 스크류(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월 브라켓(1300)을 벽(2)에 체결시킬 수 있다. 이 때 월 브라켓(1300)은 지그(J)의 홀(H)과 결합되지 않은 월 체결홀(1311)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벽(2)에 결합될 수 있다.
월 브라켓(1300)이 벽(2)에 결합되면, 사용자는 지그(J)를 월 브라켓(1300)으로부터 분리하고, 시트(sh2)를 벽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벽(2)에 스크류 체결되지 않은 나머지 월 체결홀(1311)을 이용하여 월 브라켓(1300)을 벽(2)에 완전히 결합시킬 수 있다.
다만 월 브라켓(1300)을 벽(2) 상의 지정된 위치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0에서 설명한 월 브라켓(1300)을 벽(2)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일례에 불과하며, 월 브라켓(1300)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벽(2)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도 20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월 브라켓(1300)을 벽(2)에 결합시키는 방법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도 1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 따른 월 브라켓(300)의 경우에도 지그(J)를 이용하여 벽(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2; 벽
10; 디스플레이 모듈 20; 디스플레이 패널
30; 케이스 31; 리어 커버
32a, 32b; 장착 브라켓 결합부 33; 서브 장착부재
100; 월마운트 장치 200; 장착 브라켓
210; 브라켓 바디 211; 디스플레이 결합부
211a; 삽입돌기 211b; 체결홀
212; 전방 지지부 213; 관통부
213a; 나사홈 220; 장착 가이드
221; 나사산 222; 조작홈
300, 1300; 월 브라켓 310; 전방 브라켓
311, 1311; 월 체결홀 312; 장착부형성부
320; 후방 브라켓 330; 브라켓 결합부
340, 1340; 장착부 341, 1341; 장착 개구
342, 1342; 바텀지지부 343, 1343; 가이드부재 삽입부
344, 1344; 후크 홈 345; 가압부재 홀
350; 가압부재 351; 접촉부
400; 서브 월 브라켓 410; 월 지지부
420; 디스플레이 지지부 430; 마그넷
500, 1500; 가이드부재 510, 1510; 가이드 바디
511, 1511; 상방지지부 512, 1512; 후방지지부
520, 1520; 가이드홈 521, 1521; 진입부
522, 1522; 경사부 523, 1523; 연장부
524, 1524; 블록부 530, 1530; 삽입부
531, 1531; 후크부 532, 1532; 후크연결부
533; 월 브라켓 지지부 532a; 후크가압부
534, 1534; 공동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Claims (20)

  1. 전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에 장착시키는 월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방으로 연장 가능하게 마련되는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는 장착 브라켓;
    상기 벽에 마련되며 상기 장착 브라켓이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월 브라켓; 및
    상기 월 브라켓에 결합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벽에 장착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방으로 연장된 상기 장착 가이드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월마운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장착 가이드가 삽입되며 가이드될 수 있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월마운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될 때 상기 장착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홈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월마운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장착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방향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월마운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경사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장착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월마운트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장착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홈으로 진입하는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월마운트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월마운트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장착 가이드가 가이드되는 방향 측 일단이 막히도록 형성되는 블록(block)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록부는 상기 장착 브라켓이 상기 월 브라켓에 장착된 때 상기 장착 가이드의 위치와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월마운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월 브라켓에 삽입되어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월마운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장착 가이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월마운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장착 가이드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월마운트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관통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월마운트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월 브라켓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월마운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복수의 삽입부 사이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월마운트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 브라켓은 상기 월 브라켓에 장착된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장착 브라켓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월마운트 장치.
  16. 전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월마운트 장치로서, 상기 케이스의 상방으로 연장 가능하게 마련되는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장착 브라켓과, 상기 벽에 결합되며 상기 장착 브라켓이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월 브라켓과, 상기 월 브라켓에 결합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벽에 장착될 때 상기 케이스의 상방에서 상기 장착 가이드의 상기 케이스의 상방으로 연장된 적어도 일부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월마운트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장착 가이드가 삽입되며 가이드될 수 있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홈에 의해 가이드될 때 상기 장착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홈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 바디 상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장착 가이드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브라켓 바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방을 향하여 이동하며 상기 월 브라켓을 가압할 때 상기 브라켓 바디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전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에 장착시키는 월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마련되는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는 장착 브라켓;
    상기 벽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장착 브라켓이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장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월 브라켓; 및
    상기 월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부재로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장착 가이드를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장착 브라켓을 상기 월 브라켓의 상기 제1 방향에 위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월마운트 장치.
KR1020220027668A 2022-03-03 2022-03-03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30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668A KR20230130452A (ko) 2022-03-03 2022-03-03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3/000216 WO2023167403A1 (ko) 2022-03-03 2023-01-05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668A KR20230130452A (ko) 2022-03-03 2022-03-03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452A true KR20230130452A (ko) 2023-09-12

Family

ID=8788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668A KR20230130452A (ko) 2022-03-03 2022-03-03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0452A (ko)
WO (1) WO202316740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9922B1 (ja) * 2011-08-23 2012-11-21 シャープ株式会社 ブラケット、取付システムおよび型紙
KR102214298B1 (ko) * 2016-10-06 202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43603A (ko) * 2018-06-21 2019-12-31 동오정밀 주식회사 월 마운트
KR102158818B1 (ko) * 2019-03-29 2020-09-25 동오정밀 주식회사 슬림형 월 마운트
CN110107790B (zh) * 2019-04-22 2021-09-21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壁挂装置及显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7403A1 (ko)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72875B1 (en)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00253874A1 (en) Display device
KR10170753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390451B2 (en) Display device
KR10234174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장치
US8432499B2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200357311A1 (en) Display apparatus and hinge assembly of display module
US20150304599A1 (en) Display device
EP3488604B1 (en) Display device
KR101716569B1 (ko) 무배젤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
US6154261A (en) Substrate coupling structure for flat-panel display
KR20230130452A (ko) 월마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011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49417A (ko) 액정모듈
US10228578B2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coupling structures of components from being exposed outside the housing thereof
KR101797594B1 (ko) 표시 장치
EP3523959B1 (en) Display apparatus
KR100604651B1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881073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ulti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80138234A (ko) 백라이트 장치
US20230389206A1 (en) Display device
KR201800439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0812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10317943A1 (en) Display device
KR20230100423A (ko) 디스플레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