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651B1 -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651B1
KR100604651B1 KR1019990037425A KR19990037425A KR100604651B1 KR 100604651 B1 KR100604651 B1 KR 100604651B1 KR 1019990037425 A KR1019990037425 A KR 1019990037425A KR 19990037425 A KR19990037425 A KR 19990037425A KR 100604651 B1 KR100604651 B1 KR 100604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chassis
display modul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6207A (ko
Inventor
하진호
이상덕
권윤수
이익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7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651B1/ko
Publication of KR20010026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모듈에 탄성력을 갖는 탄성 걸림 부재를 설치 또는 형성하고, 액정표시모듈에 형성된 탄성 걸림 부재가 리어 케이스의 이탈방지 돌기에 탄성력을 받으면서 슬라이드 결합된 후 이탈방지돌기의 밑면에서 반탄력에 의하여 이탈방지돌기와 결합되도록 한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표시모듈과 리어 케이스를 조립하는데 체결 나사를 전혀 필요치 않음으로써, 조립 공정 및 분해 공정이 매우 단축됨은 물론, 조립/분해에 소요되는 시간 또한 크게 단축되어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제작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액정표시모듈, 액정표시장치

Description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액정표시장치를 일부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리어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모듈의 샤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5의 B 부분 확대도.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하여 샤시를 리어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걸림편의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걸림편이 샤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의 구성요소인 액정표시패널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수납된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샤시가 고정되어 액정표시모듈이 제작되는 과정 및 액정표시모듈이 리어 케이스 및 프론트 케이스에 실장되어 액정표시장치로 제작되는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를 조립한 상태에서 일부의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샤시의 일부분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샤시의 일부분 및 걸림편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본 발명은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표시모듈에 탄성력을 갖는 탄성 걸림 부재를 설치 또는 형성하고, 액정표시모듈에 형성된 탄성 걸림 부재가 리어 케이스의 이탈방지 돌기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면서 슬라이드 결합된 후 이탈방지돌기의 밑면에서 반탄력에 의하여 이탈방지돌기와 결합되도록 한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정표시모듈은 전계(electric field)에 의하여 광투과도가 달라지는 특성을 갖는 액정(liquid crystal)을 2 장의 투명 기판의 사이에 주입하되, 액정이 개재되는 투명 기판중 어느 하나의 전체 면적에는 소정 전원을 인가하고, 나머지 하나의 투명 기판은 무수히 많은 구역으로 분할한 상태에서 분할된 각각의 구역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2 장의 투명 기판 사이에 위치한 액정은 투명 기판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었을 때, 전계의 방향 및 크기에 의하여 그 배열이 바뀌게 되는데 이와 같이 액정의 배열이 바뀜에 따라서 액정층을 통과하는 광의 광투과도 또한 변경 된다.
이처럼 액정이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상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하부 투명기판의 하부에는 광원을 위치시키고 상부 투명기판에는 광에 의하여 소정 색이 발현되도록 컬러 필터를 부착한 후 광원을 점등하였을 때, 광원에서 발생한 광은 하부 투명기판 - 액정층 - 상부 투명기판 - 컬러 필터를 통하여 소정 색이 발현된다.
액정표시모듈은 이와 같은 현상을 매우 미세하면서도 절묘하게 이용하여 표현하고 하고자 하는 전기적 형태의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화상 정보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모듈은 다시 케이스에 수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중 하나인 액정표시장치가 되는 바, 액정표시장치는 종래 동일 유효 디스플레이 크기를 갖는 CRT(Cathode Ray Tube)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감량된 무게 및 획기적으로 감소된 부피를 갖는 바, 최근에는 보다 고해상도를 갖음과 동시에 경량 및 소형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액정표시모듈의 전체 크기를 경량, 소형으로 제작하는 기술과 함께 액정표시모듈을 케이스에 실장하여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하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모듈이 매우 경량이면서 소형으로 제작되였다 하더라도 액정표시모듈과 케이스의 실장 방법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을 경우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크기는 실제 액정표시모듈에 비하여 훨씬 큰 크기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 액정표시모듈(100)을 리어 케이스(120) 및 프론트 케이스(110) 으로 구성된 케이스(200)에 실장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액정표시모듈(100)의 4 개의 측면에는 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된 돌출부(10)가 형성되며, 돌출부(10)에는 리어 케이스(120)와 결합되도록 체결공(12)이 형성되고, 리어 케이스(120)에는 체결공(12)을 통하여 나사(14)가 결합되도록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된 보스(boss;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액정표시모듈(100)과 케이스(200)를 결합하여 액정표시장치(300)를 구현할 때, 액정표시모듈(100)의 돌출부(10)에 의하여 도 1에 도시된 W의 길이만큼 즉, 돌출부(10)가 돌출된 길이만큼 케이스(110,120)의 길이 증가는 필연적으로 발생되고, 이는 결국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300)의 전체 크기를 크게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적어도 1 개 이상의 나사(14)를 이용하여 액정표시모듈(100)과 케이스(200)를 체결함으로 조립 부품수가 증가됨은 물론 조립 공정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표시모듈의 크기와 케이스의 크기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정표시모듈과 케이스를 조립함에 있어 단 한번의 조립 공정으로 액정표시모듈과 케이스를 조립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조립된 액정표시모듈과 케이스를 분해함에 있어서, 단 한번의 분해 공정으로 액정표시모듈과 케이스를 분해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들은 후술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액정표시모듈은 액정을 제어하여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에 광을 공급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수납되는 광공급수단과, 디스플레이 유닛과 광공급수단을 고정시키는 샤시를 포함하며, 샤시에는 광공급수단이 수납되는 수납용기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된 이탈방지턱의 단부를 통하여 탄력적으로 삽입된 후 반탄력에 의하여 이탈방지턱의 밑면으로 이동되어 샤시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는 외부 정보처리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신호를 인가 받아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램프 유닛, 반사판, 도광판, 광학 시트들이 차례대로 적층된 몰드프레임, 광학 시트들의 상부에 놓여진 액정표시패널, 몰드프레임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샤시를 포함한 액정표시모듈과, 액정표시모듈을 수납한 상태로 외부 정보처리기기와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 프론트 케이스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리어 케이스의 측면 내측 상단부에는 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소정 거리 돌출된 2 개의 이탈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이탈방지 돌기와 대응하는 샤시의 측면에는 이탈방지 돌기와 결합되면서 탄력적으로 가압되다가 이탈방지 돌기 밑면 공간에서 반탄력에 의하여 이탈방지 돌기의 밑면에 고정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모듈 및 액정표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900)는 전체적으로 보아 액정표시모듈(700), 액정표시모듈(700)이 수납되는 케이스(800)로 구성된다.
케이스(800)는 다시 리어 케이스(820)와 프론트 케이스(810)로 구성되고, 액정표시모듈(700)은 다시 샤시(600), 디스플레이 유닛(500), 백라이트 어셈블리(400)로 구성된다.
이들중 먼저 디스플레이 유닛(500)을 첨부된 도 2 또는 도 2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 유닛(500)은 액정표시패널(510),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20), 구동용 인쇄회로기판(530)으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액정표시패널(510)은 도 8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액정표시패널(510)은 TFT 기판(511), 컬러필터기판(512), 액정(513) 및 TFT 기판(511)의 하면 및 컬러필터기판(512)의 상면에 부착되는 편광판(미도시)으로 구성된다.
TFT 기판(511)은 투명 기판, 바람직하게 투명 유리 기판으로 TFT 기판(511)에는 매트릭스 형태의 배열을 갖는 수십∼수백만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lim Transistor;미도시),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박막 트랜지스터를 턴-온(turn-on), 턴-오프(turn-off) 시키기 위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되는 게이트 라인(515),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오스 단자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516),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되는 투명 화소 전극(미도시)을 포함한다.
컬러필터기판(512)중 TFT 기판(511)의 투명 화소 전극과 대향하는 면에는 투명한 공통 전극과 광이 통과하면서 색이 발현되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매우 조밀한 광필터 입자인 RGB 화소(미도시)가 반도체 박막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TFT 기판(511)의 투명 화소 전극과 컬러필터기판(512)의 투명 공통 전극 사이에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투명 화소 전극 및 투명 공통 전극 사이의 전계에 따라서 배열이 틀려지는 액정(513)이 주입된다.
이때, 액정(513)의 배열 정도 즉, 배열각에 따라서 컬러필터기판(512)으로부터 발현되는 색이 틀려지는 바,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라인(516)에 인가되는 전압 즉, 계조 전압의 크기를 발현할 색에 따라서 결정하여야 한다.
또한, 액정(513)이 데이터 라인(516)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서 배열되기 위해서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온 되어야만 함으로 이를 위해서는 게이트 라인(515)에 박막트랜지터가 턴-온되는 바이어스 전압인 턴-온 신호가 입력되어야 한다.
액정(513)을 소정 각도로 배열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앞서 언급한 계조 전압 및 턴-온 신호를 필요로 하는 바, 이 신호는 외부 정보처리기기(미도시)와 연결된 구동인쇄회로기판(530)에서 처리되고 발생된다.
만일, 액정이 아무런 제어 없이 구동된다면 결코 사용자가 원하는 화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없다. 이는 구동인쇄회로기판(530)에서 발생한 구동 신호들을 제어 및 타이밍을 맞추어주는 다른 수단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모든 게이트 라인(515)에는 해당 게이트 라인(515)에 인가되는 턴-온 신호를 가공 및 게이트 라인(515)에 턴-온 신호가 입력되는 시기를 결정해주는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26)가 연결되고, 데이터 라인(516)에는 모든 데이터 라인(516)에 개별적으로 인가되는 각기 다른 계조 전압을 가공 및 계조 전압이 데이터 라인(516)에 입력되는 시기를 결정해주는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528)가 연결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액정표시모듈(700)의 구성요소인 디스플레이 유닛(500)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하더라도 외부 광원이 없으면, 즉 액정(513)을 통과하는 광이 없으면 컬러필터기판(512)을 통하여 소정 색이 발현되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은 불가능함으로 컬러필터기판(512)을 통과하는 광원을 필요로 한다.
광원은 외부 광원을 사용할 수도 있고, 특히 일정 휘도 이하의 어두운 곳에서 디스플레이가 가능토록 하기 위해서 내부 광원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후면에 광원의 설치가 필요하다.
이때, 광원의 구비 조건으로 일정 이상의 휘도, 균일한 휘도의 가능 여부가 무엇보다도 필요로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단순히 광원을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뒷면에 장착하는 것은 휘도 집중이 발생되어 광원에 가까운 곳은 밝게 디스플레이되고, 광원과 먼 곳은 어둡게 디스플레이 되는 현상 즉, 휘도 집중 및 휘도 불균일이 발생함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400)가 요구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을 발생시킴은 물론 발생한 광을 일방향으로 보내는 램프 유닛(410), 일방향으로 모아진 광이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유닛(500)의 TFT 기판(511)-액정(513)-컬러필터기판(512)을 경유하도록 광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도광판(420), 도광판(420)의 상면에 안착되어 도광판(420)을 통과하는 광이 균일한 휘도를 갖도록 하는 광학 시트류(430), 도광판(420)의 하부에 위치하여 도광판(420)으로부터 누설된 광을 도광판(420)으로 재입사 시키는 반사판(440),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유닛(500), 램프 유닛(410), 도광판(420), 광학 시트류(430), 반사판(440)을 수납하는 "몰드 프레임"이라 불리우는 수납용기(이하, 몰드 프레임이라 칭한다;450)로 구성된다.
몰드 프레임(450)의 내부 공간에 디스플레이 유닛(500)을 포함한 앞서 설명한 구성 요소들이 모두 안착된 상태에서 몰드 프레임(450)에는 디스플레이 유닛(500)이 몰드프레임(45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샤시(600)가 결합된다.
샤시(600)를 첨부된 도 2, 도 5 또는 도 6,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샤시(600)는 전체적으로 보아 몰드 프레임(450)의 4 개의 측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몰드 프레임(450)의 내부에 수납된 디스플레이 유닛(50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단면이 꺽쇠 형상을 갖는 사각 프레임 형상이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샤시(600)의 4 개의 측면중 일실시예로 대향하는 2 개의 측면에는 상세하게 후술될 적어도 1 개 이상의 걸림편이 장착되기 위하여 걸림편 장착부(610)가 마련된다.
일실시예로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 장착부(610)는 걸림편 장착부(610)가 설치될 샤시(600)의 측면중 일부를 옆으로 누운 "혀 형상(tongue shape)"으로 부분 절단한 후, 절단된 부분이 샤시(600)의 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도록 절곡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걸림편 장착부(610)중 샤시(6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면은 제1 면이 되고, 상기 샤시(600)의 측면과 평행한 면은 제2 면에 된다. 상기 제2 면에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관통공(612)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상호 소정 간격을 갖는 2 개의 관통공(612)을 형성하기로 한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걸림편 장착부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의 실시예에 의한 걸림편 장착부(620)는 샤시(600)의 측면중 일부에 상호 평행하며 소정 간격을 갖도록 일정 길이로 샤시(600)의 측면을 소정 간격을 갖도록 수평으로 절개한 후, 펀치 등에 의하여 절개된 부분이 샤시(600)의 측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걸림편 장착부(620)중 샤시(600)의 측면으로 부터 돌출된 면은 제1 면이 되고, 상기 샤시(600)의 측면과 평행한 면은 제2 면이 된다.
물론,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걸림편 장착부(620)에도 상기 제2 면에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관통공(622)이 형성된다.
도 6 또는 도 12에 도시된 걸림편 장착부(610,620)에는 도 7a에 도시된 걸림편(640)이 결합된다.
일실시예로 걸림편(640)은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일부를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절곡한 후, 소정 간격 이격된 곳을 역방향으로 일정 각도 절곡한 형상을 갖는다.
걸림편(640)의 절곡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부는 샤시(600)를 포함한 액정표시모듈(700)이 고정되도록 하는 액정표시모듈 고정부(642)라 정의하기로 하고, 절곡된 부분을 기준으로 하부는 샤시(600)에 고정되는 샤시 고정부(646)라 정의하기로 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시 고정부(646)의 두께는 앞서 설명한 걸림편 장착부(610)에 장착 가능한 두께를 갖음과 동시에 샤시 고정부(646)에는 걸림편 장착부(61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걸림편 장착부(610)에 형성된 관통공(612)과 결합되는 결합 돌기(646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편(640)중 액정표시모듈 고정부(642)는 상세하게 후술될 리어 케이스(820)에 결합되어 액정표시모듈(700)이 리어 케이스(820)의 상부로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리어 케이스(820)의 내부에서 액정표시모듈(700)이 수평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합 기능을 갖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시(600)에 걸림편(640)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샤시(600)는 디스플레이 유닛(500)이 결합된 백라이트 어셈블리(400)의 몰드 프레임(450)에 결합되어 액정표시모듈(700)이 제작되고, 액정표시모듈(700)은 리어 케이스(820) 및 프론트 케이스(810)로 구성된 케이스(800)에 실장되어 액정표시장치(900)가 제작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액정표시모듈(700)이 리어 케이스(820)에 실장되기 위해서는 리어 케이스(820)가 독특한 구조를 갖아야 하는 바, 리어 케이스(820)의 구성 및 구조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4,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어 케이스(820)는 정전기 제거 및 내충격성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마그네슘 합금을 다이 캐스팅 금형법에 의하여 제작이 가능한 바, 리어 케이스(820)의 전체 형상은 액정표시모듈(700)이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며, 두께가 얇은 직육면체 형상이다.
이와 같이 액정표시모듈(700)이 수납되는 리어 케이스(820)의 내측면중 액정표시모듈(700)의 샤시(600)에 설치된 걸림편(61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걸림편(6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822)이 설치된다.
이탈방지편(822)은 리어 케이스(820)의 측면 내측 상단으로부터 측면 내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도록 돌출된 2 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이때, 이탈방지편(822)이 리어 케이스(820)의 측면 내측으로 돌출된 길이는 액정표시모듈(700)의 샤시(600)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편 장착부(610)가 리어 케이스(820)에 삽입되기에 충분하도록 함과 동시에 걸림편(640)의 액정표시모듈 고정부(642)는 걸리는 길이를 갖도록 한다.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여 액정표시모듈(700)을 리어 케이스(820)에 장착 및 탈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액정표시모듈(700)을 리어 케이스(82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액정표시모듈(700)의 샤시(600)의 걸림편 장착부(610)에 걸림편(640)을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이어서, 걸림편(640)이 장착된 액정표시모듈(700)을 리어 케이스(820)의 상면에 안착시키게 되면 걸림편(640)중 샤시 고정부(646)는 리어 케이스(820)에 형성 된 이탈방지편(822)의 방해 없이 곧바로 리어 케이스(820)의 내부로 삽입되지만 걸림편(640)중 액정표시모듈 고정부(642)는 이탈방지편(822)에 의하여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액정표시모듈(700)을 리어 케이스(82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강하게 밀게되면 액정표시모듈 고정부(642)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면서 강제로 리어 케이스(82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후, 액정표시모듈(700) 및 액정표시모듈 고정부(642) 전체가 리어 케이스(820)의 내부에 수납됨과 동시에 액정표시모듈 고정부(642)는 이탈방지편(822)으로부터 탈거되면서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되는 바, 액정표시모듈 고정부(642)의 상단부는 이탈방지편(822)의 밑면과 접촉되고, 액정표시모듈 고정부(642)의 외측면(도 7a 참조,642a)은 리어 케이스(822)의 내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액정표시모듈(700)은 리어 케이스(822) 내부에서 상하, 좌우 움직임 없이 고정된다.
이하,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액정표시모듈(700)을 리어 케이스(820)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탈방지편(822)과 이탈방지편(822)의 사이로 밀어 넣은 후, 이탈방지편(822)의 밑면에 위치한 걸림편(640)의 액정표시모듈 고정부(642)를 이탈방지편(822)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액정표시모듈 고정부(642)가 이탈방지편(822)으로부터 탈거되도록 한 후 액정표시모듈(700)을 외부로 꺼내는 과정에 의하여 간단하게 수행된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는 샤시(600)에 걸림편 장착부(610)를 형성하고, 걸림편 장착부(610)에 별도의 걸림편(640)을 설치한 후 걸림편(640)을 리어 케이스(820)에 형성된 이탈방지편(822)에 결합시켜 액정표시모듈(700)을 리어 케이스(820)에 대하여 고정한 것이 설명되었다.
도 11에는 걸림편 장착부(610) 없이도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 및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걸림편 장착부(610) 없이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먼저, 샤시(600)의 상면을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절취한 다음 절취된 부분의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 만큼 샤시(600)를 다시 절취한 후, 절취된 부분을 샤시(600)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 절곡한 후 절곡된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을 다시 절곡한다.
이때, 절곡된 부분은 앞서 설명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액정표시모듈 고정부(650)가 되어 리어 케이스(820)에 형성된 이탈방지편(822)의 밑면에 고정되어 단 한번의 조립 공정에 의하여 리어 케이스(820)와 액정표시모듈(700)의 실장이 가능하며, 단 한번의 분해 공정에 의하여 리어 케이스(820)와 액정표시모듈(700)의 분해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액정표시모듈과 리어 케이스를 조립하는데 체결 나사를 전혀 필요치 않음으로써, 조립 공정 및 분해 공정이 매우 단축됨은 물론, 조립/분해에 소요되는 시간 또한 크게 단축되어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제작 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액정을 제어하여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광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수납되는 광공급수단;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광공급수단을 고정시키는 샤시;
    상기 광공급수단 및 상기 샤시를 수납하고,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수납된 샤시 방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편이 형성된 수납 용기; 및
    상기 이탈방지편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샤시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측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샤시와 수납용기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편에 눌려 상기 이탈방지편의 아래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샤시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일정각도 절곡되어 상기 샤시의 측면과 평행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걸림편 장착부 및 상기 제2 면이 절곡된 부분에 해당하는 측면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2 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 장착부는 상기 샤시의 측면 일부를 "ㄷ"자 형상으로 절개한 후 절개되지 않은 부분을 이용하여 꺽쇠 형상으로 절곡한 형상으로, 상기 걸림편이 절곡된 부분에 해당하는 측면 개구를 통하여 결합되는 액정표시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 장착부는 상기 샤시의 측면 일부를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고 소정 길이를 갖는 2 개의 평행선으로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띠 형상으로 상기 샤시의 측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상기 샤시 측면에 수직으로 뚤린 측면 개구가 형성되도록 한 형상으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측면 개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액정표시모듈.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걸림편의 일측 단부는 상기 샤시 측면에 형성된 상기 제2 면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샤시의 측면과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절곡된 액정표시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샤시의 상면로부터 상기 샤시의 측면의 상단부로부터 측면 중간 부분까지를 부분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상기 샤시의 측면 외측으로 소정 각도 절곡하여 상기 샤시의 측면과 절개된 부분 사이에 소정 이격 거리가 형성되도록 한 액정표시모듈.
  7. 외부 정보처리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신호를 인가 받아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램프 유닛, 반사판, 도광판, 광학 시트들이 차례대로 적층된 몰드프레임, 상기 광학 시트들의 상부에 놓여진 액정표시패널, 상기 몰드프레임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샤시를 포함한 액정표시모듈과, 상기 액정표시모듈을 수납한 상태로 상기 외부 정보처리기기와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 프론트 케이스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의 측면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측면으로부터 상기 샤시 방향으로 소정 거리 돌출된 2개의 이탈방지편; 및
    상기 이탈방지편에 대응하여 상기 샤시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샤시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이탈방지편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샤시와 수납용기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편에 눌려 상기 이탈방지편의 아래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샤시의 측면에 형성된 장착부에 일측 단부가 결합되는 샤시 고정부, 상기 샤시 고정부로부터 연장된 타측 단부는 상기 샤시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절곡된 액정표시모듈 고정부로 구성된 액정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모듈 고정부의 상단부에는 소정 형상의 홈이 형성된 액정표시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모듈 고정부의 단부는 상기 이탈방지편의 밑면과 접촉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액정표시모듈 고정부의 측면은 상기 리어 케이스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9990037425A 1999-09-03 1999-09-03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604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425A KR100604651B1 (ko) 1999-09-03 1999-09-03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425A KR100604651B1 (ko) 1999-09-03 1999-09-03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207A KR20010026207A (ko) 2001-04-06
KR100604651B1 true KR100604651B1 (ko) 2006-07-25

Family

ID=1961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425A KR100604651B1 (ko) 1999-09-03 1999-09-03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6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4629A (zh) * 2016-09-07 2017-02-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滤芯检测装置和方法
KR20180047617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이 캐스팅 공정을 이용한 커버 부재의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704B1 (ko) * 2006-12-14 2008-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유닛용 소켓
KR101495180B1 (ko) * 2008-10-08 2015-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CN106838580A (zh) * 2017-02-09 2017-06-13 安徽豪威商用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舞台显示屏专用压铸铝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066A (ja) * 1996-07-12 1998-01-27 Toshiba Corp 入力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型電子機器
KR19990001978U (ko) * 1997-06-24 1999-01-15 유기범 노트북 컴퓨터의 형합구조물
KR20000027481A (ko) * 1998-10-28 2000-05-1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 컴퓨터
KR20000038525A (ko) * 1998-12-04 2000-07-05 윤종용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장치
KR20000065864A (ko) * 1999-04-09 2000-11-15 윤종용 정보처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화상표시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066A (ja) * 1996-07-12 1998-01-27 Toshiba Corp 入力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型電子機器
KR19990001978U (ko) * 1997-06-24 1999-01-15 유기범 노트북 컴퓨터의 형합구조물
KR20000027481A (ko) * 1998-10-28 2000-05-1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 컴퓨터
KR20000038525A (ko) * 1998-12-04 2000-07-05 윤종용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장치
KR20000065864A (ko) * 1999-04-09 2000-11-15 윤종용 정보처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화상표시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4629A (zh) * 2016-09-07 2017-02-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滤芯检测装置和方法
KR20180047617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이 캐스팅 공정을 이용한 커버 부재의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540571B1 (ko) * 2016-10-31 2023-06-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이 캐스팅 공정을 이용한 커버 부재의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207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3979B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1385231B1 (ko) 평판표시장치
US7744265B2 (en) Backlight assembly without a bottom chassis
KR101340517B1 (ko) 수납 부재와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20080105725A (ko) 탑 샤시,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20160095277A (ko) 표시 장치
JP2006080050A (ja) バックライト組立体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100604651B1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70100750A (ko) 인쇄회로기판 연결구조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40769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장치
KR20080008567A (ko) 액정표시장치용 플레이트 고정 부재 및 이를 포함한액정표시장치
US8537300B2 (en) Display device
KR20010035875A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50007512A (ko) 액정표시장치
KR101797594B1 (ko) 표시 장치
KR100644821B1 (ko) 액정표시장치용 수납용기 어셈블리,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100644853B1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EP203474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ulti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64008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570081B1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장치
KR100594565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75341A (ko) 평판표시모듈용 케이스 및 평판표시장치.
KR100596967B1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적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016568B1 (ko) 평판 표시 장치
KR200384670Y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