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104A -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1104A
KR20070051104A KR1020050108551A KR20050108551A KR20070051104A KR 20070051104 A KR20070051104 A KR 20070051104A KR 1020050108551 A KR1020050108551 A KR 1020050108551A KR 20050108551 A KR20050108551 A KR 20050108551A KR 20070051104 A KR20070051104 A KR 20070051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flying
supporting
steel pipe
flying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8410B1 (ko
Inventor
박정진
박정호
Original Assignee
깨뱉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깨뱉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깨뱉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8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410B1/ko
Publication of KR20070051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물의 시공시 특히 슬래브 시공에 사용되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주를 구성하는 것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강관기둥;과 상기 강관기둥 상단에 연결되는 받침대; 및 상기 강관기둥의 하단에 연결되는 자립형의 세움 지지대;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기 시공되어 초기 양생중인 하부층의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플라잉 폼을 조기에 탈형하여, 상부층의 슬래브 시공에 이용하여 상부층 슬래브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조기에 착수할 수 있으므로 종래 골조공사에 소요되는 공기의 50%를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잉 폼을 탈형하여도 기설치된 자립형 동바리들을 설치상태대로 잔존시킴으로써 양생중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므로, 공사품질을 향상시키고 공사비를 절약할 수 있는 경제성이 뛰어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플라잉 폼의 구조, 동바리 구조

Description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Support system for Flying form}
도1은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사용하여 플라잉 폼을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사용하여 플라잉 폼을 설치한 실시예로서 받침대인 평면 트러스를 회전시켜 거푸집을 해체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형강 받침대를 이용한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형강 받침대를 이용한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사용하여 플라잉 폼을 설치한 실시예로서 평면 형강 받침대를 회전시켜 거푸집을 해체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도 4b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사용하여 플라잉 폼을 설치한 현장의 시공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사용하여 현장의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시에 하강 도르래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대 11 : 주연결부
12 : 보조연결부 13 : 받침대 결속부
20 : 강관기둥 21 : 상부 조절부
22 : 하부 조절부 30 : 지지대
31 : 하강 도르래 32 : 지지대 결속부
41 : 고정 장선 42 : 탈, 부착 장선
43 : 거푸집 판넬 44 : 콘크리트 슬래브
50 : 가새 51 : 이동바퀴
60 : 형강 받침대 62 : 형강 장선
63 : 와이어로프 64 : 하강 윈치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물의 시공시 특히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에 거푸집을 사용할 때, 양생중인 하층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구조적인 무리를 주지 않으며 차 상부층의 거푸집 설치 작업을 조기에 착수할 수 있게 하여 골조공사에 소요되는 공기를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플라잉 폼(Flying form, 일명 테이블 폼)의 동바리 구조 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사무소, 상가 건물이나 아파트 등의 주거용 공동건물의 축조시 선 시공 후 분양 제도에 의하므로 건설사의 비용부담이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대형 건물의 축조시에는 시공속도가 경제성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시공속도 향상이 강력히 요구되고, 또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사비용에는 가설공사 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한데 이러한 가설공사 비용을 줄이며 노동생산성 향상의 경제적인 시공을 하기 위해서는 가설 부자재의 효율적인 재활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시공속도 향상 및 가설공사 비용 절감을 위해 반복적인 평면구조의 대형 콘크리트 건물의 슬래브 시공시 플라잉 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플라잉 폼이란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거푸집 널과 장선, 멍에의 보강재가 일체로 된 거푸집 판, 거푸집 판을 지지하는 지지구조인 동바리 등을 일체로 제작한 거푸집을 일컫는다. 이러한 플라잉 폼 사용시 매 층마다 거푸집의 조립과 해체가 불요한 조립된 플라잉 폼을 사용하므로 공기가 단축되고 인력이 절감되며, 시공 시 거푸집의 처짐이 적고 합판을 제외한 주요 부재자의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플라잉 폼을 비롯한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경화하여 충분한 강도가 발현될 때까지 형태 유지 및 지지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당 기간 존치되어야 한다. 존치기간은 시멘트의 종류, 천후, 기온, 하중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슬래브 거푸집의 경우 타설된 콘크리트가 설계 기준 재령 28일 강도의 2/3 이상의 강도를 발휘하는 초기 경화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존치하게 되며, 상온 10℃ 이상에서는 대략 7~8일 이상이 소요된다. 이러한 존치기간은 타설된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초기 양생 되어 거푸집을 해체하는 것이 가능할 정도임을 의미하는 것이고, 존치 기간이 경과하였다 하여 거푸집 제거 후 그 상부에 거푸집을 재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거푸집 존치 초기 양생 기간이 경과하여 거푸집을 해체하더라도 상층의 거푸집 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슬래브 구조체가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추가의 잔존 양생 기간을 거쳐야하므로 공기 지연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상부층 거푸집 공사를 조기에 착수하기 위해서는 슬래브 거푸집을 해체한 후에, 슬래브 구조체의 하부에 별도의 지지 보강 수단을 설치해야 하므로 추가 작업 및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콘크리트 구조물 축조 공사시 별도의 지지 보강 수단의 설치 없이 하층의 초기 양생과 동시에 상층의 시공을 가능하게 하여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플라잉 폼의 일부분의 조기 탈형이 가능하므로 거푸집의 설치 후 해체 및 재조립 사용에 이르는 시간이 단축되고, 잔존하는 동바리 구조 부분은 기설치 상태대로 존치되어 양생중인 콘크리트의 품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므로 가설공사 비용을 절감하여 시공경제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물의 시공시 특히 슬래브 시공에 사용되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플라잉 폼은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거푸집 널과 장선, 멍에의 보강재가 일체로 된 거푸집 판, 거푸집 판을 지지하는 지지구조인 동바리 등을 일체로 제작한 거푸집을 일컫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플라잉 폼에서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제공하데, 지주가 되는 것으로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강관기둥;과 상기 강관기둥의 상단에서 강관기둥과 연결되어 차후 거푸집 판에 연결되어 거푸집 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받침대; 및 강관기둥 하부에서 바닥에 강관기둥을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지지대;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강관기둥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강관기둥과 상기 받침대 및 지지대의 연결부에서는 상기 받침대 및 지지대의 회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거푸집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기 강관기둥과 상기 받침대 및 지지대의 연결부와 회전구조는 다양한 배열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철근트러스를 사용하는 합판 거푸집 공법과 접목시공하면 소요공기 및 노동력을 획기적으로 절감한다. 이러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강관기둥의 상부 및 하부에 스크류관을 사용할 수 있다. 강관기둥 하부의 지지대는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한데, 판재를 연결시켜 사용하거나 평면 트러스 형태로서 지지대를 구성하거나 강관기둥을 중심으로 방사형의 보조지지수단을 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에서, 상기 강관기둥의 상단에 연결되어 거푸집 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받침대로서 H형강으로 구성 된 것으로, 상기 강관기둥의 상단에 H형강의 플랜지 바닥면이 오도록 하여 상기 강관기둥과 연결되는 형강 받침대를 사용하는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제공한다. 받침대로서 H형강을 사용하는 경우 장선으로 형강을 이용하여 장선과 받침대 간의 결합구조가 간단해 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받침대로서는 다양한 형태의 평면 트러스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소량의 부재를 사용하여 높은 강성을 얻게 할 수 있다는 경제상의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구간의 하층 바닥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설치된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 사이에 가새를 설치하는 제2단계; 상기 설치된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의 받침대에 장선을 연결하는 제3단계; 상기 설치된 장선 위에 조립된 거푸집 판을 인양하여 설치하는 제4단계; 상기 설치된 거푸집 판 위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제5단계; 상기 시공된 슬래브 콘크리트의 지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잔존시키고 나머지는 해체하는 제6단계; 상기 해체된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다른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구간으로 이동시켜 제1단계 내지 제6단계를 반복하는 제7단계;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6단계에서 하강용 도르래를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양생중 인 하층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구조적인 무리를 주지 않으며, 상층 슬래브의 거푸집 설치 작업을 조기에 착수할 수 있어, 골조공사에 소요되는 공기를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생되는 하층의 콘크리트 슬래브가 충분한 설계강도를 발현할 때까지의 양생 기간 동안 상기 하층의 콘크리트 슬래브 하부에 슬래브 지지부재, 존치 형틀 및 지주를 설치상태대로 존치시킴으로써 별도의 지지 보강 수단의 설치 없이도 슬래브 축조 시 사용되었던 거푸집의 부분 부재들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는 높이 조절 및 고정부의 회전을 가능케 하므로 거푸집 판넬의 탈형과 반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우수한 품질의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양생중인 하층의 설계 강도의 발현이 완성되기 전에 조기에 탈형 가능한 일부 플라잉 폼을 재활용하여 상층의 거푸집으로 설치함으로써 소정의 플라잉 폼만으로도 구조물 축조가 가능하여 공사비를 절약할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의 실시예로서 받침대 및 지지대로 평면 트러스를 사용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지주가 되는 강관기둥(20)의 상단에는 받침대(1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10)는 차후 거푸집 판을 지지하여 강관기둥(20)으로 그 하중을 이동시키는 역 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강관기둥(20)의 하단에는 상기 강관기둥(20)과 연결되어 바닥에 상기 강관기둥(20)을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자립형의 하부 지지대(30)가 하부 조절부(22)의 연결나사로 높이를 조절 결속하게 된다. 도1에 도시된 상부와 하부의 평면 트러스는 사용될 수 있는 받침대(10) 및 자립형의 지지대(30) 형태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기 받침대(10)는 상부에 돌출부로서 차후 거푸집 판을 지지하는 장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11,12)와 조절부(21)의 높이를 제어하는 받침대 결속부(13)를 포함한다. 상기 강관기둥(20)에는 상기 받침대(10) 및 상기 지지대(30)와의 연결부로서 상기 받침대(10) 및 상기 지지대(30)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강관기둥(20)의 길이 조절이 자유롭도록 하는 강관기둥 상부와 하부의 조절부(21, 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조절부(21, 22)에서는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선등록특허 "건설용 동바리 시스템(20-358791)", 선출원 특허 "동바리 조립용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동바리시스템(10-2005-0030404)", "슬래브거푸집의 조기탈형이 가능한 시스템동바리의 가변지지재(10-2004-0057460)"의 회전가능한 4분할 스크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사용하여 플라잉 폼을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 한 쌍이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설치된 한 쌍의 지지 동바리 구조는 가새(50)에 의해 이격거리 조정 및 형태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된 한 쌍의 지지 동바리 구조 중 어느 한 지지 동바리 구조의 받침대(10)의 주연결부(11)에서 타 지지 동바리 구조의 주연결부(11)에 거푸집 판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선(41)이 연결된다. 상기 고정 장선(41)에 평행하게 거푸집 판을 지지하는 탈, 부착 장선(42)이 한 쌍의 보조연결부(12)에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탈, 부착 장선(42) 위에는 조기 탈형할 거푸집 판넬(43)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장선(41) 위에는 향후 잔존하게 되는 거푸집 판넬(43)이 설치되어 콘크리트 슬래브가 시공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선(41)의 주연결부(11)는 동바리 구조의 받침대(10)와는 독립되도록 구성하여 고정장선(41) 위의 거푸집 판넬이 잔존된 채로 조기 탈형 가능한 타 거푸집 판넬들만이 탈형,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바리 구조의 받침대(10)는 상부 조절대(21)의 높이 조절을 가능케 하여 상부 조절대(21)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탈, 부착 장선(42)의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받침대(10)의 90°회전이 가능하므로 조기 탈형의 거푸집 판넬(43) 하강이 용이하다.
도 2b는 본 발명의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사용하여 플라잉 폼을 설치한 실시예로서 동바리의 받침대(10)인 트러스를 회전시켜 거푸집 판넬(43)을 해체하고 고정장선(41) 위에는 거푸집 판넬(43)이 잔존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화가 진행된 부분의 플라잉 폼의 해체시에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의 상부 조절부(21)에서 강관기둥(20)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여 상기 설치된 장선(42)을 제거하고, 상부 받침대(10)를 회전시켜 손쉽게 거푸집 판을 떼어낼 수 있다. 이때 고정 장선(41)은 주연결부(11)로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에 계속하여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에서는 강관기둥(20)의 길이 조절 및 상부 받침대(10)의 회전으로 거푸집의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상기 강관기둥(20) 하부의 지지대(30) 역시 상부의 거푸집 판넬(43)의 하강 반출에 지장이 되지 않도록 회전이 가능하다.
도 3a는 형강 받침대를 이용한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지주를 구성하는 강관기둥(20)의 상부 끝단에는 H형강으로 이루어진 형강 받침대(60)가 H형강의 플랜지 바닥면이 강관기둥(20)의 상부 끝단에 놓이도록 하여 연결된다. 이때 상기 형강 받침대(60)는 도1의 받침대(10)와 같이 차후 거푸집 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형강 받침대(60)에는 도1의 보조연결부(12)가 불필요한데, 거푸집 판의 받침으로서 형강을 이용한 형강 장선(62)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형강 장선(62)과 상기 형강 받침대(60) 간의 결합이 간단해지는 것이다. 한편 주연결부(11)는 형강 받침대(60)의 중앙에 설치되어 고정 장선(41)을 연결하는 데 필요하다. 상기 강관기둥(20)의 하부 끝단에는 상기 강관기둥(20)과 연결되어 바닥에 상기 강관기둥(20)을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하부 지지대(30)가 연결된다. 도1에서와 같이 강관기둥(20)은 상기 형강 받침대(60) 및 하부 동바리 지지대(3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상기 강관기둥(20)에 연결되고, 상기 강관기둥(20)의 길이 조절이 자유롭도록 상기 강관기둥(20) 상부와 하부의 조절부(21, 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조절부(21, 22)에서는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스크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b는 형강 받침대를 이용한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사용하여 플라잉 폼을 설치한 실시예로서 평면 트러스를 회전시켜 거푸집을 해체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화가 진행된 부분의 플라잉 폼의 해체시에는 상부 조절부(21)에서 강관기둥(20)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여 상기 설치된 형강 장선(42)을 제거하고, 상기 형강 받침대(60)를 회전시켜 손쉽게 거푸집 판을 떼어낼 수 있다. 이 때 고정 장선(41)은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에 계속하여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에 있어 강관기둥(20)의 길이 조절 및 형강 받침대(60)의 회전으로 거푸집 판넬(43)의 탈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상기 강관기둥(20) 하부의 지지대(30) 역시 회전이 가능하므로 거푸집 판넬(43)의 하강 반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4a 및 도 4b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사용하여 플라잉 폼을 설치한 현장의 시공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사용하여 플라잉 폼을 현장 시공에 적용하는 시공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4a의 (가)와 같이 우선 슬래브 콘크 리트 타설 예정 구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본 발명의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의 지지대(30)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30) 위에 강관기둥(20)을 세운다. 다음으로 상기 설치된 강관기둥(20)의 사이에 가새(50) 등을 설치하여 상기 강관기둥(20) 간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고 자립구조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30)는 회전이 가능하므로 자립구조로 세움이 용이한 형태를 갖도록 하고, 거푸집 판넬(43)의 탈형, 하강, 반출시에는 회전하여 반출 장애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거푸집 판넬(43)의 반출 후에는 역회전하여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강관기둥(20) 상단에는 도4a의 (나)와 같이 받침대(10)를 연결하고, 받침대의 연결부(11, 12)에는 장선(41, 42)을 설치하여 추후 거푸집 판을 받칠 수 있도록 하여 F-1슬래브 콘크리트(44)를 타설한다. 도4b의 (다)와 같이 상기 설치된 장선 위에 조립된 거푸집 판(43)을 인양하여 설치하고, F-2 슬래브 콘크리트(44) 타설을 위한 본 발명의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설치한다.
도4b의 (라)와 같이 F-2 슬래브 콘크리트(44) 타설 후에는 필요한 최소한의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슬래브 지지부재로서 잔존시키고, 나머지는 상기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의 받침대(10)의 회전 및 강관기둥(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손쉽게 부분 해체시킨다(도4b의 (마)참조). 해체된 상기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는 다른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위치로 이동되어 현장 내에서 동일 과정을 반복하여 재조립, 재활용된다.
도 5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사용하여 현장의 콘크리트 슬래 브 시공 시에 하강 도르래(31)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사용하여 현장의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시 슬래브의 철근 배근 작업중에 하강용 도르래(31)를 설치한다. 슬래브 거푸집(43)은 도르래의 홈에 맞도록 제작하여 설치한다.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후 도 4b의 공정과 같이 F-1층의 플라잉 폼을 탈형하여 바닥으로 하강할 때에 상기 하강 도르래(31)를 사용한다. 그리고 하강된 플라잉 폼은 도4에 표현된 플라잉 폼의 형강 장선(62)에 일체화 되어 있는 이동바퀴(51)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인양 작업장까지 반출할 수 있다. 상기 하강 도르래(31)는 도르래 부분과 받침부분으로 구분되는데 플라잉 폼의 탈형 작업 후 하강 도르래(31)의 받침부분을 제거하고, 상기 거푸집(43)의 홈이 있었던 부분에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충진하여 마감 처리한다.
본 발명의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양생중인 하층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구조적인 무리를 주지 않으며, 상층 슬래브의 거푸집 설치 작업을 조기에 착수할 수 있어, 골조공사에 소요되는 공기를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잉 폼을 이용하는 경우, 하층의 콘크리트 슬래브가 충분한 설계강도를 발현할 때까지의 양생 기간 동안 하층의 콘크리트 슬래브 하부에 슬래브 지지부재, 존치 형틀 및 지주를 존치시키므로 별도의 지지 보강 수단의 설치 없이도 슬래브 축조 시 사용되었던 거푸집의 부분 부재들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는 높이 조 절 및 고정부의 회전을 가능케 하여 거푸집 판의 원형에 손상 없이 탈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우수한 품질의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는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는 양생중인 하층의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계 강도의 발현이 완성되기 전에, 조기에 탈형 가능한 일부 플라잉 폼을 부분적으로 손쉽게 우선 탈형하고 이를 재활용하여 상층의 거푸집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정의 플라잉 폼만으로도 구조물 축조가 가능케 하여 가설공사비를 절감케 하므로, 경제성이 뛰어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에 이용되는 것으로 거푸집 판, 지주, 해체와 이동을 위한 보조장비로 구성되는 플라잉 폼에서,
    지주를 구성하는 것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강관기둥;
    상기 강관기둥의 상단에 연결되는 받침대;
    상기 강관기둥의 하단에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
  2. 제 1항에서,
    상기 받침대는 평면 트러스로 구성되고, 상기 평면 트러스는 상기 강관기둥의 상단에 연결되며 회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
  3. 제 1항에서,
    상기 받침대는 H형강으로 구성되고, 상기 H형강은 상기 강관기둥의 상단에 H형강의 플랜지 바닥이 오도록 하여 연결되며 회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 을 사용하는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지지대는 평면 트러스의 보조 지지수단을 부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는 강관기둥 하부에 연결되며 회전이 가능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
  5.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구간의 하층 바닥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1항 내지 제 3항의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설치하는 제1단계;
    상기 설치된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 사이에 가새를 설치하는 제2단계;
    상기 설치된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의 받침대에 장선을 연결하는 제3단계;
    상기 설치된 장선 위에 조립된 거푸집 판을 인양하여 설치하는 제4단계;
    상기 설치된 거푸집 판 위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제5단계;
    상기 시공된 슬래브 콘크리트의 지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잔존시키고 나머지는 해체하는 제6단계;
    상기 해체된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다른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구간으로 이동시켜 제1단계 내지 제6단계를 반복하는 제7단계;
    상기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방법.
  6. 제 5항에서,
    제4단계의 거푸집 판 설치시에 도르래를 부가설치하여 제6단계의 플라잉 폼의 탈형, 하강시에 상기 도르래를 사용하는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방법.
KR1020050108551A 2005-11-14 2005-11-14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KR100738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551A KR100738410B1 (ko) 2005-11-14 2005-11-14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551A KR100738410B1 (ko) 2005-11-14 2005-11-14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104A true KR20070051104A (ko) 2007-05-17
KR100738410B1 KR100738410B1 (ko) 2007-07-11

Family

ID=38274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551A KR100738410B1 (ko) 2005-11-14 2005-11-14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41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6659A (zh) * 2013-09-12 2014-05-21 如皋市江源电力工程有限公司 超厚预应力转换板单层综合支撑与控裂控温施工工艺
CN104847109A (zh) * 2015-03-20 2015-08-19 福建工程学院 一种混凝土模板工具式框架支撑系统及施工方法
CN105735637A (zh) * 2014-12-11 2016-07-06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筒仓重型梁模板双层托架支撑体系
CN106013780A (zh) * 2016-06-30 2016-10-12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一种楼板模板安全支撑装置
CN106150083A (zh) * 2016-08-21 2016-11-23 中铁四局集团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地铁车辆段梁板混凝土结构施工用的滑模平台
CN106759966A (zh) * 2016-12-28 2017-05-31 山东万鑫建设有限公司 沉降后浇带型钢转换柱临时支撑施工方法
US9841220B2 (en) 2013-09-05 2017-12-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CN109457952A (zh) * 2018-11-20 2019-03-12 中建四局第六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后浇带悬臂的回顶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790755A (zh) * 2022-05-18 2022-07-26 中国机械工业第二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混凝土筏板后浇带施工缝模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7648A (zh) * 2012-03-17 2012-07-18 浙江城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门式钢管与扣件式钢管组合模板支架装置及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033B1 (ko) * 1995-09-12 1998-12-15 김재연 건축용 슬라브 폼 지지장치
KR200257105Y1 (ko) 1999-02-22 2001-12-24 최영근 확폭식 동바리 조립체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1220B2 (en) 2013-09-05 2017-12-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CN103806659A (zh) * 2013-09-12 2014-05-21 如皋市江源电力工程有限公司 超厚预应力转换板单层综合支撑与控裂控温施工工艺
CN103806659B (zh) * 2013-09-12 2016-02-24 中如建工集团有限公司 超厚预应力转换板单层综合支撑与控裂控温施工工艺
CN105735637A (zh) * 2014-12-11 2016-07-06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筒仓重型梁模板双层托架支撑体系
CN104847109A (zh) * 2015-03-20 2015-08-19 福建工程学院 一种混凝土模板工具式框架支撑系统及施工方法
CN106013780A (zh) * 2016-06-30 2016-10-12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一种楼板模板安全支撑装置
CN106150083A (zh) * 2016-08-21 2016-11-23 中铁四局集团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地铁车辆段梁板混凝土结构施工用的滑模平台
CN106759966A (zh) * 2016-12-28 2017-05-31 山东万鑫建设有限公司 沉降后浇带型钢转换柱临时支撑施工方法
CN109457952A (zh) * 2018-11-20 2019-03-12 中建四局第六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后浇带悬臂的回顶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790755A (zh) * 2022-05-18 2022-07-26 中国机械工业第二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混凝土筏板后浇带施工缝模板
CN114790755B (zh) * 2022-05-18 2023-11-07 中国机械工业第二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混凝土筏板后浇带施工缝模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410B1 (ko) 200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8410B1 (ko) 플라잉 폼 용 자립형 동바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WO2014182539A2 (en) Method and system for rapid construction of structurally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using prefabricated assembli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2251657B (zh) 一种装配式框架梁板的起拱支模方法
CN110905113A (zh) 一种大跨度混凝土穹顶结构施工方法
KR20070010449A (ko) 아치교의 시공 방법
KR101140884B1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9610707B (zh) 一种预制钢梁与楼板平齐的装配结构及快速施工方法
KR102430362B1 (ko) 사일로 내부 콘 프리캐스트 시공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사일로 내부 콘의 프리캐스트 시공방법
KR20200107332A (ko)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및 바닥 슬래브 동시 시공방법
JP2002030615A (ja) 塔状構造物の構築方法
KR20040102272A (ko) 연속압출공법을 적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더블-티이 교량 상판 및 그 거푸집
KR200184988Y1 (ko) 키커블럭을 이용한 철재 거푸집 설치구조
CN110185254A (zh) 一种组合式铝合金模板系统及其应用方法
JPH116296A (ja) コンクリートの打設施工方法
AU20052878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JP2884440B2 (ja) コンクリート角柱構築用の型枠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柱の構築工法
KR102425501B1 (ko) 프리캐스트와 슬립폼을 이용한 사일로 시공방법
JP2003119806A (ja) 地下タンクの側壁構築装置、及び側壁構築方法
CN215594550U (zh) 免拆型叠合板
JP2002250130A (ja) 多層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CN214994907U (zh) 一种轻钢结构轻混凝土预制装配建筑
JP7199439B2 (ja) 建造物建設方法
KR20010049143A (ko) 키커블럭을 이용한 철재 거푸집 수직인상공법
KR100386354B1 (ko) 슬립폼 공법을 이용한 고층 집합 주거건물의 시공방법
RU2617813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сборного многоэтажного железобетонного каркаса здания с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м напряжен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