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261A - 전자나침반을 이용한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나침반을 이용한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261A
KR20070050261A KR1020050107632A KR20050107632A KR20070050261A KR 20070050261 A KR20070050261 A KR 20070050261A KR 1020050107632 A KR1020050107632 A KR 1020050107632A KR 20050107632 A KR20050107632 A KR 20050107632A KR 20070050261 A KR20070050261 A KR 20070050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portable terminal
path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0943B1 (ko
Inventor
강영규
Original Assignee
(주)카피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피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카피온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50107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943B1/ko
Publication of KR20070050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82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continuous-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8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continuous-type signals are transmitted for distance determination by phase measur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전자 나침반과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시각장애우용 경로안내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경로안내시스템은 크게 경로 탐지기 및 휴대용 단말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경로 탐지기는 RFID 태그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RF 리더부와, 외부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RF 리더부에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휴대용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기 위한 목적지입력모듈과, 상기 경로 탐지기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출발점으로 하고 상기 목적지입력모듈에 입력된 목적지를 도착점으로 하는 이동경로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해 지리정보 DB로부터 추출하는 경로탐색모듈과, 상기 추출된 이동경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안내모듈로 이루어지는 지리정보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경로 탐지기의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방향 안내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나침반을 구동시켜 현재 방향을 파악하고, 파악된 현재 방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각장애우, RFID, 경로탐색, 경로안내, 지팡이, 전자 나침반, 블루투스

Description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Navigation system based 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경로안내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경로안내시스템 중 RFID 태그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RFID 태그가 보도블록에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
도 4는 본 발명의 경로안내시스템 중 경로 탐지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상기 경로 탐지기가 지팡이 형태로 구현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상기 경로 탐지기의 입력부에 대한 일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경로안내시스템 중 휴대용 단말에 구비된 지리정보 프로그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경로안내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9는 본 발명의 경로안내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RFID 태그의 배치도.
도 10은 상기 RFID 태그의 배치도 중 특정 RFID 태그에 저장된 위치정보의 구조도.
본 발명은 전자 나침반과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시각장애우용 경로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특정 지점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RFID 태그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휴대용 단말에 전달하는 경로 탐지기와, 전달받은 위치정보를 토대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산출하고 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휴대용 단말로 이루어지는 경로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길을 모르는 초보 운전자나 낯선 지방으로 출장이 잦은 비즈니스맨들에게 차량용 경로안내장치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는 추세에 있다. 차량용 경로안내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주기적으로 파악하고,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키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받아 현재 지점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자체 내장된 지리정보 DB로부터 추출한 후,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주요 경유지에서 다음 이동지를 음성 및 지도로 안내해주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경로안내장치는 차량을 그 대상으로 하므로 도로상의 이동경로만을 안내해줄 뿐 보행자를 위한 보도상의 이동경로는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고가(高價)의 장비인 GPS 수신기를 장착해야 하고 필요에 따라 GPS 위성 사용료 또는 GPS 정보 이용료를 지불해야 한다는 점, 목적지 및 경로안내명령의 입력 수단으로 수작업 기 반의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만을 제공하므로 시각장애우나 정보 입력 개념이 약한 노약자들이 이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 경로탐색을 위한 전국의 지리정보를 모두 저장하는 대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하여야 하나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지리정보는 일정 범위 내에 지나지 않으므로 메모리 이용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점, 단순히 경로탐색이나 카메라의 위치를 제공해줄 뿐 특정 지역에 대한 기타 관련 정보는 제공받을 수 없다는 점 등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각장애우를 위한 음성 안내 기능을 구비하는 각종 편의 장치가 선보인 바 있지만 특정 목적지까지 도보상의 경로를 안내해주는 시스템은 아직까지 개발된 바가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는 RFID 시스템을 이용하되 특정 지점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RFID 태그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휴대용 단말에 전달하는 경로 탐지기와, 전달받은 위치정보를 토대로 목적지까지의 보행 경로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휴대용 단말을 제공하여 시각장애우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에 사용자의 음성에 의한 목적지 입력 또는 경로안내명령 입력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모듈을 마련하여 시각장애우의 편의를 도모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로안내에 따라 이동하는 도중이라도 필요에 따라 현재 이동중인 방향을 알고 싶은 경우 현재 방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음성으로 안내해주는 전자 나침반을 경로 탐지기 자체에 장착하여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사용자의 활동 범위, 자주 방문하는 장소 등의 행동 패턴을 수집 분석하여 그에 관련된 지리정보만을 제공하는 소정의 서버를 제공하여 휴대용 단말이 경로 탐색을 위한 최적의 지리정보 DB를 유지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지역에 대한 컨텐츠를 구비하는 소정의 서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다다르면 해당 지역에 대한 특산물, 축제, 뉴스, 기상 등과 같은 지역 관련 컨텐츠를 자동으로 제공해 줌으로써 보다 풍부한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로안내시스템은, RFID 태그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RF 리더부와, 휴대용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RF 리더부에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경로 탐지기 및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기 위한 목적지입력모듈과, 상기 경로 탐지기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출발점으로 하고 상기 목적지입력모듈에 입력된 목적지를 도착점으로 하는 이동경로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해 지리정보 DB로부터 추출하는 경로탐색모듈과, 상기 추출된 이동경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안내모듈로 이루어지 는 지리정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지리정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경로 탐지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경로 탐지기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방향의 안내를 명령받기 위한 입력부와, 사용자의 현재 방향을 파악하기 위한 전자 나침반과,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로 탐지기의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현재 방향 안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 나침반을 구동시켜 현재 방향을 파악하고, 파악된 현재 방향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ID 태그는 보도블록의 일부에 장착되며,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경로 탐지기가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함에 따라 상기 경로 탐지기로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RF 통신모듈과, 상기 보도블록의 단면에 인레이(Inray) 형태로 구비되는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RFID 태그가 제공하는 위치정보는 상기 RFID 태그의 식별 정보, 주변에 위치한 RFID 태그들의 상대적인 방위 정보 및 거리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경로 탐지기는 지팡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경로 탐지기의 RF 리더부는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RFID 수신모듈 및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RFID 수신모듈,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제어부는 지팡이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는 지팡이의 끝 부분에 원형의 인레이(Inray)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 한편으로, 상기 경로 탐지기는 지팡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경로 탐지기의 전자 나침반은 지팡이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경로 탐지기의 입력부는, 지팡이의 손잡이 부분에 형성된 엄지손가락 파지를 위한 홈의 일부에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의 목적지입력모듈은 사용자로부터 경로안내명령을 음성으로 입력받아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인식모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의 음성안내모듈은 경로 탐지기로부터 특정 RFID 태그의 위치정보가 전송될 때마다, 상기 추출된 이동경로에 따른 해당 위치에서의 이동방향을 음성으로 안내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음성안내모듈은 경로 탐지기로부터 특정 RFID 태그의 위치정보 및 현재 방향 정보가 전송될 때마다, 상기 추출된 이동경로에 따른 해당 위치 및 현재 방향에서의 이동방향을 음성으로 안내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경로 탐지기의 제어부는 특정 RFID 태그로부터 위치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전자 나침반을 구동시켜 현재 방향을 파악하고 이를 상기 휴대용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지리정보 프로그램은 경로 탐지기로부터 특정 RFID 태그의 위치정보가 전송될 때마다 해당 위치가 상기 이동경로상에 존재하는지 파악하고, 이동경로를 벗어난 경우 최근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출발점으로 하는 새로운 경로를 재탐색하는 경로 재탐색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용 단말은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의 지리정보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이동패턴을 수집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패턴수집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안내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 및 휴대용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이동패턴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특정 사용자의 프로파일 및 해당 사용자의 이동패턴과 관련된 지리정보로 구성된 지리정보 DB를 해당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로 제공하는 프로파일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은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의 지리정보 프로그램은 경로 탐지기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알림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안내시스템은, 특정 휴대용 단말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 관련 컨텐츠를 해당 휴대용 단말로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를 더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의 지리정보 프로그램의 음성안내모듈은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지역 관련 컨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역 관련 컨텐츠는 특정 지역의 날씨, 뉴스, 특산품, 관광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경로안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을 통해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안내해주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여기서 RFID 시스템은 무선 주파수 인식을 통한 자동인식기술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크게 RF 리더(Reader)와 트랜스폰더라고도 불리는 RFID 태그(Tag)로 이루어지며, 리더의 안테나에서 전파를 발산하는 동안 소정의 아이디(ID) 및 기타 정보가 저장된 RFID 태그가 그 Magnetic Field 내에 들어가 활성화되면 자신이 가지고 있는 ID와 기타 정보를 안테나를 통해 리더로 송신하고, 리더는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원리를 염두에 두고 본 발명의 경로안내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RFID 태그(Tag)(110)는 사람의 통행을 위한 보도(步道)에 일정 거리마다 설치되어 있는 각종 기물, 즉 보도블록이나 전봇대, 가로등, 간판 등에 장착되어 있으면서, RF 리더기가 접근함에 따라 미리 저장하고 있던 소정의 위치정보를 RF 리더기에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는 상기 각종 기물들 중에서 특히 시각장애우들을 위한 점자 보도블록에 장착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의 경로안내시스템 중 RFID 태그(110)의 내부 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이러한 RFID 태그(110)가 보도블록에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RFID 태그(110)는 당해 태그가 위치한 지점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11)와, RF 리더기가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함에 따라 저장된 위치정보를 전송해주 는 RF 통신모듈(112) 및 안테나(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메모리부 (111)및 RF 통신모듈(112)은 마이크로 원칩(Micro Onechip)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원칩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비하기 위해 보도블록의 상판(101)과 하판(102) 사이에 장착되고, 안테나(113)는 전계 효과가 최대로 발생할 수 있도록 보도블록의 상판(101)과 하판(102) 사이에 동심(同心)이면서 한쪽 끝이 단절된 중복된 사각형 또는 원형 형상의 인레이(Inray) 형태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이와 같은 마이크로 원칩 및 안테나는 PVC 압축 비닐 등과 같은 소재로 방수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경로 탐지기(120)는 일차적으로 RFID 태그(11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130)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담당하며, 부차적으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현재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 또는 현재 경로 탐지기가 지향하고 있는 방향을 파악하여 음성으로 안내해주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상기 도 2, 3의 설명에서 언급한 RF 리더기는 여기서의 경로 탐지기(120)를 지칭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로 탐지기로서 특히 시각장애우용 지팡이가 이용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내부 구성을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경로 탐지기(120)는 RFID 태그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RF 리더부(121)와, 휴대용 단말(13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124)와, RF 리더부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124)를 통해 휴대용 단말(130)로 전송하는 제어부(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 사용자로부터 현 재 방향 안내를 명령받기 위한 입력부(126)와, 사용자의 현재 방향을 파악하기 위한 전자 나침반(127) 및 스피커(128)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어부(125)는 사용자에 의해 현재 방향의 안내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나침반(127)을 구동시켜 현재 방향을 파악하고, 파악된 현재 방향을 스피커(128)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야 한다.
또한, 제어부(125)는 RFID 태그(110)로부터 위치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전자 나침반(127)을 구동시켜 현재 방향을 파악하고 이를 휴대용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전송된 현재 방향 정보는 RFID 태그(110)의 위치정보와 함께 휴대용 단말이 현재 사용자의 이동 방향까지 감안한 보다 구체적인 경로안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RF 리더부(121)는 RFID 태그(11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RFID 수신모듈(122)과 안테나(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외에도 상기 경로 탐지기(120)에는 RFID 태그(11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도면에 미도시) 및 상기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도면에 미도시) 등 경로 탐지기(120)를 원활하게 구동시키기 위한 제반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24)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경로 탐지기(120)와 휴대용 단말(130)이 이격되어 위치하는 점을 가정할 때 블루투스나 IrDA 등과 같은 근거리용 무선 통신으로 구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은 경로 탐지기(120)는 지갑이나 볼펜, 안경, 목걸이 등의 소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경로 산출을 위한 휴대용 단말(130)에 내장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각장애우나 노약자를 감안하여 특히 지팡이 형태의 구현을 예정하고 있는바, 아래에서는 상기 각 구성들이 지팡이의 어느 부위에 배치되는지를 도 5를 참고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경로 탐지기(120)가 지팡이로 구현된 경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보듯, RFID 수신모듈(122), 통신 인터페이스(124) 및 제어부(125) 등 안테나(123)를 제외한 제 구성요소들은 지팡이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되고, 안테나(501)는 지팡이의 끝 부분에 원형의 인레이(Inray) 형태로 형성되며 RFID 수신모듈(122)과는 지팡이의 봉 부분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최대의 전계 효과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로 탐지기(120)에 현재 방향 안내 명령을 내리기 위한 입력부(126)가 구비되는 경우, 이와 같은 입력부(126)는 도 6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지팡이의 손잡이 부분에 형성된 엄지손가락 파지를 위한 홈의 일부에 버튼(601)으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지팡이를 쥘 때마다 지팡이가 항상 정면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휴대용 단말(130)은 일차적으로 사용자의 경로안내명령이 입력되면 목적지로의 경로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부차적으로는 특정 지점에 도달함에 따라 해당 지역과 관련한 각종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130)은 이동경로탐색 및 안내를 위한 지리정보 프로그램(131-1)과 지리정보 DB(131-2)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131)와, 지리정보 프로그램(131-1)을 실행시키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32)와, 경로 탐지기(1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그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리정보 프로그램(131-1)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기 위한 목적지입력모듈(11)과, 경로 탐지기(120)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출발점으로 하고 목적지입력모듈(11)에 입력된 목적지를 도착점으로 하는 이동경로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해 지리정보 DB(132)로부터 추출하는 경로탐색모듈(12)과, 추출된 이동경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안내모듈(14)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지리정보 프로그램(131)에는 경로 탐지기(120)로부터 위치정보가 전송될 때마다 해당 위치가 상기 추출된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지 분석하고, 이동경로를 벗어난 경우 최근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출발점으로 하여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재탐색 모듈(1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주로 시각장애우를 배려하여 안출된 점을 감안할 때 상기 지리정보 프로그램(131-1)의 목적지입력모듈(11)은 사용자로부터 경로안내명령을 음성으로 입력받아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인식모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성안내모듈(14)은 사용자가 특정 보도블록에 접근하여 경로 탐지기 (120)가 해당 보도블록에 장착된 RFID 태그(11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한 경우, 경로 탐지기(120)로부터 위치정보가 전송되어 오면 해당 위치를 미리 산출한 이동경로에서 확인한 후 앞으로 이동해야 할 방향을 음성으로 안내해주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게는 "현재 위치는 ○○○입니다. 여기서 북쪽으로 40미터 이동하여 △△△로 가십시오." 와 같은 안내 멘트가 출력되며, 사용자는 현재 이동방향을 경로 탐지기(120)를 통해 먼저 파악한 후 (만약 현재 방향이 서쪽이라면) 비로소 오른쪽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음성안내모듈(14)은 사용자가 특정 보도블록에 접근하여 경로 탐지기(120)가 해당 보도블록에 장착된 RFID 태그(11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전자 나침반(127)을 구동하여 해당 지점에서의 현재 방향을 파악한 경우, 경로 탐지기(120)로부터 위치정보 및 현재 방향정보가 전송되어 오면 해당 위치 및 현재 방향을 미리 산출한 이동 경로에서 확인한 후 앞으로 이동해야 할 방향을 현재 이동중인 방향을 감안하여 음성으로 안내해주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게는 "현재 위치는 ○○○입니다. (현재 방향은 서쪽이므로) 오른쪽으로 40미터 이동하여 △△△로 가십시오" 와 같은 안내 멘트가 출력되며, 사용자는 별도로 경로 탐지기(120)를 작동시켜 현재 방향을 파악할 필요가 없다.
한편, 본 발명의 경로안내시스템에는 특정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게 맞춤형 지리정보 DB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파일 서버(140) 및/또는 특정 지점의 지역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서버(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프로파일 서버(140)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이름, 주소 등과 같은 개인 정보 및 자주 찾는 장소, 사고 전력이 있는 장소 등과 같은 사용자의 이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파일 DB(141) 및 경로탐색에 필요한 각종 지리정보, 안내음성정보 등을 포함하는 지리정보 DB(142)를 유지하고 있으면서, 지리정보 DB(142)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프로파일 및 해당 사용자의 이동패턴과 관련된 특정 부분만을 발췌하여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 등이 통신망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로 전송한다.
따라서, 이 경우의 휴대용 단말(130)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34)를 더 포함하여야 하며, 휴대용 단말(130)의 지리정보 프로그램(131)에는 사용자가 자주 가는 장소, 사고 전력이 있는 장소 등과 같은 이동패턴을 수집하여 프로파일 서버(140)로 전송하는 패턴수집모듈(15)을 더 포함하여야 한다. 여기서, 무선통신부(134)는 CDMA, WCDMA 등의 이동망 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모듈 또는 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는 데이터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130)로는 셀룰러 폰, PCS 폰, PDA 폰 또는 인터넷 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서버(150)는 특정 지역의 날씨, 뉴스, 특산품, 관광 정보 등과 같은 지역 관련 컨텐츠를 저장하는 지역 컨텐츠 DB(151)를 유지하고 있으면서, 특정 휴대용 단말(130)로부터 위치정보가 전송되면 지역 컨텐츠 DB(151)로부터 그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관련 컨텐츠를 추출하여 통신망을 통해 해당 휴대용 단말(130)로 제공한다.
따라서, 이 경우의 휴대용 단말(130) 역시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34)를 더 포함하여야 하며, 휴대용 단말(130)의 지리정보 프로그램(131)에는 경로 탐지기(120)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위치알림모듈(16)을 더 포함하여야 하고, 더불어 상기 지리정보 프로그램(131)의 음성안내모듈(14)은 컨텐츠 서버(140)로부터 전송받은 지역 관련 컨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야 한다.
이제, 위와 같은 구성들을 구비하는 경로안내시스템을 통해 시각장애우가 특정 목적지를 찾아가는 과정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의 경로안내시스템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9는 상기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상의 RFID 태그 배치도이며, 도 10은 특정 RF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조도이다.
사용자는 도 9의 ③번 분기점에서 본 경로안내시스템을 이용하기 시작한다고 가정한다. 경로 탐지기를 기동시키고, 휴대용 단말의 지리정보 프로그램을 실행시면, 경로 탐지기가 바로 근처에 있는 ③번 분기점의 점자 보도블록에 설치된 RFID 태그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로 전송한다(S801). 이때, 수신된 위치정보는 해당 보도블록의 ID(1001), 해당 보도블록의 이름(1002), 해당 보도블록으로부터 북쪽으로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보도블록의 ID 및 거리(1003), 해당 보도블록으로부터 남쪽으로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보도블록의 ID 및 거 리(1004), 해당 보도블록으로부터 동쪽으로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보도블록의 ID 및 거리(1005), 해당 보도블록으로부터 서쪽으로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보도블록의 ID 및 거리(1005)를 포함하고 있다.
이어서, 휴대용 단말에 "당산역" 또는 "당산역 안내" 또는 "경로안내"-"당산역"와 같은 음성을 입력하여 특정 지점으로의 경로안내를 명령하면(803), 휴대용 단말의 지리정보 프로그램은 상기 ③번 분기점에서 수신한 위치정보를 통해 ③번 분기점을 현재 위치로 간주하여 이를 출발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음성 입력된 "당산역"로 가기 위하여 해당하는 위치정보(당산역 ⑥번 개찰구의 RFID 태그의 ID값)를 지리정보 DB를 검색하여 찾아낸 후 이를 도착점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출발점 및 도착점 사이의 이동경로를 소정의 경로탐색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지리정보 DB로부터 추출해낸다(S805).
지리정보 프로그램은 상기 추출된 이동경로 중 현재 지점인 ③번 분기점에서 이동해야 할 방향을 음성으로 안내하고 사용자는 이에 따라 이동을 시작한다. 이동중에 다음 지점(⑤번 분기점)의 RFID 태그에 접근하여 그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으면, 그 위치정보가 상기 산출된 이동경로에 포함되어 있는지 검사하여 올바르게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811).
만약 올바르게 이동하지 않고 엉뚱한 지점으로 가버린 경우라면 ⑤번 분기점을 새로운 시작점으로 하여 이동경로를 재탐색한 후(S813), 상기 S811 단계부터 반복한다.
올바르게 이동하여 ⑤번 분기점에 도달한 경우라면 사용자는 "서쪽 방향의 30미터 전방에 당산역 개찰구(⑥번 분기점)가 있습니다."라는 음성 안내를 받기 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는 상기 S811 단계에서 ⑤번 분기점의 위치정보 외에 전자 나침반을 통한 현재 방향정보까지 수신받은 경우라면, 그 위치정보가 상기 산출된 이동경로에 포함되어 있는지와 현재 방향이 그 이동경로에 적절한가를 검사하여 올바르게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올바르게 이동한 경우라면 현재 사용자는 북쪽을 향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를 감안하여 "왼쪽 방향의 30미터 전방에 당산역 개찰구(⑥번 분기점)가 있습니다."라는 음성 안내를 받게 된다.
전자의 음성 안내를 받은 경우라면 앞으로의 이동 방향은 서쪽이지만 현재의 이동 방향은 어디인지가 궁금할 수가 있으며, 한편으로는 이와 같은 경로안내를 받는 것과는 별도로 현재 이동방향에 대한 확인을 원할 때가 있다. 이때, 사용자는 경로 탐지기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현재 방향 안내를 명할 수 있으며(S815), 경로 탐지기는 내장된 전자 나침반을 구동시켜 현재 방향을 파악하고 "현재 이동중인 방향은 서쪽입니다."와 같은 방식으로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817).
만약, 올바르게 이동하여 ⑤번 분기점에 도달한 경우 해당 보도블록의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는 휴대용 단말을 통해 컨텐츠 서버로 전송되는데, 컨텐츠 서버는 전송받은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소정의 지역 정보 컨텐츠를 휴대용 단말로 전송해주고(S819), 이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은 "⑤번 분기점에서는 현재 불우이웃돕기 자선모금 행사가 진행중입니다."와 같이 해당 컨텐츠를 음성으로 안내해준다(S821).
한편, 올바르게 이동하여 ⑤번 분기점에 도달한 경우 해당 보도블록의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는 휴대용 단말을 통해 프로파일 서버로 전송되는데, 프로파일 서버는 이와 같은 위치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이동패턴으로 하여 저장 관리하고 해당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가, 소정의 주기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패턴 및 개인 정보에 관련된 위치정보만을 위치정보 DB에서 추출하여 해당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로 전송해 줌으로써 휴대용 단말이 사용자가 평소 이동하던 지점에 대한 지역정보만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최종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S807 내지 S821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목적지에 도착하면(S823) 지리정보 프로그램의 경로안내를 종료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경로 탐지기(120)의 입력부(126)는 현재 방향 안내 명령을 위한 버튼 외에도 목적지 입력, 경로 재탐색, 지역 컨텐츠 청취 등 경로안내와 관련한 각종 명령을 휴대용 단말(130)에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버튼들은 시각장애우용 점자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 곳곳의 보도블록 등에 장 착된 RFID 태그와 RF 리더기가 장착된 지팡이 형태의 경로 탐지기를 통해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휴대용 단말을 통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음성으로 안내받을 수 있으므로 시각장애우도 안내견의 도움 없이 스스로 목적지를 설정하여 찾아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각장애우가 목적지로 이동하는 도중 현재 이동중인 방향이 궁금한 경우에도 경로 탐지기에 내장된 전자 나침반을 통해 언제라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시각장애우의 활동 범위, 자주 방문하는 장소 등의 행동 패턴에 따라 최적화된 지리정보 DB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의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다다름에 따라 해당 지역에 대한 특산물, 축제, 뉴스, 기상 등과 같은 지역 관련 컨텐츠를 음성을 통해 자동으로 제공해주므로 단순한 경로안내 외에 시각장애우에게 풍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RFID 태그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RF 리더부와, 휴대용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RF 리더부에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경로 탐지기; 및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기 위한 목적지입력모듈과, 상기 경로 탐지기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출발점으로 하고 상기 목적지입력모듈에 입력된 목적지를 도착점으로 하는 이동경로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해 지리정보 DB로부터 추출하는 경로탐색모듈과, 상기 추출된 이동경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안내모듈로 이루어지는 지리정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지리정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경로 탐지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
    로 이루어지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지기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방향의 안내를 명령받기 위한 입력부와, 사용자의 현재 방향을 파악하기 위한 전자 나침반과,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로 탐지기의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현재 방향 안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 나침반을 구동시켜 현재 방향을 파악하고, 파악된 현재 방향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보도블록의 일부에 장착되며,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경로 탐지기가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함에 따라 상기 경로 탐지기로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RF 통신모듈과, 상기 보도블록의 단면에 인레이(Inray) 형태로 구비되는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가 제공하는 위치정보는 상기 RFID 태그의 식별 정보, 주변에 위치한 RFID 태그들의 상대적인 방위 정보 및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지기는 지팡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경로 탐지기의 RF 리더부는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RFID 수신모듈 및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RFID 수신모듈,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제어부는 지팡이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는 지팡이의 끝 부분에 원형의 인레이(Inray)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지기는 지팡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경로 탐지기의 전자 나침반은 지팡이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경로 탐지기의 입력부는, 지팡이의 손잡이 부분에 형성된 엄지손가락 파지를 위한 홈의 일부에 버튼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목적지입력모듈은
    사용자로부터 경로안내명령을 음성으로 입력받아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인식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음성안내모듈은
    경로 탐지기로부터 특정 RFID 태그의 위치정보가 전송될 때마다, 상기 추출된 이동경로에 따른 해당 위치에서의 이동방향을 음성으로 안내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음성안내모듈은 경로 탐지기로부터 특정 RFID 태그의 위치정보 및 현재 방향 정보가 전송될 때마다, 상기 추출된 이동경로에 따른 해당 위치 및 현재 방향에서의 이동방향을 음성으로 안내해주며,
    상기 경로 탐지기의 제어부는 특정 RFID 태그로부터 위치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전자 나침반을 구동시켜 현재 방향을 파악하고 이를 상기 휴대용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정보 프로그램은
    경로 탐지기로부터 특정 RFID 태그의 위치정보가 전송될 때마다 해당 위치가 상기 이동경로상에 존재하는지 파악하고, 이동경로를 벗어난 경우 최근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출발점으로 하는 새로운 경로를 재탐색하는 경로 재탐색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의 지리정보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이동패턴을 수집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패턴수집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안내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 및 휴대용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이동패 턴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특정 사용자의 프로파일 및 해당 사용자의 이동패턴과 관련된 지리정보로 구성된 지리정보 DB를 해당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로 제공하는 프로파일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의 지리정보 프로그램은 경로 탐지기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알림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안내시스템은, 특정 휴대용 단말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 관련 컨텐츠를 해당 휴대용 단말로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의 지리정보 프로그램의 음성안내모듈은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지역 관련 컨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관련 컨텐츠는 특정 지역의 날씨, 뉴스, 특산품, 관광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14. RFID 태그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RF 리더부;
    휴대용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RF 리더부에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 탐지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지기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방향의 안내를 명령받기 위한 입력부와, 사용자의 현재 방향을 파악하기 위한 전자 나침반과,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로 탐지기의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현재 방향 안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자 나침반을 구동시켜 현재 방향을 파악하고, 파악된 현재 방향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 탐지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가 제공하는 위치정보는 상기 RFID 태그의 식별 정보, 주변에 위치한 RFID 태그들의 상대적인 방위 정보 및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 탐지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지기는 지팡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경로 탐지기의 RF 리더부는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RFID 수신모듈 및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RFID 수신모듈,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제어부는 지팡이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는 지팡이의 끝 부분에 원형의 인레이(Inray)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 탐지기.
  18. 제 14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지기는 지팡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경로 탐지기의 전자 나침반은 지팡이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경로 탐지기의 입력부는, 지팡이의 손잡이 부분에 형성된 엄지손가락 파지를 위한 홈의 일부에 버튼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KR1020050107632A 2005-11-10 2005-11-10 전자나침반을 이용한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KR100720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632A KR100720943B1 (ko) 2005-11-10 2005-11-10 전자나침반을 이용한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632A KR100720943B1 (ko) 2005-11-10 2005-11-10 전자나침반을 이용한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261A true KR20070050261A (ko) 2007-05-15
KR100720943B1 KR100720943B1 (ko) 2007-05-22

Family

ID=38273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632A KR100720943B1 (ko) 2005-11-10 2005-11-10 전자나침반을 이용한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94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734B1 (ko) * 2007-07-30 2009-07-2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통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19790B1 (ko) * 2009-04-08 2009-10-01 (주) 부성 리싸이클링 Rfid를 이용한 위치 찾기 시스템
KR100926505B1 (ko) * 2009-04-01 2009-11-17 (주) 부성 리싸이클링 시각장애인용 차도 경보 장치
KR100967173B1 (ko) * 2008-01-21 2010-07-05 (주)모이텍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방법
KR101032411B1 (ko) * 2009-07-03 2011-05-03 (주)와이앤에이치 이앤씨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KR20210099421A (ko) 2020-02-04 2021-08-1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등산 가이드 스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735B1 (ko) 2009-07-03 2012-03-28 (주)와이앤에이치 이앤씨 Rf비콘을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791A (ko) * 1999-09-22 2001-04-06 김종원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에 플래쉬 메모리 카드 및 엠피3
KR100441965B1 (ko) * 2000-09-27 2004-07-27 이창남 조립식 지붕 방수 시스템
JP3689740B2 (ja) * 2002-05-27 2005-08-31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画像分割処理方法、画像分割処理装置、リアルタイム画像処理方法、リアルタイム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集積化回路
KR20030064686A (ko) * 2003-07-01 2003-08-02 (주) 아이브이콤 유비쿼터스(Ubiquitous) RFID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LBS : Location Based Service) 제공 및 개인 항법 (Personal Navigation) 방식
KR20050043836A (ko) * 2005-04-14 2005-05-11 이광복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 위치 정보제공 시스템
KR20050080187A (ko) * 2005-07-23 2005-08-11 유티정보 주식회사 전파식별방식을 이용한 교통약자 횡단보행 안전지원 시스템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734B1 (ko) * 2007-07-30 2009-07-2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통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67173B1 (ko) * 2008-01-21 2010-07-05 (주)모이텍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방법
KR100926505B1 (ko) * 2009-04-01 2009-11-17 (주) 부성 리싸이클링 시각장애인용 차도 경보 장치
WO2010114212A1 (ko) * 2009-04-01 2010-10-07 (주) 부성 리싸이클링 시각장애인용 차도 경보 장치
KR100919790B1 (ko) * 2009-04-08 2009-10-01 (주) 부성 리싸이클링 Rfid를 이용한 위치 찾기 시스템
WO2010117125A1 (ko) * 2009-04-08 2010-10-14 (주) 부성 리싸이클링 Rfid를 이용한 위치 찾기 시스템
KR101032411B1 (ko) * 2009-07-03 2011-05-03 (주)와이앤에이치 이앤씨 Rfid 태그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
KR20210099421A (ko) 2020-02-04 2021-08-1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등산 가이드 스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943B1 (ko) 200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943B1 (ko) 전자나침반을 이용한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경로안내시스템
US20130002452A1 (en) Light-weight, portable, and wireless navigator for determining when a user who is visually-impaired and/or poorly-oriented can safely cross a street, with or without a traffic light, and know his/her exact location at any given time, and given correct and detailed guidance for translocation
CN105078720A (zh) 一种智能导盲装置
CN103026174A (zh) 导航装置及方法
CN101903747A (zh) 导航装置及方法
KR101109546B1 (ko) 시각장애인용 길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단말
CN202061036U (zh) 物联网环境下的盲人导航系统
CN102037329A (zh) 导航装置和方法
Sammouda et al. Mobile blind navigation system using RFID
JP494469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携帯用端末装置、サーバ装置、携帯用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誘導方法
US20040122591A1 (en) Method of initializing a navigation system
JP3769257B2 (ja) 歩行者誘導システム、歩行者誘導方法、及び進行方向情報生成プログラム
Meliones et al. Blindhelper: A pedestrian navigation system for blinds and visually impaired
JP2015521319A (ja) Gps及びスマートフォンアプリケーションを用いた視覚障害者向け音響信号システム
JP5113566B2 (ja) 通信制御方法、案内用杖、携帯型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688926B2 (ja) 経路誘導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ならびに経路誘導方法
KR20190023017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KR20080049423A (ko) Ucc 기반의 경로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770011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 및 진행 방향 안내 시스템 및 그방법
JP4396891B2 (ja) 視覚障害者用誘導案内システム
JP3200734U (ja) 視覚障害者のための携帯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H11276516A (ja) 音声入出力による視覚障害者用誘導案内システム
JP5216379B2 (ja) 誘導用ブロック
JP2002296064A (ja) 経路案内図表示装置
JP3887650B2 (ja) 歩行者に施設情報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