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960A - 내부 도어 피스 및 캐리어 요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유닛 - Google Patents

내부 도어 피스 및 캐리어 요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960A
KR20070049960A KR1020060106123A KR20060106123A KR20070049960A KR 20070049960 A KR20070049960 A KR 20070049960A KR 1020060106123 A KR1020060106123 A KR 1020060106123A KR 20060106123 A KR20060106123 A KR 20060106123A KR 20070049960 A KR20070049960 A KR 20070049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door
carrier element
door piece
assembly uni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헤이어
Original Assignee
알빈메리토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빈메리토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알빈메리토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49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도어 피스 및 캐리어 요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도어 피스는 장착부를 갖고, 캐리어 요소는 돌출부에 의해 둘러쌓인 홈을 갖으며, 돌출부는 장착부에 맞물림 가능하여, 캐리어 요소가 위치설정된다. 캐리어 요소의 돌출부가 내부 도어 피스내 장착부와 맞물리면, 캐리어 요소가 내부 도어 피스 상에 위치되어, 이를 테면 고정 수단으로 고정된다. 돌출부가 장착부에 삽입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위치설정 뿐만 아니라 고정도 용이하다. 이러한 내부 도어 피스내 장착부는 내부 도어 피스의 인젝션-몰딩 또는 포밍 시 제작된다. 내부 도어 피스가 판금 부분인 경우, 장착부는 스탬핑될 수 있다.
캐리어 요소, 내부 도어 피스

Description

내부 도어 피스 및 캐리어 요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유닛{ASSEMBLY UNIT CONSISTING AN INSIDE DOOR PIECE AND A CARRIER ELEMEM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X로 지시된 영역을 따로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용 도어 12 : 내부 도어 강판
16 : 윈도우 리프터 시스템 20 : 내부 도어 피스
18 : 캐리어 요소 30 : 장착부
본 발명은 내부 도어 피스 및 캐리어 요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유닛, 특히 차량용 어셈블리 유닛에 관한 것이다.
특히, 캐리어 요소는 윈도우 리프터 시스템의 다양한 부품을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캐리어 요소는 또한 윈도우 리프터 시스템의 일부분, 즉 윈도우 리프터 레일일 수도 있다. 용이한 설치 목적을 위하여, 윈도우 리프터 시스템의 부품들이 캐리어 요소에 미리 장착된다. 이 후, 캐리어 요소는 미리 장착된 유닛으로서 차체로 이송된다. 그 다음 미리 장착된 유닛은 내부 도어 피스에 장착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내부 도어 피스"라는 용어는 차체의 측면부, 특히 차량의 도어의 내부 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캐리어 요소는 비싼 나사식 접속에 의해 내부 도어 피스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도어 피스 및 캐리어 요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유닛을 더 개발하여, 용이하고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도어 피스 및 캐리어 요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유닛을 제공하고, 내부 도어 피스는 장착부를 갖고, 캐리어 요소는 돌출부에 의해 둘러쌓인 홈을 갖으며, 돌출부는 장착부에 맞물림 가능하여, 캐리어 요소가 위치설정된다. 캐리어 요소의 돌출부가 내부 도어 피스내 장착부와 맞물림되면, 캐리어 요소가 내부 도어 피스 상에 위치되어, 이를 테면 고정 수단으로 고정된다. 돌출부가 장착부에 삽입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위치설정 뿐만 아니라 장착도 용이하다. 이러한 내부 도어 피스내 장착부는 내부 도어 피스의 인젝션-몰딩 또는 포밍 시 제작된다. 내부 도어 피스가 판금 부분인 경우, 장착부는 스탬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는 캐리어 요소의 굽은 가장자리이다. 캐리어 요소와 일 체형으로 형성된 돌출부는 내부 도어 피스내 장착부에 삽입된 후, 확실하게 전단력을 흡수할 수 있다.
돌출부는 캐리어 요소의 소성적으로 변형된 부분, 즉 스크류 고정을 위한 홈의 가장자리로서 캐리어 요소와 일체로 형성된 엠보싱된 칼라(embossed collar)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에 동심적으로 배열되고 단차형성된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는 개구부가 제공되고, 캐리어 요소를 내부 도어 피스에 고정하도록 고정 수단이 개구부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개구부는 장착부와 직접 연결되며, 특히 장착부는 단차형성된 구멍 형태의 개구부와 연통된다. 고정 수단은 장착부를 관통하여 개구부내에 삽입되며, 즉 스크류 결합된다. 장착부에 의해 위치설정 뿐만이 아니라 장착도 달성되므로, 추가적인 스크류 장착 등은 필요하지 않다.
고정 수단은 셀프 태핑 스크류일 수 있으므로, 결과적인 접속에 의해 캐리어 요소가 내부 도어 피스에 부착될 때의 전단력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고정 수단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스크류이다. 이러한 플라스틱 스크류들은 금속으로 제작되고, 특히 플라스틱 부품과 함께 사용하도록 설계된다. 고정 수단은 플라스틱 부품에서 높은 발출력(extraction force)을 갖는다.
개구부에 삽입 너트가 제공될 수 있다. 연동식 끼워맞춤(interlocking fit)으로 내부 도어 피스와 접속되는 삽입 너트는 회전 운동에 둔감하고, 높은 발출력을 견딘다. 개구부내에 고정 수단을 삽입한 뒤, 캐리어 요소가 내부 도어 피스를 압박하도록 고정 수단의 헤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 요소는 고정 수단의 헤드에 의해 클램핑된다. 이러한 접속은 존재하는 전단력을 흡수할 수 있다.
캐리어 요소는 도어 모듈일 수 있고, 내부 도어 피스는 내부 도어 강판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캐리어 요소는 윈도우 리프터 레일이고, 내부 도어 피스는 도어 모듈이다. 도어 모듈은 포밍되거나 또는 인젝션 몰딩된 플라스틱 피스이며, 예컨대, 이는 동일한 방법으로 내부 도어 강판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 캐리어 요소는 윈도우 리프터 레일이고, 내부 도어 피스는 내부 도어 강판이다. 이 경우에는, 윈도우 리프터 레일이 직접 내부 도어 강판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종속항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는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필수 구성 부품으로 내부 도어 피스 및 캐리어 요소를 갖는 차량용 도어(10)를 나타낸다. 외부 도어 강판(12)와 내부 도어 강판(14) 사이에는 공동이 형성되고, 이 공동 내에는 윈도우 리프터 시스템(16)의 부품이 배열된다.
내부 도어 강판(14)는 이름에 이미 암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판금로 제작된다. 사실, "내부 도어 강판"라는 용어는 기본적으로 금속으로 제작되지 않은,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차량용 도어의 내부 구성부도 또한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캐리어 요소(18)와 내부 도어 피스(20)를 포함하는 어셈 블리 유닛이 도시된다. 캐리어 요소(18)는 윈도우 리프터 시스템(16)의 일부인 윈도우 리프터 레일이다. 윈도우 개폐시 윈도우 리프터 레일 상에 캐리지(17)가 위치될 것이다.
캐리어 요소(18)는 판금부이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및 하부 홈(24)을 갖는다. 양쪽 홈(24)은 둥글고, 스탬핑 시 제작되며, 굽은 가장자리에 의해 둘러싸인다. 굽은 가장자리는 캐리어 요소(18)의 엠보싱된 칼라이며, 캐리어 요소(18)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원통형 돌출부(28)를 형성한다.
내부 도어 피스(20)는 도어 모듈로서 형성되며,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내부 도어 피스(20)는 스크류, 래칭 또는 후크 접속에 의해 내부 도어 강판(14) 상에 부착된다. 나사식 접속을 개략적으로 도면부호(22)로 도시한다.
내부 도어 피스(20)는 내부 도어 피스(20)의 인젝션-몰딩시 생성된 장착부(30)를 갖는다. 원통형 장착부(30)의 깊이는 굽은 가장자리의 높이에 대응하거나, 또는 장착부(30)는 돌출부(28)를 완전하게 수용하기 위하여 돌출부(28)의 높이보다(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좀 더 깊다.
단차형성된 구멍과 같이, 장착부(30)는 개구부(32) 또는 장착부(30)의 중심상에 배열된 구멍과 연통된다. 도 2에 셀프 태핑 스크류(self tapping screw)로서 도시된 고정 수단(34)은 캐리어 요소(18)를 내부 도어 피스(20)에 고정하기 위하여 내부 도어 피스(20)의 개구부(32)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고정 수단(34)은 내부 도어 피스(20)의 장착부(3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 헤드(31)를 구비하므로, 고정 수단(34)이 삽입된 후 캐리어 요소(18)는 헤드 에 의해 클램핑된다.
캐리어 요소(18)를 내부 도어 피스(20)상에 위치설정 및 고정하는 것은 다음 단계에 따라 이루어진다. 캐리어 요소(18)의 돌출부(28)를 내부 도어 피스(20)의 원통형 장착부(30) 내에 삽입한다. 돌출부(28)와 장착부(30)의 직경을, 돌출부(28)가 장착부(30)의 가장자리와 접촉하여 놓여지도록 선택한다. 장착부(30)의 깊이는 돌출부(28)의 높이보다 더 크기 때문에, 캐리어 요소(18)는 내부 도어 피스(20)의 장착부(30)를 둘러싸는 평면부(36)에 접촉하게 놓여진다. 이에 따라, 캐리어 요소(18)는 내부 도어 피스(20) 상에 위치설정된다.
위치설정 후, 조립공이 고정 수단(34)을 장착부(30)를 관통하여 내부 도어 피스(20)의 개구부(32) 내로 나사 결합할 수 있다. 고정 수단(34)을 나사로 죄는 동안, 캐리어 요소(18)는 고정 수단(34)의 헤드(31)에 의해 클램핑되어, 내부 도어 피스(20)에 대한 캐리어 요소(18)의 신뢰성 있고 용이한 고정이 보장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고정 수단(34)은 셀프 태핑 스크류로서 도시된다. 마찬가지로, 적절하다면 셀프 태핑 스크류로 형성된, 금속의 특수한 플라스틱 스크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개구부에 삽입 너트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너트는 내부 도어 피스(20)와 연동식 끼워맞춤으로 접속되므로, 회전 운동에 대한 저항이 향상된다.
설명된 어셈블리 유닛을 사용하여, 내부 도어 피스(20)를 내부 도어 강판(14)에 추가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시 생략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윈도우 리프터 레일을 내부 도어 강판(14)에 직접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상부홈(24)과 장착부(30)만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하부 장착부(30)는 내부 도어 피스(20)에서 연장된 구멍과, 캐리어 요소(18)내 리벳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용 내부 도어 피스 및 캐리어 요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내부 도어 피스와 캐리어 요소 간의 용이하고 신속한 설치가 가능해진다.

Claims (11)

  1. 내부 도어 피스(20) 및 캐리어 요소(18)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유닛으로서,
    상기 내부 도어 피스(20)는 장착부(30)를 갖고,
    상기 캐리어 요소(18)는 돌출부(28)에 의해 둘러쌓인 홈(24)을 갖으며,
    상기 돌출부(28)는 상기 장착부(30)에 맞물림 가능하여, 상기 캐리어 요소(18)가 위치설정되는 것인 어셈블리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8)는 캐리어 요소의 굽은 가장자리인 것인 어셈블리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8)는 상기 캐리어 요소(18)의 소성적으로 변형된 부분인 것인 어셈블리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30)에 동심적으로 배열되고 단차형성된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는 개구부(32)가 제공되고, 상기 캐리어 요소(18)를 상기 내부 도어 피스(20)에 고정하도록 상기 개구부(32) 내에 고정 수단(34)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인 어셈블리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34)은 셀프 태핑 스크류(self tapping screw)인 것인 어셈블리 유닛.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34)은 플라스틱 스크류인 것인 어셈블리 유닛.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2)에는 삽입 너트가 제공되는 것인 어셈블리 유닛.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상기 고정 수단(34)을 삽입한 뒤, 상기 캐리어 요소(18)가 상기 내부 도어 피스(20)를 압박하도록 상기 고정 수단(34)의 헤드(31)를 선택하는 것인 어셈블리 유닛.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요소(18)는 도어 모듈이고, 상기 내부 도어 피스(20)는 내부 도어 강판인 것인 어셈블리 유닛.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요소(18)는 윈도우 리프터 레일이고, 상기 내부 도어 피스(20)는 도어 모듈인 것인 어셈블리 유닛.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요소(18)는 윈도우 리프터 레일이고, 상기 내부 도어 피스(20)는 내부 도어 강판인 것인 어셈블리 유 닛.
KR1020060106123A 2005-11-09 2006-10-31 내부 도어 피스 및 캐리어 요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유닛 KR200700499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5017526U DE202005017526U1 (de) 2005-11-09 2005-11-09 Baugruppe bestehend aus einem Türinnenteil und einem Trägerelement
DE202005017526.9 2005-1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960A true KR20070049960A (ko) 2007-05-14

Family

ID=3553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123A KR20070049960A (ko) 2005-11-09 2006-10-31 내부 도어 피스 및 캐리어 요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01658A1 (ko)
KR (1) KR20070049960A (ko)
CN (1) CN1963131A (ko)
DE (1) DE202005017526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92329T1 (de) * 2005-06-16 2008-05-15 Antolin Grupo Ing Sa Modulträger für fahrzeugtüren, tür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und verfahren zur montage des modulträgers auf einem türrahmen
DE202006012577U1 (de) * 2006-08-11 2007-12-2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Aggregateträger zum Einbau in einer Türstruktur eine Kraftfahrzeugtür
JP5148870B2 (ja) 2006-12-15 2013-02-20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構造
JP5303211B2 (ja) * 2008-04-08 2013-10-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9001274B4 (de) 2009-03-02 2019-02-2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Baugruppe für eine Kraftfahrzeugtür
DE102010031013A1 (de) * 2010-07-06 2012-01-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Kraftfahrzeug-Fensterheber
KR101884204B1 (ko) 2012-03-08 201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DE102021204700A1 (de) 2021-05-10 2022-11-10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Seitentür eines Kraftfahrzeugs
US11851926B1 (en) * 2021-09-23 2023-12-26 Apple Inc. Panel with pivoting and translational mo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9816A (en) * 1979-02-27 1982-05-18 Nissan Motor Co., Ltd. Window glass movement guide apparatus
DE3217640A1 (de) * 1982-03-12 1983-11-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8630 Coburg Fahrzeugtuere
DE19709835B4 (de) * 1997-02-26 2004-05-27 Sommer Allibert-Lignotock Gmbh Fahrzeugtür
US6425208B1 (en) * 2000-08-30 2002-07-3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Vehicle window track adjustments in the vertical and transverse direction
GB0102987D0 (en) * 2001-02-07 2001-03-21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An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63131A (zh) 2007-05-16
US20070101658A1 (en) 2007-05-10
DE202005017526U1 (de)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9960A (ko) 내부 도어 피스 및 캐리어 요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유닛
US9802552B2 (en) Trim panel mounting system for securing a trim panel to a substrate
US7304614B2 (en) Motor-vehicle roof antenna with sheet-metal base plate
US20160258469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age nut having a retaining device
US9482257B2 (en) Configuration comprising a component and a fixing system for elastic attachment of the component to a panel-shaped support part
ATE244347T1 (de) Türfallenanschlag
ATE383977T1 (de) Scheibenwischanlage für fahrzeuge sowie befestigungselement für eine solche anlage
US20080240852A1 (en) Maintaining Device For Fixing A Motor Vehicle Assembly
US8353084B2 (en) Connector device on a retainer device for a cover of an openable vehicle roof
EP1536168A3 (en)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of mounting a component in a structure
JP2007510576A (ja) 車両用ドアのための、一体式ロック固定装置を有するユニットキャリア
US9335205B2 (en) Control device
JP5922162B2 (ja) 自動車用ルーフレール
CN113853311A (zh) 用于减震器的阻尼器轴承的轴承组件以及用于在车辆车身处装配阻尼器轴承的方法
JP6169730B2 (ja) ルーフレール保持具及びルーフレール構造並びにルーフレール構造を備えた車両
RU2118264C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молдинг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865461B1 (ko) 마운팅 플레이트용 고정 장치
KR100922155B1 (ko) 박스의 브라켓
KR100321638B1 (ko) 자동차용 범퍼의 마운팅용 클립
JP2001300658A (ja) 部品の締結構造及び筐体と蓋の締結構造
CN217145863U (zh) 汽车保险杠与装饰板的安装结构及车辆
KR20080050866A (ko) 차량의 도어
KR200407617Y1 (ko) 자동차용 도어 모듈의 어셈블리 하우징 설치구조
KR200156632Y1 (ko) 자동차 부품 취부용 고정수단
KR100397940B1 (ko) 차량용 커튼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