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7737A - 7H-피롤로[2,3-d]피리미딘뿐만 아니라 이들의 치료적으로허용되는 염, 이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 및 활성제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7H-피롤로[2,3-d]피리미딘뿐만 아니라 이들의 치료적으로허용되는 염, 이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 및 활성제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7737A
KR20070047737A KR1020067025009A KR20067025009A KR20070047737A KR 20070047737 A KR20070047737 A KR 20070047737A KR 1020067025009 A KR1020067025009 A KR 1020067025009A KR 20067025009 A KR20067025009 A KR 20067025009A KR 20070047737 A KR20070047737 A KR 20070047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alkyl
pyrrolo
methin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노스 솔크산니
라슬로 오르피
지르지 케리
프리기예 와체크
에리카 핀터
주잔나 헬리예스
타마스 수츠
조세프 네메스
Original Assignee
자노스 솔크산니
지르지 케리
에리카 핀터
프리기예 와체크
조세프 네메스
타마스 수츠
주잔나 헬리예스
라슬로 오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노스 솔크산니, 지르지 케리, 에리카 핀터, 프리기예 와체크, 조세프 네메스, 타마스 수츠, 주잔나 헬리예스, 라슬로 오르피 filed Critical 자노스 솔크산니
Publication of KR2007004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85Pyrazines or piper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7H-피롤로[2,3-d]피리미딘뿐만 아니라 이들의 치료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 및 활성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약제학적 제제는 유리하게는 항염증제 및 진통제, 신경병증 통각과민 및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감소하는 제제, 뼈 연골의 파괴를 방지하는 제제, 천식, 습진 또는 건선과 같은 다른 염증성 과정과 결부될 수 있는 다른 질환의 치료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7H-피롤로[2,3-d]피리미딘, 진통제, 항염증제

Description

7H-피롤로[2,3-d]피리미딘뿐만 아니라 이들의 치료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 및 활성제의 제조방법{7H-PYRROLO[2,3-d]PYRIMIDINE DERIVATIVES, AS WELL AS THEIR THERAPEUTICALLY ACCEPTABLE SALTS,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THEM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 ACTIVE AGENT}
본 발명은 신규한 7H-피롤로[2,3-d]피리미딘뿐만 아니라 이들의 치료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 및 활성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I)의 화합물(도면에 표시)은 신경성 및 비신경성 항염증제 뿐만 아니라 진통제 효과, 신경병증 통각과민 감소제, 류마티스성 관절염 치료제 또는 골절또는 관절 중의 연골(chondrus) 파괴의 치료제 및 천식, 습진, 건선과 같은 다른 염증성 과정과 결부될 수 있는 다른 질환의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약제학적 제제의 기본 물질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I)에 따른 화합물은 신규하다. 이들의 특징적 유형은 화학식(Ia), (Ib) 및 (Ic)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도면 도시).
상술한 것 이외의 7H-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는 특수 문헌에 퀴나 제(quinase) 억제제 및 항종양제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 활성 퀴나제 억제성 7H-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의 중요한 구조적 특징은 질소원자 중 7 위치에 있는 피롤의 질소원자 및 제4 위치에 결합된 아민 작용기의 질소원자 중의 오직 하나만이 치환될 수 있는 것이다(J. Med. Chem. 39 (1996) 2285-2292, Bioorg. Med. Chem. Letters 11(2001) 849-852).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경우, 상기 나타낸 위치 모두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I)의 7H-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들의 치료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I)에서:
R1은 1-4개 탄소원자 기를 갖는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아릴-알킬, 1-4개 탄소원자 기를 갖는 헤테로아릴-알킬, 1-4개 탄소원자 기를 갖는 모르폴리노-알킬 또는 1-4개 탄소원자 기를 갖는 디알킬아미노-알킬이고,
R2,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시클로프로필 기이거나 또는 R2 및 R3은 합쳐져서 테트라메틸렌 기이며,
R4는
Figure 112006087824582-PCT00001
기이고,
R5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이며,
R6, R7, R8 및 R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히드록시, 메톡시, 에톡시, 이소프로폭시 또는 술포닐 기이고,
R10은 수소 또는 니트릴 기이며,
R11은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tert-부틸 기 또는 X에 결합된 테트라메틸렌 고리이고,
R12는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1-4개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알킬, 1-4개 탄소원자를 갖는 헤테로아릴-알킬, 1-4개 탄소원자를 갖는 모르폴리노-알킬 또는 1-4개 탄소원자 기를 갖는 디알킬아미노-알킬이며,
X는, R11이 X에 결합된 테트라메틸렌 고리이면 탄소이고, 그렇지 않으면 질소, 메틴, 메틸-메틴 에틸-메틴, 프로필-메틴, 이소프로필-메틴, 시클로프로필-메틴, tert-부틸-메틴 또는 페닐-메틴 기임.
치료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유리하게는 산-첨가 염이다.
화학식(I)의 가장 특징적 화합물은 화학식(Ia), (Ib) 및 (Ic)로 정의될 수 있고, 이때 R1, R2, R3, R5, R6, R7, R8, R9, R10, R11, R12 및 X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치료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에도 관한 것이다.
약제학적 제제는 유리하게는 항염증제 및 진통제, 신경병증 통각과민 및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감소시키는 제제, 골절 또는 연골 파괴를 방지하는 제제이며, 천식, 습진 또는 건선과 같은 다른 염증성 과정과 결부될 수 있는 다른 질환의 치료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I)의 7H-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아세톤과 몰 당량의 아민 및 말로노니트릴로부터 R1, R2 및 R3이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화학식(I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내지 10배 과량의 포름산을 부가하고, 그 혼합물을 1시간 내지 2일간 환류 온도에서 혼합한 다음, 그 혼합물을 얼음물에 부었다. 석출된 생성물을 분리하고, 건조시킨 다음 5 내지 10배량의 옥시염화인과 환류 온도에서 0.5 내지 4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그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석출된 화학식(III)의 이미돌릴 클로라이드(식중, R1, R2 및 R3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를 분리, 건조시키고 증발시킨 다음,
A) 상술한 방식으로 제조한 화학식(III)의 이미돌릴 클로라이드를 비양성자성 용매에 용해시키고 동량의 화학식(II) 또는 (IV)의 아민(식중, R1 및 R3은 상기 화학식에서 정의한 바와 같음) 및 2 내지 10배 몰 당량 과량의 NaH를 부가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을 0.5 내지 6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이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석출된 생성물을 분리하고 정제하거나,
또는
B) 상술한 방식으로 제조한 화학식(III)의 이미돌릴 클로라이드를 극성 유기 용매 매질에서 2 내지 10배 몰 당량 과량의 히드라진 수화물과 반응시킨 다음 유기 상의 반응 생성물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증발시킨 다음 비극성 용매로 부수었다. 이렇게 하여 생성한 히드라진 유도체를 극성 용매와 혼합하고 동량의 알데히드와 20 내지 120℃에서 1 내지 12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반응 생성물을 분리하거나,
또는
C) 상기 B)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한 히드라진 유도체를 극성 유기 용매와 혼합하고, 동량의 이사틴과 반응시킨 다음 그 반응 생성물을 분리한다.
화학식(II)의 화합물은, 아세톤을 몰 당량의 아민 및 말론산 디니트릴과 반응시키는 방식으로 제조한다. 화학식(II)의 화합물은 이렇게하여 제조한다. 이 반응은 산성 또는 알칼리성 촉매를 사용하여 동일 반응 혼합물에서 2단계로 실시할 수 있다.
제1 단계로서, 비양성자성 용매(유리하게는 톨루엔 또는 벤젠 중) 중, 언제나 산성 촉매(진한 HCl 또는 톨루엔 술폰산)와 함께 환류 온도에서, 반응중에 생성된 전체 물이 제거될 때까지 수 분리 첨가제를 사용하여 아세톤을 적합한 아민과 반응시킨 다음 말로노니트릴을 부가하고, 그 혼합물을 동량의 물이 제거될 때까지 환류온도에서 유지시킨다.
아닐린 유형의 아민을 사용하면, 용매를 양성자성 용매, 유리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로 변경하고 이들을 불활성 분위기 중, 알칼리성 매질(KOH 또는 NaOH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말론산 디니트릴과 반응시킨다.
화학식(II)의 중간체 화합물을 여과 냉각시킨 다음 그 혼합물을 5 내지 10배 과량(85 내지 98 중량%)의 포름산과 환류온도에서 1 시간 내지 2일간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얼음물에 붓고, 석출한 생성물을 여과 또는 중성 pH에서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한 추출에 의해 분리한다.
양쪽 경우에서 모두 그 생성물을 건조시킨 다음 5 내지 10배 과량의 옥시염화인과 환류 온도에서 0.5 내지 4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옥시염화인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pH를 중성으로 설정하고, 석출된 화학식(III)의 이미돌릴 클로라이드를 여과하거나 또는 아세트산 에틸을 사용한 추출에 의해 분리한 다음 모아진 유기 상을 건조 및 증발시킨다. 여과 또는 추출 및 증발 후 얻은 화학식(III)의 이미돌릴 클로라이드를 비양성자성 용매(THF, 디옥산, DMSO 또는 DMF)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용해시킨다.
A) 방법에서, 화학식(III)의 이미돌릴 클로라이드는 동량의 화학식(II) 또는 (IV)의 아민 및 2 내지 10배 몰 당량 과량의 NaH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0.5 내지 6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이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에 부어 가공하고, 석출한 생성물을 여과하고 또 디옥산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혼합물로부터 결정화하는 것에 의해 화학식(Ia)의 화합물을 생성한다.
B) 방법에서는 상기 기재한 방식으로 제조한 화학식(III)의 이미돌릴 클로라이드를 극성 용매(유리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DMF, DMSO 또는 이들 용매의 임의 비율의 혼합물) 중에서 2 내지 10몰 당량 과량의 히드라진 수화물과 반응시킨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한 후, 이렇게하여 얻은 생성물을 아세트산 에틸과 물 사이에서 분리한다.
유기 상을 건조후 증발시키고 그 잔류물을 비극성 용매(유리하게는 헥산 또는 에테르)와 처리하고 극성 용매(유리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DMF, DMSO 용매 또는 빙초산)에서 알데히드와 20 내지 100℃ 에서 1 내지 12시간 동안 반응시켜 히드라진 유도체를 얻는다. 용매를 적절히 선택하면, 생성물이 석출되며 그 혼합물을 냉각후 여과함으로써 분리할 수 있다.
화학식(Ib)의 화합물은 비극성 용매(유리하게는 에테르 또는 헥산)로 세척한 후 얻었다.
C) 방법은 히드라진 유도체를 이사틴과 반응시키는 이외는 유사하게 실시하였다.
화학식(Ic)의 화합물은 다음 방식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된 중간체 화합물은 im2_1 내지 im3_3, im3_5 및 im4_1 내지 4와 같은 상술한 키나아제 억제제 화합물의 중간체 생성물로서 일부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은 실시예 3, 5, 6 및 8 내지 11에 기재된 화합물과 같이 일부는 신규하다(표 1 참조).
본 발명의 본질은 실시예 4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공지된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의 반응성 중간체 생성물을 함께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새로운 구조가 생성될 수 있고 또 신규한 구조의 화합물은 공지 화합물과는 분명히 다른 효과를 갖는다는 인식을 기본으로 한다.
실시예 4에 기재된 방법의 본질은 무수 디메틸 술폭사이드에 용해된 화학식(II) 및 (IV)의 아민이 수소화 나트륨 부가에 의해 나트륨 염으로 전환될 수 있고 또 이들 염은 실온에서 화학식(III)으로 표시되는 이미돌릴 클로라이드와 조합될 수 있으며 또 화학식(Ia)의 화합물은 이런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수소화 나트륨 존재하에서 이미돌릴 클로라이드 및 헤테로고리 아민의 결합 뿐만아니라 얻어진 피라졸릴 아미노 및 피롤릴 아미노 유도체는 문헌에 공지되어 있지 않다.
동일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화합물은 화학식(III)의 이미돌릴 클로라이드를 에탄올을 함유하는 매질 중, 히드라진 수화물과 먼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이렇게하여 얻어진 4-히드라지노-7H-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는 실시예 7 및 12 내지 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알데히드 또는 시타틴과 반응하며 화학식(Ib) 또는 (Ic)의 화합물은 위와 같은 방식으로 얻는다.
에탄올 함유 매질 중에서 벤즈알데히드 및 이사틴의 축합 반응은 문헌에 잘 공지되어 있지만, 그 중에서 위치 5에 페닐 치환기를 갖는 4-히드라지노-7H-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로부터 얻을 수 있는 히드라존이 지금까지 기재되어 있다(J. Chem. Res. Miniprint 12 (1997) 2771-2789).
이들 공지된 5-페닐 유도체는 본 발명에 기재된 염증 모델에서 완전히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Figure 112006087824582-PCT00002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경구 투여될 수 있는 진통제 및 항염증제이다.
일차 구심(primary afferent)로부터 방출된 물질 P(SP) 또는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티드(CGRP)와 같은 감각 신경펩티드가 중요한 역할을 갖는 신경 염증을 방해하고 헵타펩티드 소마토스타틴 유사체 TT-232의 효능 조사를 기본으로 한 신규 유형의 진통제를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자들의 과거 조사를 기초로 하여, TT-232가 신경성 및 비-신경성 염증 모두를 방해하여서 신경병증 통각수용 모델에서도 효과적인 강력한 진통제이라는 것을 밝혀내었다. TT-232는 펩티드 구조이고 또 경구적으로 흡수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경구적으로 흡수될 수 있고 TT-232와 유사한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진통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화합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펩티드유사약 진통제 조사를 화합물의 임상 시험 조사와 동시에 실시하였다.
분리한 렛트 기관(trachea)의 감각 뉴런 요소의 전기적 자극에 의해 시험관내 시험을 실시하였다. 신경 염증의 매개제, P-물질은 캅사이신 민감성 뉴런 요소로부터 자극의 영향하에서 방출되며, 이러한 P-물질의 수조에서의 농도는 방사성면역분석법에 애 측정할 수 있다. 소마토스타틴 길항물질 뿐만아니라 TT-232는 말단 신경의 자극을 방해하여서 방출된 신경펩티드의 양이 수조에서 적어지게한다.
신경성 및 비-신경성 염증에 대한 TT-232의 항염증 효과는 렛트 상에서 주로 먼저 시험하였다(겨자기름에 의해 유발된 혈장 혈관밖유출, 덱스트란 부종, 프로인트 조제에 의해 유발된 만성 관절염 부종, 브라디퀴닌에 의해 유발된 관절에서 혈장 혈관밖유출, 카라기닌 부종, 카라기닌의 영향하에서 백혈구의 축적). 부종은 본 명세서에서 언급한 생물학적 시험에서 캅사이신의 알코올성 용액이 마우스 귀로 들어감으로써 유발되었고 귀의 중량 및 에반스 블루 축적을 측정함으로써 정량 평가하였다.
프로인트 조제에 의해 유발된 만성 염증에 대한 TT-232의 항염증 효과는 위스터 자성(female) 렛트 상에서 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이것은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실험 모델이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환자에 대한 TT-232의 임상 II상 시험은 2004년에 실시되었다. Wee는 프로인트 조제가 루이스 균주의 렛트에서 관절의 상당한 변형을 나타내는 증상을 악화시키는 것을 고려하였으며, TT-232의 효과는 프로인트 조제에 의해 유발된 관절 붓기, 골절, 활막 림프구 및 백혈구의 침윤 및 기계적 통각과다에 의해 조사하였다.
도 1은 화학식(I)의 구조이다.
도 2는 화학식(Ia)의 구조이다.
도 3은 화학식(Ib)의 구조이다.
도 4는 화학식(Ic)의 구조이다.
도 5는 화학식(II)의 구조이다.
도 6은 화학식(III)의 구조이다.
도 7은 화학식(IV)의 구조이다.
도 8은 TT-232 및 500 nM 농도의 8개 화합물이 전기 자극하에서 P-물질의 방출을 억제하는 효과를 도시한다.
도 9는 TT-232 및 본 발명에 따른 11개 화합물 100 ㎍/kg를투여한 후 용매에 의해 예비처리된 대조군(흑색 칼럼)에서 에반스 블루 양의 축적을 도시한다.
도 10은 겨자기름에 의해 유발된 마우스 귀에서 혈장 단백질의 혈관확장 및 혈관밖유출의 조사 결과를 도시한다.
도 11은 신경병증 통각과민의 조사 결과를 도시한다.
본 특허 명세서의 실험에서는 하기의 장치가 사용되었다.
NMR 포토는 Bruker AC300에 의해 찍었다.
HPLC의 측정에 사용된 장치는 다음과 같다:
검출기 ZMD MS 및 칼럼 수펠코 디스커버리 RP-아미드 C16을 구비한 UV one Waters 996 DAD를 사용한 물 HPLC, 아세토니트릴의 구배는 6분당 10 내지 100%(포름산 함량의 0.05%)이고, 유량은 분당 3ml이다.
융점은 장치 Buchi Melting Point B-540으로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따른 화합물,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 효과를 결정하기 위한 실험은 하기 실시예에 나타낸다.
실시예 1
2-아미노-4,5-디메틸-1-(3- 클로로페닐 )-1H- 피롤로 -3- 카르보니트릴의 제조 방법
18 g(0.2 몰)의 아세토니트릴 및 21 ml (0.2 몰)의 3-클로로아닐린을 300 ml 톨루엔에 용해시킨 다음 0.2 ml의 진한 HCl을 부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시간 동안 환류시킨 다음, 대기압에서 부피의 1/2까지 증발시키고, 마지막으로 전체 용매 양을 진공에서 증류시켰다. 수득한 물질을 350 ml의 에탄올에 먼저 용해시킨 다음 13.2 ml (0.2 몰)의 말론산 디니트릴을 부가한 다음 50 ml의 물에 용해된 11.2 kg KOH을 적하시키고 얼음으로 냉각시켰다. 그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시킨 다음 냉각시켰다. 생성된 결정성 생성물을 여과하고 헥산으로 세척하였다(45.2g; 92%).
실시예 2
5,6-디메틸-7-(3- 클로로페닐 )-7H- 피롤로[2,3-d]피리미딘 -4-올의 제조 방법
40 g의 2-아미노-4,5-디메틸-1-(3-클로로페닐)아미노-3-시아노-피롤 (실시예 1)을 200 g의 포름산에서 10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석출한 물질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실온에서 건조시키고 더 이상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27 g; 60%).
실시예 3
5,6-디메틸-4- 클로로 -7-(3- 클로로페닐 )-7H- 피롤로[2,3-d]피리미딘의 제조방법
26.9 g의 4-히드록시-5,6-디메틸-7-((3-클로로페닐)아미노)피롤로[2,3-d]피리미딘(실시예 2)를 125 ml의 POCl3 에 용해시키고 그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시킨 다음 적어도 10배 이상의 부피의 얼음물에 부은 다음 POCl3 가 완전히 분해된 후 석출한 생성물을 여과한 다음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26.28 g; 92%)
실시예 4
[5- tert -부틸-2-(3-니트로- 페닐 )-2H- 피라졸 -3-일]-[7-(3- 클로로페닐 )-5,6-디메틸-7H- 피롤로[2,3-d]피리미딘 -4-일]- 아민의 제조방법
0.292 g(1 밀리몰)의 5,6-디메틸-4-클로로-7-((3-클로로페닐)아미노)피롤로[2,3-d]피리미딘 (실시예 3) 및 0.26 g(1 밀리몰)의 5-tert-부틸-2-(3-니트로-페닐)-2H-피라졸-3-일-아민 (im4_3)을 4 ml의 디메틸 술폭사이드에 용해시키고 또 강하게 혼합하면서 몇 부분씩 200 mg의 수소화나트륨을 부가한 다음 그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에 부은 다음 석출한 침적물 을 여과하고 아세트산 에틸 및 헥산의 혼합물에서 재결정시켰다 (0.31 g; 60%).
실시예 5
[7-(3- 클로로페닐 )-5,6-디메틸-7H- 피롤로[2,3-d]피리미딘 -4-일]- 히드라진의 제조방법
2.92 g(10 밀리몰)의 4-클로로-7-(3-클로로페닐)-5,6-디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실시예 3)을 3 ml의 히드라진 수화물과 함께 30 ml의 에탄올에서 3시간 동안 끓인 다음 용매 및 과량의 히드라진 수화물을 감압하에서 증류시켰다. 증발 잔류물을 물 및 아세트산 에틸 사이에서 분리하였다. 건조후 유기 상을 증발시시켰다. 증발 잔류물을 에테르를 사용하여 부수어서 [7-(3- 클로로페닐 )-5,6-디메틸-7H-피 롤로[2,3-d]피리 미딘-4-일]- 히드라진을 수득하였다(1.9 g; 66%).
실시예 6
일차 물질이 im3_1 으로 시판되는 공지된 중간체 생성물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하여 상기 화합물(2.71 g의 물질)을 제조하였다. (1.92 g; 74%).
실시예 7
4-{[5,6-디메틸-7-(3- 클로로페닐 )-7H- 피롤로[2,3-d]피리미딘 -4-일]- 히드라조노 - 메틸 }-벤젠-1,2- 디올의 제조방법
0.287 g (1 밀리몰)의 [7-(3-클로로페닐)-5,6-디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히드라진(실시예 5) 및 0.138 g(1 밀리몰)의 3,4-디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4 ml의 에탄올에서 6시간 동안 끓이고 석출한 생성물, 즉 4-{[7-(3-클로로 페닐)-5,6-디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히드라조노메틸}-벤젠-1,2-디올을 여과하고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0.29 g; 68%).
실시예 8
2-아미노-4,5-디메틸-1-((3-모르폴린-4-일-프로필)-1H-피롤-3- 카르보니트릴의 제조방법
8.8 g(0.1 몰)의 아세톤, 2-히드록시-3-부타논 및 14.4 ml (0.1 몰)의 4-(3-아미노프로필)모르폴린을, 물 분리기를 부착한 장치 중, 170 ml의 톨루엔에 용해시킨 다음 0.1 ml의 진한 염산을 부가하고, 그 혼합물을 110℃에서 비등될 때까지 환류시키고 단시간 냉각시킨 다음 6.6 ml의 말론니트릴을 부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110℃에서 비등시킬 때까지 환류시키고 셀라이트를 통하여 여과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였다(17.31 g; 66%).
실시예 9
5,6-디메틸-7-(3-모르폴린-4-일-프로필)-7H- 피롤로[2,3-d]피리미딘 -4-올의 제조방법
3.761 g(14.33 밀리몰)의 2-아미노-4,5-디메틸-1-(3-모르폴린-4-일-프로필)-1H-피롤로-3-카르보니트릴)(실시예 8)을 38 ml의 포름산에서 하룻밤 동안 환류시켰다. 이 혼합물을 상기 과정 중에 물로 희석시키고 아세트산 에틸에 의해 진탕된 NaHCO3를 사용하여 중화시킨 다음 유기 상을 증발시키고 석출한 결정을 헥산으로 처리한 다음 여과하였다(3.265 g; 78.5%).
실시예 10
5,6-디메틸-4- 클로로 -7-(3-모르폴린-4-일-프로필)-7H- 피롤로[2,3-d]피리미딘의 제조방법
3 g(10.33 밀리몰)의 5,6-디메틸-7-(3-모르폴린-4-일-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4-올(실시예 9)을 15 ml의 POCl3에서 1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NaHCO3 를 사용하여 중화시킨 다음 아세트산 에틸을 사용하여 진탕시킨 다음 증발시켰다. 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2.71 g; 85%).
실시예 11
[5,6-디메틸-7-(3-모르폴린-4-일-프로필)-7H- 피롤로[2,3-d]피리미딘 -4-일]-히드라진의 제조방법
1.785 g(5.78 밀리몰)의 5,6-디메틸-4-클로로-7-(3-모르폴린-4-일-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 (실시예 10)을 용액(120 ml)을 이루기에 충분한 양의 에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17.8 ml의 히드라진 수화물을 부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약 15분간 환류시킨 다음 증발시키고 물과 아세트산 에틸 사이에서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증발시키는 동안 석출한 결정을 헥산으로 부수고 이어 여과하였다(1.07 g; 61%).
실시예 12
4-{[5,6-디메틸-7-(3-모르폴린-4-일-프로필)-7H- 피롤로[2,3-d]피리미딘 -4-일]- 히드라조노메틸 }-카테콜의 제조방법
304.4 g(1 밀리몰)의 [5,6-디메틸-7-(3-모르폴린-4-일-프로필)-7H-피롤로- [2,3-d]피리미딘-4-일]-히드라진(실시예 11) 및 138.1 mg (1밀리몰)의 3,4-디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6 ml의 에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30분간 환류시켰다. 석출한 결정을 여과한 다음 에탄올 및 헥산(45%)으로 세척하였다.
실시예 13
4-{[5,6-디메틸-7-(3-모르폴린-4-일-프로필)-7H- 피롤로[2,3-d]피리미딘 -4-일]- 히드라조노메틸 }-2-니트로-페놀의 제조방법
304.4 g(1 밀리몰)의 [5,6-디메틸-7-(3-모르폴린-4-일-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히드라진(실시예 11) 및 169 mg (1 밀리몰)의 3-니트로-4-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6 ml의 에탄올에서 4시간 동안 환류시킨 다음 냉각시키고 여과한 다음 에탄올 및 헥산으로 세척하였다(176 mg; 36%).
실시예 14
4-{[5,6-디메틸-7-(3-모르폴린-4-일-프로필)-7H- 피롤로[2,3-d]피리미딘 -4-일]- 히드라조노메틸 }-2- 메톡시 -페놀의 제조방법
304.4 g(1 밀리몰)의 [5,6-디메틸-7-(3-모르폴린-4-일-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히드라진(실시예 11) 및 152 mg (1 밀리몰)의 바닐린을 6 ml의 에탄올에서 4시간 동안 환류시킨 다음 석출한 결정을 여과한 다음 에탄올 및 헥산으로 세척하였다(221.37 mg; 50%).
실시예 15
4,6- 디클로로 -3-{[5,6-디메틸-7-(3-모르폴린-4-일-프로필)-7H- 피롤로[2,3-d] 피리미딘-4-일]- 히드라조노 }-1,3- 디히드로 -인돌-2-온의 제조방법
108 mg(0.5 밀리몰)의 4,6-디클로로-이사틴을 152.2 mg(0.5 밀리몰)의 [5,6-디메틸-7-(3-모르폴린-4-일-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히드라진 (실시예 11)에 부가하고 그 혼합물을 4 ml의 에탄올에서 환류시켰다. 석출한 오렌지-황색 결정을 여과한 다음 에탄올 및 헥산으로 세척하였다(102 mg; 40%).
실시예 16
[5- tert -부틸-2-(3-니트로- 페닐 )-2H- 피라졸 -3-일]-[5,6-디메틸-7-(3-모르폴린-4-일-프로필)-7H- 피롤로[2,3-d]피리미딘 -4-일]- 아민의 제조 방법
650 mg (2.5 밀리몰)의 5-tert-부틸-2-(3-니트로-페닐)-2H-피라졸-3-일-아민 및 772 mg (2.5 밀리몰)의 5,6-디메틸-4-클로로-7-(3-모르폴린-4-일-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 (실시예 10)을 4 ml의 DMSO에 용해시킨 다음 200 mg의 NaH를 부가하고 그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다음 그 혼합물을 얼음에 부었다. 상기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한 다음 건조 및 증발시켰다. 회수한 갈색 오일을 칼럼으로 분리하고, 증발시킨 다음 헥산으로 부수고 석출한 황색 결정을 여과하였다(272.2 mg; 20%).
실시예 17 내지 91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화학식 및 제조 방법을 하기 표 2에 나타내고, 이 화합물의 물리 화학적 특징을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92
[5- tert -부틸-2-(4- 메톡시 - 페닐 )-2H- 피라졸 -3-일]-[5,6-디메틸-7-(6- 메틸 -피리딘-2-일)-7H- 피롤로[2,3-d]피리미딘 -4-일]-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방법
실시예 91에 따른 화합물 48 mg을 1 ml의 무수 디옥산에 용해시키고 에테르 중의 0.2 ml의 4M 염산을 상기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석출한 황색 퇴적물을 여과하고 에테르로 세척하였다(36 mg; 70%). 융점은 97 내지 98℃이다.
Figure 112006087824582-PCT00003
Figure 112006087824582-PCT00004
Figure 112006087824582-PCT00005
Figure 112006087824582-PCT00006
Figure 112006087824582-PCT00007
Figure 112006087824582-PCT00008
Figure 112006087824582-PCT00009
Figure 112006087824582-PCT00010
Figure 112006087824582-PCT00011
Figure 112006087824582-PCT00012
Figure 112006087824582-PCT00013
Figure 112006087824582-PCT00014
Figure 112006087824582-PCT00015
Figure 112006087824582-PCT00016
Figure 112006087824582-PCT00017
Figure 112006087824582-PCT00018
Figure 112006087824582-PCT00019
Figure 112006087824582-PCT00020
Figure 112006087824582-PCT00021
Figure 112006087824582-PCT00022
실시예 93. (약학적 효과의 연구)
렛트의 기관(trachea) 상에 대한 물질 P(SP)의 방출을 억제하는 활성 물질의 시험관 내에서 방사성면역-분석(raidoimmuno-assay: RIA)에 의한 조사
SP 방출 (500 나노몰)에 대한 활성 물질의 영향은 생물학적 조(bath)에서 렛트 기관 상에 대한 시험관내 영향으로 조사하였다(200 내지 250 g 체중의 위스터 렛트 사용). 산소첨가된 크렙(Kreb)의 용액을 사용하여 1시간 동안 살포한 후 8분 간격으로 샘플을 3회 취득하였다. 중간의 8분간에 10 Hz, 40V, 0.1 ms, 120s의 전류를 사용하여 기관을 자극시켰다. 샘플의 SP 함량은 특이적 방사성면역분석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값을 다음 방식으로 다이아그램으로 표시한다: 빈 칼럼에 의한 전기 자극 전의 값, 흑색으로 자극된 직후의 값 및 음영이 표시된 칼럼에 의한 자극후 8분에 측정된 값. 이하와 같은 방사성면역분석 방법이 이용되었다: I125 요오드 방사성동위원소에 의해 표시된 일요오드화된 SP 5000 cpm을 RIA 트레이서로 사용하였다. 합성 SP를 ml당 0 내지 100 펜토 몰 농도 범위로 표준으로 사용하였다. 샘플의 습윤 조직의 중량에 관련된 신경펩티드 농도는 "mg 당 펜토 몰" 단위로 표시하였다. 도 8은 참조 물질인 TT-232 및 500 nM 농도의 8개 화합물이 전기 자극하에서 P-물질의 방출을 억제하는 효과를 도시한다(흑색 칼럼 참조). 용매에 의해 처리된 준비한 기관에서 얻은 대조 값에 관련된 유의미한 값이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94. (약학 효과의 연구)
생체내 신경성 염증 억제 효과의 조사
(마우스 귀 중의 캅사이신에 의해 유발된 팽윤 및 혈장 단백질 혈관밖유출)
18 내지 20g의 BALB/c 웅성 마우스를 케타민(본 발명에 따른 100 mg/kg) 및 크실라진(10 mg/kg i.m.)에 의해 마취시켰다. 기저에서 귀 두께를 측정하고, 조사 물질을 본 발명에 따라 0.1 ml/10g의 양으로 적용하였다. 10분 후 킬로당 125 mg의 에반스 블루 염색제(stain)(10g당 2.5%, 0.05 ml 용액)를 꼬리 정맥에 주사한 다음 5분 후 10 ㎕ 의 96% 알코올을 각 동물의 오른 쪽 귀에 적용하였다. 에반스 블루 마커 염색제는 이들 자신을 순환중인 혈장 알부민에 결합되게 한다. 혈장 알부민이 염증에 의해 혈관 밖으로 떠나면 표면은 청색으로 된다. 귀의 두께는 30분 후 다시 측정하였으며 또 팽윤은 초기 두께의 퍼센트로서 정의하였다. 그 후 동물을 치사될 때까지 출혈시켜 도살하고, 이들의 귀를 절단하여 귀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조직 편에 축적된 염료는 20℃ 에서 72시간 동안 1.5 ml의 포름아미드에 의해 추출하였다. 용액의 광학밀도는 620 nm 파장에서 분광광도계(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에 의해)에 의해 측정하였다. 혈관밖유출된 염료의 양(혈장 알부민 양을 나타냄)은 습윤 조직당 mg의 단위로 정의하였다. 알코올로 처리된 귀에서 측정한 값은 양쪽 동물에서 캅사이신 처리된 귀에서 측정한 값으로부터 차감하였다. 용매에 의해 처리된 동물은 대조용으로 작용하였다. 도 9는 참조물질인 TT-232 및 본 발명에 따른 11개 화합물 100 ㎍/kg를 투여한 후 용매에 의해 예비처리된 대조군(흑색 칼럼)에서 에반스 블루 양의 축적을 도시한다.
비-모수적 만-휘트니 시험을 이용하여 결과의 통계 평가를 실시하였다. *P < 0.05; **P < 0.01.
실시예 95. (약학적 효과의 연구)
겨자기름에 의해 유발된 마우스 귀에서 혈장 단백질의 혈관확장 및 혈관밖유출의 조사
Balb/c 웅성 마우스를 케타민(본 발명에 따른 100 mg/kg) 및 크실라진(10 mg/kg i.m.)에 의해 마취시키고 이어 0.1 ml의 요오드 방사성동위원소 I125 에 의해 표지된 알부민(30 kBq 활성적/마우스)을 정맥 투여에 의해 투약하였다. 1%의 겨자기름 10 ㎕를 각 마우스의 좌측 귀 측면 상에 놓고 도포하였다. 귀 위에서 감마 선 계수기를 이용하여 매 분당 50분 동안 측정하였다. 활성의 증가는 혈장 단백질의 혈관확장 및 혈장밖유출을 의미한다. 20 ㎍/kg의 TT-232 및 비 펩티드 하기 분자 11527 (10 및 100 ㎍/kg)는 겨자기름에 의해 처리하기 30분 전에 본 발명에 따라 투여하였다. 대조군에서는 용매가 사용되었다.
ANOVA후 본페로니(Bonferroni)의 변성 시험을 이용하여 통계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P < 0.05; **P < 0.01; n=7/그룹 (도 10 참조).
실시예 96. (약학적 효과의 연구)
신경병증 통각과민의 조사
좌골신경(nervus ishiadicus)의 부분적 1측 결착은 극한의 기계적 통각수용(mechano nociceptive) 임계치의 감소를 유발한다(젤터의 오퍼레이션). 기계적 통각수용은 Ugo Basile의 진통측정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랜달 젤리토 시험). 동물의 발을 끝이 둥근 테플론 원뿔 아래에 두고 발의 중간부분에 힘을 서서히 증가시켰다. 통증 임계치는 동물이 자신의 다리를 당길 때의 값이다. 선형 규모 이전에 손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그램으로 판독될 수 있다. 기계적 임계치의 변동은 자신의 초기 임계치의 퍼센트로 표시하였다. 웅성 스프라그-다우리(Sprague-Dawley) 렛트의 대퇴부의 좌골신경은 대조 측정 후 펜토바르비탈 혼수에서 한 면상에 준비한 다음 신경의 1/3 내지 1/2 부분을 조심스럽게 떼어내어, 6/0 크기의 비-외상 실(Mersilene, Ethicon)으로 긴밀하게 결합시킨 다음 절개부를 닫았다. 메카노노시셉티드 임계치는 수술 후 7일째 되는 날에 다시 측정하였다. 이하의 조사에만 동물이 관여되며, 대조군 결과와 비교하여 적어도 20%의 임계치 감소를 나타내었다. 측정은 본 발명에 따라 18을 투여한 지 20분 후에 반복하였다. 결과를 투여하기 전(백색 칼럼으로 표시)에 측정한 초기값에 관련하여 퍼센트로 표시하고 용매를 갖는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비-모수적 만-휘트니 시험을 이용하여 통계학적 유의성 차이를 측정하였다. *P < 0.05; **P < 0.01; n=6 내지 8/그룹 (도 11 참조).

Claims (11)

  1. 화학식(I)의 7H-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 뿐만 아니라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I)에서:
    R1은 1-4개 탄소원자 기를 갖는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아릴-알킬, 1-4개 탄소원자 기를 갖는 헤테로아릴-알킬, 1-4개 탄소원자 기를 갖는 모르폴리노-알킬 또는 1-4개 탄소원자 기를 갖는 디알킬아미노-알킬이고,
    R2,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시클로프로필 기이거나 또는 R2 및 R3은 합쳐져서 테트라메틸렌 기이며,
    R4는
    Figure 112006087824582-PCT00023
    기이고,
    R5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이며,
    R6, R7, R8 및 R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히드록시, 메톡시, 에톡시, 이소프로폭시 또는 술포닐 기이고,
    R10은 수소 또는 니트릴 기이며,
    R11은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tert-부틸 기 또는 X에 결합된 테트라메틸렌 고리이고,
    R12는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1-4개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알킬, 1-4개 탄소원자를 갖는 모르폴리노-알킬 또는 1-4개 탄소원자 기를 갖는 디알킬아미노-알킬이며,
    X는, R11이 X에 결합된 테트라메틸렌 고리이면 탄소이고, 그렇지 않으면 질소, 메틴, 메틸-메틴 에틸-메틴, 프로필-메틴, 이소프로필-메틴, 시클로프로필-메틴, tert-부틸-메틴 또는 페닐-메틴 기임.
  2. 제 1항에 있어서, 구조가, R1, R2, R3, R5, R6, R7, R8, R9, R10, R11, R12 및 X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Ia)에 상응하는 화학식(I)의 화합물.
  3. 제 1항에 있어서, 구조가, R1, R2, R3 및 R5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Ib)에 상응하는 화학식(I)의 화합물.
  4. 제 1항에 있어서, 구조가, R1, R2, R3, R5, R6, R7, R8 및 R9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Ic)에 상응하는 화학식(I)의 화합물.
  5.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치료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
  6. 제 5항에 있어서, 항염증제 또는 진통제 의약으로 적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 제제.
  7. 제 5항에 있어서, 신경병증 통각과민 감소 의약으로 적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 제제.
  8. 제 5항에 있어서, 류마티스성 관절염 감소 의약으로 적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 제제.
  9. 제 5항에 있어서, 골절 또는 연골 파괴를 억제하는 의약으로 적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 제제.
  10. 제 5항에 있어서, 천식, 습진 또는 건선과 같은 염증성 과정과 연관될 수 있 는 질환의 치료용으로 적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 제제.
  11. 아세톤과 몰 당량의 아민 및 말론 디니트릴로부터 생성된 화학식(II)의 화합물(식중, R1, R2 및 R3은 화학식(I)에서 정의한 바와 같음)을 5 내지 10배 과량의 포름산과 환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2일간 혼합한 다음, 그 혼합물을 얼음물에 붓고, 석출된 생성물을 분리하며, 그 생성물을 건조시킨 다음 5 내지 10배 과량의 옥시염화인과 환류 온도에서 0.5 내지 4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그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석출된 화학식(III)의 이미돌릴 클로라이드(식중, R1, R2 및 R3은 화학식(I)에서 정의한 바와 같음)를 분리하고 건조시킨 다음 증발시키며, 이후
    A) 상기 화학식(III)의 이미돌릴 클로라이드를 비양성자성 용매에 용해시키고, 동량의 화학식(II) 또는 (IV)의 아민(식중, R1 및 R3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음) 및 2 내지 10배 몰 당량 과량의 NaH를 부가하여 0.5 내지 6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생성한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석출된 생성물을 분리하고 정제하거나, 또는
    B) 상술한 방식으로 제조한 화학식(III)의 이미돌릴 클로라이드를 극성 유기 용매 매질에서 2 내지 10배 몰 당량 과량의 히드라진 수화물과 반응시킨 다음, 유기 상의 반응 생성물을 혼합물로부터 분리하고, 유기 상을 건조 및 증발시킨 다음, 비극성 용매로 부수고, 이렇게 하여 생성한 히드라진 유도체를 극성 용매와 혼합하고 동량의 알데히드와 20 내지 120℃에서 1 내지 12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반응 생성물을 분리하거나, 또는
    C) 상기 B)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한 히드라진 유도체를 극성 유기 용매 와 혼합하고, 동량의 이사틴과 반응시킨 다음 그 반응 생성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I)의 7H-피롤로[2,3-d]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20067025009A 2004-04-29 2005-04-25 7H-피롤로[2,3-d]피리미딘뿐만 아니라 이들의 치료적으로허용되는 염, 이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 및 활성제의제조방법 KR200700477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0400891A HUP0400891A2 (en) 2004-04-29 2004-04-29 7h-pyrrolo[2,3-d]pyrimidine derivatives, thei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compounds
HUP0400891 2004-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737A true KR20070047737A (ko) 2007-05-07

Family

ID=8998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009A KR20070047737A (ko) 2004-04-29 2005-04-25 7H-피롤로[2,3-d]피리미딘뿐만 아니라 이들의 치료적으로허용되는 염, 이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 및 활성제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80214583A1 (ko)
EP (1) EP1756110B1 (ko)
JP (1) JP2007534737A (ko)
KR (1) KR20070047737A (ko)
CN (1) CN1972946A (ko)
AT (1) ATE462706T1 (ko)
AU (1) AU2005238287A1 (ko)
CA (1) CA2564277A1 (ko)
DE (1) DE602005020281D1 (ko)
HU (1) HUP0400891A2 (ko)
IL (1) IL178906A0 (ko)
RU (1) RU2391344C2 (ko)
WO (1) WO2005105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8842A (ja) * 2012-05-21 2015-07-06 バイエル ファーマ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置換ピロロピリミジン
WO2014145576A2 (en) * 2013-03-15 2014-09-18 Northwestern University Substituted pyrrolo(2,3-d)pyrimidin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EP3194399B1 (en) 2014-09-17 2019-04-10 Pécsi Tudományegyetem New agents for treating neurogenic inflammation and neuropathic hyperalgesia related disorders
RU2603770C2 (ru) * 2014-11-28 2016-11-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елгор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НИУ "БелГУ") Замещенные пиразинопиримидиноны как блокаторы trpa1 каналов,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CN110483526B (zh) * 2019-09-09 2021-10-01 辽宁大学 含芳基腙结构的吡唑并[1,5-a]嘧啶类衍生物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18676A1 (de) * 1978-04-27 1979-11-08 Troponwerke Gmbh & Co Kg Substituierte 5,6-dimethylpyrrolo 2,3-d pyrimid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arzneimittel
DE69906511T2 (de) * 1998-05-19 2004-01-29 Otsuka Pharma Co Ltd PYRAZOLO[1,5-a]PYRIMIDINE
JP4078074B2 (ja) * 1999-12-10 2008-04-23 ファイザー・プロダクツ・インク ピロロ[2,3−d]ピリミジン化合物
EP1797054A2 (en) * 2004-08-02 2007-06-20 OSI Pharmaceuticals, Inc. Aryl-amino substituted pyrrolopyrimidine multi-kinase inhibiting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64277A1 (en) 2005-11-10
EP1756110A1 (en) 2007-02-28
HU0400891D0 (en) 2004-07-28
ATE462706T1 (de) 2010-04-15
HUP0400891A2 (en) 2006-04-28
RU2006141393A (ru) 2008-06-10
WO2005105804A1 (en) 2005-11-10
JP2007534737A (ja) 2007-11-29
US20080214583A1 (en) 2008-09-04
IL178906A0 (en) 2007-03-08
EP1756110B1 (en) 2010-03-31
CN1972946A (zh) 2007-05-30
DE602005020281D1 (de) 2010-05-12
AU2005238287A1 (en) 2005-11-10
RU2391344C2 (ru)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ang et al. Synthesis,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activity of symmetrical bis-Schiff base derivatives of isatin
JP5926727B2 (ja) 置換イミダゾ[1,2−b]ピリダジン
JP5156150B2 (ja) 新規な多環式化合物およびそれらの使用
EP2708538B1 (en) Process for preparing fused pyrimidine-dione derivatives, useful as as TRPA1 modulators
Farghaly et al. Synthesis, anti-HCV, antioxidant, and peroxynitrite inhibitory activity of fused benzosuberone derivatives
CN109906227A (zh) 8,9-二氢咪唑[1,2-a]嘧啶并[5,4-e]嘧啶-5(6H)-酮类化合物
CN102796103A (zh) 6-(芳基甲酰)咪唑并[1,2-a]嘧啶和6-(芳基甲酰)[1,2,4]三唑并[4,3-a]嘧啶作为Hedgehog抑制剂及其应用
KR20150036239A (ko)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를 위한 거대환식 푸린
CA2388658A1 (en) 1-amino triazolo[4,3-a]quinazolin-5-ones and or -5-thiones inhibiting phosphodiesterase iv
CN111542522B (zh) 可用作激酶抑制剂的被取代的吡唑并嘧啶
KR20070047737A (ko) 7H-피롤로[2,3-d]피리미딘뿐만 아니라 이들의 치료적으로허용되는 염, 이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 및 활성제의제조방법
CN103097393B (zh) 喹喔啉化合物
IE910853A1 (en) 2,4-pyrimidinedio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CA2483496A1 (en) Inhibitors of checkpoint kinases (wee1 and chk1)
CN114423759B (zh) 稠合杂芳基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US20230271966A1 (en) Prpk inhibitors
Tiwari et al. Synthesis and pharmacological screening of N-substituted anthranilic acid derivatives
Kandeel et al. Synthesis and antitumor activity of novel pyrazolo [3, 4-d] pyrimidines and related heterocycles
FI74011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nya terapeutiskt anvaendbara /1,2,4/triazolo/4,3-a/kinoxalin-4-aminderivat.
JP2022504082A (ja) ウイルス感染を処置するための2,6-ジメチル-N-((ピリジン-4-イル)メチル)イミダゾ[1,2-b]ピリダジン-8-アミンおよび2,5-ジメチル-N-[(ピリジン-4-イル)メチル]ピラゾロ[1,5-a]ピリミジン-7-アミン誘導体
US7235554B2 (en) 3-heteroaryl-3,5-dihydro-4-oxo-4H-pyridazino[4,5-b] indole-1-acetamide derivatives, preparation and use thereof in medicaments
JP2008514565A (ja) 三環式化合物、それら製造方法、及び医薬剤としての使用
JP2001519350A (ja) ナフト−イミダゾ[1,2−a]ピリジン誘導体、その製造及び中枢神経系障害の処置におけるその使用
Radini A CONVENIENT SYNTHESIS OF NOVEL PYRAZOLO [3, 4-D] PYRIMIDINE AND PYRAZOLO [4, 3-E][1, 2, 4] TRIAZOLO [1, 5-C] PYRIMIDINE DERIVATIVES TARGETING CDK2
CA3088801A1 (en) Compounds for treating rac-gtpase mediated dis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