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4125A - 연잎 추출물 첨가 김치 - Google Patents

연잎 추출물 첨가 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4125A
KR20070044125A KR1020050100086A KR20050100086A KR20070044125A KR 20070044125 A KR20070044125 A KR 20070044125A KR 1020050100086 A KR1020050100086 A KR 1020050100086A KR 20050100086 A KR20050100086 A KR 20050100086A KR 20070044125 A KR20070044125 A KR 20070044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leaf extract
lotus leaf
chinese cabbage
lo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영
이경석
Original Assignee
이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영 filed Critical 이기영
Priority to KR1020050100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4125A/ko
Publication of KR2007004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12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추김치 제조시 연잎 추출물을 사용하여 김치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배추김치에 연잎 추출물의 처리방법을 달리하여 pH, 유기산함량, 일반세균과 젖산균의 수 등을 측정하여 김치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배추김치, 연잎, 추출, 첨가방법, 저장성

Description

연잎 추출물 첨가 김치 { Lotus(Nelumbo nucifera) Leaf extract added Kimchi }
김치는 배추나 무를 주원료로 하고 다양한 향신료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적인 채소발효식품으로서 오랫동안 한국인의 식생활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점차 세계적인 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라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와 외식산업의 발달 등으로 김치도 기업적인 생산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하지만, 김치는 자연발효식품으로 발효 숙성과정이나 유통과정 중에 젖산을 비롯한 각종 유기산이 생성되어 산도가 증가하고, 연부현상이 일어나 풍미의 변화가 심하여 상품화에 어려움이 있다.
김치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에서는 방사선조사 방법, 염 혼합물의 첨가, 살균처리방법, 천연첨가물의 첨가 등 여러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신선한 김치를 선호하는 특성상 가열살균, 보존료 첨가 등이 관능적으로 부적합한 점이 있어 김치 저장성 향상에 장애요인으로 되고 있다. 이 외에 발효성당과 당 알코올의 첨가로 김치의 발효숙성을 조절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김치는 자연발효식품이고, 특히 최근 소비자들이 식품에 대한 건강지향적 욕 구의 증가로 화학적 합성보존료에 대한 기피현상이 강하게 일어나므로 인체에 무해한 천연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천연물 대체 보존료 개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연의 항 미생물 활성물질인 연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김치의 발효숙성을 조절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배추김치의 유기산생산량을 감소시키고 일반세균, 젖산균의 생장을 억제시켜 배추김치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잎 추출물의 첨가방법을 제공한다.
연잎 추출물은 건조된 연잎에 100배의 물을 가하여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연잎추출물의 처리는 배추의 소금 절임 시 연잎추출물을 함유하는 절임 액을 사용하여 절인 경우와 절임 배추를 연잎추출물에 침지 시킨 후 제조한 경우, 양념에 첨가하여 제조한 경우, 건조된 연잎을 양념에 첨가하여 제조한 경우 그리고 대조군으로 무 처리 군을 설정하여 제조하였다. 대조군을 제외한 각 군은 연잎 추출물의 함량이 배추무게의 1%가 되도록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이들을 밀폐된 용기에 담아 10℃에서 25일간 숙성시켜 김치를 제조하였다.
위 과정과 같이 김치를 제조한 후 pH변화와 유기산 함량변화는 그림 1 과 같이 연잎추출물을 첨가한 김치가 모두 pH가 높았다. 유기산 함량의 변화 역시 pH 와 역으로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림 2 와 같이 총 균 수 및 젖산균 수는 숙성기간 동안 전반적으로 무첨가시료보다는 연잎 추출물을 첨가한 김치가 대조구에 비하여 균 수가 적었다. 젖산균 수는 숙성 10일째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젖산균 수 역시 연잎추출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균 수가 적었으며 절임 배추를 연잎추출물에 침지 시킨 후 제조한 경우, 양념에 첨가하여 제조한 경우가 특히 낮은 균 수 량을 보여주었다.
<그림 1>
Figure 112005060071519-PAT00001
Figure 112005060071519-PAT00002
<그림 2>
Figure 112005060071519-PAT00003
Figure 112005060071519-PAT0000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잎추출물의 첨가방법을 달리하여 배추김치를 제조하여 이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천연 재료인 연잎의 항균 활성을 이용하여 김치의 저장성을 떨어뜨리는 일반세균과 젖산균의 생육을 억제시켜 유기산 생산량을 떨어뜨려 김치의 저장성을 향상시킨다. 천연의 재료를 사용한 만큼 기존 합성의 보존제의 위해성에서 벗어날 수 있다.

Claims (1)

1. 건조된 연잎에 100배의 물을 가하여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연잎 추출물을 얻는 단계.
2. 상기 연잎 추출물을 배추김치에 첨가하는 방법에 있어 배추의 소금 절임 시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절임 액을 사용하여 절인 후 김치를 제조하는 경우.
3. 상기 연잎 추출물을 배추김치에 첨가하는 방법에 있어 절임 배추를 연잎 추출물에 침지 시킨 후 김치를 제조하는 경우.
4. 상기 연잎 추출물을 배추김치에 첨가하는 방법에 있어 연잎 추출물을 양념에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하는 경우.
5. 건조된 연잎을 양념에 첨가하여 배추김치를 제조하는 경우.
6. 김치를 숙성시킴에 있어 밀폐된 용기에 담아 10℃에서 25일간 숙성시키는 단계.
KR1020050100086A 2005-10-24 2005-10-24 연잎 추출물 첨가 김치 KR20070044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086A KR20070044125A (ko) 2005-10-24 2005-10-24 연잎 추출물 첨가 김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086A KR20070044125A (ko) 2005-10-24 2005-10-24 연잎 추출물 첨가 김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125A true KR20070044125A (ko) 2007-04-27

Family

ID=3817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086A KR20070044125A (ko) 2005-10-24 2005-10-24 연잎 추출물 첨가 김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41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177B1 (ko) * 2010-08-13 2011-01-26 주식회사 태강 뽕잎 장아찌 제조방법
CN102524371A (zh) * 2012-04-23 2012-07-04 山东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荷叶浸提液果蔬保鲜剂及其使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177B1 (ko) * 2010-08-13 2011-01-26 주식회사 태강 뽕잎 장아찌 제조방법
CN102524371A (zh) * 2012-04-23 2012-07-04 山东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荷叶浸提液果蔬保鲜剂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84859B (zh) 利用微生物发酵剂制作鱼米混合鱼糕的方法
KR101478975B1 (ko) 마늘 발효 효소를 이용한 김치제조 방법
CN112741289A (zh) 一种低盐、低亚硝酸盐苤蓝泡菜的加工方法
KR20150111141A (ko) 삼채가 함유된 저염 젓갈의 제조방법
CN102511540B (zh) 一种乳酸菌发酵醇香黄花鱼的腌制方法
JP6747658B2 (ja) アンモニア臭を発生する魚類のフィレ肉の除臭及び食味及び食感の改善方法
KR101418963B1 (ko) 저염가루김치의 제조방법 및 저염가루김치를 함유한 조미료
KR20110007296A (ko) 연을 이용한 김치의 발효숙성방법
KR100515973B1 (ko) 식품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JP7194014B2 (ja) カニミソの冷解凍後の風味低下抑制剤
CN106912553A (zh) 小黄鱼保鲜工艺
KR20070044125A (ko) 연잎 추출물 첨가 김치
KR20090129277A (ko) 김밥용 녹차 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6513A (ko) 품질 및 보존성이 향상된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075932B1 (ko) 누름돌과 오이지 발효액을 이용한 속성 발효 오이지 및 그 제조방법
CN110916109A (zh) 一种添加麦芽糖醇的低脂发酵香肠及其制作方法
CN106819077A (zh) 一种藤婆茶提取物复合水产品保鲜剂
KR102555390B1 (ko) 절임배추의 제조방법
KR20130008388A (ko) 밤꽃 순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293489B1 (ko) 원형유지 오디 당절임 및 그 제조방법
CN107950924B (zh) 一种保持武昌鱼冷冻后口感的方法
KR101050265B1 (ko) 키토산과 매생이가 첨가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330451B1 (ko) 톳 정유를 이용한 명란젓의 제조방법
KR20230038944A (ko)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14090B1 (ko) 해양심층수와 열처리 마늘을 포함하는 묵은 김치의 속성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