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2610A -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2610A
KR20070042610A KR1020050098423A KR20050098423A KR20070042610A KR 20070042610 A KR20070042610 A KR 20070042610A KR 1020050098423 A KR1020050098423 A KR 1020050098423A KR 20050098423 A KR20050098423 A KR 20050098423A KR 20070042610 A KR20070042610 A KR 20070042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window
module
mirro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6960B1 (ko
Inventor
진규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960B1/ko
Priority to CNB200510124382XA priority patent/CN100489706C/zh
Priority to US11/296,801 priority patent/US20070085423A1/en
Publication of KR20070042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5Control circu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0Control units therefor
    • E05Y2400/41Control units therefor for multiple motors
    • E05Y2400/415Control units therefor for multiple motors for multiple wings
    • E05Y2400/42Control units therefor for multiple motors for multiple wings for multiple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2003/0293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with an integrated touc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32Feedback about selected symbol, e.g.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03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more than one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condition in one or both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08Application power sea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Application power wind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2Application rear view mirr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파워 윈도우와 도어 락/언락 및 미러의 구동 제어를 위한 각 스위치를 하나로 통합한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으로서, 차량의 윈도우와 도어 및 미러 구동 제어를 위해 조작되는 하나의 스위치 모듈과; 상기 스위치 모듈 신호를 입력받아 윈도우와 도어 및 미러 구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스위치 모듈로부터 전송된 조작신호를 제어 모듈을 통해 전송받아 해당 구동제어 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현 선택 모드를 상기 제어 모듈로 송신하는 클러스터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윈도우, 도어, 미러, 스위치, 터치센서, 스크롤, LCD

Description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 {A system for window control switch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스위치 모듈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스위치 모듈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클러스터 모듈의 표시부를 통해 제공되는 제어화면 도면.
<도면부호의 설명>
10 스위치 모듈 12 터치 센서부
14 스크롤 버튼부 16a 제1 시소우타입 버튼부
16b 제2 시소우타입 버튼부 18 선택 바
20 제어 모듈 30 클러스터 모듈
35 표시부 40 캔 버스라인
본 발명은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 으로는 차량의 파워 윈도우와 도어 락/언락 및 미러의 구동 제어를 위한 각 스위치를 하나로 통합한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구조는 하나의 스위치로 하나의 기능을 조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파워 윈도우 스위치, 도어 락/언락 스위치, 윈도우 락/언락 스위치 및 미러 조절 스위치 각각은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한다.
따라서, 스위치의 숫자가 많아지고 추가적인 조작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위치가 추가되어야 하므로,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시 혼선 및 오조작 가능성이 크고 스위치 수의 증대에 따른 비용상승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 도어 트림쪽에 스위치가 장착되어야 하는데, 스위치 갯수가 많아지게 되면 전체적인 스위치 모듈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어 도어 트림의 디자인에 제약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파워 윈도우와 도어 락/언락 및 미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여러 스위치를 하나의 스위치 모듈상에 통합시켜 스위치 구성의 간소화 및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위치 조작에 따른 조작상태를 클러스터 내 구비된 LCD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스위치 기능 선택 및 그에 따른 제어동작 상태를 운전자에게 제공토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은,
차량의 윈도우와 도어 및 미러 구동 제어를 위해 조작되는 하나의 스위치 모듈과;
상기 스위치 모듈 신호를 입력받아 윈도우와 도어 및 미러 구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스위치 모듈로부터 전송된 조작신호를 제어 모듈을 통해 전송받아 해당 구동제어 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현 선택 모드를 상기 제어 모듈로 송신하는 클러스터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은,
차량의 윈도우와 도어 및 미러 구동 제어를 위해 조작되는 하나의 스위치 모듈(10)과;
상기 스위치 모듈(10) 신호를 입력받아 윈도우와 도어 및 미러 구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20); 및
상기 스위치 모듈(10)로부터 전송된 조작신호를 제어 모듈(20)을 통해 전송받아 해당 구동제어 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35)를 포함하며, 현 선택 모드를 상기 제어 모듈(20)로 송신하는 클러스터 모듈(30)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20)과 클러스터 모듈(30)은 캔(CAN) 버스라인(40)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러스터 모듈(30) 내 표시부(35)는 LCD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 모듈(10)은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 차량의 운전석 도어 암레스트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 모듈(10)은 차량의 윈도우와 도어 및 미러 구동 제어를 위해 조작되는 터치 센서부(12)와; 상기 터치 센서부(12) 조작 후 클러스터 모듈 내 표시부(35)상에 표시되는 제어 항목의 선택을 위해 조작되는 스크롤 버튼부(14)와; 상기 스크롤 버튼부(14)의 조작으로 해당 제어 항목에 선택 바를 고정시킨 후, 윈도우 업, 도어 락, 윈도우 락, 좌/우 미러 좌로 이동, 좌/우 미러 앞으로 이동 및 좌/우 미러 폴딩 수행을 위해 조작되는 제1 시-소우 타입 버튼부(16a)와 윈도우 다운, 도어 언락, 윈도우 언락, 좌/우 미러 우로 이동, 좌/우 미러 뒤로 이동 및 좌/우 미러 언폴딩 수행을 위해 조작되는 제2 시-소우 타입 버튼부(16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스위치 모듈(10)의 상세 구성을 도 2a와 2b에 각각 나타내었다. 상기 도 2a는 스위치 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스위치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모듈(10) 내에는 차량의 윈도우와 도어 및 미러 구동 제어를 위해 조작되는 터치 센서부(12)가 위치하며, 터치 센서부(12) 조작 후 제어 항목 선택을 위한 스크롤 버튼부(14)와 이 스크롤 버튼부(14)의 상,하부측에 각각 위치하여 조작되는 제1,2 시-소우(see-saw) 타입의 버튼부(16a, 16b)가 각각 위치한다.
한편, 상기 스크롤 버튼부를 통해 선택되는 제어 항목은 클러스터 모듈 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데,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클러스터 모듈 내 표시부를 통해 제공되는 제어화면은 선택 바(18)를 통해 식별가능하도록 표시되는데, 표시되는 제어화면으로는 운전석 윈도우 업/다운, 조수석 윈도우 업/다운, 후석 좌측 윈도우 업/다운, 후석 우측 윈도우 업/다운, 도어 락/언락, 윈도우 락/언락, 좌측 미러 좌/우 제어, 좌측 미러 전/후 제어, 우측 미러 좌/우 제어, 우측 미러 전/후 제어, 좌측 미러 폴딩/언폴딩 및 우측 미러 폴딩/언폴딩으로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 동작을 도 1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는 차량의 파워 윈도우 업/다운, 도어 락/언락 및 미러의 구동 제어를 위해 터치 센서부(12)에 손을 올려 놓으면, 그에 따라 클러스터 모듈(30) 내 표시부(35)를 통해 도 3과 같은 제어 화면이 제공된다.
상기 상태에서, 운전자는 스크롤 버튼부(14)를 조작하여 제공되는 제어 화면 중 조작하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된 기능의 세부적인 제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2 시-소우(see-saw) 타입 버튼부(16a, 16b) 중 해당 버튼의 조작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택 기능은 제어 모듈(20)과 캔 통신(40)을 이루는 클러 스터 모듈(30) 내 표시부(35)를 통해 실시간으로 운전자에게 제공된다. 상기에서, 스위치 모듈(10)에서 제어 모듈(20)로 전송되는 조작신호로는 터치 센서 조작신호, 제1,2 시-소우 타입 버튼 조작신호 및 스크롤 버튼 조작신호가 인가되는데, 도 1에서 시-소우 오토 신호는 파워 윈도우의 업/다운을 오토로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로서 그에 대한 기능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다.
상기에서와 같이, 제어 모듈(20)에서는 클러스터 모듈(30)로 스위치 모듈(10)의 조작신호를 전송하여 표시토록 하는 한편, 클러스터 모듈(30)에서는 현 선택된 모드를 제어 모듈(20)측으로 전송하여 제어 모듈(2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의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제어 모듈(20)의 제어신호에 따른 해당 기능 즉, 윈도우, 도어 및 미러의 구동 방법은 동종업계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 판단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파워 윈도우와 도어 락/언락 및 미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각각의 스위치를 하나의 스위치 모듈상에 통합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해석함에 있어서는,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위치 갯수의 축소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운전자의 조작시 오조작 가능성이 줄어든다.
둘째, 스위치 모듈의 사이즈 축소로 도어 트림상에 장착이 용이하다.
셋째, 클러스터 내 디스플레이하여 현 스위치 조작상태를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된다.

Claims (6)

  1. 차량의 윈도우와 도어 및 미러 구동 제어를 위해 조작되는 하나의 스위치 모듈과;
    상기 스위치 모듈 신호를 입력받아 윈도우와 도어 및 미러 구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스위치 모듈로부터 전송된 조작신호를 제어 모듈을 통해 전송받아 해당 구동제어 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현 선택 모드를 상기 제어 모듈로 송신하는 클러스터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모듈은 차량의 윈도우와 도어 및 미러 구동 제어를 위해 조작되는 터치 센서부와;
    상기 터치 센서부 조작 후 클러스터 내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제어 항목의 선택을 위해 조작되는 스크롤 버튼부와;
    상기 스크롤 버튼부의 조작으로 해당 제어 항목에 선택 바를 고정시킨 후, 윈도우 업, 도어 락, 윈도우 락, 좌/우 미러 좌로 이동, 좌/우 미러 앞으로 이동 및 좌/우 미러 폴딩 수행을 위해 조작되는 제1 시-소우 타입 버튼부와 윈도우 다운, 도어 언락, 윈도우 언락, 좌/우 미러 우로 이동, 좌/우 미러 뒤로 이동 및 좌/ 우 미러 언폴딩 수행을 위해 조작되는 제2 시-소우 타입 버튼부를 포함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과 클러스터 모듈은 캔(CAN) 버스라인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모듈 내 표시부는 LCD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
  5. 제 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모듈 내 표시부를 통해 제공되는 제어화면은 운전석 윈도우 업/다운, 조수석 윈도우 업/다운, 후석 좌측 윈도우 업/다운, 후석 우측 윈도우 업/다운, 도어 락/언락, 윈도우 락/언락, 좌측 미러 좌/우 제어, 좌측 미러 전/후 제어, 우측 미러 좌/우 제어, 우측 미러 전/후 제어, 좌측 미러 폴딩/언폴딩 및 우측 미러 폴딩/언폴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모듈은 차량의 운전석 도어 암레스트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
KR1020050098423A 2005-10-19 2005-10-19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 KR100736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423A KR100736960B1 (ko) 2005-10-19 2005-10-19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
CNB200510124382XA CN100489706C (zh) 2005-10-19 2005-11-29 用于车辆的车窗控制开关系统
US11/296,801 US20070085423A1 (en) 2005-10-19 2005-12-06 Window control switch system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423A KR100736960B1 (ko) 2005-10-19 2005-10-19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610A true KR20070042610A (ko) 2007-04-24
KR100736960B1 KR100736960B1 (ko) 2007-07-09

Family

ID=37947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423A KR100736960B1 (ko) 2005-10-19 2005-10-19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85423A1 (ko)
KR (1) KR100736960B1 (ko)
CN (1) CN100489706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619A1 (ko) * 2012-12-27 2014-07-0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도어글래스 조절장치
US11722077B2 (en) 2017-05-29 2023-08-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otor vehicle having a front door and a rear do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134B1 (ko) 2004-05-25 2010-12-1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 도어 제어회로
FR2959036B1 (fr) * 2010-04-19 2016-01-01 Dura Automotive Systems Sas Dispositif de commande en deplacement d'au moins deux equipements d'un vehicule automobile
CN103350631A (zh) * 2013-06-09 2013-10-16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
CN103576593A (zh) * 2013-11-22 2014-02-12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商用车系统车身控制器及控制方法
DE102015200006A1 (de) * 2015-01-02 2016-07-07 Volkswage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Anwenders vor einer Bedienung eines Schalters zur elektromotorischen Verstellung eines Teils eines Fortbewegungsmittels
EP3085868B1 (en) * 2015-04-20 2020-11-25 Volvo Car Corporation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operating vehicle windows
CN105223849B (zh) * 2015-09-30 2018-10-09 中通客车控股股份有限公司 新能源汽车辅助动力系统多能源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0140098B (zh) 2016-07-11 2023-08-11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车辆内部部件
CN106143347B (zh) * 2016-07-25 2018-06-19 吉林大学 一种环形智能汽车开关装置
WO2020018470A1 (en) 2018-07-18 2020-01-23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CN111810006A (zh) * 2019-04-10 2020-10-23 重庆金康新能源汽车有限公司 汽车门窗的控制方法、中控设备及汽车
WO2021011536A1 (en) 2019-07-15 2021-01-21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958A (ko) * 1998-08-03 2000-03-06 홍종만 파워윈도우의 열림에 의한 에어컨 작동 제어장치 및그 제어 방법
NO20005119L (no) * 2000-02-18 2001-08-20 Ziad Badarneh Interaktivt system
US6812942B2 (en) * 2000-12-28 2004-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xt-responsive in-vehicle display system
KR100417785B1 (ko) * 2001-07-19 2004-02-1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 사이드 미러의 자동 제어 장치
FR2852745B1 (fr) * 2003-03-18 2005-08-05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Contacteur pour la commande de leve-vitres
DE10347836A1 (de) * 2003-10-10 2005-05-04 Daimler Chrysler Ag Fahrzeugdatenbus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619A1 (ko) * 2012-12-27 2014-07-0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도어글래스 조절장치
US11722077B2 (en) 2017-05-29 2023-08-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otor vehicle having a front door and a rear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89706C (zh) 2009-05-20
CN1952816A (zh) 2007-04-25
US20070085423A1 (en) 2007-04-19
KR100736960B1 (ko) 2007-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960B1 (ko) 차량용 윈도우 제어 스위치 시스템
US5406270A (en) Dead switch vehicle operator identification
US7138727B2 (en) Vehicular accessory control panel
KR101166895B1 (ko)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JP4758087B2 (ja) 表示装置
EP3085868B1 (en)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operating vehicle windows
US20090066474A1 (en) Vehicle input device
JP2000071809A (ja) 車載用入力装置
US20100087951A1 (en) Monitor postion adjustment device
JP2020124950A (ja) 車両用表示装置
WO2021022355A1 (en) Power window sync switch
JP2000003652A (ja) 車載用入力装置
JP3728553B2 (ja) 自動車用入力装置
US20040189093A1 (en) Window regulator control switch
JP2008019625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05146766A (ja) 車載操作装置
JP2001006480A (ja) 多機能スイッチ装置
CN113841111A (zh) 用于对车辆的操作模块进行编程的方法和相应的操作模块
CN114919513A (zh) 一种后视镜控制系统、控制方法及车辆
KR100692762B1 (ko)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77406B1 (ko) 차량용 사이드미러 및 윈도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537460B1 (ko) Can통신을 이용한 모니터에서의 차량 에어컨 제어 시스템
RU2413634C2 (ru) Панель двери со встроенной функцией блока зеркала заднего обзора
JP3962915B2 (ja) パワーウインドウ制御装置
JP2000356962A (ja) 車両用マルチ表示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