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625A -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625A
KR20070041625A KR1020077005568A KR20077005568A KR20070041625A KR 20070041625 A KR20070041625 A KR 20070041625A KR 1020077005568 A KR1020077005568 A KR 1020077005568A KR 20077005568 A KR20077005568 A KR 20077005568A KR 20070041625 A KR20070041625 A KR 20070041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opening
valve
closing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4329B1 (ko
Inventor
야스유키 오노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70041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1/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being supplied with non-airborne oxygen or other non-fuel gas
    • F02D21/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being supplied with non-airborne oxygen or other non-fuel gas peculiar to engines having other non-fuel gas added to combustion air
    • F02D21/08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being supplied with non-airborne oxygen or other non-fuel gas peculiar to engines having other non-fuel gas added to combustion air the other gas being the exhaust gas of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02D41/005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according to engine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055Special engine operating conditions, e.g. for regeneration of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02EG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upercharged engines
    • F02M26/04EG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upercharged engines with a single turbocharger
    • F02M26/05High pressure loops, i.e. wherein recirculated exhaust gas is taken out from the exhaust system upstream of the turbine and reintroduced into the intake system downstream of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06Layout of the intake air cooling or coolant circuit
    • F02B29/0425Air cooled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1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de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22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with coolers in the recirculation passage
    • F02M26/23Layout, e.g. schema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Supercharger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디젤엔진(1)에 설치된 개폐제어장치(40)에 의하면,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30)의 제어부(33)는, 디젤엔진(1)의 회전속도(N)가 중속 회전속도 이상이며, 또한 연료 분사량이 아이들링 분사량(Fi) 이하에 있는 경우에는, 엔진 브레이크를 가동하는 상황에 있다고 판단하고, 바이패스밸브(24) 및 EGR밸브(52)의 양쪽을 폐쇄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문에, 배기가스가 배기터빈(22)의 입구통로측으로부터 압축기(21)의 출구통로측으로 되돌아올 우려가 없어, 고속주행중이나 강판주행중의 엔진 브레이크를 효과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OPEN/CLOSE CONTROLLER OF INTAKE AND EXHAUST COMMUNICATION CIRCUIT}
본 발명은,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흡기측과 배기측을 연통시키는 흡배기 연통회로를 갖는 내연기관의 개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인 가솔린 엔진이나 디젤엔진 등에는, 배기터빈 과급기를 구비한 것이 있다. 배기터빈 과급기는,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스의 압력을 이용해서 터빈을 회전시키고, 이 터빈의 회전력에 의해 압축기를 구동해서 엔진에 과급을 행하는 것이다. 이렇게 배기터빈 과급기를 구비한 엔진으로서는, 압축기의 출구통로와 터빈의 입구통로를 연통시킨 바이패스통로를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이 바이패스통로를 구비한 엔진은, 배기 재순환(EGR:Exhaust Gas Recirculation)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전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EGR시스템은, 불활성가스를 함유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디젤엔진에의 흡기로 환류시켜서 연소를 완만하게 해서, 디젤엔진에서의 연소온도를 내림으로써 배기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NOx)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 때, 엔진의 급기압력이 배기압력 보다 높고, 배기가스가 급기측으로 흐르기 어려운 경우에는, 바이패스회로를 개방 해서 흡기의 일부를 배기관로로 흐르게 하여 급기압력을 저하시켜, 배기 재순환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EGR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1-165000호 공보(제9-10쪽, 도 1)
그런데, 엔진을 탑재한 차량에 있어서는, 주행중에 엔진 브레이크를 가동시키는 일이 있다.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상황으로서는, 예를 들면 승용차 혹은 화물트럭으로 말하면, 고속주행중이나 강판주행중에 변속기를 의도적으로 시프트 다운해서 가동하는 경우이며, 감속하는 목적으로 엔진 브레이크는 비교적 빈번하게이용된다. 또한,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는 경우라도, 주행조건에 따라서는, 엔진 브레이크가 가동된 상태로 되는 일이 자주 있다. 또한, 불도저 등의 건설기계 등에 있어서도, 부정지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갑작스러운 경사에 의해 차량속도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일이 있어, 이러한 상황에서도 엔진 브레이크를 이용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EGR시스템이나 바이패스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엔진에서는, EGR시스템의 작동중이나, 이 EGR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서 바이패스회로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급기측과 배기측이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황에서 엔진 브레이크를 가동시키려고 해도, 배기가스(연소가스는 거의 함유되지 않는다)가 EGR용의 재순환 관로를 헛되이 순환할 뿐이거나, 바이패스관로를 역류하게 되어, 엔진 브레이크가 효과적으로 가동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EGR시스템이나 바이패스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내연기관이여도, 엔진 브레이크를 효과적으로 가동할 수 있는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항에 따른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에서는, 상기 흡배기 연통회로는 내연기관의 배기가스의 일부를 추출해서 급기측으로 재순환시키는 배기 재순환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상기 배기 재순환 통로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 내연기관의 회전속도가 중속 회전속도 이상이며, 또한 내연기관을 자립시키는데에 필요한 연료 분사량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방향으로 제어하는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항에 따른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에서는, 상기 흡배기 회로는 외기를 흡입, 가압해서 내연기관에 공급하는 압축기 및 이 압축기를 구동하는 배기터빈을 갖는 과급기와, 상기 배기터빈의 입구통로측으로부터 배기가스의 일부를 추출해서 상기 압축기의 출구통로측으로 재순환시키는 배기 재순환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상기 배기 재순환 통로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 내연기관의 회전속도가 중속 회전속도 이상이며, 또한 내연기관을 자립시키는데에 필요한 연료 분사량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방향으로 제어하는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항에 따른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에서는, 상기 흡배기 연통회로는 외기를 흡입, 가압해서 내연기관에 공급하는 압축기 및 이 압축기를 구동하는 배기터빈을 갖는 과급기와, 상기 압축기의 출구통로 및 상기 배기터빈의 입구통로를 연통하는 바이패스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상기 바이패스통로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 내연기관의 회전속도가 중속 회전속도 이상이며, 또한 내연기관을 자립시키는데에 필요한 연료 분사량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방향으로 제어하는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항에 따른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에서는, 상기 흡배기 연통회로는 외기를 흡입, 가압해서 내연기관에 공급하는 압축기 및 이 압축기를 구동하는 배기터빈을 갖는 과급기와, 상기 배기터빈의 입구통로측으로부터 배기가스의 일부를 추출해서 상기 압축기의 출구통로측으로 재순환시키는 배기 재순환 통로와, 상기 압축기의 출구통로 및 상기 배기터빈의 입구통로를 연통하는 바이패스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상기 배기 재순환 통로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 바이패스통로에 설치된 별도의 개폐밸브와, 상기 내연기관의 회전속도가 중속 회전속도 이상이며, 또한 내연기관을 자립시키는데에 필요한 연료 분사량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별도의 개폐밸브의 양쪽을 폐쇄방향으로 제어하는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 있어서, 「중속 회전속도 이상」이란, 토크점을 중심으로 해서 전후 200rpm에 걸친 범위 이상을 말한다. 또한 「자립시키는데에 필요한 연료 분사량 이하」란, 아이들링 상태를 유지시키는데에 필요한 연료 분사량 이하인 것이며, 엔진이 피구동측의 회전(예를 들면 차륜측의 회전)에 의해 드래그되고, 연료가 공급되지 않아도 아이들링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즉 연료 분사량이 제로인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제1항 내지 제4항의 발명에 의하면, 내연기관의 회전속도가 중속 회전속도 이상이며, 또한 연료 분사량이 아이들링을 유지시키는데에 필요한 분사량 이하인 경우에는, 내연기관으로서는 엔진 브레이크를 가동시키고자 하고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일 때에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은, EGR시스템의 개폐밸브나 바이패스통로의 개폐밸브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므로, 배기가스가 내연기관의 배기측으로부터 급기측과의 사이에서 헛되이 순환하는 일이 없어, 엔진 브레이크가 효과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제어장치가 설치된 내연기관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제1실시형태의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1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제어장치가 설치된 내연기관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제어장치가 설치된 내연기관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제어장치가 설치된 내연기관을 나타내는 개략도.
(부호의 설명)
1…내연기관인 디젤엔진, 13…운전상태 검출수단, 20…과급기인 배기터빈 과급기, 21…압축기, 22…배기터빈, 23…흡배기 연통회로를 구성하는 바이패스통로, 24…개폐밸브인 바이패스밸브, 30…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 40…개폐제어장치, 51…흡배기 연통회로를 구성하는 배기 재순환 통로, 52…개폐밸브인 배기 재순환(EGR) 밸브, Fi…내연기관이 자립가능한 연료 분사량인 아이들링 분사량, Nm…중속 회전속도.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한, 후술하는 제2 내지 제4실시형태에서, 이하에 설명하는 제1실시형태에서의 구성부품과 동일한 부품 및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품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간단하게 혹은 생략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에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디젤엔진(내연기관)(1)을 나타내는 개략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 1에 있어서, 디젤엔진(1)은 내부에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연소실이 형성된 엔진 본체(2)와, 연소실에 급기를 공급하는 급기관로(3)와, 연소실 외부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로(4)와, 디젤엔진(1)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구(5)와, 엔진 본체(2)의 동작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10)와, 엔진 본체(2)로의 과급을 행하기 위해서 급기를 압축하는 배기터빈 과급기(과급기)(20)와, NOx 배출량 저감을 위한 배기 재순환 시스템(이하, 「배기 재순환」을 EGR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50)을 구비하고 있다.
급기관로(3)와 엔진 본체(2) 사이에는 급기관로(3)로부터의 급기가 각각의 연소실에 분배되도록 급기 매니폴드(3A)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엔진 본체(2)와 배기관로(4) 사이에는, 각각의 연소실로부터의 배기가 통합되어 배기관로(4)에 유입하도록 배기 매니폴드(4A)가 부착되어 있다.
냉각기구(5)는, 엔진 본체(2)내에 수용된 크랭크샤프트(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8)를 구비하고, 펌프(8)에 의해 압송된 냉각수는 디젤엔진(1)의 엔진 본체(2), 배기터빈 과급기(20), 도시하지 않은 오일쿨러 등의 냉각 필요부위를 냉각시킨 후, 냉각기구(5)에 설치된 라디에이터(6)로 공냉되게 되어 있다. 또한, 급기관로(3)의 도중에는, 배기터빈 과급기(20)로 압축된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애프터쿨러(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라디에이터(6) 및 애프터쿨러(7)는, 엔진 본체(2)에 설치되고, 또한 크랭크샤프트 등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팬(9)에 의해, 그 냉각작용이 촉진되게 되어 있다.
엔진 컨트롤러(10)는 엔진 본체(2)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속도 검출수단(11), 도시하지 않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스로틀 개방도) 검출수단, 엔진 수온 검출수단, 흡기 매니폴드내 가스온도 검출수단 등을 구비한 운전상태 검출수단(13)에 접속되고, 이 운전상태 검출수단(13)으로부터, 이들의 검출신호를 받아들이고 있다. 엔진 컨트롤러(10)는, 이들 검출신호에 의해 디젤엔진(1)의 운전이 최적이 되도록 연소실에의 연료 분사량이나 연료 분사 타이밍 등을 산출하고, 도시하지 않은 연료 분사장치에 이들 산출값을 지령값으로서 출력한다는 등의 제어를 행 하고 있다.
여기에서, 엔진 회전속도 검출수단(11)은, 예를 들면 엔진 본체(2)의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것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배기터빈 과급기(20)는 배기관로(4)의 도중에 설치된 배기터빈(22)과, 급기관로(3)의 도중에 설치되고, 배기터빈(22)에 연결되어서 구동되는 압축기(21)를 구비하고 있다. 급기관로(3)에서의 압축기(21)의 출구통로 중, 애프터쿨러(7)의 하류측과, 배기관로(4)에서의 배기터빈(22)의 입구통로는, 바이패스통로(23)로 연통되어 있고, 이 바이패스통로(23)에는, 바이패스통로(23)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바이패스밸브(별도의 개폐밸브)(24)가 부착되어 있다. 이 바이패스밸브(24)는 니들밸브, 버터플라이밸브, 전자밸브 등, 임의의 구성의 밸브를 채용할 수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이패스통로(23)를 전체 개방 또는 전체 폐쇄하는 2위치 제어의 밸브가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바이패스밸브(24)에는, 상기 바이패스밸브(24)의 동작을 제어하는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30)이 접속되어 있다.
EGR시스템(50)은, 배기가스의 일부를 배기 매니폴드(4A)로부터 추출해서 압축기(21)의 출구통로에 재순환시키기 위한 배기 재순환 통로(51)를 흡배기 연통회로로서 구비하고 있다. 이 EGR통로(51)에는, 상기 EGR통로(51)를 개폐하는 EGR밸브(개폐밸브)(52)와, 배기 매니폴드(4A)로부터의 배기가스를 냉각시키는 EGR쿨러(53)가 설치되어 있다. 급기관로(3)측의 EGR통로(51) 단부는 상술한 바이패스통로(23)의 분기위치의 하류측에 있어서, 급기관로(3)에 설치된 벤투리(3B)의 협애부 에 연통되어 있다.
이하에는,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3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30)은, 엔진 컨트롤러(10)에 접속되고, 엔진 컨트롤러(10)로부터의 엔진 회전속도(N)의 검출신호, 연료 분사량(F)의 값을 수신가능하게 되어 있다.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30)에는, 엔진 컨트롤러(10)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31)와, 이 입력부(31)에의 입력신호에 의해 얻어지는 디젤엔진(1)의 운전상태가 맵이나 테이블 등으로서 기억되어 있는 기억부(32)와, 기억부(32)에 기억된 운전상태에 기초해서 밸브(24, 52)의 최적의 개방도를 결정하는 제어부(33)와, 제어부(33)로부터의 개방도 제어신호(C1, C2)를 각 밸브(24, 52)에 출력하는 출력부(34)가 형성되어 있다.
기억부(3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1)의 운전상태를 나타낸 맵(M)을 기억하고 있다. 맵(M)에는 가로축을 엔진 회전속도(N)로 하고, 세로축을 연료 분사량(F)으로 한 그래프상에서, 디젤엔진(1)의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소정의 영역(A)이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영역(A)에서의 디젤엔진(1)의 운전상태는, 엔진 회전속도(N)가 중속 회전속도(Nm) 이상에 있고, 또한 연료 분사량(F)이 아이들링 분사량(Fi) 이하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아이들링 분사량(Fi)이란, 디젤엔진(1)을 자립 운전시키는데에 필요한 최저한의 분사량이며, 분사량이 제로인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33)는 운전상태가 영역(A)인 경우를, 디젤엔진(1)이 엔진 브 레이크를 가동하는 상황에 있다고 판단하고, 밸브(24, 52)의 개방도를 제어한다. 이 때문에 제어부(3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1)의 회전속도(N)가 중속 회전속도(Nm)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회전속도 판정수단(331)과, 연료 분사량(F)이 아이들링 분사량(Fi) 이하인지를 판정하는 연료 분사량 판정수단(332)과, 회전속도(N)가 중속 회전속도(Nm) 이상이며, 또한 연료 분사량(F)이 아이들링 분사량(Fi) 이하인 경우에, 엔진 브레이크를 가동시키는 상황에 있다고 판단하고, 바이패스밸브(24) 및 EGR밸브(EGR/V)(52)의 양쪽에 대하여 폐쇄하는 방향의 개방도 제어신호(C1, C2)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수단(333)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출수단(13),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30), EGR시스템(50)의 EGR밸브(52)를 구비하여, 본 발명의 개폐제어장치(4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30)은, 엔진 컨트롤러(10)를 통해 운전상태 검출수단(13)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제어장치(40)는 엔진 컨트롤러(10)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개폐제어장치(4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디젤엔진(1)의 운전중에 있어서, 배기터빈 과급기(20)에서는, 배기가스에 의해 배기터빈(22)을 회전시켜, 압축기(21)를 구동함으로써, 엔진 본체(2)에의 과급을 행하고 있다. 엔진 컨트롤러(10)는, 엔진 본체(2)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속도 검출수단(11), 도시하지 않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스로틀 개방도) 검출수단, 엔진 수온 검출수단, 흡기 매니폴드내 가스온도 검출수단 등의 신호로부터 디젤엔진(1)의 운전이 최적이 되도록 연소실에의 연료 분사량이나 연료 분 사 타이밍 등을 산출하고, 도시하지 않은 연료 분사장치에 이들 산출값을 지령값으로서 출력한다는 등의 제어를 행함과 아울러,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30)으로 엔진 회전속도(N) 및 연료 분사량(F)의 값을 출력한다.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30)에서는, 엔진 컨트롤러(10)로부터의 엔진 회전속도(N) 및 연료 분사량(F)의 값을 입력부(31)에서 수신한다. 입력부(31)에서의 수신은, 비교적 단시간(예를 들면 1초, 바람직하게는 수십밀리초~수백밀리초) 사이에 복수회의 비율로 행해진다. 그리고, 회전속도 판정수단(331)은, 디젤엔진(1)의 회전속도(N)가 중속 회전속도(Nm) 이상인지를 판정함과 아울러, 연료 분사량 판정수단(332)은 연료 분사량(F)이 아이들링 분사량(Fi) 이하인지를 판정한다. 각 판정수단(331, 332)에서의 판정의 결과, 회전속도(N)가 중속 회전속도(Nm) 이상이며, 또한 연료 분사량(F)이 아이들링 분사량(Fi) 이하인 경우에 제어신호 생성수단(333)은 디젤엔진(1)이 영역(A)내에서 운전되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디젤엔진(1)이 영역(A)내에서 운전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제어신호 생성수단(333)은 엔진 브레이크를 가동시키는 상황에 있다고 판단하고, 바이패스밸브(24) 및 EGR밸브(EGR/V)(52)의 양쪽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제어하는 개방도 제어신호(C1, C2)를 생성해서 출력하고, 영역(A)을 이탈할 때까지 전체 폐쇄상태로 한다. 단, 바이패스밸브(24) 및 EGR밸브(52)가 미리 전체 폐쇄상태가 되어 있는 것이면, 이 전체 폐쇄상태를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배기가스가 바이패스통로(23)나 배기 재순환 통로(51)를 통해 급기측으로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하여, 엔진 브레이크가 양호하게 작동하게 된다.
또한, 설명을 생략했지만, EGR밸브(52)의 본래의 배기 재순환용으로서의 제어는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30)으로 행해져도 좋고, 엔진 컨트롤러(10)에 의해 행해져도 좋다.
또한, 바이패스통로(23) 및 바이패스밸브(24)는, 배경기술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EGR시스템(50)을 효율적으로 가동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고, 급기압력이 배기압력보다 높은 경우에, 배기가스를 급기측으로 확실하게 되돌리기 위해서 개방된다. 그리고, 이 바이패스밸브(24)의 제어도,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30) 또는 엔진 컨트롤러(10)에 의해 행해진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있다.
(1) 즉, 디젤엔진(1)에 설치된 개폐제어장치(40)에 의하면,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30)의 제어부(33)는 디젤엔진(1)의 회전속도(N)가 중속 회전속도(Nm) 이상이며, 또한 연료 분사량(F)이 아이들링 분사량(Fi) 이하에 있는 경우에는, 운전상태로서 연료 분사량(F)을 스로틀해도 회전속도(N)가 떨어지지 않는 상황이며, 엔진 브레이크를 가동하는 상황에 있다고 판단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33)는, 바이패스밸브(24) 및 EGR밸브(52)의 양쪽을 폐쇄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배기터빈(22) 입구통로측으로부터 압축기(21)의 출구통로측으로 되돌아올 우려가 없어, 고속주행중이나 강판주행중의 엔진 브레이크를 효과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2) 제어부(33)가 디젤엔진(1)의 운전상태를 영역(A)에 있다고 판단하기 위해서는, 디젤엔진(1)의 운전 제어를 위해서 엔진 컨트롤러(10)로 통상 이용되는 엔 진 회전속도 검출수단(11), 및 엔진 컨트롤러(10)로 산출되는 연료 분사량의 값을그대로 받아들이면 좋고, 바이패스밸브(24)나 EGR밸브(52)의 개폐제어를 간이한 논리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3) 바이패스통로(23)는 애프터쿨러(7)의 하류측에 있어서 급기관로(3)로부터 분기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이유로 배기가스가 급기관로(3)측으로 역류해도 애프터쿨러(7)를 배기가스가 통과하지 않아, 애프터쿨러(7)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제어장치(40)를 구비한 디젤엔진(1)의 개략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이패스통로(23) 및 바이패스밸브(24)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점이 제1실시형태와는 크게 다르다. 이 때문에,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30)의 출력부(34)로부터는, EGR밸브(52)에 대해서만 개방도 제어신호(C2)가 출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개방도 제어신호(C2)가 출력되는 타이밍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30)의 제어부(33)는, 디젤엔진(1)이 중속 회전속도(Nm) 이상이며, 또한 자립가능한 아이들링 분사량(Fi) 이하인 경우에, 엔진 브레이크를 가동할 필요가 있다고 하고, EGR밸브(52)를 전체 폐쇄로 해서 배기가스가 급기측으로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1)과 동일한 효 과를 얻을 수 있다.
〔제3실시형태〕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제어장치(40)를 구비한 디젤엔진(1)의 개략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EGR시스템(50)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점이 제1실시형태와는 크게 다르다. 이 때문에, 30의 출력부(34)로부터는, 바이패스밸브(24)에 대해서만 개방도 제어신호(C1)가 출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개방도 제어신호(C1)가 출력되는 타이밍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바이패스통로(23) 및 바이패스밸브(24)는, 배기터빈 과급기(20)에서의 서징 방지용으로 전용으로 설치된 것이며, EGR로서 기능시키는 일은 없다.
즉, 디젤엔진(1)의 운전상태가 중고속 영역이며 또한 중고부하 영역에 있는 상태로부터, 급감속한 경우(예를 들면 불도저로 말하면, 중고속으로의 압토작업중에 덱셀페달을 밟은 경우이며, 덤프트럭으로 말하면, 토사를 적재한 상태에서의 중고속에 의한 등판중에 가속페달을 갑자기 되돌린 경우)에는, 연료 분사량이 거의 제로 가까이가 되어, 디젤엔진(1)의 출력이 격감되기 때문에, 엔진 마찰마력이나 구동계의 드래그 토크 등이 브레이크가 되어, 급속하게 회전속도(N)가 저하한다.
그러나, 배기터빈 과급기(20)는 디젤엔진(1)이 저회전이 되어서 배기가스량이 적어져도, 로터 어셈블리의 관성 때문에, 회전이 바로는 저하되지 않고, 천천히 저하되어 간다. 이 때문에, 배기터빈 과급기(20)는, 중고부하에 준하는 급기량을 토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디젤엔진(1)이 저회전하기 때문에, 급기의 흡입량이 줄어든다. 따라서, 압축기(21)의 공기통로계의 스로틀 정도가 커지고, 압축기(21)의 작동 점이 서징 한계선을 넘어서 저유량측에서 매칭되게 되어, 서징이 발생한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와 같은 바이패스통로(23) 및 바이패스밸브(24)를 설치해 두고, 디젤엔진(1)의 운전상태가 중고속 영역이며 또한 중고부하 영역에 있는 상태로부터, 급감속했다고 판단된 경우에,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30)이 바이패스밸브(24)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개구시키면, 압축기(21)의 공기통로계의 스로틀 정도가 적어지고, 압축기(21)의 매칭 특성이 대유량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압축기(21)의 작동점은 서징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를 통해 저속 회전측의 매칭위치로 이행하게 되어, 서징이 확실하게 회피되게 된다.
여기에서, 「중속영역」이란, 토크점을 중심으로 해서 전후 200rpm에 걸친 범위 이상을 말하고, 「고속영역」이란, 「중속영역」보다 큰 회전속도 영역을 말한다. 또한 「중부하」란, 토크점에서의 부하의 30~70%를 말하고, 「고부하」란 「중부하」보다 큰 부하를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디젤엔진(1)이 중속 회전속도(Nm) 이상이며, 또한 자립가능한 아이들링 분사량(Fi) 이하인 경우에, 바이패스밸브(24)를 전체 폐쇄로 해서 배기가스가 급기측으로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하면,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실시형태〕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제어장치(40)를 구비한 디젤엔진(1)의 개략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이패스통로(23), 바이패스밸브(24), 배기터빈 과급기(20), 및 애프터쿨러(7)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점이 제1실시형태와는 크게 다르다. 즉, 본 실시형태의 디젤엔진(1)은, 과급기가 없고 EGR시스템(50)이 설치되어 있는 타입이다.
이러한 경우라도, EGR밸브(52)의 제어를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행함으로써, 상술한 (1)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구성 등을 포함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변형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엔진 브레이크를 가동할 때의 바이패스밸브(24), EGR밸브(52)의 개방도는 전체 폐쇄이었지만, 영역(A)내에 있어서의 실제의 회전속도(N)에 따라 개방도를 조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30)이 엔진 컨트롤러(10)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었지만, 엔진 컨트롤러(10)와 동일한 MPU 등으로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30)의 기능을 엔진 컨트롤러(10)에 갖게 해도 좋고, 이 경우, 본 발명의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으로서는, 엔진 컨트롤러(10)라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은 불도저, 휠로더, 덤프트럭 등의 건설기계용 디젤엔진에 설치된 개폐제어장치 외, 내연기관의 흡기측과 배기측을 연통시키는 유로를 갖는 여러가지 디젤엔진, 혹은 가솔린 엔진의 개폐제어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버스, 화물트럭, 승용차 등에도 이용가능하다.

Claims (4)

  1.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 연통회로는 내연기관의 배기가스의 일부를 추출해서 급기측으로 재순환시키는 배기 재순환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상기 배기 재순환 통로에 설치된 개폐밸브; 및
    상기 내연기관의 회전속도가 중속 회전속도 이상이며, 또한 내연기관을 자립시키는데에 필요한 연료 분사량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방향으로 제어하는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
  2.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 회로는 외기를 흡입, 가압해서 내연기관에 공급하는 압축기 및 이 압축기를 구동하는 배기터빈을 갖는 과급기; 및
    상기 배기터빈의 입구통로측으로부터 배기가스의 일부를 추출해서 상기 압축기의 출구통로측으로 재순환시키는 배기 재순환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상기 배기 재순환 통로에 설치된 개폐밸브; 및
    상기 내연기관의 회전속도가 중속 회전속도 이상이며, 또한 내연기관을 자립시키는데에 필요한 연료 분사량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방향으로 제어하는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
  3.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 연통회로는 외기를 흡입, 가압해서 내연기관에 공급하는 압축기 및 이 압축기를 구동하는 배기터빈을 갖는 과급기; 및
    상기 압축기의 출구통로 및 상기 배기터빈의 입구통로를 연통하는 바이패스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상기 바이패스통로에 설치된 개폐밸브; 및
    상기 내연기관의 회전속도가 중속 회전속도 이상이며, 또한 내연기관을 자립시키는데에 필요한 연료 분사량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방향으로 제어하는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
  4.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 연통회로는 외기를 흡입, 가압해서 내연기관에 공급하는 압축기 및 이 압축기를 구동하는 배기터빈을 갖는 과급기;
    상기 배기터빈의 입구통로측으로부터 배기가스의 일부를 추출해서 상기 압축기의 출구통로측으로 재순환시키는 배기 재순환 통로; 및
    상기 압축기의 출구통로 및 상기 배기터빈의 입구통로를 연통하는 바이패스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상기 배기 재순환 통로에 설치된 개폐밸브;
    상기 바이패스통로에 설치된 별도의 개폐밸브; 및
    상기 내연기관의 회전속도가 중속 회전속도 이상이며, 또한 내연기관을 자립시키는데에 필요한 연료 분사량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별도의 개폐밸브의 양쪽을 폐쇄방향으로 제어하는 개폐밸브 개방도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
KR1020077005568A 2004-08-11 2005-08-11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 KR100824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34750 2004-08-11
JPJP-P-2004-00234750 2004-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625A true KR20070041625A (ko) 2007-04-18
KR100824329B1 KR100824329B1 (ko) 2008-04-22

Family

ID=3583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568A KR100824329B1 (ko) 2004-08-11 2005-08-11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33657B2 (ko)
JP (1) JP4448852B2 (ko)
KR (1) KR100824329B1 (ko)
CN (1) CN101002015B (ko)
DE (1) DE112005001946T5 (ko)
SE (1) SE530129C2 (ko)
WO (1) WO20060166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20007C (zh) * 2004-07-30 2009-07-29 株式会社小松制作所 内燃机进气控制装置
JP4448852B2 (ja) 2004-08-11 2010-04-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吸排気連通回路の開閉制御装置
US8001778B2 (en) * 2007-09-25 2011-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urbocharged engine control operation with adjustable compressor bypass
KR101166741B1 (ko) * 2007-11-13 2012-07-23 도요타 지도샤(주) 내연기관의 제어 장치
KR101097681B1 (ko) * 2008-12-05 2011-12-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차량의 매연여과장치 및 매연여과장치 재생작동 제어 방법
US9010111B2 (en) 2009-04-29 2015-04-21 Fev Gmbh Compressor comprising a swirl generator, for a motor vehicle
US9057336B2 (en) * 2010-03-19 2015-06-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equipped with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10307127A1 (en) 2010-06-15 2011-12-15 Kendall Roger Swens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gine performance
US20120067331A1 (en) * 2010-09-16 2012-03-22 Caterpillar Inc. Controlling engine braking loads using cat regeneration system (CRS)
DK177388B1 (en) * 2011-01-31 2013-03-04 Man Diesel & Turbo Deutschland Large turbocharged two-stroke diesel engine with exhaust gas recirculation
DE102011086803A1 (de) 2011-11-22 2013-05-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paraturverfahren einer Zylinderlauffläche mittels Plasmaspritzverfahren
DE102012223808B4 (de) * 2012-01-05 2019-06-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rennkraftmaschine mit Abgasturboaufladung und Abgasrückführ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erartigen Brennkraftmaschine
DE102013200912B4 (de) 2012-02-02 2018-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urbelgehäuse
US9511467B2 (en) 2013-06-10 2016-1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ylindrical surface profile cutting tool and process
US9079213B2 (en) 2012-06-29 2015-07-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determining coating uniformity of a coated surface
US9382868B2 (en) 2014-04-14 2016-07-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ylinder bore surface profile and process
CN104018902B (zh) * 2014-05-30 2016-06-2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全可变气门发动机及其控制方法
US10220453B2 (en) 2015-10-30 2019-03-05 Ford Motor Company Milling tool with insert compensation
WO2017161118A1 (en) * 2016-03-17 2017-09-21 Powerphase Llc Gas turbine modular air cooling system
US10428729B2 (en) 2016-08-24 2019-10-01 Ge Global Sourcing Llc Systems and method for an engine bypass valve
DE102017003285A1 (de) * 2017-04-04 2018-10-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Gasführ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3480Y2 (ko) 1977-12-16 1981-06-02
US4426848A (en) * 1981-11-20 1984-01-24 Dresser Industries, Inc. Turbocharged engine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JP3163696B2 (ja) 1991-12-18 2001-05-08 株式会社デンソー ディーゼル機関の排気ガス還流制御装置
DE4312078C2 (de) * 1993-04-13 1995-06-01 Daimler Benz Ag Abgasturbolader für eine aufgeladene Brennkraftmaschine
JPH09112287A (ja) 1995-10-19 1997-04-28 Mitsubishi Motors Corp 機械式過給機付エンジンの排気循環装置
US5724813A (en) * 1996-01-26 1998-03-10 Caterpillar Inc. Compressor by-pass and valving for a turbocharger
US5937650A (en) * 1997-03-03 1999-08-17 Alliedsignal Inc.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employing a turbocharger incorporating an integral pump, a control valve and a mixer
JP3733707B2 (ja) * 1997-09-19 2006-01-1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Egrクーラー付きegr装置
SE517844C2 (sv) * 1997-12-03 2002-07-23 Volvo Lastvagnar Ab Arrangemang vid förbränningsmotor samt förfarande för minskning av skadliga utsläpp
JP2000064844A (ja) 1998-08-12 2000-02-29 Mitsubishi Heavy Ind Ltd 内燃機関の過給装置
JP4323680B2 (ja) * 1999-09-30 2009-09-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内燃機関の排気再循環制御装置
EP1113161B1 (en) * 1999-12-30 2005-06-08 Robert Bosch Gmbh Apparatus for controlling exhaust valve recirculation
US6276139B1 (en) * 2000-03-16 2001-08-2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otive engine with controlled exhaust temperature and oxygen concentration
US6470864B2 (en) * 2000-03-27 2002-10-29 Mack Trucks, Inc. Turbocharged engine with exhaust gas recirculation
US6295816B1 (en) * 2000-05-24 2001-10-02 General Electric Company Turbo-charged engine combustion chamber pressure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3873742B2 (ja) 2001-12-28 2007-01-2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可変容量ターボチャージャの制御装置
JP2004027897A (ja) 2002-06-24 2004-01-29 Nissan Motor Co Ltd ターボ過給機の制御装置
US6701710B1 (en) * 2002-09-11 2004-03-09 Detroit Diesel Corporation Turbocharged engine with turbocharger compressor recirculation valve
JP2004263578A (ja) 2003-02-26 2004-09-24 Ngk Insulators Ltd 排気微粒子浄化フィルタの再生制御方法、排気微粒子浄化フィルタの再生制御用プログラム
FR2864994A1 (fr) 2004-01-12 2005-07-15 Remi Curtil Moteur a combustion interne suralimente par turbocompresseur
JP2005214153A (ja) 2004-02-02 2005-08-11 Nissan Diesel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吸入空気量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CN100520007C (zh) * 2004-07-30 2009-07-29 株式会社小松制作所 内燃机进气控制装置
JP4448852B2 (ja) 2004-08-11 2010-04-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吸排気連通回路の開閉制御装置
US7010914B1 (en) * 2005-03-04 2006-03-14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ontrolling boost pressure in a turbocharged diesel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62283A1 (en) 2007-11-15
SE530129C2 (sv) 2008-03-04
CN101002015A (zh) 2007-07-18
JP4448852B2 (ja) 2010-04-14
SE0700335L (sv) 2007-02-12
DE112005001946T5 (de) 2007-05-31
US7533657B2 (en) 2009-05-19
WO2006016654A1 (ja) 2006-02-16
CN101002015B (zh) 2011-08-31
JPWO2006016654A1 (ja) 2008-05-01
KR100824329B1 (ko) 2008-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329B1 (ko) 흡배기 연통회로의 개폐제어장치
JP4381419B2 (ja) 内燃機関の給気制御装置
US6945240B2 (en) Device and method for exhaust gas circu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205785B1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JP3581367B2 (ja) トラックの空気圧系の給気装置
EP1983180A1 (en) Air intake control device of v-diesel engine
JP4492406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吸排気装置
CN114294104A (zh) 内燃发动机系统
JP2011501043A (ja) ターボチャージャ及びインタクーラを備えた内燃機関
JP4525793B2 (ja) 燃料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および異常診断方法
JP2007092757A (ja) 車両用エンジンの排ガス再循環装置
JP3850017B2 (ja) Egr装置
CN109578153B (zh) 发动机控制装置
JP3962802B2 (ja) 車両用エンジンの排ガス再循環装置
JPH07119475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3682811B2 (ja) 車両用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S62276223A (ja) タ−ボチヤ−ジヤの過給圧制御装置
JPH1162721A (ja) 排気ガス再循環装置
CN117098910A (zh) 增压内燃发动机
KR20050068650A (ko) 차량의 가속충격 저감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49276A (ko) 터보 차저
JPH0893514A (ja) 車両用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吸気絞り弁装置
JP2009299622A (ja) 内燃機関用過給システム
JPH04246236A (ja) 過給機付エンジンの過給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