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431A - 줄넘기 로프 - Google Patents

줄넘기 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431A
KR20070041431A KR1020067021084A KR20067021084A KR20070041431A KR 20070041431 A KR20070041431 A KR 20070041431A KR 1020067021084 A KR1020067021084 A KR 1020067021084A KR 20067021084 A KR20067021084 A KR 20067021084A KR 20070041431 A KR20070041431 A KR 20070041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handle
skipping
hand
ju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레이톤 오'쉐어
데이비드 에스티. 조지
Original Assignee
클레이톤 오'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레이톤 오'쉐어 filed Critical 클레이톤 오'쉐어
Publication of KR2007004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줄넘기 로프는 각이 형성된 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된다. 하나의 상대적으로 긴 부분(1)은 손바닥과 손가락 사이에 위치된다. 제 2 부분(2)은 각이 형성되고, 부분(2)로부터 돌출된 스위블 장착 로프(5)를 가진다. 줄넘기를 할 때, 손은 손바닥이 줄넘기하는 사람의 넓적다리를 위치될 수 있지만 로프의 단부는 외측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로 인해 외측을 향하여 벌려진 손들이 종래의 위치보다 안락한 줄넘기 위치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줄넘기 로프{SKIPPING ROPES}
본 발명은 줄넘기 로프에 관한 것이다.
줄넘기 로프는 가장 오래되고 가장 잘 알려진 인간의 운동기구들 중 하나이다. 줄넘기 로프는 어린이들의 노리개로서 전 연령대와 문화에 걸쳐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줄넘기 로프는 좀더 건강을 유지시키고 건강을 증진시키기를 원하는 많은 사람에 의해 중요한 운동기구로서 이용되어 지고 있으며, 특히 줄넘기를 하는 사람들은 근육 강도와 톤(tone)이 개선되며, 복싱선수에게서는 가장 뛰어난 효과가 있다.
국제 공보 WO 01/56660호는 로프의 각각의 단부와 일렬로 배열된 종래의 신장된 핸들 대신에 T의 수직 스트로크의 바닥에 대해 스위블 방식으로 부착된 로프를 포함하는 T-형 핸들을 가지는 줄넘기 로프를 공개한다. T의 가로대는 T의 가로대를 둥글게 감는 손가락과 손바닥에 위치되며, T의 수직 부분은 줄넘기하는 사람의 2개의 손가락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로 인해 줄넘기는 안락한 위치 즉 손바닥이 줄넘기하는 사람의 넓적다리를 향해 안쪽을 향하여 줄넘기하는 사람의 측면에 위치 된 손으로 행해진다.
이는 줄넘기하는 사람이 다소 어색한 자세로 외측을 향해 손을 돌리고 일반적인 줄넘기 로프를 이용할 때에 요구되는 종래의 자세보다 보다 안락하다.
비록 상기 기술된 T-형 핸들을 가진 줄넘기 로프가 다수의 사용자에게 적합할지라도 T-형 핸들을 사용함에 있어 다소 조작하기에 불편함을 발견되며, 특히 몇몇의 사람은 손가락 사이를 통과하는 샤프트의 느낌을 좋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제거하고, 종래의 수많은 제안사항과는 다르며 상기 공보에 기술된 줄넘기 로프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핸들을 가지는 줄넘기 로프를 제공함에 있다.
WO-99/38574호는 일반적으로 만곡된 핸들을 포함하지만 줄넘기하는 사람의 손에 대한 안락한 줄넘기 위치를 제공하지 못하는 줄넘기 로프가 공개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의 단부 상에 핸들을 가진 한발의 로프로 구성되는 줄넘기 로프가 제공되며, 로프로부터 이격된 핸들의 일부분이 줄넘기하는 사람의 신체의 면에 대해 횡단하도록 연장된 축을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줄넘기 하는 사람의 손에 의해 쥐어질 때 핸들의 다른 일부분이 줄넘기하는 사람의 신체로부터 떨어져 횡방향으로 로프를 향하게 하기 위하여 외측을 향하여 방향 설정되도록 각각의 핸들은 적어도 60°로 각이 형성되거나 또는 만곡되는 신장된 부재(elongate member)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핸들은 L-형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L의 단부들은 서로 적어도 75°, 보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85°로 각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줄넘기 로프의 핸들은 "L-형"으로 형성되며, L의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은 줄넘기하는 사람의 신체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횡방향으로 향하고, L의 상대적으로 긴 부분은 손바닥과 움켜진 손가락들 사이에 안락하게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각이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이 검지(first finger)의 제 1 관절(first carpal)을 가로질러 외측을 향해 연장됨에 따라 보다 안락하고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선호된다면, 로프의 단부에 인접한 핸들의 일부분은 넥(neck)이 형성되거나 또는 잘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잘록한 부분 또는 넥은 사용자의 손가락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소 안락함이 더한 고정이 형성되고, 핸들은 손에 위치된 핸들의 신장된 부분의 방향으로 줄넘기하는 사람의 손이 미끄러지는 위험성이 방지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이 손가락 사이, 특히 2개의 인접한 손가락의 제 1 관절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 검지와 중지 사이에 위치될 때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줄넘기 로프의 핸들은 종래의 제조 공정에 따라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게다가 핸들에 대한 로프의 스위블 연결부(swivel connection)는 WO 01/5666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소켓의 내부에 회전 볼이 위치되는 종래의 공지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 부분의 정확한 횡단면은 가변될 수 있다. 원형의 횡단면은 일반적으로 제조하기에 용이하지만 파지하기에는 이상적이지 못하다. 핸들의 외형은 핸들을 파지하는 손의 외형과 보다 잘 일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립-온 파지식 커버(slip-on grippable cover)를 포함하는 만곡되거나 또는 각이 형성된 관형의 금속성 기저부와 같이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되는 핸들은 연성 플라스틱 또는 고무처럼 탄력이 있는 조합물로 제조되고, 자전거용 핸들바 그립의 형태인 관형 기저부에 대해 스너그 프레스 피트(snug press fit) 되어지도록 치수가 형성될 수 있다.
핸들의 정확한 형태와 크기는 디자인의 문제이다. 다양한 디자인은 첨부된 도면에 따라 도시된다. 각각의 도면에 있어서, 오직 한 핸들만이 핸들로부터 단일의 가요성 로프가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다른 핸들은 도시된 하나의 핸들과 일치되고, 핸들 사이의 대부분의 로프는 적당한 길이로 연장되고, 오직 하나의 단부만이 도시된다.
도 1은 상대적으로 긴 부분(1)과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2)으로 구성된 L-형 핸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다소 만곡된 핸들의 주요부가 형성된 대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핸들에 대한 대안의 디자인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1에 관하여 언급하면, 도 1은 상대적으로 긴 부분(1)과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2)으로 구성된 단순한 L-형 핸들을 도시한다. 부분(1)과 부분(2)은 일반적으로 3으로 표시되는 성형되고 각을 이루는 코너에서 서로 결합된다.
부분(2)의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된 로프(5)는 예를 들어 볼(6)의 내부에서 매듭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볼은 부분(2)의 단부에서 컵과 같은 소켓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로프(5)는 로프의 축과 부분(2)의 단부 부분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표시되고, 핸들의 단부 부분은 8로 도시된다. 부분(1)의 주요 부분의 축은 9로 표시되고, 바람직하게 축(8)과 축(9) 사이의 각도는 대략 90°로 형성된다.
사용 시, 로프(5)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2개의 핸들은 외측을 향하는 부분(2)과 사용자의 손바닥과 손가락 사이에 꼬여있는 부분(1)이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된다. 요구된다면, 핸들은 사용자의 손의 손가락 사이를 통과하는 부분(2)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이 줄넘기를 하는 사람의 왼손에 쥐어진 핸들의 상부로부터 투시도로써 도시될 때,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줄넘기하는 사람의 좌측 집게손가락은 위치 A에 위치될 수 있으며, 왼손의 중지는 위치 B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는 핸들의 주요 부분이 다소 만곡된 대안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도시된다. 도 1의 상대적으로 각을 형성하는 L-형에 비해, 도 2에 도시된 핸들은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구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로프로부터 핸들은 짧은 소켓 부분(10), 잘록한 부분(waisted section, 11), 완만하게 만곡된 부분(12) 그리고 상대적으로 직선 구조의 말단 부분(tail section,13)으로 구성된다. 전과 마찬가지로, 부분(13)의 축(9)과 부분(10)의 축(8) 사이의 각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75°로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85°로 형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요구된다면 사용자는 사용자의 2개의 손가락을 A와 B로 표시된 위치에서 부분(11)의 측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핸들에 대한 대안의 형상을 투시도, 측면도, 평면도 및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Claims (7)

  1. 핸들을 가진 한발의 로프로 구성되는 줄넘기 로프에 있어서,
    로프로부터 이격된 핸들의 일부분이 줄넘기하는 사람의 신체의 면에 대해 횡단하도록 연장된 축을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줄넘기 하는 사람의 손에 의해 파지될 때 핸들의 다른 일부분이 줄넘기하는 사람의 신체로부터 떨어져 횡방향으로 로프를 향하게 하기 위하여 외측을 향하여 방향 설정되도록 각각의 핸들은 적어도 60°로 각이 형성되거나 또는 만곡되는 신장된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로프.
  2. 제 1 항에 있어서, 핸들은 L-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로프.
  3. 제 2 항에 있어서, L-형 핸들의 단부들은 서로 적어도 75°로 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로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적어도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로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프의 단부에 인접한 핸들 의 일부분은 사용자 손의 손가락들 사이에서 안락하게 위치될 수 있는 잘록한 부분(narrowing) 또는 넥(neck)을 제공하기 위하여 좁아지거나 또는 넥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로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에 대한 로프의 스위블 연결부(swivel connection)는 소켓의 내부에 회전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로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의 외형은 손의 외형과 일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로프.
KR1020067021084A 2004-03-11 2005-03-11 줄넘기 로프 KR200700414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405459.9 2004-03-11
GBGB0405459.9A GB0405459D0 (en) 2004-03-11 2004-03-11 Skipping rop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431A true KR20070041431A (ko) 2007-04-18

Family

ID=3211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084A KR20070041431A (ko) 2004-03-11 2005-03-11 줄넘기 로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70281838A1 (ko)
EP (1) EP1735061B1 (ko)
JP (1) JP2007528249A (ko)
KR (1) KR20070041431A (ko)
AT (1) ATE516856T1 (ko)
AU (1) AU2005221392A1 (ko)
BR (1) BRPI0508592A (ko)
CA (1) CA2559475A1 (ko)
ES (1) ES2392410T3 (ko)
GB (1) GB0405459D0 (ko)
RU (1) RU2369420C2 (ko)
WO (1) WO2005087324A1 (ko)
ZA (1) ZA2006082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99721T5 (es) 2004-03-05 2016-05-25 Univ Pennsylvania Métodos para tratar trastornos o enfermedades asociados a la hiperlipidemia e hipercolesterolemia minimizando los efectos adversos
JP4538496B2 (ja) * 2005-03-24 2010-09-0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
US7462140B1 (en) * 2007-02-23 2008-12-09 Lombardozzi John L Method and apparatus for kinesthetic body conditioning
US8075455B2 (en) * 2007-08-28 2011-12-13 Borg Unlimited, Inc. Jump rope handle exercise device
RU2519631C2 (ru) * 2012-02-24 2014-06-20 Николай Антонович Потапов Устройство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самомассажа аван 21-11
JP5500700B2 (ja) * 2012-04-05 2014-05-21 雅章 生塩 ペットボトル運動相補用旋回ロープ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4122A (en) * 1924-08-07 1926-05-11 Mark M Moore Skipping device
US1629209A (en) * 1926-03-04 1927-05-17 Fairbanks William Jumping rope
US3419270A (en) * 1966-12-21 1968-12-31 Eppy Samuel Multiple rope jump rope
US4090705A (en) * 1977-03-21 1978-05-23 Ross Young Jump rope
US4157827A (en) * 1977-06-10 1979-06-12 Edith Winston Hand grip for jump rope and similarly-gripped exercise devices
JPS564034Y2 (ko) * 1977-10-14 1981-01-29
US4293125A (en) * 1978-01-04 1981-10-06 Hinds Robert S Jump rope handle
US4647037A (en) * 1985-09-30 1987-03-03 Donohue James R Weighted jump rope handle
US4703927A (en) * 1986-06-26 1987-11-03 Andrew Hanzlik Jogger's hand weight & water bottle for drinking
JPS649668U (ko) * 1987-07-07 1989-01-19
US5054772A (en) * 1990-07-20 1991-10-08 Edith Winston Jump rope handle
US5190508A (en) * 1992-03-03 1993-03-02 Kliewer Paul E Retractable jump rope
US5314393A (en) * 1992-09-03 1994-05-24 Arnold Rubin Water jump rope
JPH0668769U (ja) * 1993-03-10 1994-09-27 正弘 石田 平行した2軸の回転軸を持つ 跳び縄用グリップ
WO1999038574A1 (en) * 1998-02-02 1999-08-05 Cook Arnold J Jump rope
GB2358809B (en) * 2000-02-01 2002-12-24 Clayton O'shea Skipping ropes
US7341544B2 (en) * 2000-02-01 2008-03-11 St George David Skipping rope or jump rope having improved asymmetric handle
US7169091B2 (en) * 2000-02-01 2007-01-30 St George David Skipping rope or jump rope having improved asymmetric handle
US6409636B1 (en) * 2000-03-24 2002-06-25 Oddzon, Inc. Electronic jump rope
US6592474B1 (en) * 2002-03-01 2003-07-15 Robert M. Halsworth Power swing training bat
US7172534B1 (en) * 2002-08-13 2007-02-06 Joy Cynthia L Jump rope simulator
US6752746B1 (en) * 2002-08-23 2004-06-22 Ropesport, Llc Adjustable jump rope apparatus with adjustable weight and length
WO2005011814A2 (en) * 2003-07-25 2005-02-10 Rudell Design Power unit for jumping rope
US20050026749A1 (en) * 2003-07-29 2005-02-03 Pak Yong Kil Motion responding electrically blinking jump rope
US20050054483A1 (en) * 2003-09-05 2005-03-10 Chi-Tsung Peng Optical-controlled and voice-controlled optical fiber skipping-rope
US20050255972A1 (en) * 2004-05-15 2005-11-17 Pak Yong K Motion responding electrically blinking jump rope (II)
US7329212B2 (en) * 2004-12-14 2008-02-12 Aldrin Roque Multi-exercise rota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59475A1 (en) 2005-09-22
EP1735061B1 (en) 2011-07-20
BRPI0508592A (pt) 2007-08-21
GB0405459D0 (en) 2004-04-21
EP1735061A1 (en) 2006-12-27
ATE516856T1 (de) 2011-08-15
US20070281838A1 (en) 2007-12-06
ES2392410T3 (es) 2012-12-10
WO2005087324A1 (en) 2005-09-22
RU2369420C2 (ru) 2009-10-10
ZA200608284B (en) 2008-03-26
AU2005221392A1 (en) 2005-09-22
JP2007528249A (ja) 2007-10-11
RU2006135800A (ru) 200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00969A1 (ja) トレーニング器具
KR20070041431A (ko) 줄넘기 로프
US9764182B2 (en) Free weight with ridged grip
JP4434542B2 (ja) 縄跳びの縄
KR20130138706A (ko) 상체 운동기구
JP2003047671A (ja) フィットネス用具
TWI626040B (zh) 手部動態輔具
US20040176225A1 (en) Swinging exerciser having movable weight
WO2012002889A1 (en) Handheld device with a vertically holding body for a disabled person
JP6985853B2 (ja) ハンドルグリップ
JP3221499U (ja) 握力訓練に用いる多機能健康器
US20070057457A1 (en) Therapy puzzle
JP3100756U (ja) 運動用具
JPS6211634Y2 (ko)
JPH09239066A (ja) 健康器具
US20030228960A1 (en) Weight training device
JP3136489U (ja) 中指・人差し指用握力鍛錬具
JPH09239065A (ja) 健康器具
JP2005296318A (ja) 体操補助具
CN2502733Y (zh) 拉环式手拉把
JPS6314864Y2 (ko)
TWM613355U (zh) 拉力健身棒
KR200340345Y1 (ko) 줄넘기용 손잡이
KR20230095222A (ko) 개인 맞춤형 웨이트트레이닝 그립
JP2021061914A (ja) トレーニング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