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285A -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285A
KR20070041285A KR1020060004151A KR20060004151A KR20070041285A KR 20070041285 A KR20070041285 A KR 20070041285A KR 1020060004151 A KR1020060004151 A KR 1020060004151A KR 20060004151 A KR20060004151 A KR 20060004151A KR 20070041285 A KR20070041285 A KR 20070041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ding
channel
preferred channel
preferr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3880B1 (ko
Inventor
송영주
정기호
임영권
정제창
이국희
박재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1/581,083 priority Critical patent/US8750337B2/en
Publication of KR20070041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18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elements moving in a straight line, e.g. along a track; Mobile sprink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adapting coding or compression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9/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to surfaces
    • B05C19/008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to surfaces; not provided elsewhere in B05C1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43Assembling or disassembling of packets, e.g. segmentation and reassembly [S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0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management of server-side video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objects, e.g. MPEG-4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1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scene graphs, e.g. MPEG-4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15DVB-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선호 채널을 저장하고, 선호 채널 전환시 채널 전환에 따른 지연 시간을 줄이도록 한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방법은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소정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전달하는 다중화된 다수의 논리 채널을 수신하여 물리적인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하는 과정과, 상기 다중화된 다수의 채널 중 선호 채널을 선택하여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각 디코딩 버퍼에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선호 채널에 따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채널별 요소 스트림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디코딩된 스트림을 상기 이동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디코딩 버퍼, 디코더, 선호 채널, 메모리, LASeR,

Description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PREFERENCE CHANNEL IN PORTABILITY BROADCAST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휴대방송 시스템에서의 다중 스트림 송수신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채널 전환에 따른 지연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다중 스트림 송수신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호채널 디스크립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호채널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코딩 버퍼의 디코딩 시점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이져(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tation, 이하, 'LASeR'라 칭함) 기반의 선호 채널을 관리하는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ASeR는 휴대폰과 같이 자원이 부족한 단말에서 간단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포맷을 말한다. 상기 LASeR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4 BIFS(BInary Format for Scene)의 부분 집합이라고 할 수 있는데, 상기 BIFS가 모든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장면 기술(scene description)의 표준이라면, 상기 LASeR는 휴대폰과 같이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물론 네트워크 대역폭도 작은 멀티미디어 단말의 장면 기술에 대한 표준이다.
먼저 상기 BIFS는 객체 기반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며, 객체 기반에서는 멀티미디어가 다수의 객체(media)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각 미디어가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어디에 위치하는가를 표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일기예보를 하는 장면을 생각해보면, 여기에는 기상캐스터, 뒤에 배경으로 나타나는 기상도, 그리고, 기상캐스터가 하는 말, 배경음악, 이렇게 4개의 객체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객체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때 하나의 장면을 기술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객체가 언제 나와서 언제 사라지는지 또 어디에 위치해야 하는지를 정해놓아야 한다. 이것을 정의한 것이 BIFS이며, BIFS는 관련 정보를 바이너리 파일로 저장하여 저장 용량을 줄이게 된다.
그러나 상기 BIFS는 MPEG-4 시스템 표준문서(ISO/IEC 14496-1)에 기술된 것처럼 약 200페이지에 달하는 방대한 데이터 량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과 같이 가용 자원이 부족한 통신 환경에서는 BIFS의 사용이 어려우므로 대안으로 제안된 것이 상기 LASeR이다. 상기 LASeR는 장면 기술(LASeR scene description), 비디오(video), 오디오(audio), 이미지(image), 폰트(font), 메타데이터(metadata)와 같은 서로 다른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 : ES)을 다중화 및 동기화하고 복잡한 요구사항을 최소화하여 메모리 및 전력의 제한이 있는 이동 단말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자유로운 표현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개발된 기술이다.
상기 LASeR 요소 스트림(ES)은 명령을 포함하는 억세스 유닛(Access Unit, 이하, 'AU'라 칭함)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명령어는 특정 시간에 장편의 특성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동시에 수행되어야 하는 명령어들은 한 묶음으로 묶여서 하나의 AU에 들어간다. 상기 AU는 영상 한 장면, 짧은 소리, 그래픽 그림 한 장 또는 짧은 애니메이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에는 Insert, Replace, Delete, Background, Save, Clean 등이 있다. 상기 LASeR는 매우 복잡하게 여러 요소들이 어울리면서 화면이 변하는 CF물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표준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LASeR 브라우저는 상기 요소 스트림(ES)을 정해진 순서로 표시하고, 요소 스트림(ES)들 간에는 계층구조(hierarchy)가 존재한다. 따라서 LASeR 브라우저는 1. 패킷 수신, 2. 패킷 디코딩(접근 요소별 복원: 그림 한 장, 비디오 클립 하나 등), 3. 명령어의 실행, 4. 오디오/비디오 등 객체 렌더링, 5. 사용자 인터랙션 수행(선택, 드래깅 등), 6. 로컬 또는 외부 정보 소스와 연결과 같은 순서로 장면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도 1은 일반적인 휴대방송 시스템에서의 다중 스트림 송수신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LASeR에 기반한 선호 채널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송신기(100)는 방송 사업자측을 나타내고, 수신기(120)는 휴대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동 단말을 나타낸다.
종래에는 송신기(100)의 선호 채널 구성부(101)는 방송 사업자가 선택한 다수 개의 채널을 하나의 화면에 구성하고, 이를 수신기(120)로 별도의 채널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동 단말 사용자는 수신기(120)의 한 화면에서 서비스 중인 다수 개의 채널을 확인하고, 방송 사업자가 선택한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형태의 선호 채널을 구성하는 방법은 이동 단말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선호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동 단말 사용자의 의도, 선호도(preference), 취향에 의한 채널을 선택할 수 없었다.
한편, 도 2는 채널 전환에 따른 지연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채널 전환시에 얼마만큼의 지연시간이 발생하는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방송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수신부(도면에 기재하지 않음)의 전력 소모가 단말 전력 소모의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동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DVB-H등 휴대방송 시스템에서는 일정한 주기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원하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시점에서 데이터 수신부를 작동하고 이외의 경우에는 이를 작동시키지 않는 시간분할(Time Slicing)방식을 이용하여 전력 소모를 줄인다. DVB-H 구현 가이드라인에 따라 하기 <표 1>과 같이 시스템 파라메터를 가정한다.
시스템 파라메터 값(value)
채널 대역폭 8MHz
데이터 전송률 10Mbps
오류정정(MPE-FEC버퍼) 크기 2Mbits
채널당 데이터 전송률 500kbps
채널 전환시 발생하는 지연시간은 상기 시스템 파라메터에 의해서 하기와 같이 계산된다.
하나의 채널이 점유하는 시간은 2Mbit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200ms이고, 총 20개의 채널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주기는 4초(sec)가 된다.
이때 DVB-H등의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채널 전환에 소요되는 시간은 해당되는 채널 전송주기까지의 대기 시간과 해당 채널에서 비디오 데이터의 I 프레임(I frame)을 찾아 디코딩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C(201)를 수신하던 중 채널 B(203)로 전환하게 되는 경우 채널 전송주기인 최대 4초의 전송시간이 걸리고 여기에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에서 비디오의 I 프레임을 찾아 디코딩을 시작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2초를 합산하면, 채널 전환시 발생하는 지연시간은 총 6초가 된다.
따라서, 상가와 같은 채널 전환시 발생하는 지연을 줄여서 사용자에게 보다 더 원활한 휴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 사용자의 의도, 선 호도, 취향에 의한 선호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호 채널의 개수에 따라 이동 단말의 디코딩 버퍼를 효율적으로 할당하는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호 채널간 채널 전환시에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소정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전달하는 다중화된 다수의 논리 채널을 수신하여 물리적인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하는 과정과, 상기 다중화된 다수의 채널 중 선호 채널을 선택하여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각 디코딩 버퍼에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선호 채널에 따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채널별 요소 스트림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디코딩된 스트림을 상기 이동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에 있어서, 소정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전달하는 다중화된 다수의 논리 채널을 수신하여 물리적인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하고, 상기 다중화된 다수의 채널 중 선호 채널을 선택하여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각 디코딩 버퍼에 할당하는 역다중화부와, 상기 선택된 선호 채널에 따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채널별 요소 스트림을 출력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딩된 채널별 요소 스트림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디코딩된 채널별 요소 스트림을 상기 이동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구성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선호 채널이 선택되도록 하고, 채널 전환시 발생하는 지연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기(100)의 선호 채널 구성부(101)에서 선호 채널을 구성하여 수신기(120)로 전송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기(100)의 선호 채널 구성부(101)를 제거하고, 역다중화부(323)에 선호 채널 관리부(324)를 신설하였다. 이는 이동 단말 사용자가 수신기(320)의 한 화면에서 서비스 중인 다수 개의 채널을 확인하고, 방송 사업자가 선택한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형태가 아닌, 이동 단말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선호 채널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에서 수신부(320)는 서비스 제공자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달하는 다중화된 다수의 논리 채널을 수신하여 역다중화부(321)로 전송한다. 상기 역다중화부(323)는 수신된 논리채널을 분리한 후, 선호 채널 관리부(324)에서의 선호 채널 디스크립션 정보를 활용해서 디코딩 버퍼(324)에 동적으로 할당한다.
상기 역다중화부(323) 내에 선호 채널 관리부(32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의된 선호 채널 디스크립션 구조를 저장한다. 여기서, 선호 채널 관리부(324)는 역다중화부(323) 내부에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역다중화부(323)의 외부에 구성할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상기 선호 채널 디스크립션 구조는 각 채널별 스트림 아이디(StreamID)와 사용자 선호도(Preference)와 선호채널 개수로 구성된다.
상기 스트림 아이디는 각 비디오 스트림이 갖는 고유 식별자이고, 선호도는 채널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내는 값을 나타낸다. 이때, 선호도를 나타내는 값이 클수록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선호채널 개수(number_of_channel)는 선호채널의 개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역다중화부(323)에서 디코딩 버퍼(325)에 할당할 때 이용된다.
다음은, 도 3에서의 사용자 선호 채널에 따른 디코딩 버퍼 및 디코더를 설명하기로 한다. 채널 전환시 발생하는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디코딩 버퍼(325)는 이동 단말 사용자의 선호 채널 개수만큼 유연하게(flexible) 구성(할당)되고, 채널 시청여부와 무관하게 선호 채널을 수신함으로서 선호 채널간 채널 전환시에 지연시 간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이미 선호 채널이 디코딩 버퍼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채널 전환시, 채널 전송 주기만큼 지연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이때, 채널 전송 주기는, 예컨대, MBC의 드라마 채널을 보고 있다가 KBS 뉴스 채널로 전환할 때, KBS 뉴스 채널을 찾는 시간을 나타낸다.
즉, 이동 단말 사용자가 선호 채널 내의 타 채널로 전환을 요청하는 경우, 즉시 디코딩을 시작할 수 있게 되어, 해당 채널의 전송 주기가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시간인 4초가 단축되어 채널 전환 시간이 6초에서 2초로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방송 시스템의 선호 채널 관리 방법은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수신부(321)는 501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달하는 다중화된 다수의 논리 채널을 수신하여 역다중화부(323)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역다중화부(323)는 503 단계에서 하나의 물리적 채널로 전송되어온 것을 여러 개의 논리 채널로 분리한다. 이때 역다중화부(323)는 505 단계에서 역다중화부(323) 내에 위치한 선호 채널 관리부(324)에 명시된 선호 채널 디스크립션을 참조하여 각 선호 채널을 디코딩 버퍼(325)에 동적으로 할당한다. 디코더(327)는 507 단계에서 각 디코딩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 중 사용자가 선택한 선호 채널을 디코딩하여 구성 메모리(329)로 전송한다. 여기서, 디코더(327)가 다수의 디코딩 버퍼에 억세스해야 하는 시점은 후술할 도 7a 및 도 7b를 설명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 메모리(329)는 509 단계에서 디코딩된 채널별 요소 스트림을 저장한 후, 구성 기(331)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구성기(331)는 511 단계에서 상기 구성 메모리(329)에 저장되어 있는 디코딩된 각 채널의 프레임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하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디코더에서 디코딩 버퍼에 억세스하여 디코딩하는 시점과 각 디코딩 버퍼의 디코딩 시점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4의 디스크립션 구조를 참조하여 각 디코딩 버퍼는 자신의 디코딩 시점을 계산하여 디코딩 버퍼 내의 AU들을 제거하거나 디코딩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각 디코딩 버퍼(610)에서 자신의 ES가 디코딩되는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은 가장 첫 번째 AU가 디코딩되기 시작하는 시간 정보(startTime)와 그룹디스크립션(GroupingDescription)의 전체주기(periodTime)(530) 및 슬롯시간(slotTime)(540) 정보로부터 디코딩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도 6에서 제1 디코딩 버퍼(611)의 경우, 해당 스트림에서 디코딩 가능한 프레임(검게 칠해진 부분)이 디코딩 버퍼(611)의 앞단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로 디코딩이 가능하다. 또한 디코딩 버퍼(611)는 디코딩 시점과 현재시간이 일치하기 때문에 직접 디코딩 가능한 AU를 억세스 포인트로 이동한다.
제2 디코딩 버퍼(612)의 경우, 해당 스트림에서 디코딩 가능한 프레임이 디코딩 버퍼(612)의 앞단에서 세 번째에 위치하기 때문에 바로 디코딩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 디코딩 시점을 계산해야 한다. 디코딩 계산 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디코딩 버퍼(610)에서의 최초 디코딩 시점을 계산한다. 최초 디 코딩 시점을 계산하는 수학식은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6002722407-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06002722407-PAT00002
는 최초 디코딩 시점을 나타내고, startTime은 가장 첫 번째 AU가 디코딩되기 시작하는 시간을 나타내고, slotTime은 각 ES에 할당된 디코딩 시간을 나타내고, S1은 스트림을 나타낸다.
최초 디코딩 시점을 계산한 후 현재 자신이 디코딩되는 시점(n 번째 디코딩 시점)을 계산한다. n 번째 디코딩 시점을 계산하는 수학식은 하기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6002722407-PAT00003
여기서, DTn은 n 번째 디코딩 시점을 나타내고, DTn-1은 n-1 번째 디코딩 시점을 나타내고, periodTime은 소스 목록에 포함된 각 ES를 한 번씩 디코딩하는데 걸리는 전체 주기를 나타낸다.
제3 디코딩 버퍼(613)의 경우 해당 스트림에서 디코딩 가능한 프레임이 디코딩 버퍼(613)의 앞단에서 네 번째에 위치하기 때문에 바로 디코딩이 불가능하다. 디코딩 버퍼(613)의 AU 중 디코딩되어야 하는 시점에 바로 디코딩 가능하지 않은 AU가 존재하게 되는 경우(CTS(
Figure 112006002722407-PAT00004
)<
Figure 112006002722407-PAT00005
), CTS에 도달하지 않았더라도 해당되는 AU(
Figure 112006002722407-PAT00006
)들을 디코딩 버퍼(613)에서 제거한다. 이때, CTS는 이동 단말에 디스플레 이되는 시점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를 의미한다. 상기 CTS 정보는 비디오 코딩시, 포함되는 기본적인 정보이므로, 이동 단말은 디코딩시, 이를 알 수 있다.
제4 디코딩 버퍼(614)의 경우 해당 스트림에서 디코딩 가능한 프레임이 디코딩 버퍼(614)의 앞단에서 세 번째에 위치하기 때문에 바로 디코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해당되는 디코딩 시간(검게 칠한 부분)에 버퍼에 존재하는 AU 중 가장 적은 CTS 값을 갖는 AU가 랜덤 접근(RandomAccess)이 가능한 AU가 되도록 조절한다. 조절하기 위해서 도 6의 제4 디코딩 버퍼(614)에서는
Figure 112006002722407-PAT00007
을 제거하고,
Figure 112006002722407-PAT00008
가 억세스 포인트가 되도록 조절한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트림 디코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7a를 살펴보면, 수신기에서 701 단계에서 스트림을 수신한다. 그러면 수신기에서 703 단계에서 하나의 물리적인 채널로 다중화된 미디어 스트림을 역다중화기(Demultiplexer)를 통하여 여러 개의 논리 채널로 분리된 후 각각의 디코더 버퍼(Decoding Buffer)(610)로 나뉘어져 대기한다. 수신기는 디코더(620)에서 디코딩을 시작하게 되면 705 단계에서 현재시간(CurrentTime)을 디코딩 시작시간(startTime)으로 설정한다.
이하에서, 디코딩 버퍼(610), 디코더(620), 구성 메모리(630)의 동작을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디코딩 버퍼(610)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면, 707 단계에서 최초로 디코딩을 시작한 시점(startTime)과 본 발명에서 정의한 그룹디스크립션의 전체 주기 (periodTime) 및 슬롯타임(slotTime)을 참조하여 자신이 디코딩되는 시점을 계산한다. 디코딩 시점을 계산하기 위해서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최초 디코딩 시점과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자신이 디코딩되는 시점을 계산한다.
디코딩 시점을 계산한 후 디코딩 버퍼(610)는 해당되는 디코딩 시간에 버퍼에 존재하는 AU 중 가장 적은 CTS 값을 갖는 AU가 랜덤 접근(RandomAccess)이 가능한 AU가 되도록 조절하기 위해서 하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디코딩 버퍼(610)는 709 단계에서 CTS(
Figure 112006002722407-PAT00009
)가 현재시간보다 작은가를 판단한다. 만약, CTS(
Figure 112006002722407-PAT00010
)가 현재시간(CurrentTime)보다 작은 경우 디코딩 버퍼(610)는 711 단계에서
Figure 112006002722407-PAT00011
을 제거한다. 그러나 CTS(
Figure 112006002722407-PAT00012
)가 현재시간과 같거나 큰 경우 디코딩 버퍼(610)는 713 단계에서 CTS(
Figure 112006002722407-PAT00013
)가 다음 디코딩 시간 (
Figure 112006002722407-PAT00014
) 보다 작은가를 판단한다. 만약 CTS(
Figure 112006002722407-PAT00015
)가 다음 디코딩 시간(
Figure 112006002722407-PAT00016
) 보다 작은 경우 디코딩 버퍼(610)는 715 단계에서 AUn을 제거한다. 그러나 CTS(
Figure 112006002722407-PAT00017
)가 다음 디코딩 시간 보다 같거나 큰 경우 디코딩 버퍼(610)는 717 단계에서 현재시간이 자신이 디코딩되는 시간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현재시간이 자신이 디코딩되는 시간이 아닌 경우 717 단계를 반복한다. 즉, 디코딩되는 시간까지 717 단계를 대기한다. 그러나 현재시간이 자신이 디코딩되는 시간일 경우 디코딩 버퍼(610)는 719 단계에서 직접 디코딩 가능한 AU를 억세스 포인트로 이동시킨다.
한편, 디코더(62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705 단계에서 현재시간을 디코딩 시작시간으로 설정되면, 721 단계에서 디코딩을 시작한다. 디코딩 동작은 타이머 동작과 디코딩된 프레임 동작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타이머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디코더(620)는 각 디코딩 버퍼(610)에 해당 스트림의 슬롯타임(slotTime) 동안 디코딩을 진행한다. 이때, 디코더(620)는 723 단계에서 현재시간과 시작시간 간의 차이가 슬롯타임 보다 큰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판단 주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디코더(620)가 될 수도 있고, 제어기(도면에 기재되어 있지 않음)가 될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상기 현재시간과 시작시간 간의 차이는 디코딩의 진행 시간을 나타낸다. 만약 현재시간과 시작시간 간의 차이가 슬롯타임과 같거나 작은 경우 721 단계로 귀환한다. 그러나 현재시간과 시작시간 간의 차이가 슬롯타임 보다 큰 경우 해당 디코딩 버퍼의 디코딩이 종료되었기 때문에 디코더(620)는 725 단계에서 다음 디코딩 버퍼로 억세스 포인트를 이동한다. 다음 디코딩 버퍼로 이동되면, 디코더(620)는 721 단계에서 해당 디코딩 버퍼에 해당 스트림의 슬롯타임 동안 디코딩을 수행한다.
다음은, 디코더(620)의 디코딩된 프레임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디코더(620)는 727 단계에서 자신의 디코딩 시간(DT(
Figure 112006002722407-PAT00018
))이 CTS(
Figure 112006002722407-PAT00019
) 보다 큰가를 판단한다. 자신의 디코딩 시간(DT(
Figure 112006002722407-PAT00020
))이 CTS(
Figure 112006002722407-PAT00021
) 보다 큰 경우 디코더(620)는 729 단계로 진행하여
Figure 112006002722407-PAT00022
을 제거한 후, 디코딩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자신의 디코딩 시간(DT(
Figure 112006002722407-PAT00023
))이 CTS(
Figure 112006002722407-PAT00024
)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731 단계에서 디코딩된 스트림을 구성 메모리(Composition Memory)(630)에 저장한다.
다음은, 구성 메모리(63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 메모리(630)는 733 단계에서 현재시간(currentTime)이 CTS(
Figure 112006002722407-PAT00025
)와 동일한가를 판단한다. 만약, 동일하지 않은 경우 737 단계를 반복한다. 그러나 동일한 경우 735 단계에서 구성 메모리(630)는 저장된 미디어를 구성기(640)에 의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 사용자의 의도, 선호도, 취향에 의한 선호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선호 채널의 개수에 따라 이동 단말의 디코딩 버퍼를 효율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논리 채널을 하나의 물리 채널에 다중화하여 서비스하는 LASeR 기반의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선호 채널을 선택하여 이동 단말 내에서 별도로 관리함으로서 선호 채널간 전환시에 채널전환 따른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소정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전달하는 다중화된 다수의 논리 채널을 수신하여 물리적인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하는 과정과,
    상기 다중화된 다수의 채널 중 선호 채널을 선택하여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각 디코딩 버퍼에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선호 채널에 따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채널별 요소 스트림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디코딩된 스트림을 상기 이동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선호채널 디스크립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채널 디스크립션은 각 비디오 스트림이 갖는 고유 식별자를 나타내 는 스크림 아이디와, 채널 선택의 선호도와, 선호채널 개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버퍼에서의 디코딩 시점을 계산시, 하기 <수학식 3>에 의해서 최초 디코딩 시점을 계산하고, 하기 <수학식 4>에 의해서 현재 자신이 디코딩되는 시점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방법,
    Figure 112006002722407-PAT00026
    Figure 112006002722407-PAT00027
    여기서,
    Figure 112006002722407-PAT00028
    는 최초 디코딩 시점을 나타내고, startTime은 가장 첫 번째 AU가 디코딩되기 시작하는 시간을 나타내고, slotTime은 각 ES에 할당된 디코딩 시간을 나타내고,
    Figure 112006002722407-PAT00029
    은 n 번째 디코딩 시점을 나타내고,
    Figure 112006002722407-PAT00030
    은 n-1 번째 디코딩 시점을 나타내고, periodTime은 소스 목록에 포함된 각 기본 스트림을 한 번씩 디코딩하는데 걸리는 전체 주기를 나타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시, 디코더는 각 스트림별로 할당된 슬롯타임을 참조하여 상기 각 디코딩 버퍼에 접근해야 하는 시간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방법.
  6.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에 있어서,
    소정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전달하는 다중화된 다수의 논리 채널을 수신하여 물리적인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하고, 상기 다중화된 다수의 채널 중 선호 채널을 선택하여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각 디코딩 버퍼에 할당하는 역다중화부와,
    상기 선택된 선호 채널에 따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채널별 요소 스트림을 출력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딩된 채널별 요소 스트림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디코딩된 채널별 요소 스트림을 상기 이동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구성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된 다수의 채널 중 선호 채널을 선택하여 저장하는 선호채널 관리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선호채널 디스크립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채널 디스크립션은 각 비디오 스트림이 갖는 고유 식별자를 나타내는 스크림 아이디와, 채널 선택의 선호도와, 선호채널 개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버퍼는 디코딩 시점을 계산시, 하기 <수학식 5>에 의해서 최초 디코딩 시점을 계산하고, 하기 <수학식 6>에 의해서 현재 자신이 디코딩되는 시점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Figure 112006002722407-PAT00031
    Figure 112006002722407-PAT00032
    여기서,
    Figure 112006002722407-PAT00033
    는 최초 디코딩 시점을 나타내고, startTime은 가장 첫 번째 AU가 디코딩되기 시작하는 시간을 나타내고, slotTime은 각 ES에 할당된 디코딩 시간을 나타내고,
    Figure 112006002722407-PAT00034
    은 n 번째 디코딩 시점을 나타내고,
    Figure 112006002722407-PAT00035
    은 n-1 번째 디코딩 시점을 나타내고, periodTime은 소스 목록에 포함된 각 기본 스트림을 한 번씩 디코딩하는데 걸리는 전체 주기를 나타냄.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각 스트림별로 할당된 슬롯타임을 참조하여 상기 각 디코딩 버퍼에 접근해야 하는 시간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KR1020060004151A 2005-10-14 2006-01-13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913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81,083 US8750337B2 (en) 2005-10-14 2006-10-16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preference channel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97240 2005-10-14
KR1020050097240 2005-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285A true KR20070041285A (ko) 2007-04-18
KR100913880B1 KR100913880B1 (ko) 2009-08-26

Family

ID=381767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338A KR100929073B1 (ko) 2005-10-14 2006-01-11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다중 스트림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0060004151A KR100913880B1 (ko) 2005-10-14 2006-01-13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338A KR100929073B1 (ko) 2005-10-14 2006-01-11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다중 스트림 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899088B2 (ko)
EP (1) EP1775895B1 (ko)
JP (1) JP4819126B2 (ko)
KR (2) KR100929073B1 (ko)
CN (1) CN101292532B (ko)
RU (1) RU2378765C1 (ko)
WO (1) WO20070611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808B1 (ko) * 2007-10-17 201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8812B2 (en) 2008-06-19 2015-04-14 Sirius Xm Rad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elected content tracks from two or more program channels to automatically generate a blended mix channel for playback to a user upon selection of a corresponding preset button on a user interface
KR100929073B1 (ko) * 2005-10-14 2009-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다중 스트림 수신 장치 및 방법
EP1879376A3 (en) 2006-06-13 201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ast channel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20080114496A (ko) * 2007-06-26 2008-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콘텐츠를 이용하여 장면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21655B1 (ko) * 2007-10-13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1453700B (zh) * 2007-11-30 2010-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并发媒体处理方法和设备
US9886503B2 (en) 2007-12-27 2018-02-06 Sirius Xm Rad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audio program channels from one or more received broadcast streams to provide a playlist style listening experience to users
US8365225B2 (en) 2008-01-18 2013-01-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ersonalized media channel
KR100946266B1 (ko) * 2008-01-28 2010-03-09 (주)블루버드 소프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435835B1 (ko) * 2008-03-31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
US8902868B2 (en) 2008-08-15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distributing multiplex signal comprising multimedia data over a local area network
US8358665B2 (en) 2008-08-15 2013-01-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resentation of multimedia data from a multiplex signal between devices in a local area network
US8625474B2 (en) * 2009-09-09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he simultaneous reception of FLO and FLO-EV data
FR2958822B1 (fr) * 2010-04-09 2012-04-13 Canon Kk Procedes de transmission et reception de contenus de donnees, n?uds source et destination, produit programme d'ordinateur et moyen de stockage correspondants
EP2676439B1 (en) * 2011-02-14 2019-07-24 Sirius Xm Rad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playback of content while switching among channels of broadcast or streamed content while being received
GB2496875A (en) * 2011-11-23 2013-05-29 Csl Devices Ltd Simultaneous demultiplexing
CN104429139A (zh) * 2012-07-04 2015-03-18 瑞典爱立信有限公司 考虑可用信道上的延迟来转发harq反馈
US9930403B2 (en) 2013-05-20 2018-03-27 Mediatek Singapore Pte. Ltd. Data stream processing apparatus
WO2015035618A1 (zh) * 2013-09-13 2015-03-19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48768T3 (es) * 1995-07-19 2000-10-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descodificar trenes numericos binarios de video y equipo receptor que incluye a dicho dispositivo.
US5696500A (en) 1995-08-18 1997-12-09 Motorola, Inc. Multi-media receiver and system therefor
KR100308704B1 (ko) * 1996-07-04 2001-10-19 모리시타 요이찌 다중화 데이터 생성 장치, 부호화 데이터 재생 장치, 클럭 변환 장치, 다중화 데이터 생성 방법, 부호화 데이터 재생 방법 및 클럭 변환 방법
JPH10150654A (ja) 1996-11-20 1998-06-02 Fujitsu General Ltd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WO1998036559A1 (en) * 1997-02-14 1998-08-20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Object-based audio-visual terminal and bitstream structure
CA2257566C (en) * 1997-04-07 2002-01-01 At&T Corp.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on and interfacing of bitstreams representing mpeg-coded audiovisual objects
US7199836B1 (en) * 1998-02-13 2007-04-03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Object-based audio-visual terminal and bitstream structure
KR20010034920A (ko) * 1998-06-26 2001-04-25 매클린토크 샤운 엘 엠펙-4 비디오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표현하기 위한 단말기
US6573942B1 (en) * 1998-08-17 2003-06-0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Buffer system for controlled and timely delivery of MPEG-2F data services
US6269245B1 (en) * 1998-09-10 2001-07-31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dynamic preferential channel allocation
KR100335084B1 (ko) * 1999-02-10 2002-05-02 구자홍 다채널 시스템 디코드장치 및 방법
CA2337116A1 (en) 1999-05-14 2000-11-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converting a packetized stream of information signals into a stream of information signals with time stamps and vice versa
US6985188B1 (en) * 1999-11-30 2006-01-10 Thomson Licensing Video decoding and channel acquisition system
GB9930788D0 (en) * 1999-12-30 2000-02-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data streams
KR100328199B1 (ko) * 2000-02-15 2002-03-16 이준우 다채널 영상 인코딩 시스템 및 다채널 인코딩용 메모리운영방법
WO2001061999A1 (en) * 2000-02-15 2001-08-23 4Nsys Co., Ltd. Multi-channel image encoding method and system
KR100363733B1 (ko) * 2000-02-15 2002-12-05 주식회사 훠엔시스 동기신호 우선순위 검출을 이용한 다채널 영상 인코딩시스템
US7433409B2 (en) * 2000-07-10 2008-10-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multiple decoding
JP2002171526A (ja) * 2000-11-30 2002-06-14 Canon Inc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KR100497497B1 (ko) * 2001-12-27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엠펙 데이터의 송수신시스템 및 송수신방법
KR20040088526A (ko) * 2002-02-25 2004-10-16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Mp4에서 avc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7613727B2 (en) * 2002-02-25 2009-11-03 So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dvanced coding formats in media files
US7987491B2 (en) 2002-05-10 2011-07-26 Richard Reisma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using alternative linkbases
CA2393373A1 (en) * 2002-07-15 2004-01-15 Anthony Gerkis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with different qos attributes.
US20040028066A1 (en) * 2002-08-06 2004-02-12 Chris Quanbeck Receiver architectures with dynamic symbol memory allocation and methods therefor
KR100488804B1 (ko) * 2002-10-07 2005-05-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peg-4 기반의 양안식 3차원 동영상 데이터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18825B1 (ko) * 2003-04-30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채널 그룹핑 방법 및 그 장치
KR101008615B1 (ko) * 2003-09-08 2011-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전환방법 및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신호 수신방법 및장치
GB2406483A (en) * 2003-09-29 2005-03-30 Nokia Corp Burst transmission
US8503541B2 (en) * 2004-01-16 2013-08-06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iming information from a bit stream
EP1594287B1 (en) * 2004-04-12 2008-06-25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yunghee University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providing multimedia service considering terminal capability
US8095958B2 (en) * 2004-06-29 2012-01-10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appropriate service listings
US8472477B2 (en) * 2004-07-22 2013-06-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AF synchronization layer packet structure and server system therefor
JP4438059B2 (ja) * 2004-08-24 2010-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WO2006114830A1 (ja) * 2005-04-06 2008-12-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ザッピングストリームのmpe−fecフレームへの配置方法及び受信装置
US7490341B2 (en) * 2005-06-07 2009-02-10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associated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rectional channel browsing of broadcast content
US7659919B2 (en) * 2005-08-25 2010-02-0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television channel switching system and method
KR100929073B1 (ko) 2005-10-14 2009-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다중 스트림 수신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808B1 (ko) * 2007-10-17 201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92532A (zh) 2008-10-22
EP1775895A3 (en) 2011-11-30
WO2007061184A1 (en) 2007-05-31
KR100929073B1 (ko) 2009-11-30
KR20070041284A (ko) 2007-04-18
US7899088B2 (en) 2011-03-01
EP1775895A2 (en) 2007-04-18
US20070093263A1 (en) 2007-04-26
EP1775895B1 (en) 2014-05-14
CN101292532B (zh) 2012-12-19
JP2009512330A (ja) 2009-03-19
KR100913880B1 (ko) 2009-08-26
JP4819126B2 (ja) 2011-11-24
US8750337B2 (en) 2014-06-10
RU2008114358A (ru) 2009-10-20
US20070091912A1 (en) 2007-04-26
RU2378765C1 (ru) 201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880B1 (ko) 휴대방송 시스템에서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224256B1 (ko) 레이저 기반의 이동 단말을 위한 다중채널의 장면구성 제어방법 및 장치
RU2652099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и способ приема
CN102037731B (zh) 压缩视频中属于互相关性层的图片的通知和抽取
EP1775953A1 (en) Switching between digital video streams using buffering of second digital video stream
KR20030034081A (ko)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를 방송 시스템에 제공하는 방법
JP2000500632A (ja) フォーマット済みリアルタイム・ビデオと共にデータを多重化し分配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9792547B (zh) 将视频内容从服务器传送至客户端设备的方法
JP2006081185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CN107690090B (zh) 视频播放方法以及使用所述视频播放方法的电子装置
US201603376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layered coded contents
JP2017520940A5 (ja) レイヤードコード化コンテンツを多重化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7911537B2 (en) Multichannel video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ing
US8650592B2 (en) Streaming server and mobile terminal for reducing channel-changing delay, and a method therefor
JPWO2006006219A1 (ja) コンテンツ送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7983251B2 (en) Broadcasting service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ast access to broadcasting service
JP2010213109A (ja) 映像配信制御サーバ、受信端末、映像簡略化多重化装置、映像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