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578A - 집진 필터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집진 필터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578A
KR20070039578A KR1020077002563A KR20077002563A KR20070039578A KR 20070039578 A KR20070039578 A KR 20070039578A KR 1020077002563 A KR1020077002563 A KR 1020077002563A KR 20077002563 A KR20077002563 A KR 20077002563A KR 20070039578 A KR20070039578 A KR 20070039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dust collecting
collecting filter
impre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로 야마나까
히데유끼 가리따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9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macromolecular compound as a carrier or dilu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5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active carb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실내의 공기를 흡기구(13)로부터 도입하여 취출구(29, 30)로부터 송출하는 송풍기(25)와, 공기 중의 진애를 포집하는 집진 필터(55)를 구비하고, 집진 필터(55)는 방향제를 함침한 다공질의 마이크로 캡슐(37)을 담지하는 동시에 항바이러스제를 함침한 여과재(55a)를 갖는 HEPA 필터로 이루어지고, 항알레르겐제를 함침한 통기성의 항균 시트(37)가 표면에 설치된다.
흡기구, 취출구, 송풍기, 집진 필터, 여과재, 항균 시트

Description

집진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DUST COLLECTING FILTER AND AIR CLEAN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 필터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방향제 등의 기능 물질을 갖는 집진 필터 및 공기 청정기에 관한다.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기 청정기는 하우징의 전방면에 흡기구를 구비하고, 배면에 취출구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 내에는 송풍기가 배치되고, 송풍기와 흡기구 사이에 진애를 포집하는 집진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를 구동하면 전방으로부터 흡기구를 통해 하우징 내에 도입된 실내의 공기는 집진 필터에 의해 진애가 제거되어, 취출구로부터 송출된다. 이에 의해, 진애를 제거하여 청정화된 공기가 실내를 순환한다.
또한, 보다 쾌적한 거주 공간을 얻기 위해, 항균제나 방향제 등을 갖는 공기 청정기가 특허 문헌 2, 3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기 청정기는 항균제나 방향제를 봉입한 마이크로 캡슐이 집진 필터 혹은 리본에 담지(擔持)되어 있다. 소정의 시기에 집진 필터 또는 리본을 권취하면 마이크로 캡슐이 파괴되어 항균 성분이나 방향 성분 등의 화학 물질이 방출된다. 이에 의해, 항균제나 방향제를 직접 집진 필 터 등에서 담지하는 것보다도 항균 효과나 방향 효과를 장기간 지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2-102327호 공보(제4페이지 내지 제10페이지, 도8)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11-226326호 공보(제3페이지 내지 제6페이지, 도1)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평1-299557호 공보(제5페이지 내지 제7페이지, 도1)
그러나, 항균제나 방향제를 갖는 상기 종래의 공기 청정기에 따르면, 마이크로 캡슐을 파괴하는 수단을 필요로 하고, 공기 청정기가 대형이 되는 동시에 고가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저렴하게 화학 물질을 장기간 방출할 수 있는 집진 필터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진애를 포집하는 여과재를 가진 집진 필터에 있어서, 공기 중에 화학 물질을 방출하여 원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 물질을 함침한 다공질의 마이크로 캡슐을 담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집진 필터를 공기가 통과하는 것에 의해 공기 중의 진애가 포집된다. 또한, 다공질의 마이크로 캡슐에 함침되는 기능 물질로부터 화학 물질이 서서히 방출된다.
기능 물질은 방향제, 소취제,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혹은 항알레르겐제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방향제나 소취제로 방출되는 화학 물질은 공기와 함께 유통하여 방향이나 소취를 행한다. 항균제로부터 방출되는 화학 물질은 집진 필터 표면에 체류하여 세균의 번식을 방지한다. 항바이러스제나 항알레르겐제로부터 방출되는 화학 물질은 집진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바이러스나 알레르겐을 불활화(不活化)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집진 필터에 있어서, 상기 기능 물질이 방향제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여과재에 항바이러스제를 함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집진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는 부직포나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여과재에 함침되는 항바이러스제에 의해 바이러스가 불활화된다. 또한, 마이크로 캡슐에 함침되는 방향제로부터 방출된 방향 성분이 공기 중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집진 필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다공질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집진 필터에 있어서, 바인더를 용해한 용매 중에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분산하고, 상기 용매 중에 상기 여과재를 침지하여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담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능 물질을 함침한 마이크로 캡슐이 아크릴 수지 등이 용해한 용매 중에 분산되고, 상기 용매 중에 여과재가 침지된다. 이에 의해, 수지가 바인더로 되어 여과재에 마이크로 캡슐이 담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상기 각 구성의 집진 필터와, 실내로부터 공기를 도입하여 상기 집진 필터를 통과하여 송출하는 송풍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송풍기를 구동하면 실내의 공기가 도입되어 집진 필터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공기 중의 진애가 포집된다. 또한, 다공질의 마이크로 캡슐에 함침되는 기능 물질로부터 화학 물질이 서서히 방출된다. 상기 화학 물질은 공기와 함께 유통이나 집진 필터 표면에 체류하여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기능 물질이 방향제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집진 필터는 상기 여과재에 항바이러스제를 함침한 HEPA 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항알레르겐제를 함침한 통기성의 시트를 상기 집진 필터에 면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시트를 통과하는 공기는 항알레르겐제에 의해 알레르겐이 불활화된다.
본 발명의 집진 필터에 따르면, 방향제, 소취제,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혹은 항알레르겐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능 물질을 함침한 다공질의 마이크로 캡슐을 담지했으므로, 화학 물질을 서서히 방출하여 장기간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집진 필터를 탑재하는 기기가 마이크로 캡슐을 파괴하는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 물질이 방향제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여과재에 항바이러스제를 함침했으므로 복수의 기능을 갖는 집진 필터를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캡슐은 다공질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므로, 화학 물질을 서서히 방출하는 집진 필터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인더를 용해하는 동시에 마이크로 캡슐을 분산한 용매 중 여과재를 침지하여 마이크로 캡슐을 담지했으므로, 마이크로 캡슐을 담지한 집진 필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에 따르면, 방향제, 소취제,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혹은 항알레르겐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능 물질을 함침한 다공질의 마이크로 캡슐을 담지했으므로, 화학 물질을 서서히 방출하여 장기간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캡슐을 파괴하는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장기간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 필터는 기능 물질이 방향제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여과재에 항바이러스제를 함침한 HEPA 필터로 이루어지므로, 집진 효과가 높고 방향 효과 및 바이러스의 불활화 효과를 갖는 공기 청정기를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항알레르겐제를 함침한 통기성의 시트를 집진 필터에 면하여 설치했으므로, 또한 알레르겐을 불활화하는 효과를 갖는 공기 청정기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용 필터 유닛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의 프리필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의 탈취 필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의 탈취 필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의 탈취 필터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의 집진 필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의 집진 필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의 집진 필터의 마이크로 캡슐의 담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의 집진 필터의 마이크로 캡슐의 담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의 필터 보유 지지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용 필터 유닛의 프레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용 필터 유닛의 프레 임체와 프리필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부호의 설명]
1 : 공기 청정기
10 : 본체부
12 : 전방면 패널
13 : 흡기구
14 : 측면 흡기구
15 : 조작 패널
20 : 공기 청정용 필터 유닛
21 : 가습부
22 : 가습 필터
23 : 트레이
25 : 송풍기
26 : 이온 발생 장치
27 : 통기구
28 : 통기 패널
29, 30 : 취출구
31 : 통기로
32 : 공간부
36 : 시트
37 : 마이크로 캡슐
38 : 바인더
52 : 프리필터
53 : 필터 보유 지지 프레임
54 : 탈취 필터
55 : 집진 필터
55a : 여과재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일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공기 청정기(1)는 베이스(11)의 지지에 의해 본체부(10)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10)의 전방면은 전방면 패널(12)에 의해 덮여 있다. 전방면 패널(12)에는 실내의 공기를 도입하는 흡기구(13)가 마련되는 동시에, 전방면 패널(12)의 주연부와 본체부(10)와의 간극에 의해 측면 흡기구(14)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의 상부에는 사용자 조작을 행하는 조작 패널(15)이 설치된다.
도2는 공기 청정기(1)의 전방면 패널(12)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본체부(10) 내에는 축방향으로 흡기하여 주위 방향으로 배기하는 송풍기(25)가 설치된다. 송풍기(25)는 흡기측이 흡기구(13)에 면하여 배치되고, 통기구(27)를 갖는 통기 패널(28)에 의해 전방면이 덮인다. 통기 패널(28)에 의해 본체부(10)의 후방부에는 상하로 연장하는 통기로(31)가 형성된다. 통기로(31)는 상 방을 향해 개방하는 취출구(29)가 마련되는 동시에, 경사 상방으로 굴곡하여 전방으로 개방하는 취출구(30)가 마련된다. 이에 의해, 송풍기(25)의 배기가 취출구(29, 30)로 유도된다.
송풍기(25)와 취출구(29) 사이에는 이온 발생 장치(26)가 설치되어 있다. 이온 발생 장치(26)는 고압 전압의 인가에 의해 이온을 발생하는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전극이 통기로(31)에 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온 발생 장치(26)를 취출구(29)와 송풍기(25) 사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송풍기(25)와의 충돌에 의한 이온의 소멸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온을 발생하는 전극을 통기로(31)에 배치하여 이온 발생 장치(26)의 전원부 등을 다른 위치에 배치해도 좋다.
이온 발생 장치(26)의 전극에는 교류 파형 또는 임펄스 파형으로 이루어지는 전압이 인가된다. 전극의 인가 전압이 플러스 전압의 경우에는 주로 H+(H2O)n으로 이루어지는 플러스 이온을 발생하고, 마이너스 전압의 경우에는 주로 O2 -(H2O)m으로 이루어지는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한다. 여기서, n, m은 임의의 자연수이다. H+(H2O)n 및 O2 -(H2O)m은 공기 중의 부유균이나 악취 성분의 표면에서 응집하여 이들을 둘러싼다.
그리고, 식 (1) 내지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충돌에 의해 활성종인 [ㆍOH](수산기 래디컬)이나 H2O2(과산화수소)를 미생물 등의 표면 상에서 응집 생성하여 부유균이나 악취 성분을 파괴한다. 여기서, n', m'은 임의의 자연수이다. 따 라서,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하여 취출구(29, 30)로부터 송출하는 것에 의해 실내의 살균 및 악취 제거를 행할 수 있다.
H+(H2O)n + O2 -(H2O)m → ㆍOH + 1/2O2 + (n + m)H2O …(1)
H+(H2O)n + H+(H2O)n' + O2 -(H2O)m + O2 -(H2O)m' → 2ㆍOH + O2 + (n + n' + m + m')H2O …(2)
H+(H2O)n + H+(H2O)n' + O2 -(H2O)m + O2 -(H2O)m' → H2O2 + O2 + (n + n' + m + m')H2O …(3)
전방면 패널(12)과 통기 패널(28) 사이에는 공기 청정용 필터 유닛(20) 및 가습부(21)가 배치된다. 흡기구(13)(도1 참조)에 면하여 배치되는 공기 청정용 필터 유닛(20)은, 공기 청정기에 조립하는 것으로서 설계되어 있다. 도3은 공기 청정용 필터 유닛(2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공기 청정용 필터 유닛(20)은 프레임체(56) 내에 공기의 흡입측으로부터 차례로 프리필터(prefilter)(52), 탈취 필터(54), 집진 필터(55)의 3종류의 필터가 배치되어 있다. 프리필터(52)와 탈취 필터(54) 사이에는 필터 보유부(53)가 배치되어 있다.
도4는 프리필터(52)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프리필터(52)는 ABS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 4단 4열의 창을 갖는 직사각형의 프레임(61)에 폴리프로필렌제의 메 쉬(62)를 용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61)의 양 측면에는 2개씩의 돌기부(63)가 마련되고, 정면에 손잡이(64)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프리필터(52)에 의해 흡기 중의 큰 진애를 포집할 수 있다.
도5, 도6은 탈취 필터(54)의 사시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탈취 필터(54)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주머니체(41)를 갖고 있다. 주머니체(41)는 상하 방향으로 연속된 크키가 균등한 복수의 수납실(42)로 구분되어 있다. 각 수납실(42) 내에는 활성탄 등의 흡착재(68)(도7 참조)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채워져 있다. 이에 의해, 각 수납실(42)이 팽창하여 탈취 필터(54)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다. 또한, 수납실(42)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흡착재(68)로서, 야자껍질계(coconut shell), 석탄 피치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셀룰로오스계 등의 활성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7은 탈취 필터(54)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각 수납실(42)은 주머니체(41)의 표면측과 이면측을 봉합하여 형성된다. 이때, 봉합부(seam)(67)가 경사지도록 봉합된다. 탈취 필터(54)의 장착 상태에서는 각 수납실(42)에 채워진 흡착재(68)가 자중으로 하강하여, 각 수납실(42)의 상부에 공간부(42a)가 형성된다. 이때, 봉합부(67)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각 수납실(42)의 상방의 수납실(42)의 하부에 흡착재(68)가 채워진다.
이에 의해, 탈취 필터(54)에 들어간 공기는, 화살표 α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드시 흡착재(68)와 접촉하면서 통과하여 방출되어, 탈취 효과가 향상한다. 또한, 주머니체(41)를 일렬 배치하는 것만으로 좋아서 탈취 필터(54)의 초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8, 도9는 집진 필터(55)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집진 필터(55)는 HEPA 필터로 이루어지고, 여과재(55a)를 덮도록 프레임재(55b)가 핫 멜트에 의해 용착되어 있다. 여과재(55a)는 폴리에스테르/비닐론계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골재와 멜트블로운(melt-blown) 부직포를 포개고 접어 구성된다. 멜트블로운 부직포로서 전석(electret) 가공된 도오레이 가부시끼가이샤제 트레미크론(등록 상표)이 이용된다. 이에 의해, 정전기를 유지하여 미세한 진애도 포집할 수 있다.
여과재(55a)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비닐론계의 부직포에는, 징크 피리디온이나 카테킨 등으로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가 함침되어 있다. 항바이러스제에 의해 집진 필터(55)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바이러스를 불활화할 수 있다.
또한,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비닐론계의 부직포에는 방향제를 함침한 마이크로 캡슐(37)이 담지되어 있다. 마이크로 캡슐(37)은 다공질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고, 방향제를 다수의 미세 구멍에서 유지하는 것에 의해 방향제의 화학 물질을 서서히 방출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비닐론계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여과재(55a)는 이하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우선, 항바이러스제 및 아크릴 수지를 용해한 용매 중에 방향제를 함침한 마이크로 캡슐(37)을 분산한다. 그리고, 상기 용매 중에 폴리에스테르/비닐론계의 부직포를 침지한다. 이에 의해, 여과재(55a)는 항바이러스제를 함침하는 동시에, 도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크릴 수지가 통기성의 바인더(38)로 되어 마이크로 캡슐(37)을 담지할 수 있다.
또한, 용매 중의 아크릴 수지의 농도에 따라서 바인더(38)의 두께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바인더(38)를 두껍게 하여 방향제에 의한 방향 효과의 지속 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나, 바인더(38)를 얇게 하여 방향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과재(55a)의 표면에는 하이드록시애퍼타이트 가공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항균 시트(57)가 겹쳐져 열압착되어 있다. 항균 시트(57)는 하이드록시애퍼타이트 등의 항알레르겐제를 용해한 용매 중에 부직포를 침지하여 형성되어, 항알레르겐제가 함침되어 있다. 항알레르겐제에 의해 항균 시트(57)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알레르겐을 불활화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재(55b)에도 항균 시트(57)와 마찬가지로 하이드록시애퍼타이트 등의 항알레르겐제가 함침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집진 필터(55)에 의해, 흡기구(13)로부터 도입된 공기 중의 미세한 진애를 포집하는 동시에 바이러스 및 알레르겐을 불활화한다. 또한, 집진 필터(55)를 통과하는 공기에 방향제로부터 화학 물질이 방출된다.
도12는 필터 보유 지지 프레임(53)을 탈취 필터(54)의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필터 보유 지지 프레임(53)은 직사각형의 프레임(64)에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복수단 복수열의 사각 구멍(65)을 갖고 있다. 사각 구멍(65)의 높이는 탈취 필터(54)의 표면의 요철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탈취 필터(54)에 대향하는 면에는, 각 사각 구멍(65) 사이에 사다리형의 돌기부(66)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부(66)는 가로폭이 필터 보유 지지 프레임(53)의 가로폭과 동일하고, 탈취 필터(54)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돌기부(66)에 의해 탈취 필터(54)를 보유 지지하여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66)는 반드시 사다리형일 필요는 없고, 핀 등의 돌기라도 좋다.
도13은 프레임체(56)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체(56)는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면이 개방된 상자체(71)로 이루어지고,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면에는 격자 프레임(73)에 의해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사각 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격자 프레임(73)은 집진 필터(55)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프레임체(56)의 두께는 집진 필터(55), 탈취 필터(54), 필터 보유 지지 프레임(53) 및 프리필터(52)가 수납 가능한 두께로 되어 있다. 상자체(71)의 양 측면에는 2개씩의 계지 구멍(74)이 마련된다.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필터(52)의 돌기부(63)가 계지 구멍(74)에 끼워 맞추어져, 내부의 탈취 필터(54) 등이 탈락하는 일없이 공기 청정용 필터 유닛(20)이 일체로 형성된다.
도2에 있어서, 공기 청정용 필터 유닛(20)과 통기 패널(28) 사이에는 소정 폭의 공간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공간부(3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공기 청정용 필터 유닛(20)을 통과한 공기가 통기구(27)에 원활하게 유입하여 압력 손실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공간부(32)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습부(21)는 가습 필터(22), 트레이(23) 및 물 탱크(24)(도1 참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물 탱크(24)는 가습용의 물이 저수되고, 본체부(10)의 측부에 착탈 가능하게 세워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23)는 물 탱크(24)에 접속되고,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모은다. 가습 필터(22)는 트레이(23)에 침지되는 흡수성을 가진 급수재로 이루어지고, 전후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절곡한 병풍(folding screen)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습 필터(22)는 트레이(23) 내의 물을 퍼올려 보수한다.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1)에 있어서, 송풍기(25)가 구동되면 흡기구(13)로부터 본체부(10) 내에 실내의 공기가 도입된다. 흡기구(13)로부터 도입된 공기는 화살표 A(도2 참조)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청정용 필터 유닛(20)을 통과하여 진애가 포집되고, 바이러스나 알레르겐이 불활화된다. 공기 청정용 필터 유닛(20)을 통과한 공기에는 방향 성분이 포함되고, 통기구(27)를 통해 통기로(31)에 유입된다.
또한, 공기 청정용 필터 유닛(20)을 통과한 하방의 공기는 가습 필터(22)에 충돌하고, 배면측이 차폐되기 때문에 흡수재의 절곡된 벽면을 따라 화살표 B(도2 참조)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한다. 이때, 가습 필터(22)에 보수된 수분이 공기 내에 도입되고, 가습된 공기가 통기구(27)를 통해 통기로(31)에 유입된다. 통기로(31)를 유통하는 공기는 이온 발생 장치(26)로부터 방출되는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을 포함하고, 취출구(29, 30)로부터 실내에 송출된다. 이에 의해, 실내의 살균 및 악취 제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 패널(15)(도1 참조)의 조작에 의해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을 실내에 송출하는 모드와, 마이너스 이온만을 실내에 송출하는 모드를 절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드를 절환하여 마이너스 이온을 실내에 송출 하여 릴랙세이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내에 송출되는 이온은 물 분자에 의해 주위가 둘러싸인다. 이로 인해, 공기 중의 곰팡이 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부유균과 이온이 충돌하는 정도가 높아진다. 또한, 공기 중의 진애에 이온이 충돌했을 때에, 이온은 물 분자에 보호되어 소멸이 저감된다. 따라서, 실내의 부유균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마이너스 이온만을 실내에 송출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이온이 수분으로 둘러싸여, 진애와의 충돌에 의한 이온의 소멸이 저감된다. 따라서, 릴랙세이션 효과를 효율적으로 신속히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방향제를 함침한 다공질의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캡슐(37)을 집진 필터(55)가 담지하므로, 방향제로부터 방출되는 화학 물질이 서서히 방출된다. 이에 의해, 방향 효과를 장기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마이크로 캡슐을 파괴하는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 청정기(1)의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캡슐은 다공질이면 다른 재료라도 좋고, 예를 들어 알루미나 등의 세라믹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방향제뿐만 아니라, 화학 물질을 방출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 물질을 마이크로 캡슐(37)에 함침해도 좋다. 예를 들어, 방향제 이외의 기능 물질로서 소취제,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항알레르겐제 등을 함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캡슐(37)에 소취제를 함침하면, 소취제로부터 방출되는 화학 물질이 공기와 함께 유통되어 실내의 소취를 행할 수 있다.
마이크로 캡슐(37)에 항균제를 함침하면, 항균제로부터 방출되는 화학 물질 이 송풍기(25)의 정지시에 공기 청정용 필터 유닛(20)의 표면에 체류하여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마이크로 캡슐(37)에 항바이러스제나 항알레르겐제를 함침하면, 항바이러스제나 항알레르겐제로부터 방출되는 화학 물질에 의해 공기 청정용 필터 유닛(20)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바이러스나 알레르겐을 불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진애를 포집하는 집진 필터나 그것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나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공기 조화기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진애를 포집하는 여과재를 가진 집진 필터에 있어서, 공기 중에 화학 물질을 방출하여 원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 물질을 함침한 다공질의 마이크로 캡슐을 담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물질은 방향제, 소취제,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혹은 항알레르겐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물질이 방향제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여과재에 항바이러스제를 함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다공질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바인더를 용해한 용매 중에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분산하고, 상기 용매 중에 상기 여과재를 침지하여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담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필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진 필터와, 실내로부터 공기를 도입하여 상기 집진 필터를 통과하여 송출하는 송풍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물질이 방향제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집진 필터는 상기 여과재에 항바이러스제를 함침한 HEPA 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항알레르겐제를 함침한 통기성의 시트를 상기 집진 필터에 면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077002563A 2004-08-02 2005-07-14 집진 필터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KR200700395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6046A JP2006046730A (ja) 2004-08-02 2004-08-02 集塵フィル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機
JPJP-P-2004-00226046 2004-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578A true KR20070039578A (ko) 2007-04-12

Family

ID=35787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563A KR20070039578A (ko) 2004-08-02 2005-07-14 집진 필터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83337A1 (ko)
JP (1) JP2006046730A (ko)
KR (1) KR20070039578A (ko)
CA (1) CA2571023A1 (ko)
WO (1) WO2006013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6476A1 (de) * 2006-08-04 2008-02-07 Khs Ag Filtereinsatz
JP2008043580A (ja) * 2006-08-18 2008-02-28 Mitsubishi Electric Corp 脱臭フィルタ並びに空気清浄装置
JP5226976B2 (ja) * 2007-07-03 2013-07-03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自動車用空調装置のフィルタ及びその自動車用空調装置
JP4948325B2 (ja) * 2007-08-20 2012-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脱臭フィルタ並びに空気清浄装置
US8338404B2 (en) * 2007-09-11 2012-12-25 Kyowa Hakko Bio Co., Ltd.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allergen
WO2009042124A1 (en) * 2007-09-25 2009-04-02 Thomas Buckley Air filter and system
US8454735B2 (en) * 2007-12-17 2013-06-04 Sekisui Chemical Co., Ltd. Allergen inhibitor, allergen-inhibiting product, allergen inhibition method, and use as allergen inhibitor
JP2010017685A (ja) * 2008-07-14 2010-01-28 Daikin Ind Ltd 空気清浄機
JP5484516B2 (ja) * 2011-10-03 2014-05-07 興研株式会社 清浄空気吹出装置
US9726395B2 (en) * 2012-11-20 2017-08-08 Scott David Hammer Air freshening system and method
CN104949212B (zh) * 2014-03-28 2017-11-14 Lg电子株式会社 空气净化器
CN104949213B (zh) 2014-03-28 2017-09-29 Lg电子株式会社 空气净化器
JP6469522B2 (ja) * 2015-05-19 2019-02-13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空気調和機及びフィルタ部材
FR3039769A3 (fr) * 2015-08-03 2017-02-10 Inovame Sachet de depollution pour pieger des composes organiques volatiles et notamment le formaldehyde
KR101631664B1 (ko) * 2015-08-11 2016-06-21 주식회사 한국고유식물연구소 환경정화기
JP6798154B2 (ja) * 2016-06-15 2020-12-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無端ベルト、画像形成装置、及び無端ベルトユニット
WO2018123383A1 (ja) * 2016-12-28 2018-07-05 株式会社クリエイティブテクノロジー 集塵フィルタ及び空気清浄機
DE102017103794A1 (de) 2017-02-23 2018-08-23 Eisenmann Se Aufnahmevorrichtung für Filterelemente eines Filtermoduls
JP2020110557A (ja) * 2019-01-08 2020-07-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浄化装置
JP7307356B2 (ja) * 2021-02-18 2023-07-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383B2 (ja) * 1986-11-06 1996-02-14 三洋電機株式会社 送風装置
JPH01256965A (ja) * 1988-04-07 1989-10-13 Toray Ind Inc 消臭剤およびそれからなる消臭性成形品
JPH05237316A (ja) * 1992-02-26 1993-09-17 Suzuki Sogyo Co Ltd ヤシ繊維利用フィルター材
US5288298A (en) * 1992-06-22 1994-02-22 Aston William T Antimicrobial air filt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234455B1 (en) * 1994-06-30 2001-05-22 Gotz-Ulrich Wittek Device and process for delivering substances for dispersal in the air
JPH10174823A (ja) * 1996-12-17 1998-06-30 Mitsui Chem Inc エアフィルター
JP2000005531A (ja) * 1998-06-19 2000-01-11 Matsushita Seiko Co Ltd 抗アレルゲンフィルターと該フィルターを設けた空気清浄機および換気装置およびマスク
FR2807973B1 (fr) * 2000-04-21 2002-11-15 Filtrauto Filtre a air d'habitacle de vehicule, vehicule comportant un tel filtre, et procede de fabrication
CN1331538C (zh) * 2000-08-28 2007-08-15 夏普公司 空气改质机器及使用于此的离子产生装置
US6494940B1 (en) * 2000-09-29 2002-12-17 Hamilton Beach/Proctor-Silex, Inc. Air purifier
JP2002306911A (ja) * 2001-04-11 2002-10-22 Mitsubishi Paper Mills Ltd 抗菌性除塵フィルター
US6872241B2 (en) * 2001-10-19 2005-03-29 Innovativ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Llc Anti-pathogenic air filtration media and air handling devices having protective capabilities against infectious airborne mircoorganisms
ATE453838T1 (de) * 2002-01-24 2010-01-15 Pe Petz Electro Gmbh & Co Kg Luftbefeuchter
KR100656170B1 (ko) * 2002-12-23 2006-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정화기
JP3649241B1 (ja) * 2003-03-04 2005-05-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部材および空気調和装置
TW200510051A (en) * 2003-06-12 2005-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ir cleaner, functional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lter, air cleaning filter, and air cleaner device
KR20050063592A (ko) * 2003-12-22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US20060021302A1 (en) * 2004-07-30 2006-02-02 Bernard Bobby L Anti-microbial air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13711A1 (ja) 2006-02-09
JP2006046730A (ja) 2006-02-16
US20080083337A1 (en) 2008-04-10
CA2571023A1 (en)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9578A (ko) 집진 필터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JP3940417B2 (ja) 空気調節装置
JP5160494B2 (ja) 空気清浄機
US20130052090A1 (en) Photo-catalytic air purifier system with illuminated angled substrate
KR102458347B1 (ko) 냉방 겸용 이동형 공기 살균 청정기
US20130047859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ell with removable corona unit
JP4408767B2 (ja) 空気清浄機
JP3248465B2 (ja) 空気清浄機
KR101352776B1 (ko) 실내 공기 정화 장치
CN214370784U (zh) 一种多功能空气净化器
JP2006046732A (ja) 加湿装置
JP4310874B2 (ja) 空気清浄機
JP3781760B2 (ja) 空気調節装置
JP2006071113A (ja) 加湿装置
US11969679B2 (en) Surface-enhanced copper filter for air purific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JP4397305B2 (ja) 空気清浄装置
JP3749118B2 (ja) 空気清浄装置
JP2006058148A (ja) 液面検知装置
CN212492044U (zh) 一种空调银离子杀菌滤芯
CN218511103U (zh) 过滤组件和空调
JP3118531U (ja) 空気清浄機能を有するパーティションその他間仕切りパネル
JP4886974B2 (ja) 空気清浄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CN215446785U (zh) 空气净化器
KR200364179Y1 (ko) 공기청정기
JP7307356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