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473A - 프린트 라벨 제작용 테이프와 테이프제조법 - Google Patents

프린트 라벨 제작용 테이프와 테이프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473A
KR20070039473A KR1020067011778A KR20067011778A KR20070039473A KR 20070039473 A KR20070039473 A KR 20070039473A KR 1020067011778 A KR1020067011778 A KR 1020067011778A KR 20067011778 A KR20067011778 A KR 20067011778A KR 20070039473 A KR20070039473 A KR 20070039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ultraviolet
tape
yarns
fluor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4812B1 (ko
Inventor
히데키 데라시마
Original Assignee
니폰 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9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optical functions other than colour, e.g. comprising light-emitting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11Woven fabrics for labe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G09F3/0292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tamper indicating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G09F3/0294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where the change is not permanent, e.g. labels only readable under a special light, temperature indicating labels and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B42D25/387Special inks absorbing or reflecting ultraviolet ligh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0Physical properties opt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35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developable image or soluble portion in coating or impregnation [e.g., safety paper,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oven Fabric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형광체를 이겨 넣어 방사한 발색이 다른 적어도 2종의 자외선 형광사를 사용한다. 정경에 의하여 자외선 형광사나 적외선 형광사를 통상의 무색실과 함께 빔이나 드럼에 감아 들이고, 자외선 형광사를 특정한 색순으로 폭방향으로 반복하여 배열하고 나서, 이 자외선 형광사 및 무색실을 날실로 하여 광폭직기에서 직성한다. 이 때에 자외선 형광사나 적외선 형광사가 특정한 색순으로 병렬형상으로 직물 전 폭에 걸쳐 넣어져 짜이고, 직성 후에 있어서 자외선 형광사의 색순을 식별할 수 있는 가로방향 간격보다 넓은 테이프 폭으로 광폭직물을 히트 커트한다.

Description

프린트 라벨 제작용 테이프와 테이프제조법{TAPE FOR PRINTED LABEL PRODUC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APE}
본 발명은 자외선이나 적외선의 조사에 의하여 특정한 반복 패턴을 식별하여 진정상품(정품)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부여(informative) 프린트라벨의 제작에 사용하는 테이프와, 동일한 반복 패턴을 가지는 광폭 직물로부터 여러가지 폭의 테이프를 자기 뜻대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저명 브랜드의 상품에 인기가 집중함과 동시에, 그 브랜드를 부정사용한 유사상품이 시장에 대량으로 나돌고 있다. 이에 의하여 브랜드상품의 매상고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브랜드상품의 품질에 대한 신용을 실추시키는 사태가 빈발하고 있다. 특히, 유사상품은 저개발국의 값싼 노동력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제조되어 브랜드상품보다 훨씬 저렴하게 수입 판매됨으로써 브랜드상품의 제조·판매업자에게 현저한 손해를 준다. 이런 종류의 유사상품은 의료(衣料)품에 관한 염색기술 및 봉제기술의 고도화에 따라 브랜드상품과 혹사하여 전문 거래업자이더라도 브랜드상품과 식별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유사상품이 브랜드상품과 동일한 판매루트로 장기간 존재하여 브랜드상품의 제조·판매업자는 막대한 손해를 입는다.
의료품에 대하여 부당한 유사상품을 조기에 적발하기 위하여 현재, 여러가지 적발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 일례로서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0328320호, 일본국 특개평6-306727호, 특개평7-92911호에서는 무기 또는 유기의 형광체를 혼입한 발광사를 통상의 실과 함께 직성(織成)한 장식적인(decorative) 직물라벨을 제조하고 있다. 이 직물라벨을 의료품에 꿰매어 고정함으로써 필요시에 자외선을 해당 라벨에 조사하면 발광사의 존재의 유무에 의하여 모조품인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본국 특개평7-92911호는 적색, 청색, 녹색의 형광체를 단독 또는 조합시켜 사용하여 직물라벨 뿐만 아니라 천 전체에 넣어 짜는 경우도 있다. 또 발명자가 이 출원인의 종업원인 일본국 특허제2986714호에서도 적색, 청색 또는 녹색으로 발광하는 자외선 형광체를 사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0328320호 명세서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6-306727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평7-92911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 제2986714호 공보
상기한 위조방지 직물라벨은, 이미 섬유업계에서는 널리 인지되어 있다. 이 직물라벨은 특정한 자외선 형광사가 넣어져 짜인 것이 공지가 될 때까지, 비교적 단기간이더라도 진위판정의 효과를 가진다. 이 직물라벨에 대하여 라벨 제조업자가 복수의 라벨 사용지인 봉제 메이커 등으로부터 동일한 주문을 받은 경우, 봉제 메이커마다 다른 발색의 직물라벨을 납품하지 않으면 위조방지의 의미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각 봉제 메이커의 직물라벨마다 다른 갯수의 자외선 형광사를 넣어 짜고, 복수개 넣어 짜는 경우에는 자외선 형광사의 간격을 특정함으로써 봉제 메이커를 분별한다. 이와 같은 분별조치를 가하여도 대응할 수 있는 봉제 메이커의 수는 많더라도 여남은 사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직물라벨은 주로 의료품의 옷깃 뒤, 가방, 의료 부속물이나 모포 등에 꿰매어 고정되는 장식적인 상표 표시 라벨이며, 그 라벨은 쟈카드기를 탑재한 직기를 사용하여 복잡하고 미려한 무늬를 짜 낸다. 자외선 형광사를 도안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색실의 뜬실이 많은 중앙부에 넣어 짜면 그 발광사가 가라 앉아 자외선 조사에 의한 판별작업이 곤란해지거나 디자인에 위화감이 생기기 쉽다. 이 때문에 자외선 형광사는 라벨 주변부에 넣어 짤 수 밖에 없다. 자외선 형광사를 넣어 짜는 것을 라벨 주변부에 한정하면, 대응할 수 있는 봉제 메이커의 수가 줄어 10개사 미만이 되고, 고객인 봉제 메이커가 100개사를 넘는 본 출원인으로서는 전혀 대응 불가능하다.
메이커 별로 자외선 형광사를 바꾸어 넣어 짤 때에 일본국 특개평7-92911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적색, 청색, 녹색의 자외선 형광사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상표 라벨에 사용하면 대응 가능한 메이커수는 비약적으로 증대할 것이다. 이 직물라벨은 디자인이 다채로워 바탕 조직이 무색 즉 백색인 것은 오히려 적고, 경위사(經緯絲)에 색실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것과 마찬가지로 자외선 형광사도 착색하 는 것이 필요하다. 자외선 형광사가 녹색이나 청색으로 착색되면 자외선 조사만으로 발색이 청색인지 녹색인지를 판별하기 어렵다. 검정색과 같이 바탕 조직의 명도가 낮아지면 발광사의 발색을 식별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장식적인 직물라벨이면 적색, 청색, 녹색의 자외선 형광사를 사용하여도 대응 가능한 메이커수가 그다지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문제로서 상표 표시인 직물라벨은, 동일 메이커이더라도 의료품의 종류별이나 품질별로 치수나 평면형상이 다르고, 날실의 갯수, 폭, 길이, 밀도가 다른 라벨이 다수 존재한다. 동일 메이커의 크고 작은 다른 직물라벨에 대하여 항상 동일 갯수의 자외선 형광사를 같은 날실위치나 간격으로 넣어 짜기 위해서는 정경작업에 있어서 수 많은 직물라벨마다 자외선 형광사의 갯수와 넣어 짜는 위치를 정확하게 정할 필요가 있고, 이것은 컴퓨터로 관리하는 현재에도 대단한 작업이다. 또 여름철에 착용하는 얇은 상의나 바지 또는 속옷류에는 옷깃 뒤 등에 상표 표시 라벨을 꿰매어 고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이런 종류의 의료품에서는 유사상품을 적발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자는 라벨 제조업자의 관점에서 위조방지 직물라벨에 관한 상기한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이 검토에 있어서 의료품에 꿰매어 고정되는 라벨에는 상표 표시인 직물라벨 이외에 세탁지정 마크, 품질표시 마크, 사용 주의서 마크 등을 인쇄한 무지의 천조각(cloth slip), 즉 프린트 라벨이 있고, 그 프린트 라벨은 치수와 관계없이 어느 것이더라도 인쇄 전은 무색인 것에 착안하였다. 프린트 라벨은, 세폭의 무지 테이프에 스크린 인쇄기나 볼록판 인쇄기 등으로 문자나 도형을 인쇄 한 후에 1매씩 잘게 끊어 이것을 의류의 뒷쪽 등에 꿰매어 고정한다. 프린트 라벨은, 각 봉제 메이커 등의 라벨 사용지에서 치수는 다르더라도, 무색의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은 어느 라벨 사용지이더라도 동일하기 때문에, 자외선 형광사를 넣어 짜는 방법을 적절하게 행하면 범용성이 높은 위조방지 라벨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외선이나 적외선의 조사에 의하여 유사상품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범용성이 높은 프린트 라벨 제작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작하는 프린트 라벨이 어떤 치수이더라도 자외선이나 적외선의 조사로 발현하는 특정한 반복 패턴이 존재하는 프린트 라벨 제작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수가 다른 위조방지 라벨을 라벨 제조업자가 저렴하고 또한 신속하게 납품할 수 있는 프린트 라벨 제작용 테이프의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프린트 라벨 제작용 테이프는, 정보부여의 위조방지 라벨로서, 도안이나 문자를 인쇄한 후에 잘게 끊어 사용한다. 본 발명의 테이프는 가시광으로 조사하면 무색인 테이프 본체와, 그 테이프 본체에 병렬형상으로 넣어 짜는 발색이 다른 적어도 2종의 자외선 형광사를 가진다. 본 발명의 테이프는 테이프 폭 전체에 있어서 자외선 형광사를 특정한 색순으로 폭방향으로 2종으로 4열 이상, 3종으로 3열 이상, 4종 이상으로 2열 이상 반복함으로써 자외선의 조사에 의하여 특정한 반복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에서는 특정한 색순에 의한 자외선 형광사의 반복에 있어서 소정 폭의 자외선 형광사의 선두열 및 말미열을 규정하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자외선 형광사가 2종 이상으로 적어도 3열마다 폭방향으로 반복됨으로써 자외선을 조사하여 선두열과 말미열로부터 특정한 반복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에 있어서, 적외선 형광사를 자외선 형광사의 1종 대신에 병렬형상으로 넣어 짜서 자외선과 함께 적외선을 조사하여 특정한 반복 패턴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적외선 형광사를 복수열의 자외선 형광사에 가하여 병렬형상으로 넣어 짜서 자외선과 함께 적외선을 조사하여 특정한 반복 패턴을 식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테이프에 있어서, 테이프의 직조직(織組織)이 날실의 들뜸이 많은 주자직이면, 라벨 겉측으로부터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조사하면 자외선 형광사의 색 또는 적외선 형광사의 존재를 확인하기 쉽다.
본 발명에 관한 테이프 제조법에서는 형광체를 이겨 넣어 방사된 발색이 다른 적어도 2종의 자외선 형광사를 사용한다. 자외선 형광사를 정경에 의하여 통상의 무색실과 함께 워프빔에 감아 들이고, 자외선 형광사를 특정한 색순으로 폭방향으로 반복하여 배열하고 나서, 이 자외선 형광사 및 무색실을 날실로 하여 광폭직기에서 직성한다. 이 때에 자외선 형광사가 특정한 색순으로 병렬형상으로 직물 전 폭에 걸쳐 넣어져 짜이고, 직성후에 있어서 자외선 형광사의 색순을 식별할 수 있는 가로방향 간격보다 넓은 테이프 폭으로 히트 커트한다.
본 발명의 테이프 제조법에서는 자외선 형광사를 특정한 색순으로 반복하여 배열할 때에, 자외선 형광사의 소정 폭의 선두열 및 말미열을 규정하여 직성한다. 직성후에 있어서 자외선 형광사의 선두열 및 말미열이 존재하는 가로방향 간격보다 넓은 테이프 폭으로 광폭 직물을 히트 커트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테이프제조법에 있어서, 정경에 의하여 적외선 형광사를 자외선 형광사 및 통상의 무색실과 함께 워프빔에 감아 들이고, 이 적외선 형광사, 자외선 형광사 및 무색실을 날실로 하여 광폭직기에서 직성하면 바람직하다. 광폭직기에 있어서 도비장치 또는 태핏장치에 의하여 날실의 개구운동을 행하고, 이 개구운동으로 생긴 북길에 합성섬유의 무색실을 씨실로서 삽입함으로써 날실의 들뜸이 많은 주자직의 광폭 직물을 직성하면 바람직하다. 또 날실 및 씨실인 무색실이, 무표백의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도 3에서는 가시광하에서 보이지 않는 복수개의 발광사(6)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테이프(1)는 세탁표시 마크(M)(도 1), 품질표시 마크, 사용 주의서 마크, 상표 등을 인쇄하기 위하여 가시광하에서 실질적으로 무색이다. 도 1에서 세탁지정 마크(M)를 가지는 프린트 라벨(2)은, 예를 들면 의류와 같은 상품(C)의 뒷쪽에 꿰매어 고정된다. 도안이나 문자를 포함하는 마크(M)는, 직성한 무색의 테이프(1)(도 3)에 볼록판 인쇄기나 스크린 인쇄기로 연속 인쇄하여 얻은 인쇄 테이프를 가로방향으로 1매씩 잘게 끊어 라벨(2)을 제조한다. 이 인쇄작업은 라벨 제조업자에 의하여 행하여도, 테이프(1)를 라벨 사용지에 납품하고, 그 라벨 사용지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테이프 본체(3)(도 3)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발광사(6)를 통상의 무색실과 함께 날실로 하여 직성한 광폭 직물(7)을 다수개의 띠형상으로 히트 커트하여 제조한다. 희망에 따라 테이프 본체(3)는 니들직기 등의 세폭직기를 사용하여 1개씩 직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히트 커트는 불필요하다. 테이프 본체(3)는 비교적 단순하고 얇은 직조직으로 좋기 때문에 도비 또는 태핏을 고속직기와 조합하여 직성하면 좋고, 특히 자카드기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테이프 본체(3)는,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조사하지 않을 때는 실질적으로 무색 이고, 발광의 판별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백색이나 엷은 색이어도 좋다. 테이프 본체(3)는 무지 또는 바탕모양이 들어 간 무표백지라든가 오프화이트지이고, 표백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무형광 표백인 것을 요한다. 도 3에서 발광사(6)는 테이프 본체(3)에 넣어 짠 날실 및/또는 씨실이다. 발광사(6)가 도 2나 도 3과 같이 날실이면 테이프 본체(3)의 직조직은 날실의 들뜸이 많은 5매 주자직이나 8매 주자직이면 바람직하다. 날실의 들뜸이 많으면 인쇄 잉크의 먹음이 좋은 데다가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조사하였을 때에 발광사(6)의 발색을 알기 쉬워 식별작업이 용이하다.
도 1 내지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본체(3)에는 날실의 발광사(6)로서 발색이 다른 적어도 2종의 자외선 형광사(5)가 병렬형상으로 넣어져 짜이고, 테이프 폭(W)에서 자외선 형광사(5)가 특정한 색순으로 폭방향으로 반복된다. 예를 들면 자외선 형광사(5)는 입경이 약 4 ∼ 7 ㎛인 무기의 형광체를 수지에 이겨 넣어 필라멘트를 방사한다. 이 필라멘트를 다수개를 꼬아 통상의 무색실과 동일한 굵기로 정한다. 이 형광체를 이겨 넣은 수지는 통상의 무색실과 마찬가지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아크릴, 아세테이트, 폴리올레핀, 아세트산셀룰로스 등이면 좋고, 일반적으로 내구성과 가격의 점에서 폴리에스테르섬유를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날실 및 씨실인 무색실은 자외선 조사에 의한 식별작업이 가능하도록 무표백 또는 무형광표백실이다.
자외선 형광사(5)에 이겨 넣는 형광체로서, 청색 발색의 형광체는, 화학조성이 Sr4Al14O25 : Eu, Dy(발광 피크파장 490 nm), Sr5(PO4)3 Cl : Eu(발광 피크파장 445 nm), ZnS : Ag(발광 피크파장 450 nm), CaWO4(발광 피크파장 425 nm) 등이다. 녹색 발색의 형광체는 화학조성이 SrAl2O4 : Eu, Dy(발광 피크파장 520 nm), Zn2GeO4 : Mn(발광 피크파장 534 nm), ZnS : Cu, Al(발광 피크파장 530 nm), Zn2SiO4 : Mn(발광 피크파장 525 nm) 등이다. 적색 발색의 형광체는, 화학조성이 Y2O2S : Eu(발광 피크파장 626 nm), Y2O3 : Eu(발광 피크파장 611 nm), YVO : Eu(발광 피크파장 619 nm) 등이다. 보라색 발색의 형광체는, 화학조성이 CaAl2O4 : Eu, Nd(발광 피크파장 440 nm)이다. 이들 형광체를 복수종 혼합하면 보라색, 오렌지색, 핑크색 발색의 형광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형광체는 예를 들면 여기파장 300 ∼ 400 nm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블랙라이트(8)(도 2) 등의 소형 램프로 조사하면, 소정의 형광색으로 발광하여 잔광성이 거의 없고, 통상의 가시광의 조사에서는 발광하지 않는다.
발색이 다른 자외선 형광사(5)는, 테이프 본체(3)에 2종 이상을 넣어 짜면 특정한 색순으로 폭방향으로 반복되고, 그 반복 패턴에 의하여 라벨 사용지를 식별한다. 이 반복 패턴은 단순한 반복인 경우와, 선두열 및 말미열을 정하여 반복되는 경우가 있다. 프린트 라벨(2)은 의료품(C)에 꿰매어 고정할 때에 부착방향이 특정되지 않기 때문에, 그 라벨의 방향에 관계없이 반복 패턴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도 4 내지 도 8에 있어서, 자외선 형광사의 적색 발색을 5R, 녹색 발색을 5G, 청색 발색을 5B, 보라색 발색을 5M, 오렌지색 발색을 5D, 핑크색 발색을 5P로 나타내고, 각각 다른 선종류으로 나타내고 있다.
단순한 반복 패턴의 예를 도 5와 도 6에 나타내고, 그 패턴수는 기본적으로는 중복순열로부터 산출하여, 선두열이 어긋나면 동일해지는 것을 제거한다. 도 5에서는 자외선 형광사(5R와 5G)가 4열마다, 도 6에서는 5열마다 반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2종의 자외선 형광사(5)에 대하여 2열이면 (5G), (5R), (5G, 5R)의 3 패턴이고, 3열이면 다시 (5G, 5G, 5R), (5G, 5R, 5R)의 2패턴, 4열이면 다시 (5G, 5G, 5G, 5R), (5G, 5G, 5R, 5R)(도 5), (5G, 5R, 5R, 5R)의 3패턴을 가하고, 5열이면 다시 (5G, 5G, 5G, 5G, 5R), (5G, 5G, 5G, 5R, 5R), (5G, 5G, 5R, 5R, 5R), (5G, 5R, 5R, 5R, 5R)(도 6)의 4패턴을 가하고, 5열이면 전체에서 반복 패턴수가 12이다. 각 자외선 형광사(5)의 열 간격은, 1 mm, 1.5 mm, 2 mm 피치의 3구분 정도로 나눌 수 있다. 5열이면 12패턴의 색구분과 3구분의 열 간격을 이용하면 36분류가 가능하다.
단순한 반복 패턴의 경우, 2종의 자외선 형광사(5)가 4열이고 패턴수가 8, 3열 패턴수가 5이기 때문에, 3열 이하의 반복에서는 패턴수가 지나치게 적어 실용적이지 않다. 4열이면 8 패턴의 색구분과 3구분의 열간격으로부터 24사의 라벨 사용지를 특정할 수 있어, 소규모의 라벨 제조업자이면 일단 실용 가능하다.
자외선 형광사(5)가 3종이면 3열로 15패턴이기 때문에, 3종에서는 3열 이상, 4종 및 5종에서는 2열 이상에서 대략 실용 가능하다. 프린트 라벨(2)에 대하여 그 방향에 관계없이 반복 패텬을 식별할 수 있도록, 히트 커트의 경우에는 패턴 폭의 2배를 최소 절단 간격으로 한다. 또 식별 가능한 패턴수를 늘리기 위하여 패턴 선두열에만 자외선 형광사(5)을 2개 넣어 짜거나, 각 자외선 형광사(5)의 열 간격을 바꾸거나, 적외선 형광사를 인접시켜 넣어 짜도 좋다.
선두열 및 말미열을 정하여 반복하는 경우에는 라벨의 방향에 관계없이 패턴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복 패턴(P)의 선두열(9) 및 말미열(10)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외선 형광사(5)의 패턴 폭(P)에 대하여 예를 들면 인접 패턴의 말미열(10')과 패턴(P)의 선두열(9)과의 간격(12)을 통상 폭의 2배로 하고, 패턴(P)의 말미 전열(14)과 말미열(10)과의 간격(16)을 통상 폭의 1.5배로 한다. 간격(12, 16)은 통상 폭과 다르면 간격으로 임의로 정하면 좋다. 열 간격을 변경하는 대신에 선두열(9)에 2개의 자외선 형광사(17)[도 8(1)]를, 말미열(10)에 3개의 자외선 형광사를 넣어 짜도 좋고, 이 넣어 짜는 갯수는 임의로 정하면 좋다. 또 적외선 형광사(18)(도 8) 또는 특정 색의 자외선 형광사로 지정하여도 좋고, 이들지정방법을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복 패턴(P)이 선두열(9) 및 말미열(10)을 정하여 반복되는 경우에는 중복순열(nr)에 의하여 산출할 수 있다. 2종의 자외선 형광사(5)가 3열이면 23 = 8 패턴으로 너무 적고, 3종의 자외선 형광사(5)가 3열이면 33 = 27 패턴이기 때문에, 소규모의 라벨 제조업자이면 실용 가능하다. 선두열(9) 및 말미열(10)을 정하기 위하여 자외선 형광사(5)의 열 간격을 바꾸면, 패턴수를 늘리기 위하여 열 간격의 변경을 이용하는 것은 위치 확인이 혼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실제로는 4종의 자외선 형광사(5)가 4열이고 중복 반복되는 44 = 256 패턴 정도 이상이 바람직하고, 6종의 자외선 형광사(5)를 비중복으로 6열로 나열하면 순열(nPr)로 6 × 5 × 4 × 3 × 2 = 720 패턴이 된다(도 7 참조).
발광사(6)에 대하여 적외선 형광사(18)(도 8)를 가하거나, 또는 형광사(18)를 자외선 형광사의 1종 대신에 사용하여도 좋다. 형광사(18)에 이겨 넣는 무기형광체는 통상 여기파장 780 nm ∼ 1 mm의 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일시적으로 여기되어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초록, 빨강, 노랑, 파랑, 보라색 등의 가시광을 발광하고, 가시광이나 광원없이는 발광하지 않아 잔광성이 거의 없고, 장기간에 걸쳐 발광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 형광체는 결정체이면 특정한 불순물을 가함으로써 밝은 발광이 생기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불순물로서 무기질의 활력제 또는 증감제를 첨가하면 바람직하다. 이 형광체는 수지 원액에 첨가할 때에 안정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크롬이나 망간 등의 산화물이나 염에 의하여 표면 처리하여도 좋다.
적외선 형광사(18)에 이겨 넣는 형광체로서, 유로퓸계 화합물, 사마륨계 화합물, 황화아연계 화합물, 산화아연계 화합물, 규산아연계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LiAlO2 : Fe, (Zn·Cd) S : Cu, YVO4 : Nd 등을 혼합하여도 좋다. 이 형광체에 는, 적외선의 조사로 가시광을 발광하는 액형상의 유기화합물을 부착시키거나, 그 유기화합물을 첨가한 수지분말을 혼입하거나,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흡수하는 무기질 분말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형광체는 평균 입경이 2 ∼ 3 ㎛, 95%가 입경 7 ㎛ 이하이고, 방사 원액에 대하여 약 3 ∼ 10 중량% 첨가하면 바람직하다. 이때에 3 중량% 미만에서는 발광이 약해져 감지하기 어렵게 되고, 10 중량%를 넘으면비경제(낭비)적인데다가 방사작업에 악영향을 미치기 쉽다.
본 발명의 테이프(1)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논드럼식 또는 드럼식 정경기(20)에 있어서, 적어도 2종의 자외선 형광사(5) 및 통상의 무색실의 다수의 보빈(22)을 직물 설계에 따라 클레어(23) 위에 배치한다. 이들 다수개의 실(25)은 보빈(22)으로부터 인출되어 평행하게 나열되어 똑같은 장력을 주면서 스래셔빔(24) 또는 드럼에 감아들인다. 빔(24)은 워프빔(26)(도 10)과 대략 동등한 폭을 가지고, 그 빔으로부터 실을 인출하여 풀을 먹인 후에 워프빔(26)에 감아들인다. 도 9에 있어서 정경기(20)와 클레어(23) 사이에 풀먹임기(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정경을 하면서 풀을 먹여 직접 워프빔(26)에 감아들이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직기(28)의 전체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워프빔(26)은 예를 들면 레피어 직기인 고속의 광폭직기(28)의 뒤쪽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다. 직기(28)에 있어서 자외선 형광사(5) 및 통상의 무색실의 날실(30)은 워프빔(26)으로부터 백롤러(32), 복수개의 헬드(34) 및 레피어(36)를 거쳐 직기 앞(38)에 연결되어 있다. 날실(30)은 직교방향으로 배치한 무늬막대(40)로 상하에 나누고 나서, 각 날실마다 헬드(34)의 구멍을 통과한다. 각 헬드는 상하운동을 행하여 날실군을 상하로 개구시킴과 동시에, 레피어(36) 또는 셔틀에 의하여 씨실을 삽입한다. 씨실은 슬레이(도시 생략)에 의하여 직기 앞(38)까지 밀어 붙여 날실(30)과 직교시켜 광폭 직물(7)을 얻는다.
직성된 광폭 직물(7)은, 직기 앞(38)으로부터 가이드롤러(42)를 거쳐 복합롤(44)에 도달하여 상기 롤과 1쌍의 프레스롤(46, 46)을 통과한다. 직기(28)에 있어서 프레스롤(46, 46)의 앞쪽 또는 뒤쪽에 다수개의 핫나이프(48)를 비스듬하게 설치하여 통과하는 광폭 직물(7)을 테이프폭(W)으로 가열 절단한다. 얻어진 다수개의 테이프(1)는 그 형상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아이롱롤(50)을 통과시켜 크로스빔(52)에 감아들여진다. 또 광폭 직물(7)은, 크로스릴(52)에 감아 들인 후에 다른 가열 절단기로 다수개의 테이프(1)에 히트 커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광폭 직물(7)을 직성할 때에 적어도 2종의 자외선 형광사(5)을 특정한 색순으로 직물 폭 전체에 반복하여 넣어 짜고, 그 직물을 히트 커트에 의하여 다수개의 테이프(1)를 제조한다. 이 히트 커트에서는 테이프폭(W)(도 3)을 반복 패턴(P)(도 4, 도 7) 폭의 2배 이상으로 정할 뿐이고, 자외선 형광사(5)나 적외선 형광사(18)를 넣어 짤때에 특수한 작업공정이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프린트 라벨(2)이 어떠한 치수이더라도 소정의 테이프폭(W)이면 히트 커트 폭을 바꾸는 것만으로 동일한 광폭 직물(7)로부터 동시에 다수개 제조할 수 있다.
라벨 제조업자는, 고객인 봉제 메이커가 요구하는 프린트 라벨(2)의 치수가 다종 잡다하여도 기본적으로는 고객 1사에 대하여 1종의 광폭 직물(7)을 직성하면 좋다. 도 9에 나타내는 정경공정에서 자외선 형광사(5)를 통상의 무색실과 함께 똑같은 장력으로 스래셔빔(24)에 감아 들여 다수개의 실을 감아 들인 스래셔빔이나 드럼을 고객마다 관리·보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얻은 프린트 라벨(2)은, 적어도 2종의 자외선 형광사(5)를 넣어 짠 테이프(1)로 이루어지고 가시광하에서는 통상의 라벨에 지나지 않는다. 고객 자신이나 거래자가 백라이트(8)로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조사하면 발광사에 의한 고객 독자의 반복 패턴(P)을 식별할 수 있어 진정상품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프린트 라벨(2)에 있어서 자외선 형광사(5)와 적외선 형광사(18)는 주위의 통상 실과 동일한 데닐로 무색이기 때문에, 모방업자가 발광사를 넣어 짠 것을 아는 것은 어렵고, 가령 발광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어도 복수의 발광사에 의한 반복 패턴(P)을 인식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모방업자가 반복 패턴(P)을 프린트 라벨(2)에 넣어 짜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자외선 형광사(5)나 적외선 형광사(18)가 함유하는 무기의 형광체는, 유기 화합물의 형광체에 비하여 유독성이 적고, 내후성이나 인쇄성도 양호하다.
본 발명에 관한 테이프는 색실을 넣어 짠 직물 라벨용이 아니라, 세탁 표시 마크나 상표 등을 인쇄하기 위하여 가시광하에서 실질적으로 무색 무지이다. 본 발명의 테이프는 단순한 주자직인 것이 많고, 자외선이나 적외선 형광사를 테이프 폭 전체에 병렬형상으로 넣어 짜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테이프는 가시광을 조사하여도 무색이기 때문에 자외선 또는 적외선의 조사에 의하여 적색, 청색, 녹색 발광 등의 식별이 용이하여 특정한 반복 패턴을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로 제작한 프린트 라벨은, 자외선 형광사나 적외선 형광사가 넣어져 짜여 있어도 가시광하에서는 통상의 라벨과 완전히 동일하다. 상품의 진위에 의문이 생기면,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프린트 라벨에 조사하여 특정한 반복 패턴을 식별하여 진정상품인지의 여부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프린트 라벨은 육안으로 보는 것만으로는 자외선 형광사에 의한 특정한 반복 패턴을 알 수 없어, 유사상품의 제조업자가 동일 네임을 제조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 결과, 이 프린트 라벨을 꿰매어 고정한 의료품 등에 대하여 전문 거래업자라도 외관으로부터 식별할 수 없을 만큼 유사상품이 혹사하여도, 이 프린트 라벨에 의하여 그 유사상품을 조기에 또한 확실하게 적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테이프제조법은 광폭 직물을 직성할 때에 자외선 형광사 등을 특정한 색순으로 반복하여 넣어 짬으로써 그 색순마저 판별할 수 있는 테이프 폭 이상이면 동일한 광폭 직물로부터 다수개의 테이프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인 봉제 메이커가 요구하는 프린트 라벨의 치수가 다종 잡다하여도 라벨 제조업자는 고객 1사에 대하여 1종의 광폭 직물을 제조하는 것만으로 대처할 수 있어, 정경된 실을 감아 들인 빔이나 드럼을 고객마다 보존하면 된다. 라벨 제조업자는 잡다한 크기의 프린트 라벨을 요구하는 고객이 100사를 넘어도 각 고객 전용의 위조방지 라벨 인 프린트 라벨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고, 그 관리 및 보존도 아주 용이하다.
본 발명에 관한 테이프제조법은, 광폭 직물의 직성시에 자외선 형광사와 통상의 무색실을 넣어 짤 뿐이고, 이 넣어 짬에 있어서 특수한 설비나 부가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종래와 대략 동일한 설비로 위조방지용 프린트 라벨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라벨 제조업자는, 세탁 표시나 품질 표시를 인쇄가 끝난 라벨을 봉제 메이커에 납품하여도 백색 무지의 테이프를 고객에게 납품하고, 고객에 있어서 원하는 세탁 표시나 품질 표시를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라벨 제조업자는 프린트 라벨의 판매에 더하여 백테이프 판매량의 확대 및 판로확장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태양광이나 형광등 빛과 같은 가시광하에 있는 프린트라벨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프린트라벨을 백라이트로 조사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무색 테이프를 예시하는 부분평면도로서, 해당 테이프는 가시광하에 있어서, 발광사를 점선으로 그리고 있는 도,
도 4는 테이프에의 히트 커트 전의 광폭 직물을 예시하는 부분평면도로서, 해당 직물을 자외선으로 조사한 모양을 나타내는 도,
도 5는 자외선으로 조사한 모양의 광폭 직물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부분평면도,
도 6은 자외선으로 조사한 모양의 광폭 직물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부분평면도,
도 7은 자외선으로 조사한 모양의 광폭 직물의 제 4 예를 나타내는 부분평면도,
도 8 (1)과 (2)는 자외선과 적외선으로 조사한 모양의 광폭 직물의 제 5 예를 나타내는 부분평면도,
도 9는 자외선 형광사 및 무색실의 다수개의 보빈으로부터 스래셔빔에 감아 들이는 성기게 감는 정경기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10은 자외선 형광사 및 무색실을 감아 들인 워프빔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워프빔으로부터 광폭 직물을 직성한 직후에 다수개의 테이프로 히트 커트하는 직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2 : 프린트 라벨
3 : 테이프 본체 5 : 자외선 형광사
6 : 발광사 18 : 적외선 형광사
(실시예 1)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각 자외선 형광사(5)는 입경 4 ∼ 7 ㎛의 무기형광체를 폴리에스테르에 이겨 넣어 방사하여 필라멘트 12개를 연사하고, 그 섬도는 7.5 데닐이었다. 한편 무색실은 무형광 표백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24개를 연사하고, 그 섬도는 마찬가지로 7.5 데닐이었다.
무기형광체는 발색이 다른 6종으로서, 청색 발색체(화학조성, Sr4Al14O25 : Eu, Dy), 녹색 발색체(화학조성, SrAl2O4 : Eu, Dy), 적색 발색체(화학조성, Y2O2S : Eu, Y2O3 : Eu), 보라색 발색체(화학조성, CaAl2O4 : Eu, Nd), 오렌지색 발색체, 핑크색 발색체를 사용하였다. 이들 형광체는 백라이트(8)로 조사하면 소정의 색으로 발광하고, 잔광성이 거의 없어 통상의 태양광이나 형광등 빛의 조사에서는 발광하지 않는 성질을 가진다.
정경공정에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6종의 자외선 형광사(5) 및 백색 폴리에스테르사의 보빈(22)은, 직물 설계에 의거한 갯수, 순서, 폭, 밀도에 따라 논드럼식 정경기(20)의 클레어(23)에 배치하여 똑같은 장력을 주면서 스래셔빔(24)에 감아 들였다. 도시 생략하나, 다음에 풀먹임기에서 스래셔빔(24)으로부터 워프빔(26)(도 10)에 실을 되감았다. 워프빔(26)은 실 5000 m 권이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의 적색 발색의 형광사(5R), 녹색 발색의 형광사(5G), 오렌지색 발색의 형광사(5D), 청색 발색의 형광사(5B), 보라색 발색의 형광사(5M), 핑크색 발색의 형광사(5P)를 1.0 mm 피치로 비중복 6열로 배열하였다. 이때 인접 패턴의 말미열(10') 즉 형광사(5P)와 패턴(P)의 선두열(9), 즉 형광사(5R)와의 간격(12)을 2.0 mm 폭으로 하고, 패턴(P)의 말미 전열(14), 즉 형광사(5M)와 형광사(5P)와의 간격(16)을 1.5 mm 폭이 되도록 실을 배치하였다. 반복 패턴(P)의 폭은, 2.0 + 1.0 × 4 + 1.5 = 7.5 mm 이었다.
직성공정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레피어직기(28)에 있어서 상기 직기의 뒤쪽에 워프빔(26)(도 10)을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다. 빔(26)으로부터 인출한 날실(30)은 태핏장치(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날실의 개구운동을 행하고, 이 개구운동으로 생긴 북길에 무색의 폴리에스테르사를 레피어(36)에 의하여 씨실로서 삽입함으로써 날실의 들뜸이 많은 5매 주자직의 광폭 직물(7)을 직성하였다. 이 직성에 의하여 광폭 직물(7)은 7.5 mm 폭의 반복 패턴(P)을 가진다. 레피어직기(28)에는 다수개의 핫나이프(48)를 프레스롤(46, 46)의 뒤쪽에 설치하고, 약 200 cm 폭의 광폭 직물(7)을 직성하고 나서 즉시 테이프형상으로 재단하였다.
광폭 직물(7)의 띠형상 히트 커트에 의하여 그 광폭 직물로부터 테이프(1)를 다수개 동시에 제조할 수 있고, 이것을 각각 크로스릴(52)에 감아 들여 갔다. 테이프(1)에 대하여 프린트 라벨(2)의 방향에 관계없이 반복 패턴(P)을 식별할 수 있도록히트 커트 폭은 패턴(P)의 2배, 즉 15.0 mm가 최소 절단 간격이고,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동시에 13개 제조할 수 있다.
감아 들인 테이프(1)는 볼록판 인쇄기나 스크린인쇄기를 사용하여, 통상의 안료를 포함하는 검정색 잉크로 원하는 도안(M)이나 문자를 연속 인쇄하였다. 인쇄후의 테이프 본체(3)를 커트 앤드 홀드기의 커터부에서 길이 40 mm 마다 촌단하고, 계속해서 컨트 앤드 홀드기의 홀더부에 보내어 한 가운데에서 홀드하여 프레스함으로써 표시 마크마다 잘게 끊어낸 프린트 라벨(2)(도 1)을 형성하였다. 프린트 라벨(20)은 통상 의료퓸(C)의 뒤쪽 등에 꿰매어 고정하였다.
프린트 라벨(2)은 꿰매어 고정한 후에, 가시광의 밑에서는 자외선 형강사(5) 가 발생하지 않고 백지 그대로였다. 고객 자신이나 거래자가 블랙 라이트(8)로 자외선을 조사하면, 발광사에 의한 고객 독자의 반복 패턴(P)을 식별할 수 있어, 진정상품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프린트 라벨(2)에 있어서 자외선 형광사(5)는 주위의 보통실과 동일한 데닐로 백색이기 때문에 형광사(5)를 넣어 짜는 것은 어렵고, 가령 발광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더라도 복수의 발광사에 의한 반복 패턴(P)을 인식할 수 없었다.
테이프(1)는 히트 커트 폭이 15.0 mm 이상이면 반드시 반복 패턴(P)이 존재함으로써 히트 커트 폭을 바꾸는 것만으로 동일한 광폭 직물(7)로부터 다른 테이프 폭의 프린트 라벨(2)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라벨 제조업자는 실을 감아 들인 빔(24)을 고객마다 관리·보존하는 것만으로 된다. 테이프 본체(3)는 6종의 자외선 형광사(5)을 비중복으로 6열로 병렬시키기 때문에, 순열에 의하여 720 패턴이 됨으로써 봉제 메이커인 고객의 수가 100사를 넘는 경우에도 고객마다 독자의 위조방지 라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실시예 2)
5종의 자외선 형광사(5)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조하여 5종의 자외선 형광사(5)를 4열로 중복 반복시켜 테이프(1)를 제조하였다. 그 예가 도 8(1)과 (2)이다. 사용하는 5종의 형광사(5)는 적색 발색사(5R), 청색 발색사(5B), 녹색 발색사(5G), 보라색 발색사(5M), 오렌지색 발색사(5D)였다. 도 8(1)에서는 오렌지색 발색사(5D)를 사용하지 않고, 도 8(2)에서는 청색 발색사(5B)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
한편, 적외선 형광사(18)는 유로퓸계 화합물 및 황화아연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평균 입경 2 ∼ 3 ㎛의 무기형광체를 폴리에스테르에 이겨 넣어 방사하였다. 이어서 필라멘트 12개를 연사하면 섬도는 7.5 데닐이었다. 적외선 형광사(18)는 여기 파장 780 nm ∼ 1 mm의 적외선을 조사하면 녹색의 가시광을 발광하고, 통상의 태양광이나 광원없이는 발광하지 않는다.
정경공정에서 4종의 자외선 형광사(5), 적외선 형광사(18) 및 백색 폴리에스테르사의 보빈(22)(도 9)은 정경기(20)로 똑같은 장력을 주면서 스래셔빔(24)에 감아 들였다. 도 8(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선두열(9)에 2개의 자외선 형광사(17)로서 적색 발색사(5R, 5R)를 배치하고, 말미열(10)에 적외선 형광사(18)를 배치하였다. 또한 청색 발색사(5B), 녹색 발색사(5G), 보라색 발색사(5M)를 1.0 mm 피치로 중복 4열로 배열하고, 도 8에서는 반복 패턴(P)의 폭은 적외선 형광사(18)를 넣어 1.0 × 5 = 5.0 mm 이다. 풀먹임기에서 스래셔빔(24)으로부터 워프빔에 감아들였다.
직성공정에서는 워프빔(26)으로부터 인출한 날실(30)은 도비장치(도시 생략)를 사용하는 광폭직기(28)(도 11)에서 백색 폴리에스테르사를 씨실로서 삽입하여 날실의 들뜸이 많은 5매 주자직의 광폭 직물(7)을 직성하였다. 이 직성에 의하여 광폭 직물(7)은 5.0 mm 폭의 반복 패턴(P)을 가진다. 광폭직기(28)에는 다수개의 핫나이프(48)를 프레스롤(46)의 뒤쪽에 설치하고, 약 200 cm 폭의 광폭 직물(7)을 직성하고 나서 즉시 테이프형상으로 재단하였다.
광폭 직물(7)의 띠형상 히트커트에 의하여 그 광폭직물로부터 무색 테이 프(1)를 다수개 동시에 제조할 수 있었다. 테이프(1)에 대하여 히트 커트폭은 패턴 폭의 2배, 즉 10.0 mm가 최소 절단 간격이다. 감아 들인 테이프(1)는 볼록판 인쇄기나 스크린 인쇄기를 사용하여 통상의 안료를 함유하는 검정색 잉크로 원하는 도안이나 문자를 연속 인쇄하여 건조하였다. 인쇄후의 테이프를 커트 앤드 홀드기의 커터부에서 길이 30 mm마다 잘게 끊고, 계속해서 커트 앤드 홀더기의 홀더부로 보내어 한 가운데에서 홀드하여 프레스하였다.
얻은 프린트 라벨은, 재봉후에 있어서 태양광이나 형광등빛 아래에서는 각 자외선 형광사(5) 및 적외선 형광사(18)가 발색하지 않고 무지 그대로였다. 고객 자신이나 거래자가 백라이트(8)로 자외선을 조사하면, 형광사(5)에 의한 고객 독자의 반복 패턴(P)을 식별할 수 있고, 또한 적외선을 조사하면 녹색의 가시광을 발광하여 진정상품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 프린트라벨에 있어서, 자외선 형광사(5)를 넣어 짜는 것을 알고 반복 패턴(P)을 인식하는 것이 어려운 데다가, 적외선 형광사(18)를 넣어 짜는 것을 아는 것은 한층 더 곤란하였다.
히트 커트한 무색 테이프(1)는, 커트 폭이 10.0 mm 이상이면 반드시 반복 패턴(P)이 존재함으로써 커트 폭을 바꾸는 것만으로 동일한 광폭직물로부터 여러가지의 프린트라벨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무색 테이프는 5종의 자외선 형광사(5)를 중복으로 4열로 병렬시키기 때문에 중복 순열에 의하여 625 패턴이 됨으로써 봉제 메이커 인 고객의 수가 100사를 넘는 경우에도 고객마다 독자의 위조방지 라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Claims (10)

  1. 정보부여의 위조방지 라벨로서, 표면에 도안이나 문자를 인쇄한 후에 잘게 끊어 사용하는 프린트라벨 제작용 테이프에 있어서,
    가시광으로 조사하면 무색인 테이프 본체와, 상기 테이프 본체에 병렬형상으로 넣어 짠 발색이 다른 적어도 2종의 자외선 형광사를 가지고, 테이프 폭 전체에서 자외선 형광사가 특정한 색순으로 폭방향으로 2종으로 4열 이상, 3종으로 3열 이상, 4종 이상으로 2열 이상 반복함으로써, 자외선의 조사에 의하여 특정한 반복 패턴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라벨 제작용 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특정한 색순에 의한 자외선 형광사의 반복에서, 소정 폭의 자외선 형광사의 선두열 및 말미열을 규정하고, 자외선 형광사가 2종 이상이고 적어도 3열마다 폭방향으로 반복함으로써 자외선을 조사하여 선두열과 말미열로부터 특정한 반복 패턴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적외선 형광사를 자외선 형광사의 1종 대신에 병렬형상으로 넣어 짜고, 자외선과 함께 적외선을 조사하여 특정한 반복 패턴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적외선 형광사를 복수열의 자외선 형광사에 더하여 병렬형상으로 넣어 짜고, 자외선과 함께 적외선을 조사하여 특정한 반복 패턴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테이프의 직조직이 날실의 들뜸이 많은 주자직임으로써 라벨 겉측으로부터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조사하면 자외선 형광사의 색 또는 적외선 형광사의 존재를 확인하기 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6. 형광체를 이겨 넣어 방사한 발색이 다른 적어도 2종의 자외선 형광사를 사용하고, 정경에 의하여 자외선 형광사를 통상의 무색실과 함께 워프빔에 감아 들이고, 자외선 형광사를 특정한 색순으로 폭 방향으로 반복하여 배열하고 나서, 상기 자외선 형광사 및 무색실을 날실로서 광폭직기에서 직성하고, 이 때에 자외선 형광사가 특정한 색순으로 병렬형상으로 직물 전폭에 걸쳐 넣어 짜이고, 직성 후에 있어서 자외선 형광사의 색순을 식별할 수 있는 가로방향 간격보다도 넓은 테이프 폭으로 광폭 직물을 히트 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라벨 제작용 테이프의 제조법.
  7. 제 6항에 있어서,
    자외선 형광사를 특정한 색순으로 폭방향으로 반복하여 배열할 때에, 자외선 형광사의 소정 폭의 선두열 및 말미열을 규정하여 직성하고, 직성 후에 있어서 자외선 형광사의 선두열 및 말미열이 존재하는 가로방향 간격보다 넓은 테이프 폭으로 광폭 직물을 히트 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정경에 의하여 적외선 형광사를 자외선 형광사 및 통상의 무색실과 함께 워프빔에 감아 들이고, 상기 적외선 형광사, 자외선 형광사 및 합성섬유의 무색실을 날실로 하여 광폭직기에서 직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법.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광폭직기에서 도비장치 또는 태핏장치에 의하여 날실의 개구운동을 행하고, 상기 개구운동으로 생긴 북길에 합성섬유의 무색실을 씨실로서 삽입함으로써 날실의 들뜸이 많은 주자직의 광폭직물을 직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법.
  10.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날실 및 씨실인 무색실이, 무표백의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법.
KR1020067011778A 2004-07-28 2005-07-15 프린트 라벨 제작용 테이프와 테이프제조법 KR101194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19621 2004-07-28
JPJP-P-2004-00219621 2004-07-28
PCT/JP2005/013140 WO2006011381A1 (ja) 2004-07-28 2005-07-15 プリントラベル作製用テープとテープ製造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473A true KR20070039473A (ko) 2007-04-12
KR101194812B1 KR101194812B1 (ko) 2012-10-25

Family

ID=3578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778A KR101194812B1 (ko) 2004-07-28 2005-07-15 프린트 라벨 제작용 테이프와 테이프제조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20080308172A1 (ko)
EP (1) EP1873284B1 (ko)
JP (1) JP4597991B2 (ko)
KR (1) KR101194812B1 (ko)
CN (1) CN1898426B (ko)
DE (1) DE602005027494D1 (ko)
HK (1) HK1095617A1 (ko)
TW (1) TW200706396A (ko)
WO (1) WO20060113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546A1 (ko) * 2020-09-03 2022-03-10 한국조폐공사 보안성 및 식별성이 향상되는 보안직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6439B2 (ja) * 2005-09-30 2012-05-09 日本ダム株式会社 偽造防止の織ラベルおよび偽造防止の織編物の製造法
EP2155941B1 (en) * 2007-05-24 2012-09-05 Autoliv Development AB Fabric with woven markers
ITMO20110160A1 (it) * 2011-06-27 2012-12-28 Tecno Label S R L Supporto informativo.
US8827148B2 (en) * 2013-01-16 2014-09-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el shopping method
US9957648B2 (en) 2014-04-17 2018-05-01 Sinowide Trading Limited Woven information bearing devices
JP6382113B2 (ja) * 2015-01-05 2018-08-29 中川産業株式会社 偽造防止糸
MA41814A (fr) * 2015-03-24 2018-01-30 Coding Man S A Procédé de fabrication d'étiquette en tissu comprenant une information unique et un processus d'authentification respectif
CN104975408A (zh) * 2015-06-25 2015-10-14 张家港市华源染织有限公司 能够实现安全保护的防紫外面料
CN107034583A (zh) * 2016-02-03 2017-08-11 利勤实业股份有限公司 具有织物数据的提花织物
CN109074760A (zh) * 2016-03-21 2018-12-21 艾利丹尼森零售信息服务公司 模拟的软木服装标签和标志
CN106012194A (zh) * 2016-06-06 2016-10-12 石狮市诚新电脑织唛有限公司 一种隐形防伪布标的制作方法
DE102016123385A1 (de) * 2016-12-02 2018-06-07 Steger Fashion Group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kleidungsstückes und Bekleidungsstück
USD874157S1 (en) * 2017-04-06 2020-02-04 Radians, Inc. Shirt with reflective tape
CN107761400A (zh) * 2017-10-30 2018-03-06 平湖市燎原印刷厂 一种可印刷防伪织带
FR3078081B1 (fr) * 2018-02-22 2020-12-25 Satab Ruban textile conducteur
WO2019173472A1 (en) * 2018-03-06 2019-09-12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Label and related method
CN110539572B (zh) * 2018-05-28 2021-07-30 保定钞票纸业有限公司 具有机读性能和/或机读编码功能的防伪安全带及防伪纸
DE102018129267A1 (de) * 2018-11-21 2020-05-28 Trw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urtbandes für ein Sicherheitsgurtsystem in einem Fahrzeug, Gurtband sowie Fahrzeug mit Gurtband
US11247486B1 (en) * 2019-04-23 2022-02-15 CMSI Technologies Tag printer apparatus
JP7479869B2 (ja) * 2020-02-26 2024-05-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配管構造
DE102022002149B3 (de) 2022-06-01 2023-10-26 Yves-Simon Gloy Datenseite mit einer textilen Lasche für Reisepäss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40242A1 (de) * 1973-08-09 1975-02-20 Stang Hans Peter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textilen etikettenbaendern
JPS5199143A (ko) * 1975-02-27 1976-09-01 Baba Sangyo Kikai
US4407767A (en) * 1979-10-31 1983-10-04 Monsanto Company Drawing and beaming a weftless warp of yarns
US4364157A (en) * 1980-11-20 1982-12-21 Cutts William H Method for applying sizing to warp yarns
US4641404A (en) * 1981-10-05 1987-02-10 Seydel Scott O Porous warp sizing apparatus
FR2566440B1 (fr) * 1984-06-22 1988-07-22 Jalon Michel Fibres de securite et autres matieres rendues luminescentes par un procede de teinture, leurs procedes de realisation et leurs applications
US5854148A (en) * 1991-08-12 1998-12-29 Toray Industries, Inc. Optically readable mark recorded cloth and a production process thereof
JPH0792911A (ja) * 1992-12-17 1995-04-07 Satake:Kk 識別体および識別方法
EP0621574A1 (en) * 1993-04-19 1994-10-26 Nakamura Label Co. Ltd. Forgery-preventing textured or printed emblem
JP2547100Y2 (ja) * 1993-12-24 1997-09-03 世志弘 木村 真正商品確認用の織ラベル
US5824393A (en) * 1995-10-26 1998-10-20 Nakamura Label Inc. Forgery-preventing textured emblem
US6068895A (en) * 1997-08-27 2000-05-30 Nippon Dom Co., Ltd. Woven security label
US5941572A (en) * 1997-09-12 1999-08-24 Nocopi Technologies, Inc. Method for authenticating a textile product and a thread and a woven label usable therewith
DE19753118C2 (de) * 1997-11-29 2001-03-08 Rinke Etiketten Karl Rinke Gmb Gewebtes Band, insbesondere Etikettband,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BR9917332B1 (pt) * 1999-05-29 2009-01-13 etiqueta e processo para sua fabricaÇço.
GB9922025D0 (en) * 1999-09-18 1999-11-17 Cash Ltd J & J Woven fabric
JP4408189B2 (ja) 2001-11-21 2010-02-03 日本ダム株式会社 偽造防止用テープとその製造法
JP3808351B2 (ja) * 2001-11-21 2006-08-09 Ykk株式会社 ファスナー
JP3649286B2 (ja) * 2002-03-08 2005-05-18 村田機械株式会社 多品種小ロット織物の織成システム
JP2004170837A (ja) 2002-11-22 2004-06-17 Uubunnakku Kk 真贋判定用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546A1 (ko) * 2020-09-03 2022-03-10 한국조폐공사 보안성 및 식별성이 향상되는 보안직물
KR20220030620A (ko) * 2020-09-03 2022-03-11 한국조폐공사 보안성 및 식별성이 향상되는 보안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97991B2 (ja) 2010-12-15
US20080308172A1 (en) 2008-12-18
US9347155B2 (en) 2016-05-24
CN1898426B (zh) 2012-06-13
EP1873284A1 (en) 2008-01-02
JPWO2006011381A1 (ja) 2008-05-01
WO2006011381A1 (ja) 2006-02-02
US20110135854A1 (en) 2011-06-09
EP1873284A4 (en) 2008-01-02
TW200706396A (en) 2007-02-16
KR101194812B1 (ko) 2012-10-25
US20140033488A1 (en) 2014-02-06
EP1873284B1 (en) 2011-04-13
DE602005027494D1 (de) 2011-05-26
CN1898426A (zh) 2007-01-17
HK1095617A1 (en) 200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812B1 (ko) 프린트 라벨 제작용 테이프와 테이프제조법
JP4926439B2 (ja) 偽造防止の織ラベルおよび偽造防止の織編物の製造法
US6068895A (en) Woven security label
EP1903144A1 (en) Thread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forgery preventing form using thread, and forgery preventing printed matter, and forgery judging method using them
JP4408189B2 (ja) 偽造防止用テープとその製造法
JP2008181447A (ja) 励起発色のカラーコードとその解読方法
EP1314371B1 (en) Fastener
CN211036401U (zh) 一种制品及生产用于鉴别数控染色工艺的人工制品的系统
JPH0792911A (ja) 識別体および識別方法
JP2986714B2 (ja) 織ラベルの製造法
CN115667603A (zh) 防伪性和识别性提高的防伪织物
JPH08328474A (ja) 多層の織ラベル
JP2001211913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KR100904904B1 (ko) 위조방지용 라벨 및 그 제조 방법
JP3811216B2 (ja) 偽造防止の紙ラベル
JP2013170325A (ja) ラベル織物
KR100346056B1 (ko) 형광 색사의 제조 방법
KR102443175B1 (ko) 보안성 및 식별성이 향상되는 보안 물품
JP3400982B2 (ja) 偽造防止テープとその製造方法
JP3051882B2 (ja) 偽造防止織ネーム
RU104185U1 (ru) Ткань техническая с защитой от подделки (варианты)
JPH09160497A (ja) 偽造防止ラベル
JP2005226165A (ja) Icタグを取付けた織物
KR950011456B1 (ko) 위조방지용종이 및 그 제조방법
JPH07239655A (ja) 真正商品確認用の織ラ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