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7836A -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7836A
KR20070037836A KR1020050092910A KR20050092910A KR20070037836A KR 20070037836 A KR20070037836 A KR 20070037836A KR 1020050092910 A KR1020050092910 A KR 1020050092910A KR 20050092910 A KR20050092910 A KR 20050092910A KR 20070037836 A KR20070037836 A KR 20070037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english
block
word card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김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현 filed Critical 김승현
Priority to KR102005009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7836A/ko
Publication of KR20070037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02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0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magn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드게임 교구 특히 블록기둥을 이용한 게임진행을 통해 사용자가 텍스트북의 품사별로 구별된 문장을 전체적으로 인식하고, 상기 문장의 각각의 구성단어를 단어카드를 통해 그 의미와 품사를 개별적으로 인식하며 상기 단어카드를 안치대에 배열함에 의해 인식된 단어가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법칙을 인식하게 되므로서 자연스럽게 영어학습을 할 수 있는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구성은 영어학습을 위한 교구에 있어서, 다수의 군을 이루며 각각의 군마다 색상이 달리 구성된 다수의 블록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블록기둥과;
일정 story가 구성된 영어책으로서 각각의 페이지에 있어서 선택된 문장에 있어 품사별로 색상이 구별되도록 구성된 텍스트북과;
상기 선택된 문장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어가 전면에 기재되며 상기 선택된 문장에서 품사별로 구별된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구성된 다수의 단어카드와;
상기 단어카드를 안치할 수 있는 안치대로 구성된다.
블록기둥, 블록, 텍스트북, 단어카드, 안치대

Description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및 그 사용방법{BOARD GAME FOR ENGLISH STUDY AND METHOD FOR USE I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어단어 학습판.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블록기둥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텍스트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단어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단어카드의 일실시예로서 단어카드 후면에 자석을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안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블록 200 : 블록기둥
300 : 텍스트북 400 : 단어카드
500 : 안치대
본 발명은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드게임 교구 특히 블록기둥을 이용한 게임진행을 통해 사용자가 텍스트북의 품사별로 구별된 문장을 전체적으로 인식하고, 상기 문장의 각각의 구성단어를 단어카드를 통해 그 의미와 품사를 개별적으로 인식하며, 상기 단어카드를 안치대에 배열함에 의해 인식된 단어가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법칙을 인식하게 되므로서 자연스럽게 영어학습을 할 수 있는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어학습방법은 단어 또는 문장을 반복학습을 통해 암기식으로 학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영어 학습방법은 단순한 암기를 위해 많은 시간과 노고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단순 암기식의 학습법은 영어공부를 막 시작하려는 유아 및 저학년에 있어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단순 암기식의 영어학습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가지 도구를 사용하는 영어학습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영어단어 학습판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은 대 한민국 특허 제10-0297950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영어단어 학습판의 구성도로서 영어단어 학습판은 출발블록과 다수개의 진행블록과 종착블록과 해석란으로 구성된다. 다수개의 진행블록은 소정크기를 갖는 박스형상으로서 내측상부에는 각기 부여된 영문자 또는 영어단어와 일련번호가 기재되고, 내측 하부에는 상기 출발블록의 선택란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선택란을 갖고 상기 학습판의 소정위치에 상기 일련번호순으로 배열, 인쇄되어 말의 진행과정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영어단어 학습판을 이용하면 먼저 각 팀의 말을 출발블록상에 배치시킨후 순번에 따라 각각이 차례로 주사위를 던지고 주사위에 의해 나온 숫자를 상기 출발블록의 선택란에서 찾아 그 내용을 읽고 다수개의 진행블록 중에서 상기의 내용에 해당되는 영문자 또는 영어단어를 갖는 것을 찾아 해당되는 진행블록 상에 각 팀의 말을 배치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은 놀이 시작전, 놀이중 및 놀이후에 상기 해석란을 통하여 놀이에 나오는 영문자 또는 영어단어를 예습,복습 및 확인하도록 하여 영문자 및 영어단어를 반복적으로 암기시킴과 동시에 플레이어간의 상호 경쟁심 유발로 인해 집중력을 향상시킴으로서 짧은 시간내에 영문자 및 영어단어를 확실히 습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기억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학습판은 학습대상에 따라 진행블록에 기재되는 단어의 수준을 조절함으로서 유아 및 어린이는 물론 중고생들의 영어단어 학습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영어단어 학습방법은 게임에 의해 단지 영문 자 및 영어단어를 암기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암기된 단어를 문장속에서 활용하는 응용력 즉 각각의 단어가 문장에서 어떤 품사로서 사용되는가를 익히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기둥을 통한 게임진행방식을 통해 텍스트북에 품사별로 구분된 문장을 먼저 전체로서 인식할 수 있으며, 단어카드를 통해 상기 문장의 각각의 구성단어의 뜻과 품사를 나누어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단어카드를 안치대에 안치하는 과정을 통해 개별적으로 그 뜻과 품사를 인식한 단어가 문장을 구성해 나가는 영어문장 구성법칙을 자연스럽게 인식할 수 있게 되어 반복적인 영어학습이 가능하게 되는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다수의 군을 이루며 각각의 군마다 색상이 달리 구성된 다수의 블록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블록기둥과;
일정 story가 구성된 영어책으로서 각각의 페이지에 있어서 선택된 문장에 있어 품사별로 색상이 구별되도록 구성된 텍스트북과;
상기 선택된 문장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어가 기재되며 상기 선택된 문장에서 품사별로 구별된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구성된 다수의 단어카드와;
상기 단어카드를 안치할 수 있는 안치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및 그 사용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 도 2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어단어 학습판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블록기둥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텍스트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단어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단어카드의 일실시예로서 단어카드 후면에 자석을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안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우선 텍스트북(300)에 중요문장 중 1개를 선택하고, 다수의 자가 선택된 문장에 해당하는 단어카드를 선택하여 안치대에 안치한 후 블록기둥에서 상기 단어카드에 해당하는 색상의 블록 중 임의의 블록을 빼내어 상기 블록기둥의 최상부에 안치하는 방식을 순번대로 반복하면서 블록기둥이 무너질때까지 게임을 진행하여 패자를 결정하는 방식의 게임을 진행하는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게임자는 선택한 문장에서 해당 단어, 해당 단어가 기재된 단어카드가 품사별로 색상을 달리하고, 상기 해당 단어에 대응하는 블록기둥의 블록도 동일한 색상으로 구별됨에 따라 게임을 진행함에 있어 문장을 형성하는 품사를 자연스럽게 인식하게 되므로 단어를 인식함은 물론 상기 단어가 문장에서 어떤 품사로 사용되는 지를 인식하게 됨으로서 영어문장의 형태론적인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궁극적으로 영어문장의 형태론적인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블록기둥(200)은 다수의 블록(100)의 적층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블록(100)을 육면체로 구성하여 하부에 블록(100)들을 옆면(110)이 맞닿도록 안치하며,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은 각각의 블록의 옆면(110)이 맞닿도록 안치하는데 하부에 적층되는 블록들과 90도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적층하며, 상기와 같은 방식을 반복하여 해당 높이 만큼 적층하여 육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블록(100)의 면으로서 각각의 블록이 측면으로 접하는 옆면(110) 및 각각의 블록이 상,하부로 접하는 상,하면(120)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하여 게임진행시 상기 블록기둥(200)에서 임의의 블록(100)이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상기 블록(100)은 이하에서 설명될 텍스트북(300)의 중요문장(310) 중 단어, 그 단어가 기재된 단어카드(400)의 품사와 대응하도록 군을 형성하여 각각의 군마다 다른 색상으로 구성되는데, 예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색상은 도시되지 않음.) 주어군에 대응하는 블록들은 빨간색, 동사군에 대응하는 블록들은 오렌지 색, 목적어군에 해당하는 블록들은 노란색, 형용사군에 해당하는 블록들은 녹색, 부사군에 해당하는 블록들은 파란색으로 구성하여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블록을 색상의 구분 없이 섞어서 적층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각의 군의 블록을 구별하여 적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블록(100)들을 대응하는 품사(군)에 따라 색상을 달리 구성함으로서 이하에서 설명할 사용자가 게임진행 중 자기 차례에서 선택해야할 단어카드(400)의 색상, 즉 단어카드(400)에 기재된 단어가 속한 품사(군)에 따라 달리 채색된 색상에 따라 블록기둥(200)에서 도출해야할 블록(100)이 한정되는 것이며, 상기 단어카드(400)에 기재된 단어의 품사를 색상으로 인식함에 더해 동일한 색상의 블록(100)을 블록기둥(200)으로부터 도출함으로서 상기 단어가 속한 군(품사)를 한번 더 재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텍스트북(300)은 일정 story가 기재된 것으로 각각의 페이지마다 중요 문장(310)이 선택되어 표시되는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중요문장(310)에 순번을 부여하고, 상기 각각의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에는 여백 또는 글자자체를 색상을 구분하여 표기 한다. 그 예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색상은 도시되지 않음.) 주어군에 대응하는 "Snow White"와 같은 단어들은 빨간색, 동사군에 대응하는 "eat"와 같은 단어들은 오렌지색, 목적어군에 해당하는 "The apple"과 같은 단어들은 노란색으로 구성하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형용사군에 해당하는 단어들은 녹색, 부사군에 해당하는 단어들은 파란색으로 구성하여 사용자는 게임진행에 있어 텍스트북(300)의 중요문장(310)을 통해 각각의 단어가 속한 군(품사)에 따라 형태론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상기 다수의 단어카드(400)는 상기 텍스트북(300)에서 선택된 중요문장(310)을 구성하는 단어가 전면에 표기되고 그 여백에는 상기 단어의 뜻을 인지할 수 있는 그림(410)이 도시되어 사용자는 상기 단어의 뜻을 상기 그림(410)에 의해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어카드(400)는 표기된 단어가 해당하는 군에 따라 단어카드(400)의 색상을 달리 구성하는데, 그 예로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색상은 도시되지 않음.) 주어군에 대응하는 "Snow White"와 같은 단어가 기재된 단어카드들은 빨간색, 동사군에 대응하는 "eat"와 같은 단어가 기재된 단어카드들은 오렌지색, 목적어군에 해당하는 "The apple"과 같은 단어가 기재된 단어카드들은 노란색,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형용사군에 해당하는 단어가 기재된 단어카드들은 녹색, 부사군에 해당하는 단어가 기재된 단어카드들은 파란색으로 구성하여 단어카드(400)를 통해 사용자는 게임진행 중 텍스트북(300)에 의해 품사별로 구분된 중요문장(310)을 먼저 인식하고, 그 다음 단어카드(400)에 기재된 단어의 뜻 과 그 색상으로 인해 그 단어가 텍스트북(300)의 중요문장(310)에서 어떤 품사로 사용되는 가를 다시 한번 자연스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안치대(50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카드(400)를 배열하는 것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순번에 따라 차례대로 단어카드(400)를 배열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는 게임진행 중 문장이 품사별로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인식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단어카드(400)의 배열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안치대(500)를 스틸재로 구성하고,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어카드(400)의 후면에 자석(420)을 부착하여 상기 단어카드(400)가 상기 안치대(500)에 고정이 용이하고 상기 안치대(500)에서 상기 단어카드(400)의 착탈을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상기 구성들에 의해 게임진행 중 텍스트북(300)에 품사별로 구분된 중요문장(310)을 먼저 전체로서 인식하고, 상기 단어카드(400)를 통해 상기 중요문장(310)의 각각의 구성단어의 뜻과 품사를 나누어서 인식하게 되며, 상기 단어카드(400)를 안치대(500)에 안치하는 과정을 통해 나누어서 그 뜻과 품사를 인식한 단어가 문장을 구성해 나가는 것을 자연스럽게 인식하게 되어 반복적인 영어학습이 가능하게 되며, 반복학습의 지루함을 상기 블록기둥(200)을 이용한 게임형식으로 진행함으로서 효율적인 영어학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수의 사용자가 순번을 정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것으로 첫 번째 순번의 사용자가 텍스트북(300)의 일정페이지에서 순번에 의해 매겨진 중요문장(310)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 경우 상기 텍스트북(300)의 일정페이지는 첫페이지부터 진행하여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함에 의해 상기 텍스트북(300)의 story를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렇게 텍스트북(300)의 story를 인식함에 따라 각각의 중요문장(310)에서 그 구성단어를 게임진행 중에 인식함은 물론 상기와 같은 인식된 story 속에서 그 구성단어들을 재인식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학습방법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첫 번째 순번의 자가 선택한 중요문장(310)이 "Snow White eat the apple."이라면 상기 문장은 각각 단어가 속하는 군(품사)별로 상이한 색상으로 구분될 것이며, 주어군에 속하는 "Snow White"는 빨간색으로 구성되고, 동사군에 속하는 "eat"는 오렌지색으로 구성되고, 목적어군에 속하는 "the apple"은 노란색으로 구성되어 사용자들은 각각의 단어가 속한 군(품사)를 문장 전체로서 인식하게 된다.
중요문장(310)을 선택한 자는 그 문장의 첫 단어 주어군인 "Snow White" 가 기재되어 있는 단어카드(400)를 찾아내어 안치대(500)에 배열한 후 블록기둥(200)에서 주어군에 해당하는 블록(100)들 즉 빨간색으로 채색된 블록(100)들 중에서 임의의 블록(100)을 도출하여 최상부에 적층한다. 상기에서 "Snow White" 가 기재되어 있는 단어카드(400) 역시 빨간색으로 구성되어 사용자들은 상기 단어가 주어군에 속하는 단어임과 단어카드(400)의 여백에 그려진 백설공주 그림(410)을 통해 상기 단어가 백설공주를 의미하는 것임을 인식하게 된다.
다음 순번에 해당하는 자는 그 문장의 두 번째 단어 동사군인 "eat"가 기재되어 있는 단어카드(400)를 찾아내어 안치대(500)에 상기 "Snow White" 가 기재되어 있는 단어카드(400) 다음에 문장순서에 맞게 배열한 후 블록기둥(200)에서 동사군에 해당하는 블록(100)들 즉 오렌지색으로 채색된 블록들 중에서 임의의 블록(100)을 도출하여 최상부에 적층한다.
상기에서 "eat" 가 기재되어 있는 단어카드(400) 역시 오렌지색으로 구성되어 사용자들은 상기 단어가 주어군에 속하는 단어임과 단어카드(400)의 여백에 그려진 "먹는다"를 인식할 수 있는 그림(410)을 통해 상기 단어가 "먹는다"를 의미하 는 것임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안치대(500)에 "eat"가 기재되어 있는 단어카드(400)를 이미 배열되어 있는 "Snow White" 가 기재되어 있는 단어카드(400) 다음에 배열함에 의해 색상에 의한 품사 인식에 더하여 주어군 다음에 동사군이 배열되는 영어문장 구성법칙을 인식하게 된다.
그 다음 순번에 해당하는 자는 그 문장의 세 번째 단어 목적어군인 "the apple"이 기재되어 있는 단어카드(400)를 찾아내어 안치대(500)에 상기 "eat"가 기재되어 있는 단어카드(400) 다음에 문장순서에 맞게 배열한 후 블록기둥(200)에서 목적어군에 해당하는 블록(100)들 즉 노란색으로 채색된 블록(100)들 중에서 임의의 블록(100)을 도출하여 최상부에 적층한다. 상기에서 "the apple"이 기재되어 있는 단어카드(400) 역시 노란색으로 구성되어 사용자들은 상기 단어가 목적어군에 속하는 단어임과 단어카드(400)의 여백에 그려진 "사과" 그림(410)을 통해 상기 단어가 사과를 의미하는 것임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안치대(500)에 "the apple"이 기재되어 있는 단어카드(400)를 이미 배열되어 있는 "eat"가 기재되어 있는 단어카드(400) 다음에 배열함에 의해 색상에 의한 품사 인식에 더하여 동사군 다음에 목적어군이 배열되는 영어문장 구성법칙을 인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한문장이 끝나면 다음 순번의 자는 다른 중요문장(310)을 선택하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차례대로 게임을 진행해 나감에 있어 해당 단어에 대응하는 블록(100)을 도출 했을때 상기 블록기둥(200)이 무너지는 경우 그 블록(100)을 도출한 자가 패자로 정해지는 방법으로 게임을 진행한다. 이 경우 선택할 중요문장(310)에 구성되는 단어의 수와 게임을 진행하는 자의 수를 고려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문장을 선택하는 것도 본 발명을 이용한 게임의 묘미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의 사용방법은 우선 텍스트북에서 중요문장을 선택하는 단계(S1)를 갖는다. 순번에 의해 정해진 첫번째 사용자가 텍스트북의 일정 페이지에서 순번에 의해 선택되어진 중요문장 중에서 임의의 문장을 선택하는 것이다.
선택된 중요문장의 구성단어에 해당하는 단어카드를 찾아내는 단계(S2)를 갖는다. 상기 첫 번째 사용자는 상기 S1단계에서 선택된 중요문장 중 첫 번째 단어에 해당하는 단어카드를 찾아내는 것이다.
상기 S2단계에서 찾아낸 단어카드를 안치대에 배열하는 단계(S3)를 갖는다. 첫 번째 사용자는 상기 S2단계에서 찾아낸 단어카드를 안치대에 배열하는 것이다. 블록기둥에서 상기 단어카드에 기재된 단어에 대응하는 블록들 중 임의의 블록을 도출하는 단계(S4)를 갖는다. 상기 단어카드에 기재된 단어에 대응하는 블록, 즉 상기 단어카드와 동일한 색상으로 채색된 블록 중 임의의 블록을 도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S1, S2, S3, S4단계를 블록기둥이 무너질 때까지 반복하여 패자를 가려내는 단계(S5)를 갖는다. 정해진 순번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가 상기 상기 S1, S2, S3, S4단계를 반복하며, 반복 중 상기 S4단계에서 블록기둥이 무너지면 패자가 결정되어 본 발명의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를 사용한 게임이 종료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해 텍스트북에 품사별로 구분된 중요문장을 먼저 전체로서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단어카드를 통해 상기 중요문장의 각각의 구성단어의 뜻과 품사를 나누어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단어카드를 안치대에 안치하는 과정을 통해 개별적으로 그 뜻과 품사를 인식한 단어가 문장을 구성해 나가는 영어문장 구성법칙을 자연스럽게 인식할 수 있게 되어 반복적인 영어학습이 가능하게 되며, 반복학습의 지루함을 상기 블록기둥을 이용한 게임형식으로 진행함으로서 효율적인 영어학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영어학습을 위한 교구에 있어서,
    다수의 군을 이루며 각각의 군마다 색상이 달리 구성된 다수의 블록(100)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블록기둥(200)과;
    일정 story가 구성된 영어책으로서 각각의 페이지에 있어서 다수의 중요문장(310)이 품사별로 색상이 구별되도록 구성된 텍스트북(300)과;
    상기 중요문장(310)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어가 전면에 기재되며 상기 중요문장(310)에서 품사별로 구별된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구성된 다수의 단어카드(400)와;
    상기 단어카드(400)를 안치할 수 있는 안치대(5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용 보드게임교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0)은 상기 블록(100)의 적층에 의해 형성되는 블록기둥(200)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며, 형성된 블록기둥(200)에서 임의의 블록(100)을 용이하게 도출하기 위해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카드(400) 후면에 자석(420)이 부착되고, 상기 안치대(500)는 스틸판으로 구성함으로서 상기 단어카드(400)를 용이하게 상기 안치대(500)에 탈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카드(400)에는 기재된 단어의 여백에 상기 단어의 뜻을 직감할 수 있는 그림(410)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5. 영어학습용 교구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텍스트북에서 중요문장을 선택하는 단계(S1)와; 선택된 중요문장의 구성단어에 해당하는 단어카드를 찾아내는 단계(S2)와; 상기 찾아낸 단어카드를 안치대에 배열하는 단계(S3)와; 블록기둥에서 상기 단어카드에 기재된 단어에 대응하는 블록들 중 임의의 블록을 도출하는 단계(S4)와; 상기 S1, S2, S3, S4단계를 블록기둥이 무너질때까지 반복하여 패자를 가려내는 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의 사용방법.
KR1020050092910A 2005-10-04 2005-10-04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및 그 사용방법 KR20070037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910A KR20070037836A (ko) 2005-10-04 2005-10-04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910A KR20070037836A (ko) 2005-10-04 2005-10-04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및 그 사용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300U Division KR200404118Y1 (ko) 2005-10-04 2005-10-04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836A true KR20070037836A (ko) 2007-04-09

Family

ID=3815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910A KR20070037836A (ko) 2005-10-04 2005-10-04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78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456B1 (ko) * 2009-06-15 2010-03-29 주식회사 오디웍스 아동용 외국어 학습 교구
KR20190031948A (ko) 2017-09-19 2019-03-27 정희운 완구류를 활용한 회화 학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456B1 (ko) * 2009-06-15 2010-03-29 주식회사 오디웍스 아동용 외국어 학습 교구
WO2010147253A1 (ko) * 2009-06-15 2010-12-23 주식회사 오디웍스 아동용 외국어 학습 교구
KR20190031948A (ko) 2017-09-19 2019-03-27 정희운 완구류를 활용한 회화 학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2553A (en) Matrix category game
US5275567A (en) Toy building blocks for teaching braille
US4934711A (en) Word and category game
US5743740A (en) Educational word and letter game and method of playing
US5566942A (en) Crossword puzzle game and method of generating the same
US5306153A (en) Educational device for developing vocabulary and spelling skills
US6786729B2 (en) Cognitive matching skill learning aid and related methods
US6910893B2 (en) Card game for learning
US5199714A (en) Method of playing a word solitaire card game
US50547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lay of a matching game
US6702288B1 (en) Color game
US5288068A (en) Word game system
EP2445459B1 (en) Game kit
KR20070037860A (ko)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KR200404118Y1 (ko)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US3721020A (en) Educational device
KR20110110378A (ko) 언어 학습 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
KR20070037836A (ko)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및 그 사용방법
KR102087711B1 (ko) 언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세트 및 이를 이용한 언어학습방법
US5722834A (en) Method of playing a learning tree board game
US20170128823A1 (en) Multilevel educational alphabet corresponding numbers word game
JP6489395B2 (ja) パズルゲームセット
KR100297950B1 (ko) 영어단어 학습방법 및 그 학습판
US4082279A (en) Phonemic word game method
JP3014559U (ja) 暗記用学習ゲーム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