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948A - 완구류를 활용한 회화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완구류를 활용한 회화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948A
KR20190031948A KR1020170120263A KR20170120263A KR20190031948A KR 20190031948 A KR20190031948 A KR 20190031948A KR 1020170120263 A KR1020170120263 A KR 1020170120263A KR 20170120263 A KR20170120263 A KR 20170120263A KR 20190031948 A KR20190031948 A KR 20190031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s
information
language
chil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운
Original Assignee
정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운 filed Critical 정희운
Priority to KR1020170120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1948A/ko
Publication of KR20190031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94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완구류를 활용하여 주로 미취학 유아를 대상으로 언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완구류를 이용한 의성어를 통한 어학 학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완구류를 활용한 회화 학습 방법{Method Of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본 발명은 완구류를 이용한 의성어를 통한 회화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완구류를 활용하여 주로 미취학 유아를 대상으로 언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완구류를 이용한 의성어를 통한 회화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가 한글을 깨우치기 위해서는 우선 글자와 친숙해져 만 하는데, 보통의 경우에는 말을 먼저 배우고 나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익힌 후에 단어나 문장을 읽고 쓰는 것을 반복하면서 한글을 익히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어학원은 영어와 같은 언어를 학습함에서 읽기와 쓰기를 회화와 함께 주입식으로 교육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특히 미취학 유아에게는 그다지 효과가 없는 것이 사실이다. 왜냐하면 미취학 아동의 경우에는 흥미를 유발하는 방식이 아니면 실질적인 습득이 어렵기 때문이다. 더욱이, 우리가 우리말, 즉 회화를 배울 때 읽기와 쓰기가 되어야만 가능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아기에 회화에 앞서 또는 동시에 읽기와 쓰기를 교육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결국, 이러한 어학 습득 방법은 영아 및 유아에게 매우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의욕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의미 없는 글자들을 그대로 암기하도록 강요하는 것은 유아의 두뇌발달에 어떠한 효과로 작용할지 의심스러웠던 것이 사실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도록 주로 미취학 아동에 대한 회화 습득 방법에 대한 기술적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03783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미취학 아동의 회화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흥미를 최대한 유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 완구류를 활용한 회화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완구류를 활용한 회화 학습 방법은,
미취학 아동의 언어를 습득하기 위한 어학 방법으로써,
(a) 미취학 아동에 대한 교육용 완구류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완구류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습득하고 상기 아동과 함께 공유하는 단계; 및
(c) 상기 정보를 통하여 완구류를 설명하고 대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a) 내지 (c) 단계 중 어느 하나 단계 이후에 외국어의 의성어 및 의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상기 미취학 아동의 주위를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완구류에 대한 정보는 단말기를 통하여 QR 코드 또는 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a) 내지 (d) 단계를 데이터로 전송하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 3 단말기와 공유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는 문자,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구류를 활용한 회화 학습 방법은 미취학 아동의 회화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흥미를 최대한 유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완구류를 활용한 회화 학습 방법은 교육 과정에서 의성어를 활용하여 성인에 비해 집중력이 낮은 유아의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고 실질적으로 현지에서가 아니면 습득하기 어려운 의성어를 활용함으로써, 효율적인 흥미 유발을 통한 회화를 습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가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취학 아동의 언어를 습득하기 위한 어학 방법으로써,
(a) 미취학 아동에 대한 교육용 완구류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완구류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습득하고 상기 아동과 함께 공유하는 단계; 및
(c) 상기 정보를 통하여 완구류를 설명하고 대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아동, 특히 미취학 아동의 집중력을 최대한 높이기 위하여, 개별 아동의 취향을 분석하여 맞춤형 완구류를 이용한 언어 학습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언어 습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아동의 집중력을 유지하거나 주위를 환기를 위하여 언어의 의성어 및 의태어를 활용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해 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미취학 아동의 언어를 습득하기 위한 어학 방법으로써,
    (a) 미취학 아동에 대한 교육용 완구류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완구류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습득하고 상기 아동과 함께 공유하는 단계; 및
    (c) 상기 정보를 통하여 완구류를 설명하고 대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완구류를 활용한 어학 학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내지 (c) 단계 중 어느 하나 단계 이후에 외국어의 의성어 및 의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상기 미취학 아동의 주위를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류를 활용한 어학 학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류에 대한 정보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기를 통하여 QR 코드 또는 앱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류를 활용한 어학 학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a) 내지 (d) 단계를 데이터로 전송하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 3 단말기와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류를 활용한 어학 학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문자,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류를 활용한 어학 학습 방법.
KR1020170120263A 2017-09-19 2017-09-19 완구류를 활용한 회화 학습 방법 KR20190031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263A KR20190031948A (ko) 2017-09-19 2017-09-19 완구류를 활용한 회화 학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263A KR20190031948A (ko) 2017-09-19 2017-09-19 완구류를 활용한 회화 학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948A true KR20190031948A (ko) 2019-03-27

Family

ID=6590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263A KR20190031948A (ko) 2017-09-19 2017-09-19 완구류를 활용한 회화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19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836A (ko) 2005-10-04 2007-04-09 김승현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및 그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836A (ko) 2005-10-04 2007-04-09 김승현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및 그 사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ckley et al. Teaching children with Down syndrome to read
Canagarajah Codemeshing in academic writing: Identifying teachable strategies of translanguaging
Krashen The case for non-targeted, comprehensible input
Al-Sharqi et al. The Influence of Technology o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Rubin et al. Using writing to understand bilingual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Treiman et al. Learning to use an alphabetic writing system
Wang et al. Becoming literate in Chinese: A comparison of native‐speaking and non‐native‐speaking children
Zhao How to enhance culture teaching in English language classes
Bland Pictures, images and deep reading
Yang Effective methods to improving reading skills in english study
KR20190031948A (ko) 완구류를 활용한 회화 학습 방법
Barton-Hulsey et al.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upports for language and literacy in preschool: considerations for Down syndrome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Treiman et al. Young children's knowledge about the links between writing and language
Black Those “Mistakes” Tell Us a Lot
Stavans If you know Amharic you can read this: Emergent literacy in multilingual pre-reading children
Downing Is literacy acquisition easier in some languages than in others?
Luo et al. Development of orthographic awareness, morphological awareness and rapid automatized naming of elementary-level students in china: A longitudinal analysis from grades 1 to 4
Evans et al. An eye for print: Child and adult attention to print during shared book reading
Ren et al. The impact of Phonics instruction on pre-school learners' development in English language course
Zhou et al. TEACH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O YOUNG CHINESE CHILDREN.
US20240127709A1 (en) Method for learning to read using specialized text
Zedda-Sampson Is U a word or do you spell it with a Z?: English spelling in Australian Schools-are we getting it write?
Campbell Playing with phonics-Teaching letters and sounds
Wang et al. Exploring the use of Zhuyin in early primary Chinese literacy development
Şentürk LANGUAGE ACQUISITION AND LITERATURE: COMPREHENSIBLE INPUT IN LITERARY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