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6062A - 랜덤 공중합체에 의해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랜덤 공중합체에 의해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6062A
KR20070036062A KR1020067025802A KR20067025802A KR20070036062A KR 20070036062 A KR20070036062 A KR 20070036062A KR 1020067025802 A KR1020067025802 A KR 1020067025802A KR 20067025802 A KR20067025802 A KR 20067025802A KR 20070036062 A KR20070036062 A KR 20070036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subject
random copolymer
hours
admin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라스무센
지안신 장
샘 발드윈
에릭 자넬리
베이 유
더스탄 보닌
케이쓰 존슨
Original Assignee
펩팀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펩팀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펩팀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3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2Peptides of undefined number of 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for myasthenia gra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thyroid hormones, e.g. T3, T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Diabetes (AREA)
  • Endocrinology (AREA)
  • Neur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ncolog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besit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랜덤 공중합체의 투여를 통해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신규한 방법 및 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자가면역 질병을 치료하는 것과, 24시간 초과의 간격으로 투여되는 제형을 포함하는 치료 방법으로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것과, 24시간 초과의 기간에 걸쳐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서방형 제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랜덤 공중합체의 제형 또는 투여 방법을 포함하거나 관련된 키트의 제조, 라이센싱 또는 분배를 포함하는 의약품 관련 사업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랜덤 공중합체에 의해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METHODS OF TREATING DISEASE WITH RANDOM COPOLYMERS}
자가면역 질병은 자기-관용(self-tolerance)의 정상 상태에서 벗어난, 자기 항원(자가항원)에 대해 유도된 부적합한 면역 반응로부터 초래된다. 자기 관용은 자가항원에 대해 반응할 수 있는 T세포 및 B세포의 생성이 면역계의 발육에 조기에 발생하는 사건에 의해 억제되는 경우에 일어난다. 프로세싱된 펩티드를 T 세포에 결합시키고 제시하는 능력을 통해 면역 반응의 조절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세포 표면 단백질이 주요 조직적합성 복합체(MHC) 분자이다 (Rothbard et al. (1991) Annu. Rev. Immunol. 9:527). 자가면역 질병은 류마티스 관절염(RA), 다발성 경화증(MS), 사람 타입 I 또는 인슐린-의존성 당뇨병(IDDM), 자가면역 포도막염, 원발성 담도 간경화증(PBC) 및 복강 질병이 있다.
자가면역 반응의 억제를 위한 표적 중 하나는 림프구 표면 단백질 MHC 분자의 셋(set), 특히 MHC 클래스 II 유전자, 예를 들어 HLA-DR, -DQ 및 -DP에 의해 코드화된 단백질이다. 각각의 MHC 유전자는 포유동물 집단내 다수의 대체형 또는 대립형에서 발견된다. 특정 자가면역 질병, 예를 들어, MA 및 RA를 앓고 있는 피검체의 게놈은 보다 이러한 질병과 결부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특징적인 MHC 클래스 대립형을 지니는 것으로 여겨진다.
COX-2 억제제와 같은 일반적인 소염제를 포함하는 다수의 치료제, 즉, 시클로옥시게나제를 억제하므로써 저분자량 염증성 화합물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치료제; 예를 들어, 항-종양 괴사 인자(TNF) 특이적 단일클론성 항체 또는 항체 단편에 의해 또는 TNF 수용체의 수용성 형태에 의해 염증성 단백질 TNF를 격리시키므로써 염증화의 단백질 매개체를 억제할 수 있는 치료제; 및 T 세포 표면 상의 단백질을 표적하여, CD4 수용체 또는 세포 유착 수용체 ICAM-1을 억제하므로써 일반적으로 항원 제공 세포 (APC)와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치료제가 자가면역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수개의 MHC 클래스 II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비교적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치료제는, 공중합체 1(Cop 1)로서, 마우스에서 유도될 수 있고 MS에 대한 모델인 실험적 알러지성 뇌수막염(EAE: Sela, M. et al., 1990, bull. Inst. Pasteur (Paris))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 합성 아미노산 이종중합체이다. 글라티라머(glatiramer acetate) 또는 아미노산 코드의 문자(참조: Y는 티로신, E는 글루탐산, A는 알라닌, 그리고 K는 리신을 나타낸다)를 사용하여 "YEAK"로서 공지된, 폴리(Y,E,A,K)인 공중합체 1은 MS의 재발형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어 왔으나, 질병을 완전히 억제하지는 않는다[참조: Bornstein, M.B., et al., 1987, N. Engl. J. Med. 317:408; Johnson, K.P. et al., 1995, Neurology 45: 1268].
랜덤 공중합체가 자가면역 질병의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기는 하지만(Simpson, D. et al., 2003, BioDrugs 17(3):207-10), 이들의 반복 투여는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부작용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자가면역 질병을 치료하는 개선된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피검체, 바람직하게는 사람의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방법 및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의 개선을 위해 유효량의 랜덤 공중합체를 소정의 투여 방법으로 피검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유효량의 랜덤 공중합체가 24시간 초과, 36시간 초과,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48시간 초과의 간격으로 피검체에게 전달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된 발명의 양태에서는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의 개선을 위해 유효량의 랜덤 공중합체를 소정의 투여 방법으로 피검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유효량의 랜덤 공중합체가 2일 이상, 4일 이상, 또는 6일 이상의 간격으로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서방형 제형을 사용하여 환자에게 투여되며, 여기에서 유효량은 일일 투여되는 경우에 효과적인 양인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질병은 T 세포, 특히 TH1 세포 또는 TH1 면역 상태를 지닌 세포에 의해 매개되거나, 염증성 시토킨의 과잉에 의해 악화된 질병이다. 몇몇 구체예에서, 질병은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자가면역 질병이다. 몇몇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티로신(Y), 페닐알라닌(F), 알라닌(A) 및 리신(K)을 포함한다(YFAK 공중합체). 다른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1(YEAK)이다.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 랜덤 공중합체 또는 투여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질병의 치료를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i)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ii) 이 조성물을 24시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6 또는 48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피검체에게 투여하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자가면역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피하 주사용으로 제형되며, 랜덤 공중합체는 YFAK 또는 공중합체 1이고, 질병은 다발성 경화증, 특히 재발-이장성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자가면역 질병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작용제를 제공한다. 랜덤 공중합체를 피검체에 투여하므로써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이 이러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랜덤 중합체가 24시간 초과, 36시간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48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피검체에 투여되도록 제형화되는, 피검체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랜덤 공중합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1(YEAK)이고, 질병은 다발성 경화증, 특히 재발-이장성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자가면역 질병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약품 관련 사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EAE의 질병 진행에 대한 공중합체 투여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랜덤 공중합체가 투여되는 경우에 EAE가 있는 마우스의 생존율을 도 시한 것이다.
도 3은 일당 용량 또는 주당 용량으로 투여된 공중합체에 대한 IgG 항체 생성율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일당 용량 또는 주당 용량으로 투여된 공중합체에 대한 IgG1 항체 생성율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일당 용량 또는 주당 용량으로 투여된 공중합체에 대한 IgG2b 항체 생성율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치료 과정 동안에 공중합체에 대한 항체 역가에서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랜덤 공중합체가 투여된 마우스의 PLP 펩티드에 대한 IgG1 항체 생성율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랜덤 공중합체가 투여된 마우스의 PLP 펩티드에 대한 IgG2b 항체 생성율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랜덤 공중합체가 투여된 마우스의 IFNγ에 대한 IL-13의 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랜덤 공중합체가 투여된 마우스의 TH1 관련 시토킨과 비교하여 TH2 관련 시토킨의 유도 경향을 도시한 것이다.
I. 개요
본 발명은 광범위하게는 랜덤 공중합체의 투여에 의한 질병의 치료 및 예방,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랜덤 공중합체의 용도, 및 랜덤 공중합체 및 설명서 둘 모두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가면역 질병의 치료 및 질병의 치료를 위한 오래 지속되는(long-lasting) 랜덤 공중합체 제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을 개선시키기 위해 유효량의 랜덤 공중합체를 소정의 투여 방법으로 피검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피검체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유효량의 랜덤 공중합체가 36시간 초과의 시간 간격으로 피검체에 투여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을 개선시키기 위해 유효량의 랜덤 공중합체를 소정의 투여 방법으로 피검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피검체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유효량의 랜덤 공중합체가 24시간 초과, 특히 48시간 초과의 시간 간격으로 피검체에 투여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24시간 초과의 간격으로 투여되는 랜덤 공중합체의 유효량은 일일 투여되는 경우에 효과적인 양이다. 관련 구체예에서, 24시간 초과의 간격으로 투여되는 유효량은 일일 투여되는 경우에 효과적일 수 있는 양이다. 또 다른 관련 구체예에서, 24시간 초과의 간격으로 투여되는 유효량은 일일 투여되는 경우에 효과적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양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유효량은 10mg 내지 30mg이거나 15mg 내지 25mg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유효량은 약 20mg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유효량은 20mg 미만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유효량은 "x"mg이고, 여기에서 "x"는 1 내지 20의 정수이다.
본원에 제시된 방법의 일 구체예에서, 피검체는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을 앓고 있다. 일 구체예에서, 질병은 T 세포, 특히 TH1 세포 또는 TH1 면역 상태를 지닌 세포에 의해 매개되거나, 염증성 시토킨의 과잉에 의해 악화된 질병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피검체는 하나 이상의 자가면역 질병을 앓고 있다. 일 구체예에서, 피검체는 다발성 경화증, 타입 I 당뇨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크론병,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 루푸스(SLE), 위염, 자가면역성 간염,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 혈우병, 자가면역 림프증식증후군(ALPS), 자가면역 포도망막염, 사구체신염, 귈라인-마레 증후군, 건선,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 뇌척수염, 굿파스튜어 증후군, 그라브병, 부신생물성 천포창, 자가면역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항콜라겐 항체에 의한 경피증, 혼합성 결합조직 질병, 악성 빈혈, 다발성근육염, 특발성 애디슨병, 자가면역 관련 불임, 사구체신염, 수포성 유천포창, 쇼그렌 증후군, 특발성 점액수종, 및 대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병을 앓고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질병은 다발성 경화증 또는 재발-이장성 다발성 경화증이다. 본원에 제시된 방법의 추가의 구체예에서, 질병은 숙주대이식편 질병(HVGD) 또는 이식편대숙주 질병(GVHD) 또는 양자 모두이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피검체는 포유동물,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람이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의 일 구체예에서, 투여 경로는 정맥내, 피하, 근육내, 피내, 복강내, 피내 또는 경구 투여를 포함한다. 또한, 랜덤 공중합체는 경피 패치 또는 펌프 또는 임플란트와 같은, 랜덤 공중합체는 지속적으로 전달하도록 고안된 도구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피 패치는 48시간 이상 마다 12시간의 기간에 대해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펌프는 4일 이상 마다 2일의 기간에 대해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관련 양태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서방형 제형으로 투여된다.
또한, 본 발명은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을 개선시키기 위해 유효량의 랜덤 공중합체를 소정의 투여 방법으로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치료가 필요한 피검체를 치료하는 방법으로, 상기 유효량의 랜덤 공중합체는 2일 이상, 4일 이상 또는 6일 이상의 기간에 걸쳐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서방형 제형을 사용하여 피검체에게 투여되고, 상기 유효량은 매일 투여되는 경우에 효과적인 양인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서방형 제형은 적어도 2, 3, 4, 5, 6, 7, 8, 9, 10, 11, 12, 13 또는 14일의 기간에 걸쳐 공중합체를 투여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서방형 제형에 의해 일일 투여되는 전체 용량은, 질병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일일 용량의 90%, 80%, 70%, 60%, 50%, 40%, 30%, 20%, 10% 또는 5% 미만이다. 일 특정 구체예에서, 서방형 제형은 매일 투여되는 경우에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랜덤 공중합체의 용량의 25% 이하를 일일 투여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공중합체 1(YEAK)가 20mg의 1회 일일 피하 주입에 의해서와 같이 20mg의 용량으로 매일 투여되는 경우가 재발-이장성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면, 본 발명은 20mg 미만, 특히 1Omg, 9mg, 8mg, 7mg, 6mg, 5mg, 4mg, 3mg, 2mg 또는 lmg 미만의 공중합체 1의 공중합체를 매일 투여하게 하는 공중합체 1의 서방형 제형을 제공하게 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의 몇몇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소염제와 같은 추가의 치료적 활성제를 피검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활성제는 질병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활성제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랜덤 공중합체와 상승작용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의 몇몇 구체예에서, 투여 경로는 랜덤 공중합체를 각 투여 간에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다수회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각 투여 간의 시간 간격은 36, 48, 72, 96, 120 또는 144시간 이상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각 투여 간의 시간 간격은 36시간 내지 14일, 또는 7일 이상이다. 관련 구체예에서, 투여 간 시간 간격 중 하나 이상은, 36, 48, 72, 96, 120 또는 144시간 이상, 또는 7일 이상, 또는 36시간 내지 14일이다. 또 다른 관련 구체예에서, 각 투여간의 시간 간격의 10%, 20%, 30%,, 40%,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은 36, 48, 72, 96, 120, 또는 144 시간, 7일 이상, 또는 36시간 내지 14일이다. 또 다른 관련 구체예에서, 투여 간 평균 시간 간격은 36, 48, 72, 96, 120, 또는 144 시간, 7 이상, 또는 36 시간 내지 14일이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의 몇몇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의 유효량은 투여당 0.02mg 내지 투여당 2000mg, 보다 바람직하게는 투여당 2mg 내지 투여당 200mg이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의 몇몇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1 (YEAK), YFAK, VYAK, VWAK, VEAK 및 FEAK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1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YFAK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YAK, YEK, KEA 및 YE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와 같은 터폴리머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1 내지 10개의 앵커(anchor) 잔기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면은 (i)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ii) 이 조성물을 36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피검체에게 투여하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자가면역 질병의 치료를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키트내 랜덤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1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키트내 랜덤 공중합체는 YFAK이다. 몇몇 구체예에서, 키트내 랜덤 공중합체는 대략 24, 30, 36, 42, 48, 54, 60, 66, 72, 78, 84, 90, 96, 102, 108, 114, 120, 126, 132, 138, 144, 150, 156, 162, 168, 174, 180, 186, 192, 198, 204, 210, 216, 222, 228, 234, 또는 240 시간 마다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된다. 몇몇 구체예에서, 키트의 설명서는 랜덤 공중합체가 24, 30, 36, 42, 48, 54, 60, 66, 72, 78, 84, 90, 96, 102, 108, 114, 120, 126, 132, 138, 144, 150, 156, 162, 168, 174, 180, 186, 192, 198, 204, 210, 216, 222, 228, 234, 또는 240 시간 이상의 시간 간격으로 환자에게 투여되어야 한다고 지시한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키트의 몇몇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서방형 제형으로서 제형화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서방형 제형은 전체 용량이 매일 투여되는 경우에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전체 용량을 전달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전체 용량은 약 20mg, 20mg 미만, 또는 xmg이며, 여기에서 x는 1 내지 20의 정수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키트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키트는 상기 조성물을 24, 36, 48, 72, 96, 120 또는 144 시간 이상의 시간 간격으로, 투여당 약 20mg의 용량으로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하며,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용량은 xmg과 같은 20mg 미만이고, 여기에서 x는 1 내지 20의 정수이다. 관련 구체예에서, 키트는 상기 조성물을 24시간 이상의 시간 간격으로, 매일 투여되어야 하는 경우에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용량으로 피검체에게 투여하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한다. 또 다른 관련 구체예에서, 키트는 상기 조성물을 24시간 이상의 시간 간격으로, 매일 투여된 경우에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용량으로 피검체에게 투여하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예에서, 키트에 관련된 질병은 T 세포, 특히 TH1 세포에 의해 매개되거나, 염증성 시토킨의 과잉에 의해 악화된 질병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질병은, 키트가 치료하기 위한 다발성 경화증, 타입 I 당뇨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크론병,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 루푸스(SLE), 위염, 자가면역성 간염,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 혈우병, 자가면역 림프증식증후군(ALPS), 자가면역 포도망막염, 사구체신염, 귈라인-마레 증후군, 건선,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 뇌척수염, 굿파스튜어 증후군, 그라브병, 부신생물성 천포창, 자가면역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항콜라겐 항체에 의한 경피증, 혼합성 결합조직 질병, 악성 빈혈, 다발성근육염, 특발성 애디슨병, 자가면역 관련 불임, 사구체신염, 수포성 유천포창, 쇼그렌 증후군, 특발성 점액수종, 및 대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자가면역 질병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질병은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 또는 관절염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질병은 재발-이장성 다발성 경화증이다. 또한, 키트는 패키징, 및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수단, 예컨대 피하 주사기, 침, 측정 수단, 예컨대, 스푼 또는 등급화된 용기, 흡입기 또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트 설명서는 가정용 설명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작용제를 추가로 제공한다. 랜덤 공중합체를 피검체에 투여하므로써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방법이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이러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피검체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랜덤 공중합체의 용도를 제공하며, 이때 랜덤 공중합체는 24시간 초과의 간격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48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피검체에 투여되도록 제형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1이고, 질병은 자가면역 질병, 예컨대 다발성 경화증, 보다 특히 재발-이장성 다발성 경화증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YFAK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사업 활동의 특정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약품관련 사업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키트 및 제형이 이러한 키트를 필요로 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자에게 또는 피검체에게 직접 판매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에 본원에서 기술된 임의의 키트의 사용이 유익한, 이러한 키트를 필요로 하는 의료서비스 제공자에게, 또는 환자에게 판매하는 것을 포함한다. 관련된 양태에서는, (a) 본원 기술된 임의의 키트를 제조하고, (b) 의료서비스 제공자에게, 또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에 본원에서 기술된 임의의 키트의 사용이 유익한, 이러한 키트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판매하는 것을 포함하여 약품관련 사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구체예에서, 이러한 제형을 개발하여 판매하거나 이러한 제조 단계를 수행하는 권리가 상황에 따라 제 3 자에게 허가될 수 있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질병은 다발성 경화증, 예컨대 재발-이장성 다발성 결화증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키트는 공중합체 1 또는 YFAK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의료서비스 제공자에게 또는 환자에게 시판하는 것은 5일 내지 7일 마다 50m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g 이하의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도록 하는 표시를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시판하는 것은 2, 3, 4, 5, 6, 7, 8, 9, 10, 11, 12, 13 또는 14일 이상 마다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도록 하는 표시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의료서비스 제공자에게 또는 환자에게 판매하는 것은 5 내지 7일 마다 50m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g 이하의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도록 하는 표시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시판하는 것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랜덤 공중합체의 현존 제형과 비교하여 본원에 기술된 키트 또는 제형을 사용함에 있어서 부작용 감소에 대한 표시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현존 제형은 환자에 보다 자주 투여되거나 투여간 간격이 보다 짧으며, 또 다른 구체예에서 현존 제형은 판매되는 키트의 평균 일일 용량보다 평균 일일 용량을 높게 한다. 보다 높은 평균 일일 용량은 예를 들어, 키트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20, 50, 100, 200, 또는 500% 높을 수 있다.
II. 정의
편의상, 본 명세서, 실시예 및 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된 특정 용어를 여기에 모았다. 다르게 명시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해 기술자들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a" 및 "an"은 문단의 문법상 하나 또는 그 초과(즉, 하나 이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엘리먼트(an element)"는 하나의 엘리먼트 또는 하나 초과의 엘리먼트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포함하는"은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을 의미하며, 혼용하여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또는"은 다르게 명시되지 않는 한, 용어 "및/또는"을 의미하며, 혼용하여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와 같은"은 "와 같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을 의미하며, 혼용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치료되어야 하는 "환자" 또는 "피검체"는 사람 또는 비사람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자가면역 질병" 또는 "자가면역 질병"은 자가항원으로서 공지된 자가 코드화된 실체에 대한 부적절한 면역 반응에 의해 야기된 질병 상태를 의미한다. 본원에 제시된 공중합체 화합물은 자가면역 질병의 증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류의 질환으로는, 하시모토 갑상선염; 특발성 점액부종, 심각한 갑상선저하증; 다발성 경화증, 뇌 또는 척수에서 패치 또는 경화된 조직을 특징으로 하는 말이집탈락병; 신경근육 이음부에서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자가면역 공격에 의해 야기된 근육의 진행성 무력증을 지니는 질병인 중증 근육무력증; 귈라인-마레 증후군, 다발신경염; 전신성 홍반 루푸스; 포도막염; 자가면역 난소염; 만성 면역 혈소판감소 자색반병; 결장염; 당뇨병; 글루텐 불내성인 복부 질병; 갑상선저하증의 형태인 그레이브병; 건선; 보통천포창; 및 류마티스 관절염(RA)이 포함된다.
용어 "탈수초성 질환"은 신경 세포의 긴부분을 둘레에 둘러싸인 혈장막으로 이루어진 수초의 일부가 분해에 의해 제거된 질병 상태를 포함한다. 탈수초성 질환은 백신후, 항 TNF 치료 후, 바이러스 감염 후 및 MS에서 일어날 수 있다.
용어, 아미노산의 "유도체"는 예를 들어, N-카르복시무수물기, γ-벤질기, ε-n-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 또는 아미노산의 원자에 결합된 할라이드기와 같은 추가의 치환기를 지닌 아미노산의 화학적으로 관련된 형태를 의미한다.
용어 "유사체"는 예를 들어, 이성질체, 또는 L 형태 보다는 D 형태, 또는 해당 아미노산의 근접한 크기, 전하 및 형상을 지니는 유기 분자, 또는 펩티드 결합에 관여된 원자에 대한 변형을 지닌 아미노산과 같은 상이한 형태를 지닌 아미노산의 화학적으로 관련된 형태를 의미하며, 이에 따라 유사체 잔기를 갖는 공중합체는, 유사체가 공중합체의 내부에 있거나 말단에 위치하거나 간에 유사체가 없는 공중합체와 비교하여, 다른 유사한 유사체가 결여된 공중합체에 비해 보다 프로테아제 내성이다.
용어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공중합체"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유도체 및/또는 아미노산 유사체인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도체 또는 유사체는 상기 조성물에 의해 표시된 20개의 천연 아미노산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대한 잔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티로신 잔기를 지닌 아미노산 공중합체 조성물에 있어서, 이러한 하나 이상의 잔기중 일부는 호모티로신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추가로, 두개의 인접하는 잔기 사이의 하나 이상의 비펩티드 또는 펩티도미메틱(peptidomimetic) 결합을 갖는 아미노산 공중합체가 본 정의에 포함된다.
용어 "소수성" 아미노산은 지방족 아미노산 알라닌(A 또는 ala), 글리신(G 또는 gly), 이소류신(I 또는 ile), 류신(L 또는 leu), 메티오닌(M 또는 met), 프롤린(P 또는 pro), 및 발린(V 또는 val) (괄호속의 용어는 각 아미노산에 대한 단문자 또는 세문자 표준 코드이다), 그리고 방향족 아미노산 트립토판(W 또는 trp), 페닐알라닌(F 또는 phe), 및 티로신(Y 또는 tyr)을 의미한다. 상기 아미노산은 단백질 또는 펩티드내에서 잔기로서 발견되는 경우, 지방족의 길이 및 방향족 측쇄의 크기의 함수로서 소수성을 부여한다.
"하전된" 아미노산이란 용어는 아미노산 아스파르트산(D 또는 asp), 글루탐산(E 또는 glu), 아르기닌(R 또는 arg) 및 라이신(K 또는 lys)으로서, 이러한 아미노산의 하나 이상의 잔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또는 다른 아미노산 조성물의 수용액에 대한 생리적 pH 값에서 양 (lys 및 arg) 또는 음 (asp 및 glu) 전하를 제공하는 상기 아미노산을 의미한다. 히스티딘(H 또는 his)은 pH 7에서 소수성이고, pH 6에서 하전된다.
용어 "질환" 및 "질병"은 포괄적으로 사용되며, 신체의 일부, 기관 또는 시스템(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의 정상 구조 또는 기능에서 벗어난 것을 나타낸다. 특정 질병은 생물학적, 화학적 및 물리적 변화를 포함하는 특징적인 증상 및 징후에 의해 명백하게 되며, 흔히 인구통계학적, 환경적, 직업, 유전적 및 의학적 이력적 인자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다수의 다른 인자와 관련된다. 특정 특징적인 징후, 증상 및 관련된 인자는 여러 방법을 통해 정량화되어 중요한 진단 정보를 이룬다.
용어 "예방적" 또는 "치료적" 치료는 하나 이상의 대상 조성물을 피검체에 투여하는 것을 나타낸다. 원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숙주의 동물의 질병 또는 다른 원하지 않는 상태)가 임상적으로 명백해지기 전에 투여되는 경우라면, 이러한 치료는 예방적인 것이고, 즉, 원하지 않는 상태가 진행되지 않도록 숙주를 보호하는 것인 반면, 원하지 않는 상태가 명백해진 후에 투여되는 경우라면, 이러한 치료는 치료적인 것이다(즉, 원하지 않는 상태 또는 이로부터의 부작용의 진행을 감소시키거나, 개선시키거나,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다).
용어 "치료적 효과"는 약리학적 활성 물질에 의해 야기된 동물, 특히 포유동물, 보다 특히 사람에게서의 국소적 또는 전신적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용어는 질병을 진단, 치유, 완화, 치료 또는 예방하거나, 동물 또는 사람의 바람직한 물리적 또는 정신적 발달 증진에 사용하고자 하는 실체를 의미한다. 용어 "치료 유효량"은 임의의 치료에 적용될 수 있는 적절한 유익성과 위험성 비율로 소정의 바람직한 국소적 또는 전신적 효과를 갖게 하는 이러한 실체의 양을 의미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화합물의 치료 유효량은 치료적 지수, 용해도 등에 의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발견된 특정 화합물은 이러한 치료에 적용될 수 있는 적합한 유익성과 위험성 비율을 도출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용어 "유효량"은 적절한 용량 및 섭생에 의해 피검체에 투여되는 경우에 바람직한 결과를 산출하는 치료제의 양을 나타낸다.
용어 "질병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는 그러한 질병을 갖거나, 발병할 것 같거나, 이러한 질병을 갖는 것으로 의심이 되는 피검체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체"는 전체 항체, 예를 들어, 임의의 이소타입(IgG, IgA, IgM, IgE 등)을 포함하고, 또한 척추동물, 예를 들어 포유동물 단백질과 특이적으로 반응성인 이들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항체는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단편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편은 특이적인 대상 에피토프와의 유용성 및/또는 상호작용을 위해 스크리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어는 특정 단백질과 선택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항체 분자의 단백질 분해되거나 재조합 제조된 부분의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백질분해 및/또는 재조합 단편의 비제한적 예에는 Fab, F(ab')2, Fab', Fv, 및 펩티드 링커에 의해 결합된 V[L] 및/또는 V[H] 도메인을 함유하는 단쇄 항체(scFv)가 포함된다. scFv는 공유 결합되거나 비공유 결합되어 두개 이상의 결합 부위를 갖는 항체를 형성한다. 또한, 용어 항체는 다클론성, 단일클론성 항체 또는 그 밖의 정제된 항체 제조물 및 재조합 항체를 포함한다.
용어 "중심 관용(central tolerance)"는 흉선내 사건, 즉, 흉선내 항원에 대한 T 세포의 클론 결손에 의해 제어되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의미한다. 항원에 대한 높은 친화성 수용체에 의해 부분적으로 활성화된 T 세포는 세포 표면 상의 동시 발현 및 FasL의 Fas로의 결합에 의해 유도되는 Fas 매개된 아폽토시스(apoptosis)에 의해 흉선내 네가티브 선택 및 클론 결손을 진행한다. 대조적으로, 용어 "말초 관용"은 비장내 크론 결손 없이 T세포의 기능 침묵(클론 무반응) 및 활성화 유도된 세포 치사(AICD)에 의한 T세포의 결손을 의미한다. 또한, 헬퍼 T 세포의 협력이 결여되는 경우, B 세포는 T 세포 의존성 항원에 반응하는 데 아마 "무력"할 것이다. 중심 및 말초 관용의 조절은 p56lck 및 ZAP-70의 인산화에 의해 조절된다. 이러한 단백질의 주요 잔기의 인산화 상태 및 정도가 말초 및 중심 관용에 영향을 미치는 신호화 분자의 상승 또는 하강 조절을 초래한다. 또한, T 세포 수용체 신호화의 억제는 관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본원에 사용된 그 밖의 기술 용어는 여러 기술 사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들이 사용되는 당해 통상적인 의미를 갖는다.
III. 랜덤 공중합체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 조성물은 특징적인 다수의 교차 반응성 T 세포 에피토프의 컴파일레이션(compilation)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 조성물은 추가로 특징적인 변경된 펩티드 리간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의 조성물의 다작용성 결과는 하나는 MHC 분자, 바람직하게는 MHC 클래스 II 분자에 의한 출현을 통해 수천개, 바람직하게는 십만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백만개의 T 세포 에피토프와 기능적으로 상호작용하는데 유효하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시토킨과 같은 분비 가용성 매개체일 수 있는 랜덤 공중합체 특이적 T 세포를 생성하는 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에는 선택된 서브그룹의 아미노산이 우선적으로 특이적 T 세포 에피토프와 상호작용하고, 이중 일부가 병원성 질환과 직접적으로 관련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특이적인 아미노산 서열이 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에는 시토킨과 같은 가용성 매개체의 이상 생성에 의해 악화된 병원성 질환과 직접적으로 관련될 수 있는 특이적 T 세포 에피토프의 일부와 우선적으로 상호작용하는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이적 아미노산 서열이 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에는, 선택된 아미노산의 서브그룹이, 선택된 아미노산 및 이러한 아미노산의 다른 아미노산에 대한 비율에 의해, 시토킨과 같은 가용성 매개체의 이상 생성에 의해 악화된 병원성 질환과 직접적으로 관련될 수 있는 일부 특이적인 T 세포 에피토프와 우선적으로 상호작용하는 2개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이적 아미노산 서열이 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병원성 질환은 HLA-DR 또는 HLA-DQ와 같은 특이적 MHC 클래스 II 대립형에 대한 결합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는, 일부가 시토킨과 같은 가용성 매개체의 이상 생성에 의해 악화된 병원성 질환과 직접적으로 관련될 수 있는 특이적인 T 세포 에피토프와 우선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무작위로 결합된, 바람직하게는 펩티드 결합을 통해 결합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으로 된 중합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자가면역 질병은 HLA-DR 또는 HLA-DQ와 같은 특이적 MHC 클래스 II 대립형에 대한 결합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는 일부가 시토킨과 같은 가용성 매개체의 이상 생성에 의해 악화된 병원성 질환과 직접적으로 관련될 수 있는 특이적인 T 세포 에피토프와 우선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무작위로 결합된, 바람직하게는 펩티드 결합을 통해 결합된 3 내지 5개의 아미노산으로 된 중합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자가면역 질병은 HLA-DR 또는 HLA-DQ와 같은 특이적 MHC 클래스 II 대립형에 대한 결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는 적합한 양의 양전하 아미노산, 예컨대 리신 또는 아르기닌을, 음전하를 띄는 아미노산(바람직하게는 보다 적은 양으로), 예컨대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과 조합하여, 임의로 충전제로서 역할하는 전기적으로 중성인 아미노산, 예컨대, 알라닌 또는 글리신과 조합하여, 그리고 임의로 공중합체에 면역반응 생성 특성을 부여하기에 적합한 아미노산, 예컨대, 티로신 또는 트립토판과 같은 방향족 아미노산과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본원에 그 전부가 참고 문헌으로 인용되는 WO 00/005250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4개의 상이한 아미노산을 함유하며, 각각은 하기 그룹 중 상이한 하나이다: (a) 리신 및 아르기닌; (b)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 (c) 알라닌 및 글리신; 및 (d) 티로신 및 트립토판.
본 발명의 이러한 구체예에 따른 특정 공중합체는 알라닌, 글루탐산, 리신 밑 티로신과 조합하여 포함하고, 실제로 전체적으로 양전하를 갖는다. 일 바람직한 구체예는 평균 분자량이 약 4,700 내지 약 13,000달톤의 공중합체 1(Cop 1) 또는 글라티라머 아세테이트(glatiramer acetate)로서 일컬어지는 YEAK이다. 바람직한 공중합체는 분자량이 약 2,000 내지 약 40,000달톤, 또는 약 2,000 내지 약 13,000달톤이다. 공중합체 1의 바람직한 형태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분자량 범위 및 방법은 본원에 그 전부가 참고 문헌으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 5,800,808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공중합체는 길이가 약 15개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40개 내지 약 80의 아미노산으로부터의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공중합체 1의 길이는 35개 내지 75개의 아미노산 잔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 1의 길이는 35개 내지 65개의 아미노산 잔기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공중합체 1의 길이는 약 50개의 아미노산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공중합체 1의 길이는 약 52개의 아미노산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공중합체 1은 보다 자세히는 하기 기술된 바와 같이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된, T:E:A:K 각각에 대해 약 1.0:2.0:6.0:5.0의 평균 산출 몰비를 갖는다. 상기 산출비에서의 변동율은 상이한 아미노산 간에 약 10% 범위를 포함한다.
약 52개의 아미노산 잔기의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아미노산 위치 31-52에서의 알라닌 조성물의 비는 아미노산 위치 11-30에서의 알라닌 비보다 크고, 아미노산 위치 11-30에서의 알라닌 조성물의 비는 아미노산 위치 1-10에서의 알라닌 비보다 크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된, 평균 산출 몰비가 각각 약 1.0:2.0:6.0:5.0인 조성물 YEAK(L-티로신, L-글루타메이트, L-알라닌 및 L-리신)의 랜덤 공중합체이며, 이 공중합체는 길이가 52개의 아미노산 길이이고, 공중합체 서열의 잔기 1-10은 산출 몰비가 약 1.0:2.0:5.5:5.0이고, 잔기 11-10은 산출 몰비가 1.0:2.0:6.0:5.0이고, 잔기 31-52은 산출 몰비가 약 1.0:2.0:6.5:5.0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Cop 1 또는 Cop 1-관련된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는 수초 기본 단백질(MBP)과 기능적으로 교차 반응하고, 항원 출현시 MHC 클래스 II 상의 MBP와 경쟁할 수 있는,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공중합체 1은 상표명 COPAXONE™ 으로 다발성 경화증(MS)의 치료용으로 여러 나라에서 승인되었다. COPAXONE™은 테바 파마슈티컬스 엘티디.(Teva Pharmaceuticals Ltd., Petah Tikva, Israel)의 상표명이다. 공중합체 1은 고친화성으로, 그리고 펩티드 특이적 방식으로 정제된 MS-관련된 HLA-DR2 (DRB1*1501) 및 류마티스 관절염 (RA)-관련된 HLA-DR1 (DRBI*0101) 또는 HLA-DR4 (DRB1 *0401) 분자에 결합한다. 공중합체 1은 랜덤 폴리펩티드의 혼합물이기 때문에 상이한 HLA 단백질에 결합하는 상이한 서열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전체 혼합물로부터 일부만이 "활성 성분"이 될 것이다. 다르게는, 전체 혼합물이 허용될 수 있다. 즉, 모든 폴리펩티드가 임의의 HLA-DR 분자에 결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는 염증성 시토킨의 이상 생성에 의해 악화되는 자가면역 질병과 관련된 특이적 T 세포 에피토프와 우선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펩티드 결합을 통해 무작위로 연결된 아미노산 공중합체 1 또는 YFAK의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자가면역 질병은 HLA-DR 또는 HLA-DQ와 같은 특이적 MHC 클래스 II 대립형과의 결합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는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 복강 질병, 류마티스 과절염, 스테로이드 민감성 신증후군, 메센기알(mesengial) IgA 신병증, 기면증, 신경성 다발성 경화증, 재발성 다발연골염, 피부 질환, 예컨대, 포진성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베체트병, 천포창, 건선, 일차 쇼그넨병, 전신성 맥관염, 홍반증, 위장관 질환, 예컨대, 크론병, 호흡기 질환, 예컨대 소머(Sommer) 타입 과민성 페렴, 및 자가면역 갑상선 질병(AITD)와 관련된 특이적 T 세포 에피토프와 우선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펩티드를 통해 무작위로 연결된 아미노산 공중합체 1 또는 YFAK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YFAK, VYAK, VWAK, VEAK 및 FEAK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각각 약 1.0:1.2:XA:6.0(여기에서, XA는 11.0 초과 30.0 미만이다)의 산출 몰비로 아미노산 잔기 YFAK(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리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산출기의 변동율은 상이한 아미노산 간에 약 10% 범위를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각각 약 1.0:1.0:XA:6.0(여기에서, XA는 5.0 초과 15.0 미만이다)의 산출 몰비로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산출비의 변동율은 상이한 아미노산 간에 약 10% 범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랜덤 공중합체의 YFAK의 산출 몰비는 하기 표 I에 기재된다.
표 1: 랜덤 공중합체의 아미노산 조성비
Figure 112006090778821-PCT00001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임의의 공중합체의 길이는 35 내지 75개의 아미노산 잔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랜덤 공중합체의 길이는 35 내지 65개의 아미노산 잔기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의 길이는 약 50개의 아미노산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의 길이는 약 52개의 아미노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하기에서 보다 자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된 평균 산출 몰비가 약 1.0:1.2:18.0:6.0인 조성물 YFAK의 랜덤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YFAK의 평균 산출 몰비는 약 1.0:1.2:XA:6.0(여기에서, XA는 18 초과이다)이고, 알라닌의 비는 공중합체의 길이에 따라 증가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이러한 랜덤 공중합체의 길이는 약 52개의 아미노산 잔기이고, 아미노산 위치 31-52에서의 알라닌 조성의 비는 아미노산 위치 11-30에서 보다 크고, 아미노산 위치 11-30에서의 알라닌 조성의 비는 아미노산 위치 1-10에서 보다 크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된 평균 산출 몰비가 약 1.0:1.2:18.0:6.0의 조성물 YFAK(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리신)의 랜덤 공중합체이며, 이러한 공중합체는 길이가 52개의 아미노산이고, 공중합체 서열의 잔기 1-10은 산출 몰비가 약 1.0:1.2:16:6이고, 잔기 11-30은 산출 몰비가 약 1.0:1.2:18:6이고, 잔기 31-52는 산출 몰비가 약 1.0:1.2:20:6이다.
3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 다른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상기 언급된 그룹 (a) 내지 (d)의 세그룹 중 상이한 하나로부터 각각 상이한 세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한다. 이러한 공중합체는 본원에서 "터폴리머"라고 한다. 평균 분자량은 2,000 내지 40,000달톤, 바람직하게는 약 3,000 내지 약 35,000달톤이다.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평균 분자량은 약 5,000 내지 약 25,000달톤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터폴리머는 이후 YAK로 명명되는 티로신, 알라닌 및 리신을 포함한다. 이러한 폴리펩티드에서 아미노산의 평균 몰분율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티로신은 약 0.005 내지 약 0.250의 몰분율로 존재할 수 있으며, 알라닌은 약 0.3 내지 약 0.6의 몰분율로 존재할 수 있고, 리신은 약 0.1 내지 약 0.5의 몰분율로 존재할 수 있다. 리신 대신 아르기닌, 알라닌 대신 글리신, 및/또는 티로신 대신 트립토판을 대체가능하다. 티로신, 알라닌 및 리신, 또는 YAK의 보다 바람직한 터폴리의 단량체의 몰비는 약 0.11 대 약 0.54 대 약 0.35이다. 예시적 YAK 공중합체가 문헌(Fridkis-Hareli M., Hum Immunol. 2000; 61(7): 640-50)에 기술되어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터폴리머는 이후 YEK로 명명되는 티로신, 글루탐산, 및 리신을 함유한다. 이러한 터폴리머에서 아미노산의 평균 몰분율은 달라질 수 있다: 글루탐산은 약 0.005 내지 약 0.300의 몰분율로 존재할 수 있으며, 티로신은 약 0.005 내지 약 0.250의 몰분율로 존재할 수 있고, 리신은 약 0.3 내지 약 0.7의 몰분율로 존재할 수 있다. 글루탐산 대신 아스타르트산, 리신 대신 아르기닌, 및/또는 티로신 대신 트립토판을 대체가능하다. 글루탐산, 티로신 및 리신 또는 YEK의 보다 바람직한 터폴리의 단량체의 몰비는 약 0.26 대 약 0.16 대 약 0.58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터폴리머는 이후 KEA로 명명되는 리신, 글루탐산 및 알라닌을 함유한다. 이러한 터폴리머에서 아미노산의 평균 몰분율은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루탐산은 약 0.005 내지 약 0.300의 몰분율로 존재할 수 있으며, 알라닌은 약 0.005 내지 약 0.600의 몰분율로 존재할 수 있고, 리신은 약 0.2 내지 약 0.7의 몰분율로 존재할 수 있다. 글루탐산 대신 아스타르트산, 알라닌 대신 글리신, 및/또는 리신 대신 아르기닌을 대체가능하다. 글루탐산, 알라닌 및 리신 또는 KEA의 보다 바람직한 터폴리의 단량체의 몰비는 약 0.15 대 약 0.48 대 약 0.36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터폴리머는 이후 YEA로 명명되는 티로신, 글루탐산, 및 알라닌을 함유한다. 이러한 터폴리머에서 아미노산의 평균 몰분율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티로신은 약 0.005 내지 약 0.250의 몰분율로 존재할 수 있으며, 글루탐산은 약 0.005 내지 약 0.300의 몰분율로 존재할 수 있고, 알라닌은 약 0.005 내지 약 0.800의 몰분율로 존재할 수 있다. 티로신 대신 트립토판, 글루탐산 대신 아스파르트산, 및/또는 알라닌 대신 글리신을 대체가능하다. 글루탐산, 알라닌 및 티로신 또는 YEA의 보다 바람직한 터폴리의 단량체의 몰비는 약 0.21 대 약 0.65 대 약 0.14이다.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터폴리머의 아미노산의 몰비는 대략 공중합체 1에 대해 바람직한 것이다. 공중합체 1에서 아미노산의 몰비는 글루탐산 약 0.14, 알라닌 약 0.43, 티로신 약 0.10, 및 리신 약 0.34이다. 공중합체 1에 대해 가장 바람직한 평균 분자량은 약 5,000 내지 약 9,000달톤이다. 본원에 기재된 유용성을 위한 공중합체 1의 활성은 다음 치환기중 하나 이상이 치환되는 경우에 보유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글루탐산(E) 대신 아스파르트산(D), 알라닌(A) 대신 글리신(G), 리신(K) 대신 아르기닌(R), 및 티로신(Y) 대신 트립토판(W).
MHC 클래스 II 단백질에 결합하는 공중합체
일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사용되는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자가면역 질병에 관련된 MHC 클래스 II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다. 클래스 II MHC 분자는 적어도 3가지 타입이 있다: HLA-DR, HLA-DQ, 및 HLA-DP 분자. 또한, 이러한 각 타입의 HLA 분자를 코드화하는 수많은 대립형이 있다. 클래스 II MHC 분자는 B 림프구 및 마크로파지와 같은 항원 제공 세포의 표면 상에서 주로 발현된다. 공중합체가 하나 이상의 MHC 클래스 II 단백질에 결합하는 지를 확인하는 데 임의의 이용가능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펩티드가 리포터 분자(예컨대, 방사성핵종 또는 비오틴)으로 표지되거나, MHC 클래스 II 단백질의 미정제 또는 순수한 제조물과 혼합될 수 있고, 결합은 상기 리포터 분자가 비결합 폴리펩티드의 제거 후에 MHC 클래스 II 단백질에 부착되는 경우에 검출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사용되는 공중합체는 다발성 경화증과 관련된 MHC 클래스 II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예의 폴리펩티드는 공중합체 1보다 다발성 경화증에 관련된 MHC 클래스 II 단백질의 항원 결합 그루브에 대해 크거나 유사한 친화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고려된 폴리펩티드는 MHC 클래스 II 단백질로부터 수초 자가항원의 결합을 억제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다발성 경화증과 관련된 MHC 클래스 II 단백질중 하나는 HLA-DR4 (DRB1*1501)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사용되는 랜덤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골관절염과 같은 관절염 질환과 관련된 MHC 클래스 II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예의 랜덤 공중합체는 타입 II 콜라겐 261-273 펩티드에 비해 자가면역 질병에 관련된 MHC 클래스 II 단백질의 항원 결합 그루브에 대해 친화성이 더 크다. 따라서, 고려되는 공중합체 1 또는 YFAK와 같은 본원에서 기술된 랜덤 공중합체는 MHC 클래스 II 단백질의 항원 결합 그루브로부터 타입 II 콜라겐 261-273 펩티드의 결합을 억제하거나 이러한 펩티드를 대체할 수 있다. 클래스 II MHC 단백질은 대략 동등한 크기의 알파 및 베타 서브유닛으로 구성되며, 둘 모두 막투과 단백질이다. 펩티드 결합 클레프트(cleft)가 알파 및 베타 서브유닛 둘 모두의 아미노 말단 일부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펩티드 결합 클레프트는 T 세포에 대한 항원의 출현 부위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랜덤 공중합체는 HLA-DR 분자의 펩티드 결합 그루브에 결합할 수 있다. MS 관련된 HLA-DR 분자에 대한 Cop 1의 결합 모티프가 공지되어 있는 바(Fridkis-Hareli et al, 1999, J. Immunol.; 162(8):4697-704), 정해진 서열의 폴리펩티드가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프리드키스-하렐리(Fridkis-Hareli)에 기술된 바와 같이 HLA-DR 분자의 펩티드 결합 그루브에 대한 결합을 시험할 수 있다. 이러한 펩티드의 예는 본원에서 그 전부가 참고문헌으로 인용되는 WO 00/005249에 개시된 것들이다. 상기 출원에 특별히 개시된 32개의 펩티드는 하기와 같다:
Figure 112006090778821-PCT00002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추가의 랜덤 공중합체, 및 이를 합성하는 방법은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참조: Shukaliak Quandt, J. et al., 2004, Mol. Immunol. 40(14-15):1075-87; Montaudo, M.S., 2004, J. Am. Soc. Mass Spectrom. 15.3):374-84; Takeda, N. et al., 2004, J. Control Release 95(2): 343-55; Pollino, J.M. et al., 2004, J. Am. Chem. Soc. 126(2):563-7; Fridkis- Hareli, M. et al., 2002, J. Clin Invest. 109(12):1635-43; Williams, D.M. et al., 2000, J. Biol. Chem. 275(49): 38127-30; Tselios, T. et al., 2000, Bioorg Med Chem. 8(8): 1903- 9; and Cady, C.T. et al., 2000, J. Immunol. 165(4): 1790-8].
일 특정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그 길이가 7개 이상인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며, 자가면역 질병과 관련된 MHC 클래스 II 단백질과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합성 펩티드 결합은 타입 II 콜라겐 261-273 펩티드보다 MHC 클래스 II 단백질의 항원 결합 그루브에 대해 보다 큰 친화성을 가지고, 합성 펩티드는 알라닌-글루탐산-리신-티로신-알라닌(AEKYA), 알라닌-글루탐산-리신-발린-알라닌(AEKVA), 알라닌-글루탐산-리신-페닐알라닌-알라닌(AEKFA), 알라닌-리신-티로신-알라린-글루탐산(AKYAE), 글루탐산-알라닌-리신-티로신-알라닌(EAKYA), 알라닌-리신-발린-알라닌-글루탐산(AKVAE), 및 글루탐산-알라닌-리신-발린-알라닌(EAKVA), 알라닌-리신-페닐알라닌-알라닌-글루탐산(AKFAE), 및 글루탐산-알라닌-리신-페닐알라닌-알라닌(EAKF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서열을 포함한다.
특정 바람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HLA-DQA1 분자에 결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립형 DQAl*0501-DQBl*0201, DQA1*0301, DQB1*0401, 및 DQAl*03-DQBl*0302에서 코드화된 하나 이상의 HLA 분자에 결합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의 공중합체는, 특정 HLA-DQ 분자의 담체가 자가면역 관련 질병, 예컨대, 타입 I 당뇨병 및 복강 질병을 걸리기 쉽게 하는 이러한 분자에 결합하며, 이들 분자의 해리 상수(Kd)는 HLA-DR 분자 및/또는 다른 DQ 이소타입을 결합시키기 위한 공중합체의 Kd에 비해 10배 이상 낮다. 이러한 HLA-DQ 분자는 DQB1*0201, DQB1*0302, DQB1*0304, DQB1*0401, DQB1*0501, DQB1*0502; 및 DQA1*0301, DQA1*0302, DQA1*0303, DQA1*0501으로서 공지된 특이적 HLA-DQB 1 및 DQA1 대립형의 배합된 단백질 생성물이다. 이러한 대립형은 DQB 1 *0201 DQA1*0501-DRB1*0301 및 DQBl*0302- DQAl*0301-DRBl*0401과 같은 동일한 하플로타입("시스"대립형) 상에서 코드화될 수 있다. "시스" 대립형의 폴리펩티드 생성물을 포함하는 형성된 HL 분자는 본원에서 "시스 다이머(cis-dimer)"로서 언급된다. 다르게는, 대립형은 상이한 하플로형("트랜스" 대립형) 상에 코드화될 수 있다. "트랜스" 대립형의 폴리펩티드 생성물을 포함하는 HLA 분자는 본원에서 "트랜스" 다이머로서 언급된다. "트랜스" 대립형의 예는 DQB1*0201 DQAl*0501-DRBl*0301 상의 DQB1 *0201과 DQBl*0301-DQAl*0301-DRBl*0404 상의 DQAl*0301의 조합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사용되는 DQ 관련 공중합체는 각각 하기 4개의 그룹으로부터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무작위화되거나 부분적으로 무작위화된 아미노산 서열의 혼합물이다: (1) 소수성, 지방족 아미노산(예컨대, 류신, 이소류신, 발린, 메티오닌); (2) 산성 측쇄를 지닌 아미노산(예컨대,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3) 작은 친수성 측쇄를 지닌 아미노산(예컨대, 세린, 시스테인, 트레오닌) 및 (4) 작은 지방족 측쇄를 지닌 아미노산(예컨대, 알라닌, 글리신); 추가로, 상기 공중합체는 프롤린 잔기를 함유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아미노산, 글루타민(E) 및/또는 아스파르트산(D), 류신(L), 세린(S), 및 알라닌(A)을 사용하여 유래되며, 이는 본원에서 "ELSA" 공중합체로서 언급된다.
다른 특정 구체예에서, DQ 관련 공중합체는 각각 하기 4개의 그룹으로부터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무작위화되거나 부분적으로 무작위화된 아미노산 서열의 혼합물이다: (1) 소수성, 지방족 아미노산(예컨대, 류신, 이소류신, 발린, 메티오닌); (2) 거대 소수성 아미노산(예컨대, 티로신, 페닐알라닌, 류신, 메티오닌); (2) 산성 측쇄를 지닌 아미노산(예컨대,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3) 작은 친수성 측쇄를 지닌 아미노산(예컨대, 세린, 시스테인, 트레오닌) 및 (4) 작은 지방족 측쇄를 지닌 아미노산(예컨대, 알라닌, 글리신); 추가로, 상기 공중합체는 프롤린 잔기를 함유한다. 예시적 공중합체는 아미노산 잔기, 글루타민(E) 및/또는 아스파르트산(D), 류신(L), 티로신(Y), 및 Val(V)을 사용하여 유래되며, 이는 본원에서 "DLYL" 공중합체로서 언급된다.
일 구체예에서, 자가면역 질병의 치료 방법은 자가면역 질병과 관련된 HLA-DQ 분자에 결합하는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료 방법은 (1) 소수성, 지방족 잔기(류신, 이소류신, 발린, 메티오닌); (2) 산성 잔기(아스파프트산, 글루탐산); (3) 작은 친수성 잔기(세린, 시스테인, 트레오닌); (4) 작은 지방족 잔기(알라닌, 글리신) 및 (5) 프롤린으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공중합체 조성물은 평균 Kd가 1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nM, 10nM 또는 1nM 미만인 하나 이상의 DQ 이소타입에 결합한다. 바람직한 공중합체를 확인하는 또 다른 방법은 문헌(Sidney et al., 2002, J. Immunol. 169:5098)과 같은 경합 결합 검정시 다른 것으로 대체되는 공중합체를 측정하는 것에 기초하며, 이는 IC50 값으로 표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공중합체는 IC50 이 1 μ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nM 미만, 및 100nM 미만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공중합체는 다양한 아미노산 잔기의 랜덤 합성(공중합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랜덤 공중합체에 혼입되어야 하는 소정 비의 아미노산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랜덤 공중합체는 아미노산 잔기 K, E, A, S, V 및 P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K:E:A:S:V:P의 비는 0.3:0.7:9:0.5:0.5:0.3이다. 바람직하게는, 랜덤 공중합체는 길이가 약 10 내지 100개의 아미노산 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개의 아미노산 잔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개의 아미노산 잔기, 매우 바람직하게는 약 50개의 아미노산 잔기이다. 합성되는 경우, 랜덤 공중합체의 일반적인 제제는 다양한 길이의 펩티드의 혼합물이며, 이들 대다수는 바람직한 길이를 가지나, 현재 이용되는 합성 공정에 의해 불가피하게 생성된 보다 짧거나 긴 펩티드를 포함한다.
추가로, 특정 구체예에서, 공중합체는 "앵커" 또는 생성된 중합체에서 규칙적인 간격을 발생시켜 최적의 클래스 II 결합을 제공하는 고정된 잔기를 지니는 세미-랜덤(또는 세미-규칙적) 중합체일 수 있다. 펩티드내 앵커 잔기는 E, D, 또는 V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중합체는 하기의 일반 서열 중 어느 하나를 지니도록 합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6090778821-PCT00003
여기에서, X는 A, S, V, K, 또는 P이며, 그 비는 5:1:1:1:0.5이고, 1≤n≤8이다.
펩티드는 9 내지 25개 아미노산 잔기의 길이를 지닐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펩티드는 13개 아미노산 잔기의 길이이다. 9 내지 25개 아미노산의 규정된 서열 길이의 펩티드는 2 내지 20개의 고정된 잔기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술된 펩티드의 개개의 고정된 잔기는 위치 P1, P4, P7 또는 P9 중 임의의 위치에서 클래스 II MHC 분자의 펩티드 결합 그루브에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펩티드가 2 또는 3개의 고정된 잔기를 함유한다. 일 구체예에서, 13개 아미노산의 규정된 서열 길이의 펩티드는 E 또는 D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인 2개의 고정된 잔기를 함유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13개 아미노산의 규정된 서열 길이의 펩티드는 3개의 고정된 잔기를 함유할 것이다. 펩티드는 규정된 서열의 다합체(multimer)일 수 있고, 여기에서, 반복 유닛의 수는 2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반복 유닛의 수가 3 내지 6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반복 유닛의 수가 4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다합체는 E 또는 D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인 2개의 고정된 잔기를 함유하는 13개 아미노산의 규정된 서열 길이의 펩티드를 포함한다.
특정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약제로서 사용되기 위해 제형화되며 25,00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5000, 1000, 500, 100, 50, 또는 심지어 10 미만의 다분산성을 지닌다.
랜덤 공중합체의 합성
본원 발명에 사용되는 터폴리머 및 랜덤 공중합체는 당업자들에게 입수될 수 있는 임의의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폴리머는 용액 중 목적하는 몰비의 아미노산을 사용하여 축합 조건 하에서 제조되거나, 고체상 합성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축합 조건은 적당한 온도, pH 및 어느 한 아미노산의 카르복실기를 다른 아미노산의 아미노기와 축합시켜 펩티드 결합을 형성시키기 위한 용매 조건을 포함한다. 축합제, 예를 들어,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가 펩티드 결합의 형성을 촉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블록킹기는 측쇄 부분, 및 바람직하지 않는 부반응에 대한 아미노 또는 카르복실기 일부와 같은 작용기를 보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3,849,550호에 개시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방법에서는 티로신, 알라닌, γ-벤질 글루타메이트 및 N-ε-트리플루오로아세틸-리신의 N-카르복시무수물이 개시제로서 디에틸아민에 의해 무수 디옥산 중에서 주위 온도에서 합성된다. 글루탐산의 γ-카르복실기는 빙초산 중에서 브롬화수소에 의해 탈블록킹될 수 있다.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는 1몰 피페리딘에 의해 리신으로부터 제거된다. 당업자들은, 이러한 공정이 글루탐산, 알라닌, 티로신 또는 리신 중 어느 하나와 관련된 반응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므로써 목적하는 아미노산, 즉, 공중합체 1중 4개의 아미노산 중 3개를 함유하는 펩티드 및 폴리펩티드를 제조하도록 조절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적용 목적으로, 용어 "주위 온도" 및 "실내 온도"는 약 20 내지 약 26℃ 범위의 온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합성 방법은 고체상 합성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합성은 Fmoc 보호된 아미노산을 사용하는 고체상 펩티드 합성(SPPS) 방법에 의해 다단계로 수행된다. SPPS는 적합하에는 측쇄 보호능을 갖는 보호된 아미노산 유도체를 중합체 지지체(비드)에 연속적으로 첨가하는 것에 기초한다. 염기 불안전성 Fmoc 기는 N-보호에 사용된다. 보호기를 (피페리딘 가수분해를 통해) 제거한 후, 후속 아미노산 혼합물을 커플링제(TBTU)를 사용하여 첨가한다. 최종 아미노산이 커플링된 후, N-말단을 아세틸화시킨다.
형성된 펩티드(C-말단을 통해 중합체 지지체에 부착됨)를 TFA로 분해하여 미정제 펩티드를 수득한다. 이러한 분해 단계 동안, 측쇄 보호기 전부가 또한 분해된다.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침전시킨 후,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시킨다. 형성된 펩티드를 분석하고 2 내지 8℃에서 저장한다.
고체상 합성의 예
L-알라닌, L-리신, L-페닐알라닌 및 L-티로신으로 구성된 랜덤 공중합체 YFAK는 Wang 수지 상에서 보호된 형태로 제조된다. 사용된 수지는 Fmoc-L-Tyr(t- Bu)-Wang (0. 62 mmol/g), Fmoc-L-Phe-Wang (0.72 mmoVg), Fmoc-L-Ala-Wang (0.70 mmol/g), 및 Fmoc-L-Lys(Boc)-Wang (0.72 mmoVg)이었다. 4개의 F-moc 보호된 아미노산, 즉, Fmoc-L-Tyr(t-Bu)-OH, Fmoc-L-Phe-OH, Fmoc-L-Ala-OH, 및 Fmoc-L-Lys- OH이 각각의 커플링 단계 동안에 각각 1:1:10:6의 산출 몰비로 사용된다. 이 합성에서 사용된 다른 시약은 2-(l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BTU),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피페리딘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이다. 사용된 용매는 N-메틸피롤리돈(NMP), 이소프로판올(IsOH, IPA, i-PrOH),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이소프로필 에테르이다. 각각의 커플링에 대한 화학량론은 하기와 같다:
· 2 당량의 Fmoc 보호된 아미노산을 사용하여 잔기 1 내지 10;
· 이중 커플링을 갖는 2 당량의 Fmoc 보호된 아미노산을 사용하여 잔기 11 내지 30;
· 이중 커플링을 갖는 2.5 당량의 Fmoc 보호된 아미노산을 사용하여 잔기 31 내지 52.
점증적으로 보다 높은 알라닌 함량에 의한 YFAK 합성의 대표적 예시의 아미노산 산출비의 예는 하기와 같다:
Figure 112006090778821-PCT00004
Figure 112006090778821-PCT00005
유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공중합체 1은 Wang 수지 상에서 보호된 형태로 제조된다. 사용된 수지는 Fmoc-L-Tyr(t-Bu)-Wang (0.62 mmol/g), Fmoc-L-Glu- Wang, Fmoc-L-Ala-Wang (0.70 mmol/g), 및 Fmoc-L Lys(Boc)-Wang (0.72 mmoVg)이다. 4개의 F-moc 보호된 아미노산, 즉, Fmoc-L-Tyr(t-Bu)-OH, Fmoc-L-Glu-OH, Fmoc-L-Ala-OH, 및 Fmoc-L-Lys-OH가 각각의 커플링 단계 동안에 각각 1:2:6:5의 산출 몰비로 사용된다. 사용된 다른 시약 및 커플링 화학량론은 YFAK의 합성에서와 같다.
점증적으로 보다 높은 알라닌 함량에 의한 YFAK 합성의 대표적 예시의 아미노산 산출비의 예는 하기와 같다:
Figure 112006090778821-PCT00006
비천연 폴리펩티드 및 공중합체의 화학적 개질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천연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공중합체는 천연 및 합성 유도체, 예를 들어 셀레노시스테인으로 구성된다. 아미노산은 추가로 아미노산 유사체를 포함한다. 아미노산 "유사체"는 상이한 형태를 갖는 아미노산의 화학적으로 관련된 형태, 예를 들어, 이성질체, 또는 L 형태가 아닌 D 형태, 또는 해당 아미노산의 근접한 크기, 전하 및 형상을 지니는 유기 분자, 또는 펩티드 결합에 관여된 원자에 대한 변형을 지닌 아미노산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중합체는 L- 또는 D-아미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L-아미노산은 가장 많은 천연 단밸질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D-아미노산은 시판되고 있으며, 본 발명의 터폴리머 및 기타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아미노산 전부 또는 일부 대신에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L- 또는 D-아미노산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D- 및 L-아미노산 둘 모두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는 상이한 화학 부분을 대체하거나 부착시키므로써 추가로 개질된 이러한 선형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이러한 개질은 피검체내 공중합체의 단백질 분해를 억제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소정의 잔기 위치에서 일어난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 개질은 하나 이상의 프롤린 잔기의 서열에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잔기는 카르복시- 및 아미노 말단중 한 이상에 존재하고, 추가로, 프롤린은 카르복시- 및 아미노 말단 중 하나 이상의 4개의 잔기 내에서 존재할 수 있다. 추가로, 아미노산 개질은 D-아미노산의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는 펩티도미메틱이다. 펩티도미메틱은 펩티드 및 단백질에 기초하거나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 펩티도메틱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순수한 아미노산 잔기의 구조적 변경에 의해, 예를 들어, 비천연 아미노산, 형태 억제제, 등입체성 대체 등을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도미메틱은 펩티드와 비펩티드 합성 구조 간에 구조적 공간의 연속체를 구성한다.
이러한 펩티도미메틱은 비가수분해성(예를 들어, 프로테아제, 또는 상응하는 펩티드 공중합체를 분해시키는 다른 생리 조건에 대해 증가된 안정성), 증가된 특이성 및/또는 효능인 것과 같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 목적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 유사체는 예를 들어, 벤조디아제핀(참조: Freidinger et al. in "Peptides: Chemistry and Biology," G.R. Marshall ea., ESCOM Publisher: Leiden, Netherlands, 1988), 치환된 감마 락탐 고리(참조: Garvey et al. in "Peptides: Chemistry and Biology," G.R. Marshall ea., ESCOM Publisher: Leiden, Netherlands, 1988, pl23), C-7 모방체 (참조: Huffman et al. in "Peptides: Chemistry and Biology," G. R. Marshall ea., ESCOM Publisher: Leiden, Netherlands, 1988, p. 105), 케토-메틸렌 슈도펩티드(참조: Ewenson et al.,1986, J. Med. Chem. 29:295; and Ewenson et al. in "Peptides: Structure and Function (Proceedings of the 9th American Peptide Symposium)," Pierce Chemical Co. Rockland, IL, 1985), β-턴(turn) 디펩티드 코어(참조: Nagai et al., 1985, Tetrahedron Lett. 26.647; and Sato et al., 1986, J: Chem. Soc. Perkin Trans. 1:1231), β-아미노알코올(참조: Gordon et al., 1985, Biochem. Biophys. Res. Commun. 126:419; and Dann et al., 1986, Biochem. Biophys. Res. Commun. 134:71), 디아미노케톤(참조: Natarajan et al., 1984, Biochem. Biop1ys. Res. Commun. 124:141), 및 메틸렌아미노 개질된 것들(참조: Roark et al. in "Peptides: Chemistry and Biology," G.R. Marshall ea., ESCOM Publisher: Leiden, Netherlands, 1988, pl34)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문헌(Session III: Analytic and synthetic methods, in "Peptides: Chemistry and Biology," G.R. Marshall ea., ESCOM Publisher: Leiden, Netherlands, 1988)을 참조하라.
랜덤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폴리펩티드의 합성 동안에, 또는 공중합체가 합성된 후에 조절될 수 있다. 폴리펩티드 합성 동안에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해, 합성 조건 또는 아미노산의 양은 폴리펩티드가 목적하는 적합한 길이에 도달하는 경우에 합성을 멈추도록 조절된다. 합성 후에, 분자량 사이징 컬럼 또는 겔 상에서의 폴리펩티드의 크로마토그래피, 및 목적하는 분자량의 수집과 같은 임의의 이용가능한 크기 선별 절차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어 산 또는 효소적 가수분해에 의해 고분자량 화학종으로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후, 정제하여 산 또는 효소를 제거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목적하는 분자량을 갖는 랜덤 공중합체가 보호된 폴리펩티드를 브롬화수소산과 반응시켜 목적하는 분자량 프로파일을 갖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틸-폴리펩티드를 형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반응은 하나 이상의 시험 반응에 의해 사전결정된 시간 및 온도로 수행된다. 시험 반응 동안에, 시간 및 온도는 달라지며, 주어진 시험 폴리펩티드 배치(batch)의 분자량 범위가 측정된다. 이러한 폴리펩티드의 배치에 대한 최적의 분자량 범위를 제공하는 시험 조건이 상기 배치에 대해 사용된다. 따라서, 목적하는 분자량 프로파일을 갖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틸-폴리펩티드가 보호된 폴리펩티드를 시험 반응에 의해 사전결정된 시간 동안 소정의 온도에서 브롬화수소산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후, 목적하는 분자량 프로파일을 갖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틸-폴리펩티드는 추가로 피페리딘 수용액으로 처리되어 목적하는 분자량을 갖는 저독성의 폴리펩티드를 형성시킨다.
일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소정의 배치로부터 보호된 폴리펩피드의 시험 샘플을 약 20 내지 28℃의 온도에서 약 10 내지 40시간 동안 브롬화수소산과 반응시켰다. 이러한 배치에 대한 최상 조건은 수개의 시험 반응을 수행하므로써 결정된다. 예를 들어, 일 구체예에서, 보호된 폴리펩티드는 약 26℃에서 약 17시간 동안 브롬화수소산과 반응한다.
몇몇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랜덤 공중합체는 국제 PCT 공개 번호 WO 00/05250, WO 00/05249; WO 02/59143, WO 0027417, WO 96/32119, 미국 특허 공개 번호 2004/003888, 2002/005546, 2003/0004099, 2003/0064915 및 2002/0037848, 미국 특허 번호 제 6,514,938호, 제 5,800,808호 및 제 5,858,964호에 개시된 것들 및 PCT 출원 PCT/US05/06822호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참고문헌은 추가로, 랜덤 공중합체의 합성 방법,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랜덤 공중합체의 치료적 제형, 랜덤 공중합체를 피검체에 투여하는 방법,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될 수 있는 질병, 및 랜덤 공중합체와 함께 피검체에 동시 투여될 수 있는 추가의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작용제를 기술하고 있다. 상기 모든 특허, 출원 및 공개 문헌의 내용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상기 예는 단지 예시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조성물은 상기 일반적인 기준을 고수하는 경우, 성분과 관련하여, 그리고 성분의 상대적 비율에 대해 달라질 수 있다.
IV. 질병
본 발명은 피검체의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발병의 위험성이 있거나 질병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거나, 질병이 있는 피검체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은 T-세포, 특히 TH1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을 포함하고, 염증 시토킨의 과잉으로 인해 악화된 빌명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특히 심장, 폐 또는 신장에 대한 전신적 허혈 또는 국부적 허혈에 의해 야기된 것들을 포함하는 허혈 손상을 포함하는 질병을 치료한는 데 사용된다. 몇몇 구체예에서, 염증은 패혈성 쇼크, 아낙필락시스성 쇼크, 독소성 쇼크 증후군, 악액질, 괴사, 괴저, 보철 임플란트, 또는 타입 I 과민성, 타입 II 과민성, 타입 III 과민성, 타입 IV 과민성, 즉각형 과민성, 항체 매개된 과민성, 면역 복합체 매개된 과민성, T 림프구 매개된 과민성 및 지연형 과민성을 포함하는 과민성과 관련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질병은 심근경색, 심장정지, 허혈-관류 손상, 울혈성 심장 질환, 심독성, 기생충 감염으로 인한 심장 손상, 전격성 심장 아밀로이드증, 심장 수술, 심장 이식, 외상성 심장 손상, 흉부 대동맥류의 외과적 교정, 부신 대동맥류, 혈액 손실로 인한 출혈 효크, 심근 경색 또는 심부전으로 인한 심장성 쇼크, 아나필락시스, 불안정형 관동맥 증후군, 빈맥, 서맥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은 자가면역 질병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자가면역 질병은 세포 매개된 질병(예를 들어, T-세포) 또는 항체 매개된(예를 들어, B 세포) 질환을 포함한다. 이러한 질환은 특히 관절염 질환, 탈수초성 질병 및 염증성 질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다발성 경화증, EAT, 시신경염, 급성 횡단성 척수염, 및 급성 파종성 뇌염을 포함하는 탈수초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특히 적용된다. 일 특정 구체예에서, 임의의 자가면역 질병은, 고려된 폴리펩티드가 자가면역 질병과 관련된 MHC 클래스 II 단백질과 결합하는 한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에 의해 치료될 수 있다. 질병의 진행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임상적 또는 진단적 증상을 모니터링하므로써 측정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원에서 제시된 방법에 의해 치료된 질병은 "관절염 질환"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관절염 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하나 이상의 증상이 포유 동물의 하나 이상의 관절, 예를 들어, 어깨, 무릎, 둔부, 척추 또는 포유 동물의 손가략에서 관찰되는 질환이다. RA는 백인중 약 1%의 유병율을 갖는 일반적인 사람 자가면역 질병(Harris, B. J. et al., 1997, In Textbook of Rheumatology 898-932)이며, 현재 250만명의 미국인들이 앓고 있다. RA는 활액 관절의 만성 염증 및 활성화된 T 세포, 마크로파지 및 혈장 세포에 의한 침윤에 의해 특징되며, 관절 연골의 진행성 파괴를 유발한다. 관절 질병의 가장 심각한 형태이다. RA에 대한 유전 감수성은 MHC 클래스 II DRB1 자리에 대립형 DRB1*0401, DRB1*0404, 또는 DRB 1 *0405 또는 DRB 1 *0101 대립형을 갖는 병이 있는 피검체와 강력하게 관련된다. RA 내 자가항원(들)의 특성은 잘 이해되는 것은 아니지만, 콜라겐 타입 II(CII)가 우세한 후보물질이다. 잔기 261-273에 상응하는 면역우성 T 세포 에피토프가 확인되었다[참조: Fugger, L. et al., 1996, Eur. J. Immunol. 26: 928-933].
관절염 질환의 또 다른 예는 하나의 관절보다 더 많이 영향을 받은 관절염 질환인 "다발성 관절염", 21세 이하의 관절염 질환인 "연소자성 관절염", 및 호중구감소증, 비종대, 체중 감소, 빈혈, 림프절 병증, 피부의 흑색 반점의 증상을 포함할 수 있는 펠티 증후군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원에서 제시된 방법에 의해 치료되는 질병은 다발성 경화증(MS)이다. 다발성 경화증에 대한 질병 과정은 매우 변화되고, 예측불가능하며,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이장성을 나타낸다. MS의 병리적 특징은 다중심성, 다발성 CNS 염증 및 탈수초증이다. 수개월 또는 수년의 이장성은 특히 질병 초기에 우발을 분리시킬 수 있다. 재발-이장성(RR) 타입의 환자의 약 70%는 완전 또는 부분적 이장성과 함께 급성 악화에 의해 특징된다. 만성 진행성 MS가 있는 나머지 환자는 (a) 일차 진행성(PP), (b) 재발 진행성(RP)(이는 RR 및 RP의 특징을 합한 패턴이고, 임상적 심각도에서 중간정도이다), (c) 2차 진행성(SP)(이는 시간에 따라 RR 진행을 갖는 많은 환자이다)로 추가로 나뉜다. 특정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치료되는 질병은 재발-이장성 다발성 경화증이다.
MS의 임상적 증상은 감각 손실(감각 이상), 운동(경련에 대한 2차적 근경련), 및 자율신경(방광, 장, 성기능 부전) 척수 증상; 소뇌 증상(예를 들어, 다이사르트나(dysarthna)의 샤르코트 트리아드(Charcot triad), 운동실조, 떨림 ; 피로 및 졸림; 신경병리 시험에 대한 정보 처리에서의 손상; 외측 주시시의 복시를 포함하는 눈 증상; 삼차신경통 및 시신경염을 포함한다.
MS에서 자가항원은 수개의 수초 단백질(예를 들어, 단백지질(PLP); 수초 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MAG), 수초 관련된 희소돌기아교세포 염기성 단백질(MBOP); 시트룰린 개질된 MBP(6개의 아르기닌이 시트룰린으로 데이미네이션(deiminated)된 MBP의 C8이소형), 시클릭 누클레오티드 포스포디에스테라제(CNPase), 알파-B 결정 등)이다. 내재성 막 단백질 PLP는 우세한 수초 자가항원이다. 미세아교세포 및 마크로파지는 항원 제공 세포로서 결합하여 수행하여, 시토킨, 염증성 과정의 보충 조절제 및 그 밖의 조절제의 활성화를 초래하고, 특정 희소돌기아교세포 및 이들이 막 수초를 표적화한다. IFN-γ 분비능이 있는 수초-자가반응성 TH1 세포에서의 정량적 증가는 MS 및 EAE의 병인론과 관련되며, 이는 MS 환자의 말초혈내 자가면역 인듀서/헬퍼 T 림프구가 MS가 있는 환자의 탈수초 과정을 개시시키고/거나 조절할 수 있다. 다른 한편, IL-4 및 IL-10과 같은 항염증성 시토킨을 생성하는 TH2 세포의 보호 역할에 대해서는 확장된 문헌에 있다. 세포의 TH1에서 TH2 타입으로의 밸런스 이동은 MS 및 EAE의 예방 및 치료에 유리한 것으로 예상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원에서 제시된 방법에 의해 치료되는 질병은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이다. 인간 타입 I 또는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IDDM)은 췌장 랑게르한스섬내 세포의 자가면역 파괴에 의해 특징된다. β-세포의 고갈은 혈액내 당 수준을 조절할 수 없게 한다. 명백한 당뇨는 특정 수준, 보통 약 250mg/dl 초과로 혈당 수준이 상승하는 경우에 일어난다. 사람의 경우, 당뇨 발병에 앞서 장기간의 사전 증상 기간이 선행한다. 이러한 기간 동안에는 췌장 베타 세포 기능이 점증적으로 소실된다. 발병은 인슐린, 글루탐산 데카르복실라제 및 티로신 포스파타제 IA2(IA2)에 대한 자가항체의 존재에 의해 관련되며, 자가 단백질, 자가 폴리펩티드 또는 자가펩티드의 예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다. 사람 IDDM은 현재 혈당 수준을 모니터링하여 재조합 인슐린의 주입, 또는 펌프 기재 전달을 안내하므로써 치료된다. 다이어트 및 운동 섭생이 적합한 혈당 조절을 달성하는 데 기여한다.
사전 증상 단계 동안에 평가될 수 있는 마아커는 췌장내 인슐린염의 존재, 췌도세포 항체의 수준 및 개수, 췌도 세포 표면 항체, 췌장 베타 세포 상의 클래스 II MHC 분자의 이상 발현, 혈액중 당 농도, 인슐린의 혈장 농도이다. 췌장내 T 림프구의 수, 췌도세포 항체 및 혈당의 증가가 질병의 징후이며, 이에 따르면 인슐린 농도가 감소한다.
혈청내 다양한 특이성을 갖는 자가항원의 조합물의 존재는 사람 타입 I 당뇨병에 대해 매우 민감하고 특이적이다. 예를 들어, GAD 및/또는 IA-2에 대한 자가항원의 존재는 대조군 혈청으로부터 타입 I 당뇨병을 확인하는 데 약 98% 민감하고 99% 특이적이다. 타입 I 당뇨병 환자의 비당뇨병인 1촌 이내의 가족에 있어서, GAD, 인슐린 및 IA-2를 포함하는 세개의 자가항원 중 2개에 대해 특이적인 자가항원의 존재는 5년 이내에 타입 I DM의 발병에 대해 90% 초과의 양성 예측율을 전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원에 제시된 방법에 의해 치료되는 질병은 자가면역 포도막염이다. 자가면역 포도막염은 미국에서 매년 43,000건이 새롭게 발생하여 400,000명의 앓는 것으로 추정되는 눈의 자가면역 질병이다. 자가면역 포도막염은 최근 스테로이드계 면역억제제, 예컨대 메토트렉세이트 및 시클로스포린, 정맥내 면역글로불린 및 TNFα-항원으로 치료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원에 제시된 방법에 의해 치료되는 질병은 실험적 자가면역 포도막염(EAU)이다. EAU는 중립의 망막, 포도막 및 눈에서 관련된 조직을 목표로 하는 T 세포 매개된 자가면역 질병이다. EAU는 사람 자가면역 포도막염과 많은 임상적 및 면역학적 특징을 공유하며, 완전 프로인트 보조제(CFA)중에 에멀젼화된 포도막염생성 펩티드의 말초 투여에 의해 유도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원에 제시된 방법에 의해 치료되는 질병은 원발성 담즙 간경변(PBC)이다. PBC는 40 내지 60세의 여성들이 주로 걸리는 기관 특이적 자가면역 질병이다. 이러한 그룹 중에서 보고된 유병율은 1000명당 1명에 이른다. PBC는 작은 간내 담관에 라이닝된 간내 담즙 상피 세포(IBEC)의 진행성 파괴에 의해 특징된다. 이는 담즙 분비를 방해하고 간섭하여 궁극적으로 간경변의 원인이 된다. 쇼그렌 증후군, CREST 증후군, 자가면역 갑상선 질병 및 류마티스 관절염을 포함하여 상피 라이닝/분비 시스템의 손상에 의해 특징되는 다른 자가면역 질병과 함께 보고되어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원에 제시된 방법에 의해 치료되는 질병은 복강 질병이며, 이는 또한 복강부전증 또는 글루텐 과민성 장질환으로서 공지되어 있다. 복강 질병은 밀, 보리 및 오트에 존재하는 글루텐 또는 이의 생성물인 글리아딘(gliadin) 및 글루테닌(glutenin)을 포함하는 곡물 저장 단백질에 대한 과민성으로 인한 위장관 흡수 장애로부터 초래되는 질병이다. 이 질병은 식이 항원으로서 글리아딘을 인지하는 CD4 세포에 의해 유발되며, 이러한 세포는 Th1 매개된 만성 염증성 반응을 유발한다. 증상은 설사, 체중 감소 및 지방변증을 포함하며, 융모위축 및 흡수장애가 관찰된다. 또한, 포진형 피부염인 소수포성 피부 발진과 관련될 수 있다. 복강 질병은 DQA1*0301 및 DQA1*0501과 조합되는 대립형 DQB1*0302 및 DQB1*0201과 관련된다. 환자의 95%는 DQB1*0201 또는 DQB1*0302를 지닌다. 강력한 HLA 결합은, 글리아딘 및 글루테닌으로부터 유래된 글루타민 풍부 펩티드의 아미노산 분해된 변이형을 충분히 제공하는, DQB1*0201, DQA1*0501, DQB1*0302 및 DQA1*0301에 의해 코드화된 DQ 분자의 능력으로 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피검체의 자가면역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추가로 자가항원에 반응성인 T 세포의 증식 또는 기능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자가면역 질병 및 면역 거부의 병리적 과정은 T 세포에 의해 매개된다. 항원에 결합하여 항원을 인지하면, T 세포는 시토킨을 증식하고 분비하고, 그 부위에 대해 추가의 염증성 및 세포독성 세포를 채용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피검체의 자가면역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본원에 기술된 방법은 랜덤 공중합체를 자가면역 질병과 관련된 주요 조직적합성 복합체 클래스 II 단백질에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클래스 II MHC 단백질은 마크로파지와 같은 항원제공 세포 및 B 림프구의 표면 상에서 주로 발현된다. 이러한 클래스 II MHC 단백질은 항원성 펩티드가 T 세포에 제공되는 부위인 펩티드 결합 클레프트를 갖는다.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가 주요 조직적합성 복합체 클래스 II 단백질에 결합하는 경우, 이러한 랜덤 공중합체는 항원 제공 및/또는 T 세포 활성화를 차단하거나 다르게는 방해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치료되는 질병은 숙주대이식편 질병(HVGD) 또는 이식편대숙주 질병(GVHD)이다. 기관 이식 및 골수 재구성과 같은 이식 시스템은 많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의 중요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이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면역 거부는 성공적인 식에 큰 장애이다. 이는 기관 이식의 경우에 기능 악화 및 이식편 거부에서 명백하게 된다(숙주대이식편 질병, 또는 HVGD). 병리적 면역 반응성의 또 다른 증상은 골수 수혜자의 약 30%에서 발생하는 GVHD이다. GVHD가 발병하는 환자의 절반 정도는 이러한 과정으로 사망한다. 이러한 높은 질병율 및 사망율은 GVHD의 조절 또는 억제 가능성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도록 하였다. 임상병리학적으로, 두가지 형태의 GVHD가 인지되었다. 급성 GVHD는 골수 이식 후 최초 3개월 이내에 발병하고, 피부, 간 및 위장관 장애를 특징으로 한다. 만성 GVHD는 이식 후 3개월 내지 3년에 나타나는 다기관 자가면역형 질병이며, 전신 루푸스 홍반증(SLE) 및 경피증과 같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자가면역 질병과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한다. 본원에서 기술된 방법은 급성 및 만성 GVHD 둘 모두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의 특정 구체예에서, 공중합체 1 또는 YFAK 랜덤 공중합체가 GVHD가 발병하는 기관 이식의 모든 경우에, 특히 태아 흉선 이식, 보다 특히 동종 골수 이식에서의 GVHD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조절 섭생하에 있는 환자에게, GLAT 공중합체가 이식일 2일 전에, 그리고 이식 후 60 내지 100일, 적어도 60일 동안 치료 섭생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기간의 섭생은 24, 30, 36, 42 또는 48시간 초과의 간격으로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시클로스포린, 메토트렉세이트 및 프레드니손과 같은 다른 면역억제제가 공중합체 1의 공중합체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 급성 비림프구성 백혈병(ANLL),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및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과 같은 백혈병, 중증 합병성 면역결핍 증후군(SCID), 골화석증, 재생불량성 빈혈, 고셔병, 탈라세미아(thalassemia) 및 기타 선천적인 또는 유전적으로 결정된 조혈 또는 대사 이상을 포함하는 골수 이식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골수 이식 과정에서의 GVHD의 예방 및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신경 재생을 촉진하거나, 다르게는 원발성 신경계 손상, 예를 들어, 폐쇄성 두부 손상 및 둔상(예컨대 위험한 스포츠 참여에 의해 유발된 손상), 관통상(예컨대, 총상), 출혈성 뇌졸중, 허혈성 뇌졸중, 녹내장, 뇌허혈, 또는 종양 절제와 같은 수술에 의한 손상이 일어날 수 있는 2차 퇴행을 예방하거나 억제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성물은 퇴행성 과정,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여러 질병 또는 질환의 결과로서 회색질 또는 회백질(또는 둘 모두)에서 발생하는 퇴행을 초래하는 질병의 결과를 개선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 노인성 치매,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안면신경마비, 녹내장, 헌팅톤 무도병,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 간질지속상태, 비동맥 시신경증, 추간판탈출증, 비타민 결핍증, 프리온 질병(예컨대, 크루츠펠트-야콥병), 팔목터널 증후군, 하기 기재되는 것과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여러 질병과 관련된 말초 신경염 - 요독증, 포르피린증, 저혈당증, 쇼그렌 라르손 증후군, 급성 감각 신경병증, 급성 운동실조 신경병증, 담증성 경화증, 원발성 아밀로이드증, 폐쇄성 폐질환, 말단거대증, 흡수장애 증후군, 진성 적혈구 증가증, IgA 및 IgG 감마병증, 여러 약물(예를 들어, 메트로니다졸) 및 독소(예를 들어, 알코올 또는 유기포스페이트)의 합병증, 샤르코-마리-투스병, 운동실조 확장증(ataxia telangectasia), 프리드라이히 운동실조,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 척수신경병증, 거대 축삭 신경병증, 레프섬병 피브리병, 지단백혈증 등.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랜덤 공중합체의 투여를 통해 치료될 수 있는 또 다른 임상적 질환은 간질, 기억상실증, 불안증, 통각과민증, 정신병, 발작, 안내압 이상상증, 산화적 스트레스, 및 아편제 내성 및 의존성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치료되는 질병은 다발성 경화증, 타입 I 당뇨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크론병,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 루푸스(SLE), 위염, 자가면역성 간염,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 혈우병, 자가면역 림프증식증후군(ALPS), 자가면역 포도망막염, 사구체신염, 귈라인-마레 증후군, 건선,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 뇌척수염, 굿파스튜어 증후군, 그라브병, 부신생물성 천포창, 자가면역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항콜라겐 항체에 의한 경피증, 혼합성 결합조직 질병, 악성 빈혈, 다발성근육염, 특발성 애디슨병, 자가면역 관련 불임, 사구체신염, 수포성 유천포창, 쇼그렌 증후군, 특발성 점액수종, 및 대장염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예에서, 피검체는 하나 이상의 질병을 앓고 있다.
V. 치료 조성물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는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공중합체 및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피검체에 투여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임의의 용매, 분산 매질 또는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코팅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담체가 정맥내, 근내, 경구, 복강내, 경피, 국소 또는 피하 투여에 적합하다. 한 예시적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생리 염수이다.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이들의 제형이 널리 공지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8th Ed., ed. Gennaro,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1990)]에 개시되어 있다. 다양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가 당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문헌[Handbooks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4th ed., Ed. Rowe et al. Pharmaceutical Press, Washington, D. C.)]에서 발견될 수 있다. 조성물은 용액, 마이크로에멀젼, 리포좀, 캡슐, 정제, 또는 치료 방법에 대하여 상기 기술된 다양한 투여 경로에 적합한 다른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활성 성분은 표적 작용 부위에 도달하기 전에 환경에 의해 불활성화되는 것을 막기 위한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투여시에 무균성이고, 비발열성이며, 바람직하게는 제조 및 저장 조건 하에서 안정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약제 조성물은 서방성 제형이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공중합체의 인접한 환경으로의 방출 속도를 조절하는 생리적으로 적합한 중합체 또는 매트릭스와 혼합될 수 있다. 제어된 방출 또는 서방성 조성물은 친지성 데포(예컨대, 지방산, 왁스, 오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서, 약제 조성물은 오일 및 에멀젼화제로 제형화된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유중수 미세입자 및/또는 에멀젼을 형성한다. 오일은 주위 온도 내지 약 체온에서 비독성의 소수성 액체 예컨대, 해바라기씨유, 콩유, 옥수수유 및 캐놀라유를 포함하는 식용유; 또는 광유일 수 있다. 화학적으로 규정된 오일 물질 예컨대, 라우릴 글리콜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구체예에 유용한 에멀젼화제는 스팬(Span) 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및 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 조성물은 수용액으로서 제조되며, 95% 내지 65% 오일 예컨대, 광유 및 5% 내지 35% 에멀젼화제 예컨대, 스팬 20에 분산된 유중수 에멀젼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에멀젼은 오일 및 에멀젼화제 보다는 명반으로 제형화된다. 이들 에멀젼 및 미세입자는 랜덤 공중합체의 흡수 속도를 감소시키고, 조정된 항원 전달을 달성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약제 조성물은 또한, 치료학적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추가적 활성제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랜덤 공중합체 예컨대, 공중합체 1(Copolymer 1)(YEAK, CopaxoneTM)일 수 있으며, 이는 상이한 HLA 분자인 항체에 결합하며, 이는 원하지 않는 염증 분자 또는 사이토킨 예컨대, 인터루킨-6, 인터루킨-8,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 및 종양 괴사 인자-α; 효소 억제제 예컨대, 프로테아제 억제제 아프로티닌 또는 시클로옥시게나아제 억제제; 항생제 예컨대, 아목시실린, 리팜피신, 에리트로마이신; 항바이러스제 예컨대, 아시클로버; 스트로이드 항영즘제 예컨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예컨대,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또는 아세트아미노펜; 또는 비염증성 사이토킨 예컨대, 인터루킨-4 또는 인터루킨-10에 결합한다. 기타 사이토킨 및 성장 인자 예컨대, 인터페론-β, 종양 괴사 인자, 항혈관형성 인자, 에리트로포이에틴(erythropoietin), 트롬보포이에틴(thrombopoietin), 인터루킨, 성숙 인자, 주화성 단백질, 및 유사한 생리학적 활성을 갖는 이들의 변이체 및 유도체가 또한 추가적인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추가적인 치료학적 활성제는 항-건선 크림, 안약, 점비약, 설파살라진,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프로필티오우라실, 메티마졸(methimazole), I131, IFN-β1a, IFN-β1b, 글루코코르티코이드, ACTH, 아보넥스(avonex), 아자티오푸린, 시클로포스파미드, UV-B, PUVA,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칼시피트리올(calcipitriol), 시클로포스파미드, OKT3, FK-506, 시클로스포린 A, 아자티오피린(azathioprine) 및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mycophenolate mofetil)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또한, 항-비만 약물과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항-비만 약물은 P-3 아고니스트, CD-1 안타고니스트, 식욕 억제제 예컨대, 시부트라민 (Meridia), 및 리파아제 억제제 예컨대, 오릴스타트(orlistat)(Xenical)을 포함한다. 본 공중합체는 또한 당뇨병 환자에서 리피드 질환을 치료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물과 혼합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약물은 HMC-CoA 환원효소 억제제, 니코틴산, 담즙산 격리제 및 피브릭산 유도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항-고혈압성 약물 예컨대, β-차단제, 카텝신 S 억제제 및 ACE 억제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β-차단제의 예로는 아세부톨롤, 비소프롤롤, 에스몰롤, 프로판올롤, 아테놀롤, 라베탈롤, 카르베딜롤 및 메토프롤롤이 있다. ACE 억제제의 예로는 캅토프릴(captopril), 엔알라프릴(enalapril), 리시노프릴(lisinopril), 벤아자프릴(benazepril), 포시노프릴(fosinopril), 라미프릴(ramipril), 퀴나프릴(quinapril), 페린도프릴(perindopril), 트란도라프릴(trandolapril), 및 모엑시프릴(moexipril)이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i)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ii) 질환 예컨대, 자가면역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24시간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36시간 초과의 간격을 두고 피검체에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한 구체예에서, 자가면역 질병은 다발성 경화증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1(Copolymer 1)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약 24, 30, 36, 42, 48, 54, 60, 66, 72, 78, 84, 90, 96, 102, 108, 114, 120, 126, 132, 138, 144, 150, 156, 162, 168, 174, 180, 186, 192, 198, 204, 210, 216, 222, 228, 234, 또는 240 시간 초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중간 시간의 간격을 두고 투여하기 위한 용량으로 제형화된다. 본원에 기술된 키트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설명서는 랜덤 중합체가 매 약 24, 30, 36, 42, 48, 54, 60, 66, 72, 78, 84, 90, 96, 102, 108, 114, 120, 126, 132, 138, 144, 150, 156, 162, 168, 174, 180, 186, 192, 198, 204, 210, 216, 222, 228, 234, 또는 240시간 또는 이들 중간 시간의 간격을 두고 투여되도록 지시하고 있다. 키트는 추가적인 요소 예컨대, 패키징 및 공중합체 투여용의 하나 이상의 장치 예컨대, 피하용 주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이적 구체예에서, 자가면역 질병은 다발성 경화증, 타입 I 당뇨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크론병,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SLE), 위염, 자가면역 간염,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 혈우병, 자가면역 림프증식성 증후군(ALPS), 자가면역 망막염, 사구체신염, 궐레인-바레 증후군, 건선, 중증성 근무력증, 자가면역 뇌척수염, 굿파스튜어 증후군, 그라브병, 부신생물성 천포창, 자가면역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항-콜라겐 항원을 갖는 경피증, 혼합된 연결성 조직 질환, 악성 빈혈, 다발성근염, 특발성 애디슨병, 자가면역-관련 불임, 수포성 유천포창, 쇼그렌 증후군, 특발성 점액수종 및 장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VI. 치료 방법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질환 예컨대, 자가면역 질병에 걸린 피검체 또는 질환에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피검체에 치료학적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함으로써, 상기 피검체를 치료하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랜덤 공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의 피하내 투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고려된다. 피하 주입은 TH2 반응에 치우치는 더욱 목적하는 면역 반응을 유도하며, 이는 특정 항원에 대한 관용에 기초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치료가 필요한 피검체의 면역을 조절하는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백신접종과는 구별될 수 있다. 성공적인 백신접종은 투여되는 백신의 면역원성에 의존적이며, 이는 백신중의 항원에 대해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항체의 역가를 증가시킨다. 반대로,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자체에 대한 높은 역가의 항체를 유도하지 않으면서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하기 실시예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의 유효성은 공중합체에 대한 항체 생성에 의존적이지 않으며, 따라서 백신접종과는 본질적으로 상이하다. 백신접종과 달리,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투여되는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는 질환-관련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며, 더욱 특이적으로는, 말초 관용을 유도한다. 중심관용과는 반대로 말초 관용은 더욱 안정적인 조정 현상을 나타낸다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양태는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여, 랜덤 공중합체 및 질환 관련 항원에 대한 말초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구체화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구체예는 치료학적 효과 예를 들어, 완화 증상을 유도하는데 가장 적은 유효량인 적합한 용량의 치료학적 공중합체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이다. 치료학적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피검체당 용량으로 투여되며, 이는 적합한 최소 개시 투여량으로서 약 2mg 이상, 약 5mg 이상, 약 10mg 이상, 또는 약 20mg 이상 또는 약 x mg (여기서, x는 1 내지 20의 정수임)의 하루당 투여량에 상응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의 한 구체예에서, 약 0.01 내지 약 500mg/kg의 용량이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적인 투여량은 하루당 피검체의 kg 당 화합물 약 50 내지 약 400 마이크로그램이다. 한 특이적 구체예에서, 투여되는 횟수에 상관없이 하루당 동일한 투여량은 약 5 내지 100mg/일,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40mg/일,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mg/일이다. 또 다른 특이적 구체예에서, 처리 요법에서 각각의 개별 투여량은 약 5 내지 100mg/1회 투여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40mg/1회 투여량,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mg/1회 투여량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피검체 및 이용된 특정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개별 피검체에 맞게 투여량을 조절하는 것이 당업계에서 통상적이다. 또한, 유효량은 무엇 보다도 화합물의 크기, 화합물의 생분해성, 화합물의 생활성 및 화합물의 생체이용율에 기초할 수 있다. 화합물이 신속하게 분해되지 않고, 생체이용가능하고, 고도로 활성인 경우, 더 적은 양이 필요할 것이다. 피검체에 적합한 실질적 투여량은 일반적인 개시점이 제공된 당업자 예를 들어, 의사 또는 수의사에 의해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 또는 수의사는 목적하는 치료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 보다 더 낮은 수준의 용량으로 약제 조성물중에 사용된 본 발명의 화합물로 개시하여, 목적하는 효과가 달성될 때 까지 시간에 따라 투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의사 또는 수의사는 일반적인 개시점으로서 코파손(CopaxoneTM)의 투여에 대한 권고사항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상, 용어 "치료 요법"은 하나 이상의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조성물의 치료학적, 완화적 및 예방학적 양상의 투여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 치료 요법은 특정 질환 또는 질병의 성질, 이의 중증도 및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기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1일 1회, 더욱 바람직하게는 매 36시간 또는 48시간 이상 동안 1회 내지 매월 또는 수개월 마다 1회로 연장될 수 있다. 처리 후, 환자의 상태 변화 및 질환 또는 질병 상태의 증상의 완화에 대해 모니터링된다. 올리고누클레오티드의 투여량은 환자가 현재 투여 수준에 현저하게 반응하지 않는 경우 증가될 수 있거나, 질환 또는 질병 상태의 증상이 완화되거나, 질환 또는 질병 상태가 해소되거나 허용불가능한 부작용이 개시 투여량으로부터 관찰되는 경우 투여량이 감소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치료학적 유효량의 랜덤 공중합체는 투여간에 36시간 이상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48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 요법으로 피검체에 투여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54, 60, 66, 72, 78, 84, 90, 96, 102, 108, 114, 120, 126, 132, 138, 144, 150, 156, 162, 168, 174, 180, 186, 192, 198, 204, 210, 216, 222, 228, 234, 또는 240 시간 또는 이에 해당하는 일(day) 이상의 간격을 두고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제제는 매 2일마다 투여되며, 다른 구체예에서는, 매주 투여된다. 두개의 공중합체가 피검체에 투여되는 경우, 이러한 공중합체는 동일 시간에 예컨대, 동시에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 예컨대,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의 투여는 서로 엇갈리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 48시간 마다 각각 투여되는 두개의 공중합체는 같은 날에 모두 투여될 수 있거나, 하루에 하나의 공중합체가 투여되면, 다른 공중합체는 다음날에 투여되는 교대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이, 더 긴 투여 기간을 갖는 결론적으로, 공중합체의 더 낮은 전체 노출로의 치료 요법은 공중합체 자체에 대한 더 낮은 역가의 항체를 유도하는 반면, 여전히 목적하는 보호 효과는 유도한다. 이러한 중화 항체의 감소는 바람직한데, 이는 랜덤 공중합체 조성물이 중화되지 않으면서 이의 유효성을 보유하는 것을 돕는 것으로 여겨지며, 과민성 쇼크의 위험성을 줄이면서 질환의 안전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있기 때문이다. 더 긴 간격의 치료 요법이 또한 바람직한데, 이들이 TH2 반응에 대한 경향을 강화시키기 때문이며, 이는 랜덤 공중합체 치료를 위한 작용 모드인 것으로 여겨진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불균일한 간격을 포함하는 치료 요법으로 투여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간격은 24, 30, 36, 42, 48, 54, 60, 66, 72, 78, 84, 90, 96, 102, 108, 114, 120, 126, 132, 138, 144, 150, 156, 162, 168, 174, 180, 186, 192, 198, 204, 210, 216, 222, 228, 234, 또는 240 시간 또는 이에 해당하는 일 이상이다.
한 구체예에서, 중합체는 치료 요법 동안 투여 사이에 2회 이상의 간격을 두도록 3회 이상으로 피검체에 투여된다. 이들 간격은 I1 및 I2로 표시될 수 있다. 중합체가 4회 투여되는 경우, 3회와 4회 투여간의 추가적인 간격 I3이 있어 투여의 제공된 횟수 "n"에 대한 간격 수는 n-1이 되게 된다. 따라서, 한 구체예에서, 투여간의 하나 이상의 간격은 약 24, 30, 36, 42, 48, 54, 60, 66, 72, 78, 84, 90, 96, 102, 108, 114, 120, 126, 132, 138, 144, 150, 156, 162, 168, 174, 180, 186, 192, 198, 204, 210, 216, 222, 228, 234, 또는 240 시간 초과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n-1의 총 간격 수의 1%, 2%, 3%, 4%, 5%, 10%, 15%, 20%, 25%, 30%, 40%, 50%, 60%, 70%, 80%, 90% 또는 95% 이상은 약 24, 30, 36, 42, 48, 54, 60, 66, 72, 78, 84, 90, 96, 102, 108, 114, 120, 126, 132, 138, 144, 150, 156, 162, 168, 174, 180, 186, 192, 198, 204, 210, 216, 222, 228, 234, 또는 240 시간 이상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투여간의 평균 시간 간격 ((I1 +I2 +...+In-1)/n-1)은 24, 30, 36, 42, 48, 54, 60, 66, 72, 78, 84, 90, 96, 102, 108, 114, 120, 126, 132, 138, 144, 150, 156, 162, 168, 174, 180, 186, 192, 198, 204, 210, 216, 222, 228, 234, 또는 240 시간 또는 2주 이상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투여 요법은 2개 이상의 상이한 간격 세트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 1 파트의 투여 요법은 피검체에 매일, 2일 마다 또는 3일마다 한번 예를 들어, 약 22mg 공중합체/피검체의 몸체 표면적 m2으로 투여하는 것이며, 여기서 피검체는 사람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서, 투여 요검은 피검체에 2일마다, 3일마다, 일주일마다, 이주일마다 또는 매달마다 한번 투여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2일 또는 3일에 한번으로의 투여 용량은 각각 약 65mg/m2 및 110mg/m2 이하일 수 있다. 매주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투여 요법에 있어서, 투여량은 약 500mg/m2 이하를 포함하며, 매 2주 또는 매달마다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투여 요법에 있어서는, 1.5g/m2 이하가 투여될 수 있다. 투여 요법의 제 1 파트는 30일 이하 예를 들어, 7, 14, 21 또는 30일 동안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매주, 매 14일마다 또는 매달마다 투여되는 일반적으로 더 적은 노출 (스텝-다운 투여량)로 상이한 더 긴 간격 투여로의 투여 요법의 후속적인 제 2 파트는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매주 500mg/몸체 표면적 m2 내지 최대 약 1.5g/몸체 표면적 m2 이하로 4주 내지 2년 이하, 예를 들어, 4, 6, 8, 12, 16, 26, 32, 40,52, 63, 68, 78, 또는 104 주 동안 연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질환이 경감되거나 일반적으로 개선되는 경우, 투여량은 최대량 보다 낮게 예를 들어, 매주 140mg/몸체 표면적 m2으로 유지될 수 있다. 스텝-다운 투여량 요법 동안, 질환 상태가 나빠진다면, 효과가 관찰될 때 까지 제 1 투여 요법을 다시 시작할 수 있으며, 그 후 제 2 투여 요법이 이행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은 필요에 따라 여러번 반복될 수 있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의 한 양태는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가능한 질환의 치료이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는 고체상 화학반응으로 합성된 각각 약 1.0:1.0:10.0:6.0의 투입 몰비로 조성물 YFAK (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리신)의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가능한 질환을, 치료가 필요한 사람 피검체에 약 22mg/몸체 표면적 m2을 매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투여 요법으로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함으로써 치료하는 방법이며, 여기서 공중합체는 52개 아미노산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부 구체예에서, 투여 요법은 피검체에 2일 마다, 3일마다, 매주마다, 이주마다 또는 매달마다 투여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2일 또는 3일마다 투여하기 위한 용량은 각각 약 65mg/m2 및 110mg/m2 이하일 수 있다. 매주 랜덤 공중합체의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투여 용법에 있어서, 투여량은 약 500mg/m2 이하를 포함하며, 매 2주 또는 매달마다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투여 요법에 있어서는 1.5g/m2 이하가 투여될 수 있다. 투여 요법의 제 1 파트는 30일 이하 예를 들어, 7, 14, 21 또는 30일 동안 투여될 수 있다. 매주, 매 14일마다 또는 매달마다 투여되는 일반적으로 더 적은 노출 (스텝-다운 투여량)로 상이한 더 긴 간격 투여로의 투여 요법의 후속적인 제 2 파트는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매주 500mg/몸체 표면적 m2 내지 최대 약 1.5g/몸체 표면적 m2 이하로 4주 내지 2년 이하, 예를 들어, 4, 6, 8, 12, 16, 26, 32, 40, 52, 63, 68, 78, 또는 104 주 동안 연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질환이 경감되거나 일반적으로 개선되는 경우, 투여량은 최대량 보다 낮게 예를 들어, 매주 140mg/몸체 표면적 m2으로 유지될 수 있다. 스텝-다운 투여량 요법 동안, 질환 상태가 나빠진다면, 효과가 관찰될 때 까지 제 1 투여 요법을 다시 시작할 수 있으며, 그 후 제 2 투여 요법이 이행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은 필요에 따라 여러번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방법은 고체상 화학반응으로 합성된 약 1.0:2.0:6.0:5.0의 투입 몰비를 갖는 약 52개 아미노산 길이의 공중합체 1(YEAK)로 치료가능한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는 고체상 화학반응으로 합성된 각각 약 1.0:1.2:18.0:6.0의 평균 산출 몰비로 조성물 YFAK (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리신)의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가능한 질환을, 치료가 필요한 사람 피검체에 랜덤 공중합체 약 22mg/몸체 표면적 m2를 매일, 또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더 긴 간격 예컨대, 2일마다, 3일마다, 매주, 2주마다 또는 매달 투여함으로써 치료하는 방법이며, 여기서 공중합체는 52개 아미노산 길이를 가지며, 공중합체 서열의 잔기 1-10은 약 1.0:1.2:16:6의 산출 몰비를 가지며, 잔기 11-30은 약 1.0:1.2:18:6의 산출 몰비를 가지며, 잔기 31-52는 약 1.0:1.2:20:6의 산출 몰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방법은 고체상 화학반응으로 합성되고 약 1.0:2.0:6.0:5.0의 몰 유입비를 갖는 약 52개 아미노산 길이의 공중합체 1(YEAK)로 치료가능한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며, 여기서 공중합체 서열의 잔기 1-10은 약 1.0:2.0:5.5:5.0의 몰 생성비를 가지며, 잔기 11-30은 약 1.0:2.0:6.0:5.0의 몰 생성비를 가지며, 잔기 31-52는 약 1.0:2.0:6.5:5.0의 몰 생성비를 갖는다. 투여 요법은 상기 기술된 것과 유사하며, 선택적으로 스텝-다운 투여량 요법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텝-다운 투여량 요법 동안, 질환 상태가 나빠진다면, 효과가 관찰될 때 까지 제 1 투여 요법을 다시 시작할 수 있으며, 그 후 제 2 투여 요법이 이행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은 필요에 따라 여러번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약 1.0:1.0:XA:6.0의 투입 몰비의 조성물 YFAK (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리신)을 포함하는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가능한 질환을, 피검체에 상기 질환을 완화시키기에 유효한 용량으로 투여함으로써 완화시키는 수단으로서 구체화되며, 여기서 XA는 5.0 초과 내지 15.0 미만의 수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의 한 구체예는 고체상 화학반응으로 합성된 각각 약 1.0:1.2:18.0:6.0의 평균 산출 몰비로 조성물 YFAK (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리신)의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가능한 질환을 완화시키는 수단이며, 여기서 공중합체는 52개 아미노산 길이를 가지며, 공중합체 서열의 잔기 1-10은 약 1.0:1.2:16:6의 비를 가지며, 잔기 11-30은 약 1.0:1.2:18:6의 비를 가지며, 잔기 31-52는 약 1.0:1.2:20:6의 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방법은 고체상 화학반응으로 합성된 약 1.0:2.0:6.0:5.0의 투입 몰비를 갖는 약 52개 아미노산 길이의 공중합체 1(Copolymer 1)(YFAK)로 치료가능한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며, 여기서 공중합체 서열의 잔기 1-10은 약 1.0:2.0:5.5:5.0의 산출 몰비를 가지며, 잔기 11-30은 약 1.0:2.0:6.0:5.0의 산출 몰비를 가지며, 잔기 31-52는 약 1.0:2.0:6.5:5.0의 산출 몰비를 갖는다. 피검체는 약 22mg의 공중합체/피검체의 몸체 표면적 m2으로 투여 요법에 따라 처리되며, 여기서 피검체는 사람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서, 투여 요법은 피검체에 2일마다, 3일마다, 매주마다, 2주마다 또는 매달 투여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2일마다 또는 3일마다의 투여 용량은 각각 약 65mg/m2 및 110mg/m2 이하일 수 있다. 매주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투여 요법에 있어서, 투여량은 약 500mg/m2 이하를 포함하며, 랜덤 공중합체를 2주마다 또는 매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투여 요법에서는 1.5mg/m2 이하가 투여될 수 있다. 투여 요법의 제 1 파트는 30일 이하 예를 들어, 7, 14, 21 또는 30일 동안 투여될 수 있다. 매주, 14일마다 또는 매달마다 투여되는 일반적으로 더 적은 노출 (스텝-다운 투여량)로 상이한 더 긴 간격 투여로의 투여 요법의 후속적인 제 2 파트는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매주 500mg/몸체 표면적 m2 내지 최대 약 1.5g/몸체 표면적 m2 이하로 4주 내지 2년 이하, 예를 들어, 4, 6, 8, 12, 16, 26, 32, 40, 52, 63, 68, 78, 또는 104 주 동안 연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질환이 경감되거나 일반적으로 개선되는 경우, 투여량은 최대량 보다 낮게 예를 들어, 매주 140mg/몸체 표면적 m2으로 유지될 수 있다. 스텝-다운 투여량 요법 동안, 질환 상태가 나빠진다면, 효과가 관찰될 때 까지 제 1 투여 요법을 다시 시작할 수 있으며, 그 후, 제 2 투여 요법이 이행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은 필요에 따라 여러번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한 양태는 각각 약 1.0:1.0:10.0:6.0의 투입 몰비의 조성물 YFAK (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리신)을 포함하는 랜덤 공중합체로 원하지 않은 면역 반응을 완화시키는데 유요한 투여량으로 피검체에 투여함으로서, 상기 질환을 완화시키는 수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방법은 고체상 화학반응으로 합성된 약 1.0:2.0:6.0:5.0의 투입 몰비를 갖는 약 52개 아미노산 길이의 공중합체 1(YFAK)로 치료가능한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다. 투여 요법은 본원에 YFAK에 대해 기술한 것과 유사하다. 랜덤 공중합체의 두 타입에 있어서, 예시적 수단은 약 22mg 랜덤 공중합체/몸체 표면적 m2의 매일 투여량으로 사람 피검체에 투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서, 투여 요법은 피검체에 2일마다, 3일마다, 매주마다, 2주마다 또는 매달 투여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2일마다 또는 3일마다의 투여 용량은 각각 약 65mg/m2 및 110mg/m2 이하일 수 있다. 매주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투여 요법에 있어서, 투여량은 약 500mg/m2 이하를 포함하며, 랜덤 공중합체를 2주마다 또는 매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투여 요법에서는 1.5g/m2 이하가 투여될 수 있다. 투여 요법의 제 1 파트는 30일 이하 예를 들어, 7, 14, 21 또는 30일 동안 투여될 수 있다. 매주, 매 14일마다 또는 매달마다 투여되는 일반적으로 더 적은 노출 (스텝-다운 투여량)로 상이한 더 긴 간격 투여로의 투여 요법의 후속적인 제 2 파트는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매주 500mg/몸체 표면적 m2 내지 최대 약 1.5g/몸체 표면적 m2 이하로 4주 내지 2년 이하, 예를 들어, 4, 6, 8, 12, 16, 26, 32, 40, 52, 63, 68, 78, 또는 104 주 동안 연속적으로 투여ㅎ는 것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질환이 경감되거나 일반적으로 개선되는 경우, 투여량은 최대량 보다 낮게 예를 들어, 매주 140mg/몸체 표면적 m2으로 유지될 수 있다. 스텝-다운 투여량 요법 동안, 질환 상태가 나빠진다면, 효과가 관찰될 때 까지 제 1 투여 요법을 다시 시작할 수 있으며, 제 2 투여 요법이 이행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은 필요에 따라 여러번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는 각각 약 1.0:1.2:18.0:6.0의 평균 산출 몰비의 조성물 YFAK (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리신)의 랜덤 공중합체로 원하지 않는 면역 반응을 완화시키는 수단이며, 여기서 공중합체는 52개 아미노산 길이를 가지며, 공중합체 서열의 잔기 1-10은 약 1.0:1.2:16:6의 비를 가지며, 잔기 11-30은 약 1.0:1.2:18:6의 비를 가지며, 잔기 31-52는 약 1.0:1.2:20:6의 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방법은 고체상 화학반응으로 합성된 약 1.0:2.0:6.0:5.0의 투입 몰비를 갖는 약 52개 아미노산 길이의 공중합체 1(YFAK)로 치료가능한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며, 여기서 공중합체 서열의 잔기 1-10은 약 1.0:2.0:5.5:5.0의 산출 몰비를 가지며, 잔기 11-30은 약 1.0:2.0:6.0:5.0의 산출 몰비를 가지며, 잔기 31-52는 약 1.0:2.0:6.5:5.0의 산출 몰비를 갖는다. 투여 요법은 상기 YFAK에 대해 기술된 것과 유사하다. 두 랜덤 공중합체 유형에 잇어서, 이러한 방법은 사람 피검체에 약 22mg의 공중합체/피검체의 몸체 표면적 m2의 투여량을 매일 투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투여 요법은 상기 기술된 것과 유사할 수 있으며, 피검체의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랜덤 공중합체는 약 80mg의 최대 일일 투여량으로 사람 피검체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된, 각각 약 1.0:1.2:18.0:6.0의 평균 산출 몰비로 조성물 YFAK(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라이신)의 랜덤 공중합체로 TH1 표현형을 갖는 원치않는 면역 반응을 개선시키는 방법으로, 여기서 공중합체는 52개 아미노산의 길이를 갖으며, 공중합체 서열 중 잔기 1 내지 10은 약 1.0:1.2:16:6의 비를 갖으며, 잔기 11 내지 30은 약 1.0:1.2:18:6의 비를 갖으며, 잔기 31 내지 52는 약 1.0:1.2:20:6의 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이러한 방법은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되는 약 1.0:2.0:6.0:5.0의 투입 몰비를 갖는 약 52개 아미노산 길이의 공중합체 1 (YEAK)로 치료가능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 공중합체 서열 중 잔기 1 내지 10은 약 1.0:2.0:5.5:5.0의 산출 몰비를 갖으며, 잔기 11 내지 30은 약 1.0:2.0:6.0:5.0의 산출 몰비를 갖으며, 잔기 31 내지 52는 약 1.0:2.0:6.5:5.0의 산출 몰비를 갖는다. 모든 랜덤 공중합체 형태에 대해, 결정될 수 있는 투여 요법은 피검체의 필요에 따라 조절되며, 상술된 것과 유사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되는 각각 약 1.0:1.2:18.0:6.0의 평균 산출 몰비로 조성물 YFAK (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라이신)의 랜덤 공중합체로 피검체의 자가면역 반응을 개선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여기서 공중합체는 52개 아미노산의 길이를 갖으며, 공중합체 서열 중 잔기 1 내지 10은 약 1.0:1.2:16:6의 비율을 갖으며, 잔기 11 내지 30은 약 1.0:1.2:18:6의 비를 갖으며, 잔기 31 내지 52는 1.0:1.2:20:6의 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이러한 방법은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되는, 약 1.0:2.0:6.0:5.0의 투입 몰비를 갖는 약 52개 아미노산 길이의 공중합체 1 (YEAK)로 치료가능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 공중합체 서열 중 잔기 1 내지 10은 약 1.0:2.0:5.5:5.0의 산출 몰비를 갖으며, 잔기 11 내지 30은 약 1.0:2.0:6.0:5.0의 산출 몰비를 갖으며, 잔기 31 내지 52는 약 1.0:2.0:6.5:5.0의 산출 몰비를 갖는다. 모든 랜덤 공중합체 타입에 대해, 투여 요법은 피검체의 필요에 따라 조절되며, 상술된 것과 유사하게 될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방법 및 수단은 본 출원에 기술된 조성 및 제형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임의의 방법은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서방형 제형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서방형 제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경우, 공중합체에 대한 전반적인 노출은 일반적으로 거환약 투여에서 보다 낮다. 예를 들어, 투여 요법의 제 1 부분은 매일, 격일, 또는 3일에 한번씩 피검체의 체표면적 1 m2 약 22 mg 공중합체로 피검체에 투여되며, 여기서 피검체는 인간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서, 투여 요법은 서방형 제형을 사용하여, 공중합체가 간격 동안 방출되도록 피검체에 격일, 3일에 한번, 1주일에 한번, 2주일에 한번 또는 한달에 한번 투여한다. 격일 또는 3일에 한번 투여하기 위한 용량은 각각 약 35 mg/㎡ 및 65 mg/㎡ 이하일 수 있다. 랜덤 공중합체를 매주 투여함을 포함하는 투여 방법에 대해, 용량은 약 140 mg/㎡ 이하이며, 랜덤 공중합체를 2주일에 한번 또는 한달에 한번 투여함을 포함하는 투여 방법에 대해, 750 mg/㎡ 이하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요법의 제 1 부분은 30일 이하, 예를 들어 7, 14, 21 또는 30일 동안 투여될 수 있다. 일주일에 한번, 14일에 한번 또는 한달에 한번 투여되는 상이하고 대개 보다 낮은 노출(단계별로 낮아지는 투여량(step-down dosage))으로 보다 긴 투여 간격의 투여 요법의 연속적 제 2 부분은 예를 들어 1주일에 한번 1 ㎡ 체표면적 당 140 mg 내지 최대 약 1.5 g 미만으로 4 주 내지 2년 동안, 예를 들어, 4, 6, 8, 12, 16, 26, 32, 40, 52, 63, 68, 78 또는 104 주 동안 임의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질환이 회복되거나 일반적으로 개선되는 경우, 투여량은 최대량 미만, 예를 들어 1주일에 한번 1 ㎡ 체표면적 당 140 mg로 유지되거나 지속될 수 있다. 단계별로 낮아지는 투여 요법 동안, 질환 병태가 재발하는 경우, 제 1 투여 요법은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재개하고, 제 2 투여 요법은 시행될 것이다. 이러한 주기는 필요한 경우 여러번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되는, 각각 약 1.0:1.2:18.0:6.0의 평균 산출 몰비로 조성물 YFAK (L-티로신, L-페날알라닌, L-알라닌 및 L-라이신)의 랜덤 공중합체로 다발성 경화증(MS)으로 고통당하거나 이의 징후를 나타내는 피검체를 치료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기서 공중합체는 52개 아미노산의 길이를 갖으며, 공중합체 서열 중 잔기 1 내지 10은 약 1.0:1.2:16:6의 비를 갖으며, 잔기 11 내지 30은 약 1.0:1.2:18:6의 비를 갖으며, 잔기 31 내지 52는 약 1.0:1.2:20:6의 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이러한 방법은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되는 약 1.0:2.0:6.0:5.0의 투입 몰비를 갖는 약 52개 아미노산 길이의 공중합체 1 (YEAK)로 치료가능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공중합체 서열 중 잔기 1 내지 10은 약 1.0:2.0:5.5:5.0의 산출 몰비를 갖으며, 잔기 11 내지 30은 약 1.0:2.0:6.0:5.0의 산출 몰비를 갖으며, 잔기 31 내지 52는 약 1.0:2.0:6.5:5.0의 산출 몰비를 갖는다. 이러한 공중합체는 상술된 랜덤 공중합체 중 최대 용량 500 mg의 랜덤 공중합체로 MS로 고통당하거나 이의 징후를 나타내는 피검체를 치료하기 위해 투여될 수 있다. 랜덤 공중합체는 서방향 제형으로 전달될 수 있다.
500 mg의 최대 용량으로 다발성 경화증으로 고통당하는 피검체를 치료하기 위한 수단은 고체상 화학반응으로 합성되는, 약 1.0:1.2:18.0:6.0의 평균 산출 몰비로 조성물 YFAK (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라이신)의 랜덤 공중합체를 서방형 제형으로 전달하며, 여기서 공중합체는 52개 아미노산의 길이를 갖으며, 공중합체 서열 중 잔기 1 내지 10은 약 1.0:1.2:16:6의 비를 갖으며, 잔기 11 내지 30은 약 1.0:1.2:18:6의 비를 갖으며, 잔기 31 내지 52는 약 1.0:1.2:20:6의 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이러한 방법은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되는, 약 1.0:2.0:6.0:5.0의 투입 몰비를 갖는 약 52개 아미노산의 공중합체 1 (YEAK)로 치료가능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공중합체 서열 중 잔기 1 내지 10은 약 1.0:2.0:5.5:5.0의 산출 몰비를 갖으며, 잔기 11 내지 30은 약 1.0:2.0:6.0:5.0의 산출 몰비를 갖으며, 잔기 31 내지 52는 약 1.0:2.0:6.5:5.0의 산출 몰비를 갖는다. 대안적으로는, 피검체는 1주일에 한번씩 서방형 제형으로 전달되는 최대 용량 500 mg의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될 수 있다.
상술된 임의의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각 투여 형태의 부피는 바람직하게는 0.1 ml 내지 5 ml이다.
본원에서 기술된 방법 중 한 구체예에서, 투여 경로는 구강, 복강내, 경피, 피하, 정맥내 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에 의해, 흡입, 국소, 환부내, 주입에 의해; 리포좀-매개 전달; 국소, 경막내, 잇몸 포겟, 직장, 질내, 기관지내, 비강, 경점막, 창자, 안구 또는 눈 전달, 또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인식되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다른 구체예는 특정 형태 보호 코팅, 프로테아제 억제제 또는 비경구, 폐 및 경구를 포함하는 다양한 투여 경로를 위한 침투개선제를 도입한다. 투여는 전신 또는 국부적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피하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한 구체예는 서방형으로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투여한다. 이러한 방법은 서방형 경피 패치를 적용하거나 서방형 캡슐 또는 코팅된 이식가능한 의료 기기를 이식함을 포함하여,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공중합체가 이러한 방법의 피검체에 규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제제는 시간에 따라 랜덤 공중합체의 조절된 방출을 허용하는 캡슐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조절되거나 서방형 방출 조성물은 친유성 데폿(예를 들어, 지방산, 왁스, 오일)의 제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중합체(예를 들어, 폴록사머 또는 폴록사민)으로 코팅된 특정 조성물로 이해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공중합체의 소스는 정위적으로 자가면역 공격 영역내 또는 이에 가까이, 예를 들어 IDDM의 치료를 위한 췌장 부근에 제공된다.
경구 투여를 위해, 약제학적 제조물은 액상형, 예를 들어 용액, 시럽, 또는 현탁액일 수 있거나, 사용전에 물 또는 다른 적합한 비히클과 함께 재구성하기 이한 약물 생성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조제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어, 현탁제(예를 들어, 소르비톨 시럽, 셀룰로즈 유도체 또는 수소첨가된 식용 지방); 에멀젼화제(예를 들어, 레시틴 또는 아카시아); 비수성 비히클(예를 들어, 편도유, 오일성 에스테르, 또는 분별된 식물성 오일); 및 보존제(예를 들어, 메틸 또는 프로필-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또는 소르브산)과 함께 통상적인 수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약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예를 들어 결합제(예를 들어, 사전 젤라틴화된 옥수수 전분, 폴리비닐 피롤리돈 또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즈); 충진제(예를 들어, 락토즈, 미정질 셀룰로즈 또는 칼슘수소 포스페이트); 윤활제(예를 들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또는 실리카); 붕해제(예를 들어, 감자전분 또는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또는 습윤제(예를 들어,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와 함께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제조되는 정제 또는 캡슐의 형태일 수 있다. 정제는 당업계에서 널리 공지된 방법으로 코팅될 수 있다.
공중합체 1 또는 다른 랜덤 공중합체가 경구적으로 도입되는 경우, 다른 음식물 형태와 혼합되고 고체, 반고체, 현탁액 또는 에멀젼 형태로 소비될 수 있으며; 물, 현탁제, 에멀젼화제, 착향 개선제 등을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혼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경구 조성물은 장피 코팅된다. 장피 코팅의 사용은 당업계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레만(Lehman, 1971)은 유드라지트 에스(Eudragit S) 및 유드라지트 엘(Eudragit L)과 같은 장피 코팅을 교시하고 있다. 핸드북(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 2nd Ed.)은 또한 유드라지트 에스 및 유드리지트 엘 적용을 교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한 유드라지트는 L30D55이다. 경구 투여용 조제물은 활성 화합물의 조절된 방출을 제공하기 위해 적절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협측 투여를 위해,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형화된 정제 또는 로젠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조성물은 주사, 예를 들어 거환약 주입 또는 연속 주입에 의해 비경구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주사용 제형은 단일 투여형태, 예를 들어 앰플 또는 추가 보존제를 지닌 다중투여 용기로 존재할 수 있다. 조성물은 현탁액, 용액, 또는 오일성 또는 수성 비히클 중 에멀젼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현탁제, 가용화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제형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활성 성분은 사용전에 적당한 비히클, 예를 들어 멸균 비발열수와 함께 구성하기 위한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예를 들어 코코아 버터 또는 다른 글리세라이드와 같은 통상적인 좌약 베이스를 함유하는 좌약 또는 체류관장과 같은 직장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흡입에 의한 투여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어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가스의 사용과 함께 가압된 팩 또는 분무기로부터 에어로졸 분무 프리젠테이션의 형태로 전달된다. 가압된 에어로졸의 경우에, 투여 단위는 계측된 양을 전달하기 위한 밸브를 제공하므로써 결정될 수 있다.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서 사용되는 예를 들어 젤라틴의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적당한 분말 베이스, 예를 들어 락토즈 또는 전분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공중합체 1 또는 다른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간에 정맥 투여하기 위해 적합한 약제 조성물로서 통상적인 과정에 따라 제형화된다. 통상적으로, 정맥 투여를 위한 조성물은 멸균등장성 수성 완충액 중의 용액이다. 필요한 경우, 조성물은 또한 가용화제, 및 주사 부위에 고통을 완화시키기 위한 리그노카인과 같은 국소 마취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분은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혼합하여 공급된다. 조성물이 주입에 의해 투여되는 경우, 멸균 약제학적 등급의 물 또는 살린을 함유한 주입병으로 24 시간 이상, 32 시간 이상,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36 이상 또는 48 시간 이상의 투여 간격을 갖고 분산될 수 있다. 조성물이 주사에 의해 투여되는 경우, 주사용 멸균수 또는 살린의 앰플은 성분이 투여되기 전에 혼합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방법은 서방형 담체, 예를 들어 경피 패취, 서방형 제형으로 코팅된 이식가능한 의료 기기, 또는 활성 성분의 서방출에 적합한 주사가능한 약제학적 제형에 의해 자가면역 질병의 연속적 치료가 가능하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투여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24 시간 이상, 32 시간 이상,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36 시간 이상 또는 48 시간 이상이다. 예를 들어, 2일에 걸쳐 공중합체를 방출하는 이식가능한 기기 또는 서방형 제형은 환자에게 4일에 한번씩 이식되어 공중합체가 피검체에 투여되지 않는 동안의 간격이 2일이 되도록 한다. 관련된 구체예에서, 투여가 발생하지 않는 동안의 이러한 간격은 적어도 24+x(여기서, x는 임의의 양의 정수이다) 시간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이를 필요로하는 피검체에 24 시간 이상의 시간 간격으로 투여하는 경우 치료 효과를 갖도록 제형화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랜덤 공중합체는 오래 지속되는 치료 효과를 위해 제형화되어, 질병을 치료함에 있어서의 치료 효과가 랜덤 공중합체가 투여 간에 24, 30, 36, 42, 48, 54, 60, 66, 72, 78, 84, 90, 96, 102, 108, 114, 120, 126, 132, 138, 144, 150, 156, 162, 168, 174, 180, 186, 192, 198, 204, 210, 216, 222, 228, 234, 또는 240 시간 이상의 시간 간격으로 피검체에 투여되는 경우 관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므로써 예를 들어 자가면역 질병을 발달시킬 위험을 갖은 피검체를 예방학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러한 위험을 갖은 피검체는 예를 들어 이러한 자가면역 질병과 관련되고/되거나 가족력을 기초로 한 HLA의 대립형, 또는 이러한 자가면역 질병과 상호관련있는 다른 유전자 마커에 대한 시험으로서 자가면역 질병에 대한 유전자 감수성을 결정하므로써 확인된다. 이러한 예방학적 치료는 추가적으로, 치료될 자가면역 질병과 관련된 제 2 HLA 분자에 결합되는 제 2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방학적으로 치료되는 자가면역 질병은 IDDM 또는 복강 질환이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의 다른 구체예에서, 추가 치료학적 활성 제제가 피검체에 투여된다. 한 구체예에서, 추가 치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으로부터 별도의 조성물로서 피검체에 투여된다. 예를 들어, 피검체는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하로 투여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치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추가 치료학적 활성제는 랜덤 공중합체 관련 질환과 동일한 질환을 치료할 수 있거나, 진피 주사 부위에 부풀어오름을 감소시키는 것과 같은 공중합체의 투여의 요망되지 않는 부작용을 처리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피검체에 투여될 수 있는 추가 치료학적 활성제제는 질환과 관련된 제 2의 HLA 분자에 결합하는 공중합체, 예를 들어 코팍손(Copaxone™); 항체, 효소 억제제, 항박테리아제, 항바이러스제, 스테로이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항대사물질, 시토킨, 용융성 시토킨 수용체를 포함한다. 제 2 HLA 분자는 HLA-DQ 분자 또는 HLA-DR 분자일 수 있다. 효소 억제제는 프로테아제 억제제 또는 시클로옥시게나제 억제제일 수 있다. 추가 제제는 약제 조성물의 일부로서 첨가될 수 있거나, 추가 제제의 생리학적 효과가 본 발명의 공중합체의 생리학적 효과와 중첩하는 경우 부수적으로 또는 시간내에 투여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가 제제는 부수적으로 또는 공중합체의 투여전 일주일, 수주일, 24시간, 8 시간, 또는 직전에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추가 제제는 공중합체 투여 후 일주일, 수주일, 24 시간, 8 시간 또는 직후에 투여될 수 있다.
랜덤 공중합체의 투여의 결과로서 다발성 경화증(MS)으로 고통당하는 피검체의 징후의 개선은 MS의 에피소드의 재발 횟수의 감소, 징후의 심각성의 감소, 및 투여 개시 후 시간 동안 재발 에피소드의 제거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치료학적 유효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치료되지 않은 피검체에 비해 약 20% 이상, 예를 들어 약 40% 이상, 약 60% 이상, 약 80% 이상, 또는 약 100%의 하나 이상의 자가면역질환 징후의 제거, 또는 재발의 제거로 징후 및 재발 횟수를 감소시킨다. 시간은 약 한달 이상, 6개월 이상, 또는 약 1년 이상일 수 있다.
관절염 또는 관절의 염증을 초래하는 임의의 다른 자가면역 질병으로 고통당하는 피검체의 징후의 개선은 하나 이상의 관절의 부종의 감소, 하나 이상의 관절의 염증의 감소, 또는 하나 이상의 관절의 운동성의 증가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치료학적 유효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치료되지 않은 피검체에 비해, 약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상으로 관절 염증 및 부종을 감소시키고 운동성을 개선시킨다.
임의의 특허, 특허출원, 특허공개, 또는 본 출원에서 참고된 과학적 문헌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행은 그밖에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적절하고 통상적인 세포 생물학, 세포 배양학, 분자생물학, 유전자도입 생물학, 미생물학, 바이러스학, 재조합 DNA, 및 면역학 기술이 당업계내에 있는 경우에 사용될 것이다[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3rd Ed., ed. by Sambrook and Russel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001); the treatise, Methods In Enzymology (Academic Press, Inc., N.Y.); Using Antibodies, Second Edition by Harlow and Lane, Cold Spring Harbor Press, New York, 1999; Current Protocols in Cell Biology, ed. by Bonifacino, Dasso, Lippincott-Schwartz, Harford, and Yamada,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1999; and PCR Protocols, ed. by Bartlett et al., Humana Press, 2003.].
VII. 실시예
실시예 1. 랜덤 공중합체 및 질환-관련 항원 펩티드에 대한 항체의 생산
PLP(139-151) 펩티드는 SJL 마우스에서 EAE 발달을 유도하는 CD4+ TH1 세포에 의해 인식되는 주된 면역형성 결정요소이다. 백일해 독소를 주입하는 경우, PLP(139-151) 펩티드는 SJL 마우스에서 MS-유사 증상을 야기시킨다. 백일해 독소의 부재시에, 주입된 동물은 단지 가볍고 일시적인 질환을 발달시킨다. PLP 주입의 효과로부터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랜덤 공중합체 조성물의 능력을 PLP(139-151) 펩티드에 이들을 노출시킨 후에 매일 및 일주일에 한번 동물에 투여하는 과정으로 평가하였다. 항체 동형을 또한 시험하였다. CD4 T 세포를 이들의 시토킨 생산의 패턴에 따라 두가지 이상의 상이한 서브세트로 분리할 수 있다. TH1 세포는 우선적으로 IL-2 및 IFN-γ를 생산하고,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고, 마우스에서 Ig 서브클래스 IgG2a 및 IgG3의 생산을, 인간에서 Ig 서브클래스 IgG1 및 IgG3의 생산을 자극한다. 반대로, TH2 세포의 사이토킨의 기호는 IL-4, IL-5 및 IL-13이며, 이는 잠재적인 B 세포 헬프(help)를 제공하고 동형을 유도하여 마우스에서 IgE 및 IgG1으로 전환시키고 인간에서 IgE, IgG2 및 IgG4를 전환시킨다. 그러므로, TH2 반응과 관련된 마우스 IgG1 및 IgG2b, 및 TH1 면역의 마커인 마우스 IgG2a를 측정하였다.
마우스(SJL, 암컷)를 1일째에 컴플리트 프라운트 보조제(Complete Freund's adjuvant) 중 100 ㎍의 PLP(139-151) 펩티드로 면역시켰다. 같은 날에 동물에 200 ng의 백일해 독소를 정맥 주사하였다. 3일째에, 동일한 정맥 주사를 반복하였다. 매일 및 1주일에 한번 7.5 mg/kg의 코팍손(Copaxone™)(YEAK) 또는 Co-14(YFAK)로의 처리를 6일째에 개시하고, 36일까지 계속하였다. 37일째에, 혈청을 수집하고, PLP(139-151) 펩티드, Co-14(YFAK) 및 코팍손(Copaxone™)에 대한 항체 반응을 표준 ELISA를 사용하여 2차 항체로서의 항-마우스 전체 Ig, IgG1, IgG2a 또는 IgG2b로 측정하였다.
실험과정 동안, 질환 심각성을 표준 점수부여 시스템을 사용하여 0(질환이 아님) 내지 5(빈사 상태)로 측정하고, 마우스의 체중을 질환 상태의 다른 측정으로서 기록하였다. 동물의 치사율을 매일 기록하였다.
코팍손의 일일 투여가 만니톨 단독 투여와 비교하여 질환의 심각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지만(도 1), 일일 용량의 코팍손으로 처리된 대다수의 마우스는 처리 후 약 3 주후에 갑자기 죽었다(도 2).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팍손의 일일 투여는 주사된 마우스를 생존시키면서 많은 양의 항체를 유도시켰다. 반대로, 1 주일에 한번의 코팍손 투여, 및 매일 및 1주일에 한번의 Co-14(TFAK)의 투여는 매우 낮은 항체 역가를 초래하였다. 면역 반응은 지배적으로 IgG1+IgG2b(즉, 지배적으로 TH2) 반응이었으며, 매우 낮은 IgG2a(즉, TH1) 반응을 나타내었다. 코팍손 일일 그룹에서 일부 생존한 마우스는 화합물에 대해 큰 IgG1 및 IgG2b 반응을 갖으며(도 4 및 5), 이는 코팍손 일일 투여 마우스에서 사망의 원인이 거의 아나필락스일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매우 낮은 항체 역가를 나타내는 주단위의 코팍손 투여, 및 일단위 및 주단위의 Co-14(YFAK)의 투여는 아낙필락스 쇼크를 예방하고 효능을 증가시켰다. 항체의 다른 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내었으며, 코팍손 및 Co-14(YFAK)를 1주일에 한번 또는 1주일에 세번 투여하였다. 1주일에 세번 투여하 경우, 코팍손은 이에 대해 많은 양의 직접적인 항체의 생산을 유도한 반면, 1주일에 한번 코팍손의 투여 또는 1주일에 세번 Co-14의 투여는 각각의 공중합체에 대한 감식력 있는 양의 항체를 유도하지 않았다.
PLP(139-151) 펩티드에 대한 항체 역가를 측정하는 경우, 코팍손 및 Co-14(YFAK) 둘모두는 일정한 간격의 투여에도 불구하고 비히클 단독의 투여와 비교하여 PLP(139-151) 펩티드에 대한 IgG1 형성의 유사한, 작은 양의 증가를 유도하였다(도 7). PLP(139-151)에 대한 IgG2b의 역가는 또한 현저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도 8). 이러한 결과는 코팍손 또는 Co-14(YFAK)의 보호 효과가 PLP(139-151) 펩티드에 대한 항체 양의 조절을 통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2.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T 세포 반응
마우스의 TH1 및 TH2 프로필은 1주일을 기준으로 1주일에 세번씩 5 ㎍의 코팍손 또는 Co-14(YFAK)를 주사하고, 22일까지 처리하였다. 2일, 8일, 9일, 15일, 16일, 22일, 23일, 29일째에, 비장을 수집하고 비장림프구를 분리하였다. 1개의 웰 당 400,000개 세포의 비장림프구를 여러 농도 (0.8, 4 또는 20 ㎍/ml)의 Co-14 (YFAK)로 3일 동안 다시 자극시켰다. 세포 배양 3일째에, 세포를 ELISPOT (효소-연결된 면역스폿 검정) 플레이트로 옮기고, IFN-γ(인터페론 감마) 또는 IL-13(인터루킨 13)으로 코팅하였다. T 세포 반응을 IFN-γ 생산(TH1 시토킨) 및 IL-13 생산(TH2 시토킨)을 측정하므로써 시험하였다. T 세포 자극 정도를 또한 삼중수소화된 티미딘 섭취량으로 나타낸 세포의 증식을 측정하므로써 시험하였다.
반응의 파열을 첫번째 주의 투여에서 나타났으며, 이후 감소되었으나, 반응을 지연시켰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응은 편향된 TH2이며, IL-13 생산은 코팍손 또는 Co-14(YFAK)로 처리된 세포에서 모든 시간에 IFN-γ 보다 강력하게 유도되었다. TH2 편향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23 시토킨 및 케모킨의 양에 의해 추가로 확인된다.

Claims (121)

  1.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을 개선시키는 데 효과적인 양의 랜덤 공중합체를 소정의 투여 방법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랜덤 공중합체가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된 YFAK(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리신)을 각각 약 1.0:1.0:10.0:6.0의 투입 몰비로 포함하며, 52개 아미노산의 길이를 갖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이 2회 이상의 투여로 피검체에 투여되며, 각 투여가 24시간 초과의 시간 간격으로 분리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피검체가 포유동물인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이 사람인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이 매일 투여된 경우에 효과적인 양인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이 매일 투여될 경우에 효과적인 양일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이 매일 투여된 경우에 효과적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양인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이 10mg 내지 30mg인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이 15mg 내지 25mg인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이 약 20mg인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이 약 20mg 미만인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피검체가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을 앓고 있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질병이 TH1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피검체가 하나 이상의 자가면역 질병을 앓고 있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자가면역 질병이 다발성 경화증인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다발성 경화증이 재발-이장성 다발성 경화증인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질병이 원치 않는 면역 반응인 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질병이 다발성 경화증, 타입 I 당뇨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크론병,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 루푸스(SLE), 위염, 자가면역성 간염,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 혈우병, 자가면역 림프증식증후군(ALPS), 자가면역 포도망막염, 사구체신염, 귈라인-마레 증후군, 건선,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 뇌척수염, 굿파스튜어 증후군, 그라브병, 부신생물성 천포창, 자가면역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항콜라겐 항체에 의한 경피증, 혼합성 결합조직 질병, 악성 빈혈, 다발성근육염, 특발성 애디슨병, 자가면역 관련 불임, 수포성 유천포창, 쇼그렌 증후군, 특발성 점액수종, 및 대장염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9. 제 1항에 있어서, 질병이 HVGD 또는 GVHD인 방법.
  20. 제 1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정맥내, 피하, 근내, 피내, 복강내 또는 경구 투여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피하 투여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 1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랜덤 공중합체를 지속적으로 투여하도록 고안된 장치를 통해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경피 패치 또는 펌프인 방법.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이 3일 이상의 기간 동안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서방형 제형을 사용하여 피검체에 투여되고, 이러한 유효량은 매일 투여된 경우에 효과적인 양인 방법.
  25. 제 1항에 있어서, 추가의 치료적으로 활성인 작용제를 피검체에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추가의 작용제가 하나 이상의 랜덤 공중합체인 방법.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제가 질병을 치료하는 데 유용한 방법.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제가 항염증제인 방법.
  29. 제 27항에 있어서, 질병이 자가면역 질병인 방법.
  30. 제 1항에 있어서, 각 투여 사이의 시간 간격이 36시간 이상인 방법.
  31. 제 1항에 있어서, 각 투여 사이의 시간 간격이 48시간 이상인 방법.
  32. 제 1항에 있어서, 각 투여 사이의 시간 간격이 72시간 이상인 방법.
  33. 제 1항에 있어서, 각 투여 사이의 시간 간격이 96시간 이상인 방법.
  34. 제 1항에 있어서, 각 투여 사이의 시간 간격이 120시간 이상인 방법.
  35. 제 1항에 있어서, 각 투여 사이의 시간 간격이 144시간 이상인 방법.
  36. 제 1항에 있어서, 각 투여 사이의 시간 간격이 7일 이상인 방법.
  37. 제 1항에 있어서, 각 투여 사이의 시간 간격이 36시간 내지 14일인 방법.
  3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이 3회 이상의 투여로 투여되는 방법.
  39.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시간 간격 중 하나 이상이 36시간 이상인 방법.
  40.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시간 간격 중 하나 이상이 48시간 이상인 방법.
  41.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시간 간격 중 하나 이상이 72시간 이상인 방법.
  42.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시간 간격 중 하나 이상이 96시간 이상인 방법.
  43.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시간 간격 중 하나 이상이 120시간 이상인 방법.
  44.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시간 간격 중 하나 이상이 144시간 이상인 방법.
  45.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시간 간격 중 하나 이상이 7일 이상인 방법.
  46.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시간 간격 중 하나 이상이 36시간 내지 14일인 방법.
  47.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시간 간격 중 50% 이상이 36시간 이상인 방법.
  48.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시간 간격 중 50% 이상이 48시간 이상인 방법.
  49.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시간 간격 중 50% 이상이 72시간 이상인 방법.
  50.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시간 간격 중 50% 이상이 96시간 이상인 방법.
  51.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시간 간격 중 50% 이상이 120시간 이상인 방법.
  52.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시간 간격 중 50% 이상이 144시간 이상인 방법.
  53.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시간 간격 중 50% 이상이 7일 이상인 방법.
  54.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시간 간격 중 50% 이상이 36시간 내지 14일인 방법.
  55.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평균 시간 간격이 36시간 이상인 방법.
  56.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평균 시간 간격이 48시간 이상인 방법.
  57.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평균 시간 간격이 72시간 이상인 방법.
  58.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평균 시간 간격이 96시간 이상인 방법.
  59.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평균 시간 간격이 120시간 이상인 방법.
  60.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평균 시간 간격이 144시간 이상인 방법.
  61.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평균 시간 간격이 7일 이상인 방법.
  62.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간 평균 시간 간격이 36시간 내지 14일인 방법.
  63. 제 38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2개 이상의 파트를 포함하며, 투여 방법의 제 1 파트는 제 1 시간 간격으로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투여 방법의 제 2 파트는 제 2 시간 간격으로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 1 시간 간격이 제 2 시간 간격보다 짧은 방법.
  64. 제 63항에 있어서, 제 1 시간 간격이 24시간 이상인 방법.
  65. 제 64항에 있어서, 제 1 시간 간격이 24, 48 또는 72시간인 방법.
  66. 제 63항 내지 제6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시간 간격이 7일 이상인 방법.
  67. 제 66항에 있어서, 제 2 시간 간격이 7일, 14일, 21일 또는 30일인 방법.
  68. 제 63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필요에 따라 반복되는 방법.
  69. 제 63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의 제 1 파트가 7, 14, 21 또는 30일 이하 동안 지속되는 방법.
  70. 제 63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의 제 2 파트가 4, 6, 8, 12, 16, 26, 32, 40, 52, 63, 68, 78 또는 104주 이하 동안 지속되는 방법.
  71. 제 1항에 있어서, 랜덤 공중합체의 유효량이 투여당 0.02mg 내지 투여당 2000mg인 방법.
  72. 제 71항에 있어서, 랜덤 공중합체의 유효량이 투여당 2mg 내지 투여당 200mg인 방법.
  73. 제 1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일일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약 22mg의 용량을 포함하는 방법.
  74. 제 1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이틀마다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약 65mg의 용량을 포함하는 방법.
  75. 제 1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3일마다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약 110mg의 용량을 포함하는 방법.
  76. 제 1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매주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최대 약 500mg의 용량을 포함하는 방법.
  77. 제 1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2주마다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최대 약 1500mg의 용량을 포함하는 방법.
  78. 제 1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매달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최대 약 1500mg의 용량을 포함하는 방법.
  79. 제 73항 내지 제 7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주 피검체의 신체 표면 적 m2 당 최대 약 500mg의 용량을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0. 제 73항 내지 제 7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주마다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최대 약 1500mg의 용량을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1. 제 73항 내지 제 7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달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최대 약 1500mg의 용량을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2.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게 소정의 투여 방법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랜덤 공중합체가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된 YFAK(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리신)을 각각 약 1.0:1.2:18.0:6.0의 평균 산출 몰비로 포함하며, 52개 아미노산의 길이를 가지며, 공중합체 서열의 잔기 1-10의 비는 약 1.0:1.2:16:6이고, 잔기 11-30의 비는 약 1.0:1.2:18:6이고, 잔기 31-52의 비는 약 1.0:1.2:20:6인 방법.
  83. 제 82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일일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약 22mg의 용량을 포함하는 방법.
  84. 제 82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이틀마다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약 22mg의 용량을 포함하는 방법.
  85. 제 82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3일마다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약 22mg의 용량을 포함하는 방법.
  86. 제 82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매주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최대 약 500mg의 용량을 포함하는 방법.
  87. 제 82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2주마다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최대 약 1500mg의 용량을 포함하는 방법.
  88. 제 82항에 있어서, 투여 방법이 매달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최대 약 1500mg의 용량을 포함하는 방법.
  89. 제 83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주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최대 약 500mg의 용량을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0. 제 83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주마다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최대 약 1500mg의 용량을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1. 제 83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달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최대 약 1500mg의 용량을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2. 원치 않는 면역 반응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된 조성물 YFAK(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리신)을 각각 약 1.0:1.2:18.0:6.0의 평균 산출 몰비로 지니는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공중합체가 52개 아미노산의 길이를 가지며, 공중합체 서열의 잔기 1-10의 비는 약 1.0:1.2:16:6이고, 잔기 11-30의 비는 약 1.0:1.2:18:6이고, 잔기 31-52의 비는 약 1.0:1.2:20:6인 방법.
  93. 제 92항에 있어서, 피검체가 사람이고, 랜덤 공중합체가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약 22mg의 일일 용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94. 제 92항에 있어서, 피검체가 사람이고, 랜덤 공중합체가 약 80mg의 일일 최대 용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95. 제 92항에 있어서, 원치 않는 면역반응이 TH1 표현형을 갖는 방법.
  96.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된, 각각 약 1.0:1.2:18.0:6.0의 평균 산출 몰비의 조성물 YFAK(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리신)의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피검체의 원치 않는 면역 반응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공중합체가 52개 아미노산의 길이를 가지며, 공중합체 서열의 잔기 1-10의 비는 약 1.0:1.2:16:6이고, 잔기 11-30의 비는 약 1.0:1.2:18:6이고, 잔기 31-52의 비는 약 1.0:1.2:20:6인 방법.
  97.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된, 각각 약 1.0:1.2:18.0:6.0의 평균 산출 몰비의 조성물 YFAK(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리신)의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서 다발성 경화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공중합체가 52개 아미노산의 길이를 가지며, 공중합체 서열의 잔기 1-10의 비는 약 1.0:1.2:16:6이고, 잔기 11-30의 비는 약 1.0:1.2:18:6이고, 잔기 31-52의 비는 약 1.0:1.2:20:6인 방법.
  98. 제 97항에 있어서, 랜덤 공중합체가 최대 500mg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99. 제 98항에 있어서, 랜덤 공중합체가 서방형 제형으로 투여되는 방법.
  100. 제 99항에 있어서, 랜덤 공중합체가 매주 최대 500mg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101. 각각 약 1.0:1.0:10.0:6.0의 투입 몰비의 조성물 YFAK(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리신)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랜덤 공중합체를 원치 않는 면역 반응을 개선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 투여하므로써 원치않는 면역반응을 개선시키는 방법.
  102. 제 101항에 있어서, 피검체가 사람이고, 랜덤 공중합체가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약 22mg의 일일 용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103. 제 101항에 있어서, 피검체가 사람이고, 랜덤 공중합체가 피검체의 신체 표면적 m2 당 약 500mg의 주당 용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104. 제 101항에 있어서, 피검체가 사람이고, 랜덤 공중합체가 4일 초과의 시간 간격으로 최대 용량 500mg으로 투여되는 방법.
  105. 랜덤 공중합체로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각각 약 1.0:1.0:> 5.0 <15:6.0의 투입 몰비의 조성물 YFAK(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리신)을 포함하는 랜덤 공중합체를 상기 질병을 개선시키는 데 유효한 양으로 피검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06. 랜덤 공중합체 YFAK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사전측정된 주입가능한 바이알을 포함하는 키트.
  107. 제 106항에 있어서, 자가면역 질병이 다발성 경화증, 타입 I 당뇨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크론병,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 루푸스(SLE), 위염, 자가면역성 간염,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 혈우병, 자가면역 림프증식증후군(ALPS), 자가면역 포도망막염, 사구체신염, 귈라인-마레 증후군, 건선,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 뇌척수염, 굿파스튜어 증후군, 그라브병, 부신생물성 천포창, 자가면역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항콜라겐 항체에 의한 경피증, 혼합성 결합조직 질병, 악성 빈혈, 다발성근육염, 특발성 애디슨병, 자가면역 관련 불임, 수포성 유천포창, 쇼그렌 증후군, 특발성 점액수종, 및 대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키트.
  108. 제 106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자가면역 질병인 키트.
  109. 제 106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다발성 경화증인 키트.
  110. 제 109항에 있어서, 다발성 경화증이 재발-이장성 다발성 경화증인 키트.
  111. 제 106항에 있어서, 질병이 TH1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키트.
  112.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에 키트를 사용하여 이익이 있는 의료서비스 제공자에게 제 106항 내지 제 1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키트를 판매하는 것을 포함하여 의약품 관련 사업을 수행하는 방법.
  113. (a) 제 106항 내지 제 1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키트를 제조하고,
    (b)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에 키트를 사용하여 이익이 있는 의료서비스 제공자에게 판매하는 것을 포함하여 의약품 관련 사업을 수행하는 방법.
  114.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게 소정의 투여 방법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랜덤 공중합체를 투여하므로써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랜덤 공중합체가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된 YFAK(L-티로신, L-페닐알라 닌, L-알라닌 및 L-리신)을 각각 약 1.0:1.2:18.0:6.0의 평균 산출 몰비로 포함하며, 52개 아미노산의 길이를 가지며, 공중합체 서열의 잔기 1-10의 비는 약 1.0:1.2:16:6이고, 잔기 11-30의 비는 약 1.0:1.2:18:6이고, 잔기 31-52의 비는 약 1.0:1.2:20:6이며, 투여 방법이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항체의 형성을 억제하고, 랜덤 공중합체에 대해 피검체에게서 말초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
  115. 제 114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공중합체에 대해 피검체에게서 말초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
  116. 제 114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공중합체에 대해 피검체에게서 중심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
  117. 랜덤 공중합체를 미세입자 또는 에멀젼의 형태로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118. 제 117항에 있어서, 랜덤 공중합체가 수성상, 오일 및 에멀젼화제로 존재하고, 수성상은 유중수(water-in-oil)를 형성하는 약제 조성물.
  119. 제 117항에 있어서, 랜덤 공중합체가 명반(alum) 중에 현탁되는 약제 조성물.
  120. 제 118항에 있어서, 오일이 광유이고, 에멀젼화제가 소르비톨 모놀아우레이트인 약제 조성물.
  121. 제 117항 내지 제 1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랜덤 공중합체가 고체상 화학반응에 의해 합성된 YFAK(L-티로신, L-페닐알라닌, L-알라닌 및 L-리신)을 각각 약 1.0:1.0:10.0:6.0의 투입 몰비로 포함하며, 52개 아미노산의 길이를 갖는 약제 조성물.
KR1020067025802A 2004-05-07 2005-05-09 랜덤 공중합체에 의해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KR200700360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6929204P 2004-05-07 2004-05-07
US60/569,292 2004-05-07
US66333305P 2005-03-18 2005-03-18
US60/663,333 2005-03-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062A true KR20070036062A (ko) 2007-04-02

Family

ID=35159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802A KR20070036062A (ko) 2004-05-07 2005-05-09 랜덤 공중합체에 의해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3) EP2508194A1 (ko)
JP (4) JP2007536278A (ko)
KR (1) KR20070036062A (ko)
AU (2) AU2005244814B2 (ko)
BR (1) BRPI0510738A (ko)
CA (2) CA2565819A1 (ko)
ES (1) ES2560448T3 (ko)
IL (2) IL179075A (ko)
MX (1) MXPA06012864A (ko)
NZ (1) NZ551236A (ko)
RU (1) RU2410115C2 (ko)
WO (2) WO20051205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6010043A (es) * 2004-03-01 2007-03-07 Peptimmune Inc Metodos y composiciones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autoinmunologicas.
US20060194725A1 (en) * 2004-05-07 2006-08-31 James Rasmussen Methods of treating disease with random copolymers
US7655221B2 (en) * 2004-05-07 2010-02-02 Peptimmune, Inc. Methods of treating disease with random copolymers
JP2009536157A (ja) 2006-04-13 2009-10-08 ペプチミュー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ピトープ透過性の指向された拡張を介した指向性配列ポリマー組成物の設計方法および合成方法
AP3467A (en) 2007-10-16 2015-11-30 Peptimmune Inc Methods for designing and preparing vaccines comprising directed sequence polymer compositions via the directed expansion of epitopes
WO2009128948A1 (en) 2008-04-17 2009-10-22 Peptimmune, Inc. Design and synthesis of directed sequence polymer compositions and antibodie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protein conformational disorders
WO2011011706A2 (en) * 2009-07-24 2011-01-27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or preventing autoimmune diseases using immunomodulatory agents
KR20170123354A (ko) 2009-08-20 2017-11-07 에다 리서치 앤드 디벨럽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글라티라머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약제
USRE49251E1 (en) 2010-01-04 2022-10-18 Mapi Pharma Ltd. Depot systems comprising glatiramer or pharmac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WO2018006092A1 (en) * 2016-07-01 2018-01-04 Declion Holdings Llc Amino acid copolymer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CN110382052A (zh) 2017-03-26 2019-10-25 Mapi医药公司 用于治疗进展型形式的多发性硬化症的格拉替雷储库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36670A (en) 1971-04-21 1974-09-10 Sela M Therapeutic basic copolymers of amino acids
US5800808A (en) 1994-05-24 1998-09-01 V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Copolymer-1 improvements in compositions of copolymers
US5858964A (en) 1995-04-14 1999-01-12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ynthetic peptide copolymer for prevention of GVHD
JPH11330431A (ja) 1998-05-18 1999-11-30 Nec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EP1105414A2 (en) 1998-07-23 2001-06-13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Synthetic peptides and methods of use for autoimmune disease therapies
NZ509901A (en) * 1998-07-23 2003-10-31 Yeda Res & Dev Treatment of autoimmune conditions terpolymers consisting of three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ala, lys or tyr
WO2000005250A1 (en) 1998-07-23 2000-02-03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Treatment of autoimmune conditions with copolymer 1 and related copolymers and peptides
US6514938B1 (en) 1998-09-25 2003-02-04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At The Weizmann Institute Of Science Copolymer 1 related polypeptides for use as molecular weight markers and for therapeutic use
EP1128839A4 (en) * 1998-11-12 2002-10-09 Yeda Res & Dev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COPOLYMERS OF SYNTHETIC PEPTID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GVHD AND HVGD
CN100360180C (zh) * 2000-01-20 2008-01-09 耶达研究及发展有限公司 共聚物1和相关肽和多肽及其处理过的t细胞在神经保护性治疗中的用途
CA2398277C (en) 2000-06-07 2013-09-03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The use of copolymer 1 and related peptides and polypeptides and t cells treated therewith for protecting cns cells from glutamate toxicity
US20040003888A1 (en) 2000-07-11 2004-01-08 Laurence Mott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n improved floor element
AU2002240057A1 (en) 2001-01-24 2002-08-06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Therapeutic peptides for demyelinating conditions
BRPI0210681B8 (pt) * 2001-06-28 2021-07-27 Biowhittaker Inc métodos e reagentes para detectar endotoxina
CA2462459C (en) * 2001-10-03 2007-12-18 Jack L. Strominger Copolymers for suppression of autoimmune diseases, and methods of use
US7351686B2 (en) * 2001-12-06 2008-04-01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Method for neuronal protection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by a vaccine comprising Copolymer-1 or Copolymer-1 related peptides
US8008258B2 (en) * 2003-01-21 2011-08-30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Cop 1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55034A (ja) 2012-12-27
BRPI0510738A (pt) 2007-11-20
EP1750741B1 (en) 2015-12-02
IL179075A0 (en) 2007-03-08
EP2508194A1 (en) 2012-10-10
RU2410115C2 (ru) 2011-01-27
AU2005251686B2 (en) 2011-09-08
NZ551236A (en) 2010-11-26
RU2006143334A (ru) 2008-06-20
IL179075A (en) 2016-03-31
MXPA06012864A (es) 2007-07-18
JP2007536278A (ja) 2007-12-13
JP5495490B2 (ja) 2014-05-21
JP2012116866A (ja) 2012-06-21
AU2005244814B2 (en) 2011-09-15
WO2005120542A2 (en) 2005-12-22
EP1750741A1 (en) 2007-02-14
JP5892815B2 (ja) 2016-03-23
AU2005251686A1 (en) 2005-12-22
IL179074A0 (en) 2007-03-08
EP1750742A2 (en) 2007-02-14
WO2005120542A3 (en) 2006-05-26
CA2565819A1 (en) 2005-12-01
ES2560448T3 (es) 2016-02-19
JP2007536279A (ja) 2007-12-13
WO2005112972A1 (en) 2005-12-01
CA2565703A1 (en) 2005-12-22
AU2005244814A1 (en)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315284B2 (en) Random copolymer compositions for treating unwanted immune response
JP5676079B2 (ja) ランダムコポリマーによる不要な免疫応答の処置方法
JP5892815B2 (ja) ランダム共重合体を用いる疾患の治療方法
US20080194462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CA2340327A1 (en) Methods for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using peptide analogs of human myelin basic protein
NO337092B1 (no) Aminosyrekopolymerer for suppresjon av autoimmunsykdommer, preparat og enhetsdoseform samt deres anvendelse
CA2768340C (en) Copolymers for suppression of autoimmune diseases, and methods of use
CN101052409A (zh) 用无规共聚物治疗疾病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101097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227

Effective date: 20131226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227

Effective date: 2013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