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445A - 난방 장치의 열 생성 부재 - Google Patents

난방 장치의 열 생성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445A
KR20070034445A KR1020060093006A KR20060093006A KR20070034445A KR 20070034445 A KR20070034445 A KR 20070034445A KR 1020060093006 A KR1020060093006 A KR 1020060093006A KR 20060093006 A KR20060093006 A KR 20060093006A KR 20070034445 A KR20070034445 A KR 20070034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generating
positioning frame
generating member
insulating lay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0476B1 (ko
Inventor
프란츠 볼렌더
미카엘 차이엔
쿠르트 발츠
미카엘 니이더러
Original Assignee
카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05020753A external-priority patent/EP1768458B1/de
Priority claimed from EP05020752A external-priority patent/EP1768457B1/de
Application filed by 카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카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34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8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05B3/5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heating conductor arranged in metal tubes, the radiating surface having heat-conducting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29For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29For vehicles
    • F24H3/0435Structures comprising heat spreading elements in the form of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29For vehicles
    • F24H3/0441Interfaces between the electrodes of a resistive heating element and the power supply means
    • F24H3/0447Forms of the electrode terminals, e.g. tongues or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29For vehicles
    • F24H3/0452Frame constructions
    • F24H3/0464Two-piece frames, e.g. two-shell frames, also including frames as a central body with two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29For vehicles
    • F24H3/0452Frame constructions
    • F24H3/0476Means for putting the electric heaters in the frame under strain, e.g. with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3/082The tubes being an electrical isolator containing the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24H9/1872PT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Heaters using heating elements having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PTC 소자(6), 상기 PTC 소자(6) 상에 배치되는 전기 스트립 도체들(4), 그리고 길쭉한 위치 결정 프레임(2)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TC 소자(6)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개구(34)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위치 결정 스트립 반대측의 상기 스트립 전도체의 외면을 덮으며, 압축 가능한 밀봉 비이드에 의해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의 장측들에 대해 항상 밀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제공함으로써, 전기적 플래시오버 및 누전으로부터 안전하게 되도록 개선된 열 생성 부재가 창출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PTC 소자(6)와, 그 PTC 소자(6)의 양 대향 측면들 상에 배치된 스트립 전기 도체들(4)과, 평행한 층들로 배열되고 열 생성 부재(56)의 양 대향 측면들 상에서 프레임에 소정의 위치로 유지되는 다수의 방열 부재들(56)을 포함하는, 다수의 열 생성 부재들(60)을 구비한 공기 가열용 난방 장치를 개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 생성 부재를 사용함으로 인해, 난방 장치가 전기적 플래시오버 및 누전으로부터 더 높은 신뢰도로 보호되게 된다.
위치 결정 프레임, 가열, 열 생성 부재, 방열 부재

Description

난방 장치의 열 생성 부재{Heat-generating Element of a Hea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 생성 부재의 일 실시예의 측방향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조립된 상태에서의 측방향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생성 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단부편(end piece)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 생성 부재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 생성 부재의 제 3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 생성 부재의 제 4 실시예의 측방향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좌측 전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 발생 부재의 제 5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난방 장치의 실시예의 측방향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위치 결정 프레임 4: 접촉판
6: PTC 소자 8: 절연층
10: 플라스틱 포일 12: 세라믹 판
14: 부착 탭 16: 절결부
18: 부착 탭 20: 탭
22: 플러그 연결부 24: 슬롯
26: 페그 28: 부착 탭
30: 접경 에지 32: 접경 탭
34: 프레임 개구 36: 절연 갭
38: 내벽 40: 이격 매체
42: 에지 44: 에지 섹션
46: 밀봉 비이드 48: 밀봉 매체 접경 에지
50: 플러그 연결부 52: 프레임
54: 프레임 외장 56: 방열 부재
58: 세장형 바아 60: 열 생성 부재
62: 클램프 부재 100: 위치 결정 헤드
102: 위치 결정 아암 104: 위치 결정 개구부
105: 관통 안내 개구부 106: 로킹 아암
108: 토션 힌지
본 발명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난방 장치의 열 생성 부재(heat-generating element)에 관한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와, 상기 PTC 소자의 양 측면에 배치된 전기 스트립 도체(electric strip conductor)들을 포함하는 열 생성 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열 생성 부재의 일예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바 있는 EP 1 061 776호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 열 생성 부재는 자동차용 보조 히터에서 이용되며, 또한 다수의 PTC 소자들을 구비하는데, 이들 PTC 소자들은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는 방식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전기 스트립 도체들을 통해 에너지 공급을 받으며, 상기 전기 스트립 도체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기 PTC 소자들의 양 측면에 편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스트립 전도체들은 일반적으로 평행한 금속 스트립들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열 생성 부재들은 자동차 내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난방 장치에 이용되는데, 이때 상기 난방 장치는 다층 구조의 열 생성 부재들을 구비하며, 이들 열 생성 부재들의 양측면에는 방열 부재(heat-emitting element)들이 배치된다. 상기 방열 부재들은 상대적으로 우수한 열 전도성을 나타내는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지지 장치에 의해 상기 열 생성 부재들에 밀착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난방 장치의 지지 장치는 프레 임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프레임 내에서는 서로에 대해 평행으로 연장하는 다층의 열 생성 및 방열 부재들이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해 지지된다. 일반적인 열 생성 부재와 일반적인 난방 장치를 개시하고 있는 또 다른 예로서 EP 1 467 599 호를 들 수 있는 바, 상기 EP 특허 출원에서는, 상기 열 생성 부재는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는 형태로 하나의 평면에서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PTC 소자들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PTC 소자들은 세라믹 부재들 또는 양 온도 계수 써미스터들(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s)이라고 명명되며 그들의 양 측면에 배치된 스트립 전도체들을 통하여 에너지 공급을 받는다. 상기 스트립 전도체들 중의 하나는 둘레 방향으로 폐쇄된 프로파일(profile)을 가지며, 나머지 하나의 스트립 전도체는 금속 스트립으로 형성되는데, 이 금속 스트립은 상기 둘레 방향으로 폐쇄된 금속 프로파일에 의해 지지되며, 그 사이에는 전기적 절연층(insulating layer)이 개재된다. 상기 방열 부재들은 세그먼트들(segments)로 이루어지며, 이들 세그먼트들은 다수의 평행한 계층을 이루어 배열되며 또한 상기 둘레 방향으로 폐쇄된 금속 프로파일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한다. 상기 EP 1 467 599호에 의해 개시된 종래의 난방 장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둘레 방향으로 폐쇄된 금속 프로파일들이 제공되며, 상기 금속 프로파일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다. 소정의 정도까지, 상기 세그먼트들은 상기 둘레 방향으로 폐쇄된 프로파일들의 사이로 연장하고 또한 소정의 정도까지 그들을 지나서 돌출한다.
전술한 열 생성 부재들의 경우, 상기 스트립 전도체들은 상기 PTC 소자들과 양호한 전기 접촉을 유지하여야만 하는 조건이 요구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발생할 문제는 전도 저항이 증가한다는 것이며, 이 문제는 특히 상기 열 생성 부재들이 자동차용 보조 히터로서 이용되는 경우에 고전류로 인하여 국부적인 과열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열적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열 생성 부재가 손상되는 결과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PTC 소자들은 자가 조절형 저항 히터들(self-regulating resistance heaters)로서 온도가 증가할수록 방출하는 열량을 감소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국부적 과열은 상기 상기 PTC 소자들의 자가 조절형 특성에 있어서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히터에서 국부적 고온이 발생하는 경우, 증기 또는 가스가 발생하여 탑승한 사람들에게 직접적 위험을 유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문제는 종래의 열 생성 부재들을, 예를 들어 500 V에 달하는 전압과 같은 고도의 구동 전압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상기 방열 부재들을 거슬러 흐르는 공기가 습기 및/또는 먼지를 수반할 수 있으며, 이들 습기 및/또는 먼지가 상기 난방 장치 내로 침투하여 전기적 플래시오버(flashover), 즉 단락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난방 장치의 영역 내에서는 작업하는 작업자들을 상기 열 생성 부재의 또는 상기 난방 장치의 전기 전도 부품들로부터 보호해야만 하는 근본적인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종래의 열 생성 부재들의 경우, 상기 PTC 소자들은 위치 결정 프레임(positioning frame) 내에 배열되며,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은 상기 PTC 소자들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높이에서 연장하는 편평한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 다.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은 상기 열 생성 부재가 조립되는 동안 상기 PTC 소자들이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선택적으로는 장기간의 구동에 있어서 상기 PTC 소자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은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확실한 절연 특성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고 전압이 사용되는 경우의 일반적인 열 생성 부재에 있어서는, 누설 전류에 대한 낮은 저항으로 인하여, 전기적 플래시오버를 항상 회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관찰되어 왔다.
선행 기술에서는, PTC 소자들을 주위에 대해 차폐시키기 위한 방안들이 많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DE 32 08 802는 위치 결정 프레임과, 대향된 스트립 도체들 사이에 개재된 PTC 가열 소자가 그에 배치되고, 그 내부 측면 상에 절연 실리콘 고무 호스를 구비하여 스트립 도체들과 직접적으로 전기 접촉하고 있지 않은 금속 캡슐에 의해 에워싸이는 열 생성 부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한 열 생성 부재는 가정 용품들, 프레스 판 등의 용도에 사용되고, 열 생성 부재에서 발생한 열을 균일하게 소산시키기 위해 프레스 판에 통합된다. 그러한 선행 기술의 경우, 스트립 도체들과 PTC 소자들 사이의 균일한 접촉이 항상 보장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PTC 소자들을 공기와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것, 즉 플래시오버 보호가 PTC 소자들을 완전히 에워싸는 캡슐에 의해서만 이뤄지는데, 그것은 열 생성 부재의 제작을 복잡하게 하고, 생각할 수 있는 열 생성 부재의 모든 적용들에, 특히 열 생성 부재를 자동차의 보조 에어 히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쓰일 수 없게 된다.
위치 결정 프레임 없이 PTC 소자들을 가지고 구현되되, PTC 소자들이 양측에서 그 PTC 소자들 상에 놓여 스트립 도체들을 형성하는 전도 판들과 함께 각각의 케이스에 서로 전후로 배치되고, 전도 판들의 외부 측면 상에 배치된 절연 층들이 긴 측면들 상에 유지되는 열 생성 부재가 US 4,327,282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와 같이 층 결합체를 긴 측면 상에 유지시킴으로써, PTC 소자들과 스트립 도체들 사이에서 충분한 접촉이 이뤄지게 된다. 층 결합체를 측면들 상에 유지시키는 메커니즘은 그 플랜지들이 절연층 상에 놓이는 U형 실리콘 프로파일들에 의해 형성된다. 하지만, 그와 같이 하여 특히 열 생성 부재를 자동차의 보조 에어 히터에 사용하는 경우에 PTC 소자들을 침투 수분과 공기로부터 적절히 보호하는 것을 달성하기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실리콘 스트립들은 상대적으로 연질이어서 예컨대 보조 히터에서의 조립 또는 수리 중에 쉽게 떼어질 수 있다.
EP 0 026 457로부터 공지된 대안적 해결 방안에서는, PTC 소자가 층 결합체 내에 위치하고, 층 결합체의 외층들이 산화알루미늄 층에 의해 각각 형성되어 그 자신과 PTC 가열 소자 사이에 스트립 도체를 클램핑한다. 산화알루미늄 판들은 강성 플라스틱 프레임 상에서 에지들을 따라 지지된다. 스트립 도체는 연성 땜납 층에 의해 형성된다. 하지만, 그러한 땜납 층의 적용은 제작을 어렵게 만든다. 또한, 열 생성 부재의 동작 중에, 땜납이 허용될 수 없을 정도로 녹아 열 생성 부재 내에서 단락을 일으킨다. 아울러, 산화알루미늄 판을 플라스틱 프레임 상에 견고하게 지지함으로 인해, 그 공지의 열 생성 부재가 일정 한도 내에서 열팽창에 탄력적으로 반응할 능력을 갖지 못하여 본 선행 기술의 경우에는 스트립 도체들과 PTC 가열 소자 사이의 확실한 접촉을 항상 보장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것은 외부 산화알루미늄 판들이 마찬가지로 PTC 소자들을 에워싸는 프레임 상에 놓이는, US 2003/0206730으로부터 공지된 열 생성 부재에도 역시 해당하는 사항이다.
US 6,178,192로부터 공지된 열 생성 부재의 경우에는, 2개의 스트립 도체들 사이에 개재된 PTC 소자가 전기 비전도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절연 케이싱에 의해 완전히 에워싸이고, 그에 따라 플라스틱 재료의 열악한 열 전도성으로 인해 PTC 가열 소자로부터 멀리 열을 소산시키는 것이 저해된다. 또한, 케이싱을 매우 얇은 벽 두께로 형성하려는 노력에 한계를 가지게 되는데, 그것은 그렇지 않으면 케이싱이 침투 가능한 것으로 되어 그 결과로 PTC 소자를 두르는 둘레 방향 절연이 파괴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스트립 도체들과 PTC 소자들의 층 결합체를 몰딩한다는 것은 부가적으로 경화 시간과 냉각 시간을 필요로 하여 결과적으로 제조 속도를 떨어뜨리는 시간 소모적 제조 단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동작 전압을 사용할 경우에도 더 향상된 안전성을 제공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난방 장치의 열 생성 부재와 그에 상응하는 난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과정에서는, 열 생성 부재의, 그에 따라 그것이 구성하는 난방 장치의 경제적 제조성을 보장하도록 하는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전기적 플래시 오버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열 생성 부재를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열 생성 부재를 제공한다. 그러한 열 생성 부재는 스트립 도체를 위치 결정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져 대면한 그 외부 측면에서 덮는 하나 이상의 절연층이 마련되되, 그 절연 층이 하나 이상의 압축성 밀봉 비드(bead)에 의해 적어도 위치 결정 프레임의 긴 측면들에 대해 밀봉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카테고리를 규정하는 선행 기술과 상이하다.
특히,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에 길쭉한 위치 결정 프레임의 에지, 즉 대개 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 측면을 이루는 대략 평탄한 평면에서 프레임 개구부 또는 프레임 개구부들을 둘러싸고, 소켓 개구부를 둘러싸는 에지 스트립을 위치 결정 프레임의 긴 측면으로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압축성 밀봉 비드는 절연 층이 그에 밀착되어 놓인 채로 그러한 긴 측면들 상에 마련된다. 밀봉 비드의 압축성은 절연 층에 의해 가해지는, 즉 한편의 위치 결정 프레임과 다른 편의 도전 부품들 간의 제조 공차로 인해 및/또는 상이한 열팽창으로 인해 열 생성 부재의 설계 치수가 그 점에 있어 더 이상 실제 치수와 부합되지 않는 바로 그때에 가해지는 누름 압력에 의해 스트립 도체가 PTC 소자(들)에 맞대어 눌려지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압축성 밀봉 비드는 PTC 소자(들)와 스트립 도체와 위치 결정 프레임으로 이뤄진 층 결합체 사이의 상이한 열팽창들 또는 공차들을 보상하는데 적합하다. 마찬가지로, 압축성 밀봉 비드는 평탄한 세라믹 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절연 층 쪽에서의 어떠한 공차도 보상할 수 있다. 세라믹 판은 대략 길쭉한 위치 결정 프레임의 폭을 갖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어느 경우라도 폭을 가로질러 위치 결정 프레임을 넘어 돌출하지 않되, 프레임 개구부의 폭보다는 더 넓은 것이 통상적이다. 한 개씩의 압축성 밀봉 비드는 절연 층과 위치 결정 프레임 사이에서 바람직하게는 길쭉한 절연 층의 거의 전체의 길이에 걸쳐 길쭉한 위치 결정 프레임의 2개의 측면 에지들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층은 표면 측들에서 역시 마찬가지로 압축성 밀봉 비드에 의해 위치 결정 프레임에 대해 밀봉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위치 결정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 개구부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전부가 압축성 밀봉 비드에 의해 형성되는 둘레 방향 밀봉부 내에 배치되어 결과적으로 외부에 대해 기밀 밀봉되게 된다. 대안적으로, 예컨대 스트립 도체의 외부 측면을 둘러싸는 절연 층에 의해 위치 결정 프레임의 일 측면 상에 밀봉부가 견고하게 마련될 수도 있는데, 절연 층은 예컨대 그 절연 층을 또는 스트립 도체와 함께 절연 층을 위치 결정 프레임으로 압출하는 것에 의해 위치 결정 프레임에 견고하게 밀착 부착된다. 그 경우, 공차 상쇄 또는 상이한 선 팽창들의 보상이 전적으로 위치 결정 프레임의 다른 상부 측면 상에서만 일어나게 된다. 그 경우, 거기에서 밀봉 비드는 위치 결정 프레임의 대향된 측면들 상에 밀봉 비드가 있는 경우보다 더 두꺼운 치수로 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 발생 부재는 상기 스트립 전도체와 상기 PTC 부재(들) 사이의 접촉을 항상 보장하며, 특히 상기 열 발생 부재의 이상과 같은 전기 전도성 층 결합체의 부재들이 가압 외력에 의해 서로에 대해 밀착 배치되는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상기 스트립 전도체와 상기 PTC 소자 사이의 전이에 있어서의 접촉 문제는 방지된다.
상기 밀봉 비이드는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열 생성 부재의 더 간단한 제조를 위하여, 상기 밀봉 비이드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 및/또는 상기 절연층 상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 비이드는 또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을 상기 절연층에 접착시킬 수 있다. 그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밀봉 비이드는 실리콘 접착제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밀봉 비이드는 바람직하게는, 고 절연성 플라스틱, 즉, 예를 들어 실리콘 접착제로 만들어지는, 고 작동 전압에서도 전기 플래시오버에 대해 고도의 안전성을 나타낼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PTC 소자(들)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 내에서, 적어도 400, 누설 전류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600의 CTI 값을 가지는 고절연성 지지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이,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로 제조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약 500 V의 가능한 구동 전압을 고려하여,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PTC 소자의 지지는 적어도 600의 CTI 수준에 도달할 것이 요구된다.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을 형성하는 데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재료들에는, 전기적으로 비 전도성 세라믹, 또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실리콘(silicone) 또는 고 절연성 엘라스토머(elastomer) 등과 같은 전기적으로 고등급의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을 형성하는 상기 재료의 유전 강도는 적어도 2 kV/mm 이상 이어야 하며, 또한 상기 PTC 소자에 인접하게 구비된 위치 결정 프레임의 부분들 및/또는 상기 PTC 소자에 접하는 위치 결정 프레임의 부분들에 대해서는 적어도 그 이상의 유전 강도가 요구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PTC 소자들에 대한 고 효율적인 전기 절연성 지지는, 상기 프레임 개구(frame opening)를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는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의 재료 부분과 상기 PTC 소자 사이에 절연 갭(insulating gap)을 제공함으로서 성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되는 본 해결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절연 갭은 상기 PTC 소자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의 대향하는 내면들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절연 갭은 상기 PTC 소자들과 상기 프레임 개구의 상기 재료 부분 사이가 비어있는 공기 갭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상기 PTC 소자는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어야 하며, 상기 소정 거리는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에 대한 전기 플래시오버를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거리이어야만 한다.
이상과 같은 위치 배열은, 특히 상기 PTC 소자들을 특정 위치에 유지하는 절연층에 의해 성취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상기 PTC 소자들을 상기 절연층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하거나 접착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 위치에 확실히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부재들을 접착시키는 것이 제조의 간편성이라는 측면에서 그리고 주위로부터 전기 전도성 부품들을 밀봉시키는 관점에 있어서 더 바람직하고, 또한 그러한 밀봉은 접착층에 의해 실현될 수 있지만,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절연 갭을 유지하면서 상기 PTC 소자들을 이격시켜 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절연층의 절연 특성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층이 합성층들의 폭을 가로 질러 적어도 2,000 V의 유전 강도를 보장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으로 상기 절연층을 둘러싸는 고정 수단이 예비 조립된 구조적 유닛의 제조를 위해 제공된다. 상기 고정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층을 그 에지부에서 전적으로 둘러싸며, 그 결과 상기 절연층의 중간 부분은 고정 수단에 구속되지 않으며, 상기 고정 수단이 세라믹 트랙으로 형성되고 그 외측이 공기 가열을 위한 난방 장치의 방열 부재의 편평한 베어링 표면(flat bearing surface)를 형성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열 발생 부재는 그 내부에 내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 수단은, 해당 PTC 소자에 대해 상기 스트립 전도체를 가압하는 가압 예비 장력 및/또는 상기 밀봉 비이드에 대하여 상기 절연층을 밀봉을 형성하면서 지지하는 예비 장력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다수의 층의 열 발생 부재들을 구비하는 난방 장치의 각각의 열 생성 부재는 밀봉을 이루면서 자체적으로 예비 인장된다. 따라서, 초기 인장 상태의 상기 난방 장치의 층 결합체를 지지하는 스프링은, 전적으로 상기 열 발생 부재의 외면에 대하여 상기 방열 부재들을 가압하는 목적에만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 때 상기 열 발생 부재와 상기 방열 부재들은 하나의 구조적 유닛으로서 제공되며, 상기 외면은 상기 절연층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프링력은 상기 압축 가능한 밀봉 비이드에 초기 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즉,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절연층을 밀봉하기 위해, 이용되지는 않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상기 난방 장치를 더욱 정밀하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초기 장력 하에서 상기 난방 장치의 층 구조체를 지지하는 스프 링 부재가 오작동하는 경우, 또는 임의의 사유로, 부적절한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전기적 플래시오버도 확실히 방지된다. 보조 히터의 상기 열 발생 및 방열 부재들은, 상기 PTC 소자와 상기 부재들 사이에 접촉 문제 발생의 우려 없이, 스프링력이 아닌, 예를 들어, 접착에 의해, 서로에 대해 인접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 상에 형성된 몰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몰딩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이 제조된 후에 그 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과 다르거나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 상에 단일편으로 형성된 몰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몰딩은 상기 고정 수단과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이 하나의 작업 단계에서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 발생 부재의 두 개의 외측들을 둘러싸면서 상기 절연층의 외측 상에 직접 배치되는 클램프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 부재는 예비 조립된 층 구조체를 단위체로서 지지하게 되며, 상기 PTC 소자(들)은 이 프레임 내에 내장되며, 상기 절연층들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 상에 밀봉을 형성하면서 배치되고, 그들 사이에 두개의 상기 스트립 전도체들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추가적 구성은 상기 열 생성 부재의 제조를 위한 어떠한 복합적인 기술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층 구조체의 부품들과 상기 클램프 부재들은 서로 결합되어야 한다.
또 다른 대안적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따라서 상대 이동 가능한 단일편으로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 상에 배열되며, 따라서, 상기 고정 수단이 회전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스트립 전도체와 함께, 상기 밀봉 비이드 상에 상기 절연층을 배치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스프링 백 고정 수단(spring-back securing means)의 결과로서, 상기 밀봉 비이드 상에 상기 절연층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상기 밀봉 수단은, 예를 들어, 외측의 둘레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을 둘러싸는 절연층들을 둘러싸는 두개의 로킹 아암들(locking arms)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로킹 아암들은 바람직하게는, 중앙 집중식으로, 즉, 연결부에서의 공통 힌지 조인트를 통하여,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에 연결된다. 상기 힌지 조인트는 필름 관절 구조(film articulation)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힌지 조인트는, 조립을 위해 로킹 아암들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다만, 동시에, 상기 압축 가능한 밀봉 비이드에 대해 상기 절연층을 지지하기 위한 초기 장력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스프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경도(stiffness)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력은 또한, 상기 로킹 아암들의 치수 선정과 재료 선택에 따라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 생성 부재의 사용 중에 공기 저항을 최소한으로 낮게 하기 위해, 로킹 암들을 전방에, 즉 길쭉한 위치 결정 프레임의 짧은 쪽 단부들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부가의 구성에서는, 통상적으로 난방 장치에서 프레임 내에 자유롭게 놓이는 열 생성 부재의 높이가 기본적으로 위치 결정 프레임의 측벽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는데, 그 측벽의 높이는 다시 기본적으로 그에 유지되는 PTC 소자의 높이에 상응하게 된다. 로킹 암들은 그 높이를 넘어 돌출할 수 있지만, 가 열하려는 공기가 휩쓸고 지나가는 구역의 밖이자 보조 히터의 층 결합체 또는 난방 장치의 다른 하우징을 유지시키는 프레임 내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부가 구성에 따르면, 위치 결정 프레임은 최소한 1개의 절연 층을 넘어 외부로 돌출하여 적어도 전방 쪽으로 절연 층을 위치 결정 프레임에 대해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고정 수단을 형성하는 프레임 헤드를 구비한다. 위치 결정 프레임 헤드는 그것이 위치 결정 프레임의 종 방향 축에 대해 대략 대칭이어서 결과적으로 절연 층들을 양쪽에서 위치 결정 프레임에 맞대어 누르는 로킹 암들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위치 결정 프레임 헤드는 스트립 도체를 형성하는 금속 스트립들 중의 하나에 마련된 접촉 설부(contact tongue)을 위한 하나 이상의 안내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접촉 설부는 어떤 경우라도 그 표면 측들 중의 하나에서 접촉 판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플러그 접속부를 형성하는 접촉 설부는 금속 스트립을 그 표면 측에서 잘라내는 것에 의해 형성되거나 성형되고, 그에 따라 접촉 설부가 판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게 된다. 본 부가 구성의 경우에는, 접촉 설부가 금속 스트립과 1 부품으로 형성되되, 프레임 개구부를 덮고 PTC 소자 상에 놓이는 금속 스트립의 폭보다는 현저히 더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위치 결정 프레임 헤드는 금속 스트립을 다른 표면 측에 포지티브 로킹 방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결정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접촉 설부는 위치 결정 프레임에 만들어져 바깥쪽으로 위치 결정 프레임의 표면 쪽으로 개방된 슬롯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부가 구성에 의해, 플러그 접속 부가 항상 위치 결정 프레임의 표면 측에 있게 되고, 난방 장치의 유지 장치 내로 슬라이딩하여 열 생성 부재를 전원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접촉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스트립 전기 도체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위치 결정 프레임은 높이 방향으로, 즉 PTC 소자의 지지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페그(peg)들을 더 구비한다. 각각의 페그는 접촉판에 남는 절결부에 정확하게 맞물린다. 페그를 녹임으로써, 접촉판 위에 두꺼운 부분이 형성되고, 접촉판은 그 두꺼운 부분에 의해 위치 결정 프레임에 고정된다. 본 부가의 구성에서는, 접촉판이 페그와 절결부의 포지티브 로킹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되게 된다. 절연층은 그와 같이 형성된 유닛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럼으로써 바람직하게도 위치 결정 프레임과 절연층 사이에 접착 연결부가 위치하게 된다.
그와 같이 하여, 위치 결정 프레임, 하나 이상의 PTC 소자, 접촉판, 및 절연층으로 이뤄진 예비 장착된 구조적 유닛이 형성될 수 있다. 나중에 열 생성 부재를 방열 부재와 함께 장착할 경우에, 추후의 절차 단계 동안 열 생성 부재의 개개의 층들이 최종 조립체의 프레임에 정확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하려고 더 이상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게 된다.
2개의 슬롯들이 표면 측에 위치하고, 대향된 접촉판들이 판금 성형에 의해 형성된 자신의 플러그 접속부들에 의해 위치 결정 프레임 내에 파인 각각의 슬롯들에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 부가 구성에서는, 여하튼 접촉판의 판금 성형에 의해 그 접촉판의 표면 측에 플러그 접속부가 형성된다. 그러한 플러그 접속부는 잔여 접촉판과 평행하 게 연장되되, 그것이 휘어짐으로 인해, 접촉판을 유지하는 평면에 대해 바깥쪽으로 이격된 평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바람직한 부가 구성은 동일한 표면 측의 2개의 접촉판들이 접속용 플러그 홀더의 가능한 가장 안전한 절연 및 공간 소요를 위해 멀리 떨어져 이격되어야 하는 그러한 배열에 매우 적합하다.
전술된 부가 구성들은 별개의 밀봉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위치 결정 프레임이 전기적으로 고등급의 재료로 형성될 경우에는, 밀봉 부재가 위치 결정 프레임과 일체로 단일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절연층이 일 측에서 위치 결정 프레임에 연결된다면, 어떤 경우라도 그것을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그러한 부가 구성에서는, 절연층을 위치 결정 프레임의 일 측으로 압출할 때에, 절연 층이 위치 결정 프레임의 타 측에서 맞대어 놓이게 되는 밀봉 부재를 반대 측에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한다. 밀봉 부재들이 사출 성형에 의해 위치 결정 프레임의 대향 측들에서 위치 결정 프레임과 일체로 단일의 부품으로 형성되고, 절연층들이 그 밀봉 부재들에 맞대어 놓일 수도 있다. 그 경우, 밀봉 부재는 통상적으로 절연층을 충분하게 위치 결정 프레임에 달라붙게 하는 어떠한 작용도 발휘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절연층은 다른 방식으로 위치 결정 프레임에 접착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특별히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위치 결정 프레임 상에 배치된 클립 요소들을 사용하여 또는 위치 결정 프레임 상에 단일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절연층용 래칭 수단들을 사용하여 절연층을 위치 결정 프레임에 클립핑하는 것인데, 특히 래칭 수단들은 적어도 위치 결정 프레임의 종 방향 에지들 상에 또는 위치 결정 프레임의 전체의 길이에 걸쳐 불연속 섹션들로 분포되게끔 형성된 다. 그러한 래칭 수단들은 부가적으로 절연층에 맞대어 놓이는 방열 부재 편에서의 부착 및 조립 보조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래칭 수단은 위치 결정 프레임과는 별개의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논하고 있는 본 발명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생성 부재를 사용하고, 그에 따라 고전압으로 동작할 수 있는 난방 장치도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 하에 있다. 그러한 난방 장치는 열 생성 부재의 대향 측면들에 맞대어 놓이는, 평행한 층들로 배열된 다수의 방열 부재들을 구비한다. 열 생성 부재와 방열 부재는 그 폭이 방열 부재 및/또는 열 생성 부재의 폭과 거의 일치하는 거의 평탄한 프레임에 유지된다. 그 프레임에 의해 스프링 장력들이 발생 및/또는 층 결합체 내로 스프링 장력들이 전달된다. 그를 위해, 별개의 스프링 요소가 층 결합체에 통합되거나 프레임의 구역에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은 EP 0 350 528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 부분에 통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직각으로 연결되는 프레임 부분들의 탄성 연결에 의해 스프링 바이어스가 인가될 수도 있다. 그 각각의 상면 및 하면에 방열 부재를 맞대어 끼워 맞춘 채로 다수의 열 생성 부재들이 층 결합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은 또한 접착제 연결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장치는 열 생성 부재를 참조하여 이미 앞에서 논한 부가 구성들에 의해 더 부가적으로 구성된다.
첨부 도면과 결부지어 이뤄지는 실시예들에 관한 이후의 설명으로부터, 논하고 있는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사항들과 장점들을 알게 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생성 부재의 일 실시예의 주요 부품들이 측방향 분리 사시도로서 도시되었다. 상기 열 생성 부재는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위치 결정 프레임(2)을 구비하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종방향 중앙축은 상기 열 생성 부재를 이등분하는 이분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부재는 기본적으로 양측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양 측면에는 제일 먼저 접촉판들(4)이 구비되고, 상기 접촉판들은 그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PTC 소자들(6)을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내에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접촉판들(4)의 외측에는 이층 구조의 절연층(8)이 배치되는 데, 이 절연층(8)은 외측의 절연 포일(10) 및 내측의 세라믹 판(12)을 포함하며, 내측의 세라믹 판(12)은 상기 접촉판(4)에 직접 접하게 된다. 상기 세라믹 판(12)은 비교적 얇은 산화 알루미늄 판으로서 대략 28 kV/mm 의 대단히 우수한 유전 강도와 24 W/(m K) 이상의 우수한 열 전도도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라스틱 포일(10)은 약 0.45 W/(m K)의 우수한 열 전도도와 4 kV/mm의 유전 강도를 가지는 폴리아미드(polyamide) 포일로 형성된다. 상기 플라스틱 포일(10) 과 상기 세라믹 판(12) 사이에는 수 마이크로 미터 두께의 왁스 층(wax layer)이 배치되며, 상기 왁스 층의 융점은 상기 열 생성 부재의 작동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즉, 상기 작동 온도에서 상기 왁스가 녹아서 상기 플라스틱 포일과 상기 세라믹 판(12) 사이에 분배되고, 그에 따라 상기 플라스틱 포일과 상기 세라믹 판(12)이 압축 응력에 의해 서로 밀착하게 되며, 상기 왁스의 분배에 의해 얇고 편평한 막이 형성되어 상기 절연층(8)의 두 개의 부분들(10, 12) 사이에서의 양호한 열 전달을 고양시키도록 융점이 결정된다. 플라스틱 포일(10)과 세라믹 판(12)의 상기와 같은 조합에 의해,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열 전도 특성을 가지는 절연부(8)가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8)는 특히 2,000 V까지의 전압에 대해서는 플래시 오버의 발생을 허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요구되는 강도를 보여준다. 임의의 응력 피이크(peak), 특히 상기 열 생성 부재에 결합된 방열 부재들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임의의 응력 피이크가, 외면에 형성된 상기 절연 포일에 의해 경감되고 균질화(homogenized)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의 두 부분(10, 12) 사이에 배치된 왁스 뿐 아니라, 상기 두 부분(10, 12)을 서로 연결하도록 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접착제에 의해서도 상기 응력 피이크가 경감되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세라믹 층이 파손될 위험이 방지되며, 또한 초기 인장하에서 열 발생 및 방열 부재들의 계층적 결합을 유지하는 압축 응력이 더 높은 경우에도 이러한 파손의 위험은 방지된다.
상기 절연층(8)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판(4)의 외측에 접착된다. 이 접촉판은 상기 절연층(8) 아래에 대략 중심을 맞추어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절연층(8) 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만, 각각의 상기 접촉판(4)은, 표면 측들에서는 상기 절연층(8)을 넘어서 돌출한다. 상기 접촉판(4)의 폭은 상기 절연층(8)을 넘어서 돌출하는 단부들에서 처음에는 상당히 감소한다. 도 1에서의 우측단에서, 상기 접촉판(4)은 부착 탭(attachment tab; 14)을 구비하며, 상기 부착 탭은 상기 접촉판(4)의 폭의 일부 자유단을 절단함으로써 그 폭이 좁아지고 또한 그 내부에 절결부(16)가 형성된다. 그 반대단에는, 즉 도 1의 좌측단에는, 절결부(16)를 구비하는 감소 폭의 대응 부착 탭(18)이 마찬가지로 제공된다. 상기 부착 탭(18)의 측 면 에지로부터, 접촉판(4)으로부터 아래로 높이를 다르게 하는 구부림에 의해 탭(20)이 형성되며, 이 탭으로부터 플러그 연결부(22)가 표면 상에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을 넘어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탭(20)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형성된 슬롯(24)에 계합되며, 이때 상기 슬롯(24)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표면 측을 향하여 개방된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은 그 표면 측 단부 지역에 형성된 페그들(26)을 구비하며, 상기 페그들은 상기 열 생성 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즉,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표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한다. 조립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페그들(26)은 상기 절결부(16)내로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페그(26)는 용해되어 용융된 재료의 두꺼운 부분을 형성하게 되며, 그 결과 상기 접촉판(4)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고정되게 된다. 도 1 및 4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 상기 접촉판(4)을 정확히 배치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은 상기 페그들(26) 뿐 아니라, 추가적인 보조 위치 결정 부품들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은 먼저, 상기 접촉판(4)의 표면측 단부들 상에 표면측 부착 페그들(28)을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부착 페그들(28)은 상기 접촉판(4)의 상측을 약간 넘어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접촉판(4)의 길이에 거의 상응하는 간격으로 서로 이격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접촉판(4)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두번째로, 상기 폭을 가로 질러,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상기 접촉판(4)의 거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접경 에지들(30)을 형성하는 데, 이 때 상기 접경 에지들(30)은 상기 접촉판(4)의 상측을 넘 어서 연장하며 상기 접촉판(4)의 폭보다 약간 큰 간격으로 서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접경 에지(30)의 양측에 그로부터 돌출하도록 접경 탭들(32)이 형성되며, 접경 탭들(32)의 내측에는 잠금 돌기들(locking protuberances)이 형성되고, 이들 잠금 돌기들에 의하여 상기 열 생성 부재 상에 배열된 방열 부재가 조립시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열 생성 부재 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TC 소자들(6)의 양 측면들이 상기 접촉판(4)의 내면들에 밀착되며, 상기 접촉판(4)들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프레임 개구(34) 내의 제 위치에 고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섯개의 PTC 소자들(6)이 각각의 프레임 개구(34) 내에 배치된다. 두 개의 동일 크기의 프레임 개구들(34)이 제공되는바,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배열된다. 상기 PTC 소자들은 패킹되었을 때 절연 갭(36)에 의하여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다. 상기 절연 갭(36)은 또한 상기 지지 평면(plane)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접촉판(4)의 내측과 상기 프레임 개구(34)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의 좁아지는 내측 에지(38)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열 생성 부재의 전기 전도성 부분들, 즉, 두 개의 상기 접촉판들(4) 및 상기 PTC 소자들(6)은 상기 절연 갭(38)에 의하여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이격 거리는 절연성 이격 매체(40)에 의해 확보되며, 이 절연성 이격 매체는 상기 프레임 개구 외주부 둘레의 상기 내측 에지(38)의 전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성 이격 매체(40)는 상기 내측 에 지(38)의 전방 구역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외주부를 둘러싸는 실리콘 스트립으로 형성된다.
상기 열 생성 부재의 전기 전도성 부분들이 상기 절연성 이격 매체(40)에 직접 접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상기 이격 매체는, 상기 전기 전도성 부분들로 하여금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플라스틱 재료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의도로 구성되었을 뿐이다. 상기 이격 매체(40)의 절연 특성들의 선택에 있어서는, 어떠한 경우라도,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플라스틱 재료보다 더 나은 절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선택된다. 상기 폭을 가로지르는 상기 이격 매체(40)의 길이의 선택에 있어서는, 어떠한 경우라도, 상기 폭에 대응하여 상기 이격 매체가 상기 접촉판(4)의 단부까지 연장하도록 한다. 상기 이격 매체(40)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도록 상기 내측 에지(30)의 측면을 덮을 뿐 아니라, 또한 상기 내측 에지(38)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외주부 둘레를 따라 상기 프레임 개구(34)를 둘러싸는 에지(42)를 덮는다. 따라서, 상기 이격 매체(40)는 상기 프레임 개구(34)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상기 에지를 피복하는 내측 절연 재킷(jacket)으로서, 상기 PTC 소자(6)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열가소성 재료 사이의 직접 접촉을 방지할 뿐 아니라 상기 접촉판들(4)과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 사이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또한 전기적 절연을 위해 유지되어야할 상기 부품들 사이의 최소 거리를 보장하는 기능을 하는 절연 재킷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열 생성 부재의 전기 전도성 부분들의 전기적 절연에 추가하여, 도 1 내지 4 에 도시된 실시예는 또한 상기 부품들의 완전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절연층은 양측에서 상기 접촉판(4)을 가로질러 연장하는(도 3 참조) 에지 섹션(44)을 구비한다.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상기 내측 에지(38)와 상기 에지 섹션(44) 사이에 밀봉 부재(46)가 배치되는데, 상기 밀봉 부재(46)는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과 상기 절연층(8) 모두에 걸쳐 배치되고 이들 모두에 대해 밀봉을 형성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둘레 방향으로, 즉, 폭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되는 부재들에는, 양측의 절연층들(8)과 그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는 두개의 밀봉 부재들(46)의 구성, 그리고 그 사이에 구비된 위치 결정 프레임(2)이 포함된다.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 상기 전기 전도성 부품들 내로의 습기 또는 먼지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 진다.
상기 밀봉 비이드(46)는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대하여 상기 절연층(8)을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플라스틱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절연층들(8) 내에 구비되는 상기 열 생성 부재의 모든 부분들을 밀봉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열 생성 부재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의 위치 배열의 목적으로, 상기 절연층(8)에 대하여 상기 PTC 소자들(6)을 상기 접촉판들(4)에 고정시키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제조의 관점에서 보면, 상기와 같은 부착의 구성이 더 편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silicone)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과 같은 엘라스토머들(elastomers)이 접착제 형태의 상기 밀봉 비이드(46)를 형성하는 데 적절 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특히 도 2로부터 유추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밀봉 비이드(46)는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며, 상기 접경 에지(30)와 상기 프레임 개구(34)의 외측 에지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밀봉 부재는 감소된 두께를 가지는 상기 내측 에지(38)에 접한다. 외측으로는, 상기 밀봉 비이드(46)에 직접 인접하게,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의해 형성되는 밀봉 매체 접경 에지(48)가 구비된다. 가능한 최선의 밀봉을 위하여, 상기 밀봉 비이드(46)는 상기 에지에 대해 밀착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에지는 상기 PTC 소자들을 위한 수용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한다.
도 5 및 6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생성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도시된 열 생성 부재는 위치 결정 프레임(2)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 상에는 성형에 의해 기존의 하측 접촉판(4u)이 배열된다.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을 제조한 후에,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하측 접촉판(4u)과 함께 단일의 부재를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접촉판(4u)은 그 에지에 절결부 또는 관통공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출 성형을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절결부 또는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을 형성하는 고등급의 절연 플라스틱 물질이 흐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접촉판(4)이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측 접촉판(4u)은 그 단부에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의 중앙부를 향하여 구부러져서, 상기 접촉판(4u)이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을 형성하는 재료에 의해 견고하게 둘러싸이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은, 전기적으로 고등급의 온도 내구성(200 ℃)을 가지는 실리콘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대략 500 V 의 전압에서도 신뢰성있는 작동을 보장할 수 있는 CTI 값을 가진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은 전술한 구성을 유지하는 상태로 제조된다, 즉, 밀봉 접착 에지(46)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실질적 부분과 상기 절연층(8)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접착 에지(46)는 엘라스토머 접착제로 제조된다. 상기 이중 절연층들(8)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접착 스트립(46)이 그사이의 중간층으로서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기 하측 절연층(8u) 상에 결합된 상기 스트립(46)은 특히 접착 연결 기능을 한다. 상기 스트립의 밀봉 특성들은 큰 역할을 발휘하지는 못한다. 대신에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절연층(8)은 상기 접착판(4u)의 외측에 편평하게 접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성의 변형이 가능한데, 즉, 상기 전기 스트립 전도체(4u) 및 그에 접하는 상기 절연층(8u) 모두를 몰드(mould) 내에 삽입한 후에,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고등급 절연성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사출 성형시킬 수 있다(도 7 참조). 몰드를 제거한 후에는, 상기 PTC 소자들(6)을 상기 프레임 개구들(34) 내에 삽입한다. 반대측에서는, 전기 스트립 전도체(4)를 상기 PTC 소자(들)(6) 상에 배치한다. 상기 전기 스트립 전도체(4) 상에 직접 배치된 상기 절연층(8)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연결되고, 그 접착성 에지(46)는 밀봉 기능을 하게 된다. 또는, 도 7에 도시되고 이하에 설명되는 변형예의 경우는, 상기 접촉판(들)(4)의 위치 결정과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표면측 단부(들)에서의 접촉 부재들의 형성에 관한 한, 전술한 실시예들의 구성에 대응한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생성 부재의 제 4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들을 부여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PTC 소자(6)는 길쭉한 위치 결정 프레임(2)의 두 개의 프레임 개구부들(34) 내부에 지지된다. 상기 PTC 소자들(6)은, 상기 프레임 개구부들(34)를 둘러싸는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에지부 위에 직접 놓여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개구부들(34)과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길쭉한 측면 에지 사이에는, 두 개의 밀봉 비이드(bead; 46)들이 배치되며, 각각의 비이드는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밀봉 비이드(46) 각각은 밴드 형상의 실리콘 스트립으로서 접착되는데,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의 상측을 지나 돌출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밀봉 비이드들(46)의 대향하는 상측들은 거의 상기 PTC 소자들의 상측의 평면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두개의 상기 밀봉 비이드들(46)은, 해당 측면의 에지에서의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두께와 함께, 상기 PTC 소자들의 높이에 거의 대응하는 높이를 가진다.
위치 결정 프레임 헤드들(100)에는, 상기 절연층(8)의 외측, 즉 일측면을 둘러싸는 로킹 아암(locking arm; 106) 형태의 고정 수단이 추가로 형성된다. 상기 로킹 아암들(106)은, 공동 토션 힌지(shared torsion hinge)(108)를 통하여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 헤드(100)의 고정된 부분에 연결된다. 도 8 및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로킹 아암들(106)은 상기 토션 힌지(108)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대향하는 상기 로킹 아암들(106)은, 편평한 세라믹 판으로 형성된 상기 절연층(108)을 단순 지지할 수 있는 그들 사이의 자유 구역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토션 힌지(108)의 해제 이후에, 상기 로킹 아암들은 다시 역회전하여 상기 절연층(106)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구조에서, 상기 절연층(8)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방향으로 예비 인장되며, 그 사이에는 밀봉 비이드(46)가 개재된다.
도 8 및 9에 도시된 실시예는, 일측면 상에,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대해 대응하여 로킹되는 힌지 결합된 절연층(8)이 형성되고, 반면에, 타측면 상에는, 상기 절연층 및/또는 상기 접촉판(4)이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에는 또 다른 변형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 부재들(46)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양측면에 형성되는데,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과 통합된 단일의 부재로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은 실리콘을 재료로 사출 성형된다. 상기 PTC 소자들(6)은 상기 프레임(2)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절연층들(8)은 상기 밀봉 비이드(46)의 양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부품들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 내에 지지되며, 상기 접촉판(4) 및 PTC 소자들(6) 은 상기 절연층들(8) 사이에 클램핑된다(clamped). 그리고 나서, 이들은 별도의 래치 부재(latching element)들(62)을 통하여 서로에 대해 예비 인장된다. 상기 래치 부재 들(62)은, 예를 들어, C-형 형상의 플라스틱 클립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클립들은 상기 절연층들(8)에 서로에 대한 초기 장력을 제공하고, 그 사이에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이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연성이고 불안정한 위치 결정 프레임(2)에 대한 측방향 접경으로서 기능함으로써,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이 상기 PTC 소자들(6)의 지지 평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기본적으로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래치 부재들(62)은,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전체 길이를 따라 소정 거리를 두고 분포되도록 배열된다. 상기 절연층(8)과 견련하여 작동하는 상기 래치 부재들(62)의 스냅인 돌출부들(snap-in protuberances)은, 상기 절연층의 측면들에 형성된 스냅인 함몰부들(snap-in depressions) 또는 스냅인 돌출부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냅인 돌출부들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절연층(8)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열 생성 부재의 실질적 사용 기간 동안에, 상기 스냅인 부재들(62)이 상기 절연층(8)의 표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절연층(8)의 외면 상에서의 상기 방열 부재들의 가능한 가장 평탄한 배열을 방해하지 않는 구성을 고려할 수도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장치의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상기 난방 장치는 둘레 방향으로 폐쇄된 프레임(52)의 형태를 가지며 두개의 프레임 외장들(54)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52) 내에는, 다층 구조의 동일하게 형성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열 생성 부재들(예를 들어, 도 1 내지 4 에 따른 구조를 가지는)이 지지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52)은 스프링(도시 생략)을 내장하며, 이 스프링에 의해 상기 층간 결합이 초기 장력 하에 상기 프레 임(52) 내에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방열 부재들(56)은 열 생성 부재에 바로 인접하게 배열된다. 도 11에 도시된 상기 방열 부재들(56)은 구불구불한 형태로 구부러진 알루미늄 판금(aluminium plating) 스트립들로 형성된다. 상기 열 생성 부재들은 상기 각각의 방열 부재들(56)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프레임(52)을 관통하는 그리드의 공기 유입 또는 유출 개구들 중의 하나의 세장형 바아 부분들(58)의 뒤에 배치된다. 도시의 목적으로서, 상기 세장형 바아 부분들(58) 중의 하나는 상기 프레임(52) 의 중간 부분에서 도시 생략되었으며, 따라서 그 위치에서 열 생성 부재(60)를 관찰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52) 내에 지지되는 상기 스프링의 힘은, 상기 열 생성 부재들(60)과 상기 방열 부재들(56)을 서로에 대해 예비 인장시킬 뿐 아니라, 대응하는 밀봉 비이드들(46)이 상기 절연층(8) 또는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대하여 밀봉을 형성할 정도로 초기 장력으로 가압되도록 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구조에서 밀봉 효과는 상기 스프링력에 의해서만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개개의 상기 열 생성 부재들은 전술한 초기 장력을 제공하는 클램프 부재들 또는 기타의 고정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 비이드를, 상기 절연층 및/또는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에 밀봉을 형성하는 형태로 접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 내에 지지되는 상기 스프링의 초기 장력으로 인하여, 상기 밀봉 비이드는, 어떠한 경우라도, 압착되며, 상기 접촉판(4)은 상기 PTC 소자(6)의 상측과 동일 높이에 지지되어, 양호한 접촉을 이루게 된다. 명백한 사실로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 내로 절결 형성된 관통 안내(lead-through) 또는 위치 결정 개구 들(104, 105)은, 이 경우, 상기 밀봉 비이드(46)을 압착하기 위한 접촉판(4)의 소정의 이동성을 허용할 수 있을 정도의 치수를 가진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상기 방열 부재들, 즉, 상기 라디에이터 부재들은 전위를 가지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상기 절연층(8)을 그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상기 전기 전도성 부품들 상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상기 프레임(52)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그 결과 전기적 절연성이 더욱 개선된다. 또 다른 보호, 특히 상기 가열 장치의 전기 전도성 부품들에 대한 권한 없는 접촉으로부터의 보호가 상기 그리드에 의해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바, 상기 그리드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외장들(54)과 일체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열 부재들(56)은 상기 전기 전도성 부품들에 밀착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절연층(8)이 배치되고, 상기 방열 부재들(56), 즉 열 방출 부재들은 전위(potential)를 가지지 않는다. 상기 프레임(52)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그 결과 전기적 절연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 다른 보호, 특히 상기 난방 장치의 전기 전도성 부품들에 대한 권한 없는 접촉으로부터의 보호가 상기 그리드에 의해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바, 상기 그리드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외장들(54)과 일체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52)의 일 표면 상에 플러그 연결부가 알려진 방식으로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 연결부에 전력 공급선 및/또는 제어선들이 연결되며, 이들 선들에 의해 상기 난방 장치가 자동차에서의 전력 공급 및 제어를 위한 연결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프레임(52)의 표면 상에는, 상기 플러그 연결부 이외에도, 제어 또는 단 속 부재들을 내장하는 하우징이 구비된다.
도 8 및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밀봉 에지(46)를 지나 돌출하며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 상에 형성된 부착 에지(30)는 결여되며, 측면도를 통하여 관찰할 수 있는 상기 열 발생 부재의 측면은,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의 측벽에 의해 형성된다. 도 8 및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상대적으로 얇은 상기 밀봉 비이드(46)와 상기 세라믹 박판(8) 만이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양 표면 상에서 상기 밀봉 비이드(46)을 위한 접촉면을 지나 돌출한다. 주목하여야 할 점은, 도 8 및 9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열 발생 부재의 폭을 따라 완전히 연장하는 완전 평면을 가진다는 것이다.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대한 상기 세라믹판(8)의 부착은, 상기 표면 상에 구비된 로킹 아암들(106)에 의해서만 성취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용하는 접촉력이 중앙 지역에서 상기 세라믹판(8)을 상기 밀봉 비이드(46)에 가압하기에 불충분한 경우, 상기 프레임 내에서 층들을 서로 가압시키는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하여, 하우징,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내로 상기 PTC 소자들을 장착하는 동안에 상응하는 접착력을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상기 열 생성 부재를 가로 질러 흐르는 공기에 대한 상기 PTC 소자의 차폐를 성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높은 동작 전압을 사용할 경우에도 더 향상된 안전성을 제공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난방 장치의 열 생성 부재와 그에 상응하는 난방 장치 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전기적 플래시 오버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열 생성 부재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Claims (27)

  1. 적어도 하나의 PTC 소자(6), 상기 PTC 소자(6) 상에 배치되는 전기 스트립 도체들(4), 그리고 길쭉한 위치 결정 프레임(2)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TC 소자(6)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개구(34)를 구비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난방 장치의 열 생성 부재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로부터 외면이 이격된 상기 스트립 전도체들(4)을 덮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8)이 구비되며,
    상기 절연층(8)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대해 적어도 그 장측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압 가능한 밀봉 비이드(46)에 의하여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비이드(46)는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비이드(46)는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비이드(46)는 상기 절연층(8)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비이드(46)는 고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외측의 에지를 따라 상기 절연층(8)을 둘러싸는 고정 수단(42, 106)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62, 106)은, 상기 스트립 전도체(4)를 해당 PTC 소자(6)에 대해 가압하는 예비 장력 및/또는 상기 절연층(8)을 해당 밀봉 비이드(46)에 대해 밀봉을 형성하며 지지하는 예비 장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106)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둘레를 따른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둘레를 따른 몰딩에 의해 형성된 고정 수단(106)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 상에 단일편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106)은, 상기 열 생성 부재(60)의 적어도 일 외측을 둘러싸는 클램프 부재(6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부재(62)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부재(62)는 상기 열 생성 부재(60)의 양측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13. 제 6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106)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 상에 단일편으로서 형성되고, 이 때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14. 제 6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외측을 둘러싸는 절연층들(8)을 둘러싸는 두 개의 로킹 아암(106)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 아암들(106)은 공통 힌지 조인트(108)를 통하여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중간 부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아암들(106)은 일 표면 상에서 상기 절연층들(8)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프레임 헤드(100)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전방 부분에 형성되고 외측 및/또 는 상측에서는 상기 절연층들(8)을 지나 돌출하며,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대한 상기 층들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 헤드(100)에는, 접촉 설부(50)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안내 개구부(105)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 설부(50)는 상기 스트립 전도체들을 형성하는 금속 스트립들(4) 중의 하나 상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 헤드(100)는 상기 로킹 아암들(106)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들(8) 중의 하나 및/또는 그 절연층(8)에 의해 덮혀진 상기 스트립 전도체(4)는 둘레를 따른 몰딩에 의해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고정되고 적어도 위치결정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대해 밀봉되며,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반대측에 구비된 상기 절연층(8)은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과의 사이에 압축 가능한 밀봉 비이드(46)를 개재한 상태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8)은 편평한 세라믹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8)은 기본적으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생성 부재(60)는,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과, 밀봉을 이루도록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에 부착된 두 개의 절연층들(8), 그 사이에 구비된 두 개의 전기 스트립 도체들(4), 및 그 사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PTC 소자를 포함하는, 층 구조의 예비 조립된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층 구조 유닛의 측면은 기본적으로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2)의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생성 부재.
  24. 다수의 열 생성 부재들(60)을 포함하며,
    상기 열 생성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PTC 소자(6), 상기 PTC 소자(6) 상에 배치되는 전기 스트립 도체들(4),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길쭉한 위치 결정 프레임(2)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 결정 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TC 소자(6)와 병렬로 배열된 다수의 방열 부재들(56)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개구(34)를 구비하며,
    상기 방열 부재들(56)은 상기 열 생성 부재(60)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지지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난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 생성 부재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열 생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부재(56)는 초기 장력에 의해 프레임(52) 내에 지지되며 상기 열 생성 부재들(60)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장치.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열 발생 부재(60)의 상기 절연층(8)은 해당 밀봉 비이드(46) 상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내에서 스프링 바이어스를 일으키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밀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장치.
  27.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방열 부재(56)가 해당 열 생성 부재(60)의 상기 절연층(8)의 외면 상에 바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장치.
KR1020060093006A 2005-09-23 2006-09-25 난방 장치의 열 생성 부재 KR100850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20753A EP1768458B1 (de) 2005-09-23 2005-09-23 Wärmeerzeugendes Element einer Heizvorrichtung
EP05020752A EP1768457B1 (de) 2005-09-23 2005-09-23 Wärmeerzeugendes Element einer Heizvorrichtung
EP05020752.1 2005-09-23
EP05020753.9 2005-09-23
EP06017063.6 2006-08-16
EP06017063A EP1768459B1 (de) 2005-09-23 2006-08-16 Wärmeerzeugendes Element einer Heiz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445A true KR20070034445A (ko) 2007-03-28
KR100850476B1 KR100850476B1 (ko) 2008-08-07

Family

ID=3754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006A KR100850476B1 (ko) 2005-09-23 2006-09-25 난방 장치의 열 생성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77161B2 (ko)
EP (1) EP1768459B1 (ko)
JP (1) JP4170355B2 (ko)
KR (1) KR100850476B1 (ko)
DE (1) DE502006000793D1 (ko)
ES (1) ES230371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0392A1 (de) * 2005-06-29 2007-01-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sowie Garguträger-Haltevorrichtung für ein Hausgerät
JP4981386B2 (ja) * 2006-08-30 2012-07-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熱媒体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空調装置
DE502006003627D1 (de) 2006-10-25 2009-06-10 Catem Gmbh & Co Kg Wärmeerzeugendes Element für eine elektrische Heiz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EP2025541B1 (de) 2007-07-18 2013-01-02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Wärmeerzeugendes Element einer elektrischen Heizvorrichtung
EP2017546B1 (de) * 2007-07-18 2016-04-13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Heizvorrichtung sowie elektrischer Heizvorrichtungen
ES2345574T3 (es) * 2008-04-11 2010-09-27 EBERSPACHER CATEM GMBH & CO. KG Elemento generador de calor y dispositivo calefactor que comprende un elemento generador de calor.
EP2190258A1 (de) 2008-11-20 2010-05-26 Behr France Rouffach SAS Wärmeübertrager
KR101076191B1 (ko) * 2008-12-05 2011-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티씨 로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피티씨 히터
KR101114583B1 (ko) * 2008-12-05 2012-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티씨 로드 조립체
JP5535740B2 (ja) * 2010-04-14 2014-07-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熱媒体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空調装置
EP2393336B1 (de) 2010-06-04 2017-05-17 Mahle Behr France Rouffach S.A.S Wärmeübertrager
EP2466222B1 (de) 2010-12-20 2013-06-05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US8698051B2 (en) * 2011-07-14 2014-04-15 Amphenol Thermometrics, Inc. Heating system, heater, and methods of heating a component
EP2607121B2 (de) * 2011-12-22 2020-07-08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EP2607808B1 (de) * 2011-12-22 2017-09-27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Wärme erzeugendes Element
EP2608631B1 (de) * 2011-12-22 2016-09-14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Wärme erzeugendes Element
EP2608633B1 (de) * 2011-12-22 2020-08-26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Wärme erzeugendes Element
US9839072B2 (en) 2012-03-08 2017-12-05 Eberspacher Catem Gmbh & Co. Kg Heat generating element with connection structure
DE102012109801B4 (de) * 2012-10-15 2015-02-05 Borgwarner Ludwigsburg Gmbh Elektrische Heizvorrichtung
US20140124500A1 (en) * 2012-11-05 2014-05-08 Betacera Inc. Insulated heater
US20140124499A1 (en) * 2012-11-05 2014-05-08 Betacera Inc. Electric heating apparatus with waterproof mechanism
EP2731400A1 (en) * 2012-11-12 2014-05-14 Betacera Inc. Electric heating apparatus with waterproof mechanism
JP6169781B2 (ja) * 2013-04-28 2017-07-26 ビーワイ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Byd Company Limited 電気ヒータ、デフロスタ、暖房空調システム及び車輌
EP2969673B1 (en) * 2013-04-28 2020-03-18 BYD Company Limited Defroster and vehicle having the same
EP3101998B1 (de) 2015-06-02 2020-12-16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Ptc-heizelement sowie elektrische heizvorrichtung umfassend ein solches ptc-heizelemen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heizvorrichtung
EP3101999B1 (de) 2015-06-02 2021-03-17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Ptc-heizelement und elektrische hei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mfassend ein solches ptc-heizelement
EP3101364B1 (de) 2015-06-02 2017-08-30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DE102016224296A1 (de) 2016-12-06 2018-06-07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KR101879984B1 (ko) * 2017-03-27 2018-07-18 버슘머트리얼즈 유에스, 엘엘씨 히팅 자켓
DE102017206964A1 (de) * 2017-04-25 2018-10-25 Mahle International Gmbh Elektrische Heizeinrichtung
US10774802B2 (en) 2017-05-15 2020-09-15 Phillips & Temro Industries Inc. Intake air heating system for a vehicle
DE102017223785A1 (de) 2017-12-22 2019-06-27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ärmeerzeugenden Elementes
DE102017223779A1 (de) 2017-12-22 2019-06-27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DE102018205316A1 (de) * 2018-04-09 2019-10-10 Mahle International Gmbh Elektrische Heizeinrichtung
CN110430627B (zh) * 2019-07-29 2022-02-25 江苏沙子电器有限公司 一种耐高压型ptc加热器及生产工艺
WO2021166293A1 (ja) 2020-02-21 2021-08-26 日本碍子株式会社 車室暖房用ヒーターエレメント及び車室暖房用ヒーター
DE102020203390A1 (de) 2020-03-17 2021-09-23 Eberspächer catem Hermsdorf GmbH & Co. KG Elektrische heizein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2511894B1 (ko) * 2021-01-07 2023-03-21 우리산업 주식회사 차량 히터용 히트 로드 조립체 및 제조방법
FR3135183A1 (fr) * 2022-04-29 2023-11-03 Valeo Systemes Thermiques Corps de chauffe pour radiateur électriqu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45965C2 (de) * 1978-10-21 1983-01-20 Fritz Eichenauer GmbH & Co KG, 6744 Kandel Elektrisches Widerstandsheizelement
DE2845894A1 (de) * 1978-10-21 1980-04-30 Eichenauer Fa Fritz Elektrische widerstandsheizeinrichtung
DE3065380D1 (en) 1979-09-28 1983-11-24 Siemens Ag Heating arrangement using a p.t.c. resistance heating element
DE3022034A1 (de) * 1980-06-12 1981-12-17 Reinhold Ing.(grad.) 6990 Bad Mergentheim Barlian Beheizungsvorrichtung mit kaltleiter-heizelementen
DE3208802A1 (de) 1980-12-13 1983-09-22 C.S. Fudickar Kg, 5600 Wuppertal Elektrische heizvorrichtung fuer beheizte apparate
JPH0436071A (ja) 1990-05-31 1992-02-06 Fuji Electric Co Ltd S形チューブラ水車
US5198640A (en) 1991-05-28 1993-03-30 Yang Chiung Hsiang Fully clad electric ptc heater with a finned protective casing
US5326418A (en) * 1992-04-14 1994-07-05 Yeh Yuan Chang Method of making positive-temperature-coefficient thermistor heating element
JPH0673654A (ja) 1992-08-27 1994-03-15 Unitika Ltd ポリアミド系極細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US5471034A (en) * 1993-03-17 1995-11-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eater apparatus and process for heating a fluid stream with PTC heating elements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DE69424478T2 (de) * 1993-07-20 2001-01-18 Tdk Corp Keramisches Heizelement
JPH07153554A (ja) * 1993-11-30 1995-06-16 Nippon Tungsten Co Ltd 発熱装置
DE4434613A1 (de) * 1994-09-28 1996-04-04 Behr Gmbh & Co Elektrische Heiz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6178292B1 (en) * 1997-02-06 2001-01-23 Denso Corporation Core unit of heat exchanger having electric heater
JP3794116B2 (ja) * 1997-08-06 2006-07-05 株式会社デンソー 暖房用熱交換器
US6965732B2 (en) * 2000-08-22 2005-11-15 A.T.C.T. Advanced Thermal Chips Technologies Ltd. Liquid heating method and apparatus particularly useful for vaporizing a liquid condensate from cooling devices
ATE458378T1 (de) * 2001-12-06 2010-03-15 Eberspaecher Catem Gmbh & Co K Elektrische heizvorrichtung
DE10213923A1 (de) 2002-03-28 2003-10-09 Votup & Co Innovative Keramik Elektrisches Heizelement
EP1432287B1 (de) * 2002-12-19 2006-06-21 Catem GmbH & Co.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mit Gehäuse
EP1515588B1 (en) 2003-09-10 2015-08-12 Denso Corporation High manufacturable and high performance structure of electric heater
EP1515587B1 (de) * 2003-09-11 2006-12-13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mit versiegeltem Heizelement
KR100545833B1 (ko) * 2003-12-11 2006-01-31 한진전자공업주식회사 전열기용 전기발열체의 조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03712T3 (es) 2008-08-16
EP1768459B1 (de) 2008-05-21
US20070068927A1 (en) 2007-03-29
DE502006000793D1 (de) 2008-07-03
JP2007147259A (ja) 2007-06-14
KR100850476B1 (ko) 2008-08-07
US7777161B2 (en) 2010-08-17
EP1768459A1 (de) 2007-03-28
JP4170355B2 (ja)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476B1 (ko) 난방 장치의 열 생성 부재
KR100837333B1 (ko) 난방 장치의 열 생성 부재
KR101310111B1 (ko) 난방 장치의 열 생성 부재
US7576305B2 (en) Heat-generating element of a heating device
EP2249618B1 (en) On-vehicle heat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8395088B2 (en) Heat generating element and electric auxiliary heater for a motor vehicle with heat generating element
US10136474B2 (en) Heat generating element
JP5134579B2 (ja) 発熱体及び発熱体を備えた暖房装置
US20080173637A1 (en) Insulated waterproof heater
JP6832315B2 (ja) はんだレス電気コネクタを有する窓組立体
KR20050018831A (ko) Ртс 소자를 이용한 자동차용 히터
CN111225459B (zh) 电加热装置
CN110740527A (zh) 发热元件及其制造方法
JP2846244B2 (ja) ヒータ
JPH07296956A (ja) ヒ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