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3964A -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3964A
KR20070033964A KR1020067020794A KR20067020794A KR20070033964A KR 20070033964 A KR20070033964 A KR 20070033964A KR 1020067020794 A KR1020067020794 A KR 1020067020794A KR 20067020794 A KR20067020794 A KR 20067020794A KR 20070033964 A KR20070033964 A KR 20070033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device
windshield wiper
vehicle body
forming tube
receiv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5774B1 (ko
Inventor
위르겐 라프
토마스 슈타이멜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33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88Wiper arrangement for crash protection or impact absor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0Movable or disengageable on impact or overload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13)에 연결된 성형관(10) 및/또는 상기 차체(13)에 연결된 고정 플레이트, 특히 와이퍼 모터용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한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특히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는 보행자들이 차량 상에 충돌하는 경우 자주 부딪히는 영역 내에 있다. 이로 인해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구성 부재들은 보행자들에게 빈번히 심한 부상의 위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 충돌시 보행자에게 미치는 부상의 위험이 감소되도록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를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경우 상기 성형관(10) 및/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본 발명에 따라 분리 가능하게 차체(13)와 고정되어,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상으로 충돌시 상기 성형관(10) 및/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차체(1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충돌, 부상 위험 감소, 성형관, 고정 플레이트, 분리, 수용 개구, 밀봉 소자

Description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Windscreen wiper system}
본 발명은, 차체에 연결된 성형관 및/또는 차체와 연결된 고정 플레이트, 특히 와이퍼 모터용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한 특히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행자들은 차량과 충돌하는 경우 전혀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 특히 엔진 후드 하부의 휘어지지 않는 경질의 부분들은 보행자들이 차량 상에 충돌하는 경우 자주 심각한 부상을 초래한다.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는 보행자들이 차량 상에 충돌하는 경우 빈번히 부딪히는 영역 내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공지된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들은, 차량 상에 충돌하는 경우 보행자들에게 심한 부상의 위험을 제공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에 충돌하는 경우 보행자에게 미치는 부상의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기술 분야에서 언급된 방식의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상기에 언급된 방식의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라 성형관 및/또는 고정 플레이트가 분리 가능하게 차체와 고정되어,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상으로 충돌하는 경우 성형관 및/또는 고정 플레이트가 차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보행자가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상으로 충돌하는 경우, 성형부 및/또는 고정 플레이트가 분리됨으로써, 성형부 및/또는 고정 플레이트에 충돌을 피할 수 있고, 이로써 보행자에 대한 부상의 위험이 현저히 감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차체가 성형관 또는 고정 플레이트의 수용을 위한 수용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개구는 측면 슬롯을 갖는다. 성형관 또는 고정 플레이트는 차체와 고정하기 위해 수용 개구 내로 삽입된다. 성형관 또는 고정 플레이트 상으로 충돌하는 경우, 성형관 또는 고정 플레이트는 측면 슬롯을 통해 수용 개구밖으로 가압된다. 가압시, 슬롯 및 수용 개구가 확대된다. 성형관 또는 고정 플레이트가 슬롯을 통해 수용 개구 밖으로 확실히 가압 되도록 하기 위해, 슬롯은 충격 작용 방향에서 볼 때 후방 개구 에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슬롯을 충격 작용 방향에서 볼 때 후방 개구에 배치되는 것이, 성형관 또는 고정 플레이트를 확실히 분리시키기 위해 불가피한 것은 아니다. 또한 충돌시 성형관 또는 고정 플레이트를 확실히 분리하기 위해, 충격 작용 방향이 차체 내에 장착된 수용 개구에 대해 평행하게 작용할 필요도 없다. 충격이 수용 개구에 대해 0°와 90°사이의 각도로 작용한다면, 성형관 또는 고정 플레이트는 수용 개구 내에서 선회 운동을 하고, 이로써 슬롯 및 수용 개구가 확대되고, 성형관 또는 고정 플레이트는 차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성형부 또는 플레이트부는 충격 작용 방향과 무관하게 차체로부터 확실히 분리된다. 성형관 또는 고정 플레이트가 나사 고정 또는 이와 유사한 추가 고정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을 정도로 세게 수용 개구 내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조립 비용과 수고가 현저히 절감된다.
수용 개구가 비드(bead)된 에지를 포함하면, 성형관 또는 고정 플레이트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력이 비드의 높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분리력은 수용 개구의 영역 내에 있는 차체 플레이트의 두께에도 의존한다.
성형관 또는 고정 플레이트의 분리 과정은 성형관 또는 플레이트부에 대한 어느 정도의 운동 유격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차체로부터 이격된 차체 영역 내에 수용 개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관 또는 고정 플레이트를 차체 내에 있는 수용 개구 내로 최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성형관 및/또는 고정 플레이트가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는, 성형관과 차체 사이 및/또는 고정 플레이트와 차체 사이에 밀봉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밀봉 소자는, 수분 및 먼지가 수용 개구를 통해 차체 내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성형관과 차체 사이 및/또는 고정 플레이트와 차체 사이에 밀봉 소자가 제공되도록, 밀봉소자는 차체에 있는 수용 개구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밀봉 소자도 성형관 또는 고정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밀봉 소자가 차체에 대해 가압하는 환형 밀봉 립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 립은 한편으로는 밀봉 소자의 밀봉 작용, 특히 물보라에 대한 밀봉 작용을 개선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밀봉 립이 성형관과 차체 사이 또는 고정 플레이트와 차체 사이의 공차를 보상할 수 있다.
밀봉 소자가 성형관 또는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바람직하지 않게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성형관 및/또는 고정 플레이트가 밀봉 소자의 고정을 위해 록킹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 소자가 밀봉 소자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밀봉 소자 내에 바람직하게는 홈이 제공된다.
고정 플레이트의 강성을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웨이브형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성형관의 돌출부 및 고정 플레이트의 돌출부도 역시 웨이브형 횡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수용 개구의 윤곽이 성형관의 돌출부의 웨이브형 횡단면 및/또는 고정 플레이트의 돌출부의 웨이브형 횡단면에 매칭될 수 있다.
돌출부를 포함한 성형관 또는 고정 플레이트가 밀봉 소자 내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밀봉 소자도 돌출부의 웨이브형 횡단면에 매칭될 수 있다. 또한 밀봉 소자를 돌출부의 웨이브형 횡단면에 매칭함으로써 밀봉 소자가 돌출부 상에 확실히 유지된다.
밀봉 효과 및 공차 보상은 밀봉 소자가 엘라스토머(elastomer)로 제조되면 개선된다.
하기에서 상이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차체 플레이트 내로 삽입된 성형관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차체 플레이트 내로 삽입된 고정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밀봉 소자의 종단면도,
도 4 는 도 3의 밀봉 소자의 평면도 및
도 5는 도 4의 밀봉 소자의 반대 측면의 평면도이다.
도 1에는 돌출부(11)를 포함한 성형관(10)이 도시된다. 돌출부(11)는 여기서 부분적으로 도시된 차체(13)의 수용 개구(12) 내로 삽입된다. 성형관(10)은 와이퍼 샤프트(14)를 수용한다. 또한 성형관(10)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관을 수용하기 위한 크림프 핀(15)이 장착된다. 수용 개구(12)는 슬롯(16)을 갖는다. 예를 들면 와이퍼 샤프트(14) 및 성형관(10) 상으로, 또는 관, 클림프 핀(15) 및 성형관(10) 위로 충격(17)이 작용하면, 돌출부(11)는 슬롯(16)을 통해 수용 개구(12)밖으로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와이퍼 샤프트(14) 및 성형관(10)은 충격(17)을 피할 수 있고, 이로써 충돌하는 보행자에게 미치는 부상 위험이 현저히 낮아진다.
수용 개구(12)는 환형 에지(18)를 포함한다. 비드(bead)의 높이에 의존해서, 성형관(10)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력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분리력은 수용 개구(12)의 영역 내에 있는 차체(13) 플레이트의 두께에도 의존한다.
수용 개구(12)는 차체(13)로부터 이격된 영역 내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성형관(10)에, 차체(13)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운동 유격 공간이 제공된다.
도 2에는, 여기에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와이퍼 모터 중 하나를 위한 고정 플레이트일 수 있는 고정 플레이트(20)가 도시된다. 고정 플레이트(20)는 역시 부분적으로 도시된 차체(13) 내로 삽입되는 돌출부(23)를 포함한다. 고정 플레이트(20)와 차체(13) 사이에서 돌출부(23)의 영역 내에 밀봉 소자(21)가 배치된다. 밀봉 소자(21)는 돌출부(23) 위에 삽입되고, 수분 및 먼지가 차체(13) 내로 바람직하게 않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밀봉 소자(21)는 환형 밀봉 립(22)을 갖는다. 밀봉 립(22)은 밀봉 작용, 특히 물보라에 대한 밀봉 작용을 개선한다. 또한, 밀봉 립(22)은 고정 플레이트(20)와 차체(13) 사이의 공차를 보상한다.
도 3에는, 고정 플레이트(32)의 록킹 소자(31)가 삽입될 수 있는 밀봉 소자(30)가 도시된다. 이로써 록킹 소자(31)는 밀봉 소자(30)가 고정 플레이트(32)로부터 바람직하지 않게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는, 웨이브형 횡단면을 갖는 고정 플레이트(40)가 도시된다. 웨이브형 횡단면은 고정 플레이트(40)의 강성을 높인다. 고정 플레이트(40)는 고정 소자(41) 내로 삽입된다. 고정 플레이트(40)를 수용하기 위한 밀봉 소자(41) 내의 개구는 고정 플레이트(40)의 웨이브형 횡단면에 매칭된다. 또한 고정 소자(41)가 고정 플레이트(40)의 웨이브형 횡단면에 매칭됨으로써 밀봉 소자(41)와 고정 플레이트(40) 사이를 확실하게 유지시킨다.
밀봉 소자(41)의 밀봉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해, 고정 플레이트(40)의 수용을 위한 개구에 대향하는 밀봉 소자의 측면이 폐쇄된다(도 5). 이로써 수분도 먼지도 차체 내로 들어갈 수 없다.

Claims (12)

  1. 차체(13)에 연결된 성형관(10) 및/또는 상기 차체(13)에 연결된 고정 플레이트(20,32,40), 특히 와이퍼 모터용 고정 플레이트(20,32,40)를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관(10) 및/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20,32,40)는 상기 차체(13)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상으로 충돌시 상기 성형관(10) 및/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20,32,40)가 상기 차체(13)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13)가 상기 성형관(10) 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20,32,40)의 수용을 위한 수용 개구(12)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개구에는 측면 슬롯(16)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개구(12)는 비드된 에지(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개구(12)는 상기 차체(13)로부터 이격된 차체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관(10) 및/또는 고정 플레이트(20,32,40)는 돌출부(11,23)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차체(13) 내에 있는 상기 수용 개구(12)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관(10)과 상기 차체(13) 사이 및/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20,32,40)와 상기 차체(13) 사이에 밀봉 소자(21,30,41)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소자(21,30,41)가 상기 성형관(10) 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20,32,40)의 수용을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소자(21,30,41)는 차체에 대해 가압하는 환형 밀봉 립(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관(10) 및/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32)가 상기 밀봉 소자(30)의 고정을 위한 록킹 소자(31)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개구(12)의 윤곽이 상기 성형관(10)의 상기 돌출부(11)의 웨이브형 횡단면 및/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20,32,40)의 돌출부(23)의 웨이브형 횡단면에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소자(21,30,41)도 역시 상기 돌출부(11,23)의 웨이브형 횡단면에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12.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소자(21,30,41)가 엘라스토머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KR1020067020794A 2004-04-06 2005-02-14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KR101045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16917.9 2004-04-06
DE102004016917A DE102004016917A1 (de) 2004-04-06 2004-04-06 Scheibenwischvorrichtung
PCT/EP2005/050644 WO2005097566A1 (de) 2004-04-06 2005-02-14 Scheibenwisch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964A true KR20070033964A (ko) 2007-03-27
KR101045774B1 KR101045774B1 (ko) 2011-07-04

Family

ID=3496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794A KR101045774B1 (ko) 2004-04-06 2005-02-14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562927B2 (ko)
EP (1) EP1735195B1 (ko)
JP (1) JP4431612B2 (ko)
KR (1) KR101045774B1 (ko)
CN (1) CN100556735C (ko)
BR (1) BRPI0506801A (ko)
DE (1) DE102004016917A1 (ko)
ES (1) ES2367995T3 (ko)
RU (1) RU2381923C2 (ko)
WO (1) WO2005097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63179A1 (de) * 2004-12-29 2006-07-13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DE102007040504A1 (de) * 2007-08-28 2009-03-05 Robert Bosch Gmbh Wischanlage mit einem Wischantrieb zum Antrieb eines Wischgestänges
DE102016218954A1 (de) 2016-09-30 2018-04-05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5456B1 (fr) 1998-02-27 2000-05-12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ssuyage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platine de fixation susceptible de s'effacer en cas de choc, et platine appartenant a un tel dispositif
GB2347340A (en) 1999-03-03 2000-09-06 Trico Products Windscreen wiper with safety system to reduce spearing danger
EP1033295A3 (en) 1999-03-03 2002-05-15 Trico Products (Dunstable) Limited Windscreen wiper assembly
DE19912746A1 (de) 1999-03-22 2000-10-05 Bosch Gmbh Robert Wischerantrieb mit einem reversierbaren Getriebemotor
DE10039293A1 (de) * 2000-08-11 2002-06-20 Valeo Auto Electric Gmbh 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sowie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r Scheibenwischanlage
JP3764054B2 (ja) 2001-02-08 2006-04-05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5195A1 (de) 2006-12-27
CN1938183A (zh) 2007-03-28
US20070290520A1 (en) 2007-12-20
US7562927B2 (en) 2009-07-21
JP4431612B2 (ja) 2010-03-17
EP1735195B1 (de) 2011-08-17
KR101045774B1 (ko) 2011-07-04
RU2006103271A (ru) 2008-05-20
WO2005097566A1 (de) 2005-10-20
DE102004016917A1 (de) 2005-10-20
RU2381923C2 (ru) 2010-02-20
JP2007531656A (ja) 2007-11-08
ES2367995T3 (es) 2011-11-11
BRPI0506801A (pt) 2007-05-29
CN100556735C (zh)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1130B2 (en) Vehicle cowl cover
US8602487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and method of mounting hinge cover on vehicle
US20020171262A1 (en) Front body structure for vehicle
US9849917B2 (en) Cowl top cover
GB2411382A (en) Cover for a well between the bonnet and windscreen of a vehicle
JPH01156154A (ja) 自動車用放熱器枠
US20060237998A1 (en) Stop support for the front hood of a motor vehicle
US6942244B2 (en) Cover and housing structure for an airbag module
JPH08282410A (ja) エネルギ吸収特性のあるトリム構成部品
KR20180049833A (ko) 자동차용 fmh 충격 감소용 플레이트
CN106364318B (zh) 具有仪表板的机动车辆
JP2009274622A (ja) 車両用カウルトップ構造
KR101045774B1 (ko)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JP5001548B2 (ja) 車両用カウルトップカバー
US20020027337A1 (en) Airbag door of a vehicle
JP4975037B2 (ja) 自動車の凹状のポストにトリム部品を固定する装置及び方法
JP2009501111A (ja) 変型可能な防水隔壁を有する自動車のフロントフェンダー
CN110958970B (zh) 车辆的前部构造
US8616596B2 (en) Fastening structure for a bumper of a motor vehicle
JP4101820B2 (ja) 車両用カウルトップ構造
CN111516614B (zh) 车辆角饰板和车辆
KR100263968B1 (ko) 자동차의 슈라우드 패널
KR100369028B1 (ko)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
CN114906225A (zh) 前围罩装置
KR100338508B1 (ko) 승용차용 이중 샷건 차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