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3487A - 보강부재 - Google Patents

보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3487A
KR20070033487A KR1020050087698A KR20050087698A KR20070033487A KR 20070033487 A KR20070033487 A KR 20070033487A KR 1020050087698 A KR1020050087698 A KR 1020050087698A KR 20050087698 A KR20050087698 A KR 20050087698A KR 20070033487 A KR20070033487 A KR 20070033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reinforcement member
acupressure
bent portion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건영
Original Assignee
홍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건영 filed Critical 홍건영
Priority to KR102005008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3487A/ko
Publication of KR20070033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2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corru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체(10)를 사이에 두고 전방구조물(20)과 후방구조물(30)을 연결하는 구조로서 설치되어, 그 전방구조물(20) 및 후방구조물(30)을 지지하는 보강부재(100)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탄성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굴곡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토체의 침하 기타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응력집중을 최소화하여 옹벽 구조물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옹벽, 토체, 보강부재, 굴곡

Description

보강부재{REINFORCEMENT MEMBER}
도 1은 종래의 보강토 옹벽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부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제1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제2실시예의 측면도.
도 4는 제3실시예의 측면도.
도 5는 제4실시예의 측면도.
도 6은 제5실시예의 측면도.
도 7은 제6실시예의 부분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토체 20 : 전방구조물
30 : 후방구조물 100 : 보강부재
100a : 파동형 구조의 보강부재 100b : 나선형 구조의 보강부재
100c : 꽈배기형 구조의 보강부재 110 : 굴곡부
120 : 지압증대수단 121 : 피복부
본 발명은 보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옹벽과 같이 토체의 붕괴에 대하여 저항하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보강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옹벽 중 보강토 옹벽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토체(10)를 사이에 두고 블럭, 판넬 등의 전방구조물(20)과 지중앵커 등의 후방구조물(30)이 설치되는데, 이들은 보강부재(100)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지지된다.
이는 다짐 공정을 거친 토체(10)와 지중앵커 등의 후방구조물(30) 사이의 지압응력에 의한 지압강도와, 후방구조물(30)에 후단부가 연결된 보강부재(100)의 인장강도에 의해, 표면재 블럭 등의 전방 구조물(20)을 지지함으로써, 토체(10)의 붕괴를 방지하는 구조를 취한다.
한편, 토체(10)는 시공 중 및 시공 후 시간의 경과와 함께 침하 기타 변형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는 전방구조물(20), 후방구조물(30) 및 보강부재(100)에 대하여 예기치 못했던 응력을 발생시키므로 구조물의 안정성 측면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예컨대 토체(10)의 침하가 발생하는 경우, 옹벽의 상부에서는 전방구조물(20)과 보강부재(100) 사이의 연결부에 수직방향의 응력집중이 발생하게 되고, 옹 벽의 하부에서는 자중의 증대에 의해 수평방향의 응력집중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응력집중은 보강부재(100)의 파단 기타 구조물의 손상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토체의 침하 기타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응력집중을 최소화하여 옹벽 구조물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보강부재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토체를 사이에 두고 전방구조물과 후방구조물을 연결하는 구조로서 설치되어, 상기 전방구조물 및 후방구조물을 지지하는 보강부재에 있어서, 소정 탄성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굴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를 제시한다.
상기 굴곡부는 만곡지게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파동형 구조를 취할 수 있고, 나선형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며, 꽈배기형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굴곡부에는 지압증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압증대수단은 상기 토체와의 접촉면적을 확대하도록, 상기 굴곡부의 외주면을 둘러 피복된 피복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토체(10)를 사이에 두고 전방구조물(20)과 후방구조물(30)을 연결하는 구조로서 설치되어, 상기 전방구조물(20) 및 후방구조물(30)을 지지하는 보강부재(100)에 관한 것으로서, 그 보강부재(100)가 소정 탄성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굴곡부(110)가 형성된 점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보강부재(100)가 단지 직선형 구조를 취하고 있었으므로, 토체 기타 주변 구조물의 변형에 대응하여 탄성 거동을 하는데 한계가 있었음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보강부재(100)의 경우 심부에 굴곡부(110)를 형성함으로써 탄성 거동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토체(100)의 침하 기타 변동으로 인하여 예기치 못했던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그에 대응한 보강부재(100)의 탄성 거동으로 인하여 옹벽 구조물 내부에 유연한 응력의 재분배가 발생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응력집중을 피할 수 있어 옹벽 구조물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보강부재(100)의 탄성 거동에 대응한 구조물의 변형이 허용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오히려 구조적으로 불리한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보강부재(100)에 형성되는 굴곡부(110)는 그 탄성 거동에 의한 구조물의 변형이 허용범위를 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전방 구조물(20)이란, 본 발명에 의한 보강부재(100)의 전단부에 결합될 수 있는 모든 구조물을 통칭하는 의미로서, 블럭, 판넬 축조 구조물과 같은 옹벽의 표면재 구조물이 될 수도 있고, 별개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부재의 일부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후방 구조물(30)이란, 본 발명에 의한 보강부재(100)의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는 모든 구조물을 통칭하는 의미로서, 지중앵커 등의 앵커체가 될 수도 있고, 절토 사면에 시공된 소일 네일, 어스 앵커 기타 별도의 앵커체와의 결합 구조물이 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굴곡부(110)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굴곡부(110)는 절곡된 구조, 만곡진 구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보다 유연한 탄성 거동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지게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굴곡부(110)는 복수가 형성되는 것이 탄성 거동의 유연성 증대 측면에서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동형 구조(100a)를 취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구조(100b)를 취할 수도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꽈배기형 구조(100c)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 중 나선형 구조(100b)나 꽈배기형 구조(100c)의 경우, 보강부재(100)의 탄성 거동이 가능함과 아울러, 강성도 증대될 수 있는 우수한 구조라 할 수 있으므로, 옹벽 구조물 중 응력집중이 일어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취약부에 설치하기에 적절한 구조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굴곡부(110)가 형성된 보강부재(100)는 그 굴곡부(110)가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곡부(110)에는 지압증대수단(120)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압증대수단(120)이란 굴곡부(110)와 토체(10) 사이의 접촉면적을 확대하기 위한 수단을 의미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110)의 외주면을 둘러 피복된 피복부(121)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토체(10)의 침해 기타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보강부재(100)도 탄성 거동에 의한 변형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는 도 6의 화살표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보강부재(100)의 굴곡부(110)가 직선형으로 펴지면서 그 방향으로 주변의 토체(10)를 누르는 현상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굴곡부(110)에 지압증대수단(120)이 설치되는 경우, 토체(10)의 변형에 의한 보강부재(100)의 탄성 거동시, 그 지압증대수단(120)이 주변의 토체(10)를 압박하게 되므로, 지압증대수단(120)과 주변의 토체(10) 사이에는 지압응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옹벽 구조물의 전체적 변형에 대응하는 또 하나의 저항력이 되는 것이다.
종래의 구조의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보강부재(100)와 토체(10)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단지 보강부재(100) 자체의 인장강도만이 구조물의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수단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구조의 경우, 굴곡부(110) 및 지압증대수단(120)에 의해 보강부재(100)과 토체(10) 사이에 지압응력이 발생하도록 한 것이므로, 보강부재(100)가 구조물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역할로서 종래의 인장강도 뿐만 아니라, 지압강도 개념이 추가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는 것이다.
이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설 계시, 싼 자재인 콘크리트의 활용에 의해 비싼 자재인 철근의 소요량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부수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토체의 침하 기타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응력집중을 최소화하여 옹벽 구조물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보강부재를 제시한다.

Claims (7)

  1. 토체(10)를 사이에 두고 전방구조물(20)과 후방구조물(30)을 연결하는 구조로서 설치되어, 상기 전방구조물(20) 및 후방구조물(30)을 지지하는 보강부재(100)에 있어서,
    소정 탄성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굴곡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110)는 만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100).
  3. 제1항에 있어서,
    파동형 구조(100a)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100).
  4. 제1항에 있어서,
    나선형 구조(100b)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100).
  5. 제1항에 있어서,
    꽈배기형 구조(100c)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1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110)에는 지압증대수단(12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1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증대수단(120)은
    상기 토체(10)와의 접촉면적을 확대하도록, 상기 굴곡부(110)의 외주면을 둘러 피복된 피복부(1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100).
KR1020050087698A 2005-09-21 2005-09-21 보강부재 KR20070033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698A KR20070033487A (ko) 2005-09-21 2005-09-21 보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698A KR20070033487A (ko) 2005-09-21 2005-09-21 보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487A true KR20070033487A (ko) 2007-03-27

Family

ID=41560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698A KR20070033487A (ko) 2005-09-21 2005-09-21 보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34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899B1 (ko) * 2021-07-21 2022-04-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신장 구간과 신장 구간의 복합 구성에 의한 신장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보강재,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899B1 (ko) * 2021-07-21 2022-04-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신장 구간과 신장 구간의 복합 구성에 의한 신장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보강재,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3126A (ko) 충전용 강관
JP2007051486A (ja) 矢板併用型直接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70033487A (ko) 보강부재
JPH09264024A (ja) 土留め又は締切り工事方法
KR20120045423A (ko) 리브형태가 포함된 압연 형강을 이용하여 좌굴에 대한 저항성능을 강화시킨 각형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9991A (ko) 마이크로파일 면진 고무패드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과 면진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파일의 시공방법
JP3971679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建造物における構成材の材端固定構造
JP6889206B2 (ja) 柱脚構造
JPH07317087A (ja) 鋼製壁と鉄筋コンクリート床版との接合構造
KR102120002B1 (ko) 패널의 지지구조체
JP5267879B2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耐震補強構造
JPH11303062A (ja) ソイルセメント壁
JP2005120781A (ja) 合成壁の構造
KR100875251B1 (ko) 파형강판 지중구조물의 단부 보강재 및 그를 이용한단부보강방법
TWI595141B (zh) Expansion joints for concrete structures
JP4358453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柱における柱主鉄筋の定着方法
JP2006214201A (ja) 杭と連続地中壁の複合基礎
JP2007085166A (ja) 高変形性能コンクリート部材
JP2020165098A (ja) 駅ホームの補強構造
JP5382963B2 (ja) コンクリート柱補強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柱補強構造
JP699363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構造物接続兼用補強鉄筋ランナ
JP2019073942A (ja) 既設建物の耐震補強構造物
JPH10121468A (ja) コンクリート製基礎杭
JP5081168B2 (ja) コンクリート躯体補強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躯体補強構造
JPH06220837A (ja) 立坑土留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