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002B1 - 패널의 지지구조체 - Google Patents
패널의 지지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0002B1 KR102120002B1 KR1020190022952A KR20190022952A KR102120002B1 KR 102120002 B1 KR102120002 B1 KR 102120002B1 KR 1020190022952 A KR1020190022952 A KR 1020190022952A KR 20190022952 A KR20190022952 A KR 20190022952A KR 102120002 B1 KR102120002 B1 KR 1021200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rdware
- panel
- installation hardware
- installation
- storage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18—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저장탱크의 내벽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곡구조가 반복 형성되는 설치철물부; 상기 설치철물부의 내입구간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철물부를 저장탱크의 내벽에 고정하는 철물고정부; 및, 상기 설치철물부의 돌출구간에 접합되고,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유체의 저장내면을 형성하는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철물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패널부를 완충 지지하는 패널의 지지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저장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패널의 지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종래의 기술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 저수조 내부에 일정한 간격(일례로, 1 m)으로 스테인리스 평철을 설치하며, 평철을 콘크리트와 일체화하기 위하여 앵커볼트를 설치한다.
일반적으로 앵커볼트는 콘크리트 위로 돌출이 되는데, 돌출된 앵커볼트는 돌출된 부분을 제거한 후 평철과 용접하여 일체화를 시킨다.
평철과 평철이 만나는 곳은 용접으로 서로 연결을 한다.
그 후 평철로 이루어진 사각형 위에 스테인리스 패널을 설치한다.
스테인리스 패널은 설치 위치를 잡기 위하여 부분적인 용접을 하며, 위치가 모두 확정된 후에 패널과 패널을 붙이기 위해서 다시 용접한다.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 안전한 지역이 아니며, 최근 경주 및 포항 등의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콘크리트 배수지가 흔들리게 되고, 그 영향은 평철 또는 스테인리스 패널로 전달된다.
따라서, 종래 방식은 지진이 발생할 경우 진동을 흡수 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모든 하중을 평철과 패널에서 부담하게 되고, 지진이 지속되면 평철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스테인리스 패널이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지진 등의 하중을 완충하여 지지할 수 있는 패널의 지지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저장탱크의 패널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패널의 지지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저장탱크의 내벽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곡구조가 반복 형성되는 설치철물부; 상기 설치철물부의 내입구간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철물부를 저장탱크의 내벽에 고정하는 철물고정부; 및, 상기 설치철물부의 돌출구간에 접합되고,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유체의 저장내면을 형성하는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철물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패널부를 완충 지지하고, 상기 설치철물부는, 저장탱크의 내벽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설치철물; 저장탱크의 내벽에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설치철물과 교차되면서 단위격자를 형성하는 제2 설치철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설치철물과 상기 제2 설치철물은, 교차영역에 상기 설치철물부의 내입구간이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교차영역에 상기 철물고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지지구조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설치철물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형의 금속소재로 구성되고, 절곡구조가 변형되면서 상기 패널부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설치철물부는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에 종방향 전체 또는 횡방향 전체에 걸쳐서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철물고정부는, 저장탱크의 내벽에 매립되어 상기 설치철물부를 고정하고, 상기 철물고정부의 헤드부분은 상기 돌출구간 보다 내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패널부는, 상기 패널부의 연결라인은 상기 설치철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돌출구간과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저장탱크의 내벽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곡구조가 반복 형성되는 설치철물부; 상기 설치철물부의 내입구간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철물부를 저장탱크의 내벽에 고정하는 철물고정부; 상기 설치철물부의 돌출구간에 접합되고,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유체의 저장내면을 형성하는 패널부; 및, 길이방향으로 절곡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철물부 또는 상기 패널부 중 적어도 상기 설치철물부를 지지하는 보강철물부;를 포함하고,상기 설치철물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패널부를 완충 지지하는 패널의 지지구조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보강철물부의 제2 돌출구간이 상기 설치철물부의 돌출구간을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강철물부의 제2 돌출구간이 상기 설치철물부의 돌출구간을 지지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보강철물부의 제2 돌출구간은 상기 설치철물부의 돌출구간의 배면에만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강철물부의 제3 돌출구간이 상기 패널부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진 등의 하중을 완충하여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탱크의 패널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패널의 지지구조체가 설치된 저장탱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저장탱크의 내벽에 본 발명의 패널의 지지구조체의 설치철물부와 철물고정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패널의 지지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의 지지구조체의 설치철물부의 절곡구조가 탄성변형되면서 패널부를 완충하여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의 지지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저장탱크의 내벽에 본 발명의 패널의 지지구조체의 설치철물부와 철물고정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패널의 지지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의 지지구조체의 설치철물부의 절곡구조가 탄성변형되면서 패널부를 완충하여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의 지지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의 지지구조체(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의 지지구조체(10)는 설치철물부(100), 철물고정부(200) 및, 패널부(3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보강철물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패널의 지지구조체(10)는 콘크리트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곡구조가 반복 형성되는 설치철물부(100)와, 상기 설치철물부(100)의 내입구간(130)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철물부(100)를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고정하는 철물고정부(200) 및, 상기 설치철물부(100)의 돌출구간(110)에 접합되고, 저장탱크(20)에 저장되는 유체의 저장내면을 형성하는 패널부(300)를 포함하고, 설치철물부(100)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패널부(300)를 완충 지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장탱크(20)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고, 내부에 물 등의 유체가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콘크리트로 구성된 저장탱크(20)의 경우는 내벽(21)에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콘크리트의 강알카리성 등으로 인해 물 등의 유체를 직접 저장하기에는 부적절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패널의 지지구조체(10)는 저장탱크(20)의 내부에 유체의 저장내면을 형성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저장탱크(20)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고, 설치철물부(100)와 패널부(300) 중 적어도 유체의 저장내면을 형성하는 패널부(300)는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설치철물부(100)는 콘크리트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설치되어 패널부(30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설치철물부(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설치철물부(100)는 길이방향으로 돌출구간(110)과 내입구간(130)이 교번적으로 형성되면서 절곡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치철물부(100)는 돌출구간(110)과 내입구간(130)의 사이에는 경사구간(15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설치철물부(100)는 길이방향으로 경사구간(150), 돌출구간(110), 경사구간(150), 내입구간(130), 경사구간(150)이 반복되면서 절곡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설치철물부(100)는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구간(150), 돌출구간(110),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구간(150)이 하부가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설치철물부(100)는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구간(150), 내입구간(130),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구간(150)이 상부가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설치철물부(100)의 내입구간(130)은 저장탱크(20)의 내벽(21)과 접하게 배치되고, 돌출구간(110)은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설치철물부(100)가 절골구조를 가짐으로써, 지진 등의 하중에 대해 저항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설치철물부(100)는 절곡구조가 탄성 변형되면서 지진 등의 하중을 완충하면서 패널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완충공간(S)은 지진 등의 하중이 작용시, 설치철물부(100)의 절곡구조가 탄성 변형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완충공간(S)은 콘크리트 저장탱크(20)의 내벽(21)의 균열 등을 통해 지하수 등이 유입시, 유입된 지하수의 압력에 의해 패널부(3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임시적인 수용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a를 참조하면, 패널부(300)는 콘크리트구조의 저장탱크(20)의 내벽(21)과 저장탱크(20)에 저장되는 유체가 접촉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패널부(300)는 설치철물부(100)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패널부(300)의 배면은 설치철물부(100)의 돌출구간(110)의 상면에 접합될 수 있다.
패널부(300)의 연결라인(310)은 설치철물부(100) 상에서 형성되고, 연결라인(310)의 일부가 설치철물부(100)의 돌출구간(110)과 용접 접합될 수 있다.
2개의 패널부(300)의 연결부분인 연결라인(310)은 설치철물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설치철물부(100)는 패널부(300)의 연결라인(310)의 일부에서 함께 용접 접합될 수 있다.
패널부(300)는 표면이 평활한 평판형의 패널부(300)재로 구성될 수 있고, 2개의 패널부(300)재의 측면단부가 맞대진 상태에서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일례로, 패널부(300)재는 사각형의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철물고정부(200)는, 설치철물부(100)를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철물고정부(200)는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설치철물부(100)를 고정한 상태에서 설치철물부(100)와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설치철물부(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형의 금속소재로 구성되고, 절곡구조가 변형되면서 상기 패널부(30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설치철물부(100)는 스테인레스 소재 등의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설치철물부(100)는, 절곡구조가 변형되면서 저장탱크(20)의 내벽(21)과 상기 패널부(300) 사이의 완충공간(S)의 크기가 변형될 수 있다.
저장탱크(20)의 내벽(21)을 통해 지하수 등이 유입시, 설치철물부(100)의 절곡구조가 변형되면서 저장탱크(20)의 내벽(21)과 상기 패널부(300) 사이의 완충공간(S)의 크기가 변형되면서 유입된 지하수의 압력에 의해 패널부(300)가 바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설치철물부(100)는 상기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종방향 전체 또는 횡방향 전체에 걸쳐서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설치철물부(100)의 돌출구간(110)은 패널부(300)의 연결라인(310)과 용접 접합될 수 있고, 패널부(300)의 연결라인(310)과 용접 접합되는 돌출구간(110)의 총길이는 설치철물부(100) 전체길이의 적어도 1/2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설치철물부(100)는,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설치철물(100-1)과,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설치철물(100-1)과 교차되면서 단위격자를 형성하는 제2 설치철물(100-2)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설치철물(100-1)과 상기 제2 설치철물(100-2)은, 교차영역에 상기 설치철물부(100)의 내입구간(130)이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교차영역에 상기 철물고정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설치철물(100-1)은 길이방향인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설치철물(100-2)은 길이방향인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2개의 설치철물부(100) 사이의 설치간격은 설치철물부(100)의 폭의 10배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설치철물부(100)의 폭이 100 mm인 경우, 2개의 설치철물부(100)의 간격은 1000 mm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설치철물부(100)는 복수 개의 제1 설치철물(100-1)과 복수 개의 제2 설치철물(100-2)이 교차되면서 복수 개의 단위격자를 형성하면서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설치될 수 있다.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는 사각형 형상의 단위격자가 형성되고, 단위격자의 내부에는 사각형 형상으로 저장탱크(20) 내벽(21)이 노출될 수 있다.
패널부(300)의 단부영역이 설치철물부(100)의 단위격자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인접한 패널부(300)가 서로 용접 접합되면서 연결라인(3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패널부(300)의 연결라인(310)의 일부가 설치철물부(100)의 돌출부분과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철물고정부(200)는,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매립되어 상기 설치철물부(100)를 고정하고, 상기 철물고정부(200)의 헤드부분(230)은 상기 설치철물부(100)의 돌출구간(110) 보다 내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철물고정부(200)는,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매립부분(210)과, 매립부분(210)에 비해 확경된 형태를 가지고 설치철물부(100)의 내입구간(130)을 고정하는 헤드부분(230)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철물고정부(200)의 매립부분(210)은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매립되는 앵커볼트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고, 철물고정부(200)의 헤드부분(230)은 납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a를 참조하면, 패널부(300)는, 상기 패널부(300)의 연결라인(310)은 상기 설치철물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돌출구간(110)과 용접 접합될 수 있다.
패널부(300)의 연결라인(310)은 설치철물부(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패널부(300)의 연결부분인 연결라인(310)은 설치철물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되는 2개의 상기 패널부(300)의 단부영역이 설치철물부(100)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나의 설치철물부(100)의 폭방향으로 2개의 패널부(3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용접 접합되면서 패널부(300)가 연결되면서 연결라인(310)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설치철물부(100)는 패널부(300)의 폭의 1/10 이내의 폭을 가지는 띠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패널의 지지구조체(10)는 길이방향으로 절곡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철물부(100) 또는 상기 패널부(300) 중 적어도 상기 설치철물부(100)를 지지하는 보강철물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철물부(400)는 설치철물부(100)를 보강하도록 지지하거나, 설치철물부(100)와 패널부(300)를 함께 보강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일례로, 보강철물부(400)는 설치철물부(100)의 돌출부분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보강철물부(400)는 설치철물부(100)의 돌출부분의 배면과, 패널부(300)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보강철물부(400)는, 길이방향으로 절곡구조가 형성된 띠형의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보강철물부(400)는, 길이방향으로 절곡구조가 형성되고, 설치철물부(100)의 돌출구간(110)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강철물부(4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형의 금속소재로 구성되고, 절곡구조가 변형되면서 설치철물부(100) 또는 패널부(30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보강철물부(400)는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종방향 전체 또는 횡방향 전체에 걸쳐서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보강철물부(400)는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보강철물(400-1)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보강철물부(400)는 복수 개의 제1 보강철물(400-1)만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보강철물(400-1)은,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설치철물(100-1)의 돌출부분을 일체로 지지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보강철물부(400)는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 보강철물(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보강철물부(400)는 복수 개의 제2 보강철물(미도시)만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보강철물(미도시)은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설치철물(100-2)의 돌출부분을 일체로 지지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보강철물부(400)는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보강철물(400-1)과,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제1 보강철물(400-1)과 교차되면서 단위격자를 형성하는 제2 보강철물(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보강철물(400-1)과 복수 개의 제2 보강철물(미도시)은 서로 교차되면서 단위격자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보강철물부(400)의 제2 돌출구간(410)이 상기 설치철물부(100)의 돌출구간(110)을 지지할 수 있다.
보강철물부(400)의 제2 돌출구간(410)은 설치철물부(100)의 돌출부분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보강철물부(400)는 복수 개의 제2 돌출구간(410)과 복수 개의 제2 내입구간(430)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면서 절곡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철물부(4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복수 개의 제2 돌출구간(410)이 이격하여 배치되고, 보강철물부(400)의 제2 돌출구간(410)은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설치철물부(100)의 돌출구간(110)을 일체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보강철물부(400)는 설치철물부(100)와 교차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강철물부(400)는 길이방향인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설치철물부(100)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보강철물부(400)는 길이방향인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설치철물부(100)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보강철물부(400)에는 복수 개의 제2 돌출구간(410)이 이격하여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2 돌출구간(410)은 이격하여 배치된 복수 개의 돌출구간(110)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보강철물부(400)의 제2 돌출구간(410)은 상기 설치철물부(100)의 돌출구간(110)의 배면에만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보강철물부(400)는 설치철물부(100)에만 고정될 수 있고,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별도로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철물부(400)의 제2 돌출구간(410)은 설치철물부(100)의 돌출구간(110)의 배면에 용접 접합되고, 보강철물부(400)의 제2 내입구간(430)은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입구간(430)을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추가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시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제2 내입구간(430)은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별도의 고정없이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보강철물부(400)의 제3 돌출구간(450)이 상기 패널부(300)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보강철물부(400)에는 절곡구조가 형성되고, 절곡구조에는 제2 돌출구간(410), 제2 내입구간(430), 제3 돌출구간(4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구간(410)의 양측에는 제2 내입구간(430)이 배치되고, 제3 돌출구간(450)의 양측에도 제2 내입구간(4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돌출구간(450)은 2개의 제2 내입구간(430)의 사이에 형성되어 패널부(300)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내입구간(430)은 저장탱크(20)의 내벽(21)에 거치된 상태에서 제3 돌출구간(450)이 패널부(300)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패널의 지지구조체 20: 저장탱크
21: 내벽 100: 설치철물부
100-1: 제1 설치철물 100-2: 제2 설치철물
110: 돌출구간 130: 내입구간
150: 경사구간 200: 철물고정부
210: 매립부분 230: 헤드부분
300: 패널부 310: 연결라인
400: 보강철물부 400-1: 제1 보강철물
410: 제2 돌출구간 430: 제2 내입구간
450: 제3 돌출구간 S: 완충공간
21: 내벽 100: 설치철물부
100-1: 제1 설치철물 100-2: 제2 설치철물
110: 돌출구간 130: 내입구간
150: 경사구간 200: 철물고정부
210: 매립부분 230: 헤드부분
300: 패널부 310: 연결라인
400: 보강철물부 400-1: 제1 보강철물
410: 제2 돌출구간 430: 제2 내입구간
450: 제3 돌출구간 S: 완충공간
Claims (10)
- 콘크리트 저장탱크의 내벽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곡구조가 반복 형성되는 설치철물부;
상기 설치철물부의 내입구간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철물부를 저장탱크의 내벽에 고정하는 철물고정부; 및,
상기 설치철물부의 돌출구간에 접합되고,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유체의 저장내면을 형성하는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철물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패널부를 완충 지지하고,
상기 설치철물부는,
저장탱크의 내벽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설치철물;
저장탱크의 내벽에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설치철물과 교차되면서 단위격자를 형성하는 제2 설치철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설치철물과 상기 제2 설치철물은,
교차영역에 상기 설치철물부의 내입구간이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교차영역에 상기 철물고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지지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철물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형의 금속소재로 구성되고, 절곡구조가 변형되면서 상기 패널부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지지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철물부는 상기 저장탱크의 내벽에 종방향 전체 또는 횡방향 전체에 걸쳐서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지지구조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물고정부는,
저장탱크의 내벽에 매립되어 상기 설치철물부를 고정하고, 상기 철물고정부의 헤드부분은 상기 돌출구간 보다 내입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지지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상기 패널부의 연결라인은 상기 설치철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돌출구간과 용접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지지구조체.
- 콘크리트 저장탱크의 내벽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곡구조가 반복 형성되는 설치철물부;
상기 설치철물부의 내입구간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철물부를 저장탱크의 내벽에 고정하는 철물고정부;
상기 설치철물부의 돌출구간에 접합되고,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유체의 저장내면을 형성하는 패널부; 및,
길이방향으로 절곡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철물부 또는 상기 패널부 중 적어도 상기 설치철물부를 지지하는 보강철물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철물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패널부를 완충 지지하는 패널의 지지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물부의 제2 돌출구간이 상기 설치철물부의 돌출구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지지구조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물부의 제2 돌출구간은 상기 설치철물부의 돌출구간의 배면에만 용접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지지구조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물부의 제3 돌출구간이 상기 패널부의 배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지지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2952A KR102120002B1 (ko) | 2019-02-27 | 2019-02-27 | 패널의 지지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2952A KR102120002B1 (ko) | 2019-02-27 | 2019-02-27 | 패널의 지지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0002B1 true KR102120002B1 (ko) | 2020-06-05 |
Family
ID=7108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2952A KR102120002B1 (ko) | 2019-02-27 | 2019-02-27 | 패널의 지지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000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396961A1 (en) * | 2021-06-10 | 2022-12-15 | Mohamad Dawas | Chemical Storage Tank Assembl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1944A (ko) * | 2004-10-11 | 2006-04-14 | 변무원 | 방수시트 및 이를 구비한 물접촉 구조체 |
KR20070031115A (ko) | 2005-09-14 | 2007-03-19 | 김대선 | 저수조의 내부 라이닝 구조 |
KR20170040893A (ko) * | 2015-10-06 | 2017-04-1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액화가스 화물창 및 이에 사용되는 패널 고정유닛 |
KR101798822B1 (ko) * | 2017-06-16 | 2017-11-16 | 방만혁 | 콘크리트 벽체의 높낮이 기복에 무관하게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는 라이닝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물탱크 보수용 스테인리스강 라이닝 구조 |
-
2019
- 2019-02-27 KR KR1020190022952A patent/KR1021200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1944A (ko) * | 2004-10-11 | 2006-04-14 | 변무원 | 방수시트 및 이를 구비한 물접촉 구조체 |
KR20070031115A (ko) | 2005-09-14 | 2007-03-19 | 김대선 | 저수조의 내부 라이닝 구조 |
KR20170040893A (ko) * | 2015-10-06 | 2017-04-1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액화가스 화물창 및 이에 사용되는 패널 고정유닛 |
KR101798822B1 (ko) * | 2017-06-16 | 2017-11-16 | 방만혁 | 콘크리트 벽체의 높낮이 기복에 무관하게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는 라이닝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물탱크 보수용 스테인리스강 라이닝 구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396961A1 (en) * | 2021-06-10 | 2022-12-15 | Mohamad Dawas | Chemical Storage Tank Assembly |
US11725412B2 (en) * | 2021-06-10 | 2023-08-15 | Mohamad Dawas | Chemical storage tank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8031B1 (ko) | 내진기능을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 | |
KR102085694B1 (ko) | 방진형 터널 구조체 | |
JP6381070B2 (ja) | 杭頭接合構造 | |
KR20110018251A (ko) | 내진 보강용 철골 구조물 접합구조 및 접합공법 | |
EP3118377A1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 |
KR101238030B1 (ko) |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 |
KR102120002B1 (ko) | 패널의 지지구조체 | |
JP6535704B2 (ja) | 柱梁架構 | |
JP2009133114A (ja) | 壁付き柱部材の補強構造 | |
JP2008303581A (ja) | 盛土支持地盤の補強構造 | |
JP6364313B2 (ja) | 受圧板 | |
KR102098025B1 (ko) | 저장탱크 | |
KR100658733B1 (ko) |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무량판의 접합구조 | |
KR100560116B1 (ko) | 도로 비탈면의 보호시설 설치구조 | |
JP6508866B2 (ja) | 柱梁架構 | |
JP4536565B2 (ja) | トンネル覆工コンクリートの内面補強構造物 | |
JP5525475B2 (ja) | 既設鉄筋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構造および既設鉄筋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方法 | |
JP5525843B2 (ja) | 地盤の補強構造及び地盤の補強工法 | |
KR101881075B1 (ko) | 부반력 저항돌기를 구비한 덮개부재를 이용한 관로 설치용 받침대 시공방법 | |
KR102019912B1 (ko) | 조립식 피디에프 물탱크의 방파구조 | |
JP5829938B2 (ja) | 地下貯留槽 | |
KR200348999Y1 (ko) | 합성연결재 | |
KR102408101B1 (ko) | 조적조 칸막이벽체의 면외방향 전도 방지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 |
JP6647142B2 (ja) |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 |
KR20120122553A (ko) | 유체충전형 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