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3450A - 폴더식 휴대 무선기 - Google Patents

폴더식 휴대 무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3450A
KR20070033450A KR1020077002156A KR20077002156A KR20070033450A KR 20070033450 A KR20070033450 A KR 20070033450A KR 1020077002156 A KR1020077002156 A KR 1020077002156A KR 20077002156 A KR20077002156 A KR 20077002156A KR 20070033450 A KR20070033450 A KR 20070033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ase
antenna
portable radio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요시 히라이
노부하루 마시마
마사노리 쿠보타
유타카 이소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3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0Element having extended radiating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면 형상 접속 부재를 이용하여 케이스의 개폐를 수행하는 구조의 폴더식 휴대 무선기에 있어서, 양호한 안테나 성능을 얻을 수 있는 폴더식 휴대 무선기를 제공한다.
폴더식 휴대 무선기(100)는 제1 케이스(11)에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101)과, 제2 케이스(12)에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102)과,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를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면 형상 접속 부재를 구성하는 연결부(13)와, 제1 회로 기판(101)과 제2 회로 기판(10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접속 소자(103)와, 제2 회로 기판(102)에 설치되는 무선 회로부(106)와, 무선 회로부(106)에 접속되는 안테나 소자(104)를 구비하고, 안테나 소자(104)는 대략 연결부(13)를 따라서 배치되고, 안테나 소자(104)의 선단부는 폴더식 휴대 무선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제1 회로 기판(101) 및 제2 회로 기판(102)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배치된다.
폴더식, 휴대 무선기

Description

폴더식 휴대 무선기{FOLDING PORTABLE WIRELESS DEVICE}
본 발명은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면 형상 접속 부재에 의해 2개의 케이스가 개폐 가능하게 접속되고, 무선 통신용의 안테나를 구비한 폴더식 휴대 무선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무선기에 있어서, 2개의 케이스를 힌지부 등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한 폴더식 휴대 무선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폴더식 휴대 무선기에서는, 케이스의 연결부가 회동하는 힌지 기구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예를 들면 특개 2001-45123호 공보 참조). 이러한 힌지 기구를 구비한 폴더식 휴대 무선기에서는, 신축 가능한 안테나를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에 배치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힌지 기구 대신에, 굴곡하는 면 형상 접속 부재를 이용하여 케이스 개폐의 유지를 실현하는 구조의 전자 기기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개평 5-259656호 공보 참조).
그러나 종래예와 같은 전자 기기의 구성에서는, 휴대 무선기에 적용하는 경우에 필요한 안테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어, 안테나 성능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서,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면 형상 접속 부재를 이용하여 케이스의 개폐를 수행하는 구조의 폴더식 휴대 무선기에 있어서, 양호한 안테나 성능을 얻을 수 있는 폴더식 휴대 무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더식 휴대 무선기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가지는 폴더식 휴대 무선기로서, 상기 제1 케이스에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케이스에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를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면 형상 접속 부재와,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접속 도체와,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설치되는 무선 회로부와, 상기 무선 회로부에 접속되는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는 대략 상기 면 형상 접속 부재를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의 선단부는, 상기 폴더식 휴대 무선기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해,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면 형상 접속 부재를 이용하여 케이스의 개폐를 수행하는 구조에 있어서, 개폐 어느 쪽 상태라도 양호한 안테나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더식 휴대 무선기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폴더식 휴대 무선기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평면을 봤을 때, 상기 유지 부재 및 상기 접속 도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유지 부재 및 상기 접속 도체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해, 높은 안테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더식 휴대 무선기는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둔 위치에서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에 고정된다.
이 구성에 의해, 높은 안테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더식 휴대 무선기는 상기 안테나의 일부가 상기 개방 상태에서 평면을 보았을 때,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사이에 놓인 영역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해, 높은 안테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폴더식 휴대 무선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폴더식 휴대 무선기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폴더식 휴대 무선기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폴더식 휴대 무선기를 닫은 상태에서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폴더식 휴대 무선기를 닫은 상태에서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폴더식 휴대 무선기
11 제1 케이스
12 제2 케이스
13 연결부
101 제1 회로 기판
102 제2 회로 기판
103 접속 소자
104 안테나 소자
105 유지 부재
106 무선 회로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전화기 등으로 대표되는 폴더식 휴대 무선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폴더식 휴대 무선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폴더식 휴대 무선기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폴더식 휴대 무선기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폴더식 휴대 무선기를 닫은 상태에서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폴더식 휴대 무선기를 닫은 상태에서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폴더식 휴대 무선기(100)는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를 가지고,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가 구부러지는(굴곡이나 만곡) 것이 가능한 면 형상 접속 부재(13)를 구성하는 연결부(13)에 의해 접속되며, 연결부(13)가 구부러짐으로써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가 대향하여 겹치는 닫은 상태와,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가 대향하여 겹치지 않는 개방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즉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케이스(11)에는, 액정 표시 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21)나 리시버(22)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케이스(12)에는, 복수의 조작 키 버튼을 가지는 조작부(23)나 마이크(24)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케이스(11), 제2 케이스(12), 및 연결부(13)는, 보호 커버(107)에 의해 덮여 있다. 제1 케이스(11) 및 제2 케이스(12)는, 예를 들면 연질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고, 그 치수는 세로 70mm, 가로 40mm로 설정된다.
연결부(13)는, 외장부가 가요성을 가지는 고분자 재료 등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가요성의 배선 케이블이나 안테나 소자(104),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 (12)를 접속하여 케이스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지 부재(105; 도 2 참조)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부(13)는, 직사각형 형상의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의 짧은 변 부분끼리를 접속하고 있다.
보호 커버(107)는 가요성을 가지는 비도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보호 커버(107)는 두께 약 1mm의 천 재료로 구성되고, 폴더식 휴대 무선기(100) 전체를 덮도록 배치된다. 보호 커버(107)의 일측 단부에는 케이스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26)가 돌출하여 설치되고, 보호 커버(107)의 타측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고정 부재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도 2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는 유지 부재(10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유지 부재(105)는 예를 들면, 세로 60mm, 가로 20mm, 두께 0.2mm의 금속 소재로 구성된다. 유지 부재(105)는 연결부(13) 내부의 전체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일부(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13)의 오른쪽 반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부재(105)의 제1 케이스(11) 측의 단부는 나사 등의 장착 부재(110)에 의해 제1 케이스(11) 내에 설치된 비도전성 부재(108)에 제1 회로 기판(101)으로부터 -X 방향으로 거리 h1 떨어져 장착되고, 유지 부재(105)의 제2 케이스(12) 측의 단부는 나사 등의 장착 부재(111)에 의해 제2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비도전성 부재(109)에 제2 회로 기판(102)으로부터 -X 방향으로 거리 h2 떨어져 장착되어 있다. 거리 h1 및 h2는 예를 들면, 2mm로 설정된다. 또 한, 비도전성 부재(108, 109)는 예를 들면 제1 케이스(11) 및 제2 케이스(12)의 일부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에는 제1 회로 기판(101)이 수납되고, 제2 케이스(12)에는 제2 회로 기판(102)이 수납되어 있다. 제1 회로 기판(101) 및 제2 회로 기판(102)은 연결부(13)에 설치된 접속 도체가 되는 가요성을 가지는 접속 소자(10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회로 기판(101) 및 제2 회로 기판(102)은 각각 예를 들면 두께 1mm의 프린트 기판으로 구성되고, 그 치수는 세로 65mm 가로 40mm로 설정된다. 접속 소자(103)는 예를 들면, 세로 50mm 가로 10mm의 플렉서블 기판으로 구성되고, 유지 부재(105)의 도 2 중의 Y방향의 폭 내로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회로 기판(101) 상에는 그랜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회로 기판(102) 상에는 그랜드 패턴이 형성되고, 또한 안테나 소자(104)에 급전(feeding)을 행하는 무선 회로부(106) 등이 설치되어 있다.
안테나 소자(104)는 예를 들면, 1개의 뇌문(meander) 형상이고, 연결부(13)에 있어서 유지 부재(105)의 측부에 제1 회로 기판(101)과 제2 회로 기판(102) 사이에 배치된다. 안테나 소자(104)의 치수는 예를 들면, 세로 20mm, 가로 10mm, 전체 길이 90mm, 선폭 2mm, 선간격 2mm로 설정된다.
접속 소자(103), 안테나 소자(104), 및 유지 부재(105)는 대략 면 형상 접속 부재를 구성하는 연결부(13)를 따라서 배치된다. 안테나 소자(104)의 위치는 평면을 보았을 때, 유지 부재(105)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정되고, 또한 도 4의 닫은 상태에 있어서, 그 선단부(예를 들면, 안테나 소자(104)의 선단으로부터 길이 2mm 부분의 선폭의 중심)가 제1 회로 기판(101) 및 제2 회로 기판(102)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설정된다. 제1 회로 기판(101) 및 제2 회로 기판(102)으로부터 가장 먼 곳은 연결부(13) 내부 중, 제1 회로 기판(101) 및 제2 회로 기판(102) 각각으로부터의 거리가 같아지는 위치로서, 그 위치 중 가장 보호 커버(107)에 가까운 위치를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4의 상태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1 회로 기판(101)과 제2 회로 기판(102)의 X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도 4 중의 Z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이고 연결부(13)와 교차되는 위치 중, 유지 부재(105)보다도 외측(보호 커버(107) 측)의 위치이다. 상기에서는 선단부를 선폭의 중심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은 중심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선단으로부터 2mm 길이의 부분이라면 어디라도 무방하다.
안테나 소자(10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선단부가 접속 소자(103)나 유지 부재(105)가 배치되는 쪽과는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안테나 소자(104)의 일부(예를 들면 선단부)는 도 2에서 평면을 보았을 때, 제1 회로 기판(101)과 제2 회로 기판(102)의 사이에 놓이는 영역보다도 소정 거리 D1 만큼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소정 거리 D1은, 예를 들면 2mm로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폴더식 휴대 무선기(100)는 도 2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 제1 회로 기판(101)과 제2 회로 기판(102)의 사이에 안테나 소자(104)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안테나 소자(104)와 제1 회로 기판(101)과의 전자적 결합에 의해 안테나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 5의 닫은 상태에서는, 안테나 소자(104)가 제1 회 로 기판(101) 및 제2 회로 기판(102)의 기판 단부로부터 기판 길이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 안테나를 구성할 수 있어, 안테나 성능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5의 닫은 상태에서는 안테나 소자(104)의 선단부가 제1 회로 기판(101) 및 제2 회로 기판(102)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있으므로, 안테나 소자(104)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의 저항을 저감할 수 있어, 높은 안테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개폐 상태에서도 안테나 소자(104)의 선단부는 유지 부재(105)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의 대향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안테나 소자(104)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의 저항 소자인 유지 부재(105)나 접속 소자(103)로부터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 높은 안테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개폐 상태에서도 안테나 소자(104)의 선단부는 도 2에서 평면을 보았을 때, 제1 회로 기판(101)과 제2 회로 기판(102)의 사이에 놓이는 영역보다도 소정 거리만큼 돌출하고 있으므로, 안테나 소자(104)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의 저항 소자인 유지 부재(105), 접속 소자(103), 제1 회로 기판(101) 및 제2 회로 기판(102)으로부터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 높은 안테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개폐 상태에서도 제1 회로 기판(101) 및 제2 회로 기판(102)과 유지 부재(105)는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장소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회로 기판(101) 및 제2 회로 기판(102)의 그랜드 패턴이 유지 부재(105)에 미치는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안테나 소자(104)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의 저항 소자인 유 지 부재(105)의 저항력을 저감할 수 있어, 높은 안테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폴더식 휴대 무선기(100)에 따르면, 어떠한 개폐 상태에서도 양호한 안테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안테나 소자(104)가 연결부(13) 내부에서 대략 연결부(13)를 따라서 배치되는 구성으로 했으나, 내부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연결부(13)의 배면을 따라서 안테나 소자(14)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안테나 소자(104)가 1개의 뇌문 형상을 하고 있으나, 안테나 소자(104)의 배치 장소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라면 안테나 형상은 관계없다. 또한 상기에서는 연결부(13)에 의해,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면 형상 접속 부재를 구성하고 있으나, 예를 들면 보호 커버(107)를 연결부(13)로서 기능 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을 상세히, 또한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04년 7월 29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 No.2004-221260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면 형상 접속 부재를 이용하여 케이스의 개폐를 수행하는 구조의 폴더식 휴대 무선기에 있어서, 양호한 안테나 성능을 얻을 수 있는 폴더식 휴대 무선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개폐 기구에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면 형상 접속 부재를 이용한 구조의 폴더식 휴대 무선기에 있어서, 안테나 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고, 면 형상 접속 부재에 의해 2개의 케이스가 개폐 가능하게 접속되어, 무선 통신용의 안테나를 구비한 폴더식 휴대 무선기에 유용하다.

Claims (4)

  1.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가지는 폴더식 휴대 무선기로서,
    상기 제1 케이스에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케이스에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를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면 형상 접속 부재와,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접속 도체와,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설치되는 무선 회로부와,
    상기 무선 회로부에 접속되는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면 형상 접속 부재를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의 선단부는 상기 폴더식 휴대 무선기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배치되는 폴더식 휴대 무선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폴더식 휴대 무선기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평면을 봤을 때, 상기 유지 부재 및 상기 접속 도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유지 부재 및 상기 접속 도체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폴더식 휴대 무선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둔 위치에서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에 고정되는 폴더식 휴대 무선기.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일부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평면을 보았을 때,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의 사이에 놓인 영역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폴더식 휴대 무선기.
KR1020077002156A 2004-07-29 2005-07-28 폴더식 휴대 무선기 KR200700334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21260 2004-07-29
JP2004221260A JP4401889B2 (ja) 2004-07-29 2004-07-29 折畳式携帯無線機
PCT/JP2005/013873 WO2006011572A1 (ja) 2004-07-29 2005-07-28 折畳式携帯無線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450A true KR20070033450A (ko) 2007-03-26

Family

ID=35786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156A KR20070033450A (ko) 2004-07-29 2005-07-28 폴더식 휴대 무선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01830A1 (ko)
JP (1) JP4401889B2 (ko)
KR (1) KR20070033450A (ko)
CN (1) CN101023654A (ko)
WO (1) WO200601157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797B1 (ko) * 2007-08-31 2014-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적 신호 연결 유니트,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200007377A (ko) * 2018-07-13 202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구조체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658394B2 (en) 2016-04-22 202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11996608B2 (en) 2016-04-22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8832B2 (en) * 2004-06-10 2011-01-11 Galtronics Corporation Ltd. Three dimensional antennas formed using wet conductive materials and methods for production
TWI371237B (en) * 2008-12-26 2012-08-21 Askey Computer Corp A framework of wireless network access device
CN102035067A (zh) * 2009-09-25 2011-04-2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壳体
EP2315186B1 (en) * 2009-10-26 2016-09-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body for inputting a signal upon bending said body
WO2011114622A1 (ja) * 2010-03-19 2011-09-22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
EP2466420B1 (en) * 2010-12-17 2015-10-14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sensor arrangement for gesture recognition
US9569002B2 (en) 2010-12-17 2017-02-14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sensor arrangement for gesture recognition
CN103730731B (zh) * 2012-10-15 2016-01-06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天线装置及无线通信装置
CN108039567B (zh) * 2017-11-30 2020-02-18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柔性电子设备
CN108039569B (zh) * 2017-11-30 2020-02-2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柔性电子设备
CN108063305B (zh) * 2017-11-30 2020-03-20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柔性电子设备
CN108400426B (zh) * 2018-01-25 2020-12-15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天线组件及移动终端
US10797394B2 (en) * 2018-06-05 2020-10-06 Intel Corporation Antenna modules and communication devices
KR102484484B1 (ko) * 2018-07-11 2023-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레이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9638451B (zh) * 2018-12-12 2021-04-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天线控制方法
CN111883923A (zh) * 2020-07-29 2020-11-03 安捷利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柔性射频传输天线及电子设备
TWI815544B (zh) * 2022-07-08 2023-09-11 美律實業股份有限公司 天線模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1774B2 (ja) * 1992-03-12 2002-07-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機器の収容筐体とその成形方法及び金型
JPH06268724A (ja) * 1993-03-15 1994-09-22 Hitachi Ltd 携帯用折たたみ式電子機器
JP3056118B2 (ja) * 1997-05-09 2000-06-2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内蔵アンテナ構造
WO2002003665A1 (fr) * 2000-06-30 2002-01-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éléphone cellulaire
JP2003101335A (ja) * 2001-09-25 2003-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器
JP2003273985A (ja) * 2002-03-13 2003-09-26 Kenwood Corp 携帯電話機
US6861989B2 (en) * 2003-07-03 2005-03-01 Motorola, Inc. Antenna system for a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797B1 (ko) * 2007-08-31 2014-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적 신호 연결 유니트,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US11658394B2 (en) 2016-04-22 202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11996608B2 (en) 2016-04-22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200007377A (ko) * 2018-07-13 202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구조체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450949B2 (en) 2018-07-13 2022-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42102A (ja) 2006-02-09
US20080001830A1 (en) 2008-01-03
CN101023654A (zh) 2007-08-22
WO2006011572A1 (ja) 2006-02-02
JP4401889B2 (ja) 201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3450A (ko) 폴더식 휴대 무선기
EP1746809A2 (en) Display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GB2462225A (en) Flexible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05112406A1 (ja) 折畳式携帯無線機
KR101258317B1 (ko) 휴대 전자 기기
KR100758824B1 (ko)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KR100620015B1 (ko) 블루투스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80033494A (ko) 휴대 단말 장치
KR20100133536A (ko)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CN100505785C (zh) 折叠式便携无线通信装置
KR100778365B1 (ko)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4671710B2 (ja) 電子機器
JP2007221468A (ja) 電子機器
KR10063488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JP5472336B2 (ja) アンテナ構造、及び携帯通信機器
KR1011460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9188714A (ja) 携帯電話装置
KR2007000090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주파수 저감장치
KR101229356B1 (ko) 휴대 단말기
JP2005354552A (ja) 折畳式携帯無線機
KR101144374B1 (ko) 휴대 단말기
KR101268050B1 (ko) 휴대용 전자기기
KR101292063B1 (ko) 인터널 안테나 구비 이동단말기
KR101218682B1 (ko) 휴대 단말기
JP6166133B2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