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317B1 - 휴대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317B1
KR101258317B1 KR1020100026849A KR20100026849A KR101258317B1 KR 101258317 B1 KR101258317 B1 KR 101258317B1 KR 1020100026849 A KR1020100026849 A KR 1020100026849A KR 20100026849 A KR20100026849 A KR 20100026849A KR 101258317 B1 KR101258317 B1 KR 101258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housing
spring terminal
board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8265A (ko
Inventor
게니치 오자사
히로토 야하기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775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23289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776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232903A/ja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10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0Element having extended radiating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7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pin shap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1One or more single auxiliary printed circuits mounted on a main printed circuit, e.g. modules, adap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71Shields or metal ca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5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과제) 충격에 의해서는 전기 부품이 파손되기 어려운 휴대 전자 기기(1)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휴대 전자 기기(1)는, 제1 방향으로 긴 제1 하우징(2)과, 상기 제1 하우징(2) 내에 있는 제1 기판(70)과, 상기 제1 하우징(2) 내에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길고, 상기 제1 기판(70)보다 작은 제2 기판(80)과, 상기 제2 기판(80)상에 있고, 제3 방향으로 긴 전기 부품(85, 86)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 기기{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 등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예를 들면,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로서,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세라믹 안테나 등의 안테나 모듈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1] 일본국 특허공개 2006-217050호 공보
그러나 세라믹 안테나는,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기 쉽다. 또,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세라믹 안테나는, 칩 콘덴서나 칩 저항에 비해 크고, 특히, 가늘고 긴 형상인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휴대 전자 기기에 낙하 등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세라믹 안테나는, 회로 기판의 실장부로부터 박리되는 것 외에, 회로 기판 등의 변형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충격에 의해서는 전기 부품이 파손되기 어려운 휴대 전자 기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휴대 전자 기기는, 제1 방향으로 긴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있는 제1 기3과,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길고, 상기 제1 기판보다 작은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상에 있고, 제3 방향으로 긴 전기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기판이 제4 방향으로 길고, 상기 제2 방향과 상기 제4 방향이 대략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3 방향과 제4 방향이 대략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2 방향이 상기 제3 방향과 대략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전기 부품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전기 부품이 세라믹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기판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판을 탄성 가압하는 제1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2 기판에 대해서 상기 제1 스프링 단자와 반대측에 있고, 상기 제2 기판을 탄성 가압하는 제2 스프링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2 스프링 단자가, 서로 대략 대향하고, 상기 제2 기판을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스프링 단자 및 상기 제2 스프링 단자가 상기 제2 기판에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스프링 단자의 스프링 정수가, 상기 제2 스프링 단자의 스프링 정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스프링 단자의 신축 범위가, 상기 제2 스프링 단자의 신축 범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판이 상기 제1 기판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2 이상의 걸어맞춤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제2 기판의 양단에서 상기 제2 기판을 끼워 넣음과 더불어, 상기 제2 기판을 제1 기판측으로부터 걸어맞출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2 기판이 고정단과, 그 고정단의 대변에 자유단을 더 가지며, 상기 제1 스프링 단자 및 상기 제2 스프링 단자가, 상기 고정단과 상기 자유단의 중간보다 자유단쪽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고,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부재를 삽입·이탈 가능하게 수납하는 수용부를 가지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근방에,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힌지 부재에 있어서의 이탈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제2 기판에 맞닿는 규제 부재를 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기판상에 무선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제1 스프링 단자가 도전성을 가지고, 상기 무선부와 상기 전자 부품 사이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2 스프링 단자가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전자 부품과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무선부가, 공중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제2 기판이, 상기 제1 하우징에 있어서의 제1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와, 상기 제2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전기 부품을 가지는 확대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부품이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확대 안테나의 유효 길이가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 및 상기 전자 부품의 합계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충격에 의해서는 전기 부품이 파손되기 어려운 휴대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1)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1)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하우징(2)에 내장되는 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상면도이다.
도 6은 제1 하우징에 내장되는 제2 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기판과 상하의 부품의 접속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휴대 전화(1)에 있어서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휴대 전화(1)에 있어서의 Ⅸ-Ⅸ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제1 하우징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1a는 제1 기판(70) 및 제2 기판(80)을 RC(80)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2 기판(80)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제1 기판(70) 및 제2 기판(80)을 RC(2)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2 기판(80)을 부착한 후에, 제1 기판(70)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전자 기기로서 휴대 전화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휴대 전화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 중에서, X는 휴대 전화(1)의 폭방향, 방향 Y(제3 방향)는 휴대 전화(1)의 길이 방향이다.
휴대 전화(1)는, 폴더형의 휴대 전화(1)로서, 제1 하우징(조작부측 하우징)(2)과, 제2 하우징(표시부측 하우징)(3)과, 연결부(4)를 구비한다.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은, 방향 Y로 길어도 된다. 방향 X는 제1 하우징(2) 및/또는 제2 하우징(3)의 폭 방향이다. 제1 하우징(2)은, 대략 직육면체형상이어도 된다. 제2 하우징(3)은, 대략 직육면체형상이어도 된다.
제1 하우징(2)의 상단부와 제2 하우징(3)의 하단부는, 연결부(4)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부(4)는, 원통형상의 힌지 부재(4a)와, 힌지 부재(4a)를 삽입·이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4b)를 구비해도 된다. 수용부(4b)는, 연결부(4)에 있어서의 개폐축방향의 일단측에 있다. 수용부(4b)는,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에 걸치도록 위치한다. 힌지 부재(4a)는, 개폐축방향을 따라,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에 걸치도록, 수용부(4b)에 수용된다. 힌지 부재(4a)는 삽입·이탈이 가능하다.
휴대 전화(1)에서는, 제2 하우징(3)과 제1 하우징(2)은, 연결부(4)의 개폐축을 중심으로 개폐할 수 있다. 연결부(4)를 기점으로 하여,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이 상대적으로 회전(회동)하므로,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이 서로 열린 열림 상태와,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이 접힌 닫힘 상태를 가진다.
제1 하우징(2)은, 외곽을 형성하는 프런트 케이스(FC)(21) 및 리어 케이스(RC)(22)를 구비한다. 제1 하우징(2)의 전면(2a)은, FC(21)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2)의 전면(2a)과 반대측의 면인 배면(2b)은, RC(22)을 포함한다.
전면(2a)은, 조작 키군(11)을 포함해도 된다. 조작 키군(11)은, 각종 설정이나 전화번호부 기능이나 메일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능 설정 조작 키(13)와, 전화번호의 숫자나 메일 등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텐 키 등의 입력 조작 키(14)와, 각종 조작의 결정이나 상하 좌우 방향의 스크롤 등을 행하는 결정 조작 키(15)를 가져도 된다.
조작 키군(11)의 각 키에는,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의 개폐 상태나, 기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소정의 기능이 할당된다(키 어사인). 조작 키군(11)의 각 키가 유저에 의해 가압되면, 각 키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에 따른 동작이 실행된다.
전면(2a)은, 휴대 전화(1)의 유저가 통화시에 발한 음성이 입력되는 음성 입력부(12)를 포함한다. 음성 입력부(12)는, 제1 하우징(2)의 길이 방향(방향 Y)에 있어서의 연결부(4)와는 반대측의 단부(하단부)의 근방에 있어도 된다.
제2 하우징(3)은, FC(30a), 커버 부재(33) 및 RC(30b)를 구비한다. 제2 하우징(3)의 전면(3a)은, FC(30a) 및 커버 부재(33)를 가진다. 제2 하우징(3)의 전면(3a)과 반대측의 면인 배면(3b)은 RC(30b)를 가진다.
제2 하우징(3)의 내부에, 각종 정보를 표시시키는 메인 액정 모듈(34)이 있다. 메인 액정 모듈(34)의 한쪽의 면이, 메인 표시부(34a)를 가진다. 메인 표시부(34a)는, 전부 또는 일부가 투명한 커버 부재(33)를 개재하여, 제2 하우징(3)의 전면(3a)측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FC(30a)는, 통화의 상대측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31)를 포함한다. 음성 출력부(31)는, 제2 하우징(3)의 방향 Y에 있어서의 연결부(4)와는 반대의 단부측에 있다.
제2 하우징(3)의 RC(30b)는, 각종 정보를 표시시키는 서브 액정 모듈(36)을 포함한다. 서브 액정 모듈(36)의 한쪽의 면은, 서브 표시부(36a)를 포함한다. 서브 표시부(36a)는, RC(30b)의 투명 부분을 개재하여, 제2 하우징(3)의 배면(3b)측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메인 액정 모듈(34) 및 서브 액정 모듈(36)은, 각각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액정 패널의 배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를 포함한다.
도 3은, 제1 하우징(2)에 내장되는 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 중에서, Z는 휴대 전화(1)의 두께 방향으로, X 및 Y에 수직이다. 방향 P(제1 방향)는 제1 기판의 길이 방향, 방향 Q(제4 방향)는 제1 전기 부품(디지털 TV 안테나 또는 DTVA)의 길이 방향, 방향 R(제2 방향)은 제2 기판의 길이 방향이다.
FC(21)와 RC(22)는, 서로의 오목형상의 내측면이 마주보고, 서로의 외주 가장자리가 서로 포개지도록 결합한다. 제1 하우징(2)은, 키부(40)와, 키 기판(50)과, 쉴드 케이스(60)와, 제1 기판(제1 회로기판)(70)과, 제2 기판(제2 회로기판)(80)과, 규제 부재(110)와, 메인 안테나(MA)(90)와, 시트 부재(95)와, 안테나 엘리먼트(AE)(제2 전기 부품)(91)을 포함한다.
FC(21)는, 키 홀(13a, 14a, 15a)을 가진다. 키 홀(13a, 14a, 15a)은, 각각 기능 설정 조작 키(13), 입력 조작 키(14) 및 결정 조작 키(15)에 대응하고, 기능 설정 조작 키 부재(13b)의 가압면, 입력 조작 키 부재(14b)의 가압면, 및 결정 조작 키 부재(15b)의 가압면이 각 홀로부터 노출된다.
키 기판(50)은, 플렉시블 기판이어도 된다. 플렉시블 기판은, 복수의 절연층(절연 필름)과, 그 사이에 끼워진 배선을 포함한다. 키 기판(50)은, 쉴드 케이스(60)의 평판부(61)에 올려진다. 키 기판(50)의 키부(40)측의 표면은, 복수의 키스위치(51, 52, 53)를 구비한다. 복수의 키 스위치(51, 52, 53)는, 기능 설정 조작 키(13), 입력 조작 키(14) 및 결정 조작 키(15)에 각각 대응한다. 키 스위치(51, 52, 53)는, 그릇형상으로 만곡하여 입체적으로 형성된 금속판의 메탈 돔을 가진다. 13b, 14b, 15b의 가압면이 눌리면, 메탈 돔의 그릇형상의 정점이 가압되고, 키 기판(50)의 표면에 인쇄된 전기 회로(도시 생략)에 형성되는 스위치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키부(40)는, 키 기판(50)에 대향한다. 키부(40)는, 복수의 키 스위치(51, 52, 53)를 가압 가능한 NUB와, 조작 키군(11)의 가압면을 가지는 키 탑과,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고무 등을 포함하는 기체 시트를 가진다. 기능 설정 조작 키(13), 입력 조작 키(14) 및 결정 조작 키(15)는, 각각 키 기판(50)의 키 스위치(51, 52, 53)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쉴드 케이스(60)는, 박형의 직육면체의 하나의 넓은 면이 개구한 형상을 가지며, 도전성이 있어도 된다. 쉴드 케이스(60)는, 평판부(61)와 리브(62)를 구비한다. 리브(62)는, 제1 기판(70)에 실장되는 각종 전자 부품 중 가장 높은 전자 부품의 높이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이어도 된다. 리브(62)는, 평판부(61)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된 벽면부로서, 평면부(61)에 대해서 대략 수직이며, 평판부(61)의 둘레 가장자리 및 내측에, 제1 기판(70)의 기준 전위 패턴층(75)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는, 리브(62)는, 쉴드 케이스(60)가 제1 기판(70)에 올려진 상태로, 기준 전위 패턴층(75) 상에 위치한다.
리브(62)의 선단이 기준 전위 패턴층(75)에 맞닿고, 쉴드 케이스(60)는 기준 전위 패턴층(75)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쉴드 케이스(60)는, 기준 전위 패턴층(75)과 같은 크기의 전위를 가질 수 있다.
쉴드 케이스(60)는, 외부로부터의 고주파 등의 노이즈가 제1 기판(70)에 배치되는 각종 전자 부품에 작용하는 것을 저감함과 더불어, RF 회로, CPU 회로, 전원 회로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노이즈를 차폐하여, 다른 전자 부품이나 안테나에 접속되는 수신 회로 등에 작용하는 것을 저감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회로는, 리브(62)로 둘러싸이고, 평판부(61)의 일부로 덮인다. 리브(62)는, 평판부(61)의 일부와 함께 각 회로를 쉴드한다.
쉴드 케이스는, 도전성을 가지면 된다. 쉴드 케이스(6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체가 금속이어도, 일부가 금속이어도 된다. 실드 케이스(60)의 골격이 수지를 가지고, 골격의 표면에 도체막을 가져도 된다.
제1 기판(70)은, 방향 P(제1 방향)로 길어도 된다. 방향 P는, 방향 Y에 대략 일치(평행)해도 된다. 제1 기판(70)의 제1 면(72)은, 각종 복수의 전자 부품(71)이나 회로를 가진다. 각종 전자 부품은, 소정의 조합에 의해 복수의 회로 블록을 가진다. 예를 들면, 회로 블록은, CPU 회로, 무선부(71a)(무선 통신부), 무선부(71b) 등의 아날로그 처리계의 회로 블록, 전원 회로 등을 포함하는 각종 회로 블록을 포함한다.
무선부(71a)는, 예를 들면,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에서 공중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외부 장치(기지국)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무선부(71a)는, 메인 안테나(90) 및 SA(85)(제1 전기 부품) 등의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복조 처리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CPU 회로에 공급한다. 무선부(71a)는, CPU 회로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변조 처리하고, 메인 안테나(90)나, SA(85) 등의 안테나로부터 외부 장치에 송신한다. 무선부(71b)는, DTVA(86)(제1 전기 부품)에 접속되고, 당해 안테나로 수신한 신호를 CPU에 송신한다.
제1 면(72)은, 상술의 각종 전자 부품 외, 기준 전위부를 구성하는 기준 전위 패턴층(75)을 가진다. 기준 전위 패턴층(75)은, 상술의 각 회로 블록을 구획한다. 기준 전위 패턴층(75)은, 제1 기판(70)의 제1 면(72)의 표면에 도전성의 부재를 소정 패턴으로 인쇄함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도 3, 4에 더하여 도 5-7을 이용하여 더 설명한다. 도 5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상면도이다. 도 6은, 제1 하우징에 내장되는 제2 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기판과 상하의 부품의 접속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제3 면(82)측으로부터 보고 있지만, 도 6, 7은 제4 면(83)측으로부터 보고 있다.
제1 기판(70)의 제2 면(73)은, 제1 스프링 단자(판스프링 단자)(74)를 가진다. 판스프링 단자(74)는, 4개의 탭 단자(74a)를 포함한다. 4개의 탭 단자(74a)는, 방향 Y에 있어서의 연결부(4)측의 단부에, 방향 X로 늘어선다.
판스프링 단자(74)는, 방향 Z에 있어서의 제1 기판(70)과 제2 기판(80)의 사이에 있다. 또한, 제1 기판(70)의 두께 방향 및 제2 기판(80)의 두께 방향은, 방향 Z에 대략 일치(평행)한다.
판스프링 단자(74)는, 제2 기판(80)에 있어서의 제1 기판(70)측의 면인 제3 면(82)에 맞닿음으로써, 제1 기판(70)과 제2 기판(80)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판스프링 단자(74)는, 방향 Z에 있어서, 제2 기판(80)이 AE(91)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2 기판(80)을 탄성 가압한다.
제2 기판(80)은 방향 R(제2 방향)로 길다. 제2 기판(80)은 RC(22)의 연결부(4)측의 단부(22b)에 위치한다. 제2 기판(8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어도 된다. 제2 기판(80)은, 제1 기판(70)보다 작다. 제2 기판(80)은, 방향 Z에 있어서, 제1 기판(70)의 제2 면(73)측에 위치한다. 제1 기판(70) 중 적어도 일부와 제2 기판(80) 중 적어도 일부는 대향한다. 바꿔말하면, 제1 기판(70)과 제2 기판(80)은 상면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80a)에서 겹친다(도 5). 일실시형태에서는, 그 겹치는 부위(80a)는, 서브 안테나(SA)(85)를 포함한다.
제2 기판(80)은, 제1 하우징(2)의 폭 방향으로 길어도 된다. 즉, 방향 X와 방향 R은 대략 일치(평행)해도 된다.
제2 기판(80)은, 제1 하우징(2)의 길이 방향과 대략 수직이면 된다. 즉, 방향 R과 방향 Y는 대략 수직이다.
제1 기판(70)과 제2 기판(80)은 대략 수직이면 된다. 즉, 방향 P가 방향 R과 대략 수직이면 된다.
SA(85)와 DTVA는 대략 평행이면 된다. 즉, 제1 전자 부품인 SA(85)와 DTVA의 길이 방향은 대략 일치하면 된다.
제2 기판(80)의 제3 면(82)은 제1 기판(70)을 향한다. 제3 면(82)의 일부(82a)는, 방향 Z에 있어서, 제2 면(73)에 대향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기판(80)에 있어서의 연결부(4)측과는 반대인 단부(80a) 부근과, 제1 기판(70)에 있어서의 연결부(4)측의 단부(70b) 부근이 대향한다.
제3 면(82)은, 제1 공급 단자(87)를 가진다. 제1 공급 단자(87)는, 판스프링 단자(74)에 맞닿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공급 단자(87)가 방향 Y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 연결부(4)와는 반대측 또는 RC(22)의 연결부(4) 반대측의, 연결부(4)측의 단부(22b)의 반대측의, 제2 기판(80)의 단부(80a) 근처에서, 판스프링 단자(74)에 대응하는 위치(150)에 있다.
스프링 핀 단자(제2 스프링 단자)(84)는, 위치 150에서 AE(91)에 맞닿는다. 제2 스프링 단자(84)가 도전성을 가지고 있으면, 제2 기판(80)과 AE(9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스프링 단자(84)가 DTVA(86)와 전기 접속하고 있으면, AE(91)가 DTVA(86)와 전기 접속하므로, 확대 안테나(99)가 형성된다. 확대 안테나(99)는, AE(91)와, DTVA(86)와, 제2 스프링 단자(84)를 포함한다. 확대 안테나(99)는, DTVA(86)와 제2 스프링 단자(84)를 전기 접속하는 접속선(도시 생략)을 포함해도 된다. 이로 인해, DTVA(86)의 유효 길이가 연장된다. 즉, AE(91)의 유효 길이와, DTVA(86)의 길이, 제2 스프링 단자(84)의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선을 포함해도 된다.
제4 면(83)은, 제2 기판(80)의 RC(22)측의 면이다. 제4 면(83)은, 제2 스프링 단자로서의 도전성의 스프링 핀 단자(SP)(84)와, 제1 전기 부품으로서의 SA(85)와, DTVA(86)를 가진다. SP(84)는, 방향 Z에 있어서, 제2 기판(80)과 AE(91)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2 기판(80)은, 제1 전기 부품으로서, 안테나 이외의 전자 부품을 포함해도 된다.
SA(85) 및 DTVA(제1 안테나)(86)는, 방향 X로 긴 대략 직육면체를 가진다. SA(85) 및 DTVA(86)의 방향은, 제2 기판(80)의 방향(방향 X)에 대략 일치한다. SA(85) 및 DTVA(86)의 방향은, 제1 기판(70)의 방향(방향 Y)에 대략 직교한다.
도 3, 4로 돌아와, 메인 안테나(90)는, 제1 하우징(2)(RC(22))에 있어서의 연결부(4)와는 반대측의 단부(22a)에 있다. 메인 안테나(90)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을 통해 제1 기판(70)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RC(22)의 단부(22a)측에, 떼어낼 수 있는 배터리 리드(101)를 가진다. 배터리 리드(101)는, 배터리(100)를 RC(22)의 외측으로부터 수납한 후, RC(22)에 장착된다.
SP(84)는, 방향 Z에 있어서, 제2 기판(80)이 제1 기판(70)측으로 향하는 방향(S)으로 제2 기판(80)을 탄성 가압한다.
판스프링 단자(74)와 SP(84)는, 제2 기판(80)을 개재하여 대략 대향한다. 판스프링 단자(74)와 SP(84)가, 방향 Z에 겹쳐지는 위치에 있고, 제2 기판(80)을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므로, 제2 기판(80)은, 제2 기판(80)으로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유연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휴대 전화(1)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제2 기판(80)으로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판스프링 단자(74)의 제1 스프링 정수는, SP(84)의 제2 스프링 정수보다 크게 설정해도 된다. 이로 인해, 판스프링 단자(74) 및 SP(84)는, 제2 기판(80)이 RC(22)측에 가까워진 위치에서 탄성력이 균형을 이루고, 제2 기판(80)으로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유연하게 제2 기판(80)을 유지한다. Z방향에 있어서, 판스프링 단자(74)의 길이가 SP(84)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판스프링 단자(74)의 신축 범위(거리)는, SP(84)의 신축 범위(거리)보다 작다. 상술한 대로, 판스프링 단자(74)는, 4개의 탭 단자(74a)를 가진다. 이로 인해, 판스프링 단자(74)의 제1 스프링 정수를, SP(84)의 제2 스프링 정수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DTVA(제1 안테나)(86)는, 제2 기판(80)에 실장된다. DTVA(86)는, DTVA(86)의 방향 Q(제4 방향)로 긴 대략 직육면체형상이어도 된다. DTVA(86)의 방향 Q(제4 방향)가 제2 기판(80)에 있어서의 방향 R(제2 방향)과 대략 일치(평행)가 되어도 된다. DTVA(86)는, 방향 Q(제4 방향)가 방향 Y(제3 방향)와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DTVA(86)는, 방향 Q(제4 방향)가 제1 기판(70)에 있어서의 방향 P(제1 방향)와 대략 직교한다.
SA(85)는, SA(85)의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형상이어도 된다. SA(85)는, SA(85)의 방향이, DTVA(86)의 방향 Q와 일치(평행)해도 된다. 즉, SA(85)는, 제2 기판(80), 제1 기판(70), 제1 하우징(2) 각각에 대한 위치 관계가 DTVA(86)에 있어서의 제2 기판(80), 제1 기판(70), 제1 하우징(2) 각각에 대한 위치 관계와 같아진다.
SA(85)는, DTVA(86)보다 작아도 된다. SA(85) 및 DTVA(86)는, 세라믹 재료가 일부 이용된 세라믹 안테나여도 된다.
SA(85) 및 DTVA(86)는, 방향 Y로 늘어서서 배치된다. DTVA(86)는, SA(85)보다 방향 Y의 연결부(4)측에 있다(도 3).
도 8은, 도 1의 휴대 전화(1)에 있어서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휴대 전화(1)에 있어서의 Ⅸ-Ⅸ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제1 하우징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이다.
휴대 전화(1)가 닫힘 상태에 있어서, 제2 기판(80)에 있어서의 제4 면(83)에 실장된 SA(85) 및 DTVA(86)는, 제2 하우징(3) 등에 형성되는 금속 부재와 소정 거리만큼 이간하여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1)가 닫힘 상태에 있어서, 제2 기판(80)에 있어서의 제4 면(83)에 실장된 SA(85) 및 DTVA(86)는, 제2 하우징(3)에 형성되는 금속제의 인서트 판금(302), 금속제의 패널 부재(301)나 제1 하우징(2)에 있어서의 조작면측에 형성되는 금속제의 인서트 판금(303)으로부터 이간하여 위치한다. 이로 인해, 종래대로, SA(85) 및 DTVA(86)가 제1 기판(70)에 실장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SA(85) 및 DTVA(86) 각각에 있어서의 안테나 특성의 열화가 적다.
고정부(115)는, 제1 구조물(규제 부재)(110)과 제2 구조물(시트 부재)(95)을 포함한다. 고정부(115)는, 제2 기판(80)의 일단부(82a)를 고정한다. 시트 부재(95)는, 제2 기판(80)에 대해서 RC(22)측에 위치한다. 규제 부재(110)와 시트 부재(95)가, 제2 기판(80)을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고정한다.
규제 부재(110)는, 제1 하우징(2)의 내부측으로부터 힌지 부재(4a)에 맞닿고, 연결부(4)에 있어서의 수용부(4b)에 수용된 힌지 부재(4a)의 이탈 방향(D)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탈 방향(D)이란, 방향 X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2)의 내부측으로의 이동 방향이다.
규제 부재(110)는, 규제 부재(110)가 힌지 부재(4a)에 맞닿는 상술의 상태에 있어서, 제2 기판(80)의 제3 면(82)에 있어서의 일단측(82a)에 맞닿는다. 즉, 규제 부재(110)는, 힌지 부재(4a)와, 제3 면(82)에 맞닿는다.
한편, 방향 Y에 있어서의 제2 기판(80)의 타단부(82b)는, 고정부(115)에 의해 고정되지 않고, 자유단이다. 제2 기판(80)의 Y방향의 중심보다 타단부(82b) 근처에 있는 제1 공급 단자(87)에 판스프링 단자(74)가 맞닿는다. 그 반대측의 제4 면(83)에는, SP(84)가 위치한다.
AE(91)의 일부가, 시트 부재(95)에 피복되어 있다. AE(91)는, RC(22)에 있어서의 연결부(4)측의 일단(22b)에 위치한다. 즉, AE(91)와 상술의 메인 안테나(90)는, 제1 하우징(2)(RC(22))의 방향 Y의 양단에 떨어져서 위치한다. AE(91)는, 박막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부재여도 된다. AE(91)는, RC(22)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AE(91)는, 제2 기판(80)의 제4 면(83)에 대향한다.
AE(91)는, 소정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띠형상으로 하고, 방향 X를 따라 대략 전역에 걸쳐도 된다. 또, 도 7,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향 X의 일단부에서 되꺾여 왕복하는 형상이어도 된다. AE(91)는, 그 단부에, SP(84)와 맞닿는 위치에 제2 공급 단자(92)를 가지면 된다.
도 11a는, 제1 기판(70) 및 제2 기판(80)을 RC(2)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 하는 도면이며, 제2 기판(80)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제1 기판(70) 및 제2 기판(80)을 RC(2)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제2 기판(80)을 부착한 후에, 제1 기판(70)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RC(22)는, 제2 기판(80)을 부착할 수 있는 2개의 걸어맞춤 부재(120a, b)를 가진다. 각각의 걸어맞춤 부재(120a, b)는, 방향 X에 있어서의 양단의 근방에 배치된다. 걸어맞춤 부재(120a, b)는, 제2 기판(80)의 방향(방향 X)의 양단에 걸어맞춰진다. 그리고 걸어맞춤 부재(120a, b)는, 제2 기판(80)의 방향 X 및 방향 Z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걸어맞춤 부재(120a, b) 각각은, 기부(121)와, 걸어맞춤 클로우부(122)를 가진다. 2개의 기부(121a, b) 각각은, 외력에 의해 휘고 복귀하는 수지 재료를 포함한다. 기부(121a, b) 각각은, 방향 X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2개의 기부(121a, b)의 사이에는, 제2 기판(80)이 위치한다. 2개의 기부(121a, b)는, AE(91)의 근방에 위치해도 된다(도 7).
2개의 기부(121a, b) 각각은, RC(22)의 내표면(22i)으로부터 FC(21)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내표면(22i)과 연장되는 방향은 대략 수직이면 된다.
기부(121a, b)는, 그 선단에 각각 걸어맞춤 클로우부(122a, b)를 가진다. 걸어맞춤 클로우부(122a, b) 각각은, 기부(121a, b) 각각의 선단으로부터 방향 X에 서로 가까워지도록 돌출되어 있다. 걸어맞춤 클로우부(122a, b) 각각은, FC(21)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경사 도입부(124)와, RC(22)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걸어맞춤면(123)을 가진다.
걸어맞춤면(123)은, RC(22)에 대향한다. 걸어맞춤면(123)은, 제2 기판(80)의 제3 면(82)의 단부에 대향한다.
걸어맞춤면(123)은, 제2 기판(80)의 제3 면(82)에 맞닿거나 또는 이간함으로써 제2 기판(80)의 RC(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방향 Z)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경사 도입부(124)는, 걸어맞춤 클로우부(122a, b)의 방향 Z에 있어서, 걸어맞춤면(123a, b)과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경사 도입부(124)는, 제2 기판(80)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진다. 경사 도입부(124)는, 제2 기판(80)을 2개의 기부(121a, b)의 사이로 이끈다. 2개의 경사 도입부(124)들 사이의 거리는, 제2 기판(80)의 방향(방향 X)의 길이와 대략 일치한다.
RC(22)는, 제2 기판(80)에 실장되는 SA(85)의 상면이 맞닿게 되는 위치에, 할당 리브(130)를 가진다(도 7). SA(85)에 있어서의 제2 기판(80)과는 반대측의 상면(85S)이 할당 리브에 맞닿는다. 할당 리브(130)는, 휴대 전화(1)의 낙하 등의 충격시에 있어서의 SA(85)로의 충격을 완화한다.
여기서, 제1 기판(70)과 제2 기판(80)을 RC(22)의 내부에 배치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2 기판(80)을 RC(22)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부재(120a, b)에 부착한다. 이 경우, RC(22)의 내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하여 제2 기판(80)을 RC(22)의 내면측에 평행하게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2 기판(80)의 양단부를 경사 도입부(124)에 각각 맞닿게 한다. 또한, 제2 기판(80)을 맞닿게 한 상태로 RC(22)측으로 이동시킨다.
제2 기판(80)은, 걸어맞춤 부재(120a, b)에 있어서의 기부(121a, b)가 휘어짐으로써, 걸어맞춤 클로우부(122a, b)를 통과한다. 그리고 기부(121a, b)의 휘어짐이 복귀함으로써, 제2 기판(80)은, 걸어맞춤 클로우부(122a, b)에 대해서 RC(2)측이며, 기부(121a, b)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기판(80)을 걸어맞춤 클로우부(122a, b)에 대해서 RC(22)측에 도입하는 상술의 과정에 있어서, 제2 기판(80)에 실장되는 SP(84)는, AE(91)에 맞닿는다. 그리고 제2 기판(80)에 소정의 힘을 더하면서 제2 기판(80)을 SP(84)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도록 RC(22)측에 이동시키고, SP(84)를 축소시켜 간다. 제2 기판(80)이 걸어맞춤 클로우부(122a, b)를 통과한 시점에서, 제2 기판(80)으로 가해지고 있는 힘을 해제한다.
이 경우, 제2 기판(80)은, SP(84)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RC(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제2 기판(80)은, SP(84)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걸어맞춤 부재(120a, 120b)에 탄성 가압되어, 걸어맞춤 클로우부(122a, b)에 걸어맞춰진다.
다음에, 제1 기판(70)의 제2 면(73)을 제2 기판(80)의 제3 면(82)에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기판(80)에 실장되는 제1 공급 단자(87)에 판스프링 단자(74)가 맞닿도록 제1 기판(70)을 제2 기판(80)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한다(도 7). 이 경우, 제2 기판(80)은, 걸어맞춤 부재(120a, b)에 의해 걸어맞춰져 있으므로 안정되게 유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립 작업시에 있어서는, 제1 기판(70)을 제2 기판(80) 상에 배치하는 작업성이 용이하다.
그리고 제1 기판(70)을 RC(22)측으로 힘을 가하면서 이동시킨다. 제2 기판(80)은, 판스프링 단자(74) 및 SP(84)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있다. 이 경우, 판스프링 단자(74)의 스프링 정수가 SP(84)의 스프링 정수보다 크기 때문에, 제2 기판(80)은, RC(22)측으로 이동해 간다. 제1 기판(70)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판스프링 단자(74)의 탄성 가압력과 SP(84)의 탄성 가압력이 균형을 이루고, 제2 기판(80)은, 소정의 위치에 유지된다. 이때, 제2 기판(80)은, 걸어맞춤 클로우부(122a, b)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1)가 낙하하여 지면 등에 충돌한 경우, 각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변형된다. 제1 하우징(2)에 있어서의 제1 기판(70)은, 방향 P(방향 Y)에 있어서 휘어지도록 변형한다.
SA(85) 및 DTVA(86)는, 제1 기판(70)과는 다른 제2 기판(80)에 실장되므로, 제1 기판(70)에 있어서의 변형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따라서, SA(85) 및 DTVA(86)의 파손이 적어진다.
제2 기판(80)은, 방향 Y에 있어서의 단부측에 배치되므로, 제1 하우징(2)에 있어서의 휨 변형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렵다. 특히, 제2 기판(80)은, 강성이 높고 변형되기 어려운 연결부(4)측에 배치되므로, 방향 Y에 있어서의 휨 변형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이로 인해, 또한, SA(85) 및 DTVA(86)의 파손이 적어진다.
제2 기판(80)은, 제2 기판(80)의 방향 R(제2 방향)이 방향 Y 등과 대략 직교하는 경우, 바꿔 말하면, 제2 기판(80)의 폭 방향이 방향 Y 등과 일치(평행)하는 경우, 제2 기판(80)은, 제1 하우징(2)에 있어서의 휨에 의해 변형되기 어렵다. 이로 인해, 또한, SA(85) 및 DTVA(86)의 파손이 적어진다.
SA(85) 및 DTVA(86)는, 제1 하우징(2)이나 제1 기판(70)이 방향 Y(P)에 있어서 휘도록 변형한 경우라도, 방향 Y(P)로 거의 변형되지 않는 제2 기판(80)에 실장되어 있으므로, 제2 기판(80)의 변형의 영향이 적기 때문에, 파손이 적어진다.
SA(85) 및 DTVA(86)는, 방향 Q(제4 방향)가 방향 Y(제3 방향) 및 방향 P(제1 방향)와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SA(85) 및 DTVA(86)는, 폭 방향이 방향 P(제1 방향)와 일치(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즉, SA(85) 및 DTVA(86)는, 만일, 제2 기판(80)에 변형이 생긴 경우라도, 변형되기 어렵게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SA(85) 및 DTVA(86)에 있어서의 파손이 억제된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1)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나타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SA(85) 및 DTVA(86)는, 방향 Q(제4 방향)가 제1 회로 기판(70)에 있어서의 방향 P(제1 방향)와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SA(85) 및 DTVA(86)는, 휴대 전화(1)에 제1 회로 기판(70)이 방향 P에 있어서 휘어지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파손의 발생이 억제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SA(85) 및 DTVA(86)가 실장된 제2 회로 기판(80)은, 방향 R(제2 방향)이 제1 회로 기판(70)에 있어서의 방향 P(제1 방향)와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2 회로 기판(80)은, 휴대 전화(1)에 제1 회로 기판(70)이 방향 R에 있어서 휘어지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발생하는 변형이 억제된다. 이로 인해, SA(85) 및 DTVA(86)는, 휴대 전화(1)에 제1 회로기판(70)이 방향 P에 있어서 휘어지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파손의 발생이 억제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SA(85) 및 DTVA(86)가 실장된 제2 회로 기판(80)은, 방향 R(제2 방향)이 방향 Y(제3 방향)와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2 회로 기판(80)은, 휴대 전화(1)에 제1 하우징(2)이 방향 Y에 있어서 휘어지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생기는 변형이 억제된다. 이로 인해, SA(85) 및 DTVA(86)는, 휴대 전화(1)에 제1 하우징(2)이 방향 Y에 있어서 휘어지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파손의 발생이 억제된다.
낙하에 의해 제1 기판(70)에 전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은, 판스프링 단자(74)에 의해 흡수되고, 제2 기판(80)에는 전해지기 어려워져 있다.
제2 기판(80)에 있어서의 자유단측에는, 제3 면(82)측에 판스프링 단자(74)가 배치됨과 더불어, 제4 면(83)측에 SP(84)가 대향하여 배치되므로, 자유단측에 생긴 진동은, 적합하게 흡수된다.
즉, 낙하 등에 의해 생긴 충격이나 진동은, 제2 기판(80)에 전해지지 않거나, 또는, 신속히 흡수된다. 이로 인해, 제2 기판(80)에 실장되는 SA(85) 및 DTVA(86)에 파손이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SA(85) 및 DTVA(86)의 방향은, 방향 Y에 대략 직교한다.
그 때문에, 제2 기판(80)에 실장되는 SA(85) 및 DTVA(86)는,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한 제1 기판(70)의 휘어짐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따라서, 제2 기판(80)에 실장되는 SA(85)나, DTVA(86) 등의 전자 부품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기판(80)은, 판스프링 단자(74)와 SP(84)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방향 Z에 있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유연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제2 기판(80)에 대해서 낙하 등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충격은 판스프링 단자(74) 및 SP(84)에 흡수되므로, 제2 기판(80)으로의 충격이 완화된다. 그리고 제2 기판(80)의 휘어짐이 억제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SA(85)나, DTVA(86) 등의 충격에 약한 전기 부품이 제2 기판(80)에 실장되는 경우라도,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한 파손을 적게 할 수 있다.
판스프링 단자(74) 및 SP(84)에 의해, 제2 기판(80)은 충격을 흡수하도록 유연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 기판(80)은, 제1 기판(70) 및 AE(91)로의 양호한 통전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제2 기판(80)은, 제1 기판(70)보다 작은 경우, 낙하 등의 충격에 대한 휘어짐이 억제된다. 따라서, 제2 기판(80)에 실장되는 SA(85)나, DTVA(86) 등의 전기 부품의 파손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제2 기판(80)은, 제1 기판(70)보다 작으므로, 제2 기판(80)의 휴대 전화(1)로의 배치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1)는,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한 SA(85)나, DTVA(86) 등의 전기 부품의 파손을 적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판스프링 단자(74)와 SP(84)는, 제2 기판(80)을 개재하여 대략 대향하여 배치된다. 그 때문에, 제2 기판(80)은, 판스프링 단자(74) 및 SP(84)에 의해, 제3 면(82)과 제4 면(83)에 있어서의 같은 위치에 있어서 제2 기판(80)을 개재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제2 기판(80)은, 판스프링 단자(74)와 SP(84)에 의해, 방향 Z에 있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유연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낙하 등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제2 기판(80)의 휘어짐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기판(80)에 실장되는 SA(85)나, DTVA(86) 등의 전기 부품의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한 파손을 적게 할 수 있다. 판스프링 단자(74)의 제1 스프링 정수는, SP(84)의 제2 스프링 정수보다 크다. 여기서, 제1 스프링 정수 및 제2 스프링 정수란, 복수의 단자가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모두가, 종합적 스프링 정수를 의미한다. 즉, 종합적인 제1 스프링 정수가, 종합적인 제2 스프링 정수보다 크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판스프링 단자(74) 혹은 SP(84)가 복수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하나 하나의 단자의 판스프링 단자(74)의 스프링 정수가 작아도, 그 합계 스프링 정수가 SP(84)의 제2 스프링 정수보다 크게 구성되어만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판스프링 단자(74)의 신축 범위가 SP(84)의 신축 범위보다 작다.
판스프링 단자(74)의 탄성 가압력 및 SP(84)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제2 기판(80)은, 걸어맞춤 클로우부(122)에 대해서 RC(22)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 기판(80)은, 걸어맞춤 부재(120)에 맞닿지 않는 상태로, 판스프링 단자(74)와 SP(84)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유연하게 유지된다. 그 결과, 제2 기판(80)에 실장되는 SA(85)나, DTVA(86) 등의 전기 부품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자유단측은 판스프링 단자(74) 및 SP(84)에 의해 유지되므로, 낙하 등의 충격시에 있어서, 제2 기판(80)의 일단부측이 고정부(115)에 확실히 고정됨과 더불어 자유단측에서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2 기판(80)의 휘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판(80)에 실장되는 SA(85)나, DTVA(86) 등의 전기 부품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기판(80)에는, SA(85)와 DTVA(86)가 실장되고, 제1 기판(70)에는, 무선부(71a)가 설치되고, 판스프링 단자(74)는 무선 신호를 도통시키도록 구성된다. 그 때문에, 판스프링 단자(74)를 개재하여, 제2 기판(80)에 실장되는 SA(85)나 DTVA(86)에 의해 수신 또는 송신한 무선 신호를 도통시켜 제1 기판(70)의 무선부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SA(85)나 DTVA(86)와 무선부(71a)가, 각각 다른 기판에 설치되어 있어도, 이것들을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도통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스프링 단자(74)는, 제1 기판(70)에 실장됨과 더불어, 제2 기판(80)에 맞닿고, SP(84)는, 제2 기판(80)에 실장됨과 더불어, AE(91)에 맞닿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스프링 단자(74)가, 제2 기판(80)에 실장됨과 더불어 제1 기판(70)에 맞닿거나, SP(84)가, AE(91)에 실장됨과 더불어 제2 기판(80)에 맞닿거나 해도 된다.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회로 기판(80)은, 방향 Q(제4 방향)으로 길지만(직사각형),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정사각형이어도 된다.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전기 부품(91)을 AE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기판(80)에 실장되는 제1 전기 부품을 세라믹 안테나(SA(85) 및 DTVA(86))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세라믹 안테나를 제2 기판(80)에 실장하는 전기 부품의 예로서 들지만, 그 외의 전기 부품이어도 된다. 예로서는, 세라믹 콘덴서, 세라믹 모듈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낙하 등의 충격에 약한 부품으로서, 하우징 내측면에 배치되는 전기 부품과의 관계성이 있다.
연결부(4)에 의해 접을 수 있는 휴대 전화(1)의 설명을 하고 있지만, 이러한 폴더식이 아닌,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의 서로 포개진 상태로부터 한쪽의 하우징을 한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한 슬라이드식이나,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의 포개짐 방향에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한쪽의 하우징을 회전시키도록 한 회전(턴)식이나,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이 하나의 하우징에 배치되고 연결부를 가지지 않는 형식(스트레이트 타입)이어도 된다.
상술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휴대 전화에 적용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 이외의 휴대 전자 기기, 예를 들면, PHS(등록 상표), PDA, 네비게이션, 노트북 등에 적용할 수 있다.
1: 휴대 전화 2: 제1 하우징
3: 제2 하우징 70: 제1 기판
74: 판스프링 단자 80: 제2 기판
84: 제2 스프링 단자 85: 서브 안테나
86: DTVA 91: 안테나 엘리먼트
115: 고정부 120a, b: 걸어맞춤 부재

Claims (20)

  1. 휴대 전자 기기로서,
    제1 방향으로 긴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있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길고, 상기 제1 기판보다 작은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상에 있고, 상기 제2 방향으로 긴 전기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판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며,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판을 탄성 가압(付勢)하는 제1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2 기판에 대해서 상기 제1 스프링 단자와 반대측에 있고, 상기 제2 기판을 탄성 가압하는 제2 스프링 단자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이 상기 제1 방향으로 긴, 휴대 전자 기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휴대 전자 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은, 세라믹 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2 스프링 단자가,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2 기판을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휴대 전자 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단자 및 상기 제2 스프링 단자는, 상기 제2 기판에 맞닿는, 휴대 전자 기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단자의 스프링 정수는, 상기 제2 스프링 단자의 스프링 정수보다 큰, 휴대 전자 기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단자의 신축 범위는, 상기 제2 스프링 단자의 신축 범위보다 작은, 휴대 전자 기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내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판이 상기 제1 기판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2 이상의 걸어맞춤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제2 기판의 양단에서 상기 제2 기판을 끼워 넣음과 더불어, 상기 제2 기판을 제1 기판측으로부터 걸어맞출 수 있는, 휴대 전자 기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이 고정단과, 이 고정단의 대변에 자유단을 더 가지며,
    상기 제1 스프링 단자 및 상기 제2 스프링 단자는, 상기 고정단과 상기 자유단의 중간보다 자유단쪽에 있는, 휴대 전자 기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고,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부재를 삽입·이탈 가능하게 수납하는 수용부를 가지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근방에,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힌지 부재에 있어서의 이탈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제2 기판에 맞닿는 규제 부재를 더 가지는, 휴대 전자 기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상에 무선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제1 스프링 단자가 도전성을 가지고, 상기 무선부와 상기 전기 부품 사이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휴대 전자 기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링 단자가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전기 부품과 안테나 엘리먼트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휴대 전자 기기.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무선부는, 공중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부인, 휴대 전자 기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있어서의 제1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휴대 전자 기기.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와, 상기 제2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전기 부품을 가지는 확대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 부품이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확대 안테나의 유효 길이가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 및 상기 전기 부품의 합계 길이보다 큰, 휴대 전자 기기.
KR1020100026849A 2009-03-26 2010-03-25 휴대 전자 기기 KR101258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77556A JP2010232899A (ja) 2009-03-26 2009-03-26 携帯電子機器
JP2009077607A JP2010232903A (ja) 2009-03-26 2009-03-26 携帯電子機器
JPJP-P-2009-077607 2009-03-26
JPJP-P-2009-077556 2009-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265A KR20100108265A (ko) 2010-10-06
KR101258317B1 true KR101258317B1 (ko) 2013-04-25

Family

ID=4278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849A KR101258317B1 (ko) 2009-03-26 2010-03-25 휴대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83785B2 (ko)
KR (1) KR1012583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6302B2 (ja) * 2009-04-30 2013-12-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電話機
CN103081577B (zh) * 2010-07-02 2016-06-08 汤姆森特许公司 电子设备中用于接地的系统
US9253555B2 (en) * 2014-02-18 2016-02-02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9332329B2 (en) 2012-09-28 2016-05-03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US9137918B2 (en) 2012-09-28 2015-09-15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9608309B2 (en) * 2012-11-09 2017-03-28 Ht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124678B2 (en) * 2012-12-21 2015-09-01 Robert Benedict Zajeski Powered portable handle remote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200127782A (ko) * 2019-05-03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Rf 구성요소들을 위한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334A (ko) * 2004-11-05 2006-05-1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커버부착형 내장안테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80039734A (ko) * 2006-11-01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284U (ja) * 1984-06-26 1986-01-23 沖電線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
US6518926B2 (en) * 2001-04-10 2003-02-11 Palm, Inc. Frame for a handheld computer
US6625881B2 (en) * 2001-09-11 2003-09-30 Xytrans, Inc. Solderless method for transferring high frequency, radio frequency signals between printed circuit boards
US7349723B2 (en) * 2004-05-28 2008-03-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pad and microphone arrangement
JP2006217050A (ja) 2005-02-01 2006-08-17 Kyocera Corp アンテナ実装基板及び携帯無線機
JP4844883B2 (ja) * 2006-07-20 2011-12-2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プリント基板のgnd接続方法
US7616449B2 (en) * 2006-09-25 2009-11-10 Appareo Systems, Llc Crash-hardened memory device and method of cre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334A (ko) * 2004-11-05 2006-05-1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커버부착형 내장안테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80039734A (ko) * 2006-11-01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83785B2 (en) 2013-07-09
US20100248655A1 (en) 2010-09-30
KR20100108265A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317B1 (ko) 휴대 전자 기기
CN101297438B (zh) 无线通信终端
JP5576690B2 (ja) 携帯無線装置
JP4364271B2 (ja) 電子機器
JP4796904B2 (ja) データ通信装置
JP5166070B2 (ja) 電子機器
JP2010232899A (ja) 携帯電子機器
JP2003283176A (ja) 携帯端末装置
JP5085223B2 (ja) 電子機器
JP2006128808A (ja) スライド式携帯電話機
JP4954823B2 (ja) 電子機器
JP2008244879A (ja) 携帯無線端末
JP3743315B2 (ja) 無線通信装置
JP2011114710A (ja) 携帯電子機器
US20070108030A1 (en)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metallic keypad
JP5313767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8160534A (ja) 携帯無線機
JP5507863B2 (ja) 電子機器
US20090075706A1 (en) Housing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197435B2 (ja) 電子機器
JP5294921B2 (ja) 電子機器
JP4702792B2 (ja) 無線通信端末
JP4518878B2 (ja) キー構造及び該キー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0232903A (ja) 携帯電子機器
JP5202414B2 (ja) 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