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3422A - 환자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환자 승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3422A
KR20070033422A KR1020077000700A KR20077000700A KR20070033422A KR 20070033422 A KR20070033422 A KR 20070033422A KR 1020077000700 A KR1020077000700 A KR 1020077000700A KR 20077000700 A KR20077000700 A KR 20077000700A KR 20070033422 A KR20070033422 A KR 20070033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elevating device
column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709B1 (ko
Inventor
시몬 크리스토퍼 도른톤 워커
Original Assignee
시몬 크리스토퍼 도른톤 워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몬 크리스토퍼 도른톤 워커 filed Critical 시몬 크리스토퍼 도른톤 워커
Publication of KR20070033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6Knee, upper or lower 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5Cables, chain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3Rigid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74Devices foldable for stor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Weig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86Upper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10Type of patient
    • A61G2200/16Type of patient bariatric, e.g. heavy or obe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5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the patient is supported by a specific part of the body
    • A61G2200/52Undera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몸이 불편한 환자를 들어 올리고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신체의 전방에 장착될 수 있는 두 개의 측면 패드 지지부(47)를 구비하는 프레임(2, 43, 45)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패드 지지부는 환자의 겨드랑이 밑에 그리고 상부 측면 가슴 영역 둘레에 위치된다. 상기 프레임은 또한 전방 컬럼(13)을 포함하며, 상기 컬럼상에는 환자의 상부 다리 뼈를 위한 한 쌍의 패딩된 곡선형 바아(44)가 연결된다. 환자 호이스트와 함께 사용될 때, 이는 무거운 환자를 들어올리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며, 이는 운전 안전성, 안락함 및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 승강 장치{PATIENT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환자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람, 예를 들어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이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제한된 사람을 들어 올리고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리적으로 장애가 있는 병원이나 가정의 환자들이 누운 위치로부터 앉은 위치 또는 직립 위치로 이동할 수 있길 종종 원한다. 환자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경우에, 환자의 이동은 간호사 또는 간병인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며, 그 간호사나 간병인이 힘으로 환자를 들어 올려서 이동시켜야 한다. 이러한 작업이 힘이 들기 때문에, 두 명의 간호사 또는 간병인이 환자를 들어 올릴 필요가 있고, 이는 종종 간호사 또는 간병인이 등을 다치거나 또는 등에 무리가 가는 경우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들어 올림 작업의 대부분은 환자 가정의 가족 구성원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휘일형(wheeled) 또는 상부 전기식 호이스트 유닛을 이용하여 환자를 침대로부터 들어올릴 수도 있을 것이나, 호이스트에 부착된 슬링(sling)내로 환자가 이동하기 위해서는 역시 도움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 슬링은 해먹과 같이 환자의 등 밑으로 통과되어야 하고, 이러한 작업 역시 환자를 들어 올릴 필요가 있고 또 슬링 고정을 위해 환자를 들어 올린 상태로 작업할 필요가 있다. 침대에 똑바로 누워있는 환자에게 부착될 수 있는 승강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그러한 프레임은 겨드랑이 아래로 삽입되도록 배치된 후크 지지 부재에 의해 전면으로부터 환자에게 부착될 수 있다. 그러한 프레임들 중 하나가 미국 특허 제US4509785호의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공보에는 환자가 누운 위치로부터 기계적으로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호이스트 유닛에 부착될 수 있는 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 환자는 환자 몸의 등을 통과하고 이어서 양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스트랩(strap)에 의해 고정된다. 그에 따라, 환자는 호이스트의 작동에 의해 착석 위치 또는 직립 위치로 안전하게 들어 올려질 수 있다. 호이스트에 의해 지지될 때, 다른 휴식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환자는 다른 침대나 의자로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승강 프레임에서, 환자는 가슴 영역이 현수(suspend)되고, 신체의 하부 부분을 지지하는 특별한 구성은 없었다. 본 발명은 환자의 다양한 신체 크기에 맞춰질 수 있는 하부 신체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도록 그리고 목욕 및 화장실 용무와 같은 여러 가지 환자의 요구에 맞춰 보조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측면 패드 지지부 및 겨드랑이 받침을 구비한 두 개의 림(limbs)을 포함하는 환자 승강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림은 공통 링키지(linkage)에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림은 가로-바아(cross-bar)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가로-바아는 지지부들 사이의 설정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 피스(piece)를 구비할 수 있다. 가로-바아는 조정가능한 환자 상부 다리 또는 후방부(posterior)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컬럼(column)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럼 및 상부 다리 유닛이 필요한 경우에 재위치될 수 있도록, 가로-바아가 회전가능한 티-피스(tee-piece)상에서 컬럼을 지지할 수 있다. 컬럼은 필요한 컬럼 길이로 설정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환자 다리 유닛은 여러 좌석 피스 모델을 지지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측면 패드 지지 유닛이 측면 패드 지지 조립체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거나 또는 고정된다. 회전은 포스트만을 통과하거나 포스트와 측면 지지 조립체 각각을 통과하는 정지 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림에 연결된 측면 패드 지지 조립체가 상기 가로-바아 유닛을 위한 고정부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시트(seat) 모델의 범위는 방수 시트, 패드형 시트 및 화장실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시트 모델은 클립 패스너(clip fastener)에 의해 시트 피팅(fitting)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대부분의 표면에 탄성 패딩 커버를 구비하는 환자 승강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림들 사이의 공통 링키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 승강 장치가 환자 호이스트 유닛의 연결부 또는 승강 붐(boom)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환자 승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시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시트 프레임 록킹 시스템의 상세도이다.
도 4는 겨드랑이 지지 장착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탄성 패딩 커버를 구비하여 환자의 간호에 사용될 수 있는 상태의 승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환자 승강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의 측면 지지 조립체의 상세도이다.
도 8은 패드 연결 포스트의 상세도이다.
도 9는 연결부 조립체의 상세도이다.
도 10은 환자를 유지하기 위한 도 6의 실시예의 다른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의 구성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승강 장치(1)가 스틸(steel) 튜브 및 로드(rod)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피봇에 의해 링키지(3)에 연결된 두 개의 림(2)을 구비하며, 상기 링키지는 상기 장치를 환자 호이스트 유닛의 연결 피스(도시 안 됨) 또는 승강 붐에 연결하는 패스너(4)를 지지한다.
림(2)은 링키지(3)로부터 뒤집힌 U-자 형상으로 하향 연장되고, 아암의 하단부들은 벤드(bend)를 구비하도록 성형되어 겨드랑이 지지부(6)를 형성한다. 환자가 패스너(4) 바로 아래에서 수직 위치로 유지될 수 있도록, 림(2)들이 모두 약간 후방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측면에서 볼 때, 패스너(4)는 겨드랑이 지지부(6)의 중심 반경의 수직 위쪽에 위치된 것으로 보인다. 각각의 지지부(6)는 백 스트랩(back strap) 연결부(7)에서 종료되며, 그 목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각 림(2)의 하단부에, 아이(eye)가 장착되며, 그러한 아이에 의해 두 개의 림이 가로-바아(8)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가로-바아(8)는 제 1 클램프 나사(1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슬라이딩 링크(9)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두 개의 림(2)의 하부 부분이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승강 장치가 보다 좁거나 넓은 가슴을 가지는 환자의 범위에 맞춰질 수 있게 된다.
가로-바아(8)는 그 가로-바아(8)의 길이를 따라 그 주위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될 수 있게 배치되는 중공 티-피스(12)를 그 중심부에 지지한다. 상기 티-피스(12)는 견고한 컬럼(13)을 지지하며, 상기 컬럼은 링키지(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컬럼(13)은 다시 제 2 클램프 나사(1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컬럼 연장부(14)에 의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컬럼(13)의 주 축선이 가로-바아(8) 및 티-피스 하부 아암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컬럼(13)이 티-피스(12)의 하부 아암에 장착된다.
컬럼 연장부(14)의 하단부에서, 시트 프레임용 고정부(fixing)가 스트럿(18; strut)에 의해 직각 위치에서 유지되는 브래킷(17)에 의해 제공된다. 시트 프레임은 시트(19)를 지지한다.
도 2는 시트 프레임(21)의 사시도이다. 시트 프레임(21)은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되고 단부들이 연결 칼라(22; collar)에 의해 결합되는 시트 지지 튜브로 구성된다. 연결 칼라(22)는 컬럼 연장부(14)의 브래킷(17)과 정렬되는 것을 보조하는 안내 홈(24)을 구비한 핸들(23)을 지지한다. 안내 홈(24)은 브래킷(17)의 하부 엣지(edge)와 밀접하게 접촉하면서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디자인되며, 그에 따라 그 두 부분들이 정확하게 서로 정렬된 때를 매우 분명하게 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시트 프레임의 보다 상세한 구성은 도 3의 부분 단면도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이 도면에는, 연결 칼라(22)가 컬럼 연장부(14)의 하단부상의 정위치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컬럼 연장부(14)가 브래킷(17) 및 스트럿(18)과 함께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시트 프레임의 핸들(23)이 브래킷(17)의 바로 아래쪽에 놓이며, 아암의 안내 홈이 브래킷(17)의 엣지와 정렬되도록 보조한다. 핸들(23)의 외측 표면이 고무 층(26)으로 덮여서 사용자가 핸들을 잡는 것을 보조한다.
시트 프레임의 핸들(23)은 스프링(28)에 의해 시트 프레임의 연결 칼라(22)를 향해 편향되고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볼트(27)를 수용한다. 연결 칼라(22)가 볼트(27)의 우측 단부를 지지하는 관통 보어(bore)를 구비하며, 이러한 관통 보어의 내측 단부는 볼트(27)의 우측 단부상의 매칭 나사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나사 부분(29)을 구비한다.
유사하게, 시트 프레임의 연결 칼라(22)는 주요 축선을 따라 홀(31)을 구비하며, 이러한 홀은 컬럼 연장부(14)의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컬럼 연장부(14)는 이러한 하단부에 자체적인 개구부(32)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러 한 개구부는 볼트가 연결 칼라(22)의 나사 부분(29)내에 고정되기 전에 그 볼트(27)가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볼트(27)가 외측 단부에 노브(33)를 구비하며, 스프링(28)은 볼트 샤프트에 고정된 정지부에 맞닿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볼트가 우측으로 편향되어 연결 칼라(22)상의 나사 부분(29)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향을 가질 것이다. 필요한 경우에, 노브(33)가 수동으로 회전되며, 그에 따라 나사가 서로 결합되고 볼트(27)가 연결 칼라(22)내의 고정 위치로 록킹될 수 있을 것이다. 컬럼 연장부(14) 단부가 연결 칼라(22)내로 삽입되었다면, 볼트가 컬럼 연장부(14)내의 개구부(32)를 통과할 것이고 시트 프레임이 연장부(14)에 고정되어 록킹될 것이다.
컬럼 연장부(14)로부터 시트 프레임을 분리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노브(33)를 손으로 풀어 스크류 나사부와 분리될 수 있게 하고 연장부(14)내의 개구부(32)로부터 볼트를 회수한다. 이어서, 시트 프레임은 컬럼 연장부(14)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것이다.
도 4는 림(2)과 겨드랑이 지지부(6) 사이의 연결 수단을 상세히 도시한다. 상기 연결 수단은 림(2)의 하단부에 고정된 연결 피스(34)로 구성된다. 림(2)의 벽내의 홀을 통과하고 피스(34)내에 고정되는 록킹 핀(39)에 의해 장착이 이루어진다. 연결 피스(34)는 내부 개구부를 구비하고, 그러한 개구부에는 연결 샤프트(36)가 통과된다. 연결 피스(34)는 또한 직각으로 연장하는 아이(37)를 지지하고, 이러한 아이는 가로-바아(8)가 결합될 수 있는 연결 지점을 제공한다.
겨드랑이 지지부(6)가 연결 샤프트(36)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칼라(38)에 의해 연결 수단에 결합된다. 칼라(38)는 록킹 핀(39)에 의해 겨드랑이 지지부의 재료에 내부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겨드랑이 지지부(6)가 림(2)의 단부들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두 부분들이 연결 샤프트(36)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림이 종료되는 조인트에 위치되는 아이(37) 장착부가 가로-바아(8)를 유닛에 결합하는 편리한 수단을 형성한다.
도 5는 환자 승강 장치 전체를 도시하며, 이때 탄성 패드 커버(41)는 환자가 경질의 금속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로-바아(8)상에는, 적절한 길이의 아코디언 형태의 고무 튜브가 위치되며, 그에 따라 환자 가슴 폭의 편차에 따라 가로 바아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게 허용한다. 도시된 시트(19) 모델은 개방형 좌변기 구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달리, 도 1에서는, 도시된 시트가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승강 장치가 환자가 사용하기 위한 것인 경우에, 간병인은 환자의 필요상태에 따라 가장 적절한 시트 모델을 선택할 것이고, 이용가능한 시트 범위는 방수형, 패드형 또는 좌변기를 포함할 것이다. 시트 프레임(21)상에 장착될 수 있게 하는 클립 패스너를 이용함으로써 시트 모델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환자 승강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환자는 처음에 침대에 똑바로 누워있을 것이다. 승강 장치가 먼저 환자 호이스트 유닛의 승강 붐 또는 연결 피스에 연결되고, 이어서 노브(33)를 풀고 시트 프레임(21)을 컬럼 연장부(14)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시트 프레임(21) 및 시트(19)가 유닛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승강 장치가 환자의 위쪽에 위치되고, 컬럼(13)이 환자 신체의 앞쪽에 결쳐 놓여진 상태에서 겨드랑이 지지부(6)가 환자의 겨드랑이 아래쪽에 결합된다. 가로-바아(8)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길이는 클램프 스크류(11)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안전 스트랩이 환자 신체의 등 주위로 연장될 수 있으며, 그 스트랩을 겨드랑이 지지부(6)의 단부들에 위치된 후방 스트랩 연결부(7)에 연결하고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호이스트 유닛이 작동되어 환자를 착석 위치에 부드럽게 위치시킨다. 이어서, 환자는 승강 장치에 의해 안전하게 유지된다.
이어서, 환자가 침대 표면으로부터 약간 들어 올려지도록 호이스트 유닛이 상승된다. 패드형, 변기 또는 방수 시트(19)가 정확하게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환자의 엉덩이가 침대 표면으로부터 충분히 들어 올려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위치에 도달하면, 환자를 조심스럽게 하강시켜 볼트(27) 및 관통 홀(31)을 이용하여 컬럼 연장부(14)를 연결 칼라(22)에 연결 및 고정한다. 이어서, 노브(33)를 조여서 조인트가 고정되게 한다. 컬럼 연장부(14) 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정하고 클램프 스크류(16)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시트가 적절하게 위치되게 한다. 시트는 물론 환자 등의 기부(base)에 위치될 것이고, 이는 환자의 하부 신체의 중량을 지지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환자를 추가적으로 상승시킬 때, 환자의 전체 중량이 겨드랑이 지지부(6)와 시트(19)로 나누어 질 것이다.
이어서, 환자가 안락한 위치에 있게 되고, 그 환자들은 호이스트상에서 의자로, 다른 침대로 또는 욕실로 이동될 것이다. 환자는 또한 필요에 따라 침대, 욕 실, 화장실, 수영장, 휠체어, 마루바닥, 또는 의자 사이로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 누운 상태로부터 착석 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다. 세척을 위해, 시트(19) 피스를 일시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그러한 세척 작업이 안정하고도 편리하게 실시될 수 있게 된다. 적절한 시간 경과 후에, 환자가 침대로 복귀될 수 있고, 호이스트 및 승강 장치가 치워질 수 있다.
환자 승강 장치의 이용 후에 그 장치가 환자 호이스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겨드랑이 지지부에 대한 회전가능한 장착부를 회전시킴으로서 이러한 부분들은 내측으로 접혀져서 용이하고 콤팩트하게 저장될 수 있다. 용이하게 운반 및 이송할 수 있도록, 승강 장치를 위한 적절한 저장 케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승강 장치가 호이스트에 연결된 상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시트 피스가 제거되고, 클램프 스크류(16)을 풀고 적절하게 고정하여 컬럼 연장부(14)가 짧게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컬럼 연장부(14) 단부가 링키지(3)에 부착된 C-클립 패스너(도시 안 됨)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컬럼 연장부를 선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단계 후에, 시트 피스가 가로-바아(8) 상에서 티-피스(1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장착된 저장 페그(42; peg; 도 5 참조)상에 연결되고 록킹될 수 있다. 이어서, 추가로 사용될 때까지 승강 장치가 이러한 콤팩트한 모습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의 승강 장치의 변형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림(2)은, 티-피스에 의해 연결부 조립체(45) 형태로 서로 결합되는 두 개의 상호 평행 로드(43)로 형성된 가로-바아를 지지한다. 그에 따라, 로드(43)는 연결부 조립체 에 의해 서로 평행하게 유지되고, 림(2)의 하부 부분들이 서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질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해 상기 로드들은 외측으로 확장되거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슴 넓이가 서로 상이한 여러 환자들을 수용하도록 승강 장치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 조립체(45)가 견고한 컬럼(13)을 지지하고, 여기에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컬럼 연장부(14)가 지지된다. 시트 프레임용 고정부를 구비하는 대신에, 컬럼 연장부(14)가 피봇 지점(46)에 연결된 두 개의 곡선형 패드 바아(44)내에서 종료되며, 상기 패드 바아들은 피봇 지점에 의해 대체적으로 직선적인 모습으로 유지될 수 있다. 승강 장치내에 지지된 환자의 상부 다리 뼈 아래쪽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두 개의 곡선형 바아(44)가 패딩 층으로 덮여진다. 또한, 두 개의 곡선형 바아(44)가 환자 개개인의 다리 구조에 맞춰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약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이러한 피봇 지점(46)이 조정 제어부를 구비한다.
도 6의 실시예에서, 겨드랑이 지지부(6)가 림(2)의 단부들로부터 연장하는 포스트(48)상에 지지된 측면 패드(47)로 대체된다. 각 포스트는 측면 지지 조립체(49)상에 장착된다. 측면 패드(47)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이나, 환자의 측면 가슴 영역과 접촉하게 되는 오목한 부분을 구비한다. 그에 따라, 측면 패드(47)는 승강 장치와 환자의 신체 사이의 넓은 접촉 면적을 제공하며, 따라서 환자를 들어 올릴 필요가 있을 때 그 환자가 안락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할 것이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측면 패드(47)를 지지하는 포스트(48)가 직선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물 론 다른 실시예에서 도 1의 겨드랑이 지지부(6)와 보다 유사하도록 상기 포스트가 곡선형일 수도 있다.
도 6의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를 들어 올릴 때, 각 측면 지지 조립체(49)가 먼저 관련 환자에 적합한 크기의 측면 패드(47)와 결합될 것이다. 측면 패드(47)는 소형, 중형 및 대형 크기를 가질 것이고, 측면 지지 조립체(49)의 단부상에서 패드들이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을 것이다. 포스트(48)상의 측면 패드들은 측면 지지 조립체를 통해서 장착될 수 있고 록킹 핀(50)(도 6 참조)으로 고정될 수 있다. 각 측면 패드가 환자의 가슴의 양쪽에 놓이도록 환자의 겨드랑이 아래쪽에 장착될 수 있다. 환자 가슴 폭에 맞게 측면 패드를 조정할 때, 림(2)의 두 단부의 이동으로 인해 연결부 조립체(45)내에서 이루어지는 겹침(overlapping) 작용에 의해 가로-바아의 평행한 로드(43)들이 짧아질 것이다. 만약 호이스트(도시 안 됨)의 작용에 의해 환자가 부분적으로 들어 올려진다면, 환자의 체중이 연결부 조립체(45)에 작용함으로써 가로-바아가 설정 위치에 록킹될 것이다.
안전 스트랩(도시 안 됨)들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안전 스트랩들은 측면 패드(47)의 상부 및 하부 모서리들에 위치된 적절한 스트랩 연결부에 고정된다. 승강 장치가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될 때, 측면 패드(47)에 의해 환자의 가슴에 인가되는 측면 압력의 크기는 두 개의 측면 패드(47) 사이에 연결된 이러한 안전 스트랩의 팽팽함(tightness)에 의해 제어될 것이다.
누워 있는 환자의 등을 가로질러 안전 스트랩을 장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환자를 부분적으로 들어올릴 필요가 있을 것이고, 이어서 낮은 마찰의 패딩 물질로 코팅된 편평한 금속 바아를 이용하여 스트랩을 환자 등 뒤로 밀어넣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단계 후에, 패딩된 곡선형 바아(44)가 환자의 상부 다리 뼈 아래쪽의 정위치에 배치된다. 환자의 다리 특징에 맞추기 위해 피봇 지점(46) 주위의 조정 제어부를 이용함으로써 패딩된 곡선 바아(44)의 상대적인 각도가 얻어질 수 있다. 패딩된 곡선형 바아에 부착된 컬럼 연장부(14)의 길이가 환자의 크기 및 형상에 맞춰 스크류 클램프(16)를 이용하여 조절될 수 있고 고정된다. 패딩된 곡선 바아(44)의 각 측면에는, 하부 다리의 한쪽 또는 양쪽이 절단된 환자일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 스트랩(도시 안 됨)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또한 환자가 하부 다리 영역을 제어할 수 없거나 지탱할 수 없을 때에도 유용할 것이다. 이는 환자가 승강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도 7은 측면 지지 조립체(49)의 측면, 단부 및 평면을 도시한다. 이러한 조립체(49)의 하나의 유닛이 두 개의 림(2)의 각 단부에 장착된다. 조립체는 각각의 핀에 의해 각 림(2)의 단부에 부착되는 두 개의 돌기부(51)를 구비한다. 조립체는 각 로드(43)의 외측 단부가 핀 고정에 의해 결합되는 두 개의 부재(52)를 구비한다. 상기 부재(52)는 측면 지지 조립체(49)의 종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연결 칼라에 장착된다. 두 개의 보어(53)가 측면 패드(47)를 지지하는 포스트(48)를 유지하도록 정렬되고, 이어서 상기 포스트는 록킹 핀(50)에 의해 보어내에 고정된다(도 6 참조). 추가 보어가 록킹 핀 홀(55)을 제공한다.
도 8은 포스트의 측면도, 단부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포스트(48)의 좌 측 부분의 전체 길이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다. 우측 단부에서, 포스트(48)는 측면 지지 조립체(49)의 보어(53)를 통과하도록 의도된 좁은 부분을 구비하며, 이는 포스트 홀(54)을 통해 록킹 핀을 고정함으로써 보어내에 고정될 것이다. 그에 따라, 록킹 핀(50)이 측면 지지 조립체(49)의 록킹 핀 홀(55)을 통과하고 또 포스트 홀(54)을 통과한다. 포스트(48)에 대한 각 록킹 핀(50)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제조되며, 그에 따라 새로운 환자가 다른 크기의 패드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각 측면 패드(47) 및 포스트(48)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지지 조립체(49), 포스트(48), 및 록킹 핀 홀(55)의 구성에 의해, 록킹 핀(50)이 이러한 위치에 있을 때, 측면 패드가 림(2)에 평행하게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원하는 경우에, 핀(50)이 제거되고 그리고 포스트(48)가 전진 이동되어, 포스트(48)의 좁은 부분이 측면 지지 조립체(49)를 완전히 통과하게 할 수도 있다. 핀(50)이 측면 지지 조립체(49)를 통과하지 않고 포스트 홀(54)만을 통해서 다시 위치될 때, 이러한 구성에 의해 측면 패드(47) 및 포스트(48)가 측면 지지 조립체(49)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완전히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도 9는 연결부 조립체(45)의 측면도, 단부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연결부 조립체(45)는 중앙 회전 보스(57)에 의해 서로 이격 유지되는 두 개의 측면 플레이트(56)를 구비한다. 우측 단부에서, 중공 칼라(58)는 각 측면 플레이트(56) 내부에 연장되는 피봇 핀이 장착되어, 중공 칼라(58)가 피봇 핀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칼라 내의 내부 개구부의 직경은, 측면 지지 조립체(49)로부터의 로드(43)가 칼라(58)를 통과하고 조립체(45)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고 그리고 조립체 대향 단부를 지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내부 개구부는 로드(43)를 위한 장착부를 제공하며, 그러한 장착부는 로드가 연결부 조립체(45)내의 개구부를 통해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한다. 로드(43)의 내측 단부에는 정지 핀(62)이 제공되며, 그에 따라 로드가 칼라(58)를 통과하여 완전히 잡아당겨지지는 않게 될 것이다. 유사하게, 연결부 조립체의 좌측 단부에서, 제 2 중공 칼라가 다른 측면 지지 조립체로부터의 제 2 로드(43)를 위한 장착부를 제공한다. 이러한 제 2 중공 칼라는 측면 플레이트내의 슬롯(59)내에 위치되는 피봇 핀을 구비하며, 그에 따라 측면 지지 조립체로부터의 각각의 로드가 대향 칼라(58)의 내측 표면과 접촉할 수 있게 되며, 하향 작용하는 힘이 연결부 조립체(45)에 작용하는 경우에 내측 표면을 따라 로드가 통과되지는 않게 된다. 그에 따라, 연결부 조립체에 하향작용 힘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두 개의 피봇형 칼라(58)가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는 상태로 평행하게 로드(43)를 유지한다. 그러나, 하향작용 힘이 인가된다면, 로드는 양 칼라(58)에 대해 가압되고 록킹될 것이며, 그에 따라 서로에 대해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할 것이다.
연결부 조립체(45)는 견고한 컬럼(13)을 위한 지지 핀(61)을 추가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핀은 연결부 조립체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하며, 상기 컬럼(13)은 이러한 부재에 직각으로 부착된다.
도 10은 승강 특성의 변경을 위해 일부 부분들을 재배치한 후에 도 6의 승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측면 지지 조립체(49)로부터의 로드(43)가 연결부 조립체(45)로부터 외측으로 당겨졌으며, 완전히 후퇴되었을 때, 각 로드의 내측 단부상 의 정지 핀(62)(도 6)에 의해 그 로드가 피봇형 칼라를 완전히 통과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로드(43)가 측면 지지 조립체(49)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연결 칼라에 위치되는 부재(52)에 고정되기 때문에, 그 로드(43)들이 하향 이동될 수 있다. 연결부 조립체(45)가 림(2)의 단부들 아래쪽으로 소정 거리에 있는 안정한 포지션에 위치된다. 물론, 패딩된 곡선형 바아(44)가 환자의 상부 다리 뼈 아래쪽에 위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조정가능한 컬럼 연장부(14)가 다소 짧아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승강 장치가 환자에 대해 장착하기 위한 것일 때, 환자의 중량이 곡선형 바아(44)로 인가될 것이며, 이러한 중량은 림(2)의 단부들을 서로 밀접하게 잡아당길 것이며, 그에 따라 측면 패드(47)가 환자의 흉곽에 보다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각 림(2)에 평행한 고정 위치에서 측면 패드(47)가 장착되는 것이 보다 적절할 것이다. 이는, 각 록킹 핀(50)(도 6 참조)이 각 록킹 핀 홀(55) 및 각 포스트 홀(54)을 통과할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전술한 모드들(측면 패드(47)가 측면 지지 조립체(49)에 고정된 또는 그 측면 지지 조립체(49)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중 하나에 따라 승강 작업이 이루어질 때, 균형 효과가 발생된다. 환자의 상체가 측면 지지 조립체(49)의 일 단부로부터 들어 올려질 때 그리고 하단부가 각 측면 지지 조립체의 대향 단부로부터 들어 올려질 때도 그러하며, 동일하고 서로 반대인 모멘트가 각 림(2)에 연결된 중심 돌기부(51) 주변에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환자가 들어 올려졌을 때 보다 품위 있는 직립 착석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게 돕는다. 승강 장치의 정확 한 작동을 위한 안내서가 예를 들어 측면 패드(47)의 외측 엣지상에 배치될 수 있다.
머리를 지지할 필요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 승강 장치의 양(both) 림(2)에 고정되는 목(neck) 유닛 또는 패딩된 헤드로 이루어진 헤드 지지 스트랩을 부착할 수 있다. 걷기 연습이 필요한 환자의 경우에, 승강 장치가 그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패딩된 곡선 바아(44)를 제거함으로써, 환자의 다리 및 엉덩이가 자유롭게 매달릴 수 있게 된다. 측면 패드(47) 및 안전 스트랩(도시 안 됨)을 이용하여 상부 지지가 유지된다. 트레드밀 등을 이용하면서, 환자 승강 장치의 위치를 원하는 진도에 따라 낮춤으로써, 환자가 자연적인 도보를 위한 근력, 능력 및 확신을 점차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환자 승강 장치는,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는 점 및 몸이 불편한 환자를 들어올리는데 있어서 매우 편리한 도움을 안전하게 제공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 할 것이다. 둘 이상의 사람 없이도 한 사람의 간병인만으로도 승강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며, 간병인이 물리적으로 무리하지 않고도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효과적인 승강 노력의 대부분은 환자 호이스트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다. 무거운 사람을 지면, 침대, 휠체어, 의자, 욕실, 화장실 또는 수영장으로부터 승강시키는 작업을 간병인이 훨씬 가볍게 실시할 수 있고 환자는 보다 품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간병인이나 환자가 승강 작업중에 부상을 입을 염려가 상당히 감소된다. 승강 장치가 한 사람의 조작자에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승강 슬링의 이용보다 이점이 있고 환자를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보조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바닥으로 떨어져서 바닥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필요가 있는 환자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승강 장치가 환자의 최소한의 물리적 조작만으로도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환자의 품위 유지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정확하게 사용될 때, 환자는 대부분의 슬링을 이용하는 경우 보다 더 직립된 착석 위치로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슬링을 넘어서는 다른 이점은, 본 발명의 장치가 대부분의 승강 슬링과 달리 어떠한 스프레더(spreader) 바아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슬링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신체 접근에 비해, 환자가 들어 올려졌을 때 간호인이 접근할 수 있는 신체 영역이 상당히 넓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사용되지 않을 때, 조정가능한 컬럼 연장부(14)를 느슨하게 하고 중앙 회전 보스(57)를 중심으로 180°회전시킬 수 있다. 이어서, 양 림(2)의 상부 링키지(3)에 고정된 C-클립(도시 안 됨)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닛이 콤팩트한 정돈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고, 분리 및 이송이 필요한 경우에 적절한 저장 케이스내에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승강 장치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환자 및 간호인이 딱딱한 금속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패딩 커버(41)(도 5 참조)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한 이유로, 아코디언 형태의 튜브를 적절한 곳에 부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승강 장치의 제 1 변형 실시예에서, 가로-바아가 망원경식 유닛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유닛은 완전히 연장되었을 때 'V' 형상이 되는 옵션을 가진다. 이 는, 망원경식 로드가 튜브형 피스내의 피스톤 측부의 중앙 단부에 인접하게 힌지됨으로 이루어진다. 견고한 컬럼(13)으로의 연결부는 이러한 새로운 가로-바아의 튜브형 섹션상의 티-피스로 용이하게 고정되거나 그 티-피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이는 견고한 컬럼(13)에 대한 모든 축선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는, 각 측면 지지 조립체(49)상의 두 개의 부재(52)에 여전히 연결된다.
제 2 변형 실시예에서, 측면 지지 조립체(49)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3개 대신에 하나의 원형 섹션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두 개의 돌기부(51) 및 두 개의 부재(52)와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차이는, 두 개의 부재(52)가 90도 회전된다는 것이며, 그에 따라 측면 지지 조립체의 단부들과 동일한 평면들 상에 놓이게 된다. 두 개의 돌기부(51)와 두 개의 부재(52) 사이의 90도의 각도는 변화되지 않고 유지된다. 이러한 변화에 의해, 두 개의 부재(52)가 가로-바아 작동의 모든 상대적인 각도를 허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로-바아가 수평으로 또는 'V' 형상으로 작동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6의 장치의 다른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의 구성에서, 연결부 조립체(45) 및 로드(43)가 망원경식 구조를 가지고 가요성 아코디언 형태의 튜브 재료(64)로 덮인 연장가능한 가로 바아(63)로 대체된다. 튜브 재료(64)의 외측 벽이 플로팅 칼라(66)를 지지하며, 상기 플로팅 칼라는 가로 바아(63)의 길이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고, 또한 필요한 경우에, 상기 바아 둘레로 회전될 수 있다. 칼라(66)는 컬럼(13)을 지지하며, 상기 컬럼의 하단부에서, 힌지(68)에 의 해 연결된 한 쌍의 곡선형 플레이트(67)에 의해 환자의 하체를 위한 지지 수단이 제공된다. 곡선형 플레이트(67)가, 장치의 사용중에, 환자의 뒤쪽 부분 아래에 또는 환상 상부 다리의 아래에 장착될 수 있다.
곡선형 플레이트(67)가 힌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서로 마주함으로써 저장을 위한 보다 콤팩트한 승강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곡선형 플레이트(67)를 컬럼(13)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플레이트 및 힌지의 조합이 컬럼(1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힌지(68)도 장착부상에서 접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저장을 위해 컬럼(13)의 길이에 평행하게 놓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내에서도 수 많은 변형 실시예들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핸들(23)을 브래킷(17)과 정렬시키는 것은 반드시 안내 홈과 함께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브래킷상의 정렬핀을 핸들상의 소켓내로 삽입함으로써 이러한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승강 장치가 림(2)의 결합점에서 패스너(4)의 영역내에 위치된 전자식 환자 계량 유닛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척이나 저장을 위해, 림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가로-바아(8, 63)를 제조할 수도 있을 것이다. 환자의 최적의 안락함을 위해 가장 적절한 측면 패드가 선택될 수 있도록, 측면 패드(47)가 다양한 크기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측면 패드 지지부 및 겨드랑이 받침을 구비한 두 개의 림을 포함하는 환자 승강 장치로서, 상기 림들은 공통 링키지에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림은 가로-바아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환자 승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아가 상기 지지부들 사이의 거리 설정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 피스를 구비하는 환자 승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아는 조정가능한 환자 상부 다리 또는 후방부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컬럼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을 포함하는 환자 승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 및 상부 다리 유닛이 필요한 경우에 재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가로-바아가 회전가능한 티-피스상에서 컬럼을 지지하는 환자 승강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이 필요한 컬럼 길이로 설정되도록 조정될 수 있는 환자 승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다리 유닛은 여러 가지 좌석 피스 모델을 지지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는 환자 승강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드 지지 유닛이 상기 측면 패드 지지 조립체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거나 또는 고정되는 환자 승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 포스트만을 통과하거나 또는 포스트와 측면 지지 조립체 각각을 모두 통과하는 정지 핀에 의해 이루어지는 환자 승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림에 연결된 각각의 측면 패드 지지 조립체가 상기 가로-바아 유닛을 위한 고정부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환자 승강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드들 모두 또는 그 중 하나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고 재연결될 수 있는 환자 승강 장치.
  11. 첨부 도면들 중 하나를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에서 실질적으로 설명된 환자 승강 장치.
KR1020077000700A 2004-06-12 2004-06-12 환자 승강 장치 KR101177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GB2004/002529 WO2005120421A1 (en) 2004-06-12 2004-06-12 Patient lif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422A true KR20070033422A (ko) 2007-03-26
KR101177709B1 KR101177709B1 (ko) 2012-08-29

Family

ID=3495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700A KR101177709B1 (ko) 2004-06-12 2004-06-12 환자 승강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287288B2 (ko)
EP (1) EP1781228B1 (ko)
JP (1) JP4582426B2 (ko)
KR (1) KR101177709B1 (ko)
CN (1) CN100589785C (ko)
AT (1) ATE500807T1 (ko)
AU (1) AU2004320482B2 (ko)
BR (1) BRPI0418890B1 (ko)
CA (1) CA2569390C (ko)
DE (1) DE602004031783D1 (ko)
NO (1) NO334464B1 (ko)
NZ (1) NZ552471A (ko)
WO (1) WO20051204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4320482B2 (en) * 2004-06-12 2010-04-22 Simon Christopher Dornton Walker Patient lifting device
US7670271B2 (en) * 2005-12-28 2010-03-02 Stephen Brian Finch Hanging fitness device for abdominals
GB2462585B (en) * 2008-07-31 2011-04-20 Simon Christopher Dornton Walker Universal patient lifting frame
BRPI1001282B1 (pt) * 2010-04-22 2021-07-13 Rosana Antunes De Sousa Aparelho locomotor multifuncional
SE534997C2 (sv) * 2010-06-23 2012-03-13 Gate Rehab Dev Ab Uppresningsstöd
JP5411844B2 (ja) * 2010-12-28 2014-02-12 一嘉 水橋 移乗装置
US9161871B2 (en) * 2011-01-06 2015-10-20 Community Products, Llc Multiple function patient handling devices and methods
ES2433790B1 (es) * 2012-01-24 2014-11-18 Manufacturas Metálicas Luisianeras, S.L. Elevador electrico transportable para jinetes
US8572774B1 (en) 2012-05-18 2013-11-05 Michael P. Osika Apparatus for moving a limb of a bedridden person
JP6608911B2 (ja) 2014-09-02 2019-11-20 シー キング ルドルフ ドア及び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方法
US10492647B2 (en) 2014-09-02 2019-12-03 Rudolf C. King Bath plug device
USD879302S1 (en) * 2015-09-25 2020-03-24 Anton K. Simson Interchangeable curvable grasping panel for patient lift
USD846744S1 (en) * 2015-09-25 2019-04-23 Anton K. Simson Interchangeable curvable grasping panel for patient lift
USD848002S1 (en) * 2016-03-25 2019-05-07 Anton K. Simson Patient lift
CN106955209A (zh) * 2017-03-07 2017-07-18 湘潭大学 一种护理用自动洁便马桶装置
US20200375830A1 (en) * 2017-11-06 2020-12-03 Robotics Care Ab Bathing construction
CN108618680B (zh) * 2018-05-14 2019-07-16 陕西理工大学 一种残疾人自助洗澡装置
CA3120738A1 (en) * 2018-12-06 2020-06-11 Fuji Corporation Assistance method using assistance device
US11596565B2 (en) 2019-11-18 2023-03-07 Robert Allen Butterworth Patient upright device
USD987084S1 (en) * 2021-03-17 2023-05-23 Marie Pavini Patient restrai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81254C (da) * 1953-05-15 1956-07-02 Hans Arne Ingolf Johannesen Gangstøtte.
NL6803205A (ko) * 1968-03-06 1969-09-09
US3568226A (en) * 1968-10-16 1971-03-09 James E Mater Invalid lifting device
JPS5736186Y2 (ko) * 1978-06-28 1982-08-10
NL185609C (nl) * 1980-02-14 1990-06-01 Bakker Anna Christina Inrichting voor het dragen van een persoon in zithouding.
US4443902A (en) 1981-07-06 1984-04-24 Baer Richard K Invalid walker and transfer device
BE893170A (nl) 1982-05-13 1982-08-30 Raemdonck Rene Van Toestel voor het verplaatsen van een persson
SE444507B (sv) * 1982-12-02 1986-04-21 Ingemar Svensson Anordning for uppberning av en person vid forflyttning av personen mellan tva legen
US4510633A (en) * 1982-12-20 1985-04-16 Thorne Mark W Invalid transfer means
DE8527201U1 (de) * 1985-09-24 1986-01-23 Schnur, Günther, 5190 Stolberg Personentransportgerät
US4704749A (en) * 1986-05-23 1987-11-10 Aubert Benjamin A Body lift and walker for paralytics
JPH01212555A (ja) * 1988-02-19 1989-08-25 Motoda Kea Kk 介助機器装置
JPH01238861A (ja) * 1988-03-18 1989-09-25 Motoda Kea Kk 介助装置
FR2636232A1 (fr) * 1988-09-12 1990-03-16 Marchand Bernard Dispositif pour soulever et deplacer une personne impotente ou a mobilite reduite
US5325550A (en) * 1992-10-23 1994-07-05 Dearstyne Robert C Apparatus for use in transporting a disabled person
DE4313494A1 (de) * 1993-04-24 1994-10-27 Hoyer Gmbh Vorrichtung zum Heben einer bettlägerigen oder in der Beweglichkeit eingeschränkten Person
US6192534B1 (en) * 1999-05-03 2001-02-27 Sam T. Restivo Lifting harness for transporting non-ambulatory patients
US20040074414A1 (en) * 2002-10-21 2004-04-22 Brian Phillips Patient mobility system
GB0228721D0 (en) * 2002-12-09 2003-01-15 Walker Simon C D Patient lifting device
EP1475064A1 (en) * 2003-05-06 2004-11-10 Handi-Move International N.V. Device for lifting patient or disabled person
AU2004320482B2 (en) * 2004-06-12 2010-04-22 Simon Christopher Dornton Walker Patient lif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34464B1 (no) 2014-03-10
ATE500807T1 (de) 2011-03-15
AU2004320482A1 (en) 2005-12-22
BRPI0418890A (pt) 2007-11-20
JP4582426B2 (ja) 2010-11-17
NO20070196L (no) 2007-01-11
KR101177709B1 (ko) 2012-08-29
CN1968667A (zh) 2007-05-23
US7287288B2 (en) 2007-10-30
US20070094791A1 (en) 2007-05-03
WO2005120421A1 (en) 2005-12-22
EP1781228A1 (en) 2007-05-09
JP2008502438A (ja) 2008-01-31
CA2569390C (en) 2009-10-27
DE602004031783D1 (de) 2011-04-21
BRPI0418890B1 (pt) 2015-06-30
CN100589785C (zh) 2010-02-17
EP1781228B1 (en) 2011-03-09
CA2569390A1 (en) 2005-12-22
NZ552471A (en) 2010-06-25
AU2004320482B2 (en)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7288B2 (en) Patient lifting device
CA2052169C (en) Invalid lift
US6430761B1 (en) Compact portable patient lift
US5117516A (en) Patient sling
EP1809229B1 (en) Walker with lifting arms
US20060085914A1 (en) Adjustable bed for bariatric patients
US2010021966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Lift Assistance
US5148559A (en) Patient conveyance device
JP2014520604A (ja) 患者に有用な椅子、フレームおよび持上げ用衣服
US2015018240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Lift Assistance and Waste Control
US20100200622A1 (en) Self-dressing aid device
US5787515A (en) Assist device for use with seating means such as commode, chair and the like
JP4051926B2 (ja) 車椅子
US20170224567A1 (en) Personal Mobility Device
WO2023050227A9 (zh) 主机模组和包含该主机模组的辅具
US5953774A (en) Frontally insertable body hoist seat and sling assembly
US20220087886A1 (en) Portable medical lift and positioning device
TWM618815U (zh) 電動升降移位輔助裝置
GB2396147A (en) Patient lifting device
US10980691B1 (en) Mobile seat supporting transfer apparatus
ZA200700307B (en) Patient lifting device
JPH069591B2 (ja) 起立補助器
JP2005288106A (ja) 入浴介護用昇降装置
GR20190200091U (el) Τροχηλατη καρεκλα-γερανακι μεταφορας ατομων με κινητικα προβληματα
GR1009931B (el) Συστημα ανυψωσης και μεταφορας ατομων περιορισμενης κινητικοτητας και κατακοιτω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