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3410A - 압전 관성 트랜스듀서 - Google Patents

압전 관성 트랜스듀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3410A
KR20070033410A KR1020077000030A KR20077000030A KR20070033410A KR 20070033410 A KR20070033410 A KR 20070033410A KR 1020077000030 A KR1020077000030 A KR 1020077000030A KR 20077000030 A KR20077000030 A KR 20077000030A KR 20070033410 A KR20070033410 A KR 20070033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ducer
piezoelectric
coupling means
substrate layer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9898B1 (ko
Inventor
마크 스타네스
스티븐 마크 홀리
제임스 존 이스트
네일 시몬 오웬
Original Assignee
뉴 트랜스듀서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 트랜스듀서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뉴 트랜스듀서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33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10Resonant transducers, i.e. adapted to produce maximum output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Transducers F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동작 주파수 범위를 갖는 관성력 트랜스듀서(1)는 트랜스듀서의 동작 주파수 범위에 있는 모드들의 주파수 분포를 갖는 공진 소자(2) 및 상기 공진 소자(2)를 힘이 가해질 위치에 장착하기 위한 커플링 수단(4)을 구비한다. 공진 소자(2)는 압전 물질층(6) 및 압전 물질층(6) 상의 기판층(3)을 구비한 압전 장치이다. 기판층(3)은 압전층(6)을 너머 확장되는 영역을 가지며, 커플링 수단은 트랜스듀서(1)의 저주파수 성능이 확장되는 확장된 영역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압전 관성 트랜스듀서{PIEZOELECTRIC INERTIAL TRANSDUCER}
본 발명은 확성기(loudspeaker)를 만들기 위해 굽힘파(bending wave) 에너지를 패널 형태의 음향 진동판들(acoustic diaphragms)에 가하기 위한 힘 트랜스듀서 또는 액츄에이터(actuator)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국제출원 번호 WO 01/54450에 개시된 종류의 힘 트랜스듀서 또는 액츄에이터(actuator)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장치는 "분포 모드 액츄에이터들(distributed mode actuators)" 또는 약자로 "DMA"로 알려져 있다.
비중심(off-centre) 커플링 수단 예컨대 스터브(stub)에 의해 DMA가 힘이 가해질 위치에 커플링되는 것이 WO 01/54450로부터 알려져 있다. 더욱이, DMA의 양태(modality)를 강화시키기 위해 DMA의 파라메터들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WO 01/54450를 통해 알려져 있다.
트랜스듀서의 기본 공진(fundamental resonance)을 변화시키기 위한 대안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관성력 트랜스듀서는
동작 주파수 범위를 가지며
상기 트랜스듀서의 상기 동작 주파수 범위에 있는 모드들의 주파수 분포를 가지며, 압전 물질층 및 상기 압전 물질층 상의 기판층을 구비하는 압전 장치인 공진 소자, 및
힘이 가해질 위치에 상기 공진 소자를 장착하기 위한 커플링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판층은 상기 압전층을 넘어서게 확장되는 영역을 가지고 상기 커플링 수단은 상기 확장된 영역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트랜스듀서의 저주파수 성능이 확장된다.
WO 01/54450에서, 비중심 커플링은 트랜스듀서의 기본 공진 모드 f0의 주파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의 한 요소(factor)로서 스터브의 강성(stiffnes)을 제시하고 있다. 스터브의 강성을 줄여줌으로써, 굽힘의 일부가 스터브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빔(beam)의 기본 공진 f0은 빔 굽힘의 순수 함수에서 굽힘 및 변환의 함수로 변화한다.
본 발명에서는,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즉 커플링 수단과 공진 소자 사이의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공진 소자의 기판을 확장시킴으로써 커플링 시스템의 강성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컴플라이언스는 트랜스듀서의 기본 공진 f0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트랜스듀서의 성능이 저주파수까지 확장된다.
컴플라이언스는 확장된 날개(vane)에 의해 제공되기 때문에, 설계의 유연성은 유지하면서도 시스템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커플링 수단의 굽힘 강성은 바람직하게는 확장된 영역의 굽힘 강성 보다 매우 크게 된다. 커플링 수단은 딱딱하고 단단할 수 있다. 유사하게, 기판층과 커플링 수단 사이의 연결은 탄성이 없이 단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수단은 예컨대 제어된 접착층과 같은 잔류(vestigial)일 수 있거나 스터브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상기 연결은 예컨대 접착층과 같은 잔류일 수 있다.
트랜스듀서는 관성적 즉 프레임 또는 다른 지지수단에 기반하지 않으며, 확장된 영역 외부의 진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공진 소자는 굽힘에 대해 자유로우며 따라서 진동하는 동안 그 자신의 질량을 가속 및 감속시키는 것과 관련된 관성을 통해 힘을 발생시킨다.
공진 소자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빔 같은 것 일 수 있다. 기판층의 확장된 영역은 반대편 끝단에서 최대 변환이 발생하는 직사각형 또는 빔 같은 공진 소자의 한 끝단일 수 있다.
공진 소자는 두 개의 압전 물질층들 사이에 기판층이 끼워진 압전 바이몰프(bimorph)일 수 있다. 기판층은 금속성 예컨대 황동일 수 있다.
다른 양태로부터, 본 발명은 위에서 정의된 힘 트랜스듀서 또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확성기일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위에서 정의된 확성기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예컨대 이동 전화기 또는 휴대 전화기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로서 도식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힘 트랜스듀서 또는 액츄에이터의 투시도.
도 2는 도 1의 트랜스듀서 또는 액츄에이터의 측면도.
도 3은 확장된 영역의 길이가 변화하는 것과 관련하여 주파수에 대비한 블록 힘(blocked force)에 대한 그패프.
도 4는 진동판에 장착된 도 1의 트랜스듀서에 대한 투시도.
도 5는 도 1의 트랜스듀서가 결합된 이동 전화기에 대한 투시도.
도 1 및 도 2는 압전 바이몰프 빔들(2)의 형태로 이루어진 두 개의 공진 소자들을 구비한 힘 트랜스듀서(1)를 보여준다. 각 빔(2)은 압전층들(6) 사이에 끼워진 황동과 같은 금속성의 날개(vane)(3)의 형태로 이루어진 중앙 기판층을 구비한다. 각 빔의 한쪽 끝단에서, 중앙 날개(3)는 압전층들(6)을 지나 확장된 영역(7) 까지 투사되도록 확장된다.
빔들(2)은 스터브들의 굽힘 강성이 날개의 굽힘 강성 보다 매우 큰 단단한 지지 스터브(4)의 형태를 갖는 커플링 수단을 통해 확장된 날개 영역들(7)에서 예컨대 접착 수단에 의해 경합된다. 스터브들(4)은 힘이 가해질 위치인 블록 힘 지그(jig)(5)에 접착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지그(5)는 기계적 토대 즉 모든 관심 주파수들에서 효과적으로 제로 속도(zero velocity)가 되도록 해주는 높은 기계적 임피던스(>1000 Ns/m)가 있는 장착 위치를 제공한다. 실제 이는 트랜스듀서에 비해 큰 질량(>1kg)을 갖는 금속 블록이다.
도 2는 기본 굽힘 주파수 f0에 근접한 주파수에서 트랜스듀서의 변형된 모습 을 보여준다. 확장된 영역에 대한 트랜스듀서의 반대편 끝단은 프레임 또는 다른 지지 수단에 부착되지 않았으며 진동에 자유롭다. 트랜스듀서의 평면에 직각인 평면에 있어서 트랜스듀서의 변형은 그 끝단에서 가장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굽힘의 대부분은 확장된 날개 영역(7)에서 발생한다.
도 3은 빔의 끝단과 단단한 스터브들 사이의 날개 길이를 증가시킴에 따른 블록 힘에 대한 효과를 보여준다. 단지 힘의 수직 성분만이 나타나 있으며 잡음과 구조에 의해 야기되는 오차들을 줄이기 위해, 그 효과를 보여주는데 교정된 유한 요소 모델(a callibrated finite element model)이 사용된다. 실선은 확장되지 않은 날개의 효과를 나타내며, 점선은 0.5 mm 길이 만큼 확장된 영역 그리고 띠줄(dashed line)은 1.5 mm 확장된 영역의 효과를 나타낸다.
가장 낮은 힘 피크(lowest force peak)가 발생하는 주파수는 날개가 확장될 때, 골(trough)에 있는 크기가 감소되듯이 감소된다. 그래프로부터 추정할 때, 1 mm 확장된 영역을 사용함으로써 6.3 dBN의 대응력 감소와 더불어 피크 주파수는 300 Hz에서부터 200 Hz로 감소될 수 있다.
5 kHz 영역에 존재하는 골은 단지 빔 평면에 대해 직교한 블록 힘을 나타낸다. 빔의 길이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블록 힘의 성분에 대한 시험은 그러한 형태를 보여주지 않는다. 따라서, 빔이 굽힘파 패널 음향 방사체 상에 장착될 때, 5 kHz에서의 골은 측정된 음향 압력에서 보여지지 않는다.
본 발명은 중앙 날개의 길이를 빔의 끝단을 넘어서게 증가시키고 확장된 영역에 결합시킴으로써 DMA의 동작 대역폭을 증가시켜주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힘의 출력에 있어서 그만큼의 감소가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듀서(1)가 중심에서 벗어난(off-centre) 위치에 장착된 패널 형태의 진동판(8)을 구비한 확성기를 보여준다. 트랜스듀서(1)는 진동판에서 굽힘파 진동을 일으키고 그것에 의해 진동판이 방사되어 소리를 발생시킨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확성기가 결합된 이동 전화기(9)를 보여준다. 트랜스듀서(1)는 스크린이 보여지는 창(window)을 덮지 않도록 측면부에서 스크린 덮개에 부착된다.
본 발명은 트랜스듀서의 기본 공진을 변화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11)

  1. 동작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관성력 트랜스듀서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의 상기 동작 주파수 범위에 있는 모드들의 주파수 분포를 가지며, 압전 물질층 및 상기 압전 물질층 상의 기판층을 구비하는 압전 장치인 공진 소자; 및
    힘이 가해질 위치에 상기 공진 소자를 장착하기 위한 커플링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층은 상기 압전층을 넘어서게 확장되는 영역을 가지고 상기 커플링 수단은 상기 확장된 영역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트랜스듀서의 낮은 주파수 성능이 확장되는 상기 확장된 영역에 장착되는 관성력 트랜스듀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영역의 파라메터들은
    상기 공진 소자의 양태(modality)를 강화시키도록 선택되는 힘 트랜스듀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소자는 일반적인 직사각형 또는 빔 형태이며,
    상기 기판층의 확장된 영역은 상기 공진 소자의 한쪽 끝단인 힘 트랜스듀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수단의 굽힘 강성은 상기 확장된 영역의 굽힘 강성 보다 큰 힘 트랜스듀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층과 상기 커플링 수단은 단단한 연결로 함께 경합되는 힘 트랜스듀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소자는 압전 바이몰프인 힘 트랜스듀서.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층은 금속성인 힘 트랜스듀서.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구비하는 힘 트랜스듀서.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힘 트랜스듀서를 구비하는 확성기.
  10. 제 9항의 확성기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11. 제 10항의 확성기를 구비한 이동 전화기 또는 휴대 전화기.
KR1020077000030A 2004-06-30 2005-06-15 압전 관성 트랜스듀서 KR101229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414652.8 2004-06-30
GBGB0414652.8A GB0414652D0 (en) 2004-06-30 2004-06-30 Transducer or actuator
PCT/GB2005/002381 WO2006003367A1 (en) 2004-06-30 2005-06-15 Piezoelectric inertial transduc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410A true KR20070033410A (ko) 2007-03-26
KR101229898B1 KR101229898B1 (ko) 2013-02-05

Family

ID=3284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030A KR101229898B1 (ko) 2004-06-30 2005-06-15 압전 관성 트랜스듀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916880B2 (ko)
EP (1) EP1762119B1 (ko)
JP (1) JP2008504772A (ko)
KR (1) KR101229898B1 (ko)
CN (1) CN1969591B (ko)
GB (1) GB0414652D0 (ko)
HK (1) HK1099881A1 (ko)
TW (1) TW200623929A (ko)
WO (1) WO20060033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115B1 (ko) * 2007-06-15 2009-11-18 주식회사 이엠텍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9630B2 (en) * 2007-12-21 2012-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ubcarrier allocation in relay enhanced cellular systems with resource reuse
WO2010082925A1 (en) * 2009-01-14 2010-07-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coustic pressure transducer
JP2012120097A (ja) * 2010-12-03 2012-06-21 Kyocera Corp 圧電電子部品および電子機器
US8824706B2 (en) 2011-08-30 2014-09-0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Piezoelectric microphone fabricated on glass
US8724832B2 (en) * 2011-08-30 2014-05-1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Piezoelectric microphone fabricated on glass
EP2604674A1 (de) 2011-12-12 2013-06-19 Basf Se Verwendung quaternisierter Alkylamine als Additive in Kraft- und Schmierstoffen
US10063958B2 (en) 2014-11-07 2018-08-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arpiece attachment devices
TWM509488U (zh) * 2015-06-12 2015-09-21 Su-Pei Yang 壓電揚聲裝置
US9800980B2 (en) 2015-09-14 2017-10-24 Wing Acoustics Limited Hinge systems for audio transducers and audio transducers or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CN206149494U (zh) * 2016-10-26 2017-05-03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薄膜扬声器
GB2560878B (en) 2017-02-24 2021-10-27 Google Llc A panel loudspeaker controller and a panel loudspeaker
WO2018167538A1 (en) 2017-03-15 2018-09-20 Wing Acoustics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udio systems
WO2018172944A1 (en) 2017-03-22 2018-09-27 Wing Acoustics Limi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relating to hinges and audio transducers
US10356523B2 (en) 2017-12-13 2019-07-16 Nvf Tech Ltd Distributed mode loudspeaker actuator including patterned electrodes
US10476461B2 (en) * 2017-12-20 2019-11-12 Nvf Tech Ltd Active distributed mode actuator
US10681471B2 (en) 2017-12-22 2020-06-09 Google Llc Two-dimensional distributed mode actuator
US10264348B1 (en) 2017-12-29 2019-04-16 Nvf Tech Ltd Multi-resonant coupled system for flat panel actuation
US10477321B2 (en) 2018-03-05 2019-11-12 Google Llc Driving distributed mode loudspeaker actuator that includes patterned electrodes
US10674270B2 (en) * 2018-10-24 2020-06-02 Google Llc Magnetic distributed mode actuators and distributed mode loudspeakers having the same
US10462574B1 (en) 2018-11-30 2019-10-29 Google Llc Reinforced actuators for distributed mode loudspeakers
US10848875B2 (en) * 2018-11-30 2020-11-24 Google Llc Reinforced actuators for distributed mode loudspeakers
EP3940043B1 (de) 2020-07-14 2023-08-09 Basf Se Korrosionsinhibitoren für kraft- und schmierstoff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45108C3 (de) 1970-09-11 1978-05-03 Braun Ag, 6000 Frankfurt Piezoelektrischer Antrieb
DE2045152C3 (de) 1970-09-11 1975-02-06 Braun Ag, 6000 Frankfurt Schwingmotor mit bilaminaren Biegeschwingern für elektrisch angetriebene Trockenrasierapparate
US4769570A (en) 1986-04-07 1988-09-06 Toshiba Ceramics Co., Ltd. Piezo-electric device
US5229744A (en) * 1990-11-27 1993-07-20 Ngk Spark Plug Co., Ltd. Piezoelectric type pager
JPH04207697A (ja) * 1990-11-30 1992-07-29 Ngk Spark Plug Co Ltd 圧電報知装置
CA2167318A1 (en) * 1994-05-20 1995-11-30 Shigeru Tsutsumi Sound generating device
JPH08314467A (ja) * 1995-05-22 1996-11-29 Taiyo Yuden Co Ltd 圧電振動発音装置
JPH11146491A (ja) * 1997-11-05 1999-05-28 Mitsubishi Materials Corp 電気機械変換部品
TW511391B (en) 2000-01-24 2002-11-21 New Transducers Ltd Transducer
AU2001282620A1 (en) 2000-09-04 2002-03-22 Applied Electronics Laboratories, Inc. Display window having voice input/output function
GB0211508D0 (en) 2002-05-20 2002-06-26 New Transducers Ltd Transducer
DE10329387B3 (de) 2003-06-30 2004-09-30 Siemens Ag Streifenförmiges mehrschichtiges Element nach Art eines piezokeramischen Bimorphs, mit elektrischen Kontakten zum Anlegen eines Signals zur Auslenkung des Elements
JP2005045691A (ja) * 2003-07-24 2005-02-17 Taiyo Yuden Co Ltd 圧電振動装置
GB0321292D0 (en) 2003-09-11 2003-10-15 New Transducers Ltd Transducer
US7333621B2 (en) * 2003-09-25 2008-02-19 Ariose Electronics Co., Ltd. Conductive stub of sound exci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115B1 (ko) * 2007-06-15 2009-11-18 주식회사 이엠텍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99881A1 (en) 2007-08-24
EP1762119B1 (en) 2014-01-08
JP2008504772A (ja) 2008-02-14
TW200623929A (en) 2006-07-01
CN1969591B (zh) 2011-05-18
KR101229898B1 (ko) 2013-02-05
GB0414652D0 (en) 2004-08-04
CN1969591A (zh) 2007-05-23
WO2006003367A1 (en) 2006-01-12
US7916880B2 (en) 2011-03-29
EP1762119A1 (en) 2007-03-14
US20070263886A1 (en)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898B1 (ko) 압전 관성 트랜스듀서
JP4768949B2 (ja) 変換器
US7635941B2 (en) Transducer
CN107852554B (zh) 振动传递结构和压电扬声器
US8116512B2 (en) Planar speaker driver
WO2005043509A1 (ja) 吸音構造体
US20060207340A1 (en) Transducer
JP4901537B2 (ja) 騒音振動低減装置
US9473856B2 (en) Piezoelectr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TWI527471B (zh) 壓電電聲換能器
JP5977473B1 (ja) 振動伝達構造、及び圧電スピーカ
JP6386925B2 (ja) 音響発生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587519B2 (ja) 圧電トランスデューサ
JP3693174B2 (ja) 圧電スピーカ
JP2023099421A (ja) Mems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の取付構造
CN102823275B (zh) 发声部件
JP2002242898A (ja) 圧電ファン
KR20210154879A (ko) 연장형 댐퍼를 갖는 분산 모드 라우드스피커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20230209277A1 (en) Acoustic transducer, acoustic apparatus, and ultrasonic oscillator
JP2012217013A (ja) 発振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328347A (ja) 振動・騒音低減装置
JPH10287270A (ja) 自動車用パネル体の制振装置
JPS5910875Y2 (ja) 超音波セラミツクマイクロホン
WO2017029828A1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JP2006311229A (ja) ラーメモード水晶振動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