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377A - 탈락방지구 및 풀림방지 너트 - Google Patents

탈락방지구 및 풀림방지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377A
KR20070031377A KR1020077000213A KR20077000213A KR20070031377A KR 20070031377 A KR20070031377 A KR 20070031377A KR 1020077000213 A KR1020077000213 A KR 1020077000213A KR 20077000213 A KR20077000213 A KR 20077000213A KR 20070031377 A KR20070031377 A KR 20070031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nut
bolt
spring portion
loos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지로 소에다
마유미 소에다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에스아이티
다이지로 소에다
마유미 소에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에스아이티, 다이지로 소에다, 마유미 소에다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에스아이티
Priority to KR102007700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1377A/ko
Publication of KR20070031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2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with thread-engaging surfaces formed by inserted coil-springs, discs, or the like; Independent pieces of wound wire used as nuts; Threaded inserts for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F16B39/12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causing radial forces on the bolt-shaft
    • F16B39/1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causing radial forces on the bolt-shaft by means of eccentrical or spiral interengag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2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steel wire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with a second part of the screw-thread which may be resiliently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1/00Measures against loss of bolts, nuts, or pins; Measures against unauthorised operation of bolts, nuts or pins
    • F16B41/002Measures against loss of bolts, nut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탈락방지구 및 풀림방지 너트는 너트의 이탈 및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지는 하단이 개방 형태로 된 코일스프링의 소선(wire)을 볼트 나사홈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탈락방지구(1)는 볼트에 나사로 고정되며(나착, screwed), 코일스프링부(3)와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상단을 고정하고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에 맞물리는 개구부(7)가 있는 통상본체(2)를 가지며,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내경은 상기 볼트의 다리부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이 직경이 확장된 상태로 상기 통상본체와 맞물리고,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이 직경의 확장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있다.
탈락방지구, 풀림방지 너트, 소선, 코일스프링, 통상본체

Description

탈락방지구 및 풀림방지 너트{FALLING-OFF PREVENTION DEVICE AND LOOSENING PREVENTION NUT}
본 발명은 탈락방지구 및 풀림방지 너트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볼트에 장착된 너트나 볼트에 의해서 고정하는 피고정물의 탈락 및 볼트에 장착된 너트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방지구 및 풀림방지 너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구조물의 고정에는 볼트·너트에 의한 조임 방법이 모든 분야에서 다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철골 구조의 건물이나 철탑, 도로의 설치물로부터 자동차나 전기 제품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너트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탈락방지구(101)는 탄성이 있는 금속 또는 수지 등으로 만들어지고 손잡이부(102)와 코일스프링부(10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코일스프링부의 내경은 탈락방지구를 장착하는 볼트의 다리부(脚部)의 외경보다 조금 작은 내경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탈락방지구를 볼트의 다리부에 접착할 때에는, 너트에 나사 결합한 볼트의 선단부에 탈락방지구를 당접시키고, 도 15의 부호 A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시 키는 것에 의한다.
즉, 볼트의 선단부에 탈락방지구를 당접한 상태에서 탈락방지구를 회전시킴으로써 코일스프링부의 내경이 확대하는 방향으로 코일스프링을 변형시키고, 코일스프링부의 소선을 볼트의 다리부의 단부부터 다리부에 설치된 나사홈을 따라 감입시켜 볼트의 단부에 탈락방지구를 장착한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1-59514호 공보 참조).
또한, 탈락방지기능을 구비한 너트로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풀림방지 너트(104)는 이 너트 본체(105)와 너트 본체(105)의 내주면에 취부된 탄성을 갖는 2매 이상의 링(10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링(106)은 그 내주면에는 지름 안쪽방향으로 돌출한 계합편(107)이 형성되고, 이들 링(106) 사이에는 스페이서(108)가 개장되고, 이들 링(106)의 계합편(107)이 볼트(109)의 나사산(110)에 계합하여 나사의 풀림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예를 들면, 일본 실개평6-35637호 공보 참조).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탈락방지구에서는 너트의 조임 작업 후에 탈락방지구를 장착해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2배가 되어 매우 번잡한 작업이 된다.
또한, 탈락방지구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볼트의 다리부에 나착(螺着)하는 경우에는 탈락방지구 전용의 특수한 공구가 필요하게 되고, 너트의 체결에 사용되는, 예를 들면 안경 렌치 등과 병용할 수 없어 번거로운 수고를 요하는 작업이 된다.
더욱이 탈락방지구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코일스프링을 무리하게 확경(擴徑)할 필요가 있으며, 이 확경에 의해 소성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에 탈락방지구를 재사용할 수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풀림방지 너트에서는, 범용 공구(예로써, 안경 렌치 등)로의 작업에 의한 체결을 하는 것은 가능한 반면에, 링이 변형되고 볼트의 나사산을 깎으면서 체결되는 것으로 인하여 링의 소성변형에 의해 너트 및 볼트의 재이용성이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서 너트가 느슨해진 후에는 소성변형에 의한 마찰 저항만이 되어, 장기간에 걸친 진동 등에 의해 탈락할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하단이 개방 형태로 되는 코일스프링의 소선이 볼트 나사홈에 감입하는 것에 의해서 너트의 탈락이나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탈락방지구 및 풀림방지 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락방지구는 코일스프링부와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상단을 고착함과 함께,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을 계류(繫留)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통상본체를 구비하고, 볼트에 나착하는 탈락방지구로서, 상기 코일스프링부는, 상기 볼트의 다리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되고,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이 확경한 상태로 상기 통상본체에 계류됨과 함께,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을 확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통상본체 내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이 확경한 상태로 계류되기 때문에, 볼트의 다리부에 형성된 나사홈에 코일스프링부가 감입되기 쉽고 탈락방지구를 용이하게 나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상본체를 이탈 방향(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려 하는 경우에는 코일스프링부의 상단이 통상본체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스프링부의 내경이 축소하는 방향으로 변형하게 되어 코일스프링부의 소선이 나사홈에 압접하여 이탈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한다.
더욱이 탈락방지구를 볼트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을 확경 방향으로 이동시켜 코일스프링부의 내경이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탈락방지구를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는 코일스프링부와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상단을 고착함과 함께,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을 계류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코일스프링 삽입부와 나사홈이 형성된 나사부를 갖는 너트 본체를 구비하고, 볼트에 나착하는 풀림방지 너트로서, 상기 코일스프링부는, 상기 볼트의 다리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되고,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이 확경한 상태로 상기 코일스프링 삽입부에 계류됨과 함께,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을 확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이 확경한 상태로 너트 본체에 계류되기 때문에, 볼트의 다리부에 형성된 나사홈에 코일스프링부가 감입하기 쉽고, 풀림방지 너트를 용이하게 나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너트 본체를 이탈 방향(풀림 방향)으로 회전 시키려 하는 경우에는 코일스프링부의 상단이 너트 본체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스프링부의 내경이 축소하는 방향으로 변형하게 되어 코일스프링부의 소선이 나사홈에 압접하여 이탈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한다.
더욱이, 너트 본체를 볼트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범용 공구 등으로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을 확경 방향으로 이동시켜, 코일스프링부의 내경이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풀림방지 너트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탈락방지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탈락방지구의 소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탈락방지구의 취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탈락방지구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탈락방지구를 떼어내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을 적용한 탈락방지구를 범용 공구에 의해서 체결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탈락방지구를 범용 공구에 의해서 떼어내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풀림방지 너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탈락방지구의 소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설명도이다.
도 l0은 본 발명을 적용한 풀림방지 너트의 취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풀림방지 너트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한 풀림방지 너트를 떼어내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를 범용 공구에 의해서 체결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를 범용 공구에 의해서 떼어내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탈락방지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풀림방지 너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탈락방지구 2: 통상본체
3: 코일스프링부 4: 상단
5: 하단 6: 고착용 구멍
7: 개구부 8: 돌기부
9: 볼트 10: 다리부
11: 너트 12: 체결 공구
13: 계류용 각부 14: 혈부(穴部)
15: 나사부 16: 코일스프링 삽입부
17: 너트 본체 18: 피고정물
19: 풀림방지 너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탈락방지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나타내는 탈락방지구(1)는 통상본체(筒狀本體)(2)와 이 통상본체(2) 내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부(3)로 구성된다.
여기서 코일스프링부(3)는,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하여 시계 방향으로 감아 돌려지고, 볼트의 다리부의 외경보다 조금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부(3)의 상단(4) 및 하단(5)은 외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상본체(2)의 내경은 볼트의 다리부의 외경보다 크게 됨과 아울러, 코일스프링부(3)를 통상본체(2) 내에 삽입했을 경우에 코일스프링부(3)의 외경과 통상본체(2)의 내경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통상본체(2) 내에서 코일스프링부(3)가 확경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부(3)의 상단(4)은 통상본체(2)의 상부에 천공된 고착용 구멍(6)에 끼워 넣어 통상본체(2)에 고착하는 것이다. 그리고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은 통상본체(2)의 하부에 개설되는 개구부(7) 내에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부가 확경한 상태로 계류되는 것이다.
또한 코일스프링부(3)의 상단의 고착은 접착, 용착 또는 선단을 통상본체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절곡하여 계착(繫着)하는 등 여러 가지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통상본체(2)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개구부(7)가 개설되고, 그 좌측단에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이 확경한 상태로 계류하며, 탈락방지구(1)의 체결이 종료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이 우측단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상본체(2)의 외주 벽면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돌기부(8)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부(8)는 12각의 소켓렌치 또는 안경렌치의 각부(도시하지 않음)에 감입되어 탈락방지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7)로부터 돌출하는 코일스프링부(3)의 선단 위치는, 통상본체의 외접원 상으로 하며, 코일스프링부의 선단은 직각형상으로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부(3)의 선단은 본 실시예에서는 하방으로 절곡한 것이지만, 범용 공구에 의해서 계류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확실히 회전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 하여도 좋다.
여기서 탈락방지구를 볼트에 취부하는 경우에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9)의 다리부(10) 선단에 대해서 통상본체(2)의 하단을 감입시키는 것으로, 통상본체(2) 내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부(3) 하단의 소선을 볼트(9)의 다리부(10)의 나사홈에 나합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통상본체(2)를 시계 방향(체결 방향)으로 돌리는 것에 의하여 코일스프링부(3)의 내경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형시키면서 볼트(9)의 다리부(10)의 나사홈을 따라서 코일스프링부(3)의 소선을 감입시킨다. 또한 이 때 나사홈에 감입하는 소선이 떠 있는 느낌이 되고, 코일스프링부(3)와 다리부 사이의 마찰력이 경감되어 통상본체(2)를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그 후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되는 너트(11)의 상면에 통상본체(2)의 하단이 당접할 때까지 통상본체를 돌려 체결을 종료한다. 또한 이 때 코일스프링부(3) 하단의 선단이 개구부(7)의 우측단으로 이동하고 있다.
여기서 통상본체(2)를 이탈 방향(떼어내는 방향)으로 돌리려고 하면 코일스프링부(3)는 그 내경이 수축하는 방향으로 당겨져서 더욱 강하게 코일스프링부(3)의 소선이 볼트의 다리부에 형성된 나사홈의 경사면에 압착되기 때문에 통상본체의 회전이 저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너트의 상면에 통상본체의 하단이 당접할 때까지 통상 본체를 돌려서 체결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너트의 상면에 통상본체의 하단이 당접하지 않는 경우라 하여도 코일스프링부 하단의 선단이 개구부의 우측단으로 이동하면 충분히 체결을 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적용한 탈락방지구의 일례에서는 체결한 후에 진동이나 충격을 받았다고 해도 코일스프링부를 통해서 체결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충분히 체결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며, 반드시 너트의 상면에 통상본체의 하단이 당접할 필요는 없다.
그런데, 탈락방지구를 볼트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이탈 방향(체결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코일스프링부는 그 내경이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형하고, 가해진 이탈 방향의 회전력에 의해서 볼트의 다리부에 형성된 나사홈에 감입하는 소선이 떠 있는 느낌이 되고 코일스프링부와 다리부 사이의 마찰력이 경감되어 부드럽게 탈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어 탈락방지구를 볼트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어서 범용 공구에 의한 탈락방지구 취급의 일례를 설명한다.
범용 공구에 의해서 탈락방지구를 취부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9)의 다리부(10) 선단에 대해서 통상본체(2)의 하단을 감입한다. 그리고 통상본체(2)에 대해서 12각의 안경렌치나 소켓렌치 등의 체결 공구(12)를 감입한다. 또한 이 경우에 통상본체(2)의 돌기부(8)가 통상본체(2)의 중심축선에 대해서 예를 들면 180도 위치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체결 공구(12) 내면의 계류용 각부(13) 내에 감입하고 통상본체(2)의 하부에 개설된 개구부(7) 내 로부터 돌출하는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에 의해 체결 공구(12)의 하면이 계지(繫止)한 상태로 계류되는 것이다.
이어서 이 상태로부터 통상본체(2)를 체결 공구(12)에 의해서 체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탈락방지구를 볼트에 취부한다. 또한 설치가 종료되었을 때에는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이 개구부(7)의 우측단, 즉 돌기부(8) 사이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범용 공구에 의해서 탈락방지구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먼저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본체(2)에 대해서 체결 공구(12)를 감입한다. 여기서 취부된 탈락방지구의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은 돌기부(8) 사이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즉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이 돌기부(8) 사이의 중심축선상에서 90도의 각도로 개구부(7) 내로부터 돌출한 상태이기 때문에, 체결 공구(12) 내면의 계류용 각부(13) 내에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이 감입하고 돌기부(8) 및 코일스프링부(3)의 3개소를 계지하게 된다.
이어서 이 상태로부터 통상본체(2)를 체결 공구(12)에 의해서 이탈 방향(떼어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탈락방지구를 볼트로부터 떼어낸다. 또한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이 체결 공구(12)에 의해서 계지된 상태로 이탈 방향(체결 방향과 역방향)으로 밀어 내도록 회전함에 따라서 코일스프링부는 그 내경이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형하고, 볼트의 다리부에 형성된 나사홈에 감입하는 소선이 떠 있는 느낌이 되기 때문에 코일스프링부와 다리부 사이의 마찰력이 경감되어 부드럽게 탈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돌기부는 반드시 2개일 필요는 없으며, 체결 공구 내면의 계류용 각부에 감입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개수라 해도 좋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풀림방지 너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나타낸 풀림방지 너트(19)는 그 혈부(穴部)(14)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해서 중도까지 형성된 나사부(15)와 이 나사부(15)의 종단에서 혈부(14)의 상단까지가 코일스프링 삽입부(16)가 되는 너트 본체(17)와 코일스프링부(3)로 구성된다.
여기서 너트 본체(17)의 코일스프링 삽입부(16)는 그 내경이 코일스프링부(3)의 외경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코일스프링 삽입부(16)의 상단(4)에는 고착용 구멍(6)이 천공되고, 또한 코일스프링 삽입부(16)의 하단에는 개구부(7)가 개구된다.
또한 코일스프링부(3)는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해서 시계 방향으로 감아 돌려지고, 볼트의 다리부의 외경보다 조금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다. 또한 코일스프링부(3)의 상단(4) 및 하단(5)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또한 코일스프링부(3)를 너트 본체(17)의 코일스프링 삽입부(16) 내에 삽입하고 코일스프링부(3)의 상단(4)을 고착용 구멍(6) 내에 삽통하여 고착하고, 또한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5)을 확경한 상태로 개구부(7)에 계류하고 있다. 따라서 코일스프링부(3) 외경과 코일스프링 삽입부(16)의 내경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 어 코일스프링 삽입부(16) 내에서 코일스프링부(3)가 확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통상본체(2)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개구부(7)가 개설되고 그 좌측단에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이 확경한 상태로 계류하고, 탈락방지구(1)의 체결이 종료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이 우측단으로 이동하고,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이 너트 본체(17)의 한 변의 중앙 위치가 되도록 개구부(7)의 우측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7)로부터 돌출하는 코일스프링부(3)의 선단 위치가 너트 본체(17)의 외원주 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또한 코일스프링부의 선단은 직각형태로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부(3)의 선단은 본 실시예에서는 하방으로 절곡된 것이지만, 범용 공구에 의해서 계류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확실히 회전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여도 좋다.
여기서 풀림방지 너트를 취부하는 경우에는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9)의 다리부(10) 선단에 대해서 너트 본체(17)의 하단을 감입하는 것으로, 너트 본체(17)의 나사부(15)의 나사홈에 볼트(9)의 다리부(10) 선단의 나사산을 나합시킨다. 그리고 너트 본체(17)를 체결 방향으로 돌리는 것으로, 다리부(10) 선단이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으로부터 볼트(9)의 다리부(10)의 나사홈을 따라서 코일스프링부(3)의 소선을 감입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코일스프링부(3)의 내경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형시키면서 너트 본체(17)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나사 홈에 감입하는 소선이 떠 있는 느낌이 되고, 코일스프링부(3)와 다리부 사이의 마찰력이 경감되어 너트 본체(17)를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그 후,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고정물(18)의 상면에 너트 본체(17)의 하단이 당접할 때까지 통상본체를 돌려 체결을 종료한다. 또한 이 때 코일스프링부(3) 하단의 선단이 개구부(7)의 우측단으로 이동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피고정물의 상면에 너트 본체의 하단이 당접할 때까지 피고정물을 돌려 체결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피고정물의 상면에 너트의 하단이 당접하지 않는 경우라 해도, 코일스프링부 하단의 선단이 개구부의 우측단으로 이동하면 충분히 체결을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적용한 풀림방지 너트의 일례에서는, 체결한 후에 진동이나 충격을 받았다고 해도 코일스프링부를 통해서 체결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충분히 체결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반드시 피고정물의 상면에 너트 본체의 하단이 당접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 너트 본체(17)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돌리려고 하면 코일스프링부(3)는 그 내경이 수축하는 방향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더욱 강하게 코일스프링부(3)의 소선이 볼트의 다리부에 형성된 나사홈의 경사면에 압착되어 회전이 저지된다.
그런데, 풀림방지 너트를 볼트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을 파지한 상태로 너트 본체(17)를 이탈 방향(체결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것으로, 코일스프링부(3)는 그 내경이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형하고, 가해진 이탈 방향의 회전력에 의해서 볼트의 다리부에 형성된 나사홈에 감입한 소선이 떠 있는 느낌이 되고, 코일스프링부(3)와 다리부(10) 사이의 마찰력이 경감되어 부드럽게 탈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어 풀림방지 너트를 볼트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어서 범용 공구에 의한 풀림방지 너트의 취급의 일례를 설명한다.
범용 공구에 의해서 풀림방지 너트를 취부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9)의 다리부(10) 선단에 대해서 너트 본체(17)의 나사부(15)를 나합한다. 그리고 너트 본체(17)에 대해서 12각의 안경렌치나 소켓렌치 등의 체결 공구(12)를 감입한다. 또한 이 경우에 너트 본체(17)의 다리부가 체결 공구(12) 내면의 계류용 각부(13)내로 감입하고, 너트 본체(17)의 하부에 개설되는 개구부(7) 내로부터 돌출하는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에 의해서 체결 공구(12)의 하면이 계지한 상태로 계류되는 것이다.
이어서 이 상태로부터 너트 본체(17)를 체결 공구(12)에 의해서 체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풀림방지 너트를 볼트에 취부한다. 또한 취부가 종료되었을 때에는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이 개구부(7)의 우측단, 즉 너트 본체(17)의 한 변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범용 공구에 의해서 풀림방지 너트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먼저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 본체에 대해서 체결 공구(12)를 감입한다. 여기서 취부된 풀림방지 너트의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은 너트 본체(17)의 한 변의 중심으로부터 90도의 각도로 개구부(7) 내로부터 돌출한 상태이기 때문에, 체결 공구(12) 내면의 계류용 각부(13) 내에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이 감입하여 코일스프링부(3)를 계지하게 된다.
이어서 이 상태로부터 너트 본체(17)를 체결 공구(12)에 의해서 떼어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코일스프링부(3)의 하단이 체결 공구(12)에 의해서 계지한 상태에서 체결 방향과 역방향으로 압출하도록 회전되게 되고, 그 결과 코일스프링부는 그 내경이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형하기 때문에 볼트의 다리부에 형성된 나사홈에 감입하는 소선이 떠 있는 느낌이 되고, 코일스프링부와 다리부 사이의 마찰력이 경감되어 부드럽게 탈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탈락방지구 및 풀림방지 너트에서는, 시계 방향 만의 경우를 상술해 왔으나, 너트 중에는 반시계 방향의 것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코일스프링부를 반시계 방향으로 권회하는 것과 함께, 개구부를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의 원주 방향으로 개구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탈락방지구 및 풀림방지 너트에서는, 볼트에 취부하는 경우에는 코일스프링의 하단이 확경되면서 체결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볼트의 나사홈과의 마찰 저항이 경감되어 부드러운 체결이 가능해진다.
또한 체결한 후에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서 이탈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코일스프링부의 내경이 수축하는 방향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더욱 강하게 코일스프링부의 소선이 볼트의 나사홈에 밀착하여 회전이 저지된다.
또한 피고정물의 해체 등에 의해 탈락방지구 및 풀림방지 너트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범용 공구에 의해서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을 확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코일스프링을 소성변형 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탈락방지구 및 풀림방지 너트가 취부 및 떼어냄을 범용 공구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또한 볼트의 나사홈을 손상시키지 않고 볼트, 탈락방지구 및 풀림방지 너트의 재사용이 가능해진다.

Claims (7)

  1. 코일스프링부와,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상단을 고착하는 것과 함께,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을 계류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통상본체를 구비하고,
    볼트에 나착하는 탈락방지구로서,
    상기 코일스프링부는 상기 볼트의 다리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되고,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이 확경한 상태로 상기 통상본체에 계류되는 것과 함께,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을 확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락방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이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락방지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본체에 돌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락방지구.
  4. 코일스프링부와,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상단을 고착하는 것과 함께,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하단 을 계류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코일스프링 삽입부와 나사홈이 형성된 나사부를 갖는 너트 본체를 구비하고,
    볼트에 나착하는 풀림방지 너트로서,
    상기 코일스프링부는 상기 볼트의 다리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되고,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이 확경한 상태로 상기 코일스프링 삽입부에 계류되는 것과 함께,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을 확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너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본체는 육각 형상이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은 너트 본체의 변의 중앙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너트.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하단이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너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부의 선단 위치가 상기 너트 본체의 외접원 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너트.
KR1020077000213A 2004-06-07 2005-05-31 탈락방지구 및 풀림방지 너트 KR20070031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0213A KR20070031377A (ko) 2004-06-07 2005-05-31 탈락방지구 및 풀림방지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68756 2004-06-07
KR1020077000213A KR20070031377A (ko) 2004-06-07 2005-05-31 탈락방지구 및 풀림방지 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377A true KR20070031377A (ko) 2007-03-19

Family

ID=4365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213A KR20070031377A (ko) 2004-06-07 2005-05-31 탈락방지구 및 풀림방지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1377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061B1 (ko) * 2009-02-23 2009-06-09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파워 클러치 너트
CN102135126A (zh) * 2010-01-21 2011-07-27 株式会社任镇St 防止松弛螺帽
WO2011090234A1 (ko) * 2010-01-21 2011-07-28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세이퍼락 너트
KR101526885B1 (ko) * 2013-03-07 2015-06-09 주식회사 에스 피 지 조정 부재의 풀림 방지 장치, 그리고 이를 적용하는 전동 모터
JP2017109264A (ja) * 2015-12-15 2017-06-22 日東精工株式会社 ナット取外し工具
KR20170141833A (ko) * 2016-06-15 2017-12-27 주식회사 케이에스엘엔씨 볼트에 체결되는 로크보어
KR101987381B1 (ko) * 2018-11-09 2019-06-11 주식회사 코어볼트 너트 풀림방지 장치
KR102004857B1 (ko) * 2018-11-05 2019-07-29 주식회사 스틸네트워크 풀림 방지용 너트
KR102103753B1 (ko) * 2020-04-06 2020-04-24 주식회사 코어볼트 너트 풀림방지 장치
CN111173829A (zh) * 2020-03-20 2020-05-19 兰州鑫博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弹性螺纹永不松动螺栓
CN111795058A (zh) * 2020-07-06 2020-10-20 石卫东 一种永不松动螺母
US12000427B2 (en) 2019-02-07 2024-06-04 Advanex Inc. Fall prevention tool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061B1 (ko) * 2009-02-23 2009-06-09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파워 클러치 너트
WO2010095772A1 (ko) * 2009-02-23 2010-08-26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파워 클러치 너트
CN102135126A (zh) * 2010-01-21 2011-07-27 株式会社任镇St 防止松弛螺帽
WO2011090234A1 (ko) * 2010-01-21 2011-07-28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세이퍼락 너트
CN102135126B (zh) * 2010-01-21 2014-03-26 株式会社任镇St 防止松弛螺帽
KR101526885B1 (ko) * 2013-03-07 2015-06-09 주식회사 에스 피 지 조정 부재의 풀림 방지 장치, 그리고 이를 적용하는 전동 모터
JP2017109264A (ja) * 2015-12-15 2017-06-22 日東精工株式会社 ナット取外し工具
KR20170141833A (ko) * 2016-06-15 2017-12-27 주식회사 케이에스엘엔씨 볼트에 체결되는 로크보어
KR102004857B1 (ko) * 2018-11-05 2019-07-29 주식회사 스틸네트워크 풀림 방지용 너트
KR101987381B1 (ko) * 2018-11-09 2019-06-11 주식회사 코어볼트 너트 풀림방지 장치
US12000427B2 (en) 2019-02-07 2024-06-04 Advanex Inc. Fall prevention tool
CN111173829A (zh) * 2020-03-20 2020-05-19 兰州鑫博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弹性螺纹永不松动螺栓
KR102103753B1 (ko) * 2020-04-06 2020-04-24 주식회사 코어볼트 너트 풀림방지 장치
CN111795058A (zh) * 2020-07-06 2020-10-20 石卫东 一种永不松动螺母
CN111795058B (zh) * 2020-07-06 2022-04-12 石卫东 一种防松动螺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1377A (ko) 탈락방지구 및 풀림방지 너트
JPWO2005121570A1 (ja) 脱落防止具および緩み止めナット
JP5407010B1 (ja) 脱落防止具
JP6661632B2 (ja) 緩み防止ボルト
JP4280773B2 (ja) 緩み止めナット
JP2010522019A5 (ko)
JP6197204B1 (ja) 拡張アンカー
JP5388290B2 (ja) 締結部材
JP4300425B2 (ja) 締結具及びナット離脱工具
JP2011052767A (ja) 回転戻り止めナ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77168B1 (ja) 締結部材
JP6584890B2 (ja) 逆転防止機構付きアンカーボルト
JP2009299704A (ja) ナット緩み止めクリップ
JP2005083543A (ja) 脱落防止具
JP2022121089A (ja) あと施工アンカー
JP3113230U (ja) 緩み止め具
KR101973094B1 (ko) 풀림 방지 너트 및 이를 포함하는 풀림 방지 너트 세트
JP2004100952A (ja) ボルト・ナットの緩み止め具及びボルトの締結具
JP2010091021A (ja) ナット
JP6177425B2 (ja) 車載機器のネジ構造および当該ネジ構造を備えた車載機器
JP3529315B2 (ja) 被固定物の壁材への固定具
JP2007021631A (ja) キャップ取り外し工具
JP3149174U (ja) 固着具
JP3122536U (ja) 六角穴付きボルト用緩み防止具
JP2009058089A (ja) 締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417

Effective date: 2010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