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901A - 최적 농도의 카테킨과 데아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최적 농도의 카테킨과 데아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901A
KR20070028901A KR1020050083665A KR20050083665A KR20070028901A KR 20070028901 A KR20070028901 A KR 20070028901A KR 1020050083665 A KR1020050083665 A KR 1020050083665A KR 20050083665 A KR20050083665 A KR 20050083665A KR 20070028901 A KR20070028901 A KR 20070028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catechin
deanine
thean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9293B1 (ko
Inventor
신현정
김수남
김정기
이병곤
장이섭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50083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293B1/ko
Priority to PCT/KR2006/003571 priority patent/WO2007029982A1/en
Priority to US12/064,887 priority patent/US20090012155A1/en
Priority to JP2008529922A priority patent/JP5192380B2/ja
Publication of KR20070028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293B1/ko
Priority to US15/058,681 priority patent/US10092493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농도의 녹차 카테킨 및 데아닌을 함유하여 피부 노화개선 효능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최적의 농도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4~0.025 중량%의 카테킨 및 0.008~2.5 중량%의 데아닌을 함유하여 고농도로 함유한 경우보다 우수한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저농도의 카테킨과 데아닌을 일정 성분비로 함유함으로써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우수한 피부 노화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녹차 추출물 * 카테킨 * 데아닌 * 콜라겐 * 주름 개선 * 피부 탄력

Description

최적 농도의 카테킨과 데아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optimal concentration catechins and theanine}
본 발명은 저농도의 녹차 카테킨 및 데아닌을 함유하여 피부 노화개선 효능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최적의 농도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4~0.025 중량%의 카테킨 및 0.008~2.5 중량%의 데아닌을 함유하여 고농도로 함유한 경우보다 우수한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저농도의 카테킨과 데아닌을 일정 성분비로 함유함으로써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우수한 피부 노화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인간의 피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며,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 중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되고 탄력 이 감소될 뿐 아니라,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 또한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젊고 아름다운 외모를 중시하기 때문에 상기 내적 인자 및 자외선 스트레스 등의 외적 인자에 의해 피부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되고 탄력이 감소되는 문제를 예방 또는 해결하려고 하는 욕구가 크다. 이에 따라, 다양한 주름 개선제, 탄력 개선제, 미백제 등이 개발되고 있다.
피부에 있어서, 주름, 탄력 상실, 피부 건조증 등의 증상들은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아루론산, 프로테오글리칸,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피브로넥틴 및 당단백질의 함유량 및 배열이 변하거나 감소하고 수분과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되며, 그 결과 피부를 구성하는 기질물질이 감소하고, 피부의 수분함유능력이 상실되어 나타나게 된다. 상기 성분들 중 콜라겐은 진피 성분의 85%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서 분해를 막는 것이 중요하긴 하지만, 생합성 촉진 또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시키는 물질이나 조성을 개발한다면, 주름, 탄력 상실 등의 피부의 제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진피에서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생합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연구한 결과, 녹차 카테킨 및 데아닌을 피부 외용제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피부주름 개선, 탄력회복 효과 등의 피부노화 개선효능이 우수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피부 외용제조성물에서 녹차 카테킨 및 데아닌의 피부 노 화개선 효능에 대한 최적의 농도를 연구한 결과, 저농도의 녹차 카테킨과 데아닌을 일정 성분비로 함유할 경우 피부 노화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조성물은 저농도의 녹차 카테킨 및 데아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카테킨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4~0.025 중량%로 함유하고, 상기 데아닌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8~2.5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녹차 카테킨은 EGCG(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GCG(갈로카테킨 갈레이트), ECG(에피카테킨 갈레이트), CG(카테킨 갈레이트), EGC(에피갈로카테킨), GC(갈로카테킨), (-)EC(에피카테킨), (+)EC(에피카테킨), (-)CA(카테킨), (+)CA이고, 녹차 추출물은 녹차 잎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차(Camellia sinensis)는 동백나무과의 상록관록으로 일반적으로 그 싹이나 잎을 제조 공정 중에 발효시키지 않고 가공한 것으로 녹차라 지칭한다. 녹차는 BC 2700년 중국의 신농시태부터 마셨다는 기록이 전해져 오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문헌에 신라 선덕왕 때부터 차를 음용하였다고 전해진다. 또한, 녹차에는 카테킨(catech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데아닌(theanine), GABA, 카페인(caffeine), 타닌(tannin) 등과 각종 비타민(vitamine)이 함유되어 있어 항암, 항산화, 항균, 소취, 혈압강하, 면역기능 증강 등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특히, 카테킨 성분은 항산화, 항암, 항균, 심장병 발생 억제에 이르는 다양한 약리 작용을 나타내는 녹차의 주요 기능성 성분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녹차의 카테킨류는 (+) catechin(CA), (-) epicatechin(EC), (-) epigallo-catechin(EGC), (-) epigallocatechin-3-gallate(EGCG), (+) epigallocatechin(EGC)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카테킨은 녹차로부터 추출하였으며, EGCG, GCG, ECG, CG를 주성분으로 하지만, 상기 카테킨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녹차의 감칠맛을 내는 아미노산 성분 중의 하나인 데아닌 (theanine)은 카페인(caffeine)에 의해 유발되는 흥분작용을 억제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실제로 사람이 섭취하였을 때 편안하고 안정한 상태에서 나타나는 α파의 출현 증가가 관찰되었다고 한다 (Nippon Nogeikagaku Kaishi, 1998, 72(2): 153-157). 본 발명에 사용된 데아닌은 녹차로부터 추출한 L-form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L-데아닌, D-데아닌, DL-데아닌 어떤 쪽도 가능하며, 기타 다른 제조법으로도 가능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녹차 카테킨 및 데아닌을 사용하여 주름, 탄력 등의 증상을 전반적으로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녹차 카테킨의 함량은 생체외(in vitro) 실험 및 생체내(in vivo) 실험을 근거로 조 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4~0.025 중량%이다. 이때, 함량이 0.0004 중량% 미만이면 활성 성분으로서 작용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0.025 중량%를 초과하면 증상 개선 효과가 오히려 감소한다. 또한, 상기 데아닌의 함량은 생체외(in vitro) 실험 및 생체내(in vivo) 실험을 근거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8~2.5 중량%이다. 이때, 함량이 0.008 중량% 미만이면 활성성분으로서 작용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2.5 중량%를 초과하면 증상 개선 효과가 오히려 감소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저농도의 카테킨 및 데아닌을 다음의 일정성분비, 즉, 카테킨 0.0004~0.025 중량% 함유시 카테킨 대 데아닌은 1:20 ~ 1:100으로 함유할 경우 피부 노화개선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콜라겐합성 촉진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주름 및 탄력을 개선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피부세포의 콜라겐 생합성 효능 측정
인체 섬유아세포를 104 개의 농도로 48공 평판배양기에 배양한 후, 하기 표 1의 시험물질 0.001uM, 0.01uM, 0.1uM, 0.5uM 및 2uM을 포함한 배지(데아닌은 1, 10, 100uM)로 교체하였다. 배양 48시간 후 상등액을 수확해서(harvest) ELISA(Takara MK101)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프로콜라겐의 양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농도 콜라겐 생성량
(-) EGCG 0.001uM 101.4
0.01uM 154.6
0.1uM 133.8
0.5uM 155.8
2uM 78.4
(-) GCG 0.001uM 98.9
0.01uM 138.3
0.1uM 147.0
0.5uM 157.1
2uM 75.2
(-) ECG 0.001uM 100.5
0.01uM 181.7
0.1uM 165.3
0.5uM 124.5
2uM 77.8
(-) CG 0.001uM 104.3
0.01uM 118.5
0.1uM 124.9
0.5uM 118.9
2uM 80.3
데아닌 1uM 13.5
10uM 132.1
100uM 167.5
상기 표 1로부터, 카테킨 또는 데아닌은 저농도에서도 콜라겐 생합성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데아닌의 콜라겐 생합성에 관한 시너지 현상을 보기 위해 상기 4종류의 카테킨의 농도에 각각 데아닌 10uM을 더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카테킨 농도 콜라겐 생성량
(-)EGCG + 데아닌 10uM 0.01uM 157.1
0.1uM 164.6
0.5uM 168.1
1uM 132.4
(-)GCG + 데아닌 10uM 0.01uM 158.0
0.1uM 167.5
0.5uM 165.8
1uM 142.3
(-) ECG + 데아닌 10uM 0.01uM 166.3
0.1uM 180.4
0.5uM 178.2
1uM 122.4
(-)CG + 데아닌 10uM 0.01uM 120.7
0.1uM 144.7
0.5uM 148.0
1uM 113.2
상기 표 2로부터 데아닌 10uM에 대해서 카테킨 최적 농도는 0.1~0.5uM 인 것으로 보아서 카테킨 대 데아닌의 최적 함량비는 1:20~1:100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사람에서의 주름개선효과
하기 표 3의 비교예 1~6 및 실시예 1~4의 조성으로 제조한 영양크림에 대하여 주름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30대 여성 100명을 각각 비교예 1~6 및 실시예 1~4로 10명씩 10조로 나누어 매일 1회 8주간 도포하게 한 후, 실리콘을 이용하여 레플리카를 떠서 주름의 상태를 주름측정기(visiometer, SV60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로 측정하여 화상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의 값은 도포 8주 후의 각각의 파라미터 값에서 도포 전 파라미터 값을 뺀 것의 평균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50276650-PAT00001
사용8주 후 임상결과 R1 R2 R3 R4 R5
실시예1 -0.23 -0.24 -0.16 -0.06 -0.04
실시예2 -0.22 -0.23 -0.15 -0.04 -0.05
실시예3 -0.24 -0.25 -0.18 -0.06 -0.04
실시예4 -0.25 -0.24 -0.18 -0.05 -0.03
비교예1 -0.16 -0.18 -0.13 -0.04 -0.03
비교예2 -0.16 -0.17 -0.12 -0.06 -0.03
비교예3 -0.15 -0.15 -0.13 -0.02 -0.04
비교예4 -0.16 -0.16 -0.12 -0.04 -0.03
비교예5 -0.05 -0.08 -0.12 -0.06 -0.04
비교예6 -0.08 -0.10 -0.11 -0.05 -0.03
* R1 : 주름 등고선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값 R2 : 주름 등고선을 임의로 5칸씩 나눈 후 그 중 R1값들의 평균 R3 : 5개씩 나눈 R1값 중 최고치 R4 : 주름 등고선의 베이스라인(baseline)에서 각 각의 꼭대기와 계곡의 값을 뺀 평균값 R5 : 주름 등고선의 베이스라인(baseline)에서 각 각의 주름 윤곽을 뺀 값의 차이 값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카테킨과 데아닌이 일정성분비로 모두 함유하여 제조한 실시예 1~4의 외용제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인체에서 피부 탄력 개선 측정
상기 표 3의 조성으로 제조한 영양 크림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온도 24-26℃, 습도 75% 조건에서 3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100명을 10개조로 나누고, 각 조에 상기 비교예 1~6 및 실시예 1~4의 영양크림을 매일 2회씩 12주간 안면에 도포한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의 결과치는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의 △R8(R8(왼쪽)-R8(오른쪽)) 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8값은 피부 점탄성(viscoelasticity) 의 성질을 나타낸다.
이와 별도로 시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기기적인 평가와 동시에 주관적인 효능 평가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50276650-PAT00002
도포군 응답자 수(인)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미흡
실시예1 4 3 2 1
실시예2 4 4 1 1
실시예3 4 3 3 0
실시예4 3 5 1 1
비교예1 1 1 6 2
비교예2 1 2 4 3
비교예3 0 3 4 3
비교예4 1 2 5 2
비교예5 1 1 4 3
비교예6 1 1 5 3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농도 카테킨 및 데아닌을 함유한 실시예 1~4의 조성물을 도포한 군에서는 비교예를 도포한 군에 비해서 피부탄력성이 더 증가되었다.
한편, 설문조사를 통해서도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인 실시예 1~4를 도포한 경우 피부 탄력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서 저농도의 카테킨과 데아닌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구체적인 예들을 기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하기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To 100
녹차 카테킨 0.0025
데아닌 1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To 100
녹차카테킨 0.0025
데아닌 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3] 영양크림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To 100
녹차 카테킨 0.0025
데아닌 1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4] 마사지크림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To 100
녹차 카테킨 0.0025
데아닌 1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5] 팩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To 100
녹차 카테킨 0.0025
데아닌 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저농도의 카테킨 및 데아닌을 함유함으로써, 진피에서 콜라겐 생합성을 증가시켜 탄력 있고 건강한 피부 상태를 유지시키고, 또한 주름 개선 및 탄력 회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Claims (4)

  1. 카테킨 및 데아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
    상기 카테킨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4~0.025 중량%로 함유하고, 상기 데아닌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8~2.5 중량%로 함유하며,
    상기 카테킨 대 데아닌의 함량비는 1: 20~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 생합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2. 카테킨 및 데아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
    상기 카테킨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4~0.025 중량%로 함유하고, 상기 데아닌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8~2.5 중량%로 함유하며,
    상기 카테킨 대 데아닌의 함량비는 1: 20~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3. 카테킨 및 데아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
    상기 카테킨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4~0.025 중량%로 함유하고, 상기 데아닌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8~2.5 중량%로 함유하며,
    상기 카테킨 대 데아닌의 함량비는 1: 20~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카테킨은 EGCG(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GCG(갈로카테킨 갈레이트), ECG(에피카테킨 갈레이트), 및 CG(카테킨 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050083665A 2005-09-08 2005-09-08 최적 농도의 카테킨과 데아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KR101219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665A KR101219293B1 (ko) 2005-09-08 2005-09-08 최적 농도의 카테킨과 데아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PCT/KR2006/003571 WO2007029982A1 (en) 2005-09-08 2006-09-08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anti-aging
US12/064,887 US20090012155A1 (en) 2005-09-08 2006-09-08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Anti-Aging
JP2008529922A JP5192380B2 (ja) 2005-09-08 2006-09-08 皮膚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組成物
US15/058,681 US10092493B2 (en) 2005-09-08 2016-03-02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anti-ag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665A KR101219293B1 (ko) 2005-09-08 2005-09-08 최적 농도의 카테킨과 데아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901A true KR20070028901A (ko) 2007-03-13
KR101219293B1 KR101219293B1 (ko) 2013-01-08

Family

ID=3810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665A KR101219293B1 (ko) 2005-09-08 2005-09-08 최적 농도의 카테킨과 데아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2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7394A (ko) * 2011-11-23 2013-05-31 (주)아모레퍼시픽 데아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2982365A3 (de) * 2012-06-20 2016-05-18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 enthaltend eine oder mehrere sub-stanz(en), die das gen / protein für den rezeptor endo180 modulieren
WO2018062762A1 (ko) * 2016-09-30 2018-04-05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극차광 재배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653A (ja) * 2000-11-06 2002-05-21 Hitachi Cable Ltd 鳥害防止装置
AU2003256797A1 (en) * 2002-07-31 2004-02-25 Procyte Corpor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peptide copper complexes and phytochemical compound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7394A (ko) * 2011-11-23 2013-05-31 (주)아모레퍼시픽 데아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2982365A3 (de) * 2012-06-20 2016-05-18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 enthaltend eine oder mehrere sub-stanz(en), die das gen / protein für den rezeptor endo180 modulieren
WO2018062762A1 (ko) * 2016-09-30 2018-04-05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극차광 재배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10980735B2 (en) 2016-09-30 2021-04-20 Amorepacific Corporation Externally-applied dermal preparation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green tea cultivated under extreme sha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293B1 (ko)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225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피부탄력증진, 피부장벽강화,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2475897B1 (ko)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329830B2 (ja) Scf分泌抑制剤、及び皮脂分泌抑制剤
KR101315346B1 (ko) 홍해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제 조성물
KR101219293B1 (ko) 최적 농도의 카테킨과 데아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KR102543552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2017013756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38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252548B1 (ko) 해송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1176A (ko)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98589B1 (ko)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327805B1 (ko) 슬리밍 효과를 갖는 우롱차 성분 함유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40052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13755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61147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73380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40141081A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20046360A (ko) 라우로일 메틸글루카마이드 라우레이트(lauroyl methylglucamide laur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1171A (ko) 카테킨 및 16-하이드록시-옥타데카-9,17-디엔-12,14-디이닐 에스테르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1170A (ko)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