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7739A - 내시경과 그 제조 방법 및 수리 방법 - Google Patents

내시경과 그 제조 방법 및 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7739A
KR20070027739A KR1020077001814A KR20077001814A KR20070027739A KR 20070027739 A KR20070027739 A KR 20070027739A KR 1020077001814 A KR1020077001814 A KR 1020077001814A KR 20077001814 A KR20077001814 A KR 20077001814A KR 20070027739 A KR20070027739 A KR 20070027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rame
adhesive
illumination lens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끼 미야기
히로끼 모리야마
세이스께 다까세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7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1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6Optic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2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for off-axis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using light-conductive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in-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선단부면이 삽입부 선단부의 개구로부터 노출되고, 후단부면이 라이트 가이드의 선단부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조명용 렌즈를, 상기 조명용 렌즈에 접촉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교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내시경과 그 제조 방법 및 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삽입부 선단부에 설치된 프레임(33d) 내에 끼워 넣어지고, 상기 프레임(33d) 내에 그 외주의 접착부(33ac)가 접착제(100)에 의해 고정된 조명용 렌즈(33a)와, 출사 단부면(33bs)이 상기 조명용 렌즈(33a)의 곡률면(33ak)에 접촉하도록 프레임(33d) 내에 설치된 라이트 가이드(33b)를 구비하고, 프레임(33d) 내의 조명용 렌즈(33a)의 접착부(33ac)와 라이트 가이드의 출사 단부면(33bs) 사이에 비접착부(7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착제, 출사 단부면, 조명용 렌즈, 비접착부, 라이트 가이드, 곡률면

Description

내시경과 그 제조 방법 및 수리 방법 {ENDOSCOPE, AND PRODUCTION METHOD AND REPAIR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삽입부의 선단부에 피검 부위를 조명할 때에 이용되는 조명용의 렌즈를 갖는 내시경과 그 제조 방법 및 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내시경은 의료 분야 등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내시경은 체강 내에 가늘고 긴 삽입부를 삽입함으로써, 체강 내의 장기를 관찰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처치구의 삽통 채널 내로 삽입한 처치구를 이용하여 각종 처치를 하거나 할 수 있다.
삽입부의 선단부에는 만곡부 및 선단부가 설치되고, 내시경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만곡부를 만곡시킴으로써, 선단부 내에 설치된 관찰 광학계의 대물 렌즈의 관찰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선단부에는 피검 부위(예를 들어, 체강 내의 관찰 부위)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용 렌즈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조명용 렌즈는 선단부를 피복하는 커버 부재 및 선단부 본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조명용 렌즈의 선단부면은 커버 부재에 형성된 개구부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조명용 렌즈는 커버 부재 및 선단부 본체에 고정된 프레임에 끼워 넣어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조 명용 렌즈의 후단부면은 내시경 삽입부에 설치된 가늘고 긴 라이트 가이드의 선단부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고 있다.
라이트 가이드의 후단부는 광원 장치로부터 조명광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조명용 렌즈는 광원 장치로부터 라이트 가이드에 공급되고, 또한 라이트 가이드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을 체강 내를 향해 조사한다.
여기서, 상술한 조명용 렌즈의 커버 부재 및 선단부 본체로의 고정에는,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접착제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접착제뿐만 아니라 조명용 렌즈 및 커버 부재의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 구성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서는 선단부의 직경을 후단부의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형성함으로써 렌즈 외주면을 테이퍼형으로 형성한 조명용 렌즈가, 개구부의 직경이 조명용 렌즈의 후단부의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커버 부재의 개구부에 끼워 넣어지고, 또한 조명용 렌즈의 후단부의 외주가 선단부 본체에 접착제로 고정됨으로써, 조명용 렌즈가 커버 부재 및 선단부 본체에 고정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조명용 렌즈의 테이퍼형의 주위면이 개구부의 내주에 접촉함으로써, 조명용 렌즈의 삽입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접착제만으로 고정하는 것보다도, 조명용 렌즈를 커버 부재에 설치된 개구부 및 선단부 본체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5326호 공보
그런데, 조명용 렌즈에 이지러짐이나 손상 등의 렌즈 불량이 발생되었을 경우, 조명용 렌즈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이때, 조명용 렌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에 의해, 개구부 및 선단부 본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 형상을 유지하여 교환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조명용 렌즈를 교환할 때에는 드릴 등의 절삭 도구를 이용하여 조명용 렌즈를 절삭함으로써 조명용 렌즈의 접착부를 제거하고, 조명용 렌즈를 선단부로부터 취출하는 등의 수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트 가이드의 선단부면은 조명용 렌즈의 후단부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특허 문헌 1에서는 조명용 렌즈의 후단부의 외주는 선단부 본체에 접착 고정되어 있다고 설명하였다.
따라서, 조명용 렌즈를 선단부로부터 취출하기 위해, 드릴을 이용하여 접착부를 제거할 때 조명용 렌즈의 후단부까지 드릴을 진입시켜 버리면, 라이트 가이드의 선단부면을 드릴에 의해 손상시킬 경우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선단부면이 삽입부 선단부의 개구로부터 노출되고, 후단부면이 라이트 가이드의 선단부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조명용 렌즈를, 상기 조명용 렌즈에 접촉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손상시키지 않고 교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내시경과 그 제조 방법 및 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내시경은, 삽입부 선단부에 설치된 프레임 내에 끼워 넣어져 선단부면이 노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주에 대해 그 외주의 접착부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조명용 렌즈와, 상기 조명용 렌즈의 후단부면에 대해 선단부면을 향하게 하여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된 라이트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조명용 렌즈의 접착부와 상기 라이트 가이드의 선단부면 사이에, 접착제의 부착을 방지하는 비접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내시경의 제조 방법은 삽입부 선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내주에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프레임의 내주이며 상기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의 후방에 연속하여 상기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보다도 큰 직경의 주위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에 임시 고정용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조명광을 출사하도록 상기 주위 홈에 배치되는 라이트 가이드의 선단부면에 대해 후단부면을 향하게 하여 후단부가 상기 주위 홈에 걸치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의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에 조명용 렌즈를 끼워 넣는 공정과, 상기 임시 고정용의 접착제에 의해 임시 고정된 상기 조명용 렌즈의 외주와 상기 프레임의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 사이에, 본 고정용의 접착제를 침투시킴으로써 상기 조명용 렌즈를 상기 프레임의 내주에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내시경의 수리 방법은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과, 상기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의 후방에 연속하여 상기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된 주위 홈이 내주에 형성된 범위를 갖고, 상기 범위 내의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에 접착제에 의해 조명용 렌즈가 고정된 내시경의 수리 방법이며, 상기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의 범위에서 상기 조명용 렌즈를 절삭하여 상기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과 상기 조명용 렌즈 사이의 접착제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과 그 제조 방법 및 수리 방법은, 선단부면이 삽입부 선단부의 개구로부터 노출되고, 후단부면이 라이트 가이드의 선단부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조명용 렌즈를, 상기 조명용 렌즈에 접촉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손상시키지 않고 교환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내시경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의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부면의 정면도이다.
도3은 도2 중의 Ⅲ-Ⅲ선을 따른 선단부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의 선단부측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5는 도4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에 있어서의 조명용 렌즈와 프레임의 고정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6은 도5의 조명용 렌즈에, 상기 렌즈의 외주가 라이트 가이드의 출사 단부면에 접촉하는 조명용 렌즈를 사용하였을 때 상기 조명용 렌즈와 프레임의 고정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7은 도4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의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내시경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의 선단부측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9는 도8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에 있어서의 조명용 렌즈와 프레임의 고정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내시경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의 선단부측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1은 도10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에 있어서의 조명용 렌즈와 프레임의 고정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내시경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의 선단부측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내시경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의 선단부측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내시경
3 : 삽입부
10 : 선단부
33a : 조명용 렌즈
33ac : 라이트 가이드
33ak : 곡률면
33b : 라이트 가이드
33bs : 출사 단부면
33d : 프레임
33dn :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
33dm : 주위 홈
70 : 비접착부
100 : (본 고정용) 접착제
133d : 프레임
133dn :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
133dp : 홈부
170 : 비접착부
201 : 내시경
270 : 비접착부
301 : 내시경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시경은 관찰 광학계에, 예를 들어 140°이상의 시야각을 갖는 광각 렌즈가 설치된 내시경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내시경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1)은 만곡 조작이나 관로계의 제어를 행하는 조작부(2)와, 그 후단부측이 조작부(2)에 접속되어 체강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3)와, 조작부(2)로부터 연장되어 선단부에 커넥터부(41)를 갖는 유니버설 코드(3a)를 갖는다. 커넥터부(41)는, 도시하지 않은 광원 장치 등에 소정의 커넥터를 거쳐서 접속되게 되어 있다.
삽입부(3)에는 가요성을 갖는 튜브(8)와, 그 튜브(8)의 선단부측에 설치된 만곡부(9)와, 그 만곡부(9)의 선단부측에 설치된 선단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선단부(10)에는 피검 부위, 예를 들어 체강 내의 부위를 촬상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촬상 소자가 내장되어 있다.
조작부(2)에는 만곡부(9)를 원격적으로 만곡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만곡 조작 노브가 설치되어 있다. 그 조작 노브를 조작함으로써, 삽입부(3) 내에 삽입된 조작 와이어(도시 생략)에 인장 작용 및 이완 작용이 생기고, 그 결과 만곡부(9)는 4개의 방향으로 만곡하게 되어 있다.
도2는 도1의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부면의 정면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삽입부(3)의 선단부(10)의 선단부면(10m)에는 대물 렌즈(32a)와, 예를 들어 조명 광학계인 3개의 조명용 렌즈(33a)와, 처치구 등 개구부(24)와, 체강 내에 선단부(10)를 삽입하였을 때, 송기 및 송수를 행함으 로써 대물 렌즈(32a) 또는 3개의 조명용 렌즈(33a)의 오염을 세정하는 송기 송수용 노즐(25)과, 체강 내의 환부의 혈액 및 점액 등을 세정하는 전방 송수구(2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부(10)의 선단부면(10m)에 대물 렌즈(32a)와, 3개의 조명용 렌즈(33a)와, 처치구 등 개구부(24)와, 송기 송수용 노즐(25)과, 전방 송수구(26)를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3개의 조명용 렌즈(33a)는 대물 렌즈(32a)의 주위 모서리부 근방에 소정의 각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처치구 등 개구부(24), 송기 송수용 노즐(25), 전방 송수구(26)는 각 조명용 렌즈(33a) 사이이며, 대물 렌즈(32a)의 주위 모서리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3은 도2 중의 Ⅲ-Ⅲ선을 따른 선단부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4는 도3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의 선단부측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5는 도4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에 있어서의 조명용 렌즈와 프레임의 고정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6은 도5의 조명용 렌즈에 상기 렌즈의 외주가 라이트 가이드의 출사 단부면에 접촉하는 조명용 렌즈를 이용하였을 때 상기 조명용 렌즈와 프레임의 고정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1)의 선단부(10)에는 선단부 경질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선단부 경질부(31)에는 촬상 유닛(32), 라이트 가이드 유닛(33) 및 송기 송수용 노즐(25) 등을 설치하는 긴 구멍(31a, 31b, 31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촬상 유닛(32) 및 송기 송수용 노즐(25)이 설치된 긴 구멍(31a, 31c)은 내시 경 삽입부(3)의 삽입 축 방향(Z)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라이트 가이드 유닛(33)이 설치된 긴 구멍(31b)은 선단부 경질부(31)의 후술하는 관찰 광학계(32b)가 설치된 축(32LA)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축(33LA)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긴 구멍(31b)은 도시되지 않지만 실제는 3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 경질부(31)의 삽입 축 방향(Z)의 선단부측에는 선단부 경질부(31)의 전방면 및 외주면을 덮도록 캡(40)이 씌워져 있다. 캡(40)에 촬상 유닛(32), 라이트 가이드 유닛(33) 및 송기 송수용 노즐(25) 등이 설치되는 개구부(40a, 40b, 40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캡(40)에 형성된 개구부(40a, 40b, 40c)는 상술한 선단부(10)의 선단부면(10m)로 형성된 개구에 상당한다.
촬상 유닛(32) 및 송기 송수용 노즐(25)이 설치된 개구부(40a, 40c)는 상기 삽입 축 방향(Z)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라이트 가이드 유닛(33)이 설치된 개구부(40b)는 캡(40)의 상기 축(32LA)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축(33LA)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40b)는 도시되지 않지만 실제는 긴 구멍(31b)과 같은 수가 되도록 3개로 형성되어 있다.
촬상 유닛(32)은 선단부 경질부(31)의 도면 중 대략 중앙에 형성된 긴 구멍(31a) 및 캡(40)의 도면 중 대략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40a)에, 상기 삽입 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삽입되어 충전재 등에 의해 고정된다.
촬상 유닛(32)은 140°이상의 광각의 시야각을 갖는 대물 렌즈(32a)를 갖는 복수의 광각 렌즈에 의해 구성된 관찰 광학계(32b)와, 상기 관찰 광학계(32b)의 후단부측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CCD 등의 촬상 소자를 갖는다.
라이트 가이드 유닛(33)은 후단부면이 라이트 가이드(33b)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곡률면(33ak)에 형성되어 있는 1매의 조명용 렌즈(33a)와, 상기 조명용 렌즈(33a)의 후단부측에 설치된 복수의 광파이버로 이루어지는 라이트 가이드(33b)에 의해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고, 촬상 유닛(3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3개 설치되어 있다.
라이트 가이드(33b)의 외주에는 경질의 관형 부재인 금속 파이프(33c)가 피복되어 있고, 라이트 가이드(33b)의 외주는 금속 파이프(33c) 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라이트 가이드(33b)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광파이버로 이루어지고, 조명용 렌즈(33a)의 후단부면을 향하는 출사 단부면(33bs)이 연마되어 있다. 또한, 라이트 가이드(33b)는 복수의 광파이버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그 출사 단부면(33bs)과 조명용 렌즈(33a)의 후단부면 사이에, 유리 로드나 렌즈 등(도시 생략)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는, 유리 로드나 렌즈도 포함하여 라이트 가이드(33b)라고 칭하고, 유리 로드나 렌즈의 출사 단부면을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이라고 칭한다.
라이트 가이드(33b)의 선단부측과 조명용 렌즈(33a)는, 선단부 경질부(31)의 긴 구멍(31b) 및 캡(40)의 개구부(40b)에 설치된 프레임(33d) 내에 끼워 넣어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프레임(33d)은 선단부의 개구가 작은 직경이 되도록 선단부의 외주에 테이퍼를 갖는 대략 원통형을 갖고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3d)의 내주는 조명용 렌즈(33a)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33dn)과, 상기 주위면(33dn)의 후방에 삽입 축 방 향(Z)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33dn)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된 주위 홈(33dm)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주위 홈(33dm)에는 금속 파이프(33c)가 피복된 라이트 가이드(33b)의 선단부측이 끼워 넣어지고, 상기 선단부측의 외주는,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주위 홈(33dm)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3d) 내에는 조명용 렌즈(33a)가 끼워 넣어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의 접착부(33ac)가 접착제(100)에 의해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33dn)에 접착됨으로써, 조명용 렌즈(33a)가 프레임(33d) 내에 고정된다.
조명용 렌즈(33a)의 선단부면(33as)은 캡(40)의 개구부(40b)에 의해 삽입부(3)의 선단부(10)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면(33as)은 캡(40)의 선단부면과 동일 평면이 되어 있다.
또한, 조명용 렌즈(33a)의 곡률면(33ak)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조명용 렌즈(33a)의 곡률면(33ak)은 색 불균일 등의 광학적 특성이 저하되지 않는다면,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에 접촉하지 않고 근접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의 접착부(33ac)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 사이에는 비접착부(70)가 형성되어 있다. 비접착부(70)는 조명용 렌즈(33a)의 후단부의 외주와 프레임(33d)의 내주 사이에 설치한 공간이며, 적어도 조명용 렌즈(33a)의 후단부의 외주로부터 이격하는 형태로 프레임(33d)의 내주에 설치한 주위 홈(33dm)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비접착부(70)는, 예를 들어 상기 삽입 축 방향(Z)이며 접착부(33ac)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 사이에 0.5 ㎜ 이상의 간격을 갖는다.
여기서, 조명용 렌즈(33a)의 프레임(33d)으로의 끼워 넣음 및 고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임시 고정용의 접착제가 프레임(33d)의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33dn)의 복수 개소에 도포된다. 이어서, 조명용 렌즈(33a)는 상기 조명용 렌즈(33a)의 곡률면(33ak)을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에 접촉되도록, 프레임(33d) 내의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33dn)에 끼워 넣어진다.
또한, 라이트 가이드(33b)가 프레임(33d) 내에 먼저 끼워 넣어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곡률면(33ak)이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과 접촉하는 상정 위치에 이르기까지, 조명용 렌즈(33a)가 프레임(33d) 내의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33dn)에 끼워 넣어진다.
이어서, 조명용 렌즈(33a)의 선단부의 외주와, 프레임(33d)의 선단부의 내주 사이(33p)(도5 참조)에 규정량의 본 고정용의 접착제(100)가 도포된다. 그 후, 도포된 접착제(100)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와, 프레임(33d)의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33dn) 사이에 침투되어, 상기 접착제(100)가 개입된다.
또한, 일부의 접착제(100)는 프레임(33d)의 주위 홈(33dm)까지 개입한다. 이때, 상기 주위 홈(33dm)에 개입된 접착제(100)는 상기 비접착부(70)가 비교적 넓은 공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비접착부(70)에 있어서는 조명용 렌즈(33a)의 외 주에 부착되는 일이 없다.
마지막으로 접착제(100)가 건조됨으로써, 조명용 렌즈(33a)는 접착제(100)에 의해 프레임(33d) 내에 고정된다.
도3으로 복귀하여, 프레임(33d)은 선단부 경질부(31)에 대해 고정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라이트 가이드(33b)는 선단부 경질부(31)로부터 후방에 연장되고, 도시하지 않은 조명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금속 파이프(33c)의 일부와 라이트 가이드(33b)는 외피 튜브(33e)에 의해 덮여져 있다. 외피 튜브(33e)는 금속 파이프(33c)의 외주에 대해, 페그(33g)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금속 파이프(33c)는 광축인 관찰 광학계(32b)가 설치된 축(32LA)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축, 바꿔 말하면 조명용 렌즈(33a)의 축(33LA)으로부터 관찰 광학계(32b)의 축(32LA)의 방향에 따르도록 소정 부위(P)가 절곡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라이트 가이드(33b)도 금속 파이프(33c)의 절곡 형상에 따라 소정 부위(P)에 있어서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라이트 가이드 유닛(33)은 관찰 광학계(32b)가 설치된 축(32LA)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축(33LA)에 설치되어 있다. 이는, 관찰 광학계(32b)가 광각의 시야각을 갖는 렌즈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강 내를 조명하는 라이트 가이드 유닛(33)은 체강 내를 광범위하지 않고 균일하게 조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선단부 경질부(31)의 긴 구멍(31c) 및 캡(40)의 개구부(40c)에는 송기 송수 용 노즐(25)이 끼워 넣어 고정되어 있다. 송기 송수용 노즐(25)은, 예를 들어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송기 송수용 노즐(25)의 선단부측에는 개구부(25a)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25a)는 송기 송수용 노즐(25)로부터 분출된 물 또는 에어가 촬상 유닛(32)의 광축(32LA)에 직교하는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또한 대물 렌즈(32a)의 표면과, 조명용 렌즈(33a)의 표면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분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송기 송수용 노즐(25)은 대물 렌즈(32a)의 시야각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위치에, 삽입부(3)의 선단부(10)의 선단부면(10m)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송기 송수용 노즐(25)의 후단부측은 파이프 형상을 갖고 있고, 연결관(25b)을 거쳐서 송기 송수 튜브(25c)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관(25b)과 송기 송수 튜브(25c)에 의해 송수 관로가 형성된다. 송기 송수 튜브(25c)는 페그(25d)에 의해 연결관(25b)에 고정되어 있다.
선단부 경질부(31)의 후단부는 만곡 선단부 코마(35)의 일부에 고정되어 있다. 선단부 경질부(31)의 후단부측과 만곡 선단부 코마(35)는 외피 튜브(36)에 의해 덮여져 있다. 외피 튜브(36)는 페그(37)에 의해 선단부 경질부(31)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1)의 작용인 내시경의 수리 방법, 구체적으로는 조명용 렌즈(33a)의 교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프레임(33d) 내에 고정된 조명용 렌즈(33a)의 선단부면(33as)에 대해, 광축에 따라 외측으로부터 절삭구로서의 드릴을 근접시켜 주위 홈(33dm)의 선단부 까지, 즉 접착부(33ac)의 후단부까지 밀고 나아가 조명용 렌즈를 절삭한다. 그 결과, 조명용 렌즈(33a)에 있어서의 접착부(33ac)의 접착제(100)는 상기 절삭에 의해 제거된다. 이에 의해, 조명용 렌즈(33a)의 프레임(33d)에 대한 고정이 해제된다.
마지막으로, 내시경(1)의 삽입부(3)의 선단부(10)를 하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고정이 해제되어 일부가 절삭된 조명용 렌즈가 프레임(33d)으로부터 취출된다. 따라서, 조명용 렌즈(33a)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조명용 렌즈(33a)의 프레임(33d)으로의 끼워 넣음 및 고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내시경(1)에 있어서는 조명용 렌즈(33a)를 끼워 넣어 고정하는 프레임(33d)의 내주에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33dn)보다도 큰 직경의 주위 홈(33dm)이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하였다.
종래, 조명용 렌즈(33a)를 교환할 때, 조명용 렌즈(33a)를 선단부면(33as)에 대해, 광축을 따라 외측으로부터 절삭구로서의 드릴을 근접하여 조명용 렌즈를 절삭하면, 조명용 렌즈(33a)의 접착부(33ac)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 사이는 주위 홈(33dm)이 없이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드릴의 선단부에 의해 출사 단부면(33bs)을 손상시킬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33d)의 내주에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33dn)보다도 큰 직경의 주위 홈(33dm)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용 렌즈(33a)의 접착부(33ac)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 사이에, 예를 들어 삽입 축 방향(Z)으로 0.5 ㎜ 이상의 간격을 갖는 적어도 주위 홈(33dm)에 의 해 구성된 비접착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주위 홈(33dm)에 개입한 접착제(100)는, 상기 비접착부(70)가 비교적 넓은 공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비접착부(70)에 있어서는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에 부착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드릴의 선단부를 접착부(33ac)의 후단부까지 진입시켰을 때, 드릴의 선단부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에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출사 단부면(33bs)이 손상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서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을 손상시키지 않고, 조명용 렌즈(33a)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점은 조명용 렌즈(33a)의 후단부면이 라이트 가이드(33b)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곡률면(33ak)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면(33ak)이 없이 조명용 렌즈(33a)의 후단부면이, 평탄한 일부를 오목형으로서 형성하고 있고,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3d)의 내주에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33dn)보다도 큰 직경의 주위 홈(33dm)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용 렌즈(33a)의 후단부면이, 평탄한 일부를 오목형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라도 조명용 렌즈(33a)의 접착부(33ac)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 사이에, 예를 들어 삽입 축 방향(Z)으로 0.5 ㎜ 이상의 간격을 갖는 적어도 주위 홈(33dm)에 의해 구성된 비접착부(70)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서, 주위 홈(33dm)에 개입한 접착제(100)는 상기 비접착부(70)가 비교적 넓은 공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비접착부(70)에 있어서는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에 부착되는 일이 없으므로, 드릴의 선단부를 접착부(33ac)의 후단부까지 진입시켰을 때, 드릴의 선단부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에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출사 단부면(33bs)이 손상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따라서,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을 손상시키지 않고,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에 외주의 후단부가 접촉하는 조명용 렌즈(33a)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변형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내시경(1)은 관찰 광학계(32b)에, 예를 들어 140°이상의 시야각을 갖는 광각 렌즈가 설치된 내시경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물 렌즈(32a) 및 관찰 광학계(32b)에, 통상의 시야각(140°이하)을 갖는 렌즈를 설치한 내시경에 적용해도,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라이트 가이드 유닛(33)도 관찰 광학계(32b)가 설치된 축(32LA)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축(33LA)에 설치되지 않고, 관찰 광학계(32b)가 설치된 축(32LA)에 평행하게 되는 축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명용 렌즈(33a)는 선단부에 3개 설치되어 있다고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 경우, 라이트 가이드 유닛(33)은 조명용 렌즈의 수와 같은 수로 설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조명용 렌즈(33a)의 절삭에 이용하는 절삭구에 드릴을, 예로 들어 나 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머라도 좋고, 조명용 렌즈(33a)를 절삭할 수 있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그런데,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명용 렌즈(33a)의 곡률면(33ak)과, 라이트 가이드(33b)의 선단부면인 출사 단부면(33bs)은 접촉하고 있다고 도시하였다. 그러나, 조명용 렌즈(33a)에는 라이트 가이드(33b)로부터 항상 삽입 방향 선단부에 압박하는 힘(F)(도7 참조)이 작용되기 때문에, 상기 힘(F)에 의해 조명용 렌즈(33a)와 프레임(33d) 사이의 접착제(100)에 의한 고정이 해제될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3d) 주위 홈(33dm)의 곡률면(33ak)과 출사 단부면(33bs)이 접촉하는 위치에, 링형의 얇은 판형 부재(90)를 고정하여 설치하면 좋다. 이에 따르면, 판형 부재(90)에 라이트 가이드(33b)를 피복하는 금속 파이프(33c)의 선단부면이 접촉된다.
따라서, 접촉하고 있던 조명용 렌즈(33a)의 곡률면(33ak)과, 라이트 가이드(33b)의 선단부면인 출사 단부면(33bs)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0.5 ㎜의 간극만큼 이격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간극은 색 불균일 등의 광학적 특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의 간극으로 구성된다.
또한, 판형 부재(90)는 주위 홈(33dm)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형 부재(90)에 라이트 가이드(33b)로부터 항상 삽입 방향 선단부에 압박하는 힘(F)이 작용되었다고 해도, 라이트 가이드(33b)를 피복하는 금속 파이프(33c)의 선단부면 또는 출사 단부면(33bs)이 접촉될 뿐, 출사 단부면(33bs)이 곡률면(33ak)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라이트 가이드(33b)로부터 항상 삽입 방향 선단부에 압박하는 힘(F)이 조명용 렌즈(33a)에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힘(F)에 의해 조명용 렌즈(33a)와 프레임(33d) 사이의 접착제(100)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판형 부재(90)를 이용함으로써, 주위 홈(33dm)에 상기 주위 홈(33dm)보다도 큰 직경의 주위 홈을 더 형성하고, 곡률면(33ak)과 출사 단부면(33bs)을 이격시키는 것보다도 용이하게 곡률면(33ak)과, 출사 단부면(33bs)을 이격시킬 수 있고, 또한 금속 파이프(33c)의 선단부면이 접촉되는 충돌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내시경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의 선단부측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9는 도8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에 있어서의 조명용 렌즈와 프레임의 고정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의 내시경(201)의 구성은, 상기 도1 내지 도6에 도시한 내시경(1)과 비교하여, 프레임의 내주에 주위 홈을 형성하지 않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이 차이점만을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트 가이드(33b)의 선단부측과 조명용 렌즈(33a)는 선단부 경질부(31)의 긴 구멍(31b) 및 캡(40)의 개구부(40b)에 설치된 프레임(133d) 내에 끼워 넣어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프레임(133d)은 선단부의 개구가 작은 직경이 되도록 선단부의 외주에 테이퍼를 갖는 대략 원통형을 갖고 있고,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33d)의 내주는 조명용 렌즈(33a)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133dn)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133dn)에는 금속 파이프(33c)가 피복된 라이트 가이드(33b)의 선단부측이 끼워 넣어지고, 상기 선단부측의 외주는, 예를 들어 접착제(100)에 의해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133dn)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33d) 내에는 후단부면이 라이트 가이드(33b)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곡률면(33ak)에 형성된 조명용 렌즈(33a)가 끼워 넣어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의 일부에 형성된 접착부(33ac)가 접착제(100)에 의해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133dn)에 접착됨으로써, 조명용 렌즈(33a)가 프레임(133d) 내에 고정된다.
또한, 조명용 렌즈(33a)의 곡률면(33ak)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조명용 렌즈(33a)의 곡률면(33ak)은 색 불균일 등의 광학적 특성이 저하되지 않는 것이라면,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에 접촉하지 않고 근접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의 접착부(33ac)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 사이에는 비접착부(170)가 형성되어 있다. 비접착부(170)는 조명용 렌즈(33a)의 후단부면을 라이트 가이드(33b)의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한 곡률 면(33ak)과, 프레임(133d)의 내주[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133dn)]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비접착부(70)는, 예를 들어 상기 삽입 축 방향(Z)이며 접착부(33ac)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 사이에 0.5 ㎜ 이상의 간격을 갖는다. 이와 같이 비접착부(170)는 조명용 렌즈(33a)의 후단부면에 설치한 곡률면(33ak)의 곡률에 의해 접착부(33ac)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 사이에 0.5 ㎜ 이상의 간격을 갖는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01)의 작용인 내시경의 수리 방법, 구체적으로는 조명용 렌즈(33a)의 교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프레임(133d) 내에 고정된 조명용 렌즈(33a)의 선단부면(33as)에 대해, 광축을 따라 외측으로부터 절삭구로서의 드릴을 근접시켜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의 후단부, 즉 접착부(33ac)의 후단부까지 밀고 나아가 조명용 렌즈를 절삭한다. 그 결과, 조명용 렌즈(33a)의 접착부(33ac)의 접착제(100)는, 상기 절삭에 의해 제거된다. 이에 의해, 조명용 렌즈(33a)의 프레임(133d)에 대한 고정이 해제된다.
마지막으로, 내시경(1)의 삽입부(3)의 선단부(10)를 하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고정이 해제되어 일부가 절삭된 조명용 렌즈가 프레임(133d)으로부터 취출된다. 따라서, 조명용 렌즈(33a)를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내시경(201)에 있어서는 조명용 렌즈(33a)의 후단부면이 라이트 가이드(33b)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곡률면(33ak)으로서 형성되어 있다고 도시하였다. 따라서, 이 곡률면(33ak)의 곡률에 의해, 조명용 렌즈(33a)의 접착부(33ac)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 사이에, 예를 들어 삽입 축 방향(Z)으로 0.5 ㎜ 이상의 간격을 갖는 비접착부(17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교환 시 드릴의 선단부를 접착부(33ac)의 후단부까지 진입시켰을 때, 드릴의 선단부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에 접촉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출사 단부면(33bs)이 손상되어 버리는 일이 없으므로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을 손상시키지 않고, 조명용 렌즈(33a)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변형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관찰 광학계(32b)에 통상의 시야각(140°이하)을 갖는 렌즈를 설치한 내시경에 적용해도,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조명용 렌즈(33a)도 선단부에 3개 설치되어 있다고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 경우, 라이트 가이드 유닛(133)은 조명용 렌즈의 수와 같은 수로 설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프레임(133d)의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133dn)의 곡률면(33ak)과 출사 단부면(33bs)이 접촉하는 위치에, 도7에 도시한 링형의 얇은 판형 부재(90)를 고정하여 설치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조명용 렌즈(33a)의 절삭에 이용하는 절삭구에 드릴을 예로 들어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머라도 좋고, 조명용 렌즈(33a)를 절삭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제3 실시 형태)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 내시경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의 선단부측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11은 도10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에 있어서의 조명용 렌즈와 프레임의 고정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제3 실시 형태의 내시경(301)의 구성은, 상기 도8 및 도9에 도시한 내시경(201)과 비교하여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와, 프레임(133d)의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133dn) 사이에 개입되는 접착제(100)의 양이 조정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이 차이점만을 설명하고,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33d) 내에는, 외주의 후단부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에 접촉하는 조명용 렌즈(33a)가 끼워 넣어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에 있어서의 접착부(33ac)가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의 후단부까지 개입하지 않는 양(이하, 비접촉량이라 함)의 접착제(100)에 의해,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133dn)에 접착됨으로써, 조명용 렌즈(33a)가 프레임(133d) 내에 고정된다.
또한, 조명용 렌즈(33a)의 접착부(33ac)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 사이에는 비접착부(270)가 형성되어 있다. 비접착부(270)는 조명용 렌즈(33a)의 후단부의 외주와, 상기 외주에 대면하는 프레임(133d)의 내주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접착제(100)의 개입을 억지하는 비접착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비접착 영역으로서의 비접착부(270)는 조명용 렌즈(33a)의 선단부의 외주 와, 프레임(33d)의 선단부의 내주 사이(33p)(도5 참조)로부터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와, 프레임(33d)의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33dn) 사이에, 상기 비접촉량의 접착제(100)가 개입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즉,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133dn)과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비접착부(270)는 예를 들어 상기 삽입 축 방향(Z)이며 접착부(33ac)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 사이에 0.5 ㎜ 이상의 간격을 갖는다. 이와 같이, 조명용 렌즈(33a)에는 그 외주에 있어서의 선단부면측에 접착제(100)에 의해 프레임(33d) 내에 고정되는 접착부(33ac)와, 후단부면측에 접착제(100)에 의해 프레임(33d)에 고정되지 않는 비접착부(27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비접착 영역으로서의 비접착부(270)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용 렌즈(33a)를 프레임(133d) 내에 끼워 넣기 이전에, 비접착부(270)의 부위를 제외한 조명용 렌즈(33a)의 접착부(33ac)의 부위에 미리 접착제(100)를 도포해 두고, 이 조명용 렌즈(33a)를 프레임(133d) 내에 끼워 넣도록 해도 좋다.
또한, 비접착 영역으로서의 비접착부(270)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조명용 렌즈(33a)의 후단부의 외주 및/또는 조명용 렌즈(33a)의 후단부의 외주에 대면하는 프레임(133d)의 내주에 대해, 접착제(100)의 개입을 억지하도록 접착제(100)를 박리하는 박리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코팅(도시 생략)을 실시해도 좋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301)의 작용인 내시경의 수리 방법, 구체적으로는 조명용 렌즈(33a)의 교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프레임(133d) 내에 고정된 조명용 렌즈(33a)의 선단부면(33as)에 대해, 광축을 따라 외측으로부터 절삭구로서의 드릴을 근접시켜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의 접착부(33ac)의 후단부까지 밀고 나아가 조명용 렌즈를 절삭한다. 그 결과, 상기 비접촉량의 접착제(100)는 상기 절삭에 의해 제거된다. 이에 의해, 조명용 렌즈(33a)의 프레임(133d)에 대한 고정이 해제된다.
마지막으로, 내시경(1)의 삽입부(3)의 선단부(10)를 하향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고정이 해제되어 일부가 절삭된 조명용 렌즈(33a)가 프레임(133d)으로부터 취출된다. 따라서, 조명용 렌즈(33a)를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내시경(301)에 있어서는,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에 있어서의 접착부(33ac)가 상기 비접촉량의 접착제(100)에 의해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133dn)에 고정된다고 도시하였다.
따라서, 조명용 렌즈(33a)의 접착부(33ac)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 사이에, 예를 들어 삽입 축 방향(Z)으로 0.5 ㎜ 이상의 간격을 갖는 비접착부(27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교환 시 드릴의 선단부를 접착부(33ac)의 후단부까지 진입시켰을 때, 드릴의 선단부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에 접촉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출사 단부면(33bs)이 손상되어 버리는 일이 없으므로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을 손상시키지 않고, 조명용 렌즈(33a)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변형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명용 렌즈(33a)는 외주의 후단부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에 접촉하는 것을 예로 들어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단부면이 라이트 가이드(33b)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곡률면(33ak)에 형성되어 있는 조명용 렌즈(33a)를 이용해도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관찰 광학계(32b)에 통상의 시야각(140°이하)을 갖는 렌즈를 설치한 내시경에 적용해도,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조명용 렌즈(33a)도 선단부에 3개 설치되어 있다고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 경우 라이트 가이드 유닛(133)은 조명용 렌즈의 수와 같은 수로 설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프레임(133d)의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133dn)의 후단부면과 출사 단부면(33bs)이 접촉하는 위치에, 도7에 도시한 링형의 얇은 판형 부재(90)를 고정하여 설치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조명용 렌즈(33a)의 절삭에 이용하는 절삭구에 드릴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머라도 좋고, 조명용 렌즈(33a)를 절삭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제4 실시 형태)
도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한 내시경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의 선단부측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제4 실시 형태의 내시경(301)의 구성은, 상기 도8 및 도9에 도시한 내시 경(201)과 비교하여 홈부가 마련된 점이 다르다. 따라서, 이 차이점만을 설명하고,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33d) 내에는 외주의 후단부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에 접촉하는 조명용 렌즈(33a)가 끼워 넣어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에 있어서의 접착부(33ac)가 접착제(100)에 의해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133dn)에 접착됨으로써, 조명용 렌즈(33a)가 프레임(133d) 내에 고정된다.
또한, 조명용 렌즈(33a)의 접착부(33ac)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 사이에는 비접착부(270)가 형성되어 있다. 비접착부(270)는 조명용 렌즈(33a)의 후단부의 외주와 프레임(133d)의 내주 사이에 마련한 공간이며,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133dn)보다도 큰 직경이며 조명용 렌즈(33a)의 후단부의 외주로부터 이격하는 형태로 프레임(133d)의 내주에 마련한 홈부(133dp)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홈부(133dp)는 조명용 렌즈(33a)의 선단부의 외주와, 프레임(33d)의 선단부의 내주 사이(33p)(도5 참조)로부터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와, 프레임(33d)의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133dn) 사이에 개입된 접착제(100)를 저류하여, 그보다 후방측으로의 접착제(100)의 개입을 억지한다. 그 결과, 조명용 렌즈(33a)의 접착부(33ac)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 사이에 비접착부(270)가 형성된다. 이 비접착부(270)는, 예를 들어 상기 삽입 축 방향(Z)이며, 접착부(33ac)[홈부(133dp)]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 사이에 0.5 ㎜ 이상의 간격을 갖는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301)의 작용인 내시경의 수리 방법, 구체적으로는 조명용 렌즈(33a)의 교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프레임(133d) 내에 고정된 조명용 렌즈(33a)의 선단부면(33as)에 대해, 광축을 따라 외측으로부터 절삭구로서의 드릴을 근접시켜 조명용 렌즈(33a)의 외주의 접착부(33ac)의 후단부까지 밀어 나가 조명용 렌즈를 절삭한다. 그 결과, 상기 비접착량의 접착제(100)는 상기 절삭에 의해 제거된다. 이에 의해서, 조명용 렌즈(33a)의 프레임(133d)에 대한 고정이 해제된다.
마지막으로, 내시경(1)의 삽입부(3)의 선단부(10)를 하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고정이 해제되어 일부가 절삭된 조명용 렌즈(33a)가 프레임(133d)으로 취출된다. 따라서, 조명용 렌즈(33a)를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내시경(301)에 있어서는, 조명용 렌즈(33a)를 끼워 넣어 고정하는 프레임(133d)의 내주에, 렌즈 끼워 넣음용 단부면(133dn)보다도 큰 직경의 홈부(133dp)가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하였다. 따라서, 이 홈부(133dp)에 의해, 조명용 렌즈(33a)의 접착부(33ac)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 사이에, 예를 들어 삽입 축 방향(Z)으로 0.5 ㎜ 이상의 간격을 갖는 비접착부(27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교환 시 드릴의 선단부를 접착부(33ac)의 후단부까지 진입시켰을 때, 드릴의 선단부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에 접촉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출사 단부면(33bs)이 손상되어 버리는 일이 없으므로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조명용 렌즈(33a)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변형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명용 렌즈(33a)는 외주의 후단부가 라이트 가이드(33b)의 출사 단부면(33bs)에 접착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단부면이 라이트 가이드(33b)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곡률면(33ak)에 형성되어 있는 조명용 렌즈(33a)를 이용해도 본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관찰 광학계(32b)에 통상의 시야각(140°이하)을 갖는 렌즈를 설치한 내시경에 적용해도 본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조명용 렌즈(33a)도 선단부에 3개 설치되어 있다고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 경우, 라이트 가이드 유닛(133)은 조명용 렌즈의 수와 같은 수로 설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프레임(133d)의 렌즈 끼워 넣음용 주위면(133dn)의 후단부면과 출사 단부면(33bs)이 접착되는 위치에, 도7에 도시한 링형의 얇은 판형 부재(90)를 고정하여 배치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조명용 렌즈(33a)의 절삭에 이용하는 절삭구에, 드릴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머라도 좋고, 조명용 렌즈(33a)를 절삭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과 그 제조 방법 및 수리 방법은 삽입부 의 선단부에 피검 부위를 조명할 때에 이용되는 조명용의 렌즈를 갖는 내시경에 유용하고, 특히 선단부면이 삽입부 선단부의 개구로부터 노출되고, 후단부면이 라이트 가이드의 선단부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조명용 렌즈를 상기 조명용 렌즈에 접착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교환하는 데 적절하다.

Claims (9)

  1. 삽입부 선단부에 설치된 프레임 내에 끼워 넣어져 선단부면이 노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주에 대해 그 외주의 접착부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조명용 렌즈와,
    상기 조명용 렌즈의 후단부면에 대해 선단부면을 향하게 하여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된 라이트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조명용 렌즈의 접착부와 상기 라이트 가이드의 선단부면 사이에 접착제의 부착을 방지하는 비접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착부는 상기 조명용 렌즈의 외주와 상기 프레임의 내주 사이에 마련한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조명용 렌즈의 후단부의 외주로부터 이격하는 형태로 상기 프레임의 내주에 설치되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를 설치하는 주위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조명용 렌즈의 외주로부터 이격하는 형태로 상기 프레임의 내주에 설치되고, 접착제를 저류하여 상기 라이트 가이드로의 접 착제의 개입을 억지하는 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착부는 상기 조명용 렌즈의 후단부면을 상기 라이트 가이드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한 곡률면과, 상기 프레임의 내주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착부는 상기 조명용 렌즈의 후단부의 외주와 상기 외주에 대면하는 상기 프레임의 내주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로의 접착제의 개입을 억지하는 비접착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7. 삽입부 선단부에 설치된 프레임 내에 끼워 넣어져 선단부면이 노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주에 대해 그 외주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조명용 렌즈와,
    상기 조명용 렌즈의 후단부면에 대해 선단부면을 향하게 하여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된 라이트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용 렌즈에는 그 외주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부면측에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프레임 내에 고정되는 접착부와, 상기 후단부면측에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지 않는 비접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8. 삽입부 선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내주에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프레임의 내주이고, 상기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의 후방에 연속하여 상기 끼워 넣음 주위면보다도 큰 직경의 주위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에 임시 고정용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조명광을 출사하도록 상기 주위 홈에 배치되는 라이트 가이드의 선단부면에 대해 후단부면을 향하게 하여 후단부가 상기 주위 홈에 걸치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의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에 조명용 렌즈를 끼워 넣는 공정과,
    상기 임시 고정용의 접착제에 의해 임시 고정된 상기 조명용 렌즈의 외주와 상기 프레임의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 사이에, 본 고정용의 접착제를 침투시킴으로써 상기 조명용 렌즈를 상기 프레임의 내주에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의 제조 방법.
  9.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과, 상기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의 후방에 연속하여 상기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된 주위 홈이 내주에 형성된 프레임을 갖고, 상기 프레임 내의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에 접착제에 의해 조명용 렌즈가 고정된 내시경의 수리 방법이며,
    상기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의 범위에서 상기 조명용 렌즈를 절삭하여 상기 렌즈 끼워 넣음 주위면과 상기 조명용 렌즈 사이의 접착제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의 수리 방법.
KR1020077001814A 2004-07-26 2005-07-25 내시경과 그 제조 방법 및 수리 방법 KR200700277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17880 2004-07-26
JP2004217880A JP4402538B2 (ja) 2004-07-26 2004-07-26 内視鏡とその製造方法、修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739A true KR20070027739A (ko) 2007-03-09

Family

ID=3578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814A KR20070027739A (ko) 2004-07-26 2005-07-25 내시경과 그 제조 방법 및 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18020A1 (ko)
EP (1) EP1790276B1 (ko)
JP (1) JP4402538B2 (ko)
KR (1) KR20070027739A (ko)
CN (1) CN100525698C (ko)
WO (1) WO20060114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47B1 (ko) * 2008-05-27 2010-09-06 (주)미래컴퍼니 복강경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6035A (ja) * 2008-03-24 2009-10-08 Fujinon Corp 内視鏡の照明レンズ
JP5053904B2 (ja) * 2008-03-31 2012-10-24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先端キャップ付き内視鏡および内視鏡用洗浄シース
JP5203259B2 (ja) * 2009-03-09 2013-06-0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学部品の製造方法
DE102009018960B4 (de) * 2009-04-25 2021-07-22 Schölly Fiberoptic GmbH Optisches Sichtgerät und Verfahren zur Wartung eines optischen Sichtgeräts
EP2380483B1 (en) * 2009-11-06 2013-03-27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Endoscope
JP2011215425A (ja) * 2010-03-31 2011-10-27 Fujifilm Corp 照明レンズ及び該照明レンズを備えた内視鏡
JP5329604B2 (ja) * 2011-06-08 2013-10-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流体噴射ノズルユニット及び内視鏡
DE102013202539B3 (de) * 2013-02-18 2014-04-24 Olympus Winter & Ibe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ndoskops und Endoskop
JP5769907B2 (ja) * 2013-06-25 2015-08-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DE102014114845A1 (de) * 2014-10-14 2016-04-14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zur Interpretation von automatischer Spracherkennung
JP5977911B1 (ja) * 2015-01-28 2016-08-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WO2017081956A1 (ja) * 2015-11-09 2017-05-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JP6326561B1 (ja) * 2016-06-27 2018-05-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内視鏡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1554B1 (ko) * 1968-12-24 1973-09-29
EP0100517B1 (en) * 1982-07-31 1990-12-2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imited Optical fiber sensor
JPS5994317U (ja) * 1982-12-13 1984-06-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レンズ固定構造
US4841952A (en) * 1986-11-06 1989-06-27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e with an optical system
JPH04326318A (ja) 1991-04-26 1992-11-16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
DE19743431B4 (de) * 1997-10-01 2011-02-17 Karl Storz Gmbh & Co. Kg Endoskop mit Verbundfenster
DE19755356A1 (de) * 1997-12-12 1999-06-17 Zeiss Carl Fa VUV-beständige Verbindungstechnik für Linsen und Fassungen
US6488619B1 (en) * 1998-09-08 2002-12-03 Olympus Optical Co., Ltd. Distal endoscope part having light emitting source such as light emitting diodes as illuminating means
JP2002085326A (ja) 2000-09-14 2002-03-26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
JP2005013708A (ja) * 2003-05-30 2005-01-20 Olympus Corp 内視鏡及びその組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47B1 (ko) * 2008-05-27 2010-09-06 (주)미래컴퍼니 복강경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0276A1 (en) 2007-05-30
EP1790276B1 (en) 2013-01-02
EP1790276A4 (en) 2008-12-24
CN1988842A (zh) 2007-06-27
US20070118020A1 (en) 2007-05-24
JP4402538B2 (ja) 2010-01-20
WO2006011460A1 (ja) 2006-02-02
CN100525698C (zh) 2009-08-12
JP2006034542A (ja)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7739A (ko) 내시경과 그 제조 방법 및 수리 방법
US20210113065A1 (en) Endoscope cap, endosco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ndoscope cap
EP1779763B1 (en) Endoscope and tip cover
EP1774895B1 (en) Endoscope and method of repairing endoscope
US7695431B2 (en) Objective lens unit for endoscope
JP3721882B2 (ja) 内視鏡の挿入部
US20050043584A1 (en) Endoscope hood
US20040158129A1 (en) Endoscope
JP5769907B2 (ja) 内視鏡
JP2008132282A (ja) 内視鏡洗浄用シース
US20210068616A1 (en)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JP2005177025A (ja) 内視鏡
US20090281385A1 (en) Endoscope Having Distal End Body Adapted to Plural Types of Light Distribution Lens Units
JP2010115428A (ja) 内視鏡
US20220409023A1 (en) Connection joint, endoscope, and method of connecting tube and connection joint
US20200015663A1 (en) Endoscope sheath and endoscope system
JP4596137B2 (ja) 内視鏡
JPH11155805A (ja) 内視鏡
JP3903737B2 (ja) 内視鏡の挿入部
JP6180195B2 (ja) 内視鏡、内視鏡システム
US20240049947A1 (en) Channel replacement method, endoscope, and plug
JP2006145991A (ja) 内視鏡及びこの内視鏡に適用される対物レンズ部組の組立方法
CN116570209A (zh) 内窥镜、吸引对象物的吸引方法
JP4242173B2 (ja) 内視鏡の挿入部先端構造
JP2005168767A (ja) 内視鏡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