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6012A - 자동 이륜차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6012A
KR20070026012A KR1020060076172A KR20060076172A KR20070026012A KR 20070026012 A KR20070026012 A KR 20070026012A KR 1020060076172 A KR1020060076172 A KR 1020060076172A KR 20060076172 A KR20060076172 A KR 20060076172A KR 20070026012 A KR20070026012 A KR 20070026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chamber
storage chamber
storage
helme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1622B1 (ko
Inventor
미치오 아츄치
켄고 야노
히데키 하야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6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46Luggage carriers forming part of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1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 B62J9/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under the sad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승자 시트의 지상 높이를 높이지 않고, 후륜의 외경을 크게 할 수 있는 자동 이륜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탠덤 시트(52)의 아래쪽에 적어도 2개의 헬멧(61, 62)을 수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수납실(51)을 구비한 저상식 자동 이륜차(10)에서, 수납실(51)에는 운전자(D)가 앉는 운전자 시팅 포인트(63)보다 전방에 제1 헬멧 수납실(65)을 설치하고, 동승자(P)가 앉는 동승자 시팅 포인트(64)보다 후방에 제2 헬멧 수납실(66)을 설치한다. 그리고, 수납실(51)에는 제1 헬멧 수납실(65)과 제2 헬멧 수납실(66) 사이를 연통하는 중간실(67)을 설치하고, 이 중간실(67)의 아래쪽에 연료 분사 장치(35), 스로틀 보디(34), 및 에어클리너(37)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AUTOMATIC TWO-WHHEELED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좌측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후측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자동 이륜차 후측부의 상하 이동을 설명하는 작용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자동 이륜차
27: 후륜
34: 스로틀 보디
35: 연료 분사 장치
37: 에어클리너
51: 수납실
52: 텐덤 시트
61: 제1 헬멧
62: 제2 헬멧
63: 운전자 시팅 포인트
64: 동승자 시팅 포인트
65: 제1 헬멧 수납실
66: 제2 헬멧 수납실
67: 중간실
71: 중간실의 중간 바닥면
72: 단부
73: 후 바닥면
74: 전 바닥면
D: 운전자
P: 동승자.
본 발명은, 탠덤 시트의 아래쪽에 헬멧을 수납하는 수납실을 구비하는 자동 이륜차에서,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실의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탠덤 시트의 아래쪽에 헬멧을 수납하는 수납실을 구비하는 자동 이륜차에서, 수납실에 2개의 헬멧을 수납 가능하게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1-63657 공보(도 12)
특허 문헌 1의 도 12는 저상식 자동 이륜차의 후측부 단면 좌측면도이며, 자동 이륜차(1)(부호는 같은 공보의 것을 사용한다.)는 수납 박스(40)를 구비하고, 이 수납 박스(40)는 운전자가 착석하는 메인 시트(41)의 아래쪽에 프론트 박스부(40a)를 구비하며, 동승자가 착석하는 텐덤 시트(42)의 아래쪽에 리어 박스부(40b)를 구비한다. 그리고, 프론트 및 리어 박스부(40a, 40b)에 헬멧(A, B)을 수납 가능하게 하였다.
그런데, 자동 이륜차의 주행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후륜을 대직경화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그러나, 단순히 후륜을 대직경화하면 동승자용 시트의 지상 높이(노면으로부터 시트 상면까지의 높이)가 높아진다. 이 결과, 차량이 대형화된다.
수납 박스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한 후에 동승자 시트의 지상 높이를 높이지 않고, 후륜의 외경을 크게할 수 있는 기술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은, 동승자 시트의 지상 높이를 높이지 않고, 후륜의 외경을 크게 할 수 있는 자동 이륜차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탠덤 시트의 아래쪽에 2개의 헬멧을 수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수납실을 구비하고, 이 수납실은 전후로 2개의 헬멧 수납실을 구비하며, 이들의 헬멧 수납실을 제1 헬멧 수납실과 제2 헬멧 수납실로 하고, 제1 헬멧 수납실을 운전자가 앉는 운전자 시팅 포인트보다 전방에 구비한 저상식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제2 헬멧 수납실은 동승자가 앉는 동승자 시팅 포인트보다 후방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서는, 수납실에 제1 헬멧 수납실과 상기 제2 헬멧 수납실 사이를 연통하는 중간실을 설치하고, 이 중간실의 아래쪽에 연료 분사 장치, 스로틀 보디, 및 에어 클리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서는, 수납실에 제1 헬멧 수납실과 상기 제2 헬멧 수납실 사이를 연통하는 중간실을 설치하고, 이 중간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중간 바닥면에 단부를 구비하며, 이 단부의 전측의 면을 전 바닥면, 후측의 면을 후 바닥면이라고 할 때, 후 바닥면을 전 바닥면보다 높이는 동시에 후 바닥면의 아래쪽에 후륜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수납실에 제1 헬멧 수납실과 상기 제2 헬멧 수납실 사이를 연통하는 중간실을 설치하고, 수납실의 전단부는 실린더 헤드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며, 수납실의 후단부는 후륜의 차 축보다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첨부도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전」, 「후」, 「좌」, 「우」, 「상」, 「하」는 운전자로부터 본 방향을 도시한다. 또한, 도면은 부호의 방향으로 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좌측부 단면도이며, 자동 이륜차(10)는 차체 프레임(11)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12)의 전단부 및 하측 프레임(13)의 전단부에 부착한 헤드 파이프(14)와, 이 헤드 파이프(14)에 좌우 전향 가능하게 부착한 프론트 포크(15)와, 이 프론트 포크의 하부(15b) 및 상부(15a)에 부착한 전륜(17) 및 조향 핸들(18)과, 상부 프레임(12)으로부터 후방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시킨 시트 레일(21)과, 이 시트 레일(21)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리어 프레임(22)과, 이 리어 프레임(22)을 가로지르도록 배치하는 동시에 상부 프레임(12) 및 하부 프레임(13)의 후단부(13b)에 구비하는 피봇 축(24)을 포함하는 링크 기구(90)를 통해 상하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는 엔진(25)과, 이 엔진(25)과 일체로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시킨 동력 전달 기구(26)와, 이 동력 전달 기구(26)에 부착한 후륜(27)과, 동력 전달 기구(26)의 후단부(26b)와 시트 레일(21)의 후측부(21b) 사이를 연결하는 리어 쿠션 유닛(29)을 구비한다.
링크 기구(90)의 상세한 내용에 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엔진(25)의 본체, 및 본체의 주위에 접속하는 냉각, 연료 공급, 흡기, 배기의 각 계통에 관해서 설명한다.
엔진(25)은 실리더 블록(25b)이 앞으로 경사져 배치되는 수냉식 4 사이클 엔진이다. 엔진(25)의 전단부에는 실린더 헤드(25a)가 배치된다. 그리고, 이 엔진(25)을 냉각하는 라디에이터(32)를 하부 프레임(13)에 부착하여 배치하고, 이 하부 프레임(13)과 상부 프레임(12) 사이에 연료 탱크(33)를 배치하며, 이 연료 탱크(33)의 연료를 엔진(25)에 공급하는 스로틀 보디(34) 및 연료 분사 장치(35)를 연료 탱크(33)의 후방이면서, 엔진(25)의 위쪽에 배치하고, 스로틀 보디(34)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클리너(37)를 시트 레일(21)의 아래쪽에 배치하며, 엔진(25)으로부터 후방에 배기관(38) 및 이 배기관(38)의 후방에 소음기(39)를 배치하여 구성한다.
도면에 있어서, 라디에이터(32)와 엔진(25) 사이를 접속하는 냉각수 배관, 연료 탱크(33)와 엔진(25) 사이를 접속하는 연료 배관 등은 생략하였다.
시트 레일(21)의 앞부터 뒤에는 수납실(51)을 배치하고, 이 수납실(51)의 위쪽으로부터 승무원이 앉는 좌석이 되는 탠덤 시트(52)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다.
즉, 이 자동 이륜차(10)는 탠덤 시트(52)의 아래쪽에 수납실(51)을 구비한 저상식 차량이다. 수납실(51)에 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54는 배터리이며, 중간실(67)의 후방부에 있는 후 바닥면(73)의 일부를 배터리(54)의 대략 높이 분만큼 한 단 내려 형성한 배터리 수납실(69)에 수납하는 것이다. 배터리 수납실(69)의 메인터넌스 리드(69a)는 후 바닥면(73)과 동일면에 배치된다.
55는 프론트 브레이크 유닛, 56은 프론트 펜더, 57은 리어 펜더, 58은 카울 부재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평면도이며, 헤드 파이프(14)로부터 후방에 좌우의 상부 프레임(12) 및 하부 프레임(13, 13)을 연장 설치하고, 상부 프레임(12, 12)으로부터 좌우의 시트 레일(21, 21)을 후방으로 연장 설치하며, 시트 레일(21, 21)에 수납실(51)을 부착하고, 수납실(51)의 위쪽으로부터 운전자용 시트(48)와 동승자용 시트(49)로 이루어지는 탠덤 시트(52)로 덮는 동시에, 수납실(51)에 제1 헬멧(61) 및 제2 헬멧(62)를 수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배터리(5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실(51) 일부에 형성한 배터리 수납실(69)에 수납된다. 배터리(54)는 에어클리너(37) 및 소음기(39)와 차량 폭 방향에서 반대측에 배치하고, 동력 전달 기구(26)와 동일한 측에 배치하였다. 이에 따라, 좌우의 중량 배분이 적합해지며, 또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54)는 차량의 좌측에 배치하고, 에어클리너(37) 및 소음기(39)는 차량의 우측에 배치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배터리(54)를 차량의 우측에 에어클리너(37) 및 소음기(39)를 차량의 좌측에 배치하는 것은 지장없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후측부 확대 단면도이며, 시트 레일(21)에 부착한 수납실(51)은 전측부이면서, 운전자(D)가 앉는 운전자 시팅 포인트(63)보다 전방에 설치하는 제1 헬멧 수납실(65)과, 이 제1 헬멧 수납실(65)의 후방에 연통시켜 설치하는 중간실(67)과, 이 중간실(67) 후방에 연통시켜 설치하여 후방부이면서, 동승자(P)가 앉는 동승자 시팅 포인트(64)보다 후방에 설치하는 제2 헬멧 수납실(66)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헬멧 수납실(65)의 전단부(65a)는, 실린더 헤드(25a)보다 전방으로 연장되고, 제2 헬멧 수납실(66)의 후단부(66b)는 후륜(27)의 차 축(82)보다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제1 헬멧(61)은 헬멧(61)의 전면을 뒤를 향하게 하고, 제2 헬멧(62)은 헬멧(62)의 전면을 가로를 향하게 하여 수납할 수 있다.
헬멧(62)의 전면을 가로를 향해 수납하는 횡 배치 수납으로 함으로써, 수납실(51)의 후방에의 돌출을 억제하면서 헬멧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헬멧(62)은 횡 배치 수납으로 하였지만 헬멧의 전면을 전향, 또는 후향으로 수납 가능하게 수납실(51)을 구성하는 것은 지장없다.
중간실(67)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중간 바닥면(71)에는 단부(72)를 구비하고, 이 단부(72)보다 후방에 구비하는 후 바닥면(73)의 높이를 단부(72)보다 전방에 구비하는 전 바닥면(74) 높이보다 높임으로써, 후륜(27)을 배치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크게 취하도록 구성하였다.
후 바닥면(73)은, 굴곡점(75)을 경우하여 제2 헬멧 수납실(66)의 바닥면(76)에 연속해 있는 면이다. 그리고, 후 바닥면(73)과 바닥면(76) 사이의 점인 굴곡점(75)은 후륜(27)에 상향의 힘이 작용하여 리어 쿠션 유닛(29)이 가장 줄어들었을 때에 후륜(27)의 정상부(27t)가 근접하도록 배치한 점이다. 바닥면(76)은 후측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한 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 전달 기구(26)에 구비하는 드라이브 축(93)과 드리븐 축인 출력 축(81)을 연결하는 선(95)보다 아래쪽으로 후륜(27)의 차 축(82)을 배치하였다. 출력 축(81)으로부터 비스듬하게 후방이면서 아래쪽에 후륜(27)의 차 축(82)을 설치함으로써, 자동 이륜차의 휠베이스를 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엔진(25)과 일체로 설치한 동력 전달 기구(26)는, 리어 스윙 아암의 역할을 겸하는 부재이며, 이 동력 전달 기구(26)와 차체 프레임(13) 사이에 링크 기구(90)를 개재시킨다.
링크 기구(90)는 차체 프레임(13)측에 설치한 지지 축(91)과, 이 지지 축(91)에 부착한 링크 부재(92)와, 이 링크 부재(92)의 후단부에 부착한 피봇 축(24)을 구비하고, 지지 축(91) 및 피봇 축(24)을 통과시키는 구멍에 도시하지 않은 러버 부시를 압입하였다. 그리고, 러버 부시를 통해 차체 프레임(13)에 동력 전 달 기구(26)를 부착한다.
차체 프레임(13)과 동력 전달 기구(26) 사이에, 러버 부시를 개재시켰기 때문에 엔진(25)이나 동력 전달 기구(26)의 진동을 차체 프레임(18)에 잘 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수납실(51)에는 운전자(D)가 앉는 운전자 시팅 포인트(63)보다 전방에 제1 헬멧 수납실(65)을 설치하고, 동승자(P)가 앉는 동승자 시팅 포인트(64)보다 후방에 제2 헬멧 수납실(66)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적어도 2개의 헬멧(61, 62)을 수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 헬멧 수납실(65)의 전측벽(65b)은 연료 탱크(33)의 경사부(33a)와 상대하도록 경사지게 하였기 때문에 연료 탱크(33)의 탱크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수납실(65)의 수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추가로, 수납실(51)에는 제1 헬멧 수납실(65)과 제2 헬멧 수납실(66) 사이를 연통하는 중간실(67)을 설치하고, 이 중간실(67)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중간 바닥면(71)에 단부(72)를 구비하며, 이 단부(72)의 전측의 면을 전 바닥면(74), 후측의 면을 후 바닥면(73)이라고 할 때, 후 바닥면(73)을 전 바닥면(74)보다 높이는 동시에 후 바닥면(73)의 아래쪽에 후륜(27)을 배치한다.
후 바닥면(73)을 상기 전 바닥면(74)보다 높이는 동시에 후 바닥면(73)의 아래쪽에 후륜(27)을 배치함으로써 후륜(27)을 배치할 수 있는 스페이스(S)를 늘릴 수 있다.
중간 바닥면(71)을 구성하는 후 바닥면(73)을 전 바닥면(74)보다 높이는 동 시에 후 바닥면(73)의 아래쪽에 후륜(27)을 배치함으로써, 보다 대직경의 후륜(27)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는, 예컨대 스트로크가 긴 리어 쿠션을 이용함으로써, 후륜(27)의 높이 방향의 스트로크를 길게 하면서, 대직경의 후륜(27)을 수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수납실(51)에는 제1 헬멧 수납실(65)과 제2 헬멧 수납실(66) 사이를 연통하는 중간실(67)을 설치하고, 이 중간실(67)의 아래쪽에 연료 분사 장치(35), 스로틀 보디(34), 및 에어클리너(37)를 구비한다.
수납실(51)은 제1 헬멧 수납실(65)과 제2 헬멧 수납실(66) 사이를 연통하는 중간실(67)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긴 물체(84)가 수납 가능해진다.
추가로, 중간실(67)의 아래쪽에 연료 분사 장치(35), 스로틀 보디(34), 및 에어클리너(37)를 구비함으로써, 흡기 계통의 부품을 통합하여 배치할 수 있다. 흡기계의 부품을 통합하여 배치함으로써, 한정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효율적인 부품의 배치가 가능해진다.
도 4는 자동 이륜차 후측부의 상하 이동을 설명하는 작용도이다.
(a)는 통상 주행시의 자동 이륜차 후측부의 자세를 도시하는 것이고, 엔진(25) 및 동력 전달 기구(26)를 피봇 축(24)을 중심으로 상하 스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리어 쿠션 유닛(29)을 시트 레일(21)과 동력 전달 기구(26) 사이에 개재시키며, 단부(72)를 경계로 후 바닥면(73)을 전 바닥면(74)보다 높였기 때문에 후륜(27)의 상부에는 상하로 스트로크 운동하기 위한 충분한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다.
(b)는 후륜(27)이 노면(R)으로부터 상향의 충격력을 받았을 때의 자동 이륜차 후측부의 자세를 도시하는 것이고, 주행중에 노면(R)의 요철 등에 의해 후륜(27)에 상향의 충격력이 걸리면 후륜(27)이 상향으로 이동하며, 후륜(27)의 차 축(82)은 피봇 축(24)을 중심으로 화살표(85)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동시에, 동력 전달 기구(26)의 후측부(26c)와 시트 레일(21) 사이를 연결하는 리어 쿠션 유닛(29)이 줄어들음으로써 충격력을 흡수한다.
이 때, 후륜(27)의 상부에는 상하로 스트로크 연동하기 위한 충분한 스페이스(S)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후륜(27)의 스트로크를 크게 취할 수 있다.
추가로, 동력 전달 기구(26)에 구비하는 드라이브 축(93)과 드리븐 축인 출력 축(81)을 연결하는 선(95)보다 아래쪽에 후륜(27)의 차 축(82)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후륜(27)의 스트로크를 더 크게 취할 수 있는 동시에 휠베이스(WB)가 길어지지는 않는다.
이상에 진술한 자동 이륜차의 작용을 다음에 진술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수납실(51)에는 운전자(D)가 앉는 운전자 시팅 포인트(63)보다 전방에 제1 헬멧 수납실(65)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제1 헬멧 수납실(65)을 피해 운전자 시팅 포인트(63)를 설치할 수 있다.
제1 헬멧 수납실(65)을 피해 운전자 시팅 포인트(63)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용 시트(48)의 지상 높이를 올릴 필요는 없다.
운전자용 시트(48)의 지상 높이를 올릴 필요는 없기 때문에 운전자(D)의 발 디딤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동승자(P)가 앉는 동승자 시팅 포인트(64)보다 후방에 제2 헬멧 수납실(66)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제2 헬멧 수납실(66)을 피해 동승자 시팅 포인트(64)를 설치할 수 있다.
제2 헬멧 수납실(66)을 피해 동승자 시팅 포인트(64)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동승자용 시트(49)의 지상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동승자용 시트(49)의 지상 높이를 억제할 수 있고, 후륜(27)의 대직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에서 제1 헬멧 수납실과 제2 헬멧 수납실 사이를 연통하는 중간실은 설치하더라도 좋고, 설치하지 않더라도 지장없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에 적합하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수납실에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자 시팅 포인트보다 전방에 제1 헬멧 수납실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제1 헬멧 수납실을 피해 운전자 시팅 포인트를 설치할 수 있다. 제1 헬멧 수납실을 피해 운전자 시팅 포인트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운전자용 시트의 지상 높이를 높일 필요는 없고, 운전자의 발 디딤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헬멧 수납실을 운전자가 앉는 운전자 시팅 포인트보다 전방에 설치하는 동시에, 제2 헬멧 수납실을 동승자가 앉는 동승자 시팅 포인트보다 후방에 설치하였다.
동승자가 앉는 동승자 시팅 포인트보다 후방에 제2 헬멧 수납실을 설치하였 기 때문에 제2 헬멧 수납실을 피해 동승자 시팅 포인트를 설치할 수 있다.
제2 헬멧 수납실을 피해 동승자 시팅 포인트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동승자용 시트의 지상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서는, 수납실은 제1 헬멧 수납실과 제2 헬멧 수납실 사이를 연통하는 중간실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긴 물체가 수납 가능해진다.
추가로, 중간실의 아래쪽에 연료 분사 장치, 스로틀 보디, 및 에어클리너를 구비함으로써, 흡기 계통의 부품을 통합하여 배치할 수 있다. 흡기 계통의 부품을 통합하여 배치함으로써, 한정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효율적인 부품의 배치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중간 바닥면을 구성하는 후 바닥면을 전 바닥면보다 높이는 동시에 후 바닥면의 아래쪽에 후륜을 배치함으로써, 보다 대직경의 후륜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는, 예컨대 스트로크가 긴 리어 쿠션을 이용함으로써, 후륜의 높이 방향의 스트로크를 길게 하면서 대직경의 후륜을 수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제1 헬멧 수납실과 제2 헬멧 수납실 사이를 연통하는 중간실을 설치하고, 수납실의 전단부는 실린더 헤드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며, 수납실의 후단부는 후륜의 차 축보다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수납실은 엔진의 전방으로부터 동력 전달 기구의 후방까지를 덮도록 배치하게 된다.
수납실은 엔진의 전방으로부터 동력 전달 기구의 후방까지를 연통하여 덮게 되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긴 물체의 수납이 가 능해진다.

Claims (4)

  1. 탠덤 시트의 아래쪽에 2개의 헬멧을 수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수납실을 구비하고, 이 수납실은 전후로 2개의 헬멧 수납실을 구비하며, 이들의 헬멧 수납실을 제1 헬멧 수납실과 제2 헬멧 수납실로 하고, 상기 제1 헬멧 수납실을 운전자가 앉는 운전자 시팅 포인트보다 전방에 구비한 저상식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제2 헬멧 수납실은 동승자가 앉는 동승자 시팅 포인트보다 후방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에는, 상기 제1 헬멧 수납실과 상기 제2 헬멧 수납실 사이를 연통하는 중간실을 설치하고, 이 중간실의 아래쪽에 연료 분사 장치, 스로틀 보디, 및 에어 클리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에는, 상기 제1 헬멧 수납실과 상기 제2 헬멧 수납실 사이를 연통하는 중간실을 설치하고, 이 중간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중간 바닥면에 단부를 구비하며, 이 단부의 전측의 면을 전 바닥면, 후측의 면을 후 바닥면이라고 할 때, 후 바닥면을 상기 전 바닥면보다 높이는 동시에 상기 후 바닥면의 아래쪽에 후륜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에는, 상기 제1 헬멧 수납실과 상기 제2 헬멧 수납실 사이를 연통하는 중간실을 설치하고,
    상기 수납실의 전단부는 실린더 헤드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납실의 후단부는 후륜의 차 축보다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KR1020060076172A 2005-08-31 2006-08-11 자동 이륜차 KR100781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52433 2005-08-31
JP2005252433A JP4580314B2 (ja) 2005-08-31 2005-08-31 自動二輪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012A true KR20070026012A (ko) 2007-03-08
KR100781622B1 KR100781622B1 (ko) 2007-12-05

Family

ID=3719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172A KR100781622B1 (ko) 2005-08-31 2006-08-11 자동 이륜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759974B1 (ko)
JP (1) JP4580314B2 (ko)
KR (1) KR100781622B1 (ko)
CN (1) CN100465050C (ko)
DE (1) DE602006015396D1 (ko)
ES (1) ES2347268T3 (ko)
TW (1) TW2007266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21981A1 (de) 2008-05-02 2009-11-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Zweirad, insbesondere Motorroller bzw. Motorrad
JP5235797B2 (ja) * 2009-06-22 2013-07-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ロットルボディのカプラ配置
JP5546878B2 (ja) * 2010-01-19 2014-07-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6001892B2 (ja) * 2012-03-22 2016-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フレーム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7985C2 (de) * 1980-12-19 1985-10-10 Walter 6000 Frankfurt Röder Sitzbank für Motorräder od. dgl.
JPH0746617Y2 (ja) * 1987-04-27 1995-10-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TW446664B (en) * 1999-05-25 2001-07-21 Honda Motor Co Ltd Scooter type motorcycle
JP4447695B2 (ja) * 1999-08-31 2010-04-0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収納装置
JP4423724B2 (ja) * 2000-02-07 2010-03-03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
JP4395960B2 (ja) * 2000-02-16 2010-01-13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荷物収納室
JP4327342B2 (ja) * 2000-09-07 2009-09-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4108290B2 (ja) * 2001-03-28 2008-06-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後部構造
JP4381768B2 (ja) * 2003-10-10 2009-12-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収納装置
JP4243162B2 (ja) * 2003-10-15 2009-03-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軽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59974A2 (en) 2007-03-07
DE602006015396D1 (de) 2010-08-26
ES2347268T3 (es) 2010-10-27
EP1759974B1 (en) 2010-07-14
CN100465050C (zh) 2009-03-04
JP2007062611A (ja) 2007-03-15
TWI296595B (ko) 2008-05-11
TW200726692A (en) 2007-07-16
JP4580314B2 (ja) 2010-11-10
CN1923599A (zh) 2007-03-07
KR100781622B1 (ko) 2007-12-05
EP1759974A3 (en) 200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4993B (zh) 摩托车
JP4546352B2 (ja) 揺動三輪車
EP1792817B1 (en) A motorcycle
US7681678B2 (en) Motorcycle
JP4391756B2 (ja) 自動二輪車の燃料ポンプ配置構造
CN101219691B (zh) 两轮或三轮机动车辆
KR20050031878A (ko) 자동이륜차의 배기 제어장치
EP1783040B1 (en) Straddle-type vehicle
KR100781622B1 (ko) 자동 이륜차
US7490693B2 (en) Grab rail and muffler support structure
US20020053584A1 (en) Container box structure in two-wheeled motor vehicle
KR100489773B1 (ko) 자동 이륜차용 차체 프레임 구조
JP2002235535A (ja) スクータ型車両の排気ガス浄化装置
CN101289109A (zh) 摩托车
JP2006316782A (ja)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JP5088088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吸気装置
JP4999450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リザーブタンク配置構造
JP5150441B2 (ja) 自動二輪車
JP4112887B2 (ja) 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取付構造
JP2006213083A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ガード構造
JP4546003B2 (ja) 自動二輪車
JP2002205675A (ja) 自動二輪車
JP2003072617A (ja) 自動二輪車のヘッドライト
JP4499640B2 (ja) 低床式の自動二輪車
JP5801142B2 (ja) 自動二輪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