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626A -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의 설계 및 컴포넌트 - Google Patents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의 설계 및 컴포넌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626A
KR20070024626A KR1020067026973A KR20067026973A KR20070024626A KR 20070024626 A KR20070024626 A KR 20070024626A KR 1020067026973 A KR1020067026973 A KR 1020067026973A KR 20067026973 A KR20067026973 A KR 20067026973A KR 20070024626 A KR20070024626 A KR 20070024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anode plate
porous
electrochemical power
pow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2045B1 (ko
Inventor
콩후아 왕
Original Assignee
사르노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르노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사르노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24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4Carbonace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06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06Metals or alloys
    • H01M8/0208Alloys
    • H01M8/021Alloys based on ir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8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2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41Composites
    • H01M8/0245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01M8/0254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corrugated or undul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01M8/0256Vias, i.e. connectors passing through the separato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특히, 제공되는 이온-전도성 막 어셈블리는, 다공성 코어 및 그 사이에서 상기 다공성 코어를 샌드위칭하는 두 개의 이온-전도성 막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다공성 코어는 이온-전도성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의 설계 및 컴포넌트{ELECTROCHEMICAL POWER SOURCE DESIGNS AND COMPONENTS}
본 발명은 특히, 적층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들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들 및 다른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들 및 연료 전지들에 사용되는 소자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가역 연료 전지(reversible fuel cell)들 및 유동 배터리(flow battery)와 같은 다른 전기화학적 시스템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적층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 FCS가 도 1a에 도시된다. 기본적인 부재는 막-전극 어셈블리(1)로 구성된 연료 전지(5), 막 전극 어셈블리(10)의 한쪽 측면상의 캐소드 챔버 및 다른 한쪽 측면상의 애노드 챔버이다. 이러한 챔버들은 도시된 밀봉부(2) 내에 제공된다. 이러한 연료 전지(5) 부재들 사이에는 양극 플레이트(bipolar plate)들(3)이 존재한다. 양극 플레이트들은 상기 적층된 연료 전지들(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종종 부가적인 냉각 플레이트들(6)은 열 소실을 개선하기 위하여 통합된다. 상기 도면에서, 적층물은 2개의 단부에서 단부 플레이트들(4)에 의하여 밀폐된다. 연료 전지는 도 1b에서 따로 분리하여 도시된다. 막 전극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전해물(16)(폴리머 전해질 막 또는 알카라인 전해질과 같은) 및 전극들(17) 및 확산층들(7)을 포함한다. 전극들은 일반적으로 지지 재료 (supporting matrial) 및 귀금속, 전이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촉매를 포함한다.
연료 전지들에 사용되는 이온-전도성 막들은 일반적으로 95 ℃ 이하의 온도에서 작동하며, 연료로서 순수한(clean) 수소를 사용한다. 몇몇 막들은 메탄올 연료를 이용하여 작동하지만, 막들을 통한 만족하지 않은 메탄올의 침투를 가지며(메탄올 크로스-오버(cross-over)), 이것은 에너지 효율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수소 연료 전지에 대하여 더 높은 온도에서(120~200℃) 작동하거나, 또는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들에 대하여 낮은 메탄올 크로스오버 비율을 갖는 새로운 막들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 문제점들을 처리하는 이온-전도성 막들을 위한 설계를 제공한다.
촉매-지지 재료들은 일반적으로 촉매 입자들을 지지하고, 촉매 입자들로부터 가스 확산층, 양극 플레이트, 상기 적층물의 다음 전지로 전자들을 전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카본 블랙(Carbon black)은 보통은 지지 재료로서 사용되나, 일관적으로 카본 블랙을 처리하는 것은 어려우며, 카본 블랙의 전자 전도성은 충분치 않다. 본 발명은 특히, 전기적 결합을 개선하는 촉매 지지층들에 대한 설계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양극 플레이트들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이어야 하지만 분리된 연료 전지들로부터의 반응물의 이동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 종종 흑연 플레이트들이 사용되나, 그러한 플레이트들은 고가이며, 그것들의 기계적인 강도는 희망하는 것보다 낮다. 금속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금속 플레이트들은 대개 부식되기 쉽다. 금 및 개발된 신종 금속성 재료들은 더 나은 화학적 저항성을 가지나, 부식 저항적 금속 재료들의 비용은 비싸다. 또한, 양극 플레이트들의 표면 특성 및 전기적 유동 필드는 연료 전지들, 유동 배터리들 및 기타 같은 종류의 것의 성능에 중요하다. 본 발명은, 특히, (ⅰ)이러한 문제점들을 처리하는 양극 플레이트들을 위한 설계 및 (ⅱ)새로운 양극 플레이트들을 위한 가스 확산층들의 설계를 제공한다.
확산층들은 다공성 구조를 가지고 전기적으로 전도성이어야 한다. 또한, 내부 전원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확산층들과 전극들 사이의 또는 확산층들과 양극 플레이트들 사이의 전기 접촉 저항은 최소화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특히, 낮은 접촉 저항력을 허용하는 확산층들을 제공한다.
차, 트럭, 트랙터 및 기타 같은 종류의 것 또는 라디오, 핸드폰, 미디어 플레이어 및 기타 같은 종류의 것과 같은 이동성 및 휴대용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수소 연료 전지들의 사용을 위하여, 높은 연료 농도를 갖는 수소 연료의 소스가 유용할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고 농도 수소 소스를 제공하기 위한 설계 및 완전한 연료 전지 전원 시스템으로 수소 소스를 통합하기 위한 설계를 제공한다.
상기 개시된 설계들은 제작 비용을 줄이고, 연료 전지 효율을 증가시키며, 연료 전지 무게 또는 체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이온-전도성 막 어셈블리는, 다공성 코어; 및 상기 다공성 코어를 샌드위칭하는 두 개의 이온-전도성 막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다공성 코어는 이온-전도성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온-전도성 막은 예를 들어, 30℃ 내지 200℃ 또는 110℃ 내지 200℃에서 동작하는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에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공성 전극은, 다공성의 전도성 매트릭스; 상기 다공성의 전도성 매트릭스에 의해 지지되는 탄소 나노-튜브(nano-tube); 및 상기 탄소 나노-튜브들 상에 증착된 전극 촉매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적층된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어셈블리는: 두 개 이상의 전기화학적 전지들; (ⅰ)금속층 및 전도성 비아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항층들 -상기 비아들은 상기 저항층(들)을 관통함- 을 포함하거나, (ⅱ)본질적으로 (1)전도성 비아들을 포함하는 저항층 -상기 비아들은 상기 저항층을 관통함- 을 포함하는 코어 및 (2)상기 저항층의 두 개의 기본 표면(primary surface)들 상의 금속 코팅으로 구성된, 두 개의 전기화학적 전지들 사이의 양극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질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은 아이템(1) 및 (2)에 적용되나, 아이템(1)은 예를 들어 그것의 특징들을 포함한다. 그것이 표면층일 경우, "저항성"층은 적층된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에 대하여 적당한 수명을 허용할 수 있는 통합된 전기화학적 전지와의 접촉으로 인한 부식에 충분히 저항적이다. 내부에서, "저항성"층은 충분한 전기 전도성을 갖지 못하여 비아들이 전원 소스로서의 기능을 개선한다. 이러한 저항성 층들은 유전체로 여겨지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필수적이지는 않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어셈블리는: 두 개 이상의 전기화학적 전원 전지들; 상기 두 개의 전기화학적 전원 전지들 사이의 양극 플레이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화학적 전원 전지들에 대하여, 상기 전기화학적 전원 전지의 이온-전도성 막과 상기 양극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확산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확산층은: 적어도 하나의 주요 표면상에 카본 블랭킷보다 큰 전도성 용량을 갖는 전도성 영역들의 패턴을 갖는 상기 다공성 탄소 블랭킷(blanket)을 포함하며, 상기 영역은 상기 양극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양극 플레이트는 상기 확산층의 전도성 영역들과 접촉하고 정렬되도록 구성된 전기 접촉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고체 수소 소스는: 착수소화물(complex hydride) 및 활성 금속(active metal)의 혼합물, 입구(inlet) 채널 및 배출구(outlet) 채널을 포함하는 용기(vessel); 및 착수소화물/금속 혼합물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 히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체 수소 소스들은 요구가 있는 즉시 수소를 생성하기 위하여 물의 소스 사이에 하나 이상의 밸브(valve)들을 갖는 도관(conduit)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연료 전지 적층의 기초적인 부재들을 도시한다.
도 2 및 3은 하이브리드(hybrid) 이온-전도성 막들의 부재들을 도시한다.
도 4 및 5는 전극 구조들을 도시한다.
도 6a 및 6b는 양극 플레이트들을 도시한다.
도 7a 7b, 8, 9, 및 10은 양극 플레이트들을 도시한다.
도 11a 및 11b는 확산층을 도시한다.
도 12는 고체 수소 소스를 도시한다.
도 2는 다공성 코어(112)를 샌드위칭하는 이온-전도성 막(111)의 층들을 갖는 하이브리드 이온-전도성 막 어셈블리(100)를 도시한다. 하나의 샌드위칭된 다공성 코어가 많은 실시예들에 적합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그 이상도 가능하다. 작동에 있어서, 다공성 코어(112)는 산성 수용액(acid aqueous solution)과 같은 전해질 용액에 적셔진다. 이온-전도성 막(111)은 예를 들어, 나피온(Nafion, 두폰사로부터 제공 가능함) 또는 기타 같은 종류의 것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재료는 예를 들어, 석영, 유리, 세라믹 또는 금속일 수 있다. 유리 또는 석영이라면, 이것은 동공(pore)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에칭될 수 있으며, 또는 이것은 유리 섬유 블랭킷, 옷감 또는 종이일 수 있다. 다공성 코어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내지 2000 미크론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두께는 다음의 하위 엔드포인트(endpoint)들 중 하나(포괄적인) 또는 다음의 상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일 수 있다. 하위 엔드포인트들은 10, 20, 50, 100, 200, 400, 800, 1,200, 1,600 및 2,000 미크론이다. 상위 엔드포인트들은 20, 50, 100, 200, 400, 800, 1,200, 1,600, 2,000 및 5,000 미크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두께는 50 내지 200 미크론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동공 크기는 다음의 하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 또는 다음의 상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일 수 있다. 하위 엔드포인트들은 5, 10, 20, 50, 100, 200, 400 및 800nm 및 1, 5, 10, 20, 30, 50 및 100 미크론이다. 상위 엔드포인트들은 10, 20, 50, 100, 200, 400 및 800nm 및 1, 5, 10, 20, 30, 50, 100 및 200 미크론이다.
도 3은 하이브리드 이온-전도성 막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의 단면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관찰을 위하여 확대된 단면은 도 2에 나타난다(도면의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단지 상기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이온-전도성 막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실시예는 기본 동공들(214) 및 중앙 동공들(215)을 갖는다. 기본 및 중앙 동공들은 전체 코어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거기에는 구조적 또는 충전 컴포넌트(213)가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중앙 동공 크기는 다음의 하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 또는 다음의 상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일 수 있다. 하위 엔드포인트들은 5, 10, 20, 50, 100, 200, 300 및 400nm이다. 상위 엔드포인트들은 20, 50, 100, 200, 300, 400 및 500nm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보다 큰 동공들(예컨대, 기본 동공들(214))을 위하여, 상기 동공 크기는 다음의 하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 또는 다음의 상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일 수 있다. 하위 엔드포인트들은 100, 200, 400 및 800nm 및 1, 5, 10, 20 및 30 미크론이다. 상위 엔드포인트들은 200, 400 및 800nm 및 1, 5, 10, 20, 30, 50, 100 및 200 미크론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이브리드 막에서 폴리머층들의 두께는 다음의 하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 또는 다음의 상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일 수 있다. 하위 엔드포인트들은 0.1, 0.2, 0.5, 1, 2, 5 및 10 미크론이다. 상위 엔드포인트들은 0.2, 0.5, 1, 2, 5, 10 및 20 미크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두께는 0.5 내지 2 미크론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이브리드 이온-전도 성 막 어셈블리의 전체 두께는 다음의 하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 또는 다음의 상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일 수 있다. 하위 엔드포인트들은 1, 5, 10, 20, 50, 100 및 200 미크론이다. 상위 엔드포인트들은 25, 50, 100, 200, 500 및 1,000 미크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두께는 25 내지 100 미크론일 수 있다.
액체 전해질이 폴리머 전해질보다 매우 높은 전도성을 갖기 때문에, 도 2 및 도 3의 하이브리드 이온-전도성 막 어셈블리 실시예들은 높은 전해질 전도성을 제공한다. 또한, 다공성 코어 기판에서 액체 전해질을 갖는 박막 폴리머 전해질의 직접 접촉은 막을 젖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물의 폴리머 막으로의 이동을 개선하고, 물의 처리를 단순화한다. 막 폴리머가 가늘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의 전기적 저항력은 감소되고, 따라서 높은 온도에서의 작동을 위해 설계된 막들의 낮은 전도성을 이용하여 문제점을 극복한다. 유사하게, 메탄올 또는 전통적으로 낮은 양자 전도(transmission)를 갖는 다른 유기화합물의 낮은 전도성을 이용하여 막들은 유용한 낮은 유기화합물 전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얇아질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이브리드 이온-전도성 막 어셈블리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작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는 다음의 하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 또는 다음의 상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일 수 있다. 하위 엔드포인트들은 10, 25,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및 150 ℃이다. 상위 엔드포인트들은 90, 100, 110, 120, 130, 140, 150, 180 및 200℃이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는 110 내지 180℃ 또는 110 내지 20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이브리드 이온-전도성 막 어셈블리는 수소-할로겐 배터리와 같은 가역 연료 전지에서 사용된다. 낮은 할로겐 크로스오버 비(crossover rate) 폴리머 막은 높은 양자 전도성 및 낮은 할로겐 크로스오버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막에서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이브리드 막 어셈블리는 폴리황화물 나트륨(sodium polysulfide) 및 바나듐계 레독스(vanadium redox) 유동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다. 황 및 브로민 이온들의 낮은 크로스오버와 같이 전해질 용액에서 컴포넌트들의 낮은 크로스오버를 갖는 폴리머 막은 높은 활성화 이온(나트륨 이온 또는 양자와 같은) 전도도 및 다른 컴포넌트들의 낮은 크로스오버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막에서 사용된다.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전극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탄소 나노-튜브 함유 전극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확산층(171)과 같은 다공성 지지 매트릭스의 표면상에 첨부되는 탄소 나노-튜브들(173) 상에 전극 촉매를 증착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나노-튜브 함유 전극을 만들기 위하여, 예를 들어, 제1 탄소 나노-튜브 형성 촉매가 지지 매트릭스(171)상에 증착될 수 있다. 그 후 탄소 나노-튜브들(173)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6,692,717호에 기재된 조건들을 사용한 탄소-함유 분위기 및 높여진 온도를 사용하여 매트릭스상에 성장된다. 전극 촉매는 그 후 탄소 나노-튜브들상에 증착될 수 있다. 탄소 나노-튜브들의 높은 표면 영역 및 높은 전자 전도성은 전극 성능을 현저히 개선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나노-튜브 형성 촉매는, 예를 들어, Ni, Co, Fe, Cr, V, Mn과 같은 전이 금속 또는 Pt, Cd, Ag, Ru와 같은 귀금속 또는 그 합금들이다. 촉매는 예를 들어 진공 증착 및 다른 물리적 프로세스들 또는 졸-겔(sol-gel) 및 다른 습성 화학 프로세스들에 의하여 증착될 수 있다. 나노-튜브 형성 촉매는 또한 실리콘의 촉매 입자들(1998년 10월 29일 Nature Vol.395, pp.878-881에 의해 기술된 프로세스와 같은) 또는 SiC일 수 있다. Si 및 SiC 입자들은 화학 기상 증착에 의해, 또는 높여진 온도에서 증착된 실리콘과 지지 매트릭스(171)에서의 흑연과의 반응에 의해 증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나노-튜브 함유 전극은 유동 배터리 및 가역 연료 전지들에 사용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나노-튜브 함유 전극은 유동 전극 또는 가역 연료 전지에 사용된다. 특히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나노-튜브들(217-2)을 지지하는 전극 촉매는 매트릭스 섬유(matrix fiber)들(217-1)로부터의 지지를 이용하여 매트릭스 지지 매트릭스(217) 내에 그리고 지지 매트릭스(217) 상에 순조롭게 정착될 수 있다(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3-차원 복합 구조). 이러한 3-D 복합 전극 구조는 촉매 지지를 위한 높은 표면 영역 및 다공성 지지 매트릭스를 통한 액체 전해질 용액의 대량 이동을 위한 큰 동공들 모두를 제공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양극 플레이트(30)는 금속성 코어(31), 양극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전기적 결합을 위한 전도성 비아들(32) 및 저항층(33)(도 6a)을 갖는다. 금속성 코어층은 예를 들어, 고밀도의, 다공성일 수 있으며, 또는 조밀한 내부 코어를 갖는 다공성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저항층은 부식에 대항하는 금속 코어의 강도 및/또는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전도성 비아들의 외부 단부(32)는 금과 같은 부식-저항성 금속 재료로 선택적으로 코팅된다(미도시).
또는, 도 6b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양극 플레이트의 표면은 양극 플레이트의 표면 전도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부식-저항성 전도성 재료의 층(134)으로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다. 부식 저항성은 양극 플레이트에 대해 예상되는 작업 환경에서 저항성이다. 부식-저항성 전도성 재료는 예를 들어, 백금, 금, 적합한 합금들, 탄소(흑연) 및 기타 같은 종류의 것들일 수 있다.
금속 코어의 두께 범위(상기 표면 스케일 이하의)는, 예를 들어, 다음의 하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 또는 다음의 하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일 수 있다. 하위 엔드포인트들은 20, 50, 100, 200 및 500 미크론(㎛)이다. 상위 엔드포인트들은 200, 500, 1000, 2000 및 3000 미크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두께는 100 내지 300 미크론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비아(32)는 예를 들어, 원형의, 정사각형의 또는 예컨대 10 내지 10,000 미크론(㎛)에 대한 횡단면 치수를 갖는(보다 큰 치수에서) 다른 횡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횡단면 치수는, 예를 들어 다음의 하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 또는 다음의 상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일 수 있다. 하위 엔드포인트들은 10, 25, 50, 100, 200, 500 및 1,000 미크론(㎛)이다. 상위 엔드포인트들은 50, 100, 200, 500, 1,000, 2,000, 3,000 및 4,000 미크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횡단면 치수는 25 내지 500 미크론 또는 100 내지 500 미크론일 수 있다. 전도성 비아(32)의 높이는 저항층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높을 수 있다. 저항층의 표면상으로 연장하는 비아는 상기 적응에서 낮은 전기 함유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비아는 상부에 부식 저항 재료(외부 단부들과 인접한) 또는 금속성 코어와의 접촉을 용이하기 하기 위한 본딩층과 같이 상이한 구획에서 상이한 재료들을 사용할 수 있다. 비아들의 양은 전지 작동 전류 밀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유동 배터리들과 같은 낮은 작동 전류 밀도에서, 수 제곱 센티미터의 하나의 비아가 있을 수 있다. 고 전력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들과 같은 높은 작동 전류 밀도에서, 제곱 센티미터인 수 백개의 비아들이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비아들은 그것이 관통하는 저항층의 체적의 50% 이하, 40% 이하, 30% 이하, 20% 이하, 10% 이하, 5% 이하, 2% 이하, 1% 이하, 0.5% 이하이다.
상기 저항층 두께는 저항성 코팅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저항층 두께는 다음의 하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 또는 다음의 상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일 수 있다. 하위 엔드포인트들은 0.1, 1, 10 및 50 미크론(㎛)이다. 상위 엔드포인트들은 10, 20, 50, 100, 500 및 2000 미크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두께는 5 내지 50 미크론(㎛)일 수 있다.
상기 양극 플레이트 전체 두께의 범위는, 예를 들어 다음의 하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 또는 다음의 상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일 수 있다. 하위 엔드포인트들은 10, 50, 100, 200 및 500 미크론(㎛)이다. 상위 엔드포인트들은 200, 500, 1000, 2000 및 5000 미크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두께는 100 내지 300 미크론일 수 있다.
상기 저항층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인지되는 조건하에서 금속층의 반응에 의하여 조밀한 박막 표면 스케일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하게 조밀한 표면 스케일을 형성하는 금속들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 또는 티타늄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전도성 비아들은 표면 스케일 코팅을 형성하기에 앞서 전도성 비아 재료의 스팟-증착(spot-depositing)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팟-증착 프로세스는 프린팅(printing), 전기 도금, 스퍼팅(spurting) 및 기타 같은 종류의 단계일 수 있다. 조밀한 표면 스케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금속 코어는 예를 들어, 산소 또는 질소 분위기에서 100℃ 내지 1300℃와 같은 적당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항층은 두꺼운 필름 프로세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저항 테이프(tape)이 형성되고 작은 홀(hole)들이 전도성 비아들을 위하여 테이프 상에 펀칭(punch)된다. 그 후, 저항성 테이프는 금속 코어 플레이트상에 적층된다. 전도성 비아들은 적층 전 또는 후에 저항성 테이프상에 홀들로 인가될 수 있다. 전도성 비아 재료를 적용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스크린 프린팅, 충전 및 기타 같은 종류의 단계일 수 있다. 저항성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머 또는 세라믹(유리 세라믹을 포함하는)일 수 있다. 세라믹 저항성 재료의 경우에, 세라믹층은 녹색 테이프로서 적층되고, 그 후 저항층을 획득하는 녹색 테이프의 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고온에서 금속 코어와 함께 열처리될 수 있다. 세라믹 저항층을 금속 코어 플레이트상에 인가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미국 특허 제 5,581,876호, 제5,725,808호, 제5,747,931호, 제6,140,79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저온 소성 세라믹 금속 기판(LTCC-M: Low-Temperature Co-fired Ceramic-on Metal) 기술을 이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금속 코어층은 다공성(조밀한 내부 코어를 갖는 다공성 표면을 포함하는)이며, 저항층은 박막이다. 저항층은 부식에 대항하는 금속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체 표면(상기 다공성 금속층의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을 코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극 플레이트는 물결 모양으로 주름 잡힐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비아들(432)은 양극 플레이트(431)의 높은 포인트들에 있고(또는 하부 측면상의 낮은 포인트들), 따라서 전극들 또는 연료 전지들, 배터리들 및 기타 같은 종류의 것들의 확산층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물결 모양으로 주름 잡힌 양극 플레이트들은 유동성(연료 전지들을 위한 가스 및 유동 배터리들을 위한 액체를 포함하는) 수송을 위한 채널들을 제겅하기 위하여 모양 지어진 물결 주름들을 가질 수 있다. 물결 주름의 형태 및 치수는 연료 전지들, 유동 배터리들 및 기타 같은 조율의 것을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상기 물결 주름의 형태는 모나거나(직선 또는 구부러진 구획들을 갖는) 또는 구부러지거나 또는 섬(또는 반도형의 돌기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양극 플레이트의 지정된 측면, 또는 양쪽 측면들상에서, 범프-투-범프(bump-to-bump) 거리는 다음의 하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 또는 다음의 상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일 수 있다. 하위 엔드포인트들은 0.02, 0.04, 0.06, 0.08, 0.1, 0.2, 0.4, 0.6, 0.8, 1.0, 1.5, 2.0, 2.5, 3.0, 3.5, 4.0 및 4.5 mm이다. 상위 엔드포인트들은 0.04, 0.06, 0.08, 0.1, 0.2, 0.4, 0.6, 0.8, 1.0, 1.5, 2.0, 2.5, 3.0, 3.5, 4.0, 4.5 및 5.0 mm이다. 예를 들어, 상기 거리는 0.02 내지 5 mm 또는 0.1 내지 2 mm일 수 있다. "물결 주름"은 양극 플레이트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전반적인 형태상에 높고 낮은 스팟들의 임의의 패턴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7a의 삽입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 모양 영역의 표면상에 내장된 마이크로-채널들 또는 구멍(pit)들(437)이 있을 수 있다. 마이크로-채널들 또는 구멍들(437)은 상기 물결 주름 상에 물 응결이 전개되도록 구성되고 맞추어 만들어진다. 마이크로-채널들 또는 구멍들은 물결 주름들을 따라 가스를 차단하는데 효과적인 크기의 물방울들의 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즉, 물결 주름들에 의해 형성된 채널들에서). 마이크로-채널들 또는 구멍들(437)의 형태는 예를 들어, 원형의, 정사각형의 또는 예커대 1 내지 500 마이크론(㎛)의 치수들(더 큰 치수에서)을 갖는 다른 횡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횡단면 치수(폭)은 예를 들어, 다음의 하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 또는 다음의 상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일 수 있다. 하위 엔드포인트들은 1, 5, 50 및 100 미크론(㎛)이다. 상위 엔드포인트들은 50, 100, 200 및 500 미크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횡단면 치수는 25 내지 100 미크론 또는 50 내지 200 미크론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마이크로 채널들은 도 9에 도시된 채널들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금속 시트의 두 개 이상의 조각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로우 코어(hollow core)(739)를 형성하기 위하여 용접될 수 있으며 또는 그 반대로 본딩되거나(bonded) 함께 결합(joined)될 수 있다. 할로우 코어의 채널들은 양극 플레이트를 위한 열 교환 채널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물과 같은 열 교환 매체는 연료 전지, 유동 배터리 적층 또는 그런 종류의 다른 것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할로우 코어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두 개의 조각들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성 코어를 형성하는 본딩된 금속 서브파트(subpart)들은 "금속층"일 수 있다.
두꺼운 필름 저항 표면 코팅을 사용하는 일 실시예에서, 양극 플레이트는 도 9(확산층(270)을 포함하는)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또는 다른 유동체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예를 들어, 매니폴드(manifold)로서 동작하는) 저항층(233)의 채널들(235)을 통합할 수 있다. 채널들(235)은 저항성 테이프가 금속 코어층에 적층되기 전 또는 후에 양각(embossing) 또는 그런 종류의 다른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양극 플레이트의 표면은 도 6b에 도시된 덮개와 유사하게 도체로 덮일 수 있고, 도체 표면은 채널-형성 윤곽(contour)을 따른다.
두꺼운 필름 저항성 표면층을 사용한 일 실시예에서, 양극 플레이트는 도 10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층(231 또는 535)과 금속 코어층(331 또는 534) 사이에 열 교환 채널들(336 또는 536)을 동봉할 수 있다. 물과 같은 열 교환 매체는 연료 전지, 유동 배터리 적층 또는 그런 종류의 다른 것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이러한 동봉된 채널들을 통해 흐를 수 있다.
열 교환 채널들(336)은 예를 들어, 저항성 재료를 인가하기에 앞서 금속성 코어를 형상화하는 단계, 그 후 동시에 채널들을 형성하도록 저항층을 인가하는 단계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열 교환 채널(536)은 예를 들어, 도관(536)을 유지하기 위하여 금속상에 저항성 테이프(535)의 제어된 적층에 의하여, 또는 흑연 또는 폴리머 파우더와 같은 가연성 재료를 도관들(536)의 위치로 인가하는 단계, 저항성 테이프(535)를 적층하는 단계(세라믹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및 도관들(536)을 깨끗이 하기 위하여 적층을 열처리하는 단계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플레이트는 저항층(633)을 갖고, 그것의 코어는 양쪽 측면들 상에 얇은 금속 포일(foil)을 가지며, 전도성 비아들(632)이 저항성 코어층(633)을 관통하여, 양극 플레이트를 통하여 전기적 결합을 개설한다. 표면 금속 포일(634)은 균일한 덮개일 수 있으며, 또는 다양한 전도성 비아들(632)을 결합하기 위하여 표면상에 패터닝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물결 모양의 양극 플레이트로 도시되는 반면, 평평한 양극 플레이트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세라믹 코어(633)의 두께의 범위는 다음의 하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 또는 다음의 상위 엔드포인트들 중 하나(포괄적인)일 수 있다. 하위 엔드포인트들은 50, 100, 200, 500 미크론(㎛)이다. 상위 엔드포인트들은 50, 100, 200, 500 및 1000 미크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두께는 10 내지 50 미크론 또는 100 내지 500 미크론일 수 있다. 표면 금속 포일(634)은 특정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의 부식을 억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금속성 재료들은 금, 백금, 적합한 합금들 및 기타 같은 종류의 것을 포함한다. 양극 플레이트의 다른 컴포넌트들과의 조합에 있어서, 금속 포일 (634)은 캐소드 및 애노드 챔버들의 반응물 및 생성물을 분리하기에 충분한 두께이다.
도 11a 및 11b는 다공성 탄소 매트릭스 시트(71) 및 접촉 영역들(72)로 이루어진 확산층(17)을 도시한다. 이러한 접촉 영역들(72)은 매트릭스 시트보다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다. 연료 전지 및 유동 배터리 어셈블리에 있어서, 이러한 접촉 영역들은 전체 시스템의 전기적 완전성(integrity)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기 전도성 비아들들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영역들(72)은 원형, 정사각형 또는 다른 형태를 갖는 도트(dot)들일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양극 플레이트들의 전체 접촉 영역을 매칭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라인 또는 스트립(도면에 미도시)일 수 있다. 이러한 낮은 접촉 저항 확산층은 연료 전지들, 유동 배터리들 및 기타 같은 종류의 것의 종래 흑연 기반 양극 플레이트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접촉 영역들에 의해 사용된 확산층의 겉면의 표면 영역은 50% 이하, 40% 이하, 40% 이하, 20% 이하, 10% 이하 또는 5% 이하이다.
상기 확산층의 주 표면 치수들은 대응하는 전극 및 양극 플레이트의 그것과 동일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확산층들은 더 작은 스트립들일 수 있으며, 양극 플레이트들 상에 정렬되고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영역들(72)은 매트릭스의 그것보다 조밀한 구조(낮은 다공성)를 갖는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거나, 높은 전도성, 화학적 안정성, 강한 접착력 또는 그런 종류의 다른 것과 같은 더 나은 성능을 갖는 다른 재료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영역들은 예를 들어, 전도성 잉크를 인가하는 단계 및 전도성 잉크를 유효한 도체로 소결시키기 위하여 전도성 잉크를 가열하는 단계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인가 프로세스는 프린팅, 진공 증착, 전기 도금 및 기타 같은 종류의 것일 수 있다. 접촉 영역들의 질량 및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필수적이라면,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은 필요한 횟수만큼 반복될 수 있다. 전극 또는 양극 플레이트는 상기 접촉 영역들(71)과의 접촉을 위하여 양극 스팟(spot)들과 같은 완벽하게 매칭되는 스팟들을 가지거나 가지지 못할 수 있다.
기체 수소의 낮은 에너지 농도는 이동성 소자들에의 그것의 사용에 장애물이 된다. 액체 수소를 다루는 복잡성이 그것의 사용에 장애물로 작용하는 반면, 수소화물이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용 수소의 고농도 소스 소스로서 작용할 수 있다.
모든 수소화물들 중에서, 착수소화물들은 조밀한 에너지 소스들로 가장 가능성이 높으며, 제공되는 이러한 수소화물들은 적절히 처리된다. 이러한 착수소화물들은 예를 들어, 수소화붕소(borohydrides) 및 알루미늄 수소화물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소화물들은 M(BH4) 및 M(AlH4)를 포함하며, 여기서 M은 Li, Na, K, NH3 또는 NH4이다.
상기 수소화물들 외에 수소를 얻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다음에 도시되는 것과 같은 열분해 반응을 통하는 것이다:
2NaBH4 → 2NaH+2B+3H2, (Ⅰ)
수소를 얻는 또 다른 방법은 다음에 도시되는 것과 같은 물을 이용한 그것의 반응을 통하는 것이다:
NaBH4+2H2O → NaBO2+4H2, (Ⅱ)
반응 Ⅱ는 더 많은 수소를 제공한다.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시스템에서, ANFDS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작동으로부터 생성되고, 배기 가스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그러나 반응 Ⅱ의 생성물은 다음과 같이 수화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물을 흡수하는 경향이 있다:
NaBO2+2H2O → NaBO2·2H2O (Ⅲ)
상기 수화물은 수소화물의 완전 반응을 방해할 수 있는 반응-방해 수화물 쉘(shell)을 형성할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피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은 120~200 ℃와 같은 높여진 온도에서 상기 반응을 실행하는 것이다.
도 12a 및 12b의 고체 수소 소스(800)는 수소를 추출하고 저장하기 위한 유용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고체 수소 소스는 물 공급 채널들(881), 가열 부재(882)(전기 리드들(882-1)에 의해 전원 공급된), 수소-생성 조성물 및 수소 배출 채널(884)을 갖는 컨테이너로 구성된다. 상기 수소-생성 조성물은 수소화물들 또는 수소화물 및 반응성 금속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반응성 금속들은 예를 들어, Fe, Ni, Mn, Co, Zn, Mg, Na, Li, Ca 및 Mg를 포함한다. 금속은 분말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반응성 금속은 다음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수소 및 열을 배출하기 위해 물과 반응하는 것이다:
Mg+MH2O → Mg(OH2)+H2+열. (Ⅳ)
상기 반응성 금속은 가열 부재(882)에 의해 개시되는 반응 후에 열의 기본 소스를 제공할 수 있고, 수화물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높여진 온도에서 전지를 유지시킨다. 상기 반응은 가열 부재(882)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가열 부재는 상기 수소-배출 반응을 발화시키기 위하여, 또는 상기 반응을 가속시키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가열 부재는 상기 수소화물 전지들(880)에서 발생하는 프로세스에서 소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부재들은 반응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소화물 전지들이 반응성 금속을 수용할 때, 배출 프로세스의 초기 단계에서만이 가열 부재를 필요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반응 Ⅱ의 물은 전원 시스템에서 연료 전지 적층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적층에서 생성된 과잉의 물은 배기 가스들로부터 제거되고, 반응 Ⅲ에 의하여 고갈된 고체 수소 소스들의 고갈된 수소화물에서 흡수될 수 있다.
정의들
본 특허를 위하여, 다음의 용어들은 아래와 같이 설명된 각각의 의미들을 가질 것이다.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는 연료 전지, 유동 배터리 또는 그런 종류의 다른 것이다.
·이온-전도성 막
이온-전도성 막은 양자들 또는 금속 이온들을 전도하기 위하여 충분히 선택 적이고,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의 작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의 하나 이상의 반응물의 수송을 차단한다. 실시예들은 양자-전도성 막들 및 나트륨 이온-전도성 막들을 포함한다.
·금속 코팅
양극 플레이트상의 금속 코팅은 관련된 표면의 대부분상에 도체를 제공하는 코팅이다.
·피크(peak)
물결 무늬 형태의 피크들은 연료 전지 적층의 다음 층에 가장 인접한 포인트들이다(확산층, 전극 어셈블리 또는 열 전도체와 같은).
·비아들
비아는 저항층의 두께와 관계없는, 저항층을 통한 전도성 통로이다.
제한되지는 않지만, 특허들 및 특허 출원들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인용된 간행물들 및 참조문들은, 각각 개별적인 간행물 또는 참조문이 명확하게 그리고 개별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완벽하게 설명되어 참조로 통합되는 것처럼, 인용된 전체 부분들의 그 모든 내용이 여기서 참조로 통합된다. 본 특허가 우선권을 청구하는 임의의 특허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간행물들 및 참조문들을 위해 상기 기재된 방식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강조하여 기재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라면, 바람직한 소자들 및 방법들에서의 변경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명확하게 기재된 것과 다르게 실행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에 따라 본 발명의 정신 및 원칙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21)

  1. 이온-전도성 막 어셈블리로서,
    다공성 코어; 및
    상기 다공성 코어를 샌드위칭하는 두 개의 이온-전도성 막들
    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코어는 이온-전도성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이온-전도성 막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코어는 200 미크론 이하의 평균 직경을 갖는 큰 동공(pore)들 및 500 nm 이하의 평균 직경의 작은 동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전도성 막 어셈블리.
  3.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의 작동 방법으로서,
    제1항에 따른 이온-전도성 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1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상기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를 작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의 작동 방법.
  4. 다공성 전극으로서,
    다공성의 전도성 매트릭스;
    상기 다공성의 전도성 매트릭스에 의해 지지되는 탄소 나노-튜브들; 및
    상기 탄소 나노-튜브들상에 증착된 전극 촉매
    를 포함하는 다공성 전극.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들은 상기 다공성의 전도성 매트릭스의 표면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전극.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들은 상기 다공성의 전도성 매트릭스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전극.
  7.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로서,
    제6항에 따른 다공성 전극; 및
    상기 다공성 전극에 인접한 이온-전도성 막
    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8. 적층된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어셈블리로서,
    두 개 이상의 전기화학적 전지들; 및
    (ⅰ)금속층 및 전도성 비아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항층들 -상기 전도성 비아들은 상기 저항층(들)을 관통함- 을 포함하거나, (ⅱ)본질적으로 (1)상기 저항층을 관통하는 전도성 비아들를 포함하는 저항층을 포함하는 코어 및 (2)상기 저항층의 두 개의 기본 표면(primary surface)들 상의 금속 코팅으로 구성된, 두 개의 전기화학적 전지들 사이의 양극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적층된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들은 상기 저항층의 체적의 50% 이하는 도체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어셈블리.
  10.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양극 플레이트는 두 개의 상기 비아-포함 저항층들 사이에 샌드위칭된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다공성이거나 또는 다공성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어셈블리.
  12.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양극 플레이트는 열 교환 유동체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내부 채널들과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양극 플레이트는 두 개의 상기 비아-포함 저항층들 사이에 샌드위칭된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채널들은 상기 금속층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어셈블리.
  14.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양극 플레이트는 물결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플레이트의 두 개의 주요 외부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주요 외부 표면(들)상으로 응결된 물이 분산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채널들 또는 구멍(pit)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어셈블리.
  16.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양극 플레이트의 외부 표면은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반응물들 의 흐름용 채널들을 제공하도록 형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어셈블리.
  17. 두 개 이상의 전기화학적 전지들 사이에 사용되는 양극 플레이트로서,
    상기 양극 플레이트는, (ⅰ)금속층 및 전도성 비아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항층들 -상기 전도성 비아들은 상기 저항층(들)을 관통함- 을 포함하거나, (ⅱ)본질적으로 상기 저항층을 관통하는 전도성 비아들을 포함하는 저항층 및 코팅된 상기 저항층의 두 개의 기본 표면(primary surface)들 상의 금속 코팅으로 구성되며,
    상기 양극 플레이트는 상기 두 개의 비아 포함 저항층들 사이에 샌드위칭된 금속층을 포함하거나;
    상기 양극 플레이트는 (ⅱ)에 따르거나;
    상기 양극 플레이트는 열 교환 유동체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내부 채널들과 통합되거나;
    상기 양극 플레이트는 열 교환 유동체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내부 채널들과 통합되고 상기 내부 채널들은 금속층 내에 존재하거나;
    상기 양극 플레이트는 열 교환 유동체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내부 채널들과 통합되고 상기 내부 채널들은 금속층과 저항층 사이에 존재하거나;
    상기 양극 플레이트의 두 개의 주요 외부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주요 외부 표면(들)상에 응결된 물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된 마이크로-채널들 또는 구멍(pit)들을 가지거나;
    상기 양극 플레이트는 물결 모양이 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양극 플레이트의 외부 표면은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반응물들의 흐름용 채널들을 제공하도록 형상화되는, 구성 중 하나 이상의 구성을 따르는 양극 플레이트.
  18.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어셈블리로서,
    두 개 이상의 전기화학적 전원 전지들;
    상기 두 개의 전기화학적 전원 전지들 사이의 양극 플레이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화학적 전원 전지들에 대하여, 상기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전지의 이온-전도성 막과 상기 양극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확산층
    을 포함하며, 상기 확산층은 적어도 하나의 주 표면상에 카본 블랭킷보다 큰 전도성 용량을 갖는 전도성 영역들의 패턴을 갖는 상기 다공성 탄소 블랭킷(blanket)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은 상기 양극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어셈블리.
  19. 고체 수소 소스로서,
    착수소화물 및 반응성 금속의 혼합물, 입구 채널 및 배출 채널을 포함하는 용기(vessel); 및
    상기 착수소화물을 가열하는 전기 히터
    를 포함하는 고체 수소 소스.
  20. 전원 시스템으로서,
    수소를 소비하고 물을 배출하는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
    제19항에 따른 두 개 이상의 고체 수소 소스들; 및
    배출된 물이 상기 수소 소스들로 선택적으로 보내지도록 하는데 효과적인 플러밍(plumbing) 및 밸브들
    을 포함하는 전원 시스템.
  21. 제27항에 따른 전원 시스템의 작동 방법으로서,
    상기 수소 소스들로부터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양 이상의 과잉으로 배출된 물의 적어도 일부는 소비된 상기 수소 소스들에 의하여 흡수되는 전원 시스템 작동 방법.
KR1020067026973A 2004-05-21 2005-05-12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의 설계 및 컴포넌트 KR101242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51,789 2004-05-21
US10/851,789 US7309540B2 (en) 2004-05-21 2004-05-21 Electrical power source designs and components
PCT/US2005/016644 WO2005117174A2 (en) 2004-05-21 2005-05-12 Electrochemical power source designs and compon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626A true KR20070024626A (ko) 2007-03-02
KR101242045B1 KR101242045B1 (ko) 2013-03-12

Family

ID=3537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973A KR101242045B1 (ko) 2004-05-21 2005-05-12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의 설계 및 컴포넌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309540B2 (ko)
EP (2) EP1751811A4 (ko)
JP (1) JP5339724B2 (ko)
KR (1) KR101242045B1 (ko)
CN (2) CN101807702B (ko)
WO (1) WO200511717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828A (ko) * 2015-04-15 2017-12-13 록히드 마틴 어드밴스드 에너지 스토리지, 엘엘씨 플로우 배터리 내의 기생 반응의 경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S076502A0 (en) * 2002-02-26 2002-03-21 Ceramic Fuel Cells Limited A fuel cell gas separator plate
TWI241048B (en) * 2004-09-01 2005-10-01 Nan Ya Printed Circuit Board C Method for manufacturing bipolar plate and direct methanol fuel cell
US8110248B2 (en) * 2005-02-14 2012-02-07 Masaru Hori Fuel cel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070193885A1 (en) * 2006-01-30 2007-08-23 H2 Pump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electrochemical hydrogen manipulation
US7785748B2 (en) * 2006-04-03 2010-08-31 University Of Delaware Nano-based gas diffusion media
US20070227900A1 (en) * 2006-04-04 2007-10-04 H2 Pump Llc Performance enhancement via water management in electrochemical cells
US20070246374A1 (en) * 2006-04-20 2007-10-25 H2 Pump Llc Performance management for integrated hydrogen separation and compression systems
US20070246373A1 (en) * 2006-04-20 2007-10-25 H2 Pump Llc Integrated electrochemical hydrogen separation systems
US20070246363A1 (en) * 2006-04-20 2007-10-25 H2 Pump Llc Integrated electrochemical hydrogen compression systems
US20080121532A1 (en) * 2006-05-03 2008-05-29 H2 Pump Llc Robust voltage management in electrochemical hydrogen cells
JP4821466B2 (ja) * 2006-07-03 2011-11-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液滴吐出ヘッド
US7855005B2 (en) * 2007-02-12 2010-12-21 Deeya Energy, Inc. Apparatus and methods of determination of state of charge in a redox flow battery
US20080280167A1 (en) * 2007-05-08 2008-11-13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Fuel cell stack performance monitoring
US20080292936A1 (en) * 2007-05-23 2008-11-27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Manifold for fuel cells
US8266791B2 (en) 2007-09-19 2012-09-18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Method of fabricating microfluidic structur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US20090087695A1 (en) * 2007-10-02 2009-04-02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Bipolar plate for use in fuel cell stacks and fuel cell assemblies
US8663448B2 (en) 2008-01-04 2014-03-04 H2 Pump, Llc Hydrogen furnace system and method
CN101918619A (zh) 2008-01-08 2010-12-15 特来德斯通技术公司 用于电化学应用的高导电性表面
US8587150B2 (en) * 2008-02-28 2013-11-19 Deeya Energy, Inc. Method and modular system for charging a battery
WO2009116102A1 (en) * 2008-03-21 2009-09-24 Exergy Fuel Cells S.R.L. Electro-chemical device
US7927731B2 (en) * 2008-07-01 2011-04-19 Deeya Energy, Inc. Redox flow cell
US8785023B2 (en) 2008-07-07 2014-07-22 Enervault Corparation Cascade redox flow battery systems
US7820321B2 (en) 2008-07-07 2010-10-26 Enervault Corporation Redox flow battery system for distributed energy storage
US8383280B2 (en) * 2008-08-12 2013-02-26 Amir Niroumand Fuel cell separator plate with integrated heat exchanger
WO2010042899A1 (en) * 2008-10-10 2010-04-15 Deeya Energy Technology, Inc. Flexible multi-walled tubing assembly
US20100092843A1 (en) * 2008-10-10 2010-04-15 Deeya Energy Technologies, Inc. Venturi pumping system in a hydrogen gas circulation of a flow battery
EP2351184A4 (en) * 2008-10-10 2014-07-09 Deeya Energy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BATTERY CHARGE STATUS
WO2010042905A1 (en) * 2008-10-10 2010-04-15 Deeya Energy Technologies, Inc. Level sensor for conductive liquids
US8236463B2 (en) * 2008-10-10 2012-08-07 Deeya Energy, Inc. Magnetic current collector
US7919204B2 (en) * 2008-10-10 2011-04-05 Deeya Energy, Inc. Thermal control of a flow cell battery
US8883297B2 (en) * 2008-10-10 2014-11-11 Imergy Power Systems, Inc. Methods for bonding porous flexible membranes using solvent
JP5345870B2 (ja) * 2009-02-18 2013-11-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DE102009016635A1 (de) * 2009-04-08 2010-10-14 Elcomax Gmbh Bipolarplatte für Brennstoff- oder Elektrolysezellen
WO2010138948A2 (en) 2009-05-28 2010-12-02 Deeya Energy, Inc. Buck-boost control circuit
CN102460812B (zh) * 2009-05-28 2014-12-31 艾默吉电力系统股份有限公司 由原料制备流通电池电解质
WO2010138943A2 (en) * 2009-05-28 2010-12-02 Deeya Energy, Inc. Electrolyte compositions
US8587255B2 (en) * 2009-05-28 2013-11-19 Deeya Energy, Inc. Control system for a flow cell battery
EP2436079A2 (en) * 2009-05-28 2012-04-04 Deeya Energy, Inc. Redox flow cell rebalancing
US8349477B2 (en) * 2009-05-28 2013-01-08 Deeya Energy, Inc. Optical leak detection sensor
WO2010138947A2 (en) * 2009-05-29 2010-12-02 Deeya Energy, Inc. Methods of producing hydrochloric acid from hydrogen gas and chlorine gas
US20110065026A1 (en) * 2009-09-17 2011-03-17 Ford Motor Company Fuel cell with catalyst layer supported on flow field plate
CN102639744A (zh) * 2009-09-28 2012-08-15 特来德斯通技术公司 用于电化学应用的高导电性表面以及制备所述高导电性表面的方法
US8951665B2 (en) * 2010-03-10 2015-02-10 Imergy Power Systems, Inc.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electrolytes for chromium-iron redox flow batteries
US9281535B2 (en) 2010-08-12 2016-03-08 Imergy Power Systems, Inc. System dongle
US8202641B2 (en) * 2010-09-08 2012-06-19 Primus Power Corporation Metal electrode assembly for flow batteries
CN102479963B (zh) * 2010-11-30 2015-09-16 新奥科技发展有限公司 膜组件、液流电池单元以及电池堆
US9269982B2 (en) 2011-01-13 2016-02-23 Imergy Power Systems, Inc. Flow cell stack
US9123962B2 (en) 2011-02-07 2015-09-0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Flow battery having electrodes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pore sizes and or different layers
US8859164B2 (en) * 2011-02-15 2014-10-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ipolar plates and electrochemical cells employing the same
US8980484B2 (en) 2011-03-29 2015-03-17 Enervault Corporation Monitoring electrolyte concentrations in redox flow battery systems
US8916281B2 (en) 2011-03-29 2014-12-23 Enervault Corporation Rebalancing electrolytes in redox flow battery systems
KR101265201B1 (ko) * 2011-04-18 2013-05-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격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US9774044B2 (en) 2011-09-21 2017-09-26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Flow battery stack with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US9893363B2 (en) 2011-10-17 2018-02-1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High surface area flow battery electrodes
US8822057B2 (en) * 2011-10-17 2014-09-02 Lockheed Martin Corporation High surface area flow battery electrodes
JP5964986B2 (ja) * 2011-12-20 2016-08-03 ユナイテッド テクノロジ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混合流を用いるフローバッテリ
US9088015B2 (en) 2012-03-26 2015-07-21 Honda Motor Co., Ltd. Fuel cell comprising water discharge channel formed by a corrugated section
US9276280B2 (en) * 2012-03-30 2016-03-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ower generation via combined fuel thermolysis and hydrolysis
GB201207759D0 (en) * 2012-05-03 2012-06-13 Imp Innovations Ltd Fuel cell
WO2013173344A1 (en) * 2012-05-14 2013-11-21 Primus Power Corporation Metal electrode assembly for flow batteries
US10122025B2 (en) 2012-08-24 2018-1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with stepped channel bipolar plate
US9786928B2 (en) 2012-08-24 2017-10-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with stepped channel bipolar plate
US9567681B2 (en) 2013-02-12 2017-02-14 Treadstone Technologies, Inc. Corrosion resistant and electrically conductive surface of metallic components for electrolyzers
CN109148909A (zh) * 2013-02-28 2019-01-04 努威拉燃料电池有限责任公司 具有级联密封配置和用于氢气再生的电化学电池
KR20150047804A (ko) * 2013-10-25 2015-05-06 오씨아이 주식회사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플로우용 전극 구조체
KR102163726B1 (ko) * 2013-11-22 2020-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레독스 플로우 전지
US10522850B2 (en) * 2014-09-30 2019-12-31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Three-dimensionally printed bipolar plate for a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CN107849680B (zh) 2015-04-15 2020-11-13 踏石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处理金属部件表面以达到较低的接触电阻的方法
JP2018529189A (ja) 2015-08-19 2018-10-04 ロッキード マーティン エナジー, エルエルシーLockheed Martin Energy, Llc フロー電池内の固体低減
US9774043B2 (en) 2015-08-31 2017-09-26 Nano And Advanced Materials Institute Limited Magnesium phosphate cement based bipolar plate composite material
US10381674B2 (en) 2016-04-07 2019-08-13 Lockheed Martin Energy, Llc High-throughput manufacturing processes for making electrochemical unit cells and electrochemical unit cells produced using the same
US10147957B2 (en) 2016-04-07 2018-12-04 Lockheed Martin Energy, Llc Electrochemical cells having designed flow field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US10109879B2 (en) 2016-05-27 2018-10-23 Lockheed Martin Energy, Llc Flow batteries having an electrode with a density gradient and methods for production and use thereof
US11289700B2 (en) 2016-06-28 2022-03-29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KVOPO4 cathode for sodium ion batteries
US10403911B2 (en) 2016-10-07 2019-09-03 Lockheed Martin Energy, Llc Flow batteries having an interfacially bonded bipolar plate-electrode assembly and methods for production and use thereof
US10573899B2 (en) 2016-10-18 2020-02-25 Lockheed Martin Energy, Llc Flow batteries having an electrode with differing hydrophilicity on opposing faces and methods for production and use thereof
US10581104B2 (en) 2017-03-24 2020-03-03 Lockheed Martin Energy, Llc Flow batteries having a pressure-balanced electrochemical cell stack and associated methods
WO2019174028A1 (zh) * 2018-03-16 2019-09-19 清华大学 一种啮合式超薄金属双极板及其三维流场
US11056698B2 (en) 2018-08-02 2021-07-06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Redox flow battery with electrolyte balancing and compatibility enabling features
CN111082090A (zh) * 2019-12-04 2020-04-28 大连融科储能技术发展有限公司 具有纳米微坑表面的双极板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271226B1 (en) 2020-12-11 2022-03-08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Redox flow battery with improved efficiency
NL2030134B1 (en) * 2021-12-14 2023-06-27 Prodrive Tech Innovation Services B V Bipolar plate for an electrolytic stack
WO2023219648A1 (en) 2022-05-09 2023-11-16 Lockheed Martin Energy, Llc Flow battery with a dynamic fluidic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3097B2 (ja) * 1995-06-15 2004-02-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固体高分子電解質膜型燃料電池
US5736269A (en) * 1992-06-18 1998-04-0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uel cell stack and method of pressing together the same
US5773162A (en) * 1993-10-12 1998-06-30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Direct methanol feed fuel cell and system
JP3460346B2 (ja) 1994-12-26 2003-10-27 富士電機株式会社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US5581876A (en) 1995-01-27 1996-12-10 David Sarnoff Research Center, Inc. Method of adhering green tape to a metal support substrate with a bonding glass
US5725808A (en) 1996-05-23 1998-03-10 David Sarnoff Research Center, Inc. Multilayer co-fired ceramic compositions and ceramic-on-metal circuit board
US5747931A (en) 1996-05-24 1998-05-05 David Sarnoff Research Center, Inc. Plasma displa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9293519A (ja) * 1996-04-26 1997-11-11 Asahi Chem Ind Co Ltd 電解質薄膜および該電解質薄膜を用いた電池
US6037073A (en) * 1996-10-15 2000-03-14 Lockheed Martin Energy Research Corporation Bipolar plate/diffuser for a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US6110333A (en) * 1997-05-02 2000-08-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e membrane with highly crystalline porous support
GB9814123D0 (en) 1998-07-01 1998-08-26 British Gas Plc Electrochemical fuel cell
US6692717B1 (en) 1999-09-17 2004-02-17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Catalytic growth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from metal particles
JP2000251912A (ja) * 1999-03-02 2000-09-14 Asahi Glass Co Ltd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3427003B2 (ja) * 1999-03-31 2003-07-14 株式会社東芝 燃料電池
CN1117882C (zh) 1999-04-19 2003-08-13 住友金属工业株式会社 固体高分子型燃料电池用不锈钢材
US6140795A (en) 1999-07-23 2000-10-31 Cummins; Michael D. Variable speed control for AC induction motors
DE10039674A1 (de) * 2000-08-14 2002-03-07 Basf Ag Bipolarplatte für PEM-Brennstoffzellen
JP3857873B2 (ja) * 2000-11-09 2006-12-13 三洋電機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電池
FR2818791A1 (fr) * 2000-12-08 2002-06-2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embrane conductrice ionique organique pour pile a combustib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6689501B2 (en) * 2001-05-25 2004-02-10 Ballard Power Systems Inc. Composite ion exchange membrane for use in a fuel cell
AUPS076502A0 (en) * 2002-02-26 2002-03-21 Ceramic Fuel Cells Limited A fuel cell gas separator plate
US7211346B2 (en) * 2002-04-03 2007-05-01 Ut-Battelle, Llc Corrosion resistant metallic bipolar plate
US7649025B2 (en) * 2002-10-17 2010-01-19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Composite ion-exchange membrane
US20050037253A1 (en) * 2003-08-13 2005-02-17 Amir Faghri Integrated bipolar plate heat pipe for fuel cell stac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828A (ko) * 2015-04-15 2017-12-13 록히드 마틴 어드밴스드 에너지 스토리지, 엘엘씨 플로우 배터리 내의 기생 반응의 경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51811A4 (en) 2011-05-18
EP2442391B1 (en) 2020-07-08
US20050260473A1 (en) 2005-11-24
US20080299439A1 (en) 2008-12-04
EP2442391A1 (en) 2012-04-18
WO2005117174A3 (en) 2007-08-09
WO2005117174A2 (en) 2005-12-08
US8592097B2 (en) 2013-11-26
CN101807702B (zh) 2014-05-21
EP1751811A2 (en) 2007-02-14
CN101124691A (zh) 2008-02-13
KR101242045B1 (ko) 2013-03-12
US7309540B2 (en) 2007-12-18
JP2008500707A (ja) 2008-01-10
JP5339724B2 (ja) 2013-11-13
CN101807702A (zh)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045B1 (ko) 전기화학적 전원 소스의 설계 및 컴포넌트
JP4224026B2 (ja) 導電性発泡体を冷却材層として有する燃料電池双極板
JP4811622B2 (ja)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US20040219423A1 (en) Metal-supported solid electrolyte electrochemical cell and multi cell reactors incorporating same
US20020192537A1 (en) Metallic layer component for use in a direct oxidation fuel cell
JPH08503100A (ja) 水素電池
EP1137090A3 (en) Method for fabricating membrane-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adopting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EP2013927A2 (en) Anode support member and bipolar separator for use in a fuel cell assembly and for preventing poisoning of reforming catalyst
CN100358177C (zh) 具有微型结构元件的高功率密度燃料电池层设备
EP2095455B1 (en) Solid oxide fuel cell
EP2893588B1 (en) A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with open pore cellular foam
JP4329345B2 (ja) 内部改質式燃料電池
CN110603677A (zh) 用于电化学模块的功能化的多孔的气体传导零件
US8715882B2 (en) High power density fuel cell comprising an array of microchannels
JP2001210334A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RU2073288C1 (ru) Топливный элемент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го генератора
KR20050004729A (ko)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메탄올 개질기의 구조
Zhu Kinetics of methanol decomposition
CN101026239A (zh) 具有微型结构元件的高功率密度燃料电池层设备
Cylindrical Next month
WO2010053153A1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