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804A -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플로우용 전극 구조체 - Google Patents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플로우용 전극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804A
KR20150047804A KR1020130127714A KR20130127714A KR20150047804A KR 20150047804 A KR20150047804 A KR 20150047804A KR 1020130127714 A KR1020130127714 A KR 1020130127714A KR 20130127714 A KR20130127714 A KR 20130127714A KR 20150047804 A KR20150047804 A KR 20150047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structure
redox flow
electrode
flow cell
structur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화
김병철
김수환
Original Assignee
오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씨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7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7804A/ko
Priority to US14/522,068 priority patent/US9620785B2/en
Priority to EP14190300.5A priority patent/EP2866282B1/en
Priority to CN201410584426.6A priority patent/CN104577148B/zh
Publication of KR20150047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H01M4/8626Porous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01M4/8631Bipola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5Methods for shaping the electrode into free-standing bodies, like sheets, films or grids, e.g. moulding, hot-pressing, casting without support, extrusion without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2004/8678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8694Bipolar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 유래 탄소구조체의 표면 및 내부에 전해액의 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구형 매크로기공이 형성된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을 제공한다.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은 전기전도도가 매우 우수하고, 그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어 비용이 절감된다.

Description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플로우용 전극 구조체{ELECTRODE FOR REDOX FLOW BATTERY, METHOD OF PREPARING ELECTRODE FOR REDOX FLOW BATTERY AND ELECTRODE STRUCTURE FOR REDOX FLOW BATTERY}
본 발명은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플로우용 전극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반복적인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의 일종으로, 전기 에너지를 저장시키는 전기화학적 축전 장치이다.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원리는 유체 전해질에 근간을 두어, 유체 전해질이 다공성의 카본 펠트 전극 사이를 흐르면서 전하를 교환시켜 전류를 발생시킨다.
종래의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카본 펠트 전극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레이온(rayon) 또는 피치(pitch) 계열의 탄소 섬유를 조직화하여 탄화 및 흑연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그러나 카본 펠트 전극 내부의 기공의 불균일한 분포로 인하여 유체의 흐름이 저하되고 전해질의 분극화 현상(polarization of electrolyte)이 발생하여 전지의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전기 전도도가 향상된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셀(cell)과 스택(stack)의 제작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을 이용한 레독스 플로우용 전극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폴리머 유래 탄소구조체의 표면 및 내부에 전해액의 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구형 매크로기공이 형성된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을 제공한다.
상기 매크로기공은 최조밀 쌓임 구조(closest packing structure)로 적층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매크로기공은 오팔상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매크로기공의 최대 직경의 평균이 0.5㎛ 내지 500㎛일 수 있다.
상기 매크로기공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전극의 일면에서 다른 면으로 소통될 수 있다.
상기 탄소 구조체는 폴리머 수지의 탄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 구조체는 폴리머 수지의 흑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수지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포토레지스트용 폴리머, 레이온 계열 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구조체 중 매크로기공으로 인한 기공률이 70% 내지 99%일 수 있다.
상기 탄소구조체의 두께는 0.5 mm 내지 5.0 mm 일 수 있다.
상기 탄소구조체의 전기 저항이 0.002 Ω·mm 내지 0.02 Ω·mm 일 수 있다.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폴리머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폴리머 시트에 패턴화된 매크로기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화된 매크로기공이 형성된 폴리머 시트를 열처리하여 탄화시켜 탄소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매크로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는 레이저 패터닝법, 레이저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리소그래피 및 레이저 리소그래피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시트를 열처리하여 탄화 시 상기 폴리머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흑연화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시트는 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포토레지스트용 폴리머, 레이온 계열 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1000 내지 25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쌍극판; 및 상기 쌍극판에 결합된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은 패턴화된 기공, 즉 균일하게 기공이 분포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기전도도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상기 전극 그 자체가 패턴화된 기공을 가짐으로써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전기전도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압축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어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은 3차원의 패턴화된 기공이 형성되어 균일하게 기공이 분포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여 전해질의 분극화 현상(polarization of electrolyte)을 억제할 수 있어,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 중 패턴화된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모식도로서, 상부면과 측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을 함께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을 이용한 전극 구조체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폴리머 유래 탄소구조체의 표면 및 내부에 전해액의 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구형 매크로기공이 형성된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을 제공한다.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은 패턴화된 매크로기공이 형성되어 균일하게 매크로기공이 분포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조 공정 중 탄소구조체 전극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별도의 공정, 예를 들어 압축 공정이 불필요하게 됨에 따라서, 셀(cell)과 스택(stack)의 제작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은 3차원의 매크로기공 패턴이 형성되어 균일하게 매크로기공이 분포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여 전해질의 분극화 현상(polarization of electrolyte)을 억제하고, 그 결과 탄소구조체 전극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매크로기공의 형상 및 패턴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은, 이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매크로기공의 형상이나 매크로기공들 사이의 간격들을 조절하여 물성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카본 펠트를 전극 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매크로기공에 대한 조절이 거의 불가능한 점과 뚜렷하게 대비될 수 있다. 상기 탄소구조체 전극에 형성된 매크로기공들 각각의 크기는, 매크로기공들의 평균 크기에 대해서 약 ±20%의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된다.
상기 매크로기공 패턴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구형의 기공이 최조밀 쌓임 구조(closest packing structure)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최조밀 쌓임 구조에는 예를 들어, 육방밀집구조(hexagonal close-packing, hcp)와 면심입방구조(face-centered cubic, fcc)가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매크로기공은 오팔상 구조(opal structure)로 배치되고, 상기 탄소 구조체가 역오팔상 구조 (inverse-opal structure)일 수 있다. 이러한 오팔상 구조의 매크로기공 형상은 탄소 구조체의 기공률, 기공 밀도 등을 조절하기에 용이하다.
일례로, 상기 오팔상 구조를 이루는 개별 구형의 매크로기공, 즉, 매크로기공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동일한 형상이 아닐 수도 있고, 완전한 구형상을 이루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동일한 크기의 구형의 매크로기공이 쌓여 형성된 이론적인 오팔상 구조는 각 매크로기공간 접점을 가지나,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탄소 구조체의 각 매크로기공이 인접하는 매크로기공과 면접촉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interconnected). 이러한 형태를 갖는 상기 매크로기공은, 상기 탄소구조체 전극의 일면에서 다른 면으로 전해액의 소통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매크로기공의 최대 직경의 평균이 약 0.5㎛ 내지 약 5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크기를 갖도록 매크로기공을 패턴화시킴으로써, 단위 부피당 전극 표면적을 조절할 수 있고, 전해질의 흐름성 또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매크로기공의 직경은 '내접원의 직경'으로 정의한다.
상기 탄소구조체 중 매크로기공으로 인한 기공률은 약 70 내지 약 99%, 구체적으로 약 80 내지 약 95%일 수 있다. 기공률이 높을수록 전극의 표면적이 넓어져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기공률이 약 70% 미만인 경우에는 전극의 표면적이 낮을 뿐만 아니라 매크로기공 사이로의 전해액의 흐름성이 좋지 않아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됨으로써 오히려 전지의 펌프 구동 시 전체적인 전지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기공률이 약 99%를 초과하는 경우, 전해질의 유압에 의해 매크로기공을 갖는 탄소 구조체 자체가 손상되기 쉬워 전극 내부의 물리적, 전기적 단선(disconnected)이 발생하고 전해질의 분배가 불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기공률은 약 70% 내지 약 99%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내지 약 95%일 수 있다.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탄소 구조체는 폴리머 수지의 탄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한 제조 방법은 후술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을 참조한다.
상기 탄소 구조체는 탄화물로서, 흑연을 적어도 일부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탄화 구조체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탄화물의 일부 또는 전체가 흑연화될 수 있어, 상기 탄화 구조체는 부분적으로 흑연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전체가 흑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수지는 패터닝될 수 있고, 탄화가능한 재료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포토레지스트용 폴리머, 레이온 계열 폴리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은 매크로기공과 매크로기공 사이를 이루는 카본들이 일정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추가적인 압축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레독스 흐름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으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전기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소구조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우수한 전기저항 특성을 나타내고, 예를 들면, 상기 탄소구조체 전기 저항이 약 0.002 Ω·mm 내지 약 0.02 Ω·mm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의 전기 저항은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두께 방향으로의 전기 저항일 수 있고, "두께 방향"은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서 분리막으로의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전극의 길이 방향은 투입되고 배출되는 전해질이 흐르는 방향으로서, 상기 전극이 길이 방향의 전기 저항은 약 0.002 Ω·mm 내지 약 0.02 Ω·mm 일 수 있고, 상기 전극의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전기 저항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탄소구조체의 두께는 약 0.5 mm 내지 약 5.0 mm일 수 있다. 상기 전극의 두께가 약 0.5 mm 미만인 경우, 상기 전극 내부로 통과하는 전해질의 부피가 작아 유압이 높아져 펌프 구동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의 두께가 약 5.0 mm 초과인 경우, 상기 전극의 두께 방향으로 전해질의 흐름성이 저하되어 전해질막(membrane)과의 연계성이 저하됨으로서 전지의 효율이 나빠질 수 있다.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은 이하 설명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폴리머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폴리머 시트에 패턴화된 매크로기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화된 매크로기공이 형성된 폴리머 시트를 탄화시켜 탄소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머 시트가 탄화되어 형성된 탄화물로서 상기 탄소 구조체가 이루어진다.
상기 패턴화된 매크로기공이 형성된 폴리머 시트를 열처리하여 탄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탄화 공정에서, 열처리 온도를 보다 높임으로써 상기 폴리머 시트는 일부 또는 전부가 흑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처리는 불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약 1000 ℃ 내지 약 200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불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약 2000 ℃ 내지 약 2500℃의 온도에서 열처리시 상기 폴리머 시트는 일부 또는 전부가 흑연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소 구조체는 흑연화 공정 진행되어 형성된 흑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 구조체에 포함된 흑연은, XRD(X-ray diffraction)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가 <002>의 격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의 격자 구조의 면간격은 3.35 Å(anstrom)~ 3.90 Å일 수 있고, c 축으로의 격자 크기는 10 Å ~ 50 Å, 구체적으로는 15 Å ~ 30 Å일 수 있다.
폴리머 시트에 매크로기공을 패터닝하기 위해서 레이저를 이용하여 패터닝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시트는, 예를 들어, 레이저 패터닝법, 레이저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리소그래피, 레이저 리소그래피법 등의 방법에 의해 패터닝되어 상기 패턴화된 매크로기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예시된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방법을 조합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머 시트는 시트 형상, 필름 형상, 블록 등일 수 있고, 두께는 약 0.5 mm 내지 약 5 mm일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시트는 패터닝 가능하고, 탄화 및 흑연화 가능한 폴리머 재료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포토레지스트용 폴리머, 레이온 계열 폴리머 등일 수 있고, 또한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 중 패턴화된 매크로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에서 폴리머 시트(2)에 레이저 소스(1)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를 조사 하여 패턴화된 매크로기공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a)는 측면 각도에서, 도 1의 (b)는 상부에서 조망한 시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의 (c)는 도 1의 (b)에 표시된 패턴화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모식도로서, 상부면과 측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을 함께 나타낸다.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지 않아도 우수한 전기 전도도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은 추가적인 압축 공정이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공정의 단순화를 가져올 수 있고, 그에 따른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쌍극판; 및 상기 쌍극판에 결합된 전술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에 쌍극판(bipolar plate)를 결합시켜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을 이용한 전극 구조체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두께 0.5 mm 의 에폭시 기반 음성감광제(Epoxy based negative photoresist) 폴리머 시트를 준비한 뒤, 기판 위에 올린 폴리머 시트에 네 개로 분할된 Nd:YVO4 (λ=532nm) 레이저를 조사하였다. 이 때 네 개의 분할된 레이저는 중앙 빔을 제외한 세 개의 빔 라인이 중앙 빔을 주위로 둘러싸고 있으며 중앙의 빔과 선형으로 각도를 변화시켜가며 매크로기공의 크기 및 형태를 조절하였다. 40°의 각도에서 5초의 중첩 간섭 빔으로 노출 시킨 후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GMEA, 알드리치사)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공기 중에서 건조시켰다. 이렇게 형성된 3차원 구조물을 불활성 기체 하에서 승온 속도 10 ℃/분으로 1500 ℃까지 가열한 후 1시간 동안 탄화 과정을 거치고 다시 1900 ℃에서 30 분간 흑연화 처리를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극 재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그라파이트 펠트(GFD4.6, SGL carbon)를 전극 재료로 준비하였다.
전극의 특성 평가 실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각각의 전극 재료에 대한 두께 방향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하여 동일 면적의 전극을 준비하고 두께의 양면에 구리판으로 이루어진 저항 측정을 접촉하고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설치한 다음 구리판과 연결된 저항 측정기의 저항값을 기록하였다. 이때, 저항 측정기는 두께와 저항값을 단위 길이 당 저항값을 표시한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구분 전기 저항(Ω·mm)
실시예 1 0.004
비교예 1 0.04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에 따른 전극 재료는 0.04 Ω·mm의 저항값을 가지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극 재료의 전기 저항은 약 0.004 Ω·mm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극 재료의 전기 저항이 비교예 1에 따른 전극 재료의 전기 저항보다 약 1/10 수준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전기 전도도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극 재료가 비교예 1에 따른 전극 재료에 비해서 약 10배 정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표 1에서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전극 재료의 압축률이 0%일 때의 전기 저항을 나타낸 것이고, 비교예 1에 따른 전극 재료를 압축률 약 20%로 압축하는 경우 전기 저항이 약 0.008 Ω·mm 수준으로 낮아지고, 압축률 약 50%로 압축하는 경우는 전기 저항이 약 0.005 Ω·mm,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극 재료의 전기 저항과 거의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하지만, 통상의 펠트 전극의 전기 저항을 낮추기 위한, 즉,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압축 공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하고, 압축률 약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임계 압력 이상에 해당하여 전극이 부서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더 이상 전기 저항을 낮추는데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레이저 소스
2: 폴리머 시트
3: 매크로기공
4: 쌍극판
10: 전극 구조체

Claims (17)

  1. 폴리머 유래 탄소구조체의 표면 및 내부에 전해액의 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구형 매크로기공이 형성된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기공은 최조밀 쌓임 구조(closest packing structure)로 적층된 형상인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기공은 오팔상 구조로 배치된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기공의 최대 직경의 평균이 0.5㎛ 내지 500㎛인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기공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전극의 일면에서 다른 면으로 소통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구조체는 폴리머 수지의 탄화물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구조체는 폴리머 수지의 흑연화물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수지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포토레지스트용 폴리머, 레이온 계열 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구조체 중 매크로기공으로 인한 기공률이 70% 내지 99%인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구조체의 두께는 0.5 mm 내지 5.0 mm 인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구조체의 전기 저항이 0.002 慕mm 내지 0.02 慕mm인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12. 폴리머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폴리머 시트에 패턴화된 매크로기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화된 매크로기공이 형성된 폴리머 시트를 열처리하여 탄화시켜 탄소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는
    레이저 패터닝법, 레이저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리소그래피 및 레이저 리소그래피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시트를 열처리하여 탄화 시 상기 폴리머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흑연화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시트는 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포토레지스트용 폴리머, 레이온 계열 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1000 내지 2500℃에서 수행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
  17. 쌍극판; 및
    상기 쌍극판에 결합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을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구조체.
KR1020130127714A 2013-10-25 2013-10-25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플로우용 전극 구조체 KR20150047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714A KR20150047804A (ko) 2013-10-25 2013-10-25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플로우용 전극 구조체
US14/522,068 US9620785B2 (en) 2013-10-25 2014-10-23 Carbon structure electrode for redox flow battery, method of preparing carbon structure electrode for redox flow battery, and carbon structure electrode structure for redox flow battery
EP14190300.5A EP2866282B1 (en) 2013-10-25 2014-10-24 Carbon structure electrode for redox flow battery, method of preparing carbon structure electrode for redox flow battery, and carbon structure electrode structure for redox flow battery
CN201410584426.6A CN104577148B (zh) 2013-10-25 2014-10-27 液流电池用碳构造体电极及其制造方法及液流电池用电极构造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714A KR20150047804A (ko) 2013-10-25 2013-10-25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플로우용 전극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804A true KR20150047804A (ko) 2015-05-06

Family

ID=5179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714A KR20150047804A (ko) 2013-10-25 2013-10-25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탄소구조체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플로우용 전극 구조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20785B2 (ko)
EP (1) EP2866282B1 (ko)
KR (1) KR20150047804A (ko)
CN (1) CN1045771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0649B1 (en) * 2016-12-01 2021-08-11 Toray Industries, Inc. Electrode and redox flow battery
WO2018110498A1 (ja) * 2016-12-13 2018-06-21 東レ株式会社 電極、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および電極の製造方法
KR102127037B1 (ko) * 2017-02-28 2020-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CN110071303A (zh) * 2018-01-23 2019-07-30 北京普能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碳毡及具有该碳毡的液流电池电堆
US20230275238A1 (en) * 2021-03-12 2023-08-31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Inertially enhanced mass transport using porous flow-through electrodes with periodic lattice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7572A1 (en) 2000-11-15 2002-05-22 Dr. Sugnaux Consulting Mesoporous electrodes for electrochemical cells and their production method
US7309540B2 (en) * 2004-05-21 2007-12-18 Sarnoff Corporation Electrical power source designs and components
JP5191483B2 (ja) 2006-05-31 2013-05-08 マックス−プランク−ゲゼルシャフト ツア フェルデルンク デア ヴィッセンシャフテン エー.ファウ. 多孔性伝導カーボン物質とその使用
WO2007145015A1 (ja) * 2006-06-16 2007-12-21 Sharp Kabushiki Kaisha 正極、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正極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927718B1 (ko) * 2007-11-27 2009-1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공성 탄소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전극 촉매, 전극, 및 막-전극 어셈블리
KR100932979B1 (ko) 2007-11-28 2009-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중공형 캡슐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US8172982B2 (en) * 2008-12-22 2012-05-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ductive web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FR2958288B1 (fr) * 2010-04-01 2012-10-05 Saint Gobain Ct Recherches Materiau a pores tubulaires
CN102723479A (zh) * 2011-03-30 2012-10-10 昭荣化学工业株式会社 镁二次电池用正极活性物质及镁二次电池
US10256458B2 (en) * 2011-04-01 2019-04-09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Curved two-dimensional nanocomposites for battery electrodes
US8784768B2 (en) 2011-05-26 2014-07-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ierarchially porous carbon particles for electrochemical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18550A1 (en) 2015-04-30
CN104577148A (zh) 2015-04-29
CN104577148B (zh) 2017-12-01
US9620785B2 (en) 2017-04-11
EP2866282A1 (en) 2015-04-29
EP2866282B1 (en)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022B1 (ko) 축전 디바이스의 전극용 활성탄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전극용 활성탄의 제조 방법
EP2866282B1 (en) Carbon structure electrode for redox flow battery, method of preparing carbon structure electrode for redox flow battery, and carbon structure electrode structure for redox flow battery
EP3796418A1 (en) Battery, and battery diaphrag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5524330B2 (ja) 高分子複合電解質、高分子複合電解質を含む電池、およびそれを調製する方法
US8609267B2 (en) Electrochemical cell with an electrolyte flow, comprising through-electrodes and production method
CN108292772B (zh) 双极板及包括该双极板的氧化还原液流电池
KR101676688B1 (ko) 미세 다공성 복합 분리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전기화학소자
JP5628286B2 (ja) 電極を貫通する複数の気孔の網状体を備える鉛酸電池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80762B1 (ko) 계층적 나노구조를 가진 중공형 탄소 캡슐 및 이를 이용한 슈퍼캐패시터
US9525187B2 (en) Gas diffusion layer for fuel cell,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as diffusion layer for fuel cell
JP2009252498A (ja) 電池用電極
US20180366736A1 (en) Electrode material, electrode of redox flow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KR20150015486A (ko) 연료 전지용 가스 확산 전극 기재
JP2009252497A (ja) 電池用電極および電池
Zhang et al. Advanced poly (vinyl alcohol) porous separator with overcharge protection function for lithium-ion batteries
KR101231625B1 (ko) 리튬이온 저장용 계층형 탄소 나노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1355433B1 (ko) 표면 개질된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전지
KR101737197B1 (ko) 다공성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2018133141A (ja) 薄い隔膜を用いたレドックス電池
CN1998100A (zh) 用于pem燃料电池的低成本气体扩散介质
JP2018537828A (ja) 燃料電池電解質管理装置
KR20220058482A (ko)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20220416243A1 (en) Electrode for Redox Flow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09155193A (ja) 多孔質炭素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多孔質炭素板を用いた膜電極融合体
KR101946148B1 (ko) 마이크로 패턴이 형성된 일체형의 리튬-공기전지용 양극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