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405A - 기록 장치,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405A
KR20070024405A KR1020060080539A KR20060080539A KR20070024405A KR 20070024405 A KR20070024405 A KR 20070024405A KR 1020060080539 A KR1020060080539 A KR 1020060080539A KR 20060080539 A KR20060080539 A KR 20060080539A KR 20070024405 A KR20070024405 A KR 20070024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ata
user data
recorded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키 야마모토
겐지 요리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4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9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 G11B2007/001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for carriers having multiple discrete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85Status of the record carrier, e.g. space bit maps, flags indicating a formatting status or a write permis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88Formatting by padding empty spaces with dummy data, e.g. writing zeroes or random data when de-icing optical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9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serves a specific purpose
    • G11B2020/1294Increase of the access speed
    • G11B2020/1297Increase of the access speed wherein the focus is on the write access spe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3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has a specific layer structure
    • G11B2220/235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데이터 개서(改書)가 가능한 광디스크 기록 매체에 있어서, 디스크 배출시에 필요하게 되는 포맷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한다.
백그라운드 포맷으로서의 더미 데이터의 기록이,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순서와는 역순으로 행해지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서 종래와 같이 백그라운드 포맷된 부분이 사용자 데이터에 의해서 겹쳐쓰기 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고, 그만큼 백그라운드 포맷된 부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이젝트시에 필요로 하는 포맷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록 장치, 기록 방법{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기록 장치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형태의 광디스크 기록 매체의 영역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 1실시형태로서의 백그라운드 포맷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호환 가능 반경 위치를 규정하는 사양이 채용된 경우에서의, 호환성을 요구하는 이젝트 요구에 따라 행해지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 1실시형태에 있어서 호환 가능 반경 위치를 규정하는 사양이 채용된 경우에 대응한 백그라운드 포맷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2실시형태로서의 광디스크 기록 매체의 단면 구조에 대해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제 2실시형태로서의 광디스크 기록 매체의 영역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 2실시형태로서의 백그라운드 포맷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 2실시형태에 있어서 호환 가능 반경 위치를 규정하는 사양이 채용된 경우에 대응한 백그라운드 포맷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동일하게, 제 2실시형태에 있어서 호환 가능 반경 위치를 규정하는 사양이 채용된 경우에 대응한 백그라운드 포맷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의 백그라운드 포맷의 수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종래의 백그라운드 포맷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디스크 2. 스핀들 모터
3. 광픽업 8. RF앰프
9. 재생 신호 처리부 10. 서보 제어부
11. DRAM 12. 컨트롤러
13. 호스트 인터페이스 14. 변조부
15. 레이저 변조 회로
본 발명은, 데이터 개서(改書)가 가능한 광디스크 기록 매체에 대해서 기록을 실시하는 기록 장치와 그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학적으로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한 광기록 매체로서 광디스크 기록 매체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광디스크 기록 매체로서, DVD(Digital Versatile Disc)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DVD로서는, 정보가 엠보스(emboss) 피트와 랜드와의 조합으로 기록된 재생 전용의 DVD-ROM이나, 기록층에 색소 변화막을 이용하여 한번만의 기록이 가능한 DVD-R이나 DVD+R, 또는 기록층에 상(相)변화막(phase-change film)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개서가 가능하게 된 DVD-RW나 DVD+RW가 알려져 있다.
이 중, 데이터 개서가 가능한 디스크로서의 DVD+RW는, 동일한 개서 가능형의 디스크인 DVD-RW보다 후발(後發) 규격이며, 그 때문에 DVD-RW보다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서의 편의 향상이 도모된 것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DVD+RW에서는, 디스크의 포맷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단축화가 도모되는 고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DVD+RW와 같은 개서 가능한 디스크에 있어서는, 재생 전용 장치에서의 재생이 가능해지도록,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어야 할 데이터 영역내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이외의 부분을 예를 들면 ALL “0”데이터 등에 의한 더미(dummy) 데이터로 다 메우는, 이른바 포맷으로 불리는 처리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 있어서는, 이러한 재생장치와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포맷 처리를,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에 앞서, 디스크 전체에 대해서 실시하는 것도 있었지만, DVD+RW에서는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에 앞서 반드시 포맷 처리를 실시하는 바와 같은 경우는 없고, 이것에 의해 장전 직후에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지시된 경우에 는 즉석에서 기록을 개시할 수 있고, 기록 개시까지의 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크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포맷 처리는, 드라이브가 기입이나 독출을 실시하지 않은 아이들(idle) 상태일 때 자동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이 포맷 처리를 백그라운드에서 실시하도록 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사용자를 기다리게 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서 사용함에 있어서의 편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이러한 포맷의 수법은 백그라운드 포맷으로 불리고 있다.
도 11은, DVD+RW에 있어서의 이러한 백그라운드 포맷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DVD+RW로서의 디스크를 영역 구조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리드 인(Lead-in) 영역은, 디스크의 최내주(最內周) 부분에 위치하고, 이 리드 인 영역으로부터 외주측에 걸쳐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된다. 이러한 리드 인 영역의 외주측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는 영역은 데이터 영역(Data Area)으로 불린다.
이 도 11에서는, 디스크를 장전한 다음에 아이들 상태에 놓여지고, 이것에 따라 백그라운드 포맷이 실행된 예가 나타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DVD+RW에서는,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개시 위치(리드 인 영역의 직후)로부터 순서대로, 소정의 블록(BF) 단위마다 백그라운드 포맷으로서의 더미 데이터의 기록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이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여 백그라운드 포맷이 블록(BF5)까지 행해진 상태에서, 사용자 데이터로서의 어느 데이터 파일의 기록 지시가 실시되어서, 다음의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사용자 데이터(UD1, UD2)의 기록이 행해졌다고 한다.
이때, 블랭크 디스크에 대해서 데이터 파일이 기록되는 경우로서는, 데이터 영역내에 있어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른바 벌레 먹은 상태(vermiculated state)로 사용자 데이터(UD)가 기록될 가능성이 높다. 즉, UDF(Universal Disc Format)가 채용되는 경우에는 특히, 리드 인 영역에 연속되는 데이터 영역의 최내주 부분에 대해, 도시하는 사용자 데이터(UD1)로서 파일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때, 실(實)데이터로서의 데이터 파일은 반드시 관리 정보의 기록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기록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최내주에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UD1)와 이러한 실데이터로서의 사용자 데이터(UD2)가 간격을 두고 기록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이러한 벌레 먹은 상태(vermiculated state)가 되면, 백그라운드 포맷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사용자 데이터(UD1)와 사용자 데이터(UD2)와의 사이가 미기록이 되지만, 도 11에 나타낸 백그라운드 포맷이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이 부분은 포맷이 끝난 상태가 되며,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후, 이 부분을 새롭게 포맷 할 필요가 없어진다.
즉, 이와 같이 하여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해 두는 것으로 이젝트시에 필요한 포맷 시간도 단축화된다.
또한, 관련하는 종래 기술에 대해서는 이하의 특허 문헌을 들 수 있다.
[특허 문헌 1]특개평11-134799호 공보
이와 같이 하여, 백그라운드 포맷이 실시됨으로써 이젝트시에 필요한 포맷 시간을 단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종래의 백그라운드 포맷의 수법에서는,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에 따라서 포맷이 실시되는 것으로, 그만큼 포맷한 부분이 유효하게 활용되지 않는 경향이 된다.
즉, 도 12를 예로 들면, 유효하게 활용되고 있는 것은 사용자 데이터(UD1)와 사용자 데이터(UD2)의 사이 부분뿐이며, 다른 부분은 사용자 데이터(UD)가 겹쳐쓰기 되어서 결과적으로 쓸데없는 포맷 부분이 되어 버린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을 고려하면, 백그라운드 포맷으로서는, 그 포맷 부분이 보다 유효하게 활용되도록 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이젝트시의 포맷 시간의 단축화가 도모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은 문제점에 감안하여, 기록 장치로서 이하와 같이 하는 것으로 했다.
즉, 데이터 개서가 가능한 동시에 1개의 기록층을 가지는 광디스크 기록 매체에 대해서 기록을 실시하는 기록 장치로서, 상기 기록층에 대한 데이터 기록을 실시하는 기록 수단과, 백그라운드 포맷으로서의 더미 데이터의 기록이,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순서와는 역순으로 행해지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갖추도록 했다.
또, 본 발명에서는 기록 장치로서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도 하는 것으로 했다.
즉, 데이터 개서가 가능한 동시에 복수의 기록층을 가지는 광디스크 기록 매체에 대해서 기록을 실시하는 기록 장치로서, 우선, 상기 기록 매체의 각 기록층에 대한 데이터 기록을 실시하는 기록 수단을 갖춘다.
그리고, 상기 광디스크 기록 매체로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된 다음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져야 할 기록층으로부터 순서대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최초로 행해지는 제 1기록층에 있어서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반경(半徑) 방향 범위와 동일한 반경 방향 범위를 대상으로 한 백그라운드 포맷으로서의 더미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갖추도록 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백그라운드 포맷을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와는 역순으로 실시하도록 하는 것으로, 포맷 부분이 사용자 데이터에 의해서 더욱더 겹쳐써지기 어렵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백그라운드 포맷한 부분이 유효하게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 특히 기록층이 복수가 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된 다음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져야 할 기록층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기록층에 있어서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반경 방향 범위와 동일한 반경 방향 범위를 대상으로 한 백그라운드 포맷을 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양에 따라서는, 재생 전용 장치와의 호환성은,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는 전체영역을 더미 데이터로 다 메우지 않고, 제 1기록층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된 범위에 대해서만 더미 데이터의 기록을 실시하면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사양이 채용되는 경우에 대응시켜서는, 상기와 같이 제 1기록층에서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반경 방향 범위에 대해서만 다른 기록층에서 더미 데이터의 기록을 실시하는 것으로, 쓸데없는 포맷 부분을 없애는 경향으로 할 수 있고, 백그라운드 포맷된 부분의 유효 활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때, 백그라운드 포맷은, 상기와 같이 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져야 할 기록층으로부터 순서대로 행해지므로, 이 점에서도 백그라운드 포맷이 실시된 부분의 유효 활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이하 실시형태로 한다)에 대해서 설명해 간다.
<제 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실시형태로서의 기록 장치인, 디스크 드라이버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우선, 도시하는 디스크(1)는, 데이터의 개서가 가능한 동시에 기록층을 1층만 가지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방식의 디스크이며, 구체적으로는 DVD+RW디스크이다. 이 경우, 디스크(1)의 기록층은 상(相)변화 기록막으로 된다.
이 경우의 디스크(1)의 영역 구조로서는, 다음의 도 2에 나타내는 것이 된 다.
도시하는 리드 인(Lead-in) 영역은, 디스크(1)의 최내주 측에 위치하고, 여기에는 디스크(1)의 미디어 종별(種別)을 나타내는 정보나 관리 정보 등과 같은 디스크(1)의 기록/재생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기록된다.
이 리드 인 영역의 외주측에는, 데이터 영역(Data Area)이 계속된다. 이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어야 할 영역이다. 데이터 영역에서는, 도면 중 화살표 R의 방향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는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의 순서로 기록된다.
또, 디스크(1)의 최외주 부분에 대해서는, 리드 아웃(Lead-out) 영역이 설치된다. 이 리드 아웃 영역은 가이드 영역으로서의 기능도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면 더미데이터 등이 기록되는 영역이 된다.
설명을 도 1로 되돌린다.
본 실시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버 장치로서는, 이와 같은 DVD+RW인 디스크(1)에 대응한 기록 장치로서 이른바 백그라운드 포맷으로 불리는 포맷 처리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백그라운드 포맷이란, 해당 디스크 드라이버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1)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독출의 어느것도 행해지지 않은 상태(아이들 상태)에 있어서, 디스크(1)의 데이터 영역에 대해, 재생 전용 장치에서의 재생이 가능해지도록 하기 위한 더미 데이터의 기록을 자동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버 장치로서는, DVD+RW의 디스크(1) 이외 에도, DVD-ROM, DVD-R, DVD+R, DVD-RW 등의 다른 DVD 디스크에도 대응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을 실시할 수 있는, 이른바 멀티 드라이브로서 구성된다.
도 1에 있어서, 디스크(1) 또는 다른 DVD 디스크(이하 대체적으로 디스크라고도 칭한다)는, 도시하지 않은 턴테이블에 적재되며, 기록 재생동작시에 있어서 스핀들 모터(2)에 의해서 일정선 속도(CLV) 혹은 일정각(一定角) 속도(CAV)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픽업(3)에 의해서 디스크에 엠보스 피트 형태, 색소 변화 피트 형태, 혹은 상(相)변화 피트 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독출이 행해지게 된다.
픽업(3)내에는, 레이저 광원이 되는 레이저 다이오드나,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포토디텍터, 레이저광의 출력단이 되는 대물렌즈, 레이저광을 대물렌즈를 거쳐서 디스크 기록면에 조사(照射)하고, 또 그 반사광을 포토디텍터로 이끄는 광학계, 대물렌즈를 트래킹 방향 및 포커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관 유지하는 2축기구 등이 형성된다.
또 픽업(3) 전체는 슬라이드 구동부(4)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 정보는 포토디텍터에 의해서 검출되며, 수광 광량에 따른 전기신호로 되어서 RF앰프(8)에 공급된다.
RF앰프(8)에는, 픽업(3)내의 복수의 포토디텍터로부터의 출력 전류에 대응하여 전류 전압 변환 회로, 매트릭스 연산/증폭 회로 등을 갖추며, 매트릭스 연산 처리에 의해 필요한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재생 신호인 RF신호, 서보 제 어를 위한 포커스 에러 신호(FE), 트래킹 에러 신호(TE) 등을 생성한다.
RF앰프(8)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신호(RF신호)는 재생 신호 처리부(9)로, 포커스 에러 신호(FE), 트래킹 에러 신호(TE)는 서보 제어부(10)로 공급된다.
RF앰프(8)에서 취득된 재생 RF신호는 재생 신호 처리부(9)에 있어서, 2치화(値化), PLL 클록 생성, EFM+신호(8-16 변조 신호)에 대한 디코드 처리, 에러 수정 처리 등이 실시된다.
재생 신호 처리부(9)는, DRAM(11)을 이용하여 디코드 처리나 에러 수정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DRAM(11)은, 호스트 인터페이스(13)로부터 취득된 데이터를 보존하거나, 호스트 컴퓨터에 대해서 데이터 전송하기 위한 캐시로서도 이용된다.
그리고 재생 신호 처리부(9)는, 디코드한 데이터를 캐시 기억 장치로서의 DRAM(11)에 축적해 나간다.
이 디스크 드라이버 장치로부터의 재생 출력으로서는, DRAM(11)에 버퍼링되어 있는 데이터가 독출되어 전송 출력되게 된다.
또 재생 신호 처리부(9)에서는, RF신호에 대한 EFM+복조 및 에러 수정에 의해 취득된 정보중에서, 서브 코드 정보나 ATIP 정보, LPP 정보, ADIP 정보, 섹터 ID 정보 등을 추출하고 있고, 이러한 정보를 컨트롤러(12)에 공급한다.
컨트롤러(12)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로 형성되며, 장치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특히 이 경우, 상술한 백그라운드 포맷은 이 컨트롤러(12)의 제어에 의거하여 행해진다. 즉 컨트롤러(12)는, 디스크(1)에 대한 기입도 독출도 행해지지 않은 아이들 상태가 된 것에 따라서, 필요한 각부를 제어하여 더미 데이터 의 기록을 실행시킨다. 즉, 변조부(14)에 의해 더미 데이터(예를 들면 ALL “0”데이터)의 변조 데이터를 생성시키고, 또 서보 제어부(10)에 대한 액세스 실행 제어를 실시해서, 상기 더미 데이터의 변조 데이터의 기록 동작을 실행시킨다.
이때, 컨트롤러(12)는, 백그라운드 포맷으로서의 상기 더미 데이터의 기록을, 소정의 기록 단위인 블록(BF)을 최소단위로서 실시하게 된다. 이 경우의 더미 데이터의 기록의 최소단위로서는, 예를 들면 1 ECC(Error Correcting Code) 블록(16 섹터)에 의거하는 것이라고 한다.
또, 이때, 더미 데이터의 기록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록 순서에 따라서 행해진다. 컨트롤러(12)는, 예를 들면 내부의 ROM 등에 격납된 이러한 디스크(1)에 대한 더미 데이터의 기록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기록 순서 정보)에 의거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적정한 순서로 더미 데이터의 기록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13)는,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 등의 호스트 기기와 접속되며, 호스트 기기와의 사이에 재생 데이터나 리드(read)/라이트(write) 커맨드 등의 통신을 실시한다.
즉 DRAM(11)에 격납된 재생 데이터는, 호스트 인터페이스(13)를 거쳐서 호스트 기기에 전송 출력된다.
또 호스트 기기로부터의 리드/라이트 커맨드나 기록 데이터, 그 외의 신호는 호스트 인터페이스(13)를 거쳐서 DRAM(11)에 버퍼링 되거나, 컨트롤러(12)에 공급된다.
호스트 기기로부터 라이트 커맨드 및 기록 데이터가 공급되는 것으로 디스크에 대한 기록이 실시된다.
데이터의 기록시에 있어서는, DRAM(11)에 버퍼링된 기록 데이터는, 변조부(14)에 있어서 기록을 위한 처리가 실시된다. 즉 에러 수정 코드 부가, EFM +변조 등의 처리가 실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변조된 기록 데이터가 레이저 변조 회로(15)에 공급된다. 레이저 변조 회로(15)는, 기록 데이터에 따라 픽업(3)내의 반도체 레이저를 구동하고, 기록 데이터에 따른 레이저 출력을 실행시키고, 디스크에 데이터 기입을 실시한다.
이 기록 동작시에 있어서는, 컨트롤러(12)는, 디스크의 기록 영역에 대해서 픽업(3)으로부터 기록 파워로 레이저광을 조사하도록 제어된다.
디스크가 색소 변화막을 기록층으로 한 라이트 원스형(write-once-type)의 것인 경우는, 기록 파워의 레이저 조사에 의해, 색소 변화에 의한 피트가 형성되어 간다.
또, 본 실시형태의 디스크(1)와 같이 상(相)변화 기록막을 가지는 리라이터블(rewritable) 디스크의 경우는, 레이저광의 가열에 의해서 기록층의 결정 구조가 변화하고, 상(相)변화 피트가 형성되어 간다. 즉 피트의 유무와 길이를 바꾸어 각종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 피트를 형성한 부분에 재차 레이저광을 조사하면, 데이터의 기록시에 변화한 결정 상태가 가열에 의해서 원래대로 돌아가고, 피트가 없어져 데이터가 소거된다.
서보 제어부(10)는, RF앰프(8)로부터의 포커스 에러 신호(FE), 트래킹 에러 신호(TE)나, 재생 신호 처리부(9) 혹은 컨트롤러(12)로부터의 스핀들 에러 신호(SPE) 등으로부터, 포커스, 트래킹, 슬라이드, 스핀들의 각종 서보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하여 서보 동작을 실행시킨다.
즉 포커스 에러 신호(FE), 트래킹 에러 신호(TE)에 따라 포커스 드라이브 신호, 트래킹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하고, 포커스/트래킹 구동 회로(6)에 공급한다. 포커스/트래킹 구동 회로(6)는, 픽업(3)에 있어서의 2축기구의 포커스 코일, 트래킹 코일을 구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픽업(3), RF앰프(8), 서보 제어부(10), 포커스/트래킹 구동 회로(6), 2축기구에 의한 트래킹 서보 루프 및 포커스 서보 루프가 형성된다.
또한 포커스 서보를 온으로 할 때는, 우선 포커스 서치 동작을 실행해야 한다. 포커스 서치 동작이란, 포커스 서보 오프 상태로 대물렌즈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포커스 에러 신호(FE)의 S자 커브를 얻을 수 있는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공지대로, 포커스 에러 신호의 S자 커브 중 리니어(linear) 영역은, 포커스 서보 루프를 닫는 것으로 대물렌즈의 위치를 합초(合焦)위치로 끌어들일 수 있는 범위이다. 따라서 포커스 서치 동작으로서 대물렌즈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의 인입 가능한 범위를 검출하고, 그 타이밍에 포커스 서보를 온으로 하는 것으로, 이후, 레이저 스포트가 합초상태(focused state)로 보관 유지되는 포커스 서보 동작이 실현되는 것이다.
서보 제어부(10)는 또한, 스핀들 모터 구동 회로(7)에 대해서 스핀들 에러 신호(SPE)에 따라서 생성한 스핀들 드라이브 신호를 공급한다. 스핀들 모터 구동 회로(7)는 스핀들 드라이브 신호에 따라 예를 들면 3상(相)(phase) 구동 신호를 스핀들 모터(2)에 인가하고, 스핀들 모터(2)의 회전을 실행시킨다. 또 서보 제어부(10)는 컨트롤러(12)로부터의 스핀들 킥/브레이크 제어 신호에 따라 스핀들 드라이브 신호를 발생시키고, 스핀들 모터 구동 회로(7)에 의한 스핀들 모터(2)의 기동, 정지, 가속, 감속 등의 동작도 실행시킨다.
또 서보 제어부(10)는, 예를 들면 트래킹 에러 신호(TE)의 저역(低域) 성분으로서 취득되는 슬라이드 에러 신호나, 컨트롤러(12)로부터의 액세스 실행 제어 등에 의거하여 슬라이드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하고, 슬라이드 구동 회로(5)에 공급한다. 슬라이드 구동 회로(5)는 슬라이드 드라이브 신호에 따라 슬라이드 구동부(4)를 구동한다. 슬라이드 구동부(4)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픽업(3)을 보관 유지하는 메인 샤프트, 슬레드(sled)모터, 전달 기어 등에 의한 기구를 가지고, 슬라이드 구동 회로(5)가 슬라이드 드라이브 신호에 따라 슬라이드 구동부(4)를 구동하는 것으로, 픽업(3)의 필요한 슬라이드 이동이 행해진다.
또한, 이 도 1에서는 디스크 드라이버 장치가 퍼스널 컴퓨터 등의 호스트 기기(정보처리 장치)의 외부부착의 드라이브 장치로서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당연한 일이지만 이러한 정보처리 장치에 내장되는 디스크 드라이버 장치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여기에서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가 DVD계의 디스크에만 대응하는 것으로 했지만, CD(Compact Disc) 등의 다른 광디스크 기록 매체에도 대응하는 구성 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현재의 상태에 있어서, 기록층을 1층만 가지는 DVD+RW에서는, 백그라운드 포맷으로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순서에 따라서 내주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더미 데이터의 기록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도 11 참조).
그렇지만, 이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에 따라서 백그라운드 포맷이 실시되는 것에 따라서는, 앞의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었을 때에는 포맷 부분이 겹쳐쓰기 되어 버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만큼 포맷한 부분이 유효하게 활용되지 않는 경향으로 되어 버린다.
이것을 고려하면, 백그라운드 포맷으로서는, 그 포맷부분이 보다 유효하게 활용되도록 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이젝트시의 포맷 시간의 단축화가 도모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로서는, 백그라운드 포맷을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와는 역순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로서의 백그라운드 포맷 동작을 다음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이 경우는 데이터 영역의 최외주(最外周) 부분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와는 역순으로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해 간다. 이것은,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행해질 가능성이 가장 낮은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해 가는 것에 상당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백그라운드 포맷은 소정의 블록(BF) 단위마다 실 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도면과 같이 블록(BF1) ~ 블록(BF4)까지 백그라운드 포맷이 실시되었다고 한다.
이 도 3(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로서의 어느 데이터 파일의 기록 지시가 실시되어서, 다음의 도 3(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여 사용자 데이터(UD1)와 사용자 데이터(UD2)가 기록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 기록 후, 재생 전용 장치와의 호환성을 요구하는 이젝트 요구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여기서, 재생 전용 장치와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는 데이터 영역내의 미기록 부분을 모두 더미 데이터로 다 메울 필요가 있는 것으로 된다. 여기에서는, 그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이젝트 요구에 대해서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UD1)와 사용자 데이터(UD2)와의 사이의 영역(도면 중 F1)과, 사용자 데이터(UD2)와 블록(BF4)과의 사이의 영역(도면 중 F2)에 대해서 포맷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의 외주의 소정 영역을 대상으로 하여 더미 데이터 등의 필요한 데이터의 기록을 실시하는 것으로, 도시하는 리드 아웃 영역을 부가한다. 이것에 의해서, 재생 전용 장치와의 호환성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로서의 백그라운드 포맷으로서는,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와는 역순으로 행해지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었을 때에도, 더욱더 포맷이 끝난 부분이 겹쳐써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즉, 그만큼,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와 동일 순서로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하는 종래와의 비교에서는, 백그라운드 포맷된 부분이 보다 유효하게 활용되도록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이젝트시에 필요로 하는 포맷 시간도 보다 단축화할 수 있게 된 다.
또한, 확인을 위해서 기술해 두면, 백그라운드 포맷으로서의 더미 데이터의 기록을 실시하는 순서는, 앞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2)가 내부에 기억하는 기록 순서 정보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실시형태로서의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현할 때에는, 이 기록 순서 정보로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와는 정반대의 역순을 지시하는 정보가 격납되면 좋은 것이다.
그런데, 상기 설명에서는, 재생 전용 장치와의 호환성 확보를 위해서는, 이젝트시에 데이터 영역내를 더미 데이터로 다 메울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전제로 했지만, 사양에 따라서는, 소정의 반경 위치를 초과하여 데이터 기록이 실시된 경우에는, 그 데이터 기록 종단에 대해서 리드 아웃 영역을 부가하는 것으로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한 것도 있다.
여기서, 이러한 사양을 채용하는 경우에서의 동작을 다음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경우는 디스크(1)상의 소정의 반경 위치가, 호환 가능 반경위치(rG)로서 규정된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를 초과하는 범위에서 데이터 기록이 실시된 경우, 그 후에 호환성을 요구하는 이젝트 요구가 이루어졌을 때는,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템퍼러리 리드 아웃(Temporary Lead-out)으로 불리는 가짜의 리드 아웃 영역을 부가할 뿐으로, 재생 전용 장치와의 호환성이 확보된다고 한 것이다.
일례로서, DVD-ROM와의 호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로서 반경 30mm ~ 35mm를 규정한 사양이 있다.
이러한 사양이 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와는 역순으로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하는 것으로, 포맷이 끝난 부분이 유효하게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는, 앞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져야 할 영역으로부터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해 버리고,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보다 외주측의 포맷 부분이 쓸모없게 되어 버리게 되며, 포맷 부분이 유효하게 활용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져야 할 영역으로부터가 아니고,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로부터 순서대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와는 역순으로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해 가는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에 못 미친 범위에서밖에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지 않았던 경우에, 포맷 부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젝트시에 필요로 하는 포맷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이러한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가 규정되는 경우에 대응한 동작을, 다음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a)에 있어서, 상기도 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 경우는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로부터 순서대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와는 역순으로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해 간다. 여기에서는, 도면과 같이 블록(BF1) ~ 블록(BF2)까지 포맷이 실시되었다고 한다.
이 상태로부터 다음의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UD1)가, 예를 들면 블록(BF2)의 도중까지 기록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 사용자 데이터(UD1)의 기록 후, 호환성을 요구하는 이젝트 요구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이것에 따라서는, 도 5(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의 외주측에 템퍼러리 리드 아웃를 부가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서 이 경우는 재생 전용 장치와의 호환성이 확보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종래의 백그라운드 포맷을 답습했을 경우에는,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에 따른 백그라운드 포맷이 실시되므로, 도 5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UD1)가 기록되었을 때는, 같은 2개의 블록(BF)만큼의 백그라운드 포맷이 실시된 조건하에서는, 당연한 일이지만 블록(BF1), 블록(BF2)에 상당하는 포맷 부분을 얻지 못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것과 비교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로부터 순서대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와는 역순으로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해 가는 본 예에 의하면, 그만큼 사용자 데이터(UD1)에 의해서 백그라운드 포맷한 부분이 겹쳐써지기 어렵게 할 수 있고, 포맷이 끝난 부분이 보다 유효하게 활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것에 의해서 이젝트시에 필요로 하는 포맷 시간도 보다 단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사용자 데이터(UD1)가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에 이르지 않는 범위에서 기록되었을 경우를 예시했지만, 만일 사용자 데이터(UD1)가 호환 가 능 반경 위치(rG)를 초과하는 범위에서 기록되었을 경우에는, 본 예의 경우도 종래의 경우도 이젝트시에 필요한 것은 템퍼러리 리드 아웃의 부가 처리만 된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본 예의 경우도 종래의 경우도 백그라운드 포맷 부분의 유효 활용이라고 하는 점에서의 차이는 없고, 결국 상기와 같이 하여 사용자 데이터(UD1)가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에 이르지 않는 범위에서 기록되었을 경우에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본 예 쪽이, 대체로 종래의 경우보다 백그라운드 포맷 부분이 유효하게 활용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것보다, 본 예 쪽이, 이젝트시에 필요로 하는 포맷 시간을 보다 단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의 백그라운드 포맷 동작을 실현할 때에는, 컨트롤러(12)가 내부에 기억하는 기록 순서 정보로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는 역순을 지시하는 정보와 함께, 미리 정해진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를 종단으로 하는 블록(BF)을 지시하는 정보가 격납되면 좋다. 이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를 종단으로 하는 블록(BF)을 지시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컨트롤러(12)는,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로부터 순서대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와는 역순으로 백그라운드 포맷을 하도록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제 2실시형태>
이제까지에서는, 디스크(1)가 기록층을 1층만 가지는 단층 디스크로 되는 경우에 대응한 동작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디스크(1)로서는, 기록층을 복수 가지는 다층 디스크로 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도 6은, 이러한 다층 디스크에 의한 디스크(1)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의 디스크(1)로서는, 데이터의 개서가 가능한 동시에 기록층을 다층 가지는 다층 DVD+RW디스크로서 구성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디스크(1)에는 제 1기록층(Layer0)과 제 2기록층(Layer1)의 2개의 기록층만이 갖춰져 있다고 한다.
이 경우, 2개의 기록층은 상(相)변화 기록막으로 되며, 이것들 2개의 기록층은 비교적 작은 간격을 두고 적층된다.
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기록층은, 제 1기록층이 후술하는 디스크 드라이버 장치의 광픽업(3)내의 대물렌즈(3a)에 의해 가까운 쪽의 층으로 되며, 제 2기록층은 대물렌즈(3a)로부터 보다 먼 쪽의 층으로 된다.
이러한 2층 디스크의 기록시에 있어서는, 디스크 드라이버 장치의 광픽업(3)으로부터 대물렌즈(3a)를 거쳐서 사출하는 레이저광을 몇개의 기록층으로 좁히고, 그 기록층에 신호를 기록하게 된다.
도 7은, 이 경우의 디스크(1)의 영역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의 디스크(1)에서는, 기록 방식으로서 어퍼짓 트랙 패스(opposite track paths)가 채용된다.
이 어퍼짓 트랙 패스에서는, 도면 중 화살표(R1, R2)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순서로서는 제 1기록층의 내주측에서 시작되어 제 1기록층의 마지막까지 기록한 다음에, 제 2기록층의 외주로부터 내주에 걸쳐서, 기록을 실시 하는 것이 된다.
이 경우, 처음에 기록이 실시되야 할 제 1기록층에서는,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에 걸쳐서 리드 인 영역→데이터 영역→미들 영역(Middle Area)이 형성된다. 또 제 2기록층에서는 외주측으로부터 내주 측에 걸쳐서, 미들 영역→데이터 영역→리드 아웃 영역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미들 영역은, 층간 랩어라운드 부분(wraparound portion)으로부터 외주측의 영역에 부가되는 것이 된다. 또한, 이러한 미들 영역이 설치되는 것은, 재생 전용 장치에서는 디스크 반면(盤面)에 기록한 피트를 판독하므로, 피트가 없는 영역에서는 서보도 걸리지 않고 데이터를 안정되게 독출할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을 위한 가이드가 되는 영역으로서, 예를 들면 더미 데이터를 기록한 영역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디스크(1)가 다층 디스크로 되는 경우에는, 디스크 드라이버 장치로서는 도 1에 대해서 설명한 채로의 구성이 아니고, 다층 디스크에 대응한 구성이 채용될 필요가 있다.
즉, 제 1기록층에 대해서 기록 재생을 실시하는 경우는, 레이저광은 제 1기록층에 대해서 합초(合焦)상태가 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제 2기록층에 대해서 기록 재생을 실시하는 경우는 레이저광은 제 2기록층에 대해서 합초상태가 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제 1기록층, 제 2기록층간에서의 포커스 위치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이 경우의 디스크 드라이버 장치로서는, 포커스 점프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포커스 점프 동작은, 한쪽의 기록층에서 합초상태에 있을 때, 포커스 서보를 오프로 하여 대물렌즈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고, 다른 쪽의 기록층에 대한 포커스를 끌어당기는 범위내에 도달한 시점(S자 커브가 관측되는 시점)에서 포커스 서보를 온으로 하는 것으로 실행된다. 이러한 포커스 점프 동작은, 예를 들면 컨트롤러(12)의 서보 제어부(10)로의 지시에 따른, 서보 제어부(10) - 포커스/트래킹 구동 회로(6) - 광픽업(3) - RF앰프(8)의 포커스 서보 루프계의 동작에 의해 행해진다.
여기서, 이와 같이 기록층이 다층으로 되는 경우로서도, 백그라운드 포맷으로서는, 앞의 도 7에서 설명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와는 역순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종래 방식을 답습하는 경우보다 백그라운드 포맷한 부분이 유효하게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8(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여 이 경우는 제 2기록층(Layer1)의 데이터 영역의 최외주 부분(즉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져야 할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블록(BF)마다,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와는 역순으로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해 가는 것이다.
이때, 백그라운드 포맷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기록층의 데이터 영역의 전체에 대해서 행해지고(블록(BF1) ~ 블록(BF10)), 또한 제 1기록층에 둘러싸여서 블록(BF11) ~ 블록(BF13)의 3개의 블록까지 행해졌다고 한다. 또, 이 상태로부터,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사용자 데이터(UD1)의 기록이 실시되며, 게다가 그 기록 후에 호환성을 요구하는 이젝트 요구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이것에 따라서는,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제 1기록층에 있어서의 사용자 데이터(UD1)의 기록 종단과 백그라운드 포맷이 실시된 블록(BF13)의 개시 위치와의 사이의 미기록 부분을 포맷 처리한다(도면 중 F-new). 게다가, 제 1기록층과 제 2기록층과의 층간 랩어라운드 부분(wraparound portion)만큼의 외주 부분에 대해, 미들 영역을 부가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재생 전용 장치와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기록층이 다층으로 되는 경우로서도, 상기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져야 할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와는 역순으로 백그라운드 포맷이 실시되는 것으로, 사용자 데이터에 의해서 포맷 부분이 겹쳐써지기 어렵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백그라운드 포맷된 부분이 유효하게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그만큼, 이젝트시에 필요로 하는 포맷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기록층이 2층으로 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3층 이상으로 되는 경우로서도 동일하게,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져야 할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와는 역순으로 백그라운드 포맷이 실시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여기에서는 디스크(1)로서 어퍼짓 트랙 패스가 채용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모든 기록층에 있어서 동일 방향으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는 패럴렐 트랙 패스가 채용되는 경우로서도, 동일하게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져야 할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와는 역순으로 백그 라운드 포맷이 실시되는 것으로, 동일하게 포맷 부분이 사용자 데이터에 의해서 겹쳐써지기 어렵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백그라운드 포맷한 부분이 유효하게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기록층이 복수가 되는 경우로서도,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를 규정하고, 이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까지 데이터 기록이 실시되었을 때는, 그 이상 앞의 영역을 포맷하지 않아도 템퍼러리 미들 영역을 부가하는 것으로 호환성이 유지된다고 한 사양이 채용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단, 기록층이 복수인 경우, 재생 전용 장치와의 호환성을 얻기 위해서는, 최저라도, 제 1기록층에서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반경 위치까지의 범위에 대해서는, 다른 모든 기록층에 있어서도 더미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으면, 안정된 재생동작을 보증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결국은, 다층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를 규정하고, 이젝트시에 포맷이 필요한 영역의 삭감을 도모하는 경우로서는,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었을 때, 최저라도 제 1기록층에서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범위와 같은 범위에 대해서는 다른 기록층에 있어서도 더미 데이터로 다 메울 필요가 있게 된다.
바꿔 말하면, 이 경우는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었을 때는, 제 1기록층에 있어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범위와 같은 범위에 대해서, 다른 모든 기록층에서 더미 데이터의 기록을 실시하면(실제로는 템퍼러리 미들 영역의 부가도 필요로 한다), 재생 전용 장치와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와 같이 다층 디스크로서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를 규정하고, 이젝트시에 포맷이 필요한 영역의 삭감을 도모한다고 했을 경우에 대응해서는, 제 1기록층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반경 방향 범위와 동일한 반경 방향 범위를 대상으로만, 다른 모든 기록층에 대한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하는 순서로서는,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져야 할 기록층으로부터 순서대로 실시하도록 한다.
이 경우의 동작을, 다음의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디스크(1)가 n개의 기록층을 가지는 n층 디스크로서 그 영역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 이 경우로서도 제 1기록층의 리드 인 영역은 디스크(1)의 최내주 부분으로 되며,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로서는 어퍼짓 트랙 패스가 채용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우선, 이 경우의 동작으로서는, 데이터 영역내에 있어서 어떠한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다음인 것이 전제가 된다. 즉, 어떠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후에 아이들 상태가 되는 것에 따라 행해지는 백그라운드 포맷의 동작이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도 9(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 데이터(UD1)가, 제 1기록층의 도중까지이며, 또한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를 초과하도록 하여 기록되었다고 한다.
이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사용자 데이터(UD1)가 기록된 후, 아이들 상태에 놓여졌던 것에 따라서는, 다음의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져야 할 제 n기록층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기록층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범위와 동일한 반경 방향 범위까지를 대상으로 하여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해 간다(도면 중 BGF1→ BGF2ㆍㆍㆍ의 순서).
이와 같이 하여, 각 기록층에서의 백그라운드 포맷이 제 1기록층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범위와 동일한 반경 방향 범위까지를 대상으로 하여 행해지는 것으로,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보다 앞(즉, 이 경우는 rG보다 외주측)에 대해서 쓸데없는 포맷이 행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경우는 상기와 같이 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져야 할 기록층으로부터 순서대로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하도록 한 것으로, 이제까지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포맷 부분의 유효 활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때, 제 n기록층에 있어서의 마지막에 기록이 실시되어야 할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하면, 또한 포맷 부분의 유효 활용화가 도모되는 경향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제 1기록층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데이터 영역의 도중에 종료했을 경우를 예시했지만, 확인을 위해서 기술해 두면, 예를 들면 다음의 도 10(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여 사용자 데이터(UD1)의 기록이 제 2기록층까지 걸쳐서 행해지는 등, 제 1기록층의 데이터 영역이 모두 사용자 데이터로 가득 찼을 경우에는, 다음의 도 10(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여 제 n기록층으로부터 순서대로, 각층에 있어서 데이터 영역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백그라운드 포맷을 하게 된다(BGF1→BGF2ㆍㆍㆍ).
즉, 이 경우는 제 1기록층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범위는 데이터 영역 전체가 되기 때문에, 각 기록층에 대해서도 동일한 반경 방향 범위까지로 하여 데 이터 영역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백그라운드 포맷이 실시되는 것이다.
또, 도 9, 도 10에서는,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를 넘어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된 후의 동작에 대해서만 언급했지만,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행해진 후의 아이들 상태에 따라서, 동일하게 제 1기록층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범위와 동일 범위에 대해서, 제 n기록층으로부터 순서대로 각층에서의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하면 좋다.
여기서, 종래 방식을 답습했을 경우에는 백그라운드 포맷이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순서로 행해지므로, 이 경우는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종단으로부터 순서대로 백그라운드 포맷이 실시되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하면, 이후에 사용자 데이터가 추기(追記)된 경우는, 이제까지와 동일하게 백그라운드 포맷한 부분은 쓸모없게 되어 버린다. 또, 만일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追記)가 실시되지 않았던 경우로서도, 상기와 같이 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종단으로부터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하는 것에 따라서는, 호환 가능 반경 위치(rG)로부터 앞의 포맷도 행해져 버릴 가능성이 있고, 그 경우는 쓸데없는 포맷을 실시하게 되어 버린다.
이것에 대해, 상기 본 예의 동작에 의하면, 제 n기록층으로부터 순서대로, 또한 제 1기록층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기록 범위와 동일 범위를 대상으로만 백그라운드 포맷이 실시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 데이터의 추기가 있었던 경우도 없었던 경우도, 종래 방식을 답습했을 경우와 비교하면, 쓸데없는 포맷 부분은 생략화되는 경향으로 할 수 있고, 이 결과 이젝트시에 필요로 하는 포맷 시간으로서도 종래 방식을 답습했을 경우와 비교하면 단축화되는 경향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9, 도 10에서는 디스크(1)로서 어퍼짓 트랙 패스가 채용되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지만, 패럴렐 트랙 패스가 채용되는 경우로서도, 동일하게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후에 아이들 상태에 놓여졌던 것에 따라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져야 할 제 n기록층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기록층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범위와 동일한 반경 방향 범위까지를 대상으로 하여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해 가면, 동일하게 백그라운드 포맷한 부분이 유효하게 활용되도록 하고, 이젝트시에 필요로 하는 포맷 시간의 단축화가 도모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에 의해 설명한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후에 아이들 상태에 놓여졌던 것에 따라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져야 할 제 n기록층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기록층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범위와 동일한 반경 방향 범위까지를 대상으로 하여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해 간다」라고 하는 동작은, 컨트롤러(12)의 제어에 의거하여 실행된다.
이 경우, 컨트롤러(12)로서는, 디스크(1)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된 것에 따라서, 제 1기록층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종단의 반경 방향 위치의 정보를 취득하여 이것을 보관 유지한다. 그 후, 아이들 상태가 되는 것에 따라서, 이 보관 유지된 반경 방향 위치까지의 범위에 대해서, 제 n기록층으로부터 순서대로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하도록 필요한 각부를 제어한다.
또한, 확인을 위해서 기술해 두면, 종래로부터도 행해지고 있던 바와 같이 백그라운드 포맷으로서는,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종단 범위는 피해서 이것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예의 백그라운드 포맷으로서도, 사용자 데 이터의 기록이 끝난 범위에 대해서는 이것을 피해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것을 위한 동작으로서는 공지이며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으로서는 이제까지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각 실시형태에서는, DVD+RW디스크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DVD-RW나 CD-RW 등 다른 개서 가능 디스크라면, 본 발명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백그라운드 포맷을 실시한 부분이 보다 유효하게 활용되도록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이젝트시에 있어서 포맷해야 할 부분이 보다 적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의 비교에서 광디스크 기록 매체의 이젝트시에 행해져야 할 포맷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1)

  1. 데이터 개서(改書)가 가능하고 기록층을 가지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기록을 실시하는 기록 장치로서,
    상기 기록층에 대한 데이터 기록을 실시하는 기록 수단과,
    더미(dummy) 데이터의 기록이,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순서와는 역순으로 행해지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지는 영역(area)으로부터 상기 더미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소정의 반경 위치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더미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 데이터 개서가 가능하고 기록층을 가지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기록을 실시하는 기록 장치의 기록 방법에 있어서,
    더미 데이터의 기록이,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순서와는 역순으로 행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5. 데이터 개서가 가능하고 기록층을 가지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기록을 실시하는 기록 장치로서,
    상기 기록 매체의 각 기록층에 대한 데이터 기록을 실시하는 기록 수단과,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지는 제 1기록층에 있어서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범위와 동일한 범위를 대상으로 한 더미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지는 기록층에 있어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지는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더미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로의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행해진 다음에, 상기 더미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마지막에 행해지는 기록층으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더미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행해지는 1기록층에 있어서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더미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행해진 기록층에 있어서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상기 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부터,
    상기 기록 매체의 취내주 기록 위치까지 상기 더미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1. 데이터 개서가 가능하고 기록층을 가지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기록을 행하는 기록 장치의 기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이 최초로 행해지는 제 1기록층에 있어서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범위와 동일한 범위를 대상으로 한 더미 데이터의 기록이 실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KR1020060080539A 2005-08-26 2006-08-24 기록 장치, 기록 방법 KR200700244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46059A JP2007059021A (ja) 2005-08-26 2005-08-26 記録装置、記録方法
JPJP-P-2005-00246059 2005-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405A true KR20070024405A (ko) 2007-03-02

Family

ID=3709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539A KR20070024405A (ko) 2005-08-26 2006-08-24 기록 장치,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047398A1 (ko)
EP (1) EP1758117A2 (ko)
JP (1) JP2007059021A (ko)
KR (1) KR20070024405A (ko)
CN (1) CN1920994A (ko)
TW (1) TW2007291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0606A1 (en) * 2006-11-15 2008-05-22 Thomson Licensing Single-sided pre-recorded dual-layer dvd disc functioning as a dual-sided pre-recorded dvd
US8407415B2 (en) * 2005-12-06 2013-03-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icing of multi-layer storage media
JP2007299447A (ja) * 2006-04-28 2007-11-15 Teac Corp 光ディスク装置、データ記録方法、及び多層光ディスク媒体
JP2008084474A (ja) * 2006-09-28 2008-04-10 Teac Corp データ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00070B2 (en) * 1995-05-16 1998-12-17 Sony Corporation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ata formats, and data recording medium
JPH1131357A (ja) * 1997-07-08 1999-02-02 Pioneer Electron Corp 情報データの記録方法
JP3474110B2 (ja) 1997-08-25 2003-12-08 株式会社リコー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と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と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040171930A1 (en) 2003-02-04 2004-09-02 Zimmer Technology, Inc. Guidance system for rotary surgical instrument
KR20060076765A (ko) * 2003-08-21 2006-07-0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다층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이용하는 기록매체
JP2007504579A (ja) * 2003-08-28 2007-03-0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互換性がある情報を有するマルチレイヤ記録担体、及びこの記録担体に当該互換性がある情報を記録するため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59021A (ja) 2007-03-08
US20070047398A1 (en) 2007-03-01
TW200729179A (en) 2007-08-01
CN1920994A (zh) 2007-02-28
EP1758117A2 (en)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0636B2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US7289401B2 (en) Storage mediu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US7539114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JP4200335B2 (ja) 情報記録媒体、並びに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KR20070024405A (ko) 기록 장치, 기록 방법
US8213284B2 (en) Multi-layered rewritable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EP1710791A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method of recording/reproducing data on/from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pparaus for recording/reproducing data on/from optical recording medium
JP2005293689A (ja) 記録装置、記録方法
JPWO2007091620A1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719950B2 (en) Disk drive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focus bias and spherical aberration correction value
JPWO2006028114A1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WO2006003978A1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877409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
JP2006338771A (ja) 記録装置、記録方法、光ディスク記録媒体
US7440376B2 (en) Operation condition setting system
JP2005276390A (ja) 光ディスク媒体、記録再生装置、レーザパワー決定方法
JP4633824B2 (ja) 記録媒体、記録装置、記録方法
JP2007193881A (ja)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346818A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2005346785A (ja) 記録方法、情報記録媒体、再生方法、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JP2004265475A (ja) 光ディスク装置とそのフォーカス制御方法
JP2004213835A (ja)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