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2750A - Ofdm-신호의 수신 회로 및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Ofdm-신호의 수신 회로 및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750A
KR20070022750A KR1020067026402A KR20067026402A KR20070022750A KR 20070022750 A KR20070022750 A KR 20070022750A KR 1020067026402 A KR1020067026402 A KR 1020067026402A KR 20067026402 A KR20067026402 A KR 20067026402A KR 20070022750 A KR20070022750 A KR 20070022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fdm
amplification
time
time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0667B1 (ko
Inventor
프랑크 호프만
게랄드 슈프라잇츠
자샤 야코블레브
다니엘 그룬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22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03G3/3078Circuits generating control signals for digitally modulated signals

Landscapes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FD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에 관한 것이며, OFDM-신호는 복수의 OFDM-심볼들을 갖는 연속 프레임을 포함하며, OFDM-심볼은 OFDM-심볼들의 유효 간격(Tu)을 서로 분리하기 위해 유효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효 간격(Tu) 및 보호 간격(Tguard)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 회로는 중간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OFDM-신호의 주파수 변환을 위한 입력 회로(3)와, 연속 시간 슬롯을 한정하고 시간 슬롯 내에서 OFDM-심볼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유닛(24)과, 디지털 조절 가능한 증폭기 유닛(10, 16)과, 중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된 신호 강도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증폭기 유닛(10, 16)의 증폭을 조절하기 위한 증폭기 제어기(6)를 구비한다. 수신 회로는, 증폭기 유닛(10, 16)의 증폭이 시간 슬롯 외부의 하나 이상의 시점에서 조절되도록 증폭기 제어기(6)와 연결되는 제어 유닛(20)을 특징으로 한다.
수신 회로, OFDM-신호, OFDM-심볼, 증폭기 유닛, 제어 유닛

Description

OFDM-신호의 수신 회로 및 수신 방법{RECEIVE CIRCUIT AND METHOD FOR RECEIVING AN OFDM SIGNAL}
본 발명은, 특히 디지털 방송용 또는 무선 LAN 네트워크용 OFD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OFDM-신호의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AGC(자동 이득 제어)는 매우 높은 동적 구역을 커버해야 하는 수신기에서 수신 회로에 필요하다. 이러한 수신 회로를 사용하여 변동하는 수신 전계 강도 및 수신기 입력부에서의 상이한 레벨에 대해 반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우 좁은 레벨에서 양호한 소음률은 전체 수신 회로에 대해 중요한 반면, 상호 변조 특성은 오히려 부수적인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매우 강한 레벨에서는 상호 변조 특성이 중요한 반면, 양호한 소음률은 보다 덜 중요하다. 또한, 수신 회로는 단계들 사이에서 후속 단계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특정한 조절 영역에 대한 신호를 조절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는 복수의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AGC-수신 회로를 사용하여 충족된다. 여기서 증폭 조절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변동하는 레벨에서는 순간 증폭값이 결정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디지털 AGC를 구비한 수신 회로에서 증폭기는 증폭값의 후속 조절 시에 증폭값이 불연속적으로, 즉 단계적으로 설정되도록 접속된 단계로서 구현된다. 입력부에서 레벨이 변경되면, 개별 단계들의 증폭이 적합한 방식으로 설정된다. 증폭값이 증폭 단계들 사이에서 비약하기 때문에, 이는 보통 에러를 일으키고 전환 과정으로 인한 신호 중단을 초래하여, 수신 회로에 후속 접속되는 신호 평가 유닛은 비약하는 신호 레벨을 잘못 해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조절 가능한 증폭기 유닛을 포함하는, OFD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며, 증폭값의 변경에 의해 비약하는 중간 신호로 인한 잘못된 신호 평가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 신호의 평가 시에 신호 중단이 발생하지 않는 OFDM-신호의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의 제1항에 따른 수신 회로와 제9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기재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OFD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가 제공된다. OFDM-신호는 복수의 OFDM-심볼을 갖는 연속 프레임을 포함하며, OFDM-심볼은 OFDM-심볼들의 유효 간격을 서로 분리하기 위해, 유효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효 간격 및 보호 간격으로 구성된다. 입력 회로는 중간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OFDM-신호의 주파수 변환이 이루어진다. 평가 유닛을 사용하여 연속 시간 슬롯이 한정되며, 시간 슬롯 내에서 OFDM-심볼이 평가된다. 디지털 조절 가능한 증폭기 유닛은 증폭기 유닛의 증폭을 조절하여 중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된 신호 강도 내에 위치하도록 증폭기 제어부를 사용하여 제어된다. 제어 유닛은 증폭기 유닛의 증폭이 시간 슬롯 외부의 하나 이상의 시점에서 조절되도록 증폭기 제어부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 회로는, 후속되는 신호 평가에 사용되는 중간 신호가 유효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환 과정으로 인해 OFDM-심볼의 영역에서 레벨의 비약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레벨의 비약은 시간 슬롯 외부에서 발생하여, 중간 신호의 평가 시에 신호 중단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OFDM-신호의 수신 시에 가능한데, OFDM-심볼은 OFDM-신호에서 각각 하나의 유효 간격 및 하나의 보호 간격을 포함하기 때문이며, 이때 유효 데이터는 단지 유효 간격 내에만 존재한다. 보호 간격은 유효 간격이 보호 간격에 의해 서로 분리되도록 유효 데이터가 전혀 포함되지 않는 기간을 나타낸다. 시간 슬롯은 유효 간격과 중첩되어, 유효 간격이 최적으로 평가될 수 있으며, 시간 슬롯은 보통 OFDM-심볼의 기간 보다 작아서, 시간 슬롯들 사이에는 OFDM-심볼이 전혀 평가되지 않는 기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기간은 본 발명에 따라 수신 회로의 증폭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됨으로써, 중간 신호의 잠재적인 레벨 비약 시에 평가된 신호에서 전혀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증폭 조절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보장하기 위해, 제어 유닛은 시점이 시간 슬롯 이후에 직접 위치하도록 시점을 선택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평가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대해 시점을 한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를 생성하며, 또한 증폭 제어 유닛은 참조 신호의 시점에 따른 함수에 따라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시간 센서를 갖는 시간 제어부를 포함한다. 특히 시간 제어는 참조 신호의 시점에서 심볼 길이를 수 회 부가함으로써 시점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참조 신호는 제어 유닛에 의해 생성된 대기 신호 상태의 종결에 의해 결정되며, 증폭기 제어부의 대기 신호 상태는 증폭기 유닛의 증폭 조절을 중단시킨다. 특히 대기 신호 상태는 OFDM-신호의 프레임 동기화 심볼 동안에 생성될 수 있다. 프레임 동기화 심볼은 종종 제로(0) 심볼을 나타내며, 제로 심볼 동안에 신호 레벨은 매우 좁거나 바로 0이기 때문에, 증폭기 유닛에는 증폭의 적응이 일어나지 말아야 하는 것이 전달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 증폭은 매우 높게 설정되어 후속 OFDM-심볼들은 증폭이 OFDM-심볼의 목적하는 레벨에서 새로 조절될 때까지 우선적으로 과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기 신호는 프레임 동기화 심볼 동안에 전혀 증폭시키지 않도록 제어 유닛에 지시한다. 대시 신호의 상태가 변경되면, 잠시 OFDM-심볼의 전달이 시작됨을 표시한다. 증폭 제어 유닛의 시간 제어부는 OFDM-심볼의 순서를 인지하기 때문에, 증폭 제어 유닛은 대기 신호 상태의 변경 시점을 인지하는 경우, 두 개의 연속되는 시간 슬롯 사이에 위치하는 후속 시점을 결정한다. 이때 두 개의 시간 슬롯 사이의 각각의 휴지기에서 증폭을 새로 조절할 필요가 없다.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함수는 사실상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으며, 시점은 참조 신호의 시점에 대해 심볼 길이를 수 회 부가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 설정 단계 동안에 증폭기 유닛의 증폭을 시간 슬롯에 따르지 않는 하나 이상의 시점에서 조절하기 위해 초기 설정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초기 설정 유닛에 의해 증폭은 OFDM-신호의 수신이 시작된 이후 가능한 한 신속하게 목적하는 레벨로 조절됨으로써, 획득된 중간 신호는 가능한 한 신속하게 평가될 수 있다. 초기 설정 단계 동안에 중단 되지 않는 신호를 획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초기 설정 유닛은 OFDM-신호에 대한 최적의 증폭을 가능한 한 신속하게 달성하기 위해 초기 설정 단계 동안에 증폭을 시간 슬롯에 따르지 않게 조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OFDM-신호의 수신 방법이 제공되며, OFDM-신호는 복수의 OFDM-심볼을 갖는 연속 프레임을 갖는다. OFDM-심볼은 유효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효 간격, 및 보호 간격으로 구성되어, OFDM-심볼의 유효 간격을 서로 분리시킨다. 상기 방법은 중간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OFDM-신호의 주파수 변경 단계와, 연속 시간 슬롯의 한정 단계와, 시간 슬롯 내에서의 OFDM-심볼의 평가 단계와, 증폭 조절 단계를 포함하여, 중간 신호의 신호 강도는 사전 설정된 신호 강도 범위 내에 위치하며, 증폭은 시간 슬롯 외부의 단지 하나 이상의 시점에서 조절된다.
바람직하게 시점은 시간 슬롯 중의 하나가 종료 된 이후에 직접 접하도록 선택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대해 하나의 참조 신호가 시점 한정을 위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시점은 참조 신호의 시점에 따른 함수에 따라 결정된다. 특히 상기 시점은 심볼 길이를 참조 신호의 시점 사이에 수 회 부가함으로써 결정된다.
바람직하게 참조 신호는 생성된 대기 신호 상태의 종결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대기 신호 상태는 증폭 조절의 차단을 지시한다. 대기 신호 상태는 OFDM-신호의 프레임 동기화 심볼 동안에 생성된다.
바람직하게 초기 설정 단계 동안에 증폭은 시간 슬롯에 따르지 않는 하나 이상의 시점에서 조절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1은 디지털 OFDM-수신기의 블록 회로도이다.
도2는 OFDM-수신기용 디지털 수신 회로의 블록 회로도이다.
도3은 증폭 조절 제어부를 도시한 시간 경과에 따른 그래프이다.
도1에는 OFDM-신호,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용 수신 회로(1)의 블록 회로도가 도시된다. 또한, 동일한 구조는 데이터 전송용 OFDM-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WLAN-수신기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수신 회로(1)는 OFDM-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2)를 포함하며, 안테나는 입력 회로(3)와 연결된다. 입력 회로(3)는 수신된 고주파수 OFDM-방송 신호를 하나 이상의 혼합기 단계를 거쳐 중간 신호로 변경시키며, 상기 중간 신호는 평가될 신호로서 신호 평가 유닛(4)에 제공되며, 상기 신호 평가 유닛은 평가될 신호를 기본 대역 내에서 유효 신호로 변경시킨다.
입력 회로(3) 및 신호 평가 유닛(4)은 제어 라인(5)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 평가 유닛(4)은 입력 회로(3)를 제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입력 회로(3)는 예를 들어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조절된 증폭에 대한 지시를 신호 평가 유닛(4)에 전달할 수 있다.
도2에는 입력 회로(3)가 더욱 상세히 도시된다. 입력 회로(3)는 예를 들어 고전적인 더블 헤테로다인(double heterodyne) 구조로 구성된다.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RF-IN)는 제1 증폭기 단계(10)에 제공되며, 상기 단계에는 제1 증폭 레지스터(11)에 저장된 제1 증폭값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증폭에 따라 OFDM-방송 신호(RF-IN)가 제공된다. 이어서 증폭된 OFDM-방송 신호(RF-IN)의 주파수는 제1 혼합기(12) 내에서 변환된 다음 제1 필터(13)에서 필터링되어, 혼합된 이후 목적하는 제1 중간 신호(ZF1)가 선택된다. 제1 필터(13)의 출력부는 제2 혼합기(14)와 연결되며, 상기 제2 혼합기 내에서 제1 중간 신호(ZF1)의 주파수는 새롭게 변환된다. 변환된 제1 중간 신호(ZF1)는 제2 필터(15) 내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필터링되어, 제2 중간 신호(ZF2)가 선택되고 제공된다. 이렇게 획득되고 필터링된 제2 중간 신호(ZF2)는 제2 증폭기 단계(16)에서 증폭된다. 제2 증폭기 단계(16)의 증폭은 제2 증폭 레지스터(17)에 저장된 제2 증폭값에 의해 조절된다. 제2 증폭기 단계(16)의 출력부에는 그 강도가 목적하는 강도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2 중간 신호(ZF2)가 위치한다.
제1 및 제2 증폭값을 결정하기 위해, 신호 강도들은 제1 및 제2 증폭 단계(10, 16)의 각각의 출력부에서 제1 레벨 검출기(18) 및 제2 레벨 검출기(19)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이들 두 개의 레벨 검출기(18, 19)는 측정된 신호 강도를 증폭 제어 유닛(20)에 전달하며, 상기 증폭 제어 유닛은 측정된 신호 강도에 따라 그리고/또는 조절된 제1 또는 제2 증폭값에 따라 제1 또는 제2 증폭값을 결정한다. 증폭 제어 유닛(20)은 제1 또는 제2 증폭값을 제1 및 제2 증폭 레지스터(11, 17)에 전달한다. 증폭 제어 유닛(20)은 제1 및 제2 증폭값에 대한 최적의 값이 적합한 연산 방식을 사용하여 결정되도록 구성된다.
증폭 제어 유닛(20)은 제1 수용 라인(21) 및 제2 수용 라인(22)을 통해 제1 증폭 단계(10) 또는 제2 증폭 단계(16)와 연결된다. 수용 신호가 시점을 지시하도록, 각각의 증폭 단계(10, 16)는 제1 또는 제2 수용 라인을 통해 적합한 수용 신호를 사용하여 제어되며, 상기 시점에서 각각의 증폭 단계(10, 16)는 제1 또는 제2 증폭값을 증폭 레지스터(11, 17)로부터 채용하고 각각의 증폭값에 상응하게 증폭을 조절한다. 증폭값은 불연속 값이기 때문에, 각각의 증폭값이 변경될 수 있어서, 제2 중간 신호(ZF2)의 신호 강도는 제2 증폭 단계(16)의 출력부에서 비약하여, 제2 중간 신호의 평가가 중단될 수 있다.
제2 증폭기 단계(16)의 출력부에서 제2 중간 신호(ZF2)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3)에 제공되며, 상기 변환기에서 제2 중간 신호(ZF2)는 디지털화된 다음 평가 유닛(24)에 제공되며, 평가 유닛에서 OFDM-심볼은 조절된 시간 슬롯에 상응하게 평가된다. 시간 슬롯은 최적의 방식으로 OFDM-심볼을 통해 설정되어, 상기 심 볼은 신뢰할 만하게 평가될 수 있다.
OFDM-방송 신호는 각각 복수의 OFDM-심볼을 갖는 동일한 기간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도3에는 소정의 프레임으로부터 후속 프레임으로 변경 시에 시간 영역의 섹션이 도시되며, 프레임(N)은 시점(T0)에서 시작된다. 제1 심볼로서 소위 프레임 동기화 심볼이고 프레임의 시작을 대략적으로 동기화시키기 위해(대강의 동기화) 사용되는, 소위 제로 심볼이 전송된다. 이어서, 프레임의 시간적 위치를 정확하게 한정할 수 있는 추가의 동기화 심볼, 소위 TFPR-심볼(시간, 주파수, 위상 참조 심볼)이 전송된다(세부 동기화). 이어서, 후속되는 유효 심볼에 의해 내용물의 정보가 제공되는 FIC-심볼이 전송된다. FIC-심볼 이후에, 명확성을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사전 결정된 수의 유효 심볼이 전송된다.
각각의 유효 심볼은 유효 데이터가 코드화되는 유효 간격(Tu)과, OFDM-심볼의 분리를 위해 사용되는 보호 간격(Tguard)을 포함한다. 보호 간격(Tguard)은 유효 간격(Tu)의 한 부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이다. 수신기에서 심볼들의 평가는 일반적으로 유효 간격(Tu)의 길이를 포함하는 시간 슬롯 내에서 이루어진다. 시간 슬롯은 평가 유닛(24)의 시간 동기화를 사용하여 다수통로 효과(다수통로 확대)의 발생 시에 심볼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시간에 따라 설정된다.
증폭기 제어부는 OFDM-심볼을 평가하기 위해 시간 슬롯들 사이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제1 또는 제2 증폭 단계(10, 16)용 수용 신호 라인(21, 22)에 대해 수용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구성된다. 특히, 상기 시점은 증폭 단계를 조절하기에 충분 한 시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시간 슬롯의 종료 이후에 직접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평가 유닛은 제어 라인(25)을 통해 적합한 신호를 사용하여 각각의 심볼에 대한 각각의 시간 슬롯의 종료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비용이 많이 들고 디지털 방송의 경우 프레임 내에서 시간 슬롯의 위치가 등거리를 이루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제1 시간 슬롯의 시간에 따른 위치에 대한 정보는 증폭기 제어부(20)용으로 충분한다. 이를 위해 평가 회로(24)로부터 프레임의 시작까지 생성되는 특정한 신호가 사용된다. 상기 신호는 대기 신호(WAGC)이며, 상기 대기 신호는 대기 신호의 상태가 제공되는 동안 증폭이 전혀 일어나서는 안되는 것을 소정의 상태에 지시한다. 이러한 대기 신호(WAGC)는 통상적으로 제로 심볼의 기간 동안에 위치하거나 제로 신호의 종료 직전에 종료되고, 제로 신호의 경우 OFDM-방송 신호의 신호 강도에 상응하게 증폭이 조절되는 것을 방지한다. OFDM-제로 심볼의 신호 강도가 조절되는 경우, 증폭이 매우 높게 조절될 수도 있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는데, OFDM-방송 신호의 신호 강도가 제로 신호의 경우 매우 작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TFPR-심볼은 동일하게 조절된 증폭을 사용하여 증폭됨으로써 심하게 과부하될 수도 있다.
증폭이 일어나지 않아야 하는 대기 신호(WAGC)의 상태는 하이-레벨에 의해 결정된다. 대기 신호(WAGC)의 하강 에지를 이제, 그 에지가 유효 간격(Tu)과 보호 간격(Tguard)으로 이루어진 심볼 길이(Tsym)를 제로 심볼 이후 제1 OFDM-심볼에 대한 제1 시간 슬롯 종료 전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시간에 따라 설정된다. 동일한 길이의 OFDM-심볼의 경우 시간 슬롯은 고정된 주기로 반복되기 때문에, 각각의 시간 슬롯의 종료 시점은 대기 신호(WAGC)의 하강 에지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대기 신호의 하강 에지의 시점에 대해 심볼 길이(Tsym)가 수 회 부가된다. 이러한 과정의 동기화는 각각 프레임의 시작을 위해 대기 신호(WAGC) 상태의 종료와 함께 발생한다. 프레임 내에서는 적합한 카운터(29)를 사용하여 증폭 제어부 자체가 심볼들 사이의 시스템 펄스를 결정해야만 한다. 후속 대기 신호의 경우 카운터는 다시 후속 프레임에 대해 동기화된다.
이러한 과정의 제어는 추가의 영역에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을 위한 평가 시간도 동기화 회로 과정들의 빈도와 마찬가지로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 내에서 개별 OFDM-심볼의 길이를 인지하는 경우, 시점들을 시간 슬롯 사이에서 결정하기 위해, 대기 신호의 하강 에지의 시점에서 상이한 시간 간격이 부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두 개의 시간 슬롯 사이의 모든 기간이 증폭 조절을 위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증폭이 조절되어야만 하는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평가 시간 및 연산은 제어 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기술되는 구성 레지스터(26)에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회로의 접속 이후에 증폭 과정을 시작하기 위해, 수신된 OFDM-방송 신호의 신호 강도로 증폭이 조절되지 않도록 통상적으로 증폭값은 임의로 조절된다. 증폭 단계(10, 16)의 증폭 조절은 통상적으로 단계적으로 이루어져 서, 접속 이후에 최적의 OFDM-신호의 증폭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더욱 큰 수의 증폭 변경이 필요하다. 증폭 과정이 시작된 후 최적의 증폭을 가능한 한 신속하게 달성하기 위해, 초기 설정 모드의 경우 유효 심볼 동안에도 증폭값의 조절이 허용된다. 그러나 이는 동기화의 누락으로 인해 유효 심볼로 수용되어야만 하는, 오류가 있는 신호 평가를 유도할 수 있다. 초기 설정 모드의 종료 이후에 이러한 비동기 작동에 의해 수신 회로의 증폭 조절을 위해, 상술된 바와 같은 동기 작동으로 전환된다.
유효 데이터는 평가 유닛(24)에 의해 후속 신호 처리에 전송된다. 신호 처리는 실제로 유효 데이터를 음성 또는 이미지 출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평가 유닛에 의해 신호 처리에 전송된 유효 데이터의 길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는 높은 전송 속도에서, 즉 고주파수에서 이루어진다. 고주파수는 신호 크로스 토크를 위해 작용하고 수신 회로의 민감한 HF-입력 단계에서 에러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평가 유닛(24)과 후속 신호 처리 사이에는 FIFO-메모리(27)가 배치되며, 상기 메모리는 평가 유닛(24) 내에 획득된 유효 데이터를 중간 저장하여 후속 신호 처리 유닛(28)에 전송한다. FIFO-메모리(27)에 저장된 유효 데이터의 전송은, 평가 유닛(24)이 OFDM-심볼을 평가하는 시간 슬롯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FIFO-메모리(27)로부터 후속 신호 처리 유닛(28)에의 데이터 전송은 신속하게 이루어져서, OFDM-심볼 동안에 획득되는 데이터가 두 개의 연속되는 시간 슬롯 사이의 기간 이내에 완전히 신호 처리 유닛(28)에 전송될 수 있다. 유효 데이터는 평가 유닛(24)으로부터 후속 신호 처리 유닛에 전송된다. 이러한 기간은 통상적으로 보 호 간격의 기간에 상응하며, 이로써 디지털 신호의 데이터 라인에 대한 전송 시에 민감한 HF-입력부 단계에서 발생하는 에러는 OFDM-심볼의 전송 기간 도중에 신호 크로스 토크에 의해 방지되는 것이 달성됨으로써, OFDM-심볼의 수신은 시간 슬롯 내에서 가능한 한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FIFO-메모리(27)와 신호 처리 유닛(28)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바람직하게 OFDM-심볼의 유효 간격 대 보호 간격의 시간비(Tu/Tguard)가 전송하는 바와 같이 더욱 중요한 요인이다. 디지털 데이터가 평가 유닛(24)으로부터 50MBit/s의 속도로 전달되는 경우, 디지털 방송에서는 이러한 비가 4 대 1이어서, 데이터들은 약 200MBit/s의 속도로 신호 처리 유닛(28)에 전송된다.

Claims (16)

  1. OFD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1)이며, OFDM-신호는 복수의 OFDM-심볼을 갖는 연속 프레임을 포함하며, OFDM-심볼은 OFDM-심볼들의 유효 간격(Tu)을 서로 분리하기 위해, 유효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효 간격(Tu) 및 보호 간격(Tguard)으로 구성되며,
    중간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OFDM-신호의 주파수 변환을 위한 입력 회로(3)와, 연속 시간 슬롯을 한정하고 시간 슬롯 내에서 OFDM-심볼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유닛(24)과, 디지털 조절 가능한 증폭기 유닛(16)과, 중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된 신호 강도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증폭기 유닛(10, 16)의 증폭을 조절하기 위한 증폭기 제어부(6)를 구비하는 OFD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에 있어서,
    제어 유닛(20)은 증폭기 유닛(10, 16)의 증폭이 시간 슬롯 외부의 하나 이상의 시점에서 조절되도록 증폭기 제어부(6)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20)은 시점이 시간 슬롯 이후에 직접 위치하도록 시점을 선택하기 위해 구성되는, OFD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가 유닛(24)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대해 시점을 한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를 생성하며, 추가로 증폭 제어 유닛은 참조 신호의 시점에 따른 함수에 따라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시간 센서를 갖는 시간 제어부를 포함하는, OFD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시간 제어부는 유효 간격(Tu) 및 보호 간격(Tguard)으로 이루어진 심볼 길이(Tsym)를 수 회 부가함으로써 시점을 참조 신호의 시점에서 결정하는, OFD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참조 신호는 평가 유닛(24)에 의해 생성된 대기 신호(WAGC) 상태의 종결에 의해 결정되며, 증폭 제어부(6)의 대기 신호(WAGC) 상태는 증폭기 유닛(10, 16)의 증폭 조절의 차단을 지시하는, OFD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평가 유닛(24)은 OFDM-신호의 프레임-동기화 심볼 동안에 대기 신호(WAGC) 상태를 생성하는, OFD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기 설정 단계 동안에 증폭기 유닛의 증폭을 시간 슬롯에 따르지 않는 하나 이상의 시점에서 조절하기 위해 초기 설정 유닛이 제공되는, D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호 처리 유닛(28)은 입력 회부(5)와 연결되며, 제어 유닛(20)은 입력 회로의 유효 데이터를 시간 슬롯의 외부에서만 신호 처리 유닛(28)에 전달하기 위해 구성되는, OFD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
  9. OFDM-신호의 수신 방법이며, OFDM-신호는 복수의 OFDM-심볼을 갖는 연속 프레임을 포함하며, OFDM-심볼은 유효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효 간격(Tu), 및 보호 간격(Tguard)으로 구성되어, OFDM-심볼의 유효 간격(Tu)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해, 중간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OFDM-신호의 주파수 변경 단계와, 연속 시간 슬롯의 한정 단계와, 시간 슬롯 내에서의 OFDM-심볼의 평가 단계와, 중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된 신호 강도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증폭의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OFDM-신호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증폭은 시간 슬롯 외부의 단지 하나 이상의 시점에서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신호의 수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시점은 시간 슬롯들 중 하나의 종료 이후에 직접 위치하도록 시점이 선택되는 OFDM-신호의 수신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대해 시점을 한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가 생성되며, 참조 신호의 시점에 따른 함수에 따라 시점이 결정되는 OFDM-신호의 수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시점은 심볼 길이(Tsym)를 수 회 부가함으로써 참조 신호의 시점에서 결정되는 OFDM-신호의 수신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참조 신호는 생성된 대기 신호(WAGC) 상태의 종결에 의해 결정되며, 대기 신호(WAGC) 상태는 증폭 조절의 차단을 지시하는 OFDM-신호의 수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대기 신호(WAGC) 상태는 OFDM-신호의 프레임-동기화 심볼 동안에 생성되는 OFDM-신호의 수신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기 설정 단계 동안에 증폭은 시간 슬롯에 따르지 않는 하나 이상의 시점에서 조절되는 OFDM-신호의 수신 방법.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효 데이터는 중간 저장되고 시간 슬롯 외부에서 전송되는 OFDM-신호의 수신 방법.
KR1020067026402A 2004-06-17 2005-05-09 Ofdm-신호의 수신 회로 및 수신 방법 KR101150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29372.4 2004-06-17
DE102004029372 2004-06-17
DE102004034382.9 2004-07-16
DE102004034382A DE102004034382A1 (de) 2004-06-17 2004-07-16 Empfangsschaltung und Verfahren zum Empfangen eines OFDM-Signals
PCT/EP2005/052086 WO2005125000A1 (de) 2004-06-17 2005-05-09 Empfangsschaltung und verfahren zum empfangen eines ofdm-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750A true KR20070022750A (ko) 2007-02-27
KR101150667B1 KR101150667B1 (ko) 2012-05-25

Family

ID=3496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402A KR101150667B1 (ko) 2004-06-17 2005-05-09 Ofdm-신호의 수신 회로 및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759456B1 (ko)
KR (1) KR101150667B1 (ko)
DE (1) DE102004034382A1 (ko)
WO (1) WO20051250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14B1 (ko) * 2006-06-01 2007-11-08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지상파 디지털 방송용 수신기
US7991085B2 (en) * 2006-06-29 2011-08-02 Wi-Lan, Inc. Early energy measurement
KR100838523B1 (ko) 2006-11-30 2008-06-17 전자부품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자동이득 조절 장치 및 자동 이득 조절 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E102008000812A1 (de) * 2008-03-26 2009-10-01 Robert Bosch Gmbh Empfangsschaltung zum Empfangen von OFDM-Signalen und Verfahren hierzu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4964A (ja) * 1999-07-30 2001-02-16 Sony Corp 放送受信装置
EP1231721A1 (en) * 2001-02-12 2002-08-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for controlling receive signal levels at a network node in TDMA point to multi-point radio communications systems
US7027530B2 (en) 2001-04-11 2006-04-11 Atheros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receiver performance utilizing mid-packet gain changes
US20040014441A1 (en) * 2001-06-12 2004-01-22 Olli Piirain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gain control
SG129229A1 (en) * 2002-07-03 2007-02-26 Oki Techno Ct Singapore Pte Receiver and method for wlan burst type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59456A1 (de) 2007-03-07
WO2005125000A1 (de) 2005-12-29
KR101150667B1 (ko) 2012-05-25
EP1759456B1 (de) 2015-04-15
DE102004034382A1 (de) 200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4349A (en) Amplitude control of a burst signal in a receiver
KR100950920B1 (ko) 고집적 통신 수신기를 위한 자동 이득 제어 방법
US6806844B2 (en) Calibration system for array antenna receiving apparatus
US8355687B2 (en) Receiver gain control
US7085255B2 (en) Selectively activated AGC signal measurement unit
US55984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quality det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150667B1 (ko) Ofdm-신호의 수신 회로 및 수신 방법
US6957052B2 (en) Transmission system, receiver, circuit, and method for removing interference components in a signal
US5579319A (en) Receiver path selection based on burst-type in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receiver
KR970000793B1 (ko) 수신기 버스트 신호의 진폭제어
JP2002152173A (ja) Ofdm方式受信装置
US5933433A (en) Method and system for reception timing control
JP2009089061A (ja) 受信機及び周波数ホッピング同期方法
JP3250128B2 (ja) 基地局間フレーム位相同期方式
JPH0437334A (ja) 無線通信装置
JPH11340933A (ja) Tdma受信装置および無線基地局と中継局
JP3157283B2 (ja) 受信機
EP1458117B1 (en) TDD receiver with selectively activated agc signal measurement unit
JPH0735460Y2 (ja) 無線通信機
JP2006005447A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機およびagc回路
JP3959050B2 (ja) 無線通信装置
JPH09197035A (ja) 電波到来時間測定装置
JP2004096297A (ja) Tdma復調装置
JP2004193723A (ja) 中間周波処理装置
JPH0897766A (ja) 受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