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2466A - 테일 게이트의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 - Google Patents

테일 게이트의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466A
KR20070022466A KR1020050076727A KR20050076727A KR20070022466A KR 20070022466 A KR20070022466 A KR 20070022466A KR 1020050076727 A KR1020050076727 A KR 1020050076727A KR 20050076727 A KR20050076727 A KR 20050076727A KR 20070022466 A KR20070022466 A KR 20070022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 gate
sliding block
sliding
guide bumper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6722B1 (ko
Inventor
천정종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6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72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2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2Dowels;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일 게이트의 개폐시에 차체에 전달되는 하중이 완충되도록 차체와 테일 게이트 몸체 간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의 작동소음저감 및 내구성강화를 위한 테일 게이트의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딩 블럭과, 상기 슬라이딩 블럭을 테일 게이트에 지지시키기 위한 베이스 및 케이스와, 상기한 슬라이딩 블럭의 작동범위가 제한되도록 케이스의 일측 내부에 수용되는 스톱퍼 러버와, 상기한 슬라이딩 블럭과 스톱퍼 러버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한 슬라이딩 블럭의 직선이동이 안내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외부에서 슬라이딩 블럭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딩 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테일 게이트의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에 있어서, 상기한 베이스와 면접되는 슬라이딩 블럭의 하부면에는 그리스와 같은 소정량의 윤활제가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글루브가 상기 슬라이딩 블럭의 작동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 댐퍼, 글루브, 그리스

Description

테일 게이트의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Guide bumper of the tail gate}
도 1은 본 발명에 가이드 블럭이 테일 게이트에 장착된 상태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슬라이딩 블럭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형성된 슬라이딩 블럭의 사시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의 단면상태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의 작동상태도.
도 7 내지 도 8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12 : 차체측 가이드 범퍼
20 : 테일 게이트 30 :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
32 : 베이스 33 : 케이스
34 : 스톱퍼 러버 35 : 스프링
36 : 슬라이딩 핀 40 : 슬라이딩 블럭
41 : 경사면 42 : 슬라이딩면
43 : 글루브 50 : 윤활제
본 발명은 테일 게이트의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 게이트의 개폐시에 차체에 전달되는 하중이 완충되도록 차체와 테일 게이트 간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의 작동소음저감 및 내구성강화를 위한 테일 게이트의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 제공되고 있는 경차, 레저용차량, 승합차 등 일부의 차량에는 차량의 후방에 테일 게이트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차량들의 경우에 테일 게이트는 트렁크 도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도 7은 테일 게이트가 장착된 차량의 후방모습을 도시한 도면인데, 도면에서와 같이 테일 게이트(20)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테일 게이트(20)를 통해서 차체(1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테일 게이트(20)의 측면부에는 가이드 범퍼(11,21)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댐퍼(11,21)는 충격완화의 역할뿐만 아니라, 실링 캡(sealing gap)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는 것이다.
도 8은 테일 게이트에 장착된 종래의 가이드 범퍼에 관한 도면으로,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공개번호 실2000-0020119호)에 실린 차량의 테일 게이 트에 장착되는 일반적인 가이드 범퍼의 모습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차체(10)측과 테일 게이트(20) 측에 각각 러버나 플라스틱 재질의 차체측 가이드 범퍼(11) 및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21)가 체결 고정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 범퍼(11,21)는 브라켓에 고정된 블럭형상으로 서로 밀착된 채로 눌려져 게이트의 상하 및 좌우 유동을 잡아주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블럭형상으로 고정형성된 가이드 댐퍼가 장착된 구조에서는 테일 게이트가 여닫이될 때에 충분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테일 게이트가 닫히는 충격에 의해서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으며, 테일 게이트가 여닫이되는 과정에서 이음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테일 게이트의 개폐시에 차체에 전달되는 하중이 완충되도록 차체와 테일 게이트 몸체 간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의 작동소음저감 및 내구성강화를 위한 테일 게이트의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채로 차체에 장착된 차체측 가이드 범퍼에 대응 되도록 테일 게이트에 장착되어 테일 게이트가 닫히는 과정에서 충경이 완충되도록 하기 위한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에 있어서,
일측면에는 차체측 가이드 범퍼의 경사면에 접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슬라이딩면이 형성되고, 그 몸체의 중앙으로는 축공이 관통형성된 슬라이딩 블럭과; 상기 슬라이딩 블럭을 테일 게이트에 지지시키기 위한 베이스 및 케이스와; 상기한 슬라이딩 블럭의 작동범위가 제한되도록 케이스의 일측 내부에 수용되는 스톱퍼 러버와; 상기한 슬라이딩 블럭과 스톱퍼 러버 사이에 개재되는 양 부재가 서로 탄력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한 슬라이딩 블럭의 직선이동이 안내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외부에서 슬라이딩 블럭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딩 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베이스와 면접되는 슬라이딩 블럭의 슬라이딩면에는 윤활제가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글루브가 상기 슬라이딩 블럭의 작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테일 게이트의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 윤활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가이드 블럭이 테일 게이트에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슬라이딩 블럭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형성된 슬라이딩 블럭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테 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의 단면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30은 본 발명에 의한 형성된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를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40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블럭을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30)는 슬라이딩 블럭(40)과, 상기 슬라이딩 블럭(40)을 테일 게이트(20)에 지지시키기 위한 베이스(32) 및 케이스(33)와, 상기한 슬라이딩 블럭(40)의 작동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베이스(32)와 케이스(33)에 의해 형성된 작동공간(31)의 일측에 수용되는 스톱퍼 러버(34)와, 상기한 슬라이딩 블럭(40)과 스톱퍼 러버(34) 사이에 개재되는 양 부재가 서로 탄력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35)과, 상기한 슬라이딩 블럭(40)의 직선이동이 안내될 수 있도록 케이스(33)의 외부에서 슬라이딩 블럭(40)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딩 핀(3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한 슬라이딩 블럭(40)의 일측면은 차체측 가이드 범퍼(12)에 대응되도록 경사면(41)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33)는 슬라이딩 블럭(40)의 경사면(41)을 따라서 전방이 후방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슬라이딩 블럭(40)의 몸체 중앙으로는 축공(44)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축공(44)의 일측에는 스프링(35)의 일 단이 위치되기 위한 스프링 시트(45)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한 스톱퍼 러버(34)에도 축공(34a) 및 스프링 시트(34b)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슬라이딩 블럭(40)의 경사면(41)과 대응되도록 일측면이 경사진 채로 형성된 차체측 가이드 범퍼(12)가 테일 게이트(10)를 닫았을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 블럭(40)이 위치되는 양측에 각각 고정장착된다. 즉, 테일 게이트(20)를 닫을 경우에 테일 게이트(20)에 장착된 슬라이딩 블럭(40)의 경사면이 상기 차체측 가이드 범퍼(12)의 경사면과 면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테일 게이트 측의 가이드 범퍼와 차체 측의 가이드 범퍼가 서로 면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의 슬라이딩 블럭(40)은 스프링(35)을 압축시키면서 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테일 게이트(20)에서 차체(10) 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블럭(40)이 직선이동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블럭(40)과 베이스(32) 사이의 마찰을 줄여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베이스(32)의 면에는 그리스(grease) 등과 같은 윤활제(50)가 잔류되도록 한다.
상기한 슬라이딩 블럭(4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와 같이 그 슬라이딩면(42) 도중에는 상기 슬라이딩 블럭(40)의 작동방향으로 다수의 글루브(43)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글루브(43)는 슬라이딩 블럭(40)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베이스(32)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원활하게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글루브(43)는 슬라이딩 블럭(40)의 내측면은 개방된 채로 형성되고, 그 전방과 후방은 관통된 채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테일 게이트의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의 작동상태를 이하에 간단히 설명한다.
개방되어 있는 테일 게이트(20)를 닫는 과정에서 테일 게이트(20)에 가해지는 하중은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30)와 차체측 가이드 범퍼(12)에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차체측 가이드 범퍼(12)는 차체(10)에 고정장착되어 있는 상태이고,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30)의 슬라이딩 블럭(40)은 가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한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30)의 슬라이딩 블럭(40)이 후진되면서 그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슬라이딩 블럭(40)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제(50)가 저장되기 위한 글루브(43)가 따로 마련되어 있고, 그 글루브(43) 내부에는 윤활제가 저장된 상태이므로 슬라이딩 블럭(40)의 작동과정에서는 충분한 윤활제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32)의 면과 마찰동작되는 슬라이딩 블럭(40)은 보다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고,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30)이 차체측 가이드 범퍼(12)에 부딪치는 과정에서의 소음이 저감된다.
특히, 상기한 슬라이딩 블럭(40)과 베이스(32)가 접하게 되는 면이 수직상으로 이루어지는 점을 감안할 때 슬라이딩 블럭(4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그리스 등의 윤활제(50)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블럭(40)에는 소정의 영역을 가지는 글루브(43)에 그리스가 저장된 상태가 되어 1회의 윤활제 주입으로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윤활제를 보충해주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개방된 상태의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닫는 과정에서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와 차체측 가이드 범퍼가 부딪침으로 인해 후진이동되는 슬라이딩 범퍼가 베이스와 부드럽게 마찰되도록 하기 위해서 공급되는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저장되는 글루브가 슬라이딩 블럭의 내측면에 형성되므로서, 1회의 윤활제 보충으로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위의 마찰부에 윤활제를 공급해주지 않아도 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일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채로 차체에 장착된 차체측 가이드 범퍼에 대응되도록 테일 게이트에 장착되어 테일 게이트가 닫히는 과정에서 충경이 완충되도록 하기 위한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에 있어서,
    일측면에는 차체측 가이드 범퍼(12)의 경사면에 접하기 위한 경사면(41)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슬라이딩면(42)이 형성되고, 그 몸체의 중앙으로는 축공(44)이 관통형성된 슬라이딩 블럭(40)과;
    상기 슬라이딩 블럭(40)을 테일 게이트(20)에 지지시키기 위한 베이스(32) 및 케이스(33)와;
    상기한 슬라이딩 블럭(40)의 작동범위가 제한되도록 케이스(33)의 일측 내부에 수용되는 스톱퍼 러버(34)와;
    상기한 슬라이딩 블럭(40)과 스톱퍼 러버(34) 사이에 개재되는 양 부재가 서로 탄력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35)과;
    상기한 슬라이딩 블럭(40)의 직선이동이 안내될 수 있도록 케이스(33)의 외부에서 슬라이딩 블럭(40)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딩 핀(36);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측 가이드 범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베이스(32)와 면접되는 슬라이딩 블럭(40)의 슬라이딩면(42)에는 윤활제(50)가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글루브(43)가 상기 슬라이딩 블럭(40)의 작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의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
KR1020050076727A 2005-08-22 2005-08-22 테일 게이트의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 KR100736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727A KR100736722B1 (ko) 2005-08-22 2005-08-22 테일 게이트의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727A KR100736722B1 (ko) 2005-08-22 2005-08-22 테일 게이트의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466A true KR20070022466A (ko) 2007-02-27
KR100736722B1 KR100736722B1 (ko) 2007-07-09

Family

ID=4163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727A KR100736722B1 (ko) 2005-08-22 2005-08-22 테일 게이트의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836A (ko) * 2016-12-20 2018-06-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해치커버 지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2974B (zh) * 2012-10-25 2015-06-10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后背门限位缓冲装置
KR102261348B1 (ko) * 2017-02-14 2021-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위치 가변형 오버 슬램 범퍼 장치와 이의 위치 가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408U (ko) * 1993-12-23 1995-07-22 차량의 테일게이트 가이드범퍼 구조
KR950017312U (ko) * 1993-12-30 1995-07-20 박충구 상지엠보싱 합지 벽지 제조장치
KR0131770Y1 (ko) * 1996-07-27 1999-10-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헤치백(Hatchback) 차량의 뒷문 충격 흡수용 범퍼의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836A (ko) * 2016-12-20 2018-06-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해치커버 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722B1 (ko) 2007-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4729B2 (ja) 保持器緩衝器で構成されている伸縮レール用玉軸受保持器
US10260260B2 (en) Door checker apparatus for vehicle
KR100736722B1 (ko) 테일 게이트의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
JP2012515105A (ja) キャリッジ部材を備えたサンルーフ
JP4210294B2 (ja) 開閉体のガイドレール構造
KR100853510B1 (ko) 완충기
US4498696A (en) Bumper for automotive vehicles
JPH11141227A (ja) 自動車用レールストッパ
JP6710541B2 (ja) 引戸の上部ガイド装置
KR200176252Y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댐퍼
KR20150011124A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00373632B1 (ko) 스윙 타입용 테일게이트의 체커구조
KR200158553Y1 (ko) 테일게이트의 댐핑 유동방지장치
KR102382099B1 (ko)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
KR200186003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댐퍼
KR100348051B1 (ko)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KR101746447B1 (ko) 회전식 도어체커 구조
KR20000013102U (ko) 차량용 쇽업소버
KR100520764B1 (ko) 차량의 도어 체커
KR100756912B1 (ko) 미닫이 문용 스토퍼 장치
KR100558412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리드 개폐장치
KR102238045B1 (ko) 차량용 쇽업소버
KR100517697B1 (ko) 글로브박스의 댐퍼구조
KR19990030551U (ko) 차량의 도어척 소음방지구조
JPS5828139Y2 (ja) 自動車用ドアチエツ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