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099B1 -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 - Google Patents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099B1
KR102382099B1 KR1020160014755A KR20160014755A KR102382099B1 KR 102382099 B1 KR102382099 B1 KR 102382099B1 KR 1020160014755 A KR1020160014755 A KR 1020160014755A KR 20160014755 A KR20160014755 A KR 20160014755A KR 102382099 B1 KR102382099 B1 KR 102382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gate
guide
retainer
bumper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3403A (ko
Inventor
이동열
박성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아화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아화성(주)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4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0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3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7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pecial steel or specially treated steel, e.g. stainless steel or locally surface hardened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인접한 바디패널에 장착되는 범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인접한 바디패널에 고정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결합되는 리테이너, 상기 안착홈 상에서 리테이너에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결합되며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테일게이트의 닫힘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BODY SIDE BUMPER FOR TAIL GATE}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인접한 바디패널에 장착되는 범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게이트와 바디패널의 좌우 산포를 흡수하여 테일게이트의 닫힘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이음 발생을 방지하고 생산원가 및 중량을 저감한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테일 게이트(tailgate)는 경차, 레져용 차량, 승합차 등과 같은 일부 차량, 예를 들어, 스테이션왜건(station wagon)이나 SUV(Sport Utility Vehicle), 픽업트럭 등의 후방 차체에 구비되는 수단으로, 상하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a는 종래 테일게이트용 가이드 범퍼와 바디사이드 범퍼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종래 테일게이트용 가이드 범퍼와 바디사이드 범퍼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는 차체에 완전히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상단이 차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상기 테일게이트는 그 크기가 커짐에 따라 주행시 테일게이트의 유동량에 과다해져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테일게이트 인너패널(10)의 측부에는 가이드 범퍼(12)가 설치되고, 그에 대향하여 차체의 바디패널(20) 측에도 바디사이드 범퍼(22)가 설치되며, 가이드 범퍼(12)와 바디사이드 범퍼(22)의 맞물림(오버랩)으로 테일게이트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사이드 범퍼(22)는 변형을 방지하고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내부에 인서트 스틸(24)이 내장되어 있으며, 바디패널(20)에 용접된 너트(26)에 볼트(28)를 이용해 고정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범퍼(12)는 테일게이트의 인너패널(10)에 용접된 레인프(14)와 너트(16)에 볼트(18)를 통해 고정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범퍼(12)와 바디사이드 범퍼(22)는 테일게이트의 폐쇄 시 상호 접촉(오버랩)되어 테일게이트의 좌우 유동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 가이드 범퍼(12)와 바디사이드 범퍼(22)는 테일게이트의 인너패널(10) 또는 바디패널(20)에 장착할 때 좌우 산포가 발생하거나, 테일게이트의 좌우 유동으로 인해 항상 일정한 위치에 조립되지 못하고 좌우로 치우치는 문제가 있다.
이는 가이드 범퍼(12)와 바디사이드 범퍼(22)의 오버랩량에 영향을 주어 접촉부의 변형을 가져오므로 테일게이트의 닫힘성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주행 중 이음이 발생되는 원인이 된다.
즉, 가이드 범퍼와 바디사이드 범퍼의 오버랩량이 증대(가이드 범퍼와 바디사이드 범퍼가 지나치게 접촉)되면 테일게이트의 닫힘성이 악화되고, 가이드 범퍼와 바디사이드 범퍼의 오버랩량이 감소(가이드 범퍼와 바디사이드 범퍼 사이에 갭 발생)되면 주행 중 이음이 발생되는 기술적인 모순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착 산포 및 테일게이트 좌우 유동을 흡수하여 테일게이트의 닫힘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테일게이트 측에 장착되는 가이드 범퍼를 제거함으로써, 차량의 생산원가 및 중량을 현저히 절감한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인접한 바디패널에 고정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결합되는 리테이너; 상기 안착홈 상에서 리테이너에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결합되며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쿠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에서 상기 안착홈을 기준으로 베이스의 양측에는 한 쌍의 돌기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의 양측에는 돌기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에서 상기 리테이너에는 가이드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다수의 아치형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아치형 볼록부는 가이드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에서 상기 리테이너의 상단에는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가이드의 상단이 접촉 지지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에서 상기 쿠션에는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며 내부가 빈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에서 상기 쿠션에 형성된 다수의 중공부는 테일게이트 인너패널과 직접 접촉되어 테일게이트 인너패널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좋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에서 상기 베이스와 가이드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테이너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바디사이드 범퍼와 장착 산포 및 테일게이트의 좌우 유동 쏠림을 흡수하여 오버랩량의 과다로 인한 테일게이트의 닫힘성 악화를 개선함과 동시에 오버랩량 부족으로 인한 주행 중 이음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에 형성된 돌기부를 베이스에 형성된 돌기홈에 삽입하고 쿠션에 형성된 쿠션돌기를 가이드에 형성된 쿠션홀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조립이 이루어져 조립 공수 및 조립 시간이 크게 소요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종래 가이드 범퍼 및 레인프 등의 구성을 삭제하고 쿠션에 형성된 중공부가 테일게이트 인너패널과 직접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생산 원가 및 중량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테일게이트의 닫힘성 악화를 개선하고 이음 발생을 방지하며 생산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 테일게이트용 가이드 범퍼와 바디사이드 범퍼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b는 종래 테일게이트용 가이드 범퍼와 바디사이드 범퍼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가이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는, 베이스(100), 리테이너(200), 가이드(300) 및 쿠션(400)을 포함하여 테일게이트의 좌우 쏠림과 장착 산포를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0)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인너패널에 인접한 바디패널(20)에 고정 결합되고, 베이스(100)의 상부면에 형성된 안착홈(110)에는 리테이너(200)가 볼팅 결합되며, 리테이너(200)의 상부에는 가이드(300)와 쿠션(400)이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400)은 테일게이트 인너패널(10)과 직접 접촉되어 산포를 흡수하고, 종래 사용되던 가이드 범퍼(도 1b의 12)와 그 부속 부품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가이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는 종래와 거의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베이스(100)의 양 측부에는 한 쌍의 장착홀(104)이 천공되어 바디패널(20)과 볼팅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면 중앙에는 'ㄴ'자 형태로 안착홈(110)이 함몰 형성되며, 이러한 안착홈(110)에 리테이너(200), 가이드(300) 및 쿠션(400)이 순차적으로 얹혀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는 각종 구성이 고정되는 부품으로서 내충격성 및 변형 특성이 우수해야 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10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100)에 형성된 안착홈(11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고정홀(102)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00)에는 안착홈(110)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의 돌기홈(120)이 함몰 형성되는데, 이러한 고정홀(102)은 후술되는 리테이너(200)가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돌기홈(120)은 가이드(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200)는 안착홈(1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안착홈(11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리테이너(20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고정홀(102)에 대응하여 리테이너홀(202)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00)와 리테이너(200)는 고정홀(102)과 리테이너홀(202)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리테이너(200)에는 가이드(300) 방향(상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다수의 아치형 볼록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아치형 볼록부(21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300)의 하부면과 접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리테이너(200)에는 2개의 아치형 볼록부(210)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의 종류, 요구되는 오버랩량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200)는 텐션과 내구성이 우수하여야 하므로 탄성력을 가지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아치형 블록부는 납작하게 펼쳐지거나 볼록하게 오므라들어 테일게이트의 좌우 쏠림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즉, 테일게이트가 바디사이드 범퍼 방향으로 쏠려서 쿠션(400)과 테일게이트 인너패널(10) 사이의 오버랩량이 증대되면 아치형 볼록부(210)는 납작하게 펼쳐지고, 테일게이트가 바디사이드 범퍼 반대 방향으로 쏠려서 쿠션(400)과 테일게이트 인너패널(10) 사이의 오버랩량이 감소되면 아치형 볼록부(210)는 더욱 볼록하게 오므라든다.
상기 리테이너(200)의 상단에는 'ㄱ'자 형태로 절곡 연장된 절곡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220)는 가이드(300)의 상단을 접촉 지지하여 가이드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300)는 안착홈(110)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안착홈(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ㄴ'자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홈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300)의 양측에는 베이스(100)에 형성된 돌기홈(120)의 위치에 대응하여 한 쌍의 돌기부(32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320)를 돌기홈(120)에 삽입하여 가이드(300)는 베이스(100)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300)의 상부면에는 'ㄴ'자 형태로 가이드홈(310)이 함몰 형성되고, 가이드홈(31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쿠션홀(302)이 형성되어 쿠션(4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300)는 쿠션(400)을 고정하고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30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400)은 가이드(30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3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ㄴ'자 형태로 형성되고,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쿠션(400)에는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며 내부가 빈 다수의 중공부(4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중공부(410)는 테일게이트 인너패널(10)의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쿠션(400)에는 2개의 중공부(410)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의 종류, 요구되는 오버랩량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쿠션(400)에 형성된 다수의 중공부(410)는 테일게이트 인너패널(10)과 직접 접촉되며, 이에 따라 종래 가이드 범퍼(도 1b의 12) 등의 구성은 본 발명에서 삭제된다.
상기 쿠션(400)은 테일게이트 인너패널(10)과 직접 맞닿는 부품으로서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 등이 우수하여야 한다.
상기 쿠션(400)의 하부면에는 쿠션홀(302)의 위치에 대응하여 한 쌍의 쿠션돌기(40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쿠션돌기(402)를 쿠션홀(302)에 삽입하여 쿠션(400)은 가이드(300)에 고정된다.
즉, 작업자는 베이스(100)에 리테이너(200)를 볼팅 결합한 후, 그 상부에 가이드(300)를 삽입하고 가이드의 상부에 쿠션(400)을 순차적으로 삽입하거나 또는 가이드와 쿠션의 조립체를 리테이너의 상부에 삽입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디사이드 범퍼의 조립을 마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쿠션(400)이 테일게이트의 충격을 1차로 흡수하고, 리테이너(200)의 아치형 볼록부(210)가 테일게이트의 좌우 쏠림을 2차로 흡수하여, 오버랩량의 과다로 인한 테일게이트의 닫힘성 악화를 개선함과 동시에 오버랩량 부족으로 인한 주행 중 이음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300)에 형성된 돌기부(320)를 베이스(100)에 형성된 돌기홈(120)에 삽입하고 쿠션(400)에 형성된 쿠션돌기(402)를 가이드(300)에 형성된 쿠션홀(302)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조립이 이루어져 조립 공수 및 조립 시간이 크게 소요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종래 가이드 범퍼 및 레인프 등의 구성을 삭제하고 쿠션(400)이 테일게이트 인너패널(10)과 직접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생산 원가 및 중량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베이스
102 : 고정홀
104 : 장착홀
110 : 안착홈
120 : 돌기홈
200 : 리테이너
202 : 리테이너홀
210 : 아치형 볼록부
220 : 절곡부
300 : 가이드
302 : 쿠션홀
310 : 가이드홈
320 : 돌기부
400 : 쿠션
402 : 쿠션돌기
410 : 중공부

Claims (7)

  1.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인접한 바디패널에 고정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결합되는 리테이너;
    상기 안착홈 상에서 리테이너에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결합되며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쿠션; 을 포한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을 기준으로 베이스의 양측에는 한 쌍의 돌기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의 양측에는 돌기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에는 가이드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다수의 아치형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아치형 볼록부는 가이드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상단에는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가이드의 상단이 접촉 지지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에는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며 내부가 빈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에 형성된 다수의 중공부는 테일게이트 인너패널과 직접 접촉되어 테일게이트 인너패널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가이드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테이너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
KR1020160014755A 2016-02-05 2016-02-05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 KR102382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755A KR102382099B1 (ko) 2016-02-05 2016-02-05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755A KR102382099B1 (ko) 2016-02-05 2016-02-05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403A KR20170093403A (ko) 2017-08-16
KR102382099B1 true KR102382099B1 (ko) 2022-04-04

Family

ID=5975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755A KR102382099B1 (ko) 2016-02-05 2016-02-05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013B1 (ko) 2019-12-16 2021-06-18 주식회사 디엠씨 테일 게이트 사이드 범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1965A (ja) * 2003-12-02 2005-06-23 Nissan Motor Co Ltd バンパフィニッシャ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6177A (ko) * 1995-12-29 1997-07-26 한승준 자동차의 본네트 쿠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1965A (ja) * 2003-12-02 2005-06-23 Nissan Motor Co Ltd バンパフィニッシャ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403A (ko)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8117B2 (en) Under cover apparatus of rear bumper multi-carrier
JP5435350B2 (ja) 車体後部の下部構造
US20120187716A1 (en) Slide rail force distribution member
CN108928417B (zh) 土除组件以及应用其的车辆
KR102382099B1 (ko) 테일게이트용 바디사이드 범퍼
US7350335B2 (en) Vehicle slide door apparatus
CN108657288B (zh) 车辆的后部车体构造
JP2003212070A (ja) 車両用バンパの取付構造
KR102382090B1 (ko) 테일게이트용 가이드범퍼 구조
KR102117952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오버슬램범퍼 설치구조
JP2007001347A (ja) バンパ支持部材の取付け構造
US11530559B2 (en) Hinge
US10549593B2 (en) Wheel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KR102237067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용 가이드 범퍼 유닛
KR100736722B1 (ko) 테일 게이트의 슬라이딩 타입 가이드 범퍼
KR20170062878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EP3091162A1 (en) Damping device for trunk lid
US11667242B2 (en) Inclined type swing step and truck thereof
KR200147954Y1 (ko) 자동차용 가이드 범퍼
US11305711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KR20050112422A (ko) 오버 슬램 범퍼 기능을 겸한 가이드 범퍼 구조
WO2019203145A1 (ja) 車体後部構造
KR950003309Y1 (ko) 자동차용 범퍼
KR0131770Y1 (ko) 헤치백(Hatchback) 차량의 뒷문 충격 흡수용 범퍼의 체결구조
KR100373632B1 (ko) 스윙 타입용 테일게이트의 체커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