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6933A - 랙 화물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랙 화물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6933A
KR20070016933A KR1020060052462A KR20060052462A KR20070016933A KR 20070016933 A KR20070016933 A KR 20070016933A KR 1020060052462 A KR1020060052462 A KR 1020060052462A KR 20060052462 A KR20060052462 A KR 20060052462A KR 20070016933 A KR20070016933 A KR 20070016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container
locking means
support
rack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2847B1 (ko
Inventor
토모유키 오오타
Original Assignee
젠고쿠쯔우운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고쿠쯔우운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젠고쿠쯔우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6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내외로 넘나드는 반송이더라도, 바꿔 싣는 작업을 하지 않고 일관된 반송을 가능하게 한 랙 화물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로 위를 이동 가능한 지지대(4)의 상부에 탑재 가능하고 아울러 전장 12피트의 화물 컨테이너(5)를 길이 방향으로 세 개 탑재 가능한 베이스 부재(2)와, 베이스 부재(2)의 네 모서리에 세워져 이루어지는 코너 포스트(3)를 구비하고, 베이스 부재(2)에는 화물 컨테이너(5)의 제1 공업 규격에 의거한 제1 화물 컨테이너(6)에 배치된 제1 지지 수단을 지지할 수 있는 제1 걸림 수단(8)과,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제2 공업 규격에 의거한 제2 화물 컨테이너(7)에 배치된 제2 지지 수단을 지지할 수 있는 제2 걸림 수단(9)을 배치하고, 상기 제1 걸림 수단(8)과 상기 제2 걸림 수단(9)을 선택적으로 치환할 수 있다.
랙 화물 컨테이너

Description

랙 화물 컨테이너 {RACK FREIGHT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 컨테이너와 랙 화물 컨테이너와 철도 지지대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랙 화물 컨테이너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랙 화물 컨테이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걸림 수단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제1 걸림 수단을 제1 화물 컨테이너의 제1 지지 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제2 걸림 수단을 제1 화물 컨테이너의 제1 지지 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랙 화물 컨테이너를 포크 리프트의 포크에 의해 들어올린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의 C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SD-SD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화물 컨테이너와 랙 화물 컨테이너를 트럭 지지대에 바꿔 실은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1: 랙 화물 컨테이너
2: 베이스 부재
3: 코너 포스트
4, 36a: 지지대
5: 화물 컨테이너
6: 제1 화물 컨테이너
7: 제2 화물 컨테이너
8: 제1 걸림 수단
9: 제2 걸림 수단
10: 제1 걸어맞춤 부재
11: 제2 걸어맞춤 부재
12: 수평 플랫폼
13: 제1 지지 부재
14: 제2 지지 부재
15: 제1 걸어맞춤부
16: 제2 걸어맞춤부
17: 포크 리프트
18: 인서트 포켓부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4-345693호 공보
본 발명은 랙 화물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랙 화물 컨테이너는 단지 적절한 화물 컨테이너를 탑재하는 것이며, 그 화물 컨테이너 전용 지지 수단을 갖는 랙 화물 컨테이너이다. 다른 한편, 수출입 화물은 수송비의 삭감을 위하여 선박에 지지 가능한 ISO 규격에 의거한 전장 40피트라는 큰 수송 단위의 화물 컨테이너 내에 적절히 짐을 쌓아넣어 반송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상기한 40피트라는 큰 수송 단위의 화물 컨테이너에서는, 화물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반송을 구하면, 짐이 상기 화물 컨테이너 내부에 거의 가득 찰 때까지 반송을 정지하게 되고, 오히려 유통이 저해되게 된다. 또한, 여러 목적지 앞의 화물을 하나의 화물 컨테이너에 혼재하여 쌓아넣으면, 짐의 집적지(항구 등)에서 상기 화물 컨테이너로부터 짐을 일단 내려서 목적지별로 나누는 구분 작업 및 소형의 화물 컨테이너로 바꿔 싣는 작업을 필요로 하고, 반송 시간이 매우 길어져서, 전체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과제에 대하여,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통 효율을 향상하고, 바꿔 싣는 작업을 행하지 않고, 일관된 반송을 가능하게 한 랙 화물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 측면에 따르면, 철로 위 등을 이동 가능한 지지대의 상부에 탑재 가능하고 아울러 전장(全長) 12피트의 화물 컨테이너와 동일한 전폭(全幅) 치수로 상기 화물 컨테이너를 길이 방향으로 세 개 탑재 가능한 베이스 부재와, 이 베이스 부재의 네 모서리에 세워져 이루어지는 코너 포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화물 컨테이너의 제1 공업 규격(일본 규격 등)에 의거한 제1 화물 컨테이너에 배치된 제1 지지 수단을 지지할 수 있는 제1 걸림 수단과, 상기 화물 컨테이너의 제2 공업 규격(국제 규격 등)에 의거한 제2 컨테이너에 배치된 제2 지지 수단을 지지할 수 있는 제2 걸림 수단을 배치하고, 상기 제1 걸림 수단과 상기 제2 걸림 수단을 선택적으로 치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 측면에 따르면, 상기 랙 화물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수단에는 상기 제1 지지 수단에 걸어 맞춤 가능한 제1 걸어맞춤 부재를 피보팅(pivoting)하여 이루어지고 아울러 상기 제1 걸림 수단을 상기 제1 지지 수단과 대향한 위치와 상기 제1 지지 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걸림 수단에는 상기 제2 지지 수단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2 걸어맞춤 부재를 피보팅하여 이루어지고 아울러 상기 제2 걸림 수단을 상기 제2 지지 수단과 대향한 위치와 상기 제2 지지 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기술적 측면에 따르면, 상기 랙 화물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전장 12피트의 화물 컨테이너를 길이 방향으로 세 개 탑재 가능한 전장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화물 컨테이너의 전폭 치수보다 적은 치수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수평 플랫폼과, 이 수평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화물 컨테이너의 전폭 방향으로 상기 제1 걸림 수단을 지지 가능하게 팽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걸림 수단을 지지 가능하게 팽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 지지 부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기술적 측면에 따르면, 상기 랙 화물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수단 및 상기 제2 걸림 수단의, 상기 제1 지지 수단 및 상기 제2 지지 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성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전후 간의 공간으로부터의 출몰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기술적 측면에 따르면, 상기 랙 화물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코너 포스트의 상단부에는 제1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코너 포스트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2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다른 랙 화물 컨테이너를 상부 적재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기술적 측면에 따르면, 상기 랙 화물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를 끼워넣어 들어올릴 수 있는 인서트 포켓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로 위 등의 이동 가능한 지지대의 상부에 탑재 가능하고 복수개의 화물 컨테이너를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 탑재 가능한 베이스 부재와, 이 베이스 부재의 네 모서리에 세워져 이루어지는 코너 포스트를 구비하는 랙 화물 컨테이너로, 각 상기 화물 컨테이너를 걸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는 제1 걸림 수단으로, 제1 공업 규격에 의거한 제1 화물 컨테이너에 배치된 제1 지지 수단을 지지 가능하게 하는 것과, 각 상기 화물 컨테이너를 걸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는 제2 걸림 수단으로, 상기 제1 공업 규격과는 다른 제2 공업 규격에 의거한 제2 화물 컨테이너에 배치된 제2 지지 수단을 지지 가능하게 하는 것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걸림 수단과 상기 제2 걸림 수단은 택일적으로 대응하는 상기 화물 컨테이너의 제1 지지 수단 또는 제2 지지 수단 중의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유통 효율을 향상하고, 바꿔 싣는 작업을 행하지 않고 일관된 반송을 가능하게 한 랙 화물 컨테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랙 화물 컨테이너(1)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철로 위를 중·장거리 이동 가능한 화물 열차 등의 지지대(4)(도 1)의 상부에 탑재 가능하고 아울러 전장 12피트의 화물 컨테이너(5)와 동일한 전폭 치수로 상기 화물 컨테이너(5)를 길이 방향으로 세 개 탑재 가능한 베이스 부재(2)와, 이 베이스 부재(2)의 네 모서리에 세워져 이루어지는 코너 포스트(3)로 구성된다. 랙 화물 컨테이너(1)의 치수는 전 장(全長)이 12192밀리미터, 전폭(全幅)이 2438밀리미터, 전고(全高)가 2896밀리미터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더욱 일반적으로는 전장 및 전폭이 동일한 화물 컨테이너를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적재 가능한 베이스 부재(2)로서, 베이스 부재의 전폭이 화물 컨테이너의 전폭과 동일한 것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코너 포스트(3)는 전후 치수 244밀리미터, 전폭 치수 175밀리미터의 횡단면을 갖는 H 강판에 의해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너 포스트의 양단부 강판은 두께 11밀리미터이고, 가교 강판은 7밀리미터인 포스트 부재(19, 19)와, 이 포스트 부재(19, 19)의 상단부(3a, 3a) 및 상기 포스트 부재(19, 19)의 하단부(3b, 3b)의 사이를 X자 형상으로 가설한 X 바(20)와, 상기 포스트 부재(19, 19)의 상단부(3a, 3a) 사이를 대략 수평으로 가설한 가교 부재(21)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포스트 부재(19, 19)의 상단부(3a, 3a)에는 포스트 부재(19, 19)의 단면보다도 가느다란 제1 걸어맞춤부(15)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포스트 부재(19, 19)의 하단부(3b, 3b)에는 상기 제1 걸어맞춤부(15)가 끼워맞춤 가능한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 걸어맞춤부(16)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므로, 랙 화물 컨테이너(1)에 동 규격(예를 들면 ISO 규격)에 의거한 40피트 해상 컨테이너 등을 쌓아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요컨데, 지지대(4)의 상부에 탑재한 랙 화물 컨테이너(1)의 상측에 별도의 랙 화물 컨테이너(1)를 쌓아올릴 때에는, 하측의 랙 화물 컨테이너(1)의 제1 걸어맞춤부(15)에, 상측의 랙 화물 컨테이너(1)의 제2 걸어맞춤부(16)를 끼워맞춤으로써 적어도 상하 2단으로 쌓아올릴 수 있다. 출원인은 랙 화물 컨테이너(1)를 7단으로 쌓아올리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베이스 부재(2)에는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제1 공업 규격(예를 들면 일본 공업 규격 JIS Z 1629)에 의거하여 각 제1 화물 컨테이너(6)의 전후 방향의 중앙이고 아울러 좌우 단부로부터 아래로 늘어뜨려 배치된 화살촉 돌기 형상의 제1 지지 수단으로서의 앵커(도시 생략)를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각각 지지 가능한 제1 걸림 수단(8)과,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제2 공업 규격(예를 들면 국제 규격)에 의거하여 각 제2 화물 컨테이너(7)의 앞뒤 네 모서리에 배치된 제2 지지 수단인 걸어맞춤 구멍(도시 생략)을 각각 지지 가능한 제2 걸림 수단(9)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걸림 수단(8)과 상기 제2 걸림 수단(9)은 선택적으로 치환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1 화물 컨테이너(6)가 2개 연속하여 배치되어, 제2 화물 컨테이너가 그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1 걸림 수단(8)과 제2 걸림 수단(9)을 "선택적으로 치환 가능"하게 했다고 하는 의의를 설명한다. 즉 도 1의 두 개의 제1 화물 컨테이너(6)의 경우와 같이, 제1 걸림 수단(8)에 의해 앵커를 지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한 경우(도 4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는, 걸림 수단으로서 제2 걸림 수단(9)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제2 걸림 수단(9)은 걸어맞춤 구멍에 지지할 수 없는 위치(도 7 및 도 8에서 나타낸 위치)에서, 아울러 제1 걸림 수단과 걸어맞춤 구멍의 걸어맞춤에 간섭하지 않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 수단으로서 제2 걸림 수단(9)을 선택할 수 없으므로, 제1 걸림 수단(8)과 제2 걸림 수단(9)이 택일적으로 대응하는 걸어맞춤 구멍과 걸어맞춤 가능하다.
또한, 도 1의 우측의 제2 화물 컨테이너(7)의 경우와 같이, 제2 걸림 수 단(9)에 의해 대응하는 걸어맞춤 구멍을 지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한 경우에는 걸림 수단으로서 제2 걸림 수단(9)을 택일적으로 선택하게 되고, 앵커를 제1 걸림 수단(8)에 지지할 수 없는 위치(도 4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걸림 수단으로서 제1 걸림 수단을 선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2)는 전장 12피트의 화물 컨테이너(5)를 길이 방향으로 세 개 탑재 가능한 전장 12192밀리미터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전폭 치수보다 적은 치수인 전폭 1838밀리미터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수평 플랫폼(12)과, 이 수평 플랫폼(12)으로부터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전폭 방향으로 상기 제1 걸림 수단(8)을 지지 가능하게 팽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 지지 부재(13) 및 상기 제2 걸림 수단(9)을 지지 가능하게 팽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 지지 부재(14)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2)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크 리프트(17)의 포크(도시 생략)를 끼워 넣어 들어올릴 수 있는 인서트 포켓부(18)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 걸림 수단(8)과 베이스 부재(2)의 관계에 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 부재(2)의 수평 플랫폼(12)으로부터 팽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 지지 부재(13)의 전후 단부(도 4 내지 도 6의 좌우측)에는, 브래킷(23, 23)이 돌출되어 이루어지며, 피봇 핀(24)에 의해 도 4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와 도 4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제1 걸림 수단(8)이 회전 자유롭게 피보팅되어 이루어진다. 제1 걸림 수단(8)이 도 4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 및 도 5에 나타낸 위치에서는, 제1 지지 부재(13) 위에 자중으로 탑재되어 이루어짐과 아 울러 브래킷(23)의 관통 구멍(23a)에 삽탈 가능한 스토퍼 핀(25)에 의해 상기 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위치에서는, 제1 걸림 수단(8)은 피봇 핀(24)에 의해 제1 지지 부재(13) 위로부터 떨어져서 수평 플랫폼(12)의 단부에 용접 지지된 제2 브래킷(26)에 홀딩된 제3 브래킷(27)의 관통 구멍(27a)과 합치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스토퍼 핀(25)에 의해 상기 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도 6은 상기 스토퍼 핀(25)을 관통 구멍(27a)에 끼워넣기 전의 상황이다. 부호 25a는 스토퍼 핀(25)을 제1 걸림 수단(8)에 고정하고 있는 체인이다.
또한, 제1 걸림 수단(8)의 중앙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관통 구멍(8a)에는, 제2 스토퍼 핀(28)이 삽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 스토퍼 핀(28)을 관통 구멍(8a)에 끼워 넣고 있을 때에는, 캐처(catcher)가 앵커(anchor)를 로크(lock)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열차 등의 흔들림이 생기더라도 앵커가 캐처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앵커를 캐처에 로크시키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제2 스토퍼 핀(28)을 관통 구멍(8a)에 끼워 넣고 있으면, 화물 컨테이너(5)를 내리는 작업, 즉 앵커를 캐처에 걸어맞추는 작업을 잘못하면, 앵커에 의해 캐처에 큰 하중이 가해져서, 상기 캐처를 손상시키게 될 우려가 있다. 즉 제2 스토퍼 핀(28)을 관통 구멍(8a)에 끼워 넣지 않은 상태란, 화물 컨테이너(5)를 랙 화물 컨테이너(1)에 싣는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라는 작업자를 향한 신호도 된다.
상기 제2 스토퍼 핀(28)을 관통 구멍(8a)으로부터 빼고 있을 때에는, 캐처는 움직일 수 있는 상태이므로, 앵커의 로크가 유지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이 상태에서 앵커를 내리면, 캐처는 앵커를 로크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제2 스토퍼 핀(28)을 관통 구멍(8a)에 끼워 넣기 전의 상황이다. 부호 28a는 제2 스토퍼 핀(28)을 제1 걸림 수단(8)에 고정하고 있는 체인이다. 부호 29는 상기 제2 스토퍼 핀(28)에 핀(29a)을 통해 회전 자유롭게 피보팅되어 이루어지는 리테이닝 핀(retaining pin)이며, 상기 관통 구멍(8a)에 끼워 넣어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리테이닝된다.
제1 지지 부재(13)의 상부에는, 한 쪽에 두 부위, 다른 쪽에 한 부위의 리브 형상의 제3 스토퍼(30)가 세워져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걸림 수단(8)이 베이스 부재(2)의 진행 방향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1 지지 부재(13)의 하부에는 상기 수평 플랫폼(12)의 세로벽(12a)에 대하여 제1 지지 부재(13)를 완강하게 지탱하는 리브(1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걸림 수단(9)과 베이스 부재(2)의 관계에 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 부재(2)의 수평 플랫폼(12)으로부터 팽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 지지 부재(14)의 후방측(도 7 및 도 8의 우측) 단부에는, 제4 브래킷(31)이 돌출되어 이루어지고, 피봇 핀(24)에 의해 도 1의 우측의 제2 화물 컨테이너(7)의 하측에서 나타낸 위치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위치에 제2 걸림 수단(9)이 회전 자유롭게 피보팅되어 이루어진다. 제2 걸림 수단(9)은 도 1의 우측의 제2 화물 컨테이너(7)의 하측에서 나타낸 위치에서는, 제2 지지 부재(14) 위에 자중으로 탑재되어 이루어짐과 아울러 제2 지지 부재(14)의 관통 구멍(14a)에 삽탈 가능한 스토퍼 핀(25)에 의해 상기 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위치에서는, 제2 걸림 수단(9)은 피봇 핀(24)에 의해 제2 지지 부재(14) 위로부터 떨어져서 수평 플랫폼(12)의 단부에 용접 지지된 제5 브래킷(32)에 홀딩된 제6 브래킷(33)의 관통 구멍(33a)과 합치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스토퍼 핀(25)에 의해 상기 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스토퍼 핀(25)을 관통 구멍(33a)에 끼워 넣은 후의 상황이다.
제2 지지 부재(14)의 상부에는 한 부위의 리브 형상의 제4 스토퍼(34)가 세워져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걸림 수단(9)이 베이스 부재(2)의 진행 방향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2 지지 부재(14)의 하부에는 상기 수평 플랫폼(12)의 세로벽에 대하여 제2 지지 부재(14)를 완강하게 지탱하는 리브(1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국제 규격에 의거한 제2 화물 컨테이너(7)의 네 모서리에 배치된 도합 네 모서리의 하향 걸어맞춤 구멍(도시 생략)은 제2 화물 컨테이너(7)가 포크 리프트(17) 등에 의해 들어 올려져서, 제2 걸림 수단(9)의 앵커 형상의 제2 걸어맞춤 부재(11)의 위치와 합치시키도록 하여 내림으로써, 걸어맞춤 구멍이 앵커 형상의 제2 걸어맞춤 부재(11)에 끼워 맞춰져서 지지되도록, 상기 제2 걸림 수단(9)에는, 상기 제2 걸어맞춤 부재(11)가 이동 자유롭게 되도록 피보팅된다. 상기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수단은 제2 걸어맞춤 부재(11)를 도시하지 않은 장치에 의해 이동시킴으로써 열림 상태로 하여, 제2 걸어맞춤 부재(11)로부터 걸어맞춤 구멍이 이탈할 수 있다. 부호 11a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로 제2 걸림 수단(9)을 회전시켰을 때에, 제2 걸어맞춤 부재(11)가 제2 걸림 수단(9)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홀딩 가능한 스토퍼이다.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제1 화물 컨테이너(6) 및 제2 화물 컨테이너(7)는 외측의 치수가 모두 동일하고, 장척(전후) 방향의 치수가 3715밀리미터(12.18피트), 단척(좌우) 방향의 치수가 2482밀리미터, 높이 방향의 치수가 2500밀리미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물 컨테이너(5)를 "전장 12피트의 화물 컨테이너"라고 호칭한다. 상기 제1 화물 컨테이너(6) 및 제2 화물 컨테이너(7)의 상위점은 상기한 앵커 및 걸어맞춤 구멍의 부착 위치의 상위점에 있다.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일본 공업 규격에 의거한 제1 화물 컨테이너(6)에 배치된 화살촉 돌기 형상의 앵커(도시 생략)는 제1 화물 컨테이너(6)의 전장 방향의 중앙에 도합 두 부위 늘어뜨려 이루어지고, 제1 화물 컨테이너(6)가 포크 리프트(17) 등에 의해 들어 올려져서, 제1 걸림 수단(8)의 위치와 합치하도록 내림으로써, 앵커가 제1 걸어맞춤 부재(10)에 끼워 맞춰져서 지지된다. 상기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수단은 제1 걸어맞춤 부재(10)를 도시하지 않은 장치에 의해 이동시킴으로써 열림 상태로 하여, 제1 걸어맞춤 부재(10)로부터 앵커가 이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서트 포켓부(18)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인서트 포켓부(18)는 포크 리프트(17)(도 9)의 포크(도시 생략)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수평 플랫폼(12)의 세로벽(12a)에 좌우로 관통한 관통 구멍이며, 상기 포크 리프트(17)의 포크를 둘러쌀 수 있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인서트 포켓부(18)의 상부와 수평 플랫폼(12) 사이에는 인서트 포켓부(18)에 가해진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세로 리브(37)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철로 위 등을 이동 가능한 지지대(4)의 상부에 탑재 가능하고 아울러 전장 12피트의 화물 컨테이너(5)와 동일한 전폭 치수로 상기 화물 컨테이너(5)를 길이 방향으로 세 개 탑재 가능한 베이스 부재(2)와, 이 베이스 부재(2)의 네 모서리에 세워져 이루어지는 코너 포스트(3)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ISO 규격에 의거한 전장 40피트라는 큰 수송 단위의 화물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고, 전장 12피트라는 작은 수송 단위의 화물 컨테이너(5)를 적절히 실을 수 있는 랙 화물 컨테이너(1)로 함으로써, 짐이 상기 화물 컨테이너(5) 내부에 거의 가득 찰 때까지 반송을 정지할 필요가 없고, 유통 효율이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전장 12피트라는 작은 수송 단위의 화물 컨테이너(5)이기 때문에, 상기 화물 컨테이너(5)를 목적지 앞으로 하나로 모을 수 있어, 구분 작업이 불필요하고, 아울러 종래와 같은 ISO 규격에 의거한 전장 40피트라는 큰 수송 단위의 화물 컨테이너로부터 소형의 화물 컨테이너(5)로 바꿔 싣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반송 시간이 짧아져서, 전체 비용을 현저히 삭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2)에는,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일본 공업 규격(제1 공업 규격)에 의거한 제1 화물 컨테이너(6)에 배치된 제1 지지 수단을 지지 가능한 제1 걸림 수단(8)과,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국제 규격(제2 공업 규격)에 의거한 제2 화물 컨테이너(7)에 배치된 제2 지지 수단을 지지 가능한 제2 걸림 수단(9)을 배치하고, 상기 제1 걸림 수단(8)과 상기 제2 걸림 수단(9)을 선택적으로 치환 가능하기 때문에, 제1 화물 컨테이너(6)와 제2 화물 컨테이너(7)의 지지 수단의 위치를 다르게 하더라도, 하나의 랙 화물 컨테이너로 지지할 수 있게 되고, 랙 화물 컨테이너가, 국내외를 넘나드는 반송이더라도, 바꿔 싣는 작업을 하지 않고 일관된 반송을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반송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전체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동일한 랙 화물 컨테이너(1)에, 제1 화물 컨테이너(6)와 제2 화물 컨테이너(7)를 혼재한 상태에서의 적재도 가능하므로, 목적지가 정해지면, 동일한 화물 컨테이너(5)를 유용(流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2)에는,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일본 공업 규격에 의거한 제1 화물 컨테이너(6)에 배치된 제1 지지 수단인 앵커를 지지 가능한 제1 걸림 수단(8)과,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국제 규격에 의거한 제2 화물 컨테이너(7)에 배치된 제2 지지 수단인 걸어맞춤 구멍을 지지 가능한 제2 걸림 수단(9)을 배치하고, 상기 제1 걸림 수단(8)과 상기 제2 걸림 수단(9)을 선택적으로 치환 가능하기 때문에, 동일한 랙 화물 컨테이너(1)에 제1 화물 컨테이너(6)와 제2 화물 컨테이너(7)를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고, 국내외를 넘나드는 반송이더라도, 바꿔 싣는 작업을 하지 않고 일관된 반송을 가능하게 하였다. 물론, 제1 화물 컨테이너(6)만을 3개 반송해도 무방하고, 제2 화물 컨테이너(7)만을 세 개 반송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1 걸림 수단(8)에는 상기 제1 지지 수단인 앵커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1 걸어맞춤 부재인 캐처(10)를 피보팅하여 이루어지고 아울러 상기 앵커와 대향한 위치와 상기 앵커와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 화물 컨테이너(6)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캐처(10)를 앵커와 대향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화물 컨테이너(6)의 앵커와 캐처(10)가 걸어맞춤 가능해지고, 제1 화물 컨테이너(6)는 랙 화물 컨테이너(1)에 확실하게 지 지된다. 이 때, 제2 화물 컨테이너(7)용의 제2 걸림 수단(9)을 제2 지지 수단인 걸어맞춤 구멍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켜 두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또한, 제2 화물 컨테이너(7)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제2 걸어맞춤 부재(9)를 걸어맞춤 구멍과 대향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화물 컨테이너(7)의 걸어맞춤 구멍과 제2 걸어맞춤 부재인 앵커(11)가 걸어맞춤 가능해지고, 제2 화물 컨테이너(7)는 랙 화물 컨테이너(1)에 확실하게 홀딩된다. 이 때, 제1 화물 컨테이너(6)용의 제1 걸림 수단(8)을 앵커와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켜 두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또한, 랙 화물 컨테이너(5)의 베이스 부재(2)는 전장 12피트의 화물 컨테이너(5)를 길이 방향으로 세 개 탑재 가능한 전장 12192밀리미터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전폭 치수보다 적은 전폭 치수의 1838밀리미터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수평 플랫폼(12)과, 이 수평 플랫폼(12)으로부터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전폭 방향으로 상기 제1 걸림 수단(8)을 지지 가능하도록 수평 플랫폼(12)으로부터 300밀리미터 팽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 지지 부재(13) 및 상기 제2 걸림 수단(9)을 지지 가능하게 마찬가지로 팽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 지지 부재(14)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평 플랫폼(12)의 전폭 치수 1838밀리미터가 화물 컨테이너(5)의 전폭 치수 2482 밀리미터보다도 약 600밀리미터 적은 만큼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제조 원가의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 수단(8) 및 상기 제2 걸림 수단(9)의, 상기 제1 지지 수단 및 상기 제2 지지 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성은 상기 베이스 부 재(2)의 제1 지지 부재(13)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14)의 전후 간의 공간(38)으로부터의 출몰 방향이기 때문에, 제1 지지 수단 및 상기 제2 지지 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 제1 걸림 수단(8) 및 상기 제2 걸림 수단(9)의 위치는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전폭보다도 돌출하지 않아, 빠듯한 건축 한계에서도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코너 포스트(3)의 상단부(3a)에는 제1 걸어맞춤부(15)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코너 포스트(3)의 하단부(3a)에는 상기 제1 걸어맞춤부(15)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2 걸어맞춤부(16)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다른 랙 화물 컨테이너(1)를 상부 적재 가능하도록 했기 때문에, 지지대(4) 위에 지지하여 한 번에 반송할 수 있는 랙 화물 컨테이너(1)를 복수 단으로 상부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고, 대량 반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베이스 부재(2)에는 포크 리프트(17)의 포크를 끼워넣어 들어올릴 수 있는 인서트 포켓부(18)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지대(4) 위의 랙 화물 컨테이너(1)를 다른 지지대,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트럭(36)의 파레트(36a)로 이동시킬 때에, 인서트 포켓부(18)에 포크 리프트(17)의 포크를 끼워넣어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대로서 철로 위를 중·장거리 이동 가능한 화물 열차 등의 지지대(4) 및 트럭(36)의 파레트(36a)를 예로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항공기나 선박의 화물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 측면에 따르면, 철로 위 등을 이동 가능한 지지대의 상부에 탑재 가능하고 아울러 전장 12피트의 화물 컨테이너와 동일한 전폭 치수로 상기 화물 컨테이너를 길이 방향으로 세 개 탑재 가능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네 모서리에 세워져 이루어지는 코너 포스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ISO 규격에 의거한 전장 40피트라는 큰 수송 단위의 화물 컨테이너를 이용하지 않고, 전장 12피트라는 작은 수송 단위의 화물 컨테이너를 적절히 탑재할 수 있는 랙 화물 컨테이너를 이용함으로써, 짐이 상기 화물 컨테이너 내부에 거의 가득 찰 때까지 반송을 정지하지 않고, 유통 효율이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전장 12피트라는 작은 수송 단위의 화물 컨테이너이기 때문에, 상기 화물 컨테이너를 목적지 앞으로 하나로 모을 수 있어, 구분 작업 및 소형의 화물 컨테이너로 바꿔 싣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반송 시간이 짧아지고, 전체 비용을 현저히 삭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화물 컨테이너의 일본 규격에 의거한 제1 화물 컨테이너에 배치된 제1 지지 수단을 지지 가능한 제1 걸림 수단과, 상기 화물 컨테이너의 국제 규격에 의거한 제2 화물 컨테이너에 배치된 제2 지지 수단을 지지 가능한 제2 걸림 수단을 배치하고, 상기 제1 걸림 수단과 상기 제2 걸림 수단을 선택적으로 치환 가능하기 때문에, 제1 화물 컨테이너와 제2 화물 컨테이너의 지지 수단의 위치를 다르게 하더라도, 하나의 랙 화물 컨테이너로 지지할 수 있게 되고, 랙 화물 컨테이너가, 국내외를 넘나드는 반송이더라도, 바꿔 싣는 작업을 하지 않고 일관된 반송을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반송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전체 비 용을 삭감할 수 있다. 동일한 랙 화물 컨테이너에 제1 화물 컨테이너와 제2 화물 컨테이너를 혼재한 상태에서의 적재도 가능하므로, 목적지가 정해지면, 동일한 화물 컨테이너를 유용(流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걸림 수단에는 상기 제1 지지 수단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1 걸어맞춤 부재를 피보팅하여 이루어지고 아울러 상기 제1 걸림 수단을 상기 제1 지지 수단과 대향한 위치와 상기 제1 지지 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 화물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제1 걸어맞춤 부재를 제1 지지 수단과 대향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화물 컨테이너의 제1 지지 수단과 제1 걸어맞춤 부재가 걸어맞춤 가능해지고, 제1 화물 컨테이너는 랙 화물 컨테이너에 확실하게 홀딩된다. 이 때, 제2 화물 컨테이너용의 제2 걸림 수단을 제2 지지 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켜 두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또한, 상기 제2 지지 수단에는 상기 제2 지지 수단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2 걸어맞춤 부재를 피보팅하여 이루어지고 아울러 상기 제2 걸림 수단을 상기 제2 지지 수단과 대향한 위치와 상기 제2 지지 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2 화물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제2 걸어맞춤 부재를 제2 지지 수단과 대향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서, 제2 화물 컨테이너의 제2 지지 수단과 제2 걸어맞춤 수단이 걸어맞춤 가능해지고, 제2 화물 컨테이너는 랙 화물 컨테이너에 확실하게 홀딩된다. 이 때, 제1 화물 컨테이너용의 제1 걸림 수단을 제1 지지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켜 두는 것만으 로 충분하다.
본 발명의 제3 기술적 측면에 따르면, 상기 랙 화물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전장 12피트의 화물 컨테이너를 길이 방향으로 세 개 탑재 가능한 전장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화물 컨테이너의 전폭 치수보다 적은 치수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수평 플랫폼과, 이 수평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화물 컨테이너의 전폭 방향으로 상기 제1 걸림 수단을 지지 가능하게 팽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걸림 수단을 지지 가능하게 팽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 지지 부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평 플랫폼의 전폭 치수가 화물 컨테이너의 전폭 치수보다 적은 만큼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제조 원가의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기술적 측면에 따르면, 제1 걸림 수단 및 상기 제2 걸림 수단의, 상기 제1 지지 수단 및 상기 제2 지지 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성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전후 간의 공간으로부터의 출몰 방향이기 때문에, 제1 지지 수단 및 상기 제2 지지 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 제1 걸림 수단 및 상기 제2 걸림 수단의 위치는 상기 화물 컨테이너의 전폭보다 돌출되지 않고, 빠듯한 건축 한계에서도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5 기술적 측면에 따르면, 코너 포스트의 상단부에는 제1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코너 포스트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2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다른 랙 화물 컨테이 너를 상부 적재 가능하도록 했기 때문에, 지지대 위에 지지하여 한 번에 반송할 수 있는 랙 화물 컨테이너를 복수 단으로 상부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고, 대량 반송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6 기술적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에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를 끼워넣어 들어올릴 수 있는 인서트 포켓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지대 위의 랙 화물 컨테이너를 다른 지지대로 이동시킬 때에, 인서트 포켓부에 포크 리프트의 포크를 끼워넣어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이동 가능한 지지대(4),(36a)의 상부에 탑재 가능하고, 복수개의 화물 컨테이너(5)를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 탑재 가능한 베이스 부재(2)와, 이 베이스 부재(2)의 네 모서리에 세워져 이루어지는 코너 포스트(3)를 구비하는 랙 화물 컨테이너(1)에 있어서,
    상기 각 화물 컨테이너를 걸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2)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는 제 1 걸림 수단(8)으로, 제 1 공업 규격에 의거한 제 1 화물 컨테이너(6)에 배치된 제 1 지지수단을 지지 가능하게 하는 것과,
    상기 각 화물 컨테이너를 걸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2)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는 제 2 걸림 수단(9)으로, 상기 제 1 공업 규격과는 다른 제 2 공업 규격에 의거한 제 2 화물 컨테이너(7)에 배치된 제 2 지지수단을 지지 가능하게 하는 것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걸림 수단(8)과 상기 제 2 걸림 수단(9)은 택일적으로 대응하는 상기 화물 컨테이너의 제 1 지지수단 또는 제 2 지지수단 중의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화물 컨테이너.
  2. 철로 위를 이동 가능한 지지대(4),(36a)의 상부에 탑재 가능하고 아울러 전장 12피트의 화물 컨테이너(5)와 동일한 전폭 치수로 상기 화물 컨테이너(5)를 길이 방향으로 세 개 탑재 가능한 베이스 부재(2)와, 이 베이스 부재(2)의 네 모서리 에 세워져 이루어지는 코너 포스트(3)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2)에는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일본 공업 규격에 의거한 제 1 화물 컨테이너(6)에 배치된 제 1 지지수단을 지지 가능한 제 1 걸림수단(8)과,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국제 규격에 의거한 제 2 화물 컨테이너(7)에 배치된 제 2 지지수단을 지지 가능한 제 2 걸림 수단(9)을 배치하고,
    상기 제 1 걸림수단(8)과 상기 제 2 걸림수단(9)은 선택적으로 치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화물 컨테이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수단(8)에는 상기 제 1 지지 수단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 1 걸어맞춤 부재(10)가 피보팅되어 이루어지고 아울러 상기 제 1 걸림수단(8)을 상기 제 1 지지수단과 대향한 위치와 상기 제 1 지지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걸림수단(9)에는 상기 제 2 지지수단에 걸어 맞춤 가능한 제 2 걸어맞춤 부재(11)가 피보팅되어 이루어지고 아울러 상기 제 2 걸림수단(9)을 상기 제 2 지지수단과 대향한 위치와 상기 제 2 지지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화물 컨테이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2)는 전장 12피트의 화물 컨테이너(5)를 길이 방향으로 세 개 탑재 가능한 전장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전폭 치수보다 적은 치수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평판형상의 수평 플랫폼(12)과, 이 수평 플랫폼(12)으로부터 상기 화물 컨테이너(5)의 전폭 방향으로 상기 제1 걸림수단(8)을 지지 가능하게 팽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 1 지지부재(13) 및 상기 제2 걸림수단(9)을 지지 가능하게 팽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 2 지지부재(14)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화물 컨테이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수단(8) 및 상기 제 2 걸림수단(9)의, 상기 제 1 지지수단 및 상기 제 2 지지수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성은 상기 베이스 부재(2)의 제 1 지지부재(13)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14)의 전후 간의 공간(38)으로부터의 출몰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화물 컨테이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포스트(3)의 상단부(3a)에는 제 1 걸어맞춤부(15)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코너 포스트(3)의 하단부(3b)에는 상기 제 1 걸어맞춤부(15)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 2 걸어맞춤부(16)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별도의 랙 화물 컨테이너(1)를 상부 적재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화물 컨테이너.
  7. 제 1 항, 제 2 항, 그리고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2)에는 포크 리프트(17)의 포크를 끼워넣어 들어올릴 수 있는 인서트 포켓부(18)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화물 컨테이터.
KR1020060052462A 2005-08-05 2006-06-12 랙 화물 컨테이너 KR101232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52548 2005-08-05
JPJP-P-2005-00252548 2005-08-05
JP2006059930A JP4866105B2 (ja) 2005-08-05 2006-03-06 ラック貨物コンテナ
JPJP-P-2006-00059930 2006-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933A true KR20070016933A (ko) 2007-02-08
KR101232847B1 KR101232847B1 (ko) 2013-02-13

Family

ID=3792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462A KR101232847B1 (ko) 2005-08-05 2006-06-12 랙 화물 컨테이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866105B2 (ko)
KR (1) KR101232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605A (ko) * 2001-07-05 2003-01-15 고봉기 생약성분으로 된 지혈제
JP5970633B2 (ja) * 2011-05-31 2016-08-17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138876C (no) * 1977-02-23 1978-11-29 Sverre Damm Anordning for tilkobling, transport og oppstilling av godsbeholdere, bygget etter forskjellige internasjonale normer
JPS63232186A (ja) * 1987-03-10 1988-09-28 東急車輌製造株式会社 円筒状貨物用コンテナ
JPS63258784A (ja) * 1987-04-14 1988-10-26 日本フレ−トライナ−株式会社 コンテナ積載用基台
JPS6470393A (en) * 1987-09-04 1989-03-15 Tokyu Car Corp Container
JP2000079848A (ja) * 1998-09-07 2000-03-21 Mizuho:Kk コンテナ、コンテナ用ボックス及びコンテナ本体
JP2000229693A (ja) * 1999-02-11 2000-08-22 China Internatl Marine Containers Group Ltd 国境を越えるコンテナ貨物の輸送方法及びその専用架台コンテナ
JP2003312774A (ja) * 2002-04-26 2003-11-06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廃棄物用コンテナ
JP4015585B2 (ja) * 2003-05-22 2007-11-28 株式会社パブコ 異なる輸送手段に搭載可能なコンテナ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66105B2 (ja) 2012-02-01
KR101232847B1 (ko) 2013-02-13
JP2007062845A (ja) 200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9515B2 (en) Offshore cargo rack for use in transferring palletized loads between marine vessel and an offshore platform
US10023379B2 (en) Stackable and collapsible container
EA032120B1 (ru) Контейнерная развертываемая складская система
KR20170107508A (ko) 콘테이너
KR101232847B1 (ko) 랙 화물 컨테이너
US6637351B1 (en) Shipping pallet with retractable rails
DK2651796T3 (en) Logistics System Platform
CN217918934U (zh) 钢制折叠托盘
CN101878160B (zh) 传送装置
RU956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возки грузов и контейнер (варианты)
US6425558B1 (en) Cargo extension frame
EP2601116B1 (en) Transport container
CN208265013U (zh) 一种预制混凝土墙板运输架
CN210391891U (zh) 一种水平预制构件堆放架及水陆两用堆放架运输装置
JP6210622B2 (ja) 線材コイル用パレット
CN106379655B (zh) 集装箱
KR20170002410U (ko) 원목 운반용 랙 구조체
EP3494071B1 (en) Collapsible container, method of folding a container, method of unfolding a container
SU100628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грузов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KR101520867B1 (ko) 컨테이너용 복수단 적재를 위한 실린더 적재장치
JP2022115733A (ja) コンテナおよびコンテナの製造方法
CN101786532B (zh) 一种台架式集装箱
JP3131151U (ja) ケ−ブルドラム搬送用パレツト
JP2002211875A (ja) ラック装置
JPS624191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